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41925B1 - Bldc 세탁기에서의 제동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Bldc 세탁기에서의 제동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41925B1
KR100341925B1 KR1019990044150A KR19990044150A KR100341925B1 KR 100341925 B1 KR100341925 B1 KR 100341925B1 KR 1019990044150 A KR1019990044150 A KR 1019990044150A KR 19990044150 A KR19990044150 A KR 19990044150A KR 100341925 B1 KR100341925 B1 KR 1003419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king
motor
washing machine
amount
volt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441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36943A (ko
Inventor
윤상철
이주환
이철웅
라인환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900441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41925B1/ko
Publication of KR200100369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369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19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1925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42Safety arrangements, e.g. for stopping rotation of the receptacle upon opening of the casing do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30Control of wash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32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D06F33/40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of centrifugal separation of water from the laundr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08Control circuits or arrangements thereof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specific parameters
    • D06F34/18Condition of the laundry, e.g. nature or weigh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30Driving arrangements 
    • D06F37/30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electric moto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02Characteristics of laundry or load
    • D06F2103/04Quantity, e.g. weight or variation of weigh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46Drum speed; Actuation of motors, e.g. starting or interrup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BLDC 세탁기에서의 제동 제어방법은, 세탁기에서의 배수행정 종료 후 탈수행정 실행 전에, 세탁물량(부하량)을 감지하여 그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 탈수행정을 실행하는 단계; 탈수 완료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 및 탈수가 완료되었으면, 상기 저장된 세탁물량(부하량) 데이터를 바탕으로 선택된 제동 모드를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세탁기의 제동 시 BLDC 모터로부터 발생된 역기전력에 의해 모터로부터 DC 링크단측으로 역류하는 과전류를 처리함에 있어서, 제동저항을 이용한 방식이 아니라, DC 링크단측과 BLDC 모터 사이의 반복적인 충/방전에 의해 처리하므로, 종래와 같은 제동저항설치에 따른 공간확보 문제와 저항체로부터 발생되는 열의 방출 문제를 원천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 또한, 제동 시 세탁물량(부하량)의 대소에 따라 그에 상응하는 제동 모드를 선택하여 제동하므로, 제동에 소요되는 시간을 한층 단축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BLDC 세탁기에서의 제동 제어방법{Breaking control method in a BLDC electric washing machine}
본 발명은 BLDC 세탁기에서의 제동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세탁기의 제동 시 세탁물량(부하량)에 따라 제동 모드를 달리하여 제동함으써 시스템 내의 회로소자의 손상을 방지하고, 제동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BLDC 세탁기에서의 제동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탁기는 세탁물의 세탁 및 탈수를 수행하는 세탁조와, 그 세탁조에 회전구동력을 제공하는 모터 및 그 모터를 제어하는 제어부로 크게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세탁기에 있어서, 상기 모터(의 회전속도)를 더욱 정밀하게 제어하고, 다양한 운전 조건에 대응하기 위해 통상 인버터(inverter)가 채용되고 있는 바, 따라서 이와 같은 세탁기를 인버터 세탁기라고 지칭하기도 한다.
도 1은 종래 인버터 세탁기의 모터 제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 인버터 세탁기의 모터 제어 시스템은 외부로부터의 교류전원을 입력받아 직류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정류부(101)와, 그 정류부(101)를 거친 직류 전압을 다시 3상 교류로 변환하여 모터(110)에 공급하는 모터구동부(인버터)(102)와, 모터(110)의 제동 시 모터(110)로부터 전원공급단측으로 역류하는 전압(역기전력)을 저항에 의한 열에너지로 소모시키기 위한 제동저항(103)과, 상기 정류부(101) 링크단의 전압을 감지하는 전압감지부(104)와, 그 전압감지부(104)에 의해 감지된 전압과 기준전압(Vref)을 비교하는 전압비교부(105)와, 그 전압비교부 (105)에 의한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제동저항(103) 회로단을 온/오프(ON/OFF)시키는 스위칭부(106)와, 상기 모터(110)의 회전속도 및 회전자의 위치를 감지하는 센서(107)와, 그 센서(107)로부터의 전송신호를 수신하여 그것을 바탕으로 모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한편, 모터의 제동 시 시스템의 과전압 방출과 관련된 모든 로직 (logic)을 제어하는 마이크로컴퓨터(108)와, 마이크로컴퓨터(108)로부터의 제어 명령에 따라 그에 상응하는 제어신호를 상기 모터구동부(인버터)(102)로 출력하는 신호출력부(109)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모터구동부(인버터)(102)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한 개의 트랜지스터(transistor)(Q1∼Q6)와 다이오드 (diode)(D1∼D6)의 병렬접속으로 구성된 6개의 스위칭 소자(S1∼S6)의 직/병렬 조합회로로 구성되어 있다. 도 1에서 참조부호 C는 정류부(101)를 거쳐 출력되는 직류 전압에 혼입되어 있는 교류 성분을 제거하기 위한 콘덴서를 나타낸다.
