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40453B1 - 유전체 공진기, 필터, 듀플렉서, 발진기 및 통신기 장치 - Google Patents

유전체 공진기, 필터, 듀플렉서, 발진기 및 통신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40453B1
KR100340453B1 KR1020000028361A KR20000028361A KR100340453B1 KR 100340453 B1 KR100340453 B1 KR 100340453B1 KR 1020000028361 A KR1020000028361 A KR 1020000028361A KR 20000028361 A KR20000028361 A KR 20000028361A KR 100340453 B1 KR100340453 B1 KR 1003404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onator
dielectric resonator
dielectric
filter
support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283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77431A (ko
Inventor
쿠리수토루
아베히로츠구
히구치유키오
Original Assignee
무라타 야스타카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무라타 야스타카,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무라타 야스타카
Publication of KR200000774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774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04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045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7/00Resonators of the waveguide type
    • H01P7/10Dielectric reson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00Auxiliary devices
    • H01P1/20Frequency-selective devices, e.g. filt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00Auxiliary devices
    • H01P1/20Frequency-selective devices, e.g. filters
    • H01P1/213Frequency-selective devices, e.g. filters combining or separating two or more different frequencies
    • H01P1/2138Frequency-selective devices, e.g. filters combining or separating two or more different frequencies using hollow waveguide filt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7/00Resonators of the waveguide type
    • H01P7/06Cavity resonators

Landscapes

  • Control Of Motors That Do Not Use Commutators (AREA)

Abstract

유전체 공진기는 동일한 유전체 재료에 의해 일체로서 이루어진 공진기부와 지지대부를 포함한다. 공진기부와 지지대부는 실질적으로 같은 바깥지름을 갖는다. 지지대부의 안쪽지름이 실장면으로 이용되는 단면으로부터 공진기부를 향한 방향으로 더 작아지도록, 사다리꼴의 단면형상을 갖는 오목부가 지지대부 안에 형성된다.

Description

유전체 공진기, 필터, 듀플렉서, 발진기 및 통신기 장치 {Dielectric resonator, filter, duplexer, oscillator and communication apparatus}
본 발명은 동일한 유전체 재료를 이용하여 공진기부(resonator section)와 지지대부(supporting base section)를 일체로 형성한 TE01δ 모드의 유전체 공진기; 이 유전체 공진기를 이용한 필터, 듀플렉서, 발진기; 및 그들을 이용한 통신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종류의 유전체 공진기로서는, 고유전율의 공진기부에 저유전율의 지지대를 접착한 구조의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이 경우에 지지대를 접착하는 작업을 필요로 하므로, 제조 단가가 높아진다는 문제가 있다.
이 경우에, 공진기부와 지지대부를 동일한 재료를 이용하여 일체로 형성한 유전체 공진기(single unit dielectric resonator)가 제안되고 있다(일본 특허출원공보 8-222917 호)
일본 특허출원공보 8-222917 호에 따른 유전체 공진기는, 지지대부를 공진기부의 바깥지름보다도 작은 바깥지름을 갖는 원통형으로 형성한다. 지지대부에 방사상 슬릿(radial slit), 외주면에 홈(groove), 및 지름방향으로 관통공을 형성하여 지지대부의 일부를 삭제함으로써, 지지대부의 유효 유전상수를 저하시키고,무부하 (unloaded) Q 값의 저하를 최소화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일체형의 지지대를 포함하는 TE01δ 모드의 유전체 공진기의 무부하 Q 값의 저하를 방지하기 위하여, 지지대부의 유전체의 양을 감소시킴으로써 지지대부의 유전상수을 저하시키는 것이 중요하게 된다.
