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41199B1 - 데이터 기억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 - Google Patents

데이터 기억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41199B1
KR100341199B1 KR1019990049906A KR19990049906A KR100341199B1 KR 100341199 B1 KR100341199 B1 KR 100341199B1 KR 1019990049906 A KR1019990049906 A KR 1019990049906A KR 19990049906 A KR19990049906 A KR 19990049906A KR 100341199 B1 KR100341199 B1 KR 1003411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information
storage system
data
data sto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499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47622A (ko
Inventor
그로에즈너미첼
Original Assignee
포만 제프리 엘
인터내셔널 비지네스 머신즈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포만 제프리 엘, 인터내셔널 비지네스 머신즈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포만 제프리 엘
Publication of KR200000476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476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11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1199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5Integrating or interfacing systems involving database management systems
    • G06F16/258Data format conversion from or to a databas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2/00Accessing, addressing or allocating within memory systems or architec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사용자(1)에 의해 데이터 기억 시스템(100)으로부터 요구된 문서(document)(6)는, 사용자(1)에게 전송되기 전에 사용자(1)가 선호하는 데이터 포맷으로 변환됨으로써, 사용자(1)의 처리 능력에 맞춰진다. 이런 방식으로, 데이터 기억 시스템(100)의 사용자 친화성(the user-friendliness)이 증가된다.

Description

데이터 기억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DATA STORAGE SYSTEM AND METHOD OF OPERATING}
본 발명은 데이터 기억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에 관한 것이다.
매일, 수 백만 개의 문서들(documents)이 데이터 기억 시스템(예를 들면, 문서 데이터베이스)에 파일로 작성되고, 요구에 따라 검색 및 처리되어,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혹은 인쇄 출력된다. 이러한 문서들은 예컨대 은행의 경우라면, 대출 신청서, 양도 증서, 예금 거래 명세서 등이 될 수 있을 것이고, 보험회사의 경우라면, 보험 증권, 지급 청구서 등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수 년전까지는 문서 데이터베이스가 몇 개의 엄격히 규정된 데이터 포맷만을 이용했지만, 오늘날의 문서는 완전히 상이한 포맷들, 이미지들(예를 들면, TIFF 혹은 GIF포맷), 텍스트들(예를 들면, 'Lotus WordPro' 혹은 'Corel WordPerfect'같은 다양한 텍스트 처리 프로그램들의 포맷)로 파일 작성된다. 이러한 포맷들은 이미 수 천개가 존재하며, 많은 포맷들이 계속 추가되고 있다. 아직까지, 문서 데이터베이스에 기억되는 문서의 포맷을 제한하는 표준 규격(uniform standards)을 설정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또한, 데이터 포맷들과, 이들을 처리할 수 있는 능력은 많은 상이한 애플리케이션의 중요한 가치 평가 요인에 속하므로, 문서 포맷을 제한하는 표준 규격이 설정될 것으로 기대하지도 않는다.
파일 보존 기간은 운영 조건이나 법적 조건에 따라 10년, 30년, 혹은 그 이상일 수 있다. 그러므로, 이 기간동안 기술적 환경이 현저히 변할 것이라는 것도가정해야 한다. 자신의 고유 데이터 포맷을 갖는 새로운 프로그램이 시장에 출현하면, 다른 프로그램은 사라질 것이며, 새로운 프로그램을 이용해서 특정 데이터 포맷을 갖는 문서를 처리할 수도 없을 것이다. 또한, 새로운 운영 시스템이 채택되면, 이 운영 시스템상에서는 초기의 프로그램들이 더 이상 실행될 수 없을 것이다. 요약하면, 장기간 기억되는 문서를 장기간 이용할 수 있도록 보장해주는 디자인이 지금까지는 존재하지 않는다고 말할 수 있다.
여러가지 데이터 포맷의 출력을 지원하기 위해, 현재 다수의 해결책이 존재한다.