그러면,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갖는 종래 인버터 세탁기의 제어 시스템의 동작에 대해 설명해 보기로 한다.
먼저, 외부로부터의 교류 전원(예컨대, AC 220V, 60Hz)이 시스템에 공급되면, 정류부(101)는 입력된 교류 전압을 직류 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그러면, 모터구동부(인버터)(102)는 그 직류 전압을 다시 3상(U,V,W) 교류 전압으로 변환하여 모터(110)에 공급한다. 여기서, 이와 같은 모터구동부(102)(인버터)의 동작은 물론 마이크로컴퓨터(108)의 제어명령에 따라 이루어진다. 즉, 마이크로컴퓨터 (108)에는 모터구동부(102)(인버터)의 6개의 스위칭 소자(S1∼S6)의 온/오프 제어와 관련된 소정의 제어 알고리즘(algorithm)이 미리 프로그램화되어 저장되어 있으며, 따라서 그 제어 알고리즘에 의해 해당 스위칭 소자(S1∼S6)들이 온/오프 동작하여 모터(110)에 3상 교류 전압을 공급하게 된다.
이와 같이 모터구동부(110)로부터 3상 교류 전압이 모터(110)에 공급되면, 모터(110)가 회전하게 되고, 그에 의해 세탁이나 탈수의 과정이 수행된다.
한편, 이상과 같은 정상 운전이 수행된 이후, 최종적으로 제동을 수행하게 되는데, 이때의 제동 메커니즘(mechanism)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세탁기의 정상 운전 시에는 시스템 관점에서 볼 때 모터(110)는 하나의 부하 (전력 소비원)로 볼 수 있으며, 따라서 이때 전류는 전원공급단측으로부터 모터 (110)측으로 흐른다. 이와 같이 모터(110)를 정상 운전시키다가 모터(110)에 제동을 걸면(모터(110)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면), 모터(110)는 회전속도가 감소되면서 정지된다. 즉, 모터(110)는 전원을 차단하는 순간 즉시 정지되는 것이 아니라, 회전관성력에 의해 일정 시간동안 회전하다가 정지된다. 바로 이때, 즉 전원이 차단된 이후 모터(110)가 회전관성력에 의해 회전하는 동안, 모터(110)는 부하가 아닌 발전기의 역할을 하게 되며, 따라서 이때는 모터(110)에 의해 발생된 역기전력에 의한 전류가 모터(110)측으로부터 전원공급단(DC 링크단)측으로 흐르게 된다. 이와 같이 모터(110)로부터 발생된 전류가 전원공급단측으로 흐르면, 전압감지부 (104)는 정류부(101)와 모터구동부(102) 사이의 전압을 감지하여 전압비교부(105)로 전송한다. 그러면, 전압비교부(105)는 전압감지부(104)에 의해 감지된 전압과 미리 설정된 기준 전압(Vref)을 비교하여, 감지전압이 기준전압(더 정확히는 어떤설정된 전압 허용범위)을 초과할 경우 스위칭부(106)를 온시키는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그에 따라 스위칭부(106)가 온되고, 즉 제동저항(103)과 스위칭부(106)로 구성된 회로단이 온되고, 그 결과 모터(110)측으로부터 전원공급단측, 즉 정류부 (101)쪽으로 흐르는 전류는 더 이상 정류부(101)쪽으로 흐르지 않고, 제동저항 (103)을 통해 열에너지(주울열)로 소모된다. 따라서, 모터(110)로부터 발생된 역기전력에 의한 DC 링크단의 전압레벨 상승으로 인해 시스템 회로에 미칠 수 있는 악영향이 방지된다. 즉, 정류부(101) 내의 회로소자나 정류부(101)와 모터구동부 (102) 사이에 위치하는 콘덴서(C)의 열화(劣化)나 손상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이상과 같은 종래 인버터 세탁기에서의 제동 방식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제동 시 모터(110)로부터 DC 링크단쪽으로 흐르는 과전류를 제동저항(103)을 통해 소모시킴으로써 과전류에 의한 회로소자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는 있다. 그러나, 메커니즘을 이용하므로, 비교적 큰 전압에 견딜 수 있는 저항체가 필요하게 된다. 이와 같은 저항체는 대체로 외형적으로 그 크기가 크며, 따라서 설치에 있어서 공간확보 문제가 대두된다. 또한, 저항체로부터 발생되는 열을 효과적으로 방출시켜야 하는 또 다른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BLDC 세탁기의 제동 시 제동 저항을 사용함없이 모터를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고, 세탁물량(부하량)에 따라 제동 모드를 달리하여 제동함으써 시스템 내의 회로소자의 손상을 방지하며, 제동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BLDC 세탁기에서의 제동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인버터 세탁기의 모터 제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도 1의 인버터 세탁기의 모터 제어 시스템의 모터구동부(인버터)의 회로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BLDC 세탁기에서의 제동 제어방법에 채용되는 BLDC 세탁기의 제어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BLDC 세탁기에서의 제동 제어방법의 실행과정을 나타낸 플로우 챠트.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BLDC 세탁기에서의 제동 제어방법에 있어서의 세탁물량 감지 루틴을 나타낸 플로우 챠트.
