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41514B1 - 인쇄회로기판용 커넥터 - Google Patents

인쇄회로기판용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41514B1
KR100341514B1 KR1019990055977A KR19990055977A KR100341514B1 KR 100341514 B1 KR100341514 B1 KR 100341514B1 KR 1019990055977 A KR1019990055977 A KR 1019990055977A KR 19990055977 A KR19990055977 A KR 19990055977A KR 100341514 B1 KR100341514 B1 KR 1003415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male terminal
press
connector
circuit board
printed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559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54967A (ko
Inventor
홍성용
Original Assignee
홍성용
주식회사 파워넷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성용, 주식회사 파워넷 filed Critical 홍성용
Priority to KR10199900559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41514B1/ko
Publication of KR200100549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549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15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151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5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02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soldered or welded conn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인쇄회로기판용 커넥터는 암커넥터와 이에 결합되는 수커넥터에 의해 인쇄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수커넥터는 판상의 수단자핀이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복수개 배치되고, 암커넥터는 수커넥터의 수단자핀 각각에 의해 끼워지는 암,수단자홈과, 이 암단자홈에 압입되는 압입부 및 이 압입부로부터 직각방향으로 연장하여 인쇄회로기판의 상면과 평행하게 접촉하는 러그(lug)를 구비한 복수의 암단자핀과, 수단자홈으로부터 하향으로 소정거리 이격된 길이방향 및 폭방향 측면에 소정 두께로 형성된 베이스부를 포함한다. 이 베이스부는 그 길이방향 하면에서 상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복수의 보강홈과, 그 폭방향 하면에서 상면까지 소정폭으로 형성된 가스 배출구를 구비한다. 따라서, 인쇄회로기판에 암커넥터의 암단자핀의 러그가 납땜될 때, 땜납의 분산 유동에 의한 인접한 러그와의 전기적 쇼트가 방지될 수 있고, 땜납의 용융열에 의한 암단자핀의 러그의 비틀림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암커넥터의 복수의 암단자핀이 암단자홈에 각각 압입될 때, 암단자핀의 압입부의 편심구조로 인한 암단자핀의 편심 압입이 방지될 수 있고, 암단자핀의 압입 거리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Description

인쇄회로기판용 커넥터 {CONNECTOR FOR A PRINTED CIRCUIT BOARD}
본 발명은 암커넥터 및 이와 결합되는 수커넥터에 의해 인쇄회로기판에 탑재되는 인쇄회로기판용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암커넥터의 복수의 암단자핀의 러그(lug)를 인쇄회로기판에 납땜할 때, 땜납의 분산 유동에 의한 인접한 러그간의 전기적 쇼트 및 땜납의 용융열에 의한 암단자핀의 비틀림을 방지하고, 암커넥터의 복수의 암단자핀이 암단자홈에 각각 압입될 때, 암단자핀의 압입부의 편심구조로 인한 암단자핀의 편심 압입이 방지되고, 암단자핀의 압입 거리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인쇄회로기판용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종류의 인쇄회로기판용 커넥터중 하나가 국내 특허공개 제99-029171호에 개시되어 있고, 도 1a 및 도 1b에 부분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커넥터(30)에는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배치된 판상의 수단자핀(32)이 마련되어 있다. 암커넥터(20)에는 수커넥터(30)의 수단자핀(32)에 의해 끼워지는 복수의 암,수단자홈과, 이 암단자홈에 압입되는 압입부와 이 압입부로부터 직각방향으로 연장하여 인쇄회로기판의 상면과 평행하게 접촉하는 러그(lug; 24)를 구비한 복수의 암단자핀(22)과, 이 암단자핀의 러그(24)와 나란한 양측면 하단에서 소정높이로 연장하는 베이스부(11)와, 이 베이스부(11)로부터 돌출하여 인쇄회로기판(P)에 대한 위치결정을 하는 위치결정부(11A)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암단자핀(22)의 압입부는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커넥터(30)의 수단자핀(32)이 끼워지는 두 갈래로 분기된 분기 다리(23)와, 이 분기 다리의 하측에 폭방향으로 대향하여 별도로 형성된 걸림턱(22C) 및 기준면(22B), 상기 분기 다리(23)와 대향하는 압입면(22D)을 구비한다. 상기 걸림턱(22C)은 상기 암단자홈(27)에 밀착되어 암단자핀(22)의 하향 밀림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기준면(22B)은 상기 암단자홈(27)에 대한 암단자핀(22)의 중심위치를 결정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압입면(22D)을 통해 상기 암단자홈(27)에 압입되는 암단자핀(22)에 압입력이 인가된다.