상기 유전체 공진기는 지지대부의 바닥 단면을 실장면으로서 이용하도록, 기판 위 또는 공동(cavity)의 밑바닥 위에 접착제 등에 의해 고정된다. 이는 필터 또는 발신소자(transmitting device)로서 이용된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지지대를 포함하는 일체형 유전체 공진기에는, 공진기부와 지지대부의 경계에 직각의 단차(段差)부가 있다. 압축 형성시 경계부가 균일하게 압축되지 않기 때문에, 성형밀도(성형체의 밀도)가 경계부에서 급격하게 변화한다. 또한, 지지대부의 형상이 복잡하고, 안정한 성형이 불가능하며, 또한 일축가압 압축 성형이 곤란하거나 또는 불가능하다. 성형금형의 형상도 복잡한 문제도 있다. 따라서, 금형의 제조 단가가 높아지며, 금형의 수명이 짧아진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기 유전체 공진기에서는, 지지대부의 바깥지름은 공진기부의 바깥지름보다도 작기 때문에, 자동기계로 공동에 실장할 경우에는 안정하게 실장하는 것이 가능하지 않다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 문제들을 극복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무부하 Q값의 저하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고, 성형을 용이하게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며, 또한 안정하게 실장하는 것이 가능하고 저렴하면서도 특성이 우수한 유전체 공진기; 또한 유전체 공진기를 이용한 필터, 듀플렉서, 발진기 및 통신기 장치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유전체 공진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유전체 공진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유전체 공진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유전체 공진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유전체 공진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필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듀플렉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따른 발진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8 실시예에 따른 통신기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는 유전체 공진기를 제공하는데, 동일한 유전체 재료를이용하여 공진기부와 지지대부를 일체로 형성한 상기 유전체 공진기는, 상기 공진기부와 상기 지지대부를 실질적으로 동일한 바깥지름을 갖도록 형성함과 동시에, 실장면으로서 이용되는 단면으로부터 상기 공진기부를 향해 상기 지지대부의 안쪽지름이 서서히 작아지는 단면이 사다리꼴인 오목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물론, 오목부의 단면은 정밀한 사다리꼴일 필요는 없다. 숙련된 사람은 서서히 가늘어지는 다른 단면형상들도 이용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상기 구조 및 구성에 의하면, 지지대부의 실장면은 링 형상이고, 또한 링 폭(즉, 지지대부를 구성하는 유전체의 두께)이 감소된다. 따라서, 지지대부의 유효 유전상수는 크게 감소된다. 이로 인해 공진기의 무부하 Q값의 저하가 최소화된다.
또한, 유전체 공진기에는 직각의 단차부가 없고 지지대부는 상기 단면이 사다리꼴인 오목부가 형성된 단순한 형상이다. 따라서, 성형시의 성형체 내에 생기는 성형밀도의 급격한 변화를 실질적으로 피할 수 있다. 그러므로, 성형이 용이하고 저렴한 가격의 성형법인 일축가압압축(uniaxial pressuring press)에 의하여, 변형되지 않고 기계적 강도의 열화가 없는 유전체 공진기를 용이하게 성형하는 것이 가능하다. 지지대부의 실장면에서 링 형상의 폭을 좁게 해도, 지지대부를 구성하는 유전체의 두께는 공진기부 쪽으로 향해서 두꺼워진다. 이것은 성형체의 기계적 강도의 저하를 방지한다.
또한, 공진기부와 지지대부는 동일한 바깥지름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유전체 공진기는 안정하게 실장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유전체 공진기에서, 공진기부의 중심부에 상기 오목부를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된다. 이 구성은 유전체 공진기를 공동 안에 접착제를 이용하여 고정하는 경우에 특히, 적용할 수 있다. 경화공정에서 발생하는 고온에 기인하여, 오목부에 밀폐된 공기는 팽창할 수 있다. 이렇게 갇힌 공기는 접착 후의 위치변동을 일으킬 수 있다. 이 문제는 공진기부에 구멍을 형성함으로써 해결할 수 있다.
또한, 필터, 듀플렉서, 및 발진기는 상기 갖는 유전체 공진기를 이용하여 구성되기 때문에, 제조 단가를 줄일 수 있고, 우수한 특성을 얻을 수 있다.
또한, 통신기 장치는 상기 유전체 공진기, 필터, 듀플렉서, 및 발진기 중의 하나를 이용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저렴하면서도 우수한 특성을 얻을 수 있다.
다음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의 다른 특징들과 장점들을 확실하게 나타낸다.
[실시예]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유전체 공진기의 구성을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유전체 공진기의 사시도, 도 2는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유전체 공진기는, 실질적인 원주상의 유전체로 이루어지고, 공진기부 11과 지지대부 12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지지대부 12의 바깥지름은 공진기부 11의 바깥지름과 동일한 지름으로 형성된다. 단면이 사다리꼴인 오목부 13은 지지대부 12에 형성되어 있다. 즉, 실장면으로 이용되는 단면으로부터 점차 오목부 13은 가늘어지고 또한 단면의 외주부가 링 형상으로 되도록, 안쪽지름은 감소한다.