첫 번째 해결책은 종종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에서 찾을 수 있다. 이 해결책은 한정된 수의 사전정의된 데이터 포맷만을 지원하는데, 예를 들면, 스크린상의 디스플레이 혹은 인쇄 출력 등을 지원한다. 따라서, 이용가능한 데이터 포맷의 수는 매우 제한적이다. 또한, 이러한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은, 지원되는 데이터 포맷과 관련하여 매우 제한적인 확장 능력을 갖는다. 사용자는 문서를 다른 데이터 포맷으로 변환시켜야 할 것이다.
두 번째 해결책은 가장 흔히 인터넷에서 찾을 수 있다. 인터넷 서버에서는 다양한 데이터 포맷의 데이터를 볼 수 있다. 만약 브라우저가 이들 데이터의 데이터 포맷을 지원한다면, 사용자는 브라우저를 이용해 이들 데이터를 관측할 수 있을 것이다.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브라우저가 소위 말하는 플러그-인 혹은 뷰어(viewers)를 제공하는 경우, 사용자는 어떤 데이터 포맷용으로 어떤 프로그램을 사용해야 하는지를 브라우저에게 알려준다. 이것은 데이터 포맷의 개수에 대한제한이 없다는 이점을 갖는다. 그러나, 다수의(아마도 수 백개에 달하는) 플러그-인 혹은 뷰어를 사용자가 요구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이것은 단순히 기억 장소만을 필요로 하는 것이 아니라 상당한 유지 비용까지 필요로 한다. 인터넷상에서는 자료들의 수명이 짧기 때문에 계속해서 새로운 데이터 포맷들이 사용되고 있으므로, 그에 대응하는 훨씬 더 많은 플러그-인 혹은 뷰어들이 이 데이터 포맷들을 처리하기 위해서 만들어져야 한다. 그러므로, 이 해결책 역시 사용자가 개입해야 한다.
더 나아가, 모든 컴퓨터 시스템 사용자는, 그 시스템이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이든지, 메일링 시스템이든지, 혹은 다른 시스템이든지간에, 대부분의 경우는, 사용자가 자신에게 보내진 문서를 먼저 다른 데이터 포맷으로 변경하지 않고서는 그 문서를 처리할 수 없다는 문제를 인식하고 있다. 전송자는 수신자의 요구를 고려하지 않고 문서를 전송한다. 그 결과, 수신측에서는 때때로 시간과 비용이 많이 소모되는 변환 처리를 해야하고, 이것은 작업 흐름을 나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데이터 기억 시스템의 사용자 친화성을 증가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데이터 기억 시스템 운영 방법에 따르면, 데이터 기억 시스템에서, 기억된 정보중 요구된 아이템의 데이터 포맷을 정보 사용자가 선호하는 데이터 포맷과 비교하고, 정보를 사용자에게 전송하기 전에 선택에 따라(optionally) 이 기억 정보중 요구된 부분을 사용자가 선호하는 데이터 포맷으로 변환시킨다.
또한, 본 발명의 데이터 기억 시스템은, 요구된 기억 정보의 데이터 포맷을 정보 사용자가 선호하는 데이터 포맷과 비교하는 수단과, 정보를 사용자에게 공급하기 전에, 이 요구된 기억 정보를 사용자가 선호하는 데이터 포맷으로 변환해주는 변환기를 탐색 및 호출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문서를 사용자의 처리 능력에 맞춰주는 방식으로 데이터 기억 시스템을 정렬하는 개념에 기초한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추가의 변환을 하지 않고도 데이터 기억 시스템에 주문한 문서를 처리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데이터 기억 시스템의 사용자 친화성은 증가된다. 또한, 데이터 기억 시스템에서, 특히 본원의 경우는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에서, 지원되지 않는 포맷으로 인한 사용자의 문서 처리 능력의 제한없이 데이터 포맷을 그 수에 제한받지 않고 사용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데이터 기억 시스템에서 데이터 포맷의 종류가 증가하더라도, 데이터 기억 시스템 사용자측에서는 하드웨어적 및 소프트웨어적으로 고도의 비용 증가를 피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최소의 처리 능력, 예를 들면 최소의 뷰어를 이용하여 문서들(이 문서들은 원래 대부분 다양한 문서 포맷으로 입수됨)을 처리할 수 있게 된다. 이것은 특히 구식의 혹은 비정통 데이터 포맷의 경우에 유리하므로, 결과적으로 본 발명은 파일 보관된 문서들의 장기간 활용을 보장한다.
