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44985B1 - 세탁기의 제동방법 - Google Patents

세탁기의 제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44985B1
KR100344985B1 KR1019990044145A KR19990044145A KR100344985B1 KR 100344985 B1 KR100344985 B1 KR 100344985B1 KR 1019990044145 A KR1019990044145 A KR 1019990044145A KR 19990044145 A KR19990044145 A KR 19990044145A KR 100344985 B1 KR100344985 B1 KR 1003449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braking
motor
duty ratio
ph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441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36938A (ko
Inventor
윤상철
이주환
이철웅
라인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900441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44985B1/ko
Priority to US09/612,918 priority patent/US6445879B1/en
Priority to JP2000215843A priority patent/JP3615127B2/ja
Priority to CNB001202235A priority patent/CN100373764C/zh
Publication of KR200100369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369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49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498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27/00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supply voltage
    • H02P27/04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supply voltage using variable-frequency supply voltage, e.g. inverter or converter supply voltage
    • H02P27/06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supply voltage using variable-frequency supply voltage, e.g. inverter or converter supply voltage using dc to ac converters or inverters
    • H02P27/08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supply voltage using variable-frequency supply voltage, e.g. inverter or converter supply voltage using dc to ac converters or inverters with pulse width modulation
    • H02P27/085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supply voltage using variable-frequency supply voltage, e.g. inverter or converter supply voltage using dc to ac converters or inverters with pulse width modulation wherein the PWM mode is adapted on the running conditions of the motor, e.g. the switching frequenc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30Driving arrangements 
    • D06F37/30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electric mo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7/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 H02M7/4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 H02M7/4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 H02M7/4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7/53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7/537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without possibility of reversal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e.g. single switched pulse invert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3/00Arrangements for stopping or slowing electric motors,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 H02P3/06Arrangements for stopping or slowing electric motors,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for stopping or slowing an individual dynamo-electric motor or dynamo-electric converter
    • H02P3/18Arrangements for stopping or slowing electric motors,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for stopping or slowing an individual dynamo-electric motor or dynamo-electric converter for stopping or slowing an ac mo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topping Of Electric Mo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탁기에 있어서, 특히 세탁기의 제동을 복수의 제동방식으로 하여 정상 공정시 짧은 제동시간을 요하지 않는 일반 제동모드에서 모터의 불필요한 급제동을 방지하도록 한 세탁기의 제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키이 입력 또는 정상 공정완료에 의한 일반 제동모드와 도어 오픈등과 같은 급제동모드로 제동모드를 구분하여 판단하고, 그 판단결과에 따라 모터로 부터 회생되는 DC전압에 대응하도록 위상 및 듀트비와 서로 다른 기준전압을 각각 설정해 준 다음 상기의 DC전압과 기준전압을 비교하며, 그 비교결과에 따라 기 설정된 위상 및 듀트비를 가변시켜 모터구동부를 제어하도록 하므로서, 복수의 제동방식을 갖고 사용빈도가 많고 짧은 시간을 요하지 않는 일반 제동모드에서 발생되는 진동소음을 억제하고 불필요한 급제동을 방지하여 모터의 수명 단축을 방지하도록 하는 한편, 모터의 제동시 제동에 걸린 시간만큼 세탁행정에서의 시간을 보상해 줄수 있도록 하는 인버터(INVERTER) 세탁기를 제공함에 있다.

