KR100342530B1 - 결합/분리 가능한 이동체용 다목적 항법 장치 - Google Patents

결합/분리 가능한 이동체용 다목적 항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42530B1
KR100342530B1 KR1020000001870A KR20000001870A KR100342530B1 KR 100342530 B1 KR100342530 B1 KR 100342530B1 KR 1020000001870 A KR1020000001870 A KR 1020000001870A KR 20000001870 A KR20000001870 A KR 20000001870A KR 100342530 B1 KR100342530 B1 KR 1003425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navigation
information
portable
dead recko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018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73466A (ko
Inventor
정도형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200000018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42530B1/ko
Publication of KR200100734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734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25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2530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5Pens or stylus
    • G06F3/03546Pens or stylus using a rotatable ball at the tip as position detecting memb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9Trackbal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33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33
    • G06F2203/0333Ergonomic shaped mouse for one han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33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33
    • G06F2203/0334Ergonomic shaped mouse for vertical grip, whereby the hand controlling the mouse is resting or gripping it with an attitude almost vertical with respect of the working sur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Navigation (AREA)

Abstract

결합/분리가 가능한 이동체용 다목적 항법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각각 다른 방식을 채용하는 휴대용 항법장치와 이동체용 항법장치가 일체화되어 구성되는 다목적 항법 장치가 위치 정보의 신뢰도와 사용자의 편리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사고 발생시 구조 및 구난 요청이 용이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항법 장치는 이동체(차량, 선박, 항공기)에 부착되는 고정부와 휴대가 가능한 휴대부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부와 휴대부가 결합되면 이동체용 항법 장치로서 사용되고, 분리시에는 휴대용 항법장치로서 사용된다. 이때 무선단말부가 휴대부에 장착됨으로써 언제 어디서나 구조 및 구난 요청을 위한 위치 정보가 전송될 수 있다. 사용자는 보행중에 휴대부만을 소지하여도 항법 기능을 제공받을 수 있고, 이동체의 운행중에는 휴대부를 이동체의 고정부에 장착시켜 사용하게 된다.

Description

결합/분리 가능한 이동체용 다목적 항법 장치 {MULTI-PURPOSE NAVIGATION APPARATUS WHICH OPERATES AS DEAD RECKONING NAVIGATION AND SATELLITE NAVIGATION SYSTEM}
본 발명은 이동체용 항법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결합/분리가 가능한 이동체용 다목적 항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사용되는 항법 시스템은 그 방식에 따라 크게 차량 및 선박 또는 항공기에 장착된 속도 및 방위 센서들을 이용하는 추측 항법 장치(Dead Reckoning System)와,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와 같은 위성 항법장치(Satellite Navigation System)로 분류될 수 있다.
추측 항법 장치에서는 차량 및 선박 또는 항공기(이하 '이동체'라 칭함)에 장착된 가속도계(accelerometer), 주행거리계(odometer), 속도계(speedometer) 및 고도계(altimeter) 등의 거리 센서들과, 자이로(gyroscope), 컴파스(compass) 및 기울기계(inclinometer) 등의 방위 센서들을 이용하여 이동 거리와 방향을 측정하여 현재 이동체의 위치와 속도를 계산해 낸다. 반면에, 위성 항법장치는 GPS나 GLONASS와 같은 인공 위성 신호로부터 현재 이동체의 위치와 속도를 계산해 낸다. 최근에는 이러한 추측 항법 장치에서 제공되는 위치와 위성 항법 장치에서 제공하는 위치를 적절히 융합하여 최상의 위치정보를 계산해내는 혼합 항법 장치(Hybrid Navigation System)가 차량용 항법 장치에 많이 적용되고 있다.