본 발명은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에서만 이용되는 것이 아니라 인터넷 등의 그 밖의 시스템(예를 들면, 메일링 시스템)에도 적용할 수 있다.
도 1은 데이터 기억 시스템의 개략도,
도 2a는 프로시쥬어의 제 1부분에 대한 실시예 1의 개략도,
도 2b는 프로시쥬어의 제 1 부분에 대한 다른 실시예의 개략도,
도 2c는 프로시쥬어의 제 1 부분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의 개략도,
도 3은 프로시쥬어의 제 2 부분의 개략도,
도 4는 사용자의 표준 데이터 포맷의 가중치 리스트의 개략도,
도 5는 가중된 구성 리스트의 개략도,
도 6은 변환기 리스트의 개략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사용자 2 : 객체 서버
3 : 객체 기억 장치 4 : 구성 파일
5 : 변환기 6 : 문서
10 : 변환기 액세스 구성요소 100 : 데이터 기억 시스템
본 발명은 이후부터 예시를 통해 더욱 상세히 설명된다.
사용자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데이터 기억 시스템에 액세스 가능한 것을 의미함을 이해할 것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데이터 기억 시스템(100)은 기본적으로, 객체 서버(2)와 객체 기억장치(3)로 구성된다. 객체 기억장치(3)에는 문서들(6)이 예를 들면, BLOBs(Binary Large Objects)로 기억되고, 그러므로 데이터베이스 필드, 이미지, 텍스트, 비디오, 혹은 사이즈 및 위치에 의해서만 특징지어지는 임의의 원하는 디지탈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기억 시스템(100)은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상에 존재한다. 그러나, 컴퓨터 네트워크의 몇몇 컴퓨터상에 분산되는 것도 가능하다. 바람직한 일실시예에서, 데이터 기억 시스템(100)은 문서 데이터베이스의 형태로 존재한다. 그러나, 데이터 기억 시스템(100)은 인터넷 서버일 수도 있다.
프로시쥬어(procedure)의 흐름도는 도 2a 내지 도 2c와,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여기에서, 도 2a 내지 도 2c에는 프로시쥬어의 제 1 부분의 변형예들이 도시되어 있다. 프로시쥬어의 제 2 부분은 도 2a 내지 도 2c에 도시된 실시예와 마찬가지이다. 이것은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프로시쥬어의 흐름은 이후에 설명된다.
사용자(1)는 데이터 기억 시스템(100)에게 정보의 특정 부분(이후부터는 문서(6)로 칭함)을 요청하고자 한다. 이 경우, 사용자(1)는 요구, 예를 들면, RETRIEVE 커맨드를 객체 서버(2)로 보내어, 객체 서버(2)가 문서(6)를 획득하도록 한 뒤, 그 문서를 사용자(1)에게 전송하도록 한다. 객체 서버(2)에 전송된 문서 요구를 수신할 수 있도록, 객체 서버(2)는 요구 수용 구성요소(a request acceptance component)를 구비한다.
객체 서버(2)는 요구를 수신하고, 객체 기억장치(3)내에서 그 요구된 문서(6)를 찾는다. 또한, 객체 서버(2)는 객체 기억 장치(3)내에서 요구된 문서(6)의 위치를 탐색하는 객체 위치지정 구성요소(an objecting locating component)를 구비한다.
객체 서버(2)는 이후에 문서(6)와, 이 문서(6)를 사용할 수 있는 데이터 포맷에 관한 데이터를 획득한다. 객체 서버(2)는 객체 기억 액세스 구성요소(an object storage access component)를 포함하고, 이 액세스 구성요소를 이용하여. 객체 위치지정 구성요소에 의해 결정된 객체의 위치에서 객체 기억 장치(3)로부터 주문된 문서(6)를 객체 서버(2) 자신에게로 전송시킨다. 이런 방식으로, 전송될 문서(6)의 데이터 포맷도 동시에 객체 서버(2)로 공급된다.