이러한 인쇄회로기판용 커넥터는 암커넥터(20)의 러그(24)가 인쇄회로기판에 납땜될 때, 땜납의 분산 유동에 의해 인접한 러그(24)와 땜납 브릿지를 형성하여 전기적인 쇼트가 유발되는 단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땜납의 용융열에 의해 러그(24)의 비틀림이 발생하는 단점도 있었다. 또한, 암커넥터(20)의 암단자홈(27)에 암단자핀(22)이 압입될 때, 암단자핀(22)의 압입부의 편심 구조로 인해 압입부의 압입면(25)에 편심 압입력이 인가되고, 압입부의 압입 거리가 일정하게 유지되지 못한다는 단점도 있다.
이 외에도, 암단자핀(22)이 암단자홈(27)에 압입될 때, 암단자핀(22)의 압입부에 폭방향으로 별도로 형성된 걸림턱(22C)과 기준면(22B)으로 인해 암단자핀(22)은 암단자홈(27)에 대한 중심위치를 결정하기 어렵다는 단점도 있다.
전술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암커넥터의 복수의 암단자핀의 러그가 인쇄회로기판에 납땜될 때, 땜납의 분산 유동에 의한 인접한 러그와의 전기적 쇼트를 방지하고, 땜납의 용융열에 의한 암단자핀의 러그의 비틀림을 방지하는 인쇄회로기판용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암커넥터의 복수의 암단자핀이 암단자홈에 각각 압입될 때, 암단자핀의 압입부의 편심구조로 인한 암단자핀의 편심 압입을 방지하고, 암단자핀의 압입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인쇄회로기판용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암커넥터의 복수의 암단자핀이 암단자홈에 각각 압입될 때, 암단자핀의 압입부에 폭방향으로 별도로 형성된 기준면과 걸림턱으로 인한 암단자핀의 암단자홈에 대한 중심 위치를 용이하게 결정하는 인쇄회로기판용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도 1a 및 도 1b는 종래기술의 인쇄회로기판용 커넥터의 암,수커넥터를 도시한 사시도, 및 암커넥터의 암단자핀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인쇄회로기판용 커넥터의 암,수커넥터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암커넥터를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도 3의 Ⅳ-Ⅳ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5는 도 3의 Ⅴ-Ⅴ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암커넥터의 암단자핀을 도시한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 : 베이스부 12A : 가스 배출구
20 : 암커넥터 22 : 암단자핀
22A : 암단자핀의 돌기 22C : 암단자핀의 걸림턱
23 : 암단자핀의 분기 다리 24 : 암단자핀의 러그(lug)
26 : 수단자홈 27 : 암단자홈
30 : 수커넥터 32 : 수단자핀
P : 인쇄회로기판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판상의 수단자핀이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배치된 수커넥터와, 상기 수단자핀 각각에 의해 끼워지는 암,수단자홈이 형성되며, 상기 암단자홈에 압입되는 압입부 및 이 압입부로부터 직각방향으로 연장하여 인쇄회로기판의 상면과 평행하게 접촉하는 러그(lug)를 구비한 복수의 암단자핀을 포함하는 암커넥터에 의해 인쇄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인쇄회로기판용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암커넥터는 상기 수단자홈으로부터 하향으로 소정거리 이격된 길이방향 및 폭방향 측면에 소정 두께로 형성된 베이스부를 구비하고, 상기 베이스부는 그 길이방향 하면에서 상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된복수의 보강홈과, 그 폭방향 하면에서 상면까지 소정폭으로 형성된 가스 배출구를 구비한다.
상기 암단자핀의 압입부는 상기 수단자홈의 깊이 보다 얕은 깊이를 가지는 두 갈래로 분기된 분기 다리와, 상기 분기 다리의 하측에서 폭방향으로 대향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 걸림턱을 구비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 2 내지 도 6을 참조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또한, 종래기술과 기능적으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하여 동일한 참조부호가 부여될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인쇄회로기판용 커넥터를 구성하는 암커넥터(20)와 수커넥터(30)가 각각 분리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이 암커넥터(20)는 인쇄회로기판과 평행하게 접촉하는 러그(24; lug) 및 이 러그(24)로부터 직각방향으로 연장하는 압입부를 구비한 복수의 암단자핀(22)과, 이들 암단자핀(22)의 압입부를 수용하도록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된 복수의 암단자홈(27)과, 이들 암단자홈(27)과 직각방향으로 교차하는 복수의 수단자홈(26)을 구비한다.
또한, 암형 커넥터(20)는 상기 수단자홈(26)으로부터 하향으로 소정거리 이격된 길이방향 및 폭방향 측면에 소정 두께로 형성된 베이스부(11)를 구비한다. 이 베이스부(11)는 그 상면(11B)에 의해 상기 수커넥터(30)의 결합 거리를 제한하고, 그 하면에 의해 인쇄회로기판(P)의 상면과 접촉된다. 이 베이스부(11)의 길이방향 하면에는 상기 암단자핀(22)의 러그(24)의 비틀림을 방지하기 위한 보강홈(22D)이 상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베이스부(11)의 폭방향 상면(11B)에서 하면까지 소정폭의 가스 배출구(12A)가 형성된다. 이 가스 배출구(12A)에 의해 폭방향 베이스부(11)는 분리된다. 이 가스 배출구(12A)를 통해 납땜시 플럭스의 연소에 의해 발생되는 가스가 배출된다.