Description

세탁기의 제동방법{Braking method of washing machine}
본 발명은 세탁기에 있어서, 특히 세탁기의 제동을 복수의 제동방식으로 하여 정상 공정시 짧은 제동 시간을 요하지 않는 일반 제동모드에서 모터의 불필요한급제동을 방지하도록 한 세탁기의 제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인버터 세탁기의 제동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이,
시스템으로 공급되는 AC전원을 직류전압으로 변환 출력하는 정류부(1)와, 상기 정류된 직류전압을 평활하는 평활부(2)와, 상기 정류부(1)를 통해 전달되는 직류전압으로 모터(M)을 구동하는 모터구동부(3)와, 세탁기의 급정지시 시스템에 흐르는 전압을 감지하여 그 감지 결과에 의해 감지전압을 생성 출력시키는 전압감지부(4)와, 상기 전압감지부(4)의 감지전압과 시스템에서 이미 정해진 기준전압을 비교하는 전압비교부(5)와, 상기 전압비교부(5)의 비교 결과에 따라 제동(Dynamic Brake) 저항(R1)의 온/온프를 결정하는 스위칭부(6)와, 상기 모터(M)의 회전 위치 및 속도와 같은 동작 상태를 감지하는 센서(7)를 통해 모터(M)의 동작을 제어하는 동시에 제동시 시스템의 과전압 방출에 관련된 모든 로직을 제어하는 마이컴(8)과, 상기 마이컴(8)의 제어 결과에 따른 제어신호를 생성 출력시키는 신호출력부(9)로 구성된다.
제동저항(R1)은 모터 제동시, 모터(M) 및 부하의 관성에너지가 전기에너지로 변환되어 모터구동부(3) 측으로 회생된 다음 평활부(2)에 축적되면서 직류전압이 상승할 때, 그 직류전압이 크면 열로서 소비시켜 줄수 있도록 한 저항기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 세탁기의 제동장치의 작용에 대하여 도 1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외부에서 상용 AC전원이 공급되게 되면 정류부(1)에서 이를 직류전압으로 변환하고, 그 직류전압을 평활부(2)에서 안정하게 평활시킨 다음모터구동부(3)에 공급하게 된다.
그러면, 모터구동부(3)에서는 평활부(2)로 부터 공급되는 직류전압을 변환하여 모터(M)을 구동시켜 주므로 세탁기의 세탁, 탈수, 배수의 모든 행정을 수행하도록 한다.
그런데, 세탁기의 모든 행정 중에서 탈수 행정동안에 세탁기의 뚜껑이 열리거나 세탁조의 언밸런스 상태를 감지할 경우, 세탁조를 급격히 정지시키기 위해 고속으로 회전하는 모터(M)를 급 제동시키게 된다.
여기서, 모터(M)는 무정류자 모터(Brushless DC Motor)로서 정상적인 세탁 운전시 시스템 운전시 부하가 되므로 평활부(2)로 부터 모터(M)로 전류가 방전되는 방향으로 흐르게 된다.
그렇지만, 고속으로 회전하는 동안에 모터(M)를 급정지시키게 되면 모터(M) 자체가 발전기가 되어 모터(M)에서 발생되는 역기전력으로 인해 전류가 충전되는 방향, 즉 전류가 모터(M)에서 평활부(2) 측으로 역으로 흐르게 되어 평활부(2)의 전압 레벨이 상승하게 된다.
이때, 평활부(2)에 충전되는 역전류를 방전시키지 않으면 직류전압 레벨이 무제한적으로 상승되어 설계된 회로의 내압을 초과하므로 주변 회로 및 부품이 손상하게 된다.
그러므로, 모터(M)의 제동시 시스템에 흐르는 회생전압을 방출시키기 위해 전압감지부(4), 전압비교부(5), 스위칭부(6), 제동(DB; Dynamic braking)저항(R1)과 같은 제동회로를 구비하게 된다.
세탁이나 탈수시 운전중인 모터(M)를 제동시키게 되면 전압감지부(4)에서는 평활부(2)와 모터(M) 사이의 회생되는 전압을 감지하게 되는 동시에 그 감지전압을 전압비교부(5)에 전달하게 된다.
그러면, 전압비교부(5)는 기준전압(Vref)과 감지전압을 상호 비교하여 그 비교결과를 스위칭부(6)에 전달하게 되면 스위칭부(6)는 전압비교부(5)의 비교결과에 따라 온,오프 스위칭 동작하게 된다.