분명히 말하면, 오목부 13은 유전체 공진기의 중심축에 대하여 동축을 이룬다. 오목부 13의 형성 후에, 지지대부 12의 외주부는 링 형상이고, 그 두께는 공진기부 11 쪽으로 향하여 증가한다. 오목부 13의 내주면에는 테이퍼(taper) 12a가 형성되어 있다. 이 유전체 공진기는 금속 금형과 일축가압압축을 이용해서 일체로 성형된다. 이 유전체 공진기에서, 지지대부 12의 단면은 실장면으로서 이용되고 또한 기판 위 또는 공동의 밑바닥 위에서 접착제 등에 의하여 고정된다. 예를 들어 필터 또는 발신소자로서 이용되기 위하여, 공동 안에서 공진기부 11이 TE01δ 모드로 공진되도록 설계된다.
위와 같이, 오목부 13은 사다리꼴 단면에 형성된다. 이 경우, 기계적 강도를 저하시키지 않으면서 지지대부 12의 유전체 재료를 크게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하므로, 유효 유전상수을 대폭적으로 저하시키고 높은 무부하 Q값을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삽입손실이 작고 감쇠특성이 우수한 유전체 공진기를 얻는 것이 가능하다.
본 실시예의 유전체 공진기 10은 단순한 형상을 갖는다. 단면이 사다리꼴인 오목부 13이 지지대부 12에 형성되었을 뿐이고, 또한 직각의 단차부도 형성되지 않는다. 따라서, 성형체 내부에 생길 수 있는 성형밀도의 급격한 변화는 대폭적으로 감소된다. 그러므로, 변형되지 않고 기계적 강도의 열화가 없도록 유전체 공진기는 약화되지 않는다. 또한, 지지대부 12의 바깥지름은 공진기부 11의 바깥지름과 동일하기 때문에, 안정한 실장이 가능하다.
다음,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유전체 공진기를 도 3에 나타낸다. 공진기부 11의 단면으로부터 지지대부 12까지 중앙 관통공 14가 통과한다. 다른 부분은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제 1 실시예의 유전체 공진기와 같은 구성이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유전체 공진기를 공동 안에 접착제로 고정하는 경우에공기가 오목부 13 내에 밀페되지 않을 수 있다. 이렇게 갇힌 공기는 경화공정시의 고온에 기인하여 팽창할 수 있다. 갇힌 공기를 억제함으로써,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는 접착공정시에 발생할 수 있는 위치 차이를 방지할 수 있다.
다음,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유전체 공진기를 도 4에 나타낸다. 도 4에 나타낸 유전체 공진기에서, 지지대부 12의 외주면에는 테이퍼 12b가 형성되어, 지지대부 12의 바깥지름이 공진기부 11과의 경계부로부터 실장면 쪽으로 향해서 작아지도록 형성된다. 공진기부 11과 지지대부 12의 경계부에는 단차부가 형성되지 않는다. 다른 부분은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제 1 실시예의 유전체 공진기와 동일한 구성이다. 따라서, 지지대부 12의 외주면의 일부를 제거함으로써 유효 유전상수는 감소될 수 있다.
다음, 본 발명에 따른 제 4 실시예의 유전체 공진기를 도 5에 나타낸다. 제 1 ~ 제 3 실시예에서는, 지지대부 12에 형성된 오목부 13의 단면형상이 선형으로 형성되지만; 그러나 본 실시예의 유전체 공진기에서는 오목부 13은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하게 곡선단면을 갖는다. 이 구성에 의해, 유전체 재료의 성형밀도의 변화가 또한 완화된다.
상기 각 실시예에서, 각각의 유전체 공진기는 수평 단면형상이 원형이지만; 그러나, 유전체 공진기의 형성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수평 단면형상이 사각형, 타원형 등 다른 형상이어도 좋다.
유사하게, 상기 실시예들에서 오목부 13의 수평 단면형상은 원형일 필요는 없고, 다른 형상들이 이용될 수 있다.