도 6은 일반적인 인버터 세탁기의 모터구동부(인버터)로부터 모터로 인가되는 3상 교류 전압의 이상적인 파형도.
도 7a는 본 발명에 따른 BLDC 세탁기에서의 제동 제어방법이 채용되는 인버터 세탁기의 모터구동부(인버터)로부터 모터로 인가되는 3상 교류 전압의 실제 파형도.
도 7b는 도 7a의 전압 파형 그래프의 'A'부분에 대한 부분 발췌 확대도.
도 7c는 도 7b의 그래프상에서의 'ON', 'OFF' 구간을 타임 차트화하여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301...정류부 102,302...모터구동부(인버터)
103...제동저항 104,303...전압감지부
105...전압비교부 106...스위칭부
107,304...센서(홀센서) 108,305...마이크로컴퓨터
109...신호출력부 110,306...모터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에서의 제동 제어방법은,제동저항을 사용하지 않는 BLDC방식 세탁기의 제동방법에 있어서,(a) 세탁기에서의 배수행정 종료 후 탈수행정 실행 전에, 세탁물량(부하량)을 감지하여 그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b) 탈수행정을 실행하는 단계;(c) 탈수 완료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 및
(d) 탈수가 완료되었으면, 상기 저장된 세탁물량(부하량) 데이터를 바탕으로 스위칭 소자의 듀티비를 달리하여 제동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여기서, 상기 단계(a)에서의 세탁물량(부하량)의 감지는,
(a-1) 배수 종료후의 리셋(reset) 수위가 설정된 기준 수위에 도달했는지의여부를 판별하는 단계;
(a-2) 상기 리셋 수위가 설정된 기준 수위에 도달했으면, 모터를 구동하여 설정된 회전속도(RPM)에 도달할 때까지의 시간을 측정하는 단계; 및
(a-3) 상기 측정된 시간값과 설정된 기준 시간값을 비교하여, 그 결과에 따라 세탁물량(부하량)을 판단하는 단계의 수행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BLDC 세탁기에서의 제동 제어방법에 채용되는 BLDC 세탁기의 제어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BLDC 세탁기에서의 제동 제어방법에 채용되는 BLDC 세탁기의 제어 시스템은 상기 도 1의 종래 인버터 세탁기의 모터 제어 시스템과 그 구성에 있어서 큰 차이는 없다. 따라서, 동일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세탁기의 제동 시 BLDC 모터로부터 발생된 역기전력에 의해 모터로부터 DC 링크단측으로 역류하는 과전류를 처리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방법에 채용되는 세탁기의 제어 시스템은 종래와 같이 제동저항에 의해 처리하는 것이 아니라, DC 링크단측과 BLDC 모터 사이에 충/방전을 반복 수행함으로써 처리하는 점이 특징적으로 다르다. 도 3에서 참조번호 301은 정류부, 302는 모터구동부, 303은 전압감지부, 304는 센서(홀센서), 305는 마이크로컴퓨터, 306은 모터를 각각 나타낸다.