상기 스위칭부(6)는 감지전압이 기준전압을 초과할 경우 전압비교부(5)의 출력에 의해 온 동작하여 제동저항(R1)을 온 동작시키고, 상기 제동저항(R1)이 온 동작되면 평활부(2)와 모터(M) 사이에 흐르는 회생전압이 제동저항(R1)을 거쳐 흐르게 되므로 시스템에 필요 이상의 과전압이 열 에너지 형태로 방출되므로서 시스템이 일정 전압레벨로 유지되게 된다.
상기 스위칭부(6)는 제동저항의 과전압 방출 과정중에 전압감지부(4) 및 전압비교부(5)를 통해 현재 평활부(2)와 모터(M) 사이의 감지전압이 기준전압(Vref) 이하라고 판단되면 오프되어 제동저항(R1)을 오프동작시키게 된다.
상기 제동저항(R1)으로는 더 이상의 전류가 흐르지 않고 평활부(2)로만 전류가 흐르게 되는 수순으로 모터(M)를 제동시켜 준다.
이와같이, 종래에는 모터(M)를 짧은 시간내에 감속시키거나 모터(M)의 부하관성이 클 경우 모터(M)에서 발전되는 회생에너지는 더욱 크게 된다. 이 회생에너지가 모터구동부(3) 측으로 회생되어 평활부(2)의 직류전압을 높이게 되는 데, 이 직류전압이 특정 전압레벨 이상(예;380V) 되었을 경우 외부 제동저항(R1)을 통해회생에너지를 열로서 소모시키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경우에는 시스템의 전압 레벨 변동을 하드웨어적으로 하나의 기준레벨 이상만을 감지하여 모터를 제동하게 되는 데, 짧은 제동을 요하지 않는 사용자의 키이신호에 의한 제동시에도 항상 같은 방법으로 급제동을 수행하기 때문에 모터의 수명단축의 원인이 된다.
또한, 모터(M)의 급정지시 에너지가 380V이상일 때 제동저항(R1)을 통해 소모시키므로서, 모터의 짧은 감속시간과 모터의 부하관성에 비례하도록 비교적 큰 파워(power)에 견디는 제동전용의 저항체가 필요하게 되고, 그 저항체에 의해 전체 부품의 설치도 복잡해질 뿐만 아니라 가격이 그 만큼 상승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사용자가 키이 입력에 의한 일반제동과 도어 오픈등과 같은 급제동 여부를 판단하고, 그 판단된 결과에 따라 회생되는 DC전압에 대응하는 위상 및 듀트비와 서로 다른 기준전압을 각각 설정해 주고 상기 DC전압을 상기의 기준전압과 비교하며, 상기 비교결과에 따라 기 설정된 위상 및 듀트비를 감지된 DC전압에 대응하여 모터구동부를 제어하도록 가변하므로서, 복수의 전압 제동방식을 갖고 사용빈도가 많고 짧은 시간을 요하지 않는 일반 제동모드에서의 시스템의 진동소음이나, 불필요한 급제동을 방지하여 모터의 수명 단축을 방지하도록 한 것이며, 또한, 모터의 제동시 모터의 제동에 걸린 시간만큼 세탁기 행정에서 이를 보상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인버터 세탁기의 제동장치를 도시한 블럭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 인버터 세탁기의 제동장치를 도시한 블럭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부 구성요소인 모터구동부와 모터를 도시한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 인버터 세탁기의 제동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플로우 챠트.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정류부 2,20... 평활부
3,30.... 모터구동부 M..... 모터
4,40.... 전압감지부 5...... 전압비교부
6....... 스위칭부 7 ..... 센서
8,60.... 마이컴 9..... 신호출력부
50...... 속도감지부 R1..... 제동저항