한편, 추측 항법 장치에 사용되는 센서들은 그 부피나 무게가 크고 많은 전력을 소비한다. 특히 자이로나 가속도계와 같은 관성 센서(inertial sensor)들은 장착된 방향으로의 가속도나 회전각만을 측정하므로, 휴대용 항법 장치에 사용되려면 최소 3개 이상의 센서가 각각 장착되어야 한다. 반면에, GPS와 같은 위성 항법 장치는 저전력 사용이 가능하고, 소형화에 유리한 장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빌딩 숲이나 터널, 지하 주차장, 교각 밑과 같이 위성신호가 도달하지 못하는 곳에서는 위치와 속도를 구하지 못하는 단점을 있다. 이러한 이유로 휴대용 항법 장치와 같이 소형 저전력이 요구되는 항법 장치로는 위성 항법 장치가 널리 사용되고 있고, 이동체 등에 사용되는 항법 장치에는 추측 항법 장치나 추측 항법 장치와 위성 항법 장치를 융합한 혼합 항법 장치(Hybrid Navigation System)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혼합 항법 장치는 추측 항법 장치와 위성 항법 장치를 단순하게 융합시킨 것에 불과하기 때문에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요소들이 중복되어 구비된다는 자원적인 낭비의 요소가 있다.
이와 같이 기존의 항법 장치들은 휴대용과 이동체용으로 구분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사용자가 어느 한 항법 장치만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그 항법 장치를 사용함에 따른 장점은 제공받을 수 있지만, 그 항법 장치를 사용함에 따른 단점은 치유할 수는 없다. 물론, 이러한 단점은 사용자가 2가지의 항법 장치들을 모두 구비하여 사용함으로써 어느 정도 치유될 수도 있지만, 이러한 경우에 사용자는 경제적으로 커다란 부담을 느끼지 않을 수 없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각각 다른 방식을 채용하는 추측 항법 장치와 위성 항법 장치를 하나로 통합하는 다목적 항법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각각 다른 방식을 채용하는 추측 항법 장치와 위성 항법 장치를 하나로 통합하여 이 항법 장치들의 장점을 극대화시키고, 서로의 단점을 치유하는 다목적 항법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각각 다른 방식을 채용하는 추측 항법 장치와 위성 항법 장치를 하나로 통합하여 구현하면서도 사용자의 경제적인 부담을 줄일 수 있도록 하는 다목적 항법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항법 정보의 신뢰도와 사용자의 편리성을 높이는 다목적 항법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각각 다른 방식을 채용하는 휴대용 항법장치와 이동체용 항법장치가 일체화되어 구성되는 다목적 항법 장치가 위치 정보의 신뢰도와 사용자의 편리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사고 발생시 구조 및 구난 요청이 용이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항법 장치는 이동체(차량, 선박, 항공기)에 부착되는 고정부와 휴대가 가능한 휴대부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부와 휴대부가 결합되면 이동체용 항법 장치로서 사용되고, 분리시에는 휴대용 항법장치로서 사용된다. 이때 무선단말부가 휴대부에 장착됨으로써 언제 어디서나 구조 및 구난 요청을 위한 위치 정보가 전송될 수 있다. 사용자는 보행중에 휴대부만을 소지하여도 항법 기능을 제공받을 수 있고, 이동체의 운행중에는 휴대부를 이동체의 고정부에 장착시켜 사용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이동체용 다목적 항법 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이동체용 다목적 항법 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이동체용 다목적 항법 장치의 휴대부와 고정부가 결합되었을 시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이동체용 다목적 항법 장치의 휴대부가 분리되었을 시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설명될 것이다. 도면들 중 참조번호들 및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번호들 및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체용 다목적 항법 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이동체용 다목적 항법 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상기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휴대부 100은 위성 항법 수신기 110, 항법 제어부 120, 무선단말부 130, 입출력부 140, 보조기억부 150 및 배터리 160으로 구성되어, 위성 항법 기능을 제공한다. 고정부 20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추측항법 센서부 210, 항법 제어부 220, 충전부 230으로 구성되고,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추측항법 센서부 210, 항법 제어부 220, 충전부 230, 보조기억부 240 및 입출력부 250으로 구성되어, 추측 항법 기능을 제공한다.