다음은, 본 발명에 따른 유전체 공진기로 형성된 필터, 듀플렉서, 및 발진기의 예를 들어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예에 있어서, 유전체 공진기는 상기 각 실시예의 어느 것을 이용해도 상관없다.
다음,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필터를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필터는, 양단에 입출력 커넥터로서 설치된 동축(coaxial)커넥터 21, 22를 갖는 공동 20 안에 3 개의 유전체 공진기 10이 형성된 구성을 하고 있다. 동축커넥터 21, 22에는, 대응하는 유전체 공진기 10과 전자기적으로 결합하기 위한 프로브 (probe) 21a, 22a가 형성되어 있다. 각 유전체 공진기 10은, 지지대부 12의 실장면을 공동 20의 밑바닥 위에 접착제 등에 의해 접착해서 고정된다. 또한, 각 유전체 공진기 10의 위쪽에 주파수 조정용 나사 25가 형성된다. 공동 20은 금속표면 또는 세라믹 표면에 도체를 형성한 전도성 케이스이다. 유전체 공진기의 수는 3개에 한하지 않는다. 1개, 2개 또는 3개 이상을 이용할 수 있다.
다음,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듀플렉서를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듀플렉서는, 송신 필터 31을 구성하는 2개의 유전체 공진기 10 및 수신 필터 32를 구성하는 3개의 유전체 공진기 10을 포함하기 위한 공동 20을 갖는다.
송신 필터용 입출력 커넥터로서, 동축커넥터 21은 공동 20의 한 쪽 끝에 형성된다. 수신 필터용 입출력 커넥터로서, 동축커넥터 22는 공동 20의 다른 쪽 끝에 형성된다. 또한, 송신 및 수신 필터와 공통으로 결합된 안테나 입출력 커넥터로서 동축커넥터 23은 공동 20의 중앙부 측벽에 형성되어 있다. 동축커넥터 21, 22 및23은, 대응하는 유전체 공진기 10과 전자기적으로 결합하기 위한 프로브 21a, 22a, 23a를 각각 갖는다. 지지대부 12의 실장면을 공동 20의 밑바닥 위에 접착제 등으로 접착하여 각각의 개별적인 유전체 공진기 10이 고정된다. 또한, 각 유전체 공진기 10의 위쪽에 주파수 조정용 나사 25가 형성된다.
다음,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따른 발진기를 도 8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발진기는, 유전체 공진기 10, 유전체 공진기 10과 전자기적으로 결합하기 위한 제 1 마이크로스트립 선로 42, 제 2 마이크로스트립 선로 43, 및 제 1 마이크로스트립 선로 42에 접속된 발진용 능동소자(exciting positive element) 45가, 뒷면에 접지전극 41이 형성된 유전체 기판 40의 전면에 형성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발진용 능동소자 45로서 전계효과 트랜지스터 등이 이용된다. 유전체 공진기 10은, 지지대부 12의 실장면을 유전체 기판 40 위에 접착제 등으로 접착하여 고정된다. 이 발진기는(나타내지 않음) 공동 안에 수납되거나, 또는 유전체 기판 40을 덮기 위하여 공동으로서 기능하는 금속제 케이스가 형성된다.
다음, 본 발명의 제 8 실시예에 따른 통신기 장치의 구성을 도 9에 나타낸다. 도 9에서, ANT는 송/수신 안테나; DPX는 듀플렉서; TX는 송신필터; RX는 수신필터; BPFa, BPFb, BPFc는 각각 대역통과 필터; AMPa, AMPb는 각각 증폭회로; MIXa, MIXb는 각각 믹서(mixer); OSC는 발진기; 또한 DIV는 주파수 분할기(신디사이저)를 나타낸다. MIXa는 DIV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변조하기 위하여 변조신호를 이용하고, BPFa는 송신주파수 대역의 신호만을 통과시키며, 또한 AMPa는 신호를 전력증폭하여, DPX(TX)를 통해서 ANT에 의해 송신한다. BPFb는 DPX(RX)로부터 출력된신호 중에 수신주파수 대역만을 통과시키고, 또한 AMPb는 그 신호를 증폭한다. MIXb는 BPXc로부터 출력된 주파수 신호와 수신신호를 믹싱하고, 이로 인해 중간주파신호를 출력한다.