그럼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BLDC 세탁기에서의 제동 제어방법에 채용되는 세탁기의 제어 시스템과 관련하여 본 발명에 따른 BLDC 세탁기에서의 제동 제어방법에 대해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서 설명해 보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BLDC 세탁기에서의 제동 제어방법의 실행 과정을 나타낸 플로우 챠트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BLDC 세탁기에서의 제동 제어방법에 따라, 먼저 세탁기에서의 배수행정 종료 후 탈수행정 실행 전에, 세탁조내의 세탁물량(부하량)을 감지하여 그 데이터를 마이크로컴퓨터(305) 내의 메모리(미도시)에 저장하게 된다(단계 401). 여기서 이에 대해 좀 더 설명을 부가해 보기로 한다.
세탁기에서의 세탁부터 탈수까지의 전과정을 세분화하여 살펴보면, '세탁→배수→간헐탈수1→급수1→헹굼1→배수→간헐탈수2→급수2→헹굼2→배수→본탈수'로 이루어진다. 이와 관련하여 상기 '배수행정 종료 후 탈수행정 실행 전'이란 상기의 세탁부터 탈수까지의 전과정에서 '배수'와 '간헐탈수1' 사이의 시점을 의미한다. 이때, 물론 모터(306)는 정지되어 있는 상태이다. 한편, 상기 세탁물량(부하량)의 감지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별도의 세탁물량 감지 루틴(routine)에 의해 이루어진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배수 종료후의 리셋 수위가 설정된 기준 수위에 도달했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단계 501). 이 판별에서 리셋 수위가 설정된 기준 수위에 도달하지 않았으면, 계속하여 도달여부를 확인하고, 리셋 수위가 설정된 기준 수위에 도달했으면, 일단 모터(306)를 구동하여 설정된 회전속도(RPM)에 도달할 때까지의 시간을 측정한다(단계 502). 그런 후, 그 측정된 시간값과 설정된 기준 시간값을 비교하여, 그 결과에 따라 세탁물량(부하량)을 판단한다(단계 503). 즉, 미리 설정된 일정값의 회전속도(RPM)에 도달할 때까지의 시간은 세탁조 내의 세탁물량(그것은 곧 모터에 걸리는 부하량임)에 따라 다르게 되는 바, 예컨대세탁물량이 적으면 그만큼 하중이 작으므로, 설정된 일정값의 회전속도(RPM)에의 도달시간이 짧게 되고, 세탁물량이 많으면 그만큼 하중이 크므로, 설정된 일정값의 회전속도(RPM)에의 도달시간이 길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함수 관계를 바탕으로 미리 상기 설정된 일정값의 회전속도(RPM)에의 도달시간에 상응하는 세탁물량(부하량)의 판단을 위한 데이터 테이블을 구축해 놓고(이와 같은 데이터 테이블은 물론 사전에 실험에 의해 얻은 데이터를 바탕으로 미리 작성되어 마이크로컴퓨터 (305)에 저장됨), 그 데이터 테이블에 의해 세탁물량(부하량)을 판단(감지)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이렇게 하여 세탁물량(부하량)의 감지 및 그 데이터(감지값)의 저장이 완료되면, 탈수행정을 실행하게 된다(단계 402). 그리고, 일정 시간이 지난 후 탈수 완료 여부를 판별한다(단계 403). 이 판별에서 탈수가 완료되지 않았으면, 상기 단계 402로 프로그램을 귀환하여 계속 탈수를 실행한다. 그리고, 상기 단계 403에서 탈수가 완료되었으면, 상기 저장된 세탁물량(부하량)의 데이터에 따라 상응하는 제동 모드를 실행한다(단계 404). 즉, 세탁물량(부하량)이 설정된 기준치보다 클 경우에는 모터구동부(302)에 출입하는 전압 펄스의 듀티비(duty ratio)를 크게 하여 모터(306)를 서서히 제동시키는 일반제동(약 30초에 걸쳐 제동) 모드를 실행하고, 세탁물량(부하량)이 설정된 기준치보다 작을 경우에는 모터구동부(302)에 출입하는 전압 펄스의 듀티비를 작게 하여 모터(306)를 좀 더 빠르게 제동시키는 급제동 모드(약 10초에 걸쳐 제동)를 실행한다. 이에 대해 좀 더 설명을 부가해 보기로 한다. 먼저 듀티비에 대해 간략히 설명해 보기로 한다.