상기 가스 배출구(12A)의 중간을 통과하고, 인쇄회로기판(P)에 대한 위치 결정을 하는 위치결정부(11A)가 상기 암커넥터(20)의 폭방향 측면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 위치결정부(11A)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쇄회로기판(P)의 위치결정공(11B)에 삽입된다. 따라서, 상기 가스 배출구(12A)의 중간을 통과하는 위치결정부(11A)에 의해, 인쇄회로기판(P)의 상면과 베이스부(11)의 하면과의 밀착 여부가 육안으로 쉽게 확인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위치결정부(11A)는 인쇄회로기판의 두께 보다 약간 더 길게 형성되어, 인쇄회로기판(P)의 하면에서 상면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된 걸림턱을 구비할 수도 있다. 이러한 걸림턱을 가진 위치결정부는 인쇄회로기판의 위치결정공을 통과함과 동시에 인쇄회로기판(P)의 하면과 밀착된다. 그 결과, 인쇄회로기판(P)과 베이스부(11)의 하면과의 밀착 여부가 확인될 필요가 없으며, 인쇄회로기판에 납땜된 암커넥터(20)가 수커넥터(30)와 분리될 때 인쇄회로기판으로부터 분리될 가능성이 최소화된다.
도 3를 참조하면, 암커넥터(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폭방향 전체에 걸쳐 소정폭으로 수단자홈(26)이 형성되어 있고, 이 수단자홈(26)과 교차하는 암단자홈(27)이 나란하게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수단자홈(26)에 의해 그들 사이에는 칸막이(29)가 형성된다. 이 칸만이(29)는 수커넥터의 수단자핀(32)의 간격과 동일한 치수의 두께를 가진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암단자핀(22)은 상면에서 하면까지 관통하는 암단자홈(27)에 압입되는 압입부와, 이 압입부로부터 직각방향으로 연장하는 러그(24)를 구비한다. 이 러그(24)는 인쇄회로기판(P)의 상면에 밀착되며, 베이스부(11)의 길이방향 하면에서 상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보강홈(22D)에 끼워진다. 이에 의해 납땜시 용융된 땜납의 일부가 압입부를 향해 분산 유동하면서 인접한 러그(24)와 땜납 브릿지를 형성해서 통전 상태로 되는 것을 방지한다. 러그(24)의 길이는 다른 부품과의 간섭을 피하기 위해 폭방향 베이스부(11)의 하단부의 길이와 동일하거나 약간 짧은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암단자홈(27)에 압입된 암단자핀(22)의 압입부의 상단부에는 분기 다리(23)를 구비하고, 이 분기 다리(23)의 상단부에는 마주보는 탄성편(23A)(도 6 참조)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암단자핀(22)에 대한 수단자핀(32)의 접촉력이 향상된다. 상기 암,수단자홈(27, 26) 및 암단자핀(22)의 분기 다리(23)는 상기 수커넥터(30)의 결합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그 결과 암커넥터(20)는 수커넥터(30)와 원활하게 결합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암단자핀(22)의 러그(24)가 인쇄회로기판(P)에 납땜될 때, 플럭스의 연소에 의해 발생되는 가스가 베이스부(11)의 길이 방향 양측면 사이의 공간을 따라 유동하면서 가스 배출구(12A)를 통해 배출된다.