본 발명 인버터 세탁기의 제동방법은, 모터의 제동시 그 제동에 대한 긴급제동 여부를 판단하고, 그 판단된 결과에 따라 이미 설정된 각각의 초기 위상 및 듀트비와 기준전압을 설정하며, DC링크단으로 부터 감지된 DC전압을 기준전압과 각각 비교한 다음 그 비교결과에 따라 설정된 DC전압에 대응하도록 위상 및 듀트비를 변화시키면서 모터구동부를 제어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모터 제동시 도어오픈(door open)과 같은 긴급정지를 원할 때 사용할 수 있는 긴급제동과 사용자의 키이입력 또는 정상공정 완료에 의한 일반제동을 판단하는 제동모드 판단단계와;
상기 판단결과 긴급제동이면 초기 위상1 및 듀트비1을 설정한 다음 제어신호를 모터구동부(30)에 출력하여 전압감지부(40)로 부터 DC전압(VDC)을 감지하는 긴급모드 설정단계와;
상기 단계 후 감지된 DC전압(VDC)을 제 1기준전압(VTH1)과 비교하여 제 1기준전압 이하이면 이때의 DC전압에 대응하는 제어 위상 및 듀트비를 가변하여 설정한 후 모터가 정지할 때 까지 모터구동부(30)에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비교결과 제 1기준전압(VTH1)을 초과하면 이때의 DC전압에 대응하는 제어 위상 및 듀트비를 가변하여 설정한 후 제 1기준전압 이하가 될 때 까지 모터구동부(30)에 출력하는 긴급모드 제동단계;
상기 판단결과 긴급제동이 아니면 초기 위상2 및 듀트비 2를 설정한 다음 제어신호를 모터구동부(30)에 출력하여 전압감지부(40)로 부터 DC전압(VDC)을 감지하는 일반모드 설정단계와;
상기 일반모드 설정단계로 부터 감지된 DC전압(VDC)을 제 2기준전압(VTH2)과 비교하고 제 2기준전압 이하이면 이때의 DC전압에 대응하는 제어 위상 및 듀트비를 가변하여 설정한 후 모터가 정지할 때 까지 모터구동부(30)에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비교결과 제 2기준전압(VTH2)을 초과하면 이때의 DC전압에 대응하는 제어 위상 및 듀트비를 설정한 후 제 2기준전압 이하가 될 때 까지 모터구동부(30)에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일반모드 제동단계로 진행하게 된다.
이를 위한 본 발명 인버터 세탁기의 제동장치는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용 AC전원을 직류전압으로 정류하는 정류부(10)와, 상기 정류된 직류전압을 평활하는 평활부(20)와, 상기 평활된 직류전압을 3상 교류의 전압과 주파수로 변환하여 모터(M)를 구동시키는 모터구동부(INVERTER)(30)와, 상기 평활된 직류전압을 감지하는 전압감지부(40)와, 상기 모터(M)의 위상차이 및 회전자의 위치에 의한 회전속도를 감지하는 속도감지부(50)와, 모터(M)의 전기적인 상태에 따라 전압감지부(40) 및 속도감지부(50)로 부터 감지되는 전압 및 회전속도에 대응하여 위상 및 듀트비를 설정하고 그 설정된 위상 및 듀트비(duty ratio)에 따라 펄스폭 변조(PWM; Pulse Width Modulation)된 제어신호를 모터구동부(30)에 출력하는 마이컴(60)으로 구성된다.
상기 모터구동부(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이, 다수개의 고속 스위칭소자(Q1∼Q6)와, 상기 스위칭소자(Q1∼Q6)와 역 병렬로 연결되어 있는순환(Free Wheeling) 다이오드(D1∼D6)로 구성되고, 고전위부분에 접속된 스위칭소자(Q1∼Q3)와 저전위에 접속된 스위칭소자(Q4∼Q6)가 각각 하나씩 짝을 이루어 모터(M)의 각 상(U,V,W)으로 일정 교류전압을 공급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 인버터 세탁기의 제동방법에 대하여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 인버터 세탁기의 제동장치를 보인 블럭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을 위한 모터구동부의 상세 회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 인버터 세탁기의 제동방법을 보인 플로우 챠트이다.