모터구동부(302)로부터 모터(306)로 공급되는 3상 교류 전압(U,V,W)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그러나, 도 6의 경우는 전압 변동이 없고, 3상간 완전 평형을 이루며, 기타 어떠한 외부 요인도 개입되지 않는 가장 이상적인 상태하에서의 전압 파형을 나타낸 것으로서, 실제로 모터(306)에 인가되는 전압 파형은 그렇지 않다. 즉,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제로 모터(306)에 인가되는 전압(편의상 U상을 대표로 선택함)은 전체적으로는 하나의 정현파 형태를 가지지만, 순간치의 변동이 매우 심한 형태의 파형을 가진다. 도 7b는 도 7a의 전압 파형 그래프의 'A'부분을 확대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서는 그래프상의 좌하단에서 우상단으로의 전압값 상승 부분의 구간을 'ON', 그리고, 좌상단에서 우하단으로의 전압값 하강 부분의 구간을 'OFF'로 설정한다. 여기서, 'ON'부분은 모터(306)에 전압이 인가되는 것을 의미하고, 'OFF'부분은 모터(306)로의 전압 인가가 차단되는 것을 의미한다. 도 7c는 그와 같은 'ON', 'OFF' 구간을 타임 차트로 나타낸 것으로서, 여기서 듀티비란 부하기간(ON 구간)과 {부하기간 (ON 구간) + 휴지기간(OFF 구간)}과의 비를 말한다. 이를 수식으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수학식 1에서 Dr은 듀티비, Ton은 'ON'구간의 시간, Toff는 'OFF'구간의 시간을 각각 나타낸다.
이상과 같은 듀티비의 개념을 염두에 둘 때, 결국 듀티비는 주어진 조건(예컨대, ON+OFF 구간의 1주기가 16kHz)하에서 상기 수학식 1에서의 분모값(Ton+Toff)이 일정하게 되므로, 분자값인 Ton에 좌우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위에서 언급된 듀티비를 조정(크게 혹은 작게)한다는 말은 결국 상기 Ton값을 조정(크게 혹은 작게)한다는 의미가 된다.
그러면, 이상의 사항을 바탕으로 하면서 상기 세탁물량(부하량)이 클 때와 작을 때의 각 제동모드에 대해 생각해 보기로 한다.
먼저, 세탁물량(부하량)이 클 경우에는 그에 따른 회전가속력이 커서 제동력도 크게 되는 바, 그때 급격하게(짧은 시간 내에) 제동을 걸면 모터(306)에 과부하가 걸려, 모터(306)로부터 발생되는 역기전력 값도 크게 된다. 그리고, 그와 같은 큰 역기전력에 따른 과전류가 DC 링크단측으로 역류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DC 링크단의 전압레벨 상승으로 정류부(301) 내의 회로소자(다이오드)나 콘덴서(C)가 파손될 수 있다. 따라서, 이때는 모터(306)를 서서히 제동시켜야 하는 바, 그러기 위해서는 DC 링크단과 모터(306) 사이의 충/방전 제동 알고리즘에 있어서, 모터(306)로부터 DC 링크단으로의 역류량(충전량)을 적게 해야 한다. 이것은 역으로 말해서, DC 링크단으로부터 모터(306)쪽으로의 전압인가량(방전량)을 크게 해야 하는 것을 의미하는 바, 그러기 위해서는 DC 링크단으로부터 모터(306)쪽으로의 전압인가 지속시간(부하기간:Ton)을 길게 해야 하며, 그것은 곧 듀티비를 크게 하는 것을 의미하게 된다. 따라서, 이상에서와 같이, 세탁물량(부하량)이 설정된 기준치보다 클 경우에는 듀티비를 크게 하여 모터(306)를 서서히 제동시키는 일반제동 모드(약 30초에 걸쳐 제동)를 실행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세탁물량(부하량)이 적을 경우에는, 그에 따른 회전가속력이 작으므로 제동력도 작게 되는 바, 따라서 이때는 모터(306)를 짧은 시간 내에 정지(급제동)시키더라도, 위의 경우에서와 같이 모터(306)에 과부하가 걸릴 염려는 없다. 따라서, 이때는 급제동 모드를 실행하게 되는 것이다. 모터(306)를 좀 더 빠른 시간 내에 급제동시키기 위해서는 모터(306)로 인가되는 전압의 크기를 작게 해주어야 한다. 이와 같이 모터(306)로 인가되는 전압의 크기를 작게 하기 위해서는, 결국 DC 링크단으로부터 모터(306)로의 방전량을 작게 해야 하며, 그것은 곧 듀티비를 작게 (Ton값을 짧게)하는 것을 의미한다. 그렇게 함으로써 모터(306)로 인가되는 전압이 급격히 감소되어 모터(306)는 빠른 시간 내에 정지하게 된다. 이로써, 종래의 세탁물량(부하량)에 관계없이 무조건 일반 제동모드로 제동시킴에 따른 긴 제동시간(30초)을 한층 짧게(10초) 단축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은 일련의 과정에 있어서, 상기 듀티비의 가변 조정은 물론 마이크로컴퓨터(305)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제어 알고리즘에 의해 수행되며, 그와 관련하여 실제로 모터구동부(인버터)(302)내의 스위칭 소자들(S1∼S6)이 제어 알고리즘에 따라 선택적으로 온/오프되고, 또한 그 온/오프의 지속 시간이 제어됨으로써 듀티비의 가변이 구현된다.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BLDC 세탁기에서의 제동 제어방법은, BLDC 세탁기의 제동 시 모터로부터 발생된 역기전력에 의해 BLDC 모터로부터 DC 링크단측으로 역류하는 과전류를 처리함에 있어서, 제동저항을 이용한 방식이 아니라, DC 링크단측과 BLDC 모터 사이의 반복적인 충/방전에 의한 처리방식이므로, 종래와 같은 제동저항설치에 따른 공간확보 문제와 저항체로부터 발생되는 열의 방출 문제를 원천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 또한, 제동 시 세탁물량(부하량)의 대소에 따라 그에 상응하는 제동 모드를 선택하여 제동하므로, 제동에 소요되는 시간을 한층 단축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2)