상기 휴대부 100은 이동체에 설치되는 고정부 200에 결합되어 이동체용 항법 장치로서 사용될 수 있고, 사용자의 보행중과 같은 경우에는 상기 고정부 200으로부터 분리되어 휴대용 항법 장치로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목적 항법 장치가 휴대용 항법 장치로 사용되는 경우, 휴대부 100의 항법 제어부 120은 위성 항법 수신기 110에 수신된 위성 항법 정보(이동체의 위치정보, 속도정보)를 자신의 보조기억부 150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정보(지도 및 경로정보)와 함께 자신의입출력부 140의 표시부상에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본 발명의 다목적 항법 장치가 이동체용 항법 장치로 사용되는 경우, 휴대부 100의 항법 제어부 120은 고정부 200의 추측 항법 센서부 210에 의해 검출된 추측 항법 정보를 고정부 200의 항법 제어부 220으로부터 제공받고, 이 추측 항법 정보의 오차값을 위성 항법 수신기 110에 수신된 위성 항법 정보로 보상하여 보조기억부 150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정보와 함께 입출력부 140의 표시부상에 표시되도록 제어한다. 이때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보상된 항법 정보가 고정부 200의 입출력부 250의 표시부상에도 표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항법 장치는 휴대부 100과 고정부 200 각각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모두 구비하고 있는 것이 아니라, 위성 항법 기능 및 추측 항법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최소한의 구성요소들(위성 항법 수신기 110, 항법 제어부 120, 추측 항법 센서부 210, 항법 제어부 220)만을 각각에 구비시키고, 공통으로 사용할 수 있는 구성요소들인 무선 단말부 130, 입출력부 140 및 보조기억부 150은 휴대부 100의 내부에만 구비시켜 구성하고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고정부 200의 내부에도 보조기억부 240 및 입출력부 250이 구비되어 있으나, 이들은 사용자의 편리성을 위해서 추가적으로 구성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이동체용 다목적 항법 장치의 구성을 상기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다목적 항법 장치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다목적 항법 장치의 구성요소들을 동일하게 포함하여 구성되며, 보조기억부 240 및 입출력부 250을 추가적으로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므로, 하기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다목적 항법 장치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휴대부 100은 위성 신호를 수신하여 이동체(결합시) 또는 사용자(분리시)에 대한 위치와 속도를 구하는 위성항법 수신기 110과, 구조 및 구난 요청을 할 수 있는 무선 단말부 130과, 사용자와의 명령 입출력을 수행하고 항법 정보를 표시하는 입출력부 140과, 항법 기능에 필요한 보조 기억부 150고, 정보들을 처리하고 제어하는 항법 제어부 120으로 구성된다. 상기 입출력부 140은 LCD(Liquid Crystal Display)나 CRT(Cathode Ray Tube) 모니터로 구성될 수 있는 표시부와, 키보드(keyboard)나 터치 스크린(touch screen)으로 구성될 수 있는 조작부에 상응하는 입출력부이다. 상기 입출력부 140은 이동체의 현재 위치 및 속도 그리고 기타 항법 정보(경로안내, 현 위치 저장) 등을 지도 또는 문자, 음성 등으로 표시하고,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고, 그 조작에 따른 명령을 입력한다. 보조 기억부 150은 항법 정보 처리에 사용되는 데이터베이스 정보들을 저장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항법 표시에 필요한 지도 및 경로 정보들을 포함하게 된다. 위성항법 수신기 110은 GPS나 이와 유사한 위성 신호(GLONASS신호)를 수신하여 이동체 또는 사용자의 위치와 속도 정보를 제공한다. 항법 제어부 120은 휴대부 100의 각 구성요소들을 제어하고, 위성 항법수신기 110으로부터 얻은 위치, 속도 정보와, 보조기억부 150에 저장된 데이터 베이스 정보를 이용하여 입출력부 140에 표시한다.