먼저, 일정한 주파수와 진폭을 갖고 가정, 상업지역 및 공장등에 공급하는 각종 상용 AC(예들들면 일반가정에 공급되는 220V, 60Hz)전원이 입력되면 정류부(10)는 AC전원을 직류(DC; Direct Current)전압으로 정류하고, 상기 정류된 직류전압을 평활부(20)에서 안정되게 직류전압을 평활한 후 모터구동부(30)로 공급하게 된다.
상기 모터구동부(30)는 평활부(20)로 부터 공급된 직류전압을 이용하여 모터에 인가되는 전압 또는 전류의 크기와 주파수를 임의로 제어하기 위해 다수개의 스위칭소자(Q1~Q6)로 고속 스위칭하여 3상 교류의 전압(U,V,W)과 주파수로 모터(M)를 구동시켜 주므로서, 부하의 세탁행정, 헹굼행정, 탈수행정을 수행하게 된다.
여기서, 스위칭소자(Q1~Q6)는 고속 스위칭소자(IGBT; 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로서 고전위 부분와 저전위 부분으로 하나씩 짝(Q1,Q4)(Q2,Q5)(Q3,Q6)을 이루어 모터(M)의 각 상(U,V,W)으로 일정 교류전압을공급하며, 각 스위칭소자스위칭소자병렬로 연결된 다이오드(D1∼D6)를 통해 스위칭소자(Q1~Q6)가 오프시 회생전류(I+)가 흐르게 된다.
그리고, 전압감지부(40)는 상기 평활부(20)에서 평활된 직류전압을 실시간으로 감지한 다음 마이컴(60)에 전달하고, 상기 속도감지부(50)는 모터(M)의 각 상(U,V,W)에 대한 회전자의 위치와 위상차이에 대한 정보로 부터 회전속도를 감지하여 마이컴(60)에 전달하게 된다.
그러면, 마이컴(60)은 전압감지부(40)로 부터 감지된 직류전압과 속도감지부(50)로 부터 감지된 회전속도를 입력받아 기 프로그램된 목표속도를 비교한 후 그 비교결과에 따라 모터(M)의 회전속도가 소정의 목표속도에 도달할 수 있도록 모터구동부(30)의 각 스위칭소자(Q1∼Q6)를 온/오프 스위칭 제어하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마이컴(60)으로 부터 모터구동부(30)에 출력되는 신호는 펄스폭 변조(PWM; Pulse Width Modulation)된 제어신호로서, 이 신호에 의해 모터구동부(30)의 각 스위칭소자(Q1~Q6)와 이에 병렬 결합된 다이오드(D1~D6)를 선택적으로 온,오프시켜 주어 모터(M)에 흐르는 전류가 정현파에 가까워지도록 출력펄스의 듀트비를 선택적으로 변화시켜 준다.
여기서, 듀트비(Duty ratio)는으로서, Ton은 스위칭소자(Q1~Q6)의 온 구간이며, Toff는 스위칭소자(Q1~Q6)의 오프구간을 나타내며, 이러한 듀트비를 이용하여 각 스위칭소자(Q1~Q6)의 온시간을 길게 가져가려면 Ton 구간을 상대적으로길게 가져가고, 오프시간을 길게 가져가려면 Ton구간을 상대적으로 짧게 가져가면 된다.
그런데, 모터(M)가 급정지되면 마이컴(60)이 그 제동이 긴급제동인지, 일반제동인지를 판단하게 되는데,
긴급제동은 탈수시에 도어(door)를 오픈시킨것과 같이 고속으로 회전하는 모터를 급제동시켜야 하는 경우이며, 일반제동은 사용자가 필요에 의해 키이를 눌렸을 경우나 정상행정 완료시와 같이 모터를 짧은 시간안에 제동시키지 않아도 되는 경우로 사용빈도가 많은 부분이다.
즉, 일반제동시에는 사용빈도가 많고 사용자의 키이신호에 의한 것으로 짧은 제동 시간을 요하지 않으며, 긴급제동시에는 탈수시 문을 오프시켰을 경우와 같이 짧은 시간안에 모터를 제동시켜 급 감속해 주어야 한다.