  1. 제동저항을 사용하지 않는 BLDC방식 세탁기의 제동방법에 있어서,
    (a) 세탁기에서의 배수행정 종료 후 탈수행정 실행 전에, 세탁물량(부하량)을 감지하여 그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
    (b) 탈수행정을 실행하는 단계;
    (c) 탈수 완료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 및
    (d) 탈수가 완료되었으면, 상기 저장된 세탁물량(부하량) 데이터를 바탕으로 스위칭 소자의 듀티비를 달리하여 제동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BLDC 세탁기에서의 제동 제어방법.
  2. 삭제
KR1019990044150A 1999-10-12 1999-10-12 Bldc 세탁기에서의 제동 제어방법 KR1003419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4150A KR100341925B1 (ko) 1999-10-12 1999-10-12 Bldc 세탁기에서의 제동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4150A KR100341925B1 (ko) 1999-10-12 1999-10-12 Bldc 세탁기에서의 제동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6943A KR20010036943A (ko) 2001-05-07
KR100341925B1 true KR100341925B1 (ko) 2002-06-26

Family

ID=196150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4150A KR100341925B1 (ko) 1999-10-12 1999-10-12 Bldc 세탁기에서의 제동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4192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9180B1 (ko) * 2005-12-19 2007-01-16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드럼세탁기에서 back-emf를 이용한 언밸런스 감지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6943A (ko) 2001-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04984B2 (en) Method of controlling motor-driven washing machine and control system for the same
KR100344984B1 (ko) 세탁기의 제동방법
JP5925425B2 (ja) インバータ装置
CN110572089A (zh) 电动工具及其控制方法
JP2009000724A (ja) エンジン溶接機
JP3848903B2 (ja) 電力変換装置
KR100341925B1 (ko) Bldc 세탁기에서의 제동 제어방법
JP6844028B2 (ja) 電力変換装置
KR100547336B1 (ko) 세탁기에서의 제동 제어방법
KR100547338B1 (ko) 세탁기에서의 제동 제어방법
JPH05168248A (ja) 空気調和機
KR100311652B1 (ko) 세탁기에서의 제동 제어방법
KR100547337B1 (ko) 세탁기에서의 과전류 제어방법
JP2016077150A (ja) インバータ装置
KR100936019B1 (ko) 트레드밀의 모터 구동 장치 및 방법
KR100311651B1 (ko) 세탁기의 제동 제어 방법
KR970009436B1 (ko) 세탁기의 모터제어장치
KR100393793B1 (ko) 비엘디씨 모터의 센서리스 제어장치
KR100344985B1 (ko) 세탁기의 제동방법
KR100481781B1 (ko) 드럼세탁기의안전제어장치및그제어방법
KR100942173B1 (ko) 모터 구동 장치에서의 다이나믹 브레이크 회로
KR100339544B1 (ko) 인버터 에어컨의 압축기용모터 운전제어방법
KR100315814B1 (ko) 세탁기의 제동시 전압제어회로 및 그 전압제어방법
KR100347717B1 (ko) 세탁기의 전압 감지 회로부 이상 진단 방법
JPH07170776A (ja) インバータの主回路電荷放電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524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