도 3에 계속해서 도시한 바와 같이, 객체 서버(2)는 생성된 문서(6)의 데이터 포맷과 사용자(1)가 선호하는 데이터 포맷을 데이터 포맷 비교 구성요소(a data format comparison component)를 이용해 비교한다. 이 경우, 객체 서버(2)는 사용자(1)가 선호하는 데이터 포맷을 알고 있다.
사용자(1)가 선호하는 데이터 포맷이란, 사용자(1)가 획득한 문서(6)를 전송하고 싶어하는 데이터 포맷이다. 즉, 다시 말하면, 이것은 사용자가 처리가능한 데이터 포맷이다.
실시예 1에서, 도 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선호하는 데이터 포맷에 관한 정보와 더불어 문서(6)에 대한 요구가 사용자(1)로부터 객체 서버(2)로 보내져, 주문 수용 구성요소(the order accepting component)에 의해 수신된다. 이전에 사용된 요구 커맨드, 예를 들면, "RETRIEVE Document reference (xxx)"는 변경된다. 이 커맨드는 "xxx"로 표시된 문서 참조번호에 덧붙여서, 사용자(1)가 선호하는 데이터 포맷에 관한 정보를 나타내는 추가 영역(an additional area)을 포함하며, "RETRIEVE Document reference (xxx) Preferred_Format (ASCII, TIFF, GIF, WordPerfect)"으로 표시된다. 선호하는 데이터 포맷들은, 적어도 하나의 요소(element)를 갖는 선호하는 데이터 포맷들의 리스트로서 정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에 이 리스트가 하나 이상의 데이터 포맷을 포함하다면, 사용자(1)는, 도 4에 도시한 선호하는 데이터 포맷들의 가중치 리스트(7)에서 이들 선호하는 데이터 포맷에 대해 가중치를 부여할 수 있다. 여기에서, 가중치는 수치로 설명할 수 있는데, 배정된 수치가 낮을수록 포맷의 가중치는 높아진다. 예를 들어, 사용자(1)는 자신이 "Corel WordPerfect"의 포맷으로 문서를 수신하는 것을 원할 수 있다. 그러나, 이것이 불가능하다면, "ASCII" 포맷으로 문서를 수신하기를 원할 수도 있다.
주문 수용 구성요소는 사용자(1)가 선호하는 데이터 포맷에 관한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하여 종래의 주문 수용 구성요소(버퍼)보다 큰 입력 데이터 영역에 액세스할 수 있는데, 이러한 액세스는 예를 들면 TCP/IP같은 전송 프로토콜에 의해 한 블록으로 전송된다.
이 실시예의 변형예로서, 사용자(1)는 주문된 문서(6)를 변경하지 않도록 객체 서버(2)에 명령할 수 있다. 이것은 예컨대, 사용자(1)가 진정성을 중시하고 있는 경우에 중요하다.
이 실시예의 다른 변형예로서, 사용자(1)가 어떤 종류의 처리(processing)를 사용할 필요가 있는지를 문서 요구시에 선언할 수 있다. 데이터 기억 시스템에서는 문서(6)에 사용될 처리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편집 포맷들이 사전 정의된다. 예를 들면, 제 1 데이터 포맷은 인쇄 출력용으로 지정될 수 있고, 제 2 데이터 포맷은 스크린상에서의 편집용으로 지정될 수 있다.