여기서, 송신 필터 TX, 수신 필터 RX, 대역통과 필터 BPXa, BPFb 및 BPFc로서는, 제 5 실시예의 필터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듀플렉서 DPX로서는, 제 6 실시예의 듀플렉서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발진기 OSC로서는, 제 7 실시예의 발진기를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필터, 듀플렉서 또는 발진기를 이용함으로써, 저렴하면서 특성이 우수한 통신기 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처럼, 본 발명의 유전체 공진기에 의하면, 지지대부에 단면이 사다리꼴인 오목부를 형성하기 때문에, 무부하 Q값의 저하를 억제해서 특성의 개선을 도모할 수 있고, 일축가압압축보다 용이하게 성형하는 것이 가능하며, 또한 안정하게 실장할 수 있다.
또한, 지지대부의 오목부를 관통하는 관통공을 공진기부에 형성함으로써, 유전체 공진기의 접착고정시의 위치 어긋남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전체 공진기를 이용함으로써, 저렴하면서도 특성이 우수한 필터, 듀플렉서 및 발진기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필터, 듀플렉서 또는 발진기를 실장함으로써, 저렴하면서도 특성이 우수한 통신기 장치를 얻을 수 있다.

Claims (24)

  1. 동일한 유전체 재료에 의해 일체로서 이루어진 공진기부와 지지대부를 포함하는 유전체 공진기에 있어서,
    상기 공진기부와 상기 지지대부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바깥쪽 형상을 갖고;
    오목부는 상기 지지대부 안에 형성되고, 상기 오목부는 상기 공진기부와 떨어지도록 배치된 단면에서 가장 넓은 부분으로부터 상기 공진기부에 근접한 가장 좁은 부분으로 갈수록 상기 지지대부의 안쪽지름이 작아지도록 점차 가늘어지는 수직단면 형상을 가지며; 또한
    상기 단면은 상기 유전체 공진기의 실장면으로서 이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전체 공진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단면 형상은 실질적으로 사다리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전체 공진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단면 형상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곡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전체 공진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는 실질적으로 원형인 수평단면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전체 공진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진기부를 통하여 연장되면서 상기 오목부와 소통하는 관통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전체 공진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공은 상기 공진기부의 중앙부를 통하여 상기 오목부로부터 상기 지지대부에서 떨어진 상기 공진기부의 윗면까지 관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전체 공진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깥쪽 형상은 실질적으로 원통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전체 공진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부의 바깥쪽 표면은 점차 가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전체 공진기.
  9. 유전체 공진기, 공동, 입력/출력 커넥터를 포함하는 필터에 있어서,
    상기 유전체 공진기는 동일한 유전체 재료에 의해 일체로서 이루어진 공진기부와 지지대부를 포함하고;
    상기 공진기부와 상기 지지대부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바깥쪽 형상을 가지며;
    오목부는 상기 지지대부 안에 형성되고, 상기 오목부는 상기 공진기부와 떨어지도록 배치된 단면에서 가장 넓은 부분으로부터 상기 공진기부에 근접한 가장좁은 부분으로 갈수록 상기 지지대부의 안쪽지름이 작아지도록 점차 가늘어지는 수직단면 형상을 가지며; 또한
    상기 단면은 상기 유전체 공진기의 실장면으로서 이용할 수 있고;
    상기 공동은 상기 유전체 공진기를 포함하며; 또한
    상기 입력/출력 커넥터는 상기 유전체 공진기와 전자기적으로 결합하기 위하여 상기 공동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체 공진기는 상기 공진기부를 통하여 연장되면서 상기 오목부와 소통하는 관통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단면은 상기 공동의 안쪽 표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단면은 상기 공동과 결합된 기판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13. 송신필터와 수신필터를 포함하는 듀플렉서에 있어서,
    상기 송신필터 및 수신필터 각각은 유전체 공진기를 포함하고;
    상기 유전체 공진기는 동일한 유전체 재료에 의해 일체로서 이루어진 공진기부와 지지대부를 포함하며;
    상기 공진기부와 상기 지지대부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바깥쪽 형상을 가지고;
    오목부는 상기 지지대부 안에 형성되며, 상기 오목부는 상기 공진기부와 떨어지도록 배치된 단면에서 가장 넓은 부분으로부터 상기 공진기부에 근접한 가장 좁은 부분으로 갈수록 상기 지지대부의 안쪽지름이 작아지도록 점차 가늘어지는 수직단면 형상을 가지고; 또한
    상기 유전체 공진기는 공동 안에 실장되며, 상기 공동은
    상기 송신필터의 유전체 공진기와 결합되기 위하여 설치된 제 1 입력/출력 커넥터;
    상기 수신필터의 유전체 공진기와 결합되기 위하여 설치된 제 2 입력/출력 커넥터; 및
    상기 송신필터 및 상기 수신필터 각각의 유전체 공진기와 결합되기 위하여 설치된 안테나 입력/출력 커넥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플렉서.