고정부 200은 가속도계, 주행거리계, 속도계 및 고도계 등의 거리 센서들과, 자이로, 컴파스 및 기울기계 등의 방위 센서들을 포함하는 추측 항법 센서부 210과, 데이터베이스 정보들을 저장하는 추가 보조 기억부 240, 그리고 추가 입출력부 250 및 이를 제어하는 항법 제어부 220으로 구성된다. 추측항법 센서부 210에 포함되는 센서는 이동체의 특성에 따라 필요한 센서들만이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상기 추측항법 센서부 210은 차량의 경우에는 '주행거리계와 자이로' 또는 '가속도계와 자이로'로 구성될 수 있고, 선박의 경우에는 '속도계와 자이로'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추가 보조 기억부 240은 이동체의 특징에 따라 필요한 추가적인 데이터 베이스 정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추가 보조 기억부 240은 차량의 경우에는 자세한 도로 정보 및 경로 정보, 경로 안내 및 음성 안내 정보가 추가로 저장할 수 있고, 선박의 경우에는 자세한 해안선 정보나 해도를 추가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추가 입출력부 250은 추가적으로 장착할 수 있는 입출력부를 의미한다. 상기 추가 입출력부 250은 차량의 경우에는 키보드나 터치 스크린 대신에 조이스틱이나 음성인식기가 사용자에게 더 편리할 수 있다. 충전부 230은 휴대부 100에 포함되어 동작전원을 공급하는 충전용 배터리 160을 충전하여 휴대시에 사용이 가능하도록 한다. 도면상에 도시는 하지 않았지만, 상기 고정부 200의 내부 각 구성요소들에는 전원전압이 공급되게 된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이동체용 다목적 항법 장치의 휴대부와 고정부가 결합되었을 시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위성 항법 수신기 110으로부터의 위치와 속도 정보는 휴대부 100의 항법 제어부 120으로 전달되고, 추측 항법 센서부 210으로부터의 검출된 추측 항법 센서 측정치는 고정부 200의 항법 제어부 220으로 전달된다. 항법제어부들 120과 220은 상기 전달된 두가지 정보를 이용하여 혼합 항법(hybrid navigation)을 수행하게 된다. 빌딩 숲이나 터널, 지하 주차장, 교각 밑과 같이 위성 신호가 도달하지 못하는 곳이나 위성 위치 정보의 정확도가 떨어지는 곳에서는 추측 항법 센서부 210의 정보를 이용하여 위성 위치 정보의 정확도를 높이거나 보완하게 된다. 또한 위성 항법 정보를 이용하여 추측 항법 센서의 오차값들을 추정하여 보상하는 기능도 동시에 수행하게 된다.
휴대부 100과 고정부 200이 결합하였을 때는 휴대부 100의 표시부/조작부(입출력부) 140과 고정부 200의 표시부/조작부(입출력부) 250이 동시에 사용된다. 고정부 200의 표시부/조작부 250은 장착된 이동체의 특성에 맞는 추가 표시부/조작부로서, 조이 스틱이나 음성인식기와 같이 이동체의 필요성에 부응하는 입출력부를 말한다. 또한 데이터베이스(보조기억부)도 휴대용과 이동체용의 이중 구조를 가지게 된다. 이동체용의 경우에는 휴대용에 비해 더욱 정확한 지도 데이터와 자세한 도로 정보(차선 회전 제한, 속도 제한, 도로 종류), 그리고 경로 안내나 경로 검색, 음성 안내에 필요한 추가 정보를 고정부 200의 데이터 베이스에 보관하게 된다. 항법 제어부들 120,220은 각 구성요소들을 제어하고, 조작부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명령을 수행하고, 항법 정보를 사용자에게 전달하고,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응급 및 구난 요청을 무선 단말부 130으로 전송한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이동체용 다목적 항법 장치의 휴대부가 분리되었을 시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상기 도 4를 참조하면, 위치와 속도 정보는 단지 위성 항법 수신기 110으로부터 제공되므로, 혼합 항법이 아닌 위성 항법만이 이루어진다. 표시부/조작부 140은 휴대부 100의 크기, 전력 소모 특성에 따라 적합한 표시부와 조작부로 구성된다. 데이터베이스 150 또한 불필요한 정보를 제외한 항법 정보만을 포함하게 된다. 그러나 휴대부 100은 무선 단말부 130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조작부를 통한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응급 및 구난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결합시에는 혼합 항법을 수행하고, 분리시에는 위성 항법을 이용하는 다목적 항법 장치를 제안함으로써 위치 정보의 신뢰도 및 정확도와 사용자의 편리성을 높이고, 사고 발생시 구조 및 구난 요청이 용이하도록 한다. 