도 2b에서 설명하고 있는 다른 실시예에서는, 객체 서버(2)의 데이터 포맷 요구 구성요소가 사용자(1)에게 질의(an inquiry)를 전송한다. 이 질의는 사용자가 선호하는 데이터 포맷에 관한 정보를 객체 서버(2)에게 전송해줄 것을 사용자(1)에게 요청한다. 사용자(1)는 자신이 선호하는 데이터 포맷에 관한 정보를 객체 서버(2)에게 전송한다. 어떤 환경하에서는, 이 정보를 사용자(1)의 컴퓨터 시스템으로부터 자동적으로 판독할 수가 있다. 만약 본 발명이 인터넷상에서 이용된다면, 이 정보는 인터넷 브라우저에 의해 제공되는 플러그-인 및/또는 뷰어의 리스트로부터 판독될 수 있음을 예견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실시예의 변형예로서, 사용자(1)에 대한 질의는 문서(6)의 원래 포맷뿐만 아니라 이 주문된 문서(6)가 변경될 수 있는 포맷도 포함하는 리스트를 가질 수 있다. 사용자(1)는 원하는 데이터 포맷을 선택하고, 이 정보를 객체 서버(2)에게 보낸다.
도 2c에 도시된 다른 실시예에서, 객체 서버(2)의 데이터 포맷 판독 구성요소(a data format read component)는, 사용자가 선호하는 데이터 포맷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데이터 기억 시스템(100)내에 위치된 구성 파일(4)(도 1 참조)로부터 사용자(1)가 선호하는 데이터 포맷에 관한 정보를 판독한다. 구성 파일(4)은 구성 리스트를 포함하며 데이터 기억 시스템(100)내에 위치되어 있는데, 구성 리스트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1)와 이 사용자(1)에게 배정된 선호하는 데이터 포맷이 기재되어 있다. 또한 이러한 데이터는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가중된 구성 리스트(8)로 기억되는 것도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데이터 기억 시스템(100)은 사용자(1)가 선호하는 데이터 포맷에 관한 정보가 문서 요구와 동시에, 혹은 데이터 기억 시스템(100)을 통해 연결된 이후에 사용자(1)로부터 데이터 기억 시스템(100)으로 전송되도록, 데이터 포맷 기억 구성요소(a data format storage component)에 의해 자동적으로 구성 리스트를 보완한다.
본 실시예들에서 사용자(1)가 선호하는 데이터 포맷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과 관련하여 설명된 옵션들은 서로 결합될 수도 있을 것이다. 만약 사용자(1)가 선호하는 데이터 포맷에 관한 정보가 사용자(1)로부터 객체 서버(2)로 문서 요구와 함께 전송되지 않았다거나 그에 대응하는 정보가 구성 파일(4)에 존재하지 않는다면, 예를 들면 데이터 포맷 요구 구성요소(the data format request component)로부터 사용자(1)에게 사용자(1)가 선호하는 데이터 포맷에 관한 정보 전송에 대한 질의를 보내는 것은 항상 자동적으로 발생할 것이다. 데이터 포맷 비교 구성요소가 사용자(1)가 선호하는 데이터 포맷에 관해 몇몇 모순된 데이터를 가질 경우, 사용자(1) 혹은 제 3자가 어떤 데이터를 우선적으로 이용해야 하는가를 객체 서버(2)에게 통지하는 옵션을 가질 수도 있다.
검색된 문서(6)의 데이터 포맷이 사용자(1)가 선호하는 데이터 포맷과 일치할 경우, 혹은 사용자(1)가 문서(6)의 포맷을 변환없이 현재 기억된 포맷 그대로 유지하고자 하는 경우, 데이터 기억 시스템(100)은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문서(6)를 사용자(1)에게 보낸다. 이 경우, 데이터 기억 시스템(100)은 객체 공급 구성요소(an object delivery component)를 이용한다. 사용자(1)는 문서(6)를 수신하여 처리할 수 있다. 사용자(1)의 처리 옵션은 일반적으로 출력 기능, 재생(reproduction) 기능, 기억 기능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처리 옵션은 예컨대 워드 프로세싱같은 프로그램이거나, 혹은 인터넷상의 애플리케이션의 경우 플러그-인 또는 뷰어일 수도 있다. 또한, 처리 옵션들은 스크린상에 문서(6)를 디스플레이하는 것, 문서(6)를 인쇄 출력하는 것, 스피커로 음성 문서를 출력하는 것, 다른 컴퓨터 혹은 다른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문서(6)를 전송하는 것, 혹은 문서를 파일로 기억하는 것 등일 수 있다.