이와같이, 모터구동부(30)로 모터(M)를 감속할 때에 모터(M)가 유도발전기의 역할을 해서 모터구동부(30) 측으로 필요이상의 회생전압을 보내게 되면, 상기 회생된 전압은 평활부(20)에 축적되어 상승하게 된다.
이때, 마이컴(60)이 모터구동부(30)의 각 스위칭소자(Q1~Q6)로 출력되는 제어펄스의 위상 및 듀트비를 가변하여 충전 및 방전(I+,I-)루프를 논리적으로 가변시켜 주어 모터(M)를 제동하게 된다.
도 4는 인버터 세탁기의 제동방법에 보인 플로우 챠트으로서,
탈수시 도어를 오픈하였을 경우, 마이컴(60)은 긴급 제동모드에 맞게 기 저장된 초기 위상 및 듀트비를 설정하고, 그 설정된 위상 및 듀트비에 따라 모터구동부(30)에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각 스위칭소자(Q1~Q6)와 다이오드(D1~D6)를 통한 모터(M)와 평활부(20) 사이의 충전 및 방전 루프를 만들어 주게 된다.(도 4의 S11~S13 참조)
그리고, 평활부(20)에 축적된 DC전압(VDC)을 전압감지부(40)에서 실시간으로 감지한 다음 마이컴(60)으로 출력하면, 마이컴(60)은 DC전압(VDC)을 내부에 설정된 제 1기준전압(VTH1)과 비교하게 된다.(도 4의 S14,S15 참조)
이때, DC링크단으로 부터 감지된 DC전압(VDC)이 제 1기준전압(VTH1) 이하인 경우에는 상기의 DC전압에 대응하도록 기 저장된 제어 위상 및 듀트비를 재 설정하게 된다.
그리고, 모터(M)의 회전속도를 감지한 다음 회전하고 있으면 모터(M)가 정지할 때 까지 모터구동부(30)에 펄스폭 변조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과정을 반복하여 수행하게 된다.(도 4의 S15,S16,S17,S13 참조)
그런데, DC링크단으로 부터 감지된 DC전압(VDC)이 제 1기준전압(VTH1)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그 DC전압에 대응하도록 기 저장된 제어펄스의 위상 및 듀트비를 설정한 다음 모터구동부(30)에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도 4의 S15,S18 참조)
그러면, 상기 단계(S18)에서 설정된 위상 및 듀트비에 따라 각 스위칭소자(Q1~Q6) 및 다이오드(D1~D6)의 선택적으로 온,오프시키면서 온,오프되는시간과 위상을 가변하면서 모터(M)와 평활부(20) 사이의 전압이 제 1기준전압(VTH1)을 초과하지 않도록 한다.
이와같이, 긴급 제동모드일 경우에는 제 1기준전압(VTH1)과 회생되는 DC전압을 비교하되, 회생되는 DC전압을 소정의 기준전압을 초과하지 않도록 하고 그 이하가 되면 속도를 서서히 감속시키도록 제어 위상 및 듀트비를 가변시켜 준다.
한편, 사용자의 키이 입력 또는 정상 공정완료에 의한 일반 제동모드일 경우, 마이컴(60)은 초기 위상 2 및 듀트비 2를 설정한 다음 모터구동부(30)에 PWM 제어신호를 출력하게 된다.(도 4의 S19, S20 참조)
그리고, 전압감지부(40)에서 DC전압이 감지하게 되면, 그 감지된 DC전압(VDC)을 입력받은 마이컴(60)은 내부에 설정된 제 2기준전압(VTH2)과 비교하게 된다.(도 4의 S21, S22 참조)
이때, 감지된 DC전압(VDC)이 제 2기준전압(VTH2) 이하가 되면 이때의 DC전압에 대응하도록 기 저장된 제어 위상 및 듀트비를 설정한 다음 속도감지부(50)로 부터 감지된 모터(M)의 회전속도가 정지할 때 까지 모터구동부(30)에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과정을 수행하게 된다.(도 4의 S23,S24,S20 참조)
그런데, 상기 DC전압(VDC)이 제 2기준전압(VTH2)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이때의 DC전압에 대응하도록 기 저장된 제어 위상 및 듀트비를 설정한 다음 모터구동부(30)에 제어신호를 제 2기준전압(VTH2) 이하가 될 때 까지 가변하여 출력하게 된다.(도 4의 S22, S25 참조)
이와같이, 일반 제동모드일 경우에는 제 2기준전압(VTH1)과 비교되는 DC전압(VDC)의 레벨에 따라 설정된 제어펄스의 위상 및 듀트비에 의해 각 스위칭소자(Q1~Q6) 및 다이오드(D1~D6)를 선택적으로 온,오프시키면서 위상 및 듀트비를 가변시켜 주어 모터(M)를 제동하게 된다.