기존의 항법장치만으로는 위성 항법이 불가한 장소에는 정확한 위치를 알 수 없게 되고, 혼합 항법을 사용하는 이동체용 항법 장치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위치의 정확도는 높아지지만, 야외나 길거리를 보행하는 중에는 같이 사용을 할 수 없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 제안한 결합과 분리가 가능한 다목적 항법장치를 사용하게 되면, 각 항법장치의 장점을 모두 살리고, 응급 상황 발생시 구조 및 구난 요청을 위한 무선단말기도 두 경우 모드 하나의 장치로 가능하게 되어, 사용에 편리하고, 자원의 효율성도 극대화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항법 정보 생성에 필요한 데이터베이스나 화면 표시부/조작부도 이중적으로 구성할 수 있어, 사용목적에 따른 구조적 특성도 최대한으로 고려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Claims (13)

  1. 이동체에 설치되고, 추측 항법 기능을 제공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로부터/에 분리/결합될 수 있으며, 분리시 위성 항법 기능을 제공하고, 결합시 상기 위성 항법 기능 및 상기 추측 항법 기능을 고려한 항법 기능을 제공하는 휴대부를 포함하는 이동체용 항법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부는,
    상기 이동체에 대한 위치 및 속도를 나타내는 위성 항법정보를 수신하는 위성 항법 수신기와,
    지도 및 경로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 정보들을 저장하고 있는 보조기억부와,
    항법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와,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고, 그 조작에 따른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조작부와,
    분리시 상기 데이터베이스 정보와 상기 위성 항법정보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고, 결합시 상기 위성 항법정보 및 상기 고정부로부터 제공되는 추측 항법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이동체에 대한 항법정보를 결정하고 이 결정된 항법정보와 상기 데이터베이스 정보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항법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체용 항법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항법 제어부는, 상기 고정부에 결합시 상기 추측 항법정보의 오차 값을 상기 위성 항법정보를 이용하여 보상하고 상기 이동체에 대한 항법정보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체용 항법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부는, 구난 및 구조 요청을 위한 무선신호를 송수신하는 무선단말부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체용 항법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이동체에 대한 위치 및 속도를 나타내는 추측 항법정보를 검출하기 위한 센서들을 포함하는 추측 항법 센서부와,
    상기 휴대부의 결합시 상기 추측 항법정보를 상기 휴대부로 제공하는 항법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체용 항법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지도 및 경로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 정보들을 저장하고 있는 보조기억부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체용 항법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항법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와,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고, 그 조작에 따른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조작부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체용 항법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부는 동작전원을 공급하는 충전용 배터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전원전압을 입력받으며, 상기 휴대부의 결합시 상기 충전용 배터리를 충전시키는 충전부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체용 항법 장치.