획득된 문서(6)의 데이터 포맷이 사용자(1)가 선호하는 포맷과 일치하지 않는 경우, 객체 서버(2)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획득된 문서를 원래의 데이터 포맷으로부터 사용자(1)가 선호하는 데이터 포맷으로 변환할 수 있는 변환기(5)를 선택한다.
이 경우, 변환기 위치지정 구성요소(a converter location component)는 대응하는 변환기(5)를 탐색한다. 변환기 위치지정 구성요소는 기존 변환 옵션에 관한 정보를 액세스한다. 이 정보는 변환기 리스트(9)에 바람직하게 기억되고, 객체 서버(2)는 이 리스트를 파일이나 혹은 데이터 베이스 테이블로서 사용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한 것처럼, 변환기 리스트(9)는 각 경우의 실현가능한 소스 포맷 및 타겟 포맷을 포함한 기존 변환기(5)의 적어도 하나의 목록을 포함한다. 변환기 리스트(9)는 추가 정보, 예를 들면 변환기(5)의 위치 혹은 필요한 호출 파라미터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변환기들(5)은 바람직하게 데이터 기억 시스템(100)의 외부에 위치된다(도 1 참조). 만약 변환기들(5)이 프로그램으로서 호출되면, 이들은 객체 서버(2)가 실행되는 컴퓨터와 동일한 컴퓨터상에 존재한다. 이와 달리, 변환기들(5)은 컴퓨터 네트워크내의 다른 컴퓨터상에 존재하여, 예컨대 TCP/IP같은 통신 프로토콜에 의해 대화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변환기(5)가 데이터 기억 시스템(100)의 구성요소일 수도 있다.
게다가, 객체 서버(2)는 변환기 액세스 구성요소(a converter access component)를 포함한다. 이 변환기 액세스 구성요소는 변환기 위치지정 구성요소에 의해 탐색된 변환기(5)를 호출하고, 객체 기억장치(3)로부터 사전에 판독된 변환될 문서(6)를, 당해 데이터 및 필요한 경우 소스 포맷과 함께, 변환기(5)로 넘겨준다.
변환기(5)는 호출된 이후, 문서(6)를 특정의 데이터 포맷으로 변환한다. 이러한 변환은 한번에 발생할 수도 있고, 몇 개의 중간 포맷을 거쳐 여러 단계로 발생할 수도 있다. 출력 포맷으로의 변환 이후, 변환된 문서(6)는 변환기(5)에서 변환기 액세스 구성요소로 보내지고, 변환기 액세스 구성요소는 다시 문서(6)를 객체 서버(2)내의 객체 공급 구성요소로 넘겨준다. 객체 공급 구성요소는 이 문서(6)를 도 3에 설명한 것처럼 사용자(1)에게 전송한다. 이 후, 사용자는 더 이상의 변환없이 이 문서를 처리한다.
또한, 이 변경된 문서(6)를 사용자(1)에게 공급하기 전에, 변환기(5)나 객체 서버(2)에 의해 변경된 문서(6)의 마킹(a marking)을 실행할 수 있다. 이 경우, 공급될 문서(6)에 부착되는 관리 정보(administration information)는 문서가 변경되었는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마킹에 의해 보완된다. 추가적으로, 문서가 데이터 기억 시스템에 원래 어떤 포맷으로 기억되어 있었는지도 나타낼 수 있다. 이러한 마킹은 나중에 이 문서(6)에 데이터 포맷 변환이 행해졌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포맷팅은 종종 변환으로 소멸되므로, 마킹은 훗날에 중요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객체 서버(2)는 예컨대 법률적 이유에서 변경할 수 없는 문서 타입에 관한 정보를 갖는다. 이 정보는 문서 타입에 대응하는 식별자를 갖는 테이블의 형태로 객체 서버(2)에 기억된다. 이 정보는 사용자(1)가 선호하는 데이터 포맷에 관한 정보보다 먼저 판독되어 처리되며, 사용자(1)의 요구보다 더 높은 우선 순위를 갖는다. 만약 변경할 수 없는 문서 타입의 문서(6)가 주문되면, 더 이상의 변환없이 사용자(1)에게 공급된다.