도 6을 참조하면, 암단자핀(22)은 러그(24) 및 이 러그(24)와 일체로 절곡 형성된 압입부를 구비한다. 이 암단자핀(22)의 압입부는 그 하부에서 공차없이, 그리고 그 상부에서 공차를 가지고 암단자홈(27)에 압입된다. 이 압입부의 상부에는 두 갈래로 분기된 분기 다리(23)가 형성되어 있다. 이 압입부의 하부에는 암단자홈(27)에 압입되는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돌기(22A)와, 암단자홈(27)과의 밀착성 및 체결성을 높이고 암단자홈(27)으로부터의 밀림을 방지하기 위한 걸림턱(22C)과, 암단자홈(27)으로의 압입력을 균일하게 인가하기 위한 압입면(25)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돌기(22A)는 상기 분기 다리(23)의 하측에서 압입 방향에 대해 직각방향으로 돌출된다. 이 돌기에 인접한 걸림턱(22C)은 폭방향으로 대향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대칭적으로 형성된다. 상기 압입면(25)은 상기 러그(24)를 중심으로 하여 대칭적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걸림턱(22C)에는 길이방향으로 평평한 접촉면이 형성되어 있고, 이 접촉면은 암단자홈(27)에 대한 기준면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한다. 이 기준면이 대향하여 형성된 걸림턱(22C)에 의해 암단자홈(27)에 압입되는 암단자핀(22)의 중심 위치가 어긋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암커넥터의 복수의 암단자핀의 러그가 인쇄회로기판에 납땜될 때, 땜납의 분산 유동에 의한 인접한 러그와의 전기적 쇼트가 방지될 수 있고, 땜납의 용융열에 의한 암단자핀의 러그의 비틀림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암커넥터의 복수의 암단자핀이 암단자홈에 각각 압입될 때, 암단자핀의 압입부의 편심구조로 인한 암단자핀의 편심 압입이 방지될 수 있고, 암단자핀의 압입 거리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Claims (5)

  1. 판상의 수단자핀이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배치된 수커넥터와, 상기 수단자핀 각각에 의해 끼워지는 암,수단자홈이 형성되며, 상기 암단자홈에 압입되는 압입부 및 이 압입부로부터 직각방향으로 연장하여 인쇄회로기판의 상면과 평행하게 접촉하는 러그(lug)를 구비한 복수의 암단자핀을 포함하는 암커넥터를 구비하는 인쇄회로기판용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암커넥터는 상기 수단자홈으로부터 하향으로 소정거리 이격된 길이방향 및 폭방향 측면에 소정 두께로 형성된 베이스부를 구비하고,
    상기 베이스부는 그 길이방향 하면에서 상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복수의 보강홈과, 그 폭방향 하면에서 상면까지 소정폭으로 형성된 가스 배출구 및, 상기인쇄회로기판을 관통하여 그 하면에 걸려 고정되는 걸림턱을 단부에 구비하고서 상기 가스배출구에 형성되어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대한 위치결정을 하는 위치결정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회로기판용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암단자핀의 압입부는 상기 수단자홈의 깊이 보다 얕은 깊이를 가지는 두 갈래로 분기된 분기 다리와, 상기 분기 다리의 하측에서 폭방향으로 대향되게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걸림턱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회로기판용 커넥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암단자핀의 압입부에는 상기 암단자홈에 대한 압입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회로기판용 커넥터.
  4.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암단자핀의 압입부에는 상기 러그를 중심으로 하여 압입면이 대칭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회로기판용 커넥터.
  5. 삭제
KR1019990055977A 1999-12-08 1999-12-08 인쇄회로기판용 커넥터 KR1003415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5977A KR100341514B1 (ko) 1999-12-08 1999-12-08 인쇄회로기판용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5977A KR100341514B1 (ko) 1999-12-08 1999-12-08 인쇄회로기판용 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4967A KR20010054967A (ko) 2001-07-02
KR100341514B1 true KR100341514B1 (ko) 2002-06-22

Family

ID=196244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5977A KR100341514B1 (ko) 1999-12-08 1999-12-08 인쇄회로기판용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4151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1236B1 (ko) * 2006-07-24 2007-02-09 성 운 한 전기 접속용 커넥터의 결합 구조
KR102005586B1 (ko) * 2013-01-11 2019-07-31 타이코에이엠피 주식회사 커넥터 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4967A (ko) 2001-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92462B2 (ja) 基板接続用コネクタ
KR100868567B1 (ko) 터미널 및 이를 사용한 커넥터
JP2759295B2 (ja) 表面実装型電気コネクタ
JPH0628791Y2 (ja) 電気コネクタにおける端子
JPH0412595B2 (ko)
US7361023B2 (en) Electrical connector
JPS63261683A (ja) 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回路板用電気接続端子
KR100216615B1 (ko) 안티-위킹 특성을 구비한 직각 기판 대 기판 커넥터와 그 커넥터용 단자
JP2002319441A (ja) プリント配線板間接続構造
EP0856922B1 (en) Board straddle mounted electrical connector
US5281152A (en) Surface-mounted electronic component
EP0996194B1 (en) Electrical connector
US7287988B1 (en) Board-to-board connector
JP2949441B2 (ja) 端子接続装置
JPH08124638A (ja) 表面実装型コネクタ及びその電気コンタクト
KR100341514B1 (ko) 인쇄회로기판용 커넥터
KR101625691B1 (ko)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KR100536617B1 (ko) 커넥터
US5639265A (en) Electric connector
KR940011573B1 (ko) 고정 태브를 가진 전기 코넥터
JP4205690B2 (ja) コネクタ
KR100539835B1 (ko) 전기 컨넥터
US6146156A (en) Electrical connector
KR100236434B1 (ko) 둥근 납땜 미부를 갖는 전기 커넥터 단자(electric connector terminal having a round soldering tail)
US6382984B1 (en) Electrical card connector for solderlessly electrically connecting to a printed circuit boar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60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