따라서, 모터 제동시 긴급모드와 일반모드로 구분하되, 각각의 모드에 대한 기준전압을 갖고 DC전압의 비교결과에 따라 서로 다른 위상 및 듀트비를 이용하여 제어하므로서, DC링크단이 설정된 기준전압을 초과하지 않도록 함과 아울러 소정의 전압 이하에서는 스무스한 제동이 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세탁기의 모든행정에서 모터의 제동시 그 제동에 걸리는 전체시간을 검출하고 그 검출된 시간만큼 세탁행정에 보상해 줄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모터(M)의 제동시 각각의 모드에 따라 위상 및 듀트비와 기준속도를 각각 설정하고, 속도감지부(50)으로 부터 감지된 속도를 이용하여 내부에 설정된 기준속도와 비교한 다음 해당하는 속도에 대응하는 제어펄스의 위상 및 듀트비를 가변하여 모터(M)를 제동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인버터 세탁기의 제동시 복수의 제동모드로 하여 각 모드에 해당하는 제어 위상 및 듀트비와 기준레벨을 두어 감지되는 DC전압과 회전속도를 비교한 후 비교레벨에 따라 제어 위상 및 듀트비를 가변하여모터를 제동시켜 주도록 하므로서, 사용빈도가 많고 짧은 제동시간을 요하지 않는경우에 모터를 급제동하지 않고 부드럽게 제동시켜 주어 시스템의 진동소음이나, 모터의 수명 단축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세탁 행정에서의 모터 제동이 있을 경우, 그 제동에 걸린 시간만큼을 세탁행정에 보상해 줄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에게 보다 편리함을 제공하도록 한 것이다.

Claims (2)

  1. BLDC 모터를 채용한 전기 세탁기에서 모터에 흐르는 전류의 위상, 듀티비를 제어하여 제동을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모터 제동시 도어오픈에 의한 긴급제동과 사용자의 키이입력 또는 정상 공정완료에 의한 일반제동을 판단하는 제동모드 판단단계와,
    상기 판단결과 긴급제동이면 초기 위상1 및 듀티비1을 설정한 다음 제어신호를 모터 구동부에 출력하여 전압감지부로부터 DC 전압을 감지하는 긴급모드 설정단계와,
    상기 단계후 감지된 DC 전압이 제1기준전압 이하이면 이때의 DC 전압에 대응하는 제어위상 및 듀티비를 가변하여 설정한 후 모터가 정지할 때 까지 모터구동부에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제1기준전압을 초과하면 이때의 DC 전압에 대응하는 제어위상 및 듀티비를 가변하여 설정한 후, 제1기준전압 이하가 될 때까지 모터 구동부에 출력하는 긴급모드 제동단계와,
    상기 제동모드 판단단계에서의 판단결과 일반제동이면 초기 위상2 및 듀티비2를 설정한 다음 제어신호를 모터구동부에 출력하여 전압감지부로부터 DC 전압을 감지하는 일반모드 설정단계와,
    상기 감지된 DC 전압이 제2기준전압 이하이면 이때의 DC전압에 대응하는 제어위상 및 듀티비를 가변하여 설정한 후 모터가 정지할 때 까지 모터구동부에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제2기준전압을 초과하면 이때의 DC 전압에 대응하는 제어위상 및 듀티비를 설정한 후 제2기준전압 이하가 될 때 까지 모터 구동부에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일반모드 제동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제동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일반 제동모드 또는 긴급 제동모드 각각에는 비교기준과 비교되는 대상을 속도감지부에서 감지된 회전속도와 전압감지부에서 감지된 DC전압을 선택적으로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제동방법.