본 발명은 문서를 사용자의 처리 능력에 맞춰주는 방식으로 데이터 기억 시스템을 정렬하는 개념에 기초한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추가의 변환을 하지 않고도 데이터 기억 시스템에 주문한 문서를 처리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데이터 기억 시스템의 사용자 친화성은 증가된다. 또한, 데이터 기억 시스템에서, 특히 본원의 경우는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에서, 지원되지 않는 포맷으로 인한 사용자의 문서 처리 능력의 제한없이 데이터 포맷을 그 수에 제한받지 않고 사용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데이터 기억 시스템에서 데이터 포맷의 종류가 증가하더라도, 데이터 기억 시스템 사용자측에서는 하드웨어적 및 소프트웨어적으로 고도의 비용 증가를 피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최소의 처리 능력, 예를 들면 최소의 뷰어를 이용하여 문서들(이 문서들은 원래 대부분 다양한 문서 포맷으로 입수됨)을 처리할 수 있게 된다. 이것은 특히 구식의 혹은 비정통 데이터 포맷의 경우에 유리하므로, 결과적으로 본 발명은 파일 보관된 문서들의 장기간 활용을 보장한다.
본 발명은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에서만 이용되는 것이 아니라 인터넷 등의 그 밖의 시스템(예를 들면, 메일링 시스템)에도 적용할 수 있다.

Claims (12)

  1. 포맷된 정보를 기억하는 데이터 기억 시스템(100)의 운영 방법에 있어서,
    ① 상기 데이터 기억 시스템(100)에서, 기억된 정보(6)의 요구된 아이템(item)의 데이터 포맷을 상기 정보(6)의 사용자(1)가 선호하는 데이터 포맷과 비교하고,
    ② 상기 기억된 정보(6)의 상기 요구된 부분을, 상기 사용자(1)에게 전송하기 전에 선택에 따라(optionally) 상기 사용자(1)가 선호하는 데이터 포맷으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기억 시스템 운영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1)는 상기 선호하는 데이터 포맷에 관한 정보를 상기 기억된 정보(6)에 대한 요구와 함께 상기 데이터 기억 시스템(100)으로 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기억 시스템 운영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기억 시스템(100)이 상기 사용자(1)에게 선호하는 데이터 포맷에 관한 정보를 전송하라는 요구를 보내면, 상기 사용자(1)는 선호하는 데이터 포맷에 관한 정보를 상기 데이터 기억 시스템(100)으로 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기억 시스템 운영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기억 시스템(100)에 대한 요구는 데이터 포맷들의 리스트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1)는 자신이 선호하는 데이터 포맷중 하나를 상기 리스트에서 선택하여, 이 정보 부분을 상기 데이터 기억 시스템(100)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기억 시스템 운영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기억 시스템(100)은 상기 사용자(1)가 선호하는 데이터 포맷에 관한 정보를 상기 데이터 기억 시스템(100)내의 구성 파일(4)로부터 판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기억 시스템 운영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기억 시스템(100)은 상기 사용자(1)가 선호하는 데이터 포맷과 관련해 수신된 상기 정보를 구성 파일(4)에 자동적으로 기억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기억 시스템 운영 방법.
  7. 포맷된 정보(6)를 기억하는 데이터 기억 시스템(100)에 있어서,
    ① 요구된 기억 정보(6)의 데이터 포맷을 상기 정보(6)의 사용자(1)가 선호하는 데이터 포맷과 비교하는 수단과,
    ② 상기 요구된 기억 정보(6)를 상기 사용자(1)에게 공급해주기 전에 상기 사용자(1)가 선호하는 데이터 포맷으로 변환해주는 변환기(5)를 탐색 및 호출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기억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포맷된 정보(6)를 제 1 데이터 포맷으로부터 제 2 데이터 포맷으로 변환하는 적어도 하나의 변환기(5)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기억 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정보(6)를 구하는 요구를 수신하는 수단과,
    정보(6)를 탐색하는 수단과,
    정보(6)를 공급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기억 시스템.