  9. 이동체에 설치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에/로부터 결합/분리될 수 있는 휴대부로 구성되는 이동체용 항법 장치에 있어서:
    상기 휴대부는;
    상기 이동체에 대한 위치 및 속도를 나타내는 위성 항법정보를 수신하는 위성 항법 수신기와,
    지도 및 경로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 정보들을 저장하고 있는 보조기억부와,
    항법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와,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고, 그 조작에 따른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조작부와,
    분리시 상기 데이터베이스 정보와 상기 위성 항법정보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고, 결합시 상기 위성 항법정보 및 상기 고정부로부터 제공되는 추측 항법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이동체에 대한 항법정보를 결정하고 이 결정된 항법정보와 상기 데이터베이스 정보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1 항법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이동체에 대한 위치 및 속도를 나타내는 추측 항법정보를 검출하기 위한 센서들을 포함하는 추측 항법 센서부와,
    상기 휴대부의 결합시 상기 추측 항법정보를 상기 휴대부로 제공하는 제2 항법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체용 항법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항법 제어부는, 상기 휴대부가 상기 고정부에 결합시 상기 추측 항법정보의 오차 값을 상기 위성 항법정보를 이용하여 보상하고 상기 이동체에 대한 항법정보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체용 항법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부는, 구난 및 구조 요청을 위한 무선신호를 송수신하는 무선단말부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체용 항법 장치.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항법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추가 표시부와,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고, 그 조작에 따른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추가 조작부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체용 항법 장치.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부는 동작전원을 공급하는 충전용 배터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전원전압을 입력받으며, 상기 휴대부의 결합시 상기 충전용 배터리를 충전시키는 충전부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체용 항법 장치.
KR1020000001870A 2000-01-15 2000-01-15 결합/분리 가능한 이동체용 다목적 항법 장치 KR1003425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1870A KR100342530B1 (ko) 2000-01-15 2000-01-15 결합/분리 가능한 이동체용 다목적 항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1870A KR100342530B1 (ko) 2000-01-15 2000-01-15 결합/분리 가능한 이동체용 다목적 항법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3466A KR20010073466A (ko) 2001-08-01
KR100342530B1 true KR100342530B1 (ko) 2002-06-28

Family

ID=196388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01870A KR100342530B1 (ko) 2000-01-15 2000-01-15 결합/분리 가능한 이동체용 다목적 항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4253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5314B1 (ko) * 2007-12-17 2010-01-06 삼성전기주식회사 저전력 측위 시스템
KR100980241B1 (ko) 2010-06-09 2010-09-06 (주)일래스틱네트웍스 항해정보 송수신 단말과 이를 이용한 선박 관리 시스템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2968B1 (ko) * 2002-11-04 2005-03-08 한국항공우주연구원 대형 무인비행선의 자동 이·착륙 비행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5314B1 (ko) * 2007-12-17 2010-01-06 삼성전기주식회사 저전력 측위 시스템
KR100980241B1 (ko) 2010-06-09 2010-09-06 (주)일래스틱네트웍스 항해정보 송수신 단말과 이를 이용한 선박 관리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3466A (ko) 2001-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53404B2 (en) Vehicle docking station for portable handheld computing device
US7522999B2 (en) Inertial waypoint finder
KR100268071B1 (ko) 지도표시방법및장치와그장치를구비한항법장치
EP1445583B1 (en) Navigation system with progression indication
EP2703780A2 (en) Navigation apparatus and display method thereof
US20150268351A1 (en) Positioning device, position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JP4593132B2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Davidson et al. Using low-cost MEMS 3D accelerometer and one gyro to assist GPS based car navigation system
JPH0942979A (ja) 車載用ナビゲーション装置
KR100342530B1 (ko) 결합/분리 가능한 이동체용 다목적 항법 장치
US9476726B2 (en) Navigation apparatus and navigation method
JP3607501B2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
JPH08278157A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
JPH01161111A (ja) 移動体用ナビゲーシヨン装置
JP4089625B2 (ja) 電波送信装置及びナビゲーション装置
KR19990039447A (ko) 3차원 표시를 위한 차량 항법 장치
JP2011112591A (ja) 移動体搭載用機器
JP4307947B2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経路探索方法
KR20020051791A (ko) 동행 차량 인식 항법 시스템 및 그 사용 방법
JPH0476609B2 (ko)
KR20010039159A (ko) 고속도로 요금 계산기능을 가진 네비게이션 시스템
JP2003315060A (ja) 車載用ナビゲーション装置
JP2003057329A (ja) 衛星からの信号を使用した位置検出装置
JP2006064414A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の表示方法
KR100812245B1 (ko) 방향 센서와 기울기 센서를 이용하여 포인팅이 가능한직관적인 네비게이션 시스템 및 그에 따른 직관적인 포인팅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9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8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30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