KR1019990044145A 1999-07-21 1999-10-12 세탁기의 제동방법 KR1003449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4145A KR100344985B1 (ko) 1999-10-12 1999-10-12 세탁기의 제동방법
US09/612,918 US6445879B1 (en) 1999-07-21 2000-07-10 Apparatus and method for braking a washing machine
JP2000215843A JP3615127B2 (ja) 1999-07-21 2000-07-11 洗濯機の制動装置及び方法
CNB001202235A CN100373764C (zh) 1999-07-21 2000-07-13 用于制动洗衣机的方法与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4145A KR100344985B1 (ko) 1999-10-12 1999-10-12 세탁기의 제동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6938A KR20010036938A (ko) 2001-05-07
KR100344985B1 true KR100344985B1 (ko) 2002-07-19

Family

ID=196150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4145A KR100344985B1 (ko) 1999-07-21 1999-10-12 세탁기의 제동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4498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4481B1 (ko) * 2002-11-25 2005-08-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의 모터 감속 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100469274B1 (ko) * 2002-11-26 2005-0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의 모터 제어방법
KR101495182B1 (ko) * 2008-11-18 2015-02-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의 운전 제어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23412A (ko) * 1994-12-16 1996-07-20 구자홍 전자동 세탁기의 전기적 제동방법
KR19980073980A (ko) * 1997-03-20 1998-11-05 윤종용 세탁기의 탈수조 제동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23412A (ko) * 1994-12-16 1996-07-20 구자홍 전자동 세탁기의 전기적 제동방법
KR19980073980A (ko) * 1997-03-20 1998-11-05 윤종용 세탁기의 탈수조 제동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6938A (ko) 2001-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44984B1 (ko) 세탁기의 제동방법
US6445879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braking a washing machine
EP1772546B1 (en) Method of controlling motor-driven washing machine and control system for the same
US5726550A (en) Motor control system for centrifuge
US805401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motor
KR100344985B1 (ko) 세탁기의 제동방법
KR100344986B1 (ko) 세탁기의 제동방법
JPH02215996A (ja) ターボ分子ポンプ駆動電源装置
KR100347716B1 (ko) 정전시 세탁기의 제동방법
KR100393793B1 (ko) 비엘디씨 모터의 센서리스 제어장치
JP4415428B2 (ja) モータの制御方法
KR100311651B1 (ko) 세탁기의 제동 제어 방법
JP3422356B2 (ja) 交流電動機の惰性回転情報検出方法及び装置及び電動機駆動方法
KR100547336B1 (ko) 세탁기에서의 제동 제어방법
KR100311650B1 (ko) 세탁기의 제동 제어 회로
KR100315814B1 (ko) 세탁기의 제동시 전압제어회로 및 그 전압제어방법
KR100311652B1 (ko) 세탁기에서의 제동 제어방법
KR100347717B1 (ko) 세탁기의 전압 감지 회로부 이상 진단 방법
KR19980031116A (ko) 엘리베이터의 회생전력 제어장치
KR950007065B1 (ko) 다이렉트 구동세탁기 모터의 제어방법 및 인버터 구동장치
KR101025690B1 (ko) 선택적으로 이기종모터를 구동할 수 있는 인버터
JP4465762B2 (ja) インバータ装置
KR20010037080A (ko) 세탁기에서의 과전류 제어방법
KR20010036942A (ko) 세탁기 제동 제어 방법
KR19980067136A (ko) 유도전동기 구동용 인버터의 전압 자동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19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