  10. 제 9 항에 있어서,
    데이터 포맷 정보를 요구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기억 시스템.
  11. 제 10 항에 있어서,
    데이터 포맷 정보를 기억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기억 시스템.
  12. 제 11 항에 있어서,
    데이터 포맷 정보를 판독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기억 시스템.
KR1019990049906A 1998-12-08 1999-11-11 데이터 기억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 KR10034119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856519.4 1998-12-08
DE19856519A DE19856519B4 (de) 1998-12-08 1998-12-08 Datenspeichersystem und Verfahren zu seinem Betrieb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7622A KR20000047622A (ko) 2000-07-25
KR100341199B1 true KR100341199B1 (ko) 2002-06-20

Family

ID=78903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9906A KR100341199B1 (ko) 1998-12-08 1999-11-11 데이터 기억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00181765A (ko)
KR (1) KR100341199B1 (ko)
DE (1) DE19856519B4 (ko)
TW (1) TW45270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46928B1 (en) * 2000-12-01 2008-03-18 Network Appliance, Inc. Decentralized appliance virus scanning
DE10137329A1 (de) * 2001-07-31 2003-02-20 Tenovis Gmbh & Co Kg Verfahren zum Zugriff auf Datenbasen und Komponentenmodell
WO2008025497A2 (en) * 2006-08-29 2008-03-06 Sap Ag Content subscription and update
CA2784688A1 (en) * 2009-12-17 2011-06-23 Fluor Technologies Corporation Plant deliverable management system
CN108828488B (zh) * 2018-06-12 2020-10-27 福建星云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兼容两种因子平台的实现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621788A1 (de) * 1995-08-30 1997-03-06 Bayerisches Forschungszentrum Datenbanksystem zur Verwaltung von Array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452705B (en) 2001-09-01
KR20000047622A (ko) 2000-07-25
DE19856519A1 (de) 2000-06-21
DE19856519B4 (de) 2004-12-16
JP2000181765A (ja) 2000-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84198B1 (en) Method and device for automated transfer and maintenance of internet based information
US5911776A (en) Automatic format conversion system and publishing methodology for multi-user network
RU2471227C2 (ru) Содействуемая обслуживающим узлом и одноранговая синхронизация
US7281060B2 (en) Computer-based presentation manager and method for individual user-device data representation
US7254621B2 (en) Technique for enabling remote data access and manipulation from a pervasive device
US8904270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enterprise document distribution
EP1891549B1 (en) Methods, systems, and computer-readable media for synchronizing modifiable documents with multiple clients
US20010039540A1 (en) Method and structure for dynamic conversion of data
US2004012291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 document generation based on annotation
US8135776B2 (en) System and method for scalable architecture for web-based collaborative annotation of page-based documents
US7711804B2 (en) Methods and devices for the asynchronous delivery of digital data
US9130947B2 (en) Data exchange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JP4574004B2 (ja) 文書配信システム、文書配信装置、文書配信方法及び記憶媒体
US8732566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digital content handling
US7080079B2 (en) Method of using the internet to retrieve and handle articles in electronic form from printed publication which have been printed in paper form for circulation by the publisher
TW437205B (en) An internet caching system and a method and an arrangement in such a system
US7675644B2 (en) Extensible framework for parsing varying formats of print stream data
US7165093B2 (en) Active electronic messaging system
US7623741B2 (en) System and method for transferring scanned imaging data to a personal imaging repository
KR100341199B1 (ko) 데이터 기억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
US7424509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inting from a web application
US6681246B1 (en) Method, system, and program for automatically processing pushed information without subscriber involvement
JPH09231121A (ja) 文書蓄積装置
US20040015552A1 (en) Communication device for enabling facsimile transmission using e-mail and control method therefor
US20030014512A1 (en) Communication apparatus and structured document management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51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