  14. 제 13 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유전체 공진기는 상기 공진기부를 통하여 연장되면서 상기 오목부와 소통하는 관통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플렉서.
  15. 유전체 공진기, 결합장치, 발진용 능동소자, 및 공동을 포함하는 발진기에 있어서,
    상기 유전체 공진기는 동일한 유전체 재료에 의해 일체로서 이루어진 공진기부와 지지대부를 포함하며;
    상기 공진기부와 상기 지지대부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바깥쪽 형상을 가지고;
    오목부는 상기 지지대부 안에 형성되며, 상기 오목부는 상기 공진기부와 떨어지도록 배치된 단면에서 가장 넓은 부분으로부터 상기 공진기부에 근접한 가장 좁은 부분으로 갈수록 상기 지지대부의 안쪽지름이 작아지도록 점차 가늘어지는 수직단면 형상을 가지고;
    상기 결합장치는 상기 유전체 공진기와 전자기적으로 결합되기 위하여 설치되며;
    상기 발진용 능동소자는 상기 결합장치에 접속되고; 또한
    상기 공동은 상기 유전체 공진기, 상기 결합장치 및 상기 발진용 능동소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진기.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체 공진기는 상기 공진기부를 통하여 연장되면서 상기 오목부와 소통하는 관통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진기.
  17. 고주파 회로와 필터를 포함하는 통신기 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주파 회로는 송신필터와 수신필터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또한
    상기 필터는 상기 고주파 회로에 접속되며 또한 상기 필터는 유전체 공진기, 공동, 및 입력/출력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유전체 공진기는 동일한 유전체 재료에 의해 일체로서 이루어진 공진기부와 지지대부를 포함하며;
    상기 공진기부와 상기 지지대부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바깥쪽 형상을 가지고;
    오목부는 상기 지지대부 안에 형성되며, 상기 오목부는 상기 공진기부와 떨어지도록 배치된 단면에서 가장 넓은 부분으로부터 상기 공진기부에 근접한 가장 좁은 부분으로 갈수록 상기 지지대부의 안쪽지름이 작아지도록 점차 가늘어지는 수직단면 형상을 가지고; 또한
    상기 공동은 상기 유전체 공진기를 포함하며;
    상기 입력/출력 커넥터는 상기 유전체 공진기와 전자기적으로 결합하기 위하여 상기 공동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기 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체 공진기는 상기 공진기부를 통하여 연장되면서 상기 오목부와 소통하는 관통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기 장치.
  19. 고주파 회로와 듀플렉서를 포함하는 통신기 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주파 회로는 송신필터와 수신필터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또한
    상기 듀플렉서는 송신필터와 수신필터를 포함하며;
    상기 송신필터 및 수신필터 각각은 유전체 공진기를 포함하고;
    상기 유전체 공진기는 동일한 유전체 재료에 의해 일체로서 이루어진 공진기부와 지지대부를 포함하며;
    상기 공진기부와 상기 지지대부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바깥쪽 형상을 가지고;
    오목부는 상기 지지대부 안에 형성되며, 상기 오목부는 상기 공진기부와 떨어지도록 배치된 단면에서 가장 넓은 부분으로부터 상기 공진기부에 근접한 가장 좁은 부분으로 갈수록 상기 지지대부의 안쪽지름이 작아지도록 점차 가늘어지는 수직단면 형상을 가지고; 또한
    상기 유전체 공진기는 공동 안에 실장되며, 상기 공동은
    상기 송신필터의 유전체 공진기와 결합되기 위하여 설치된 제 1 입력/출력 커넥터;
    상기 수신필터의 유전체 공진기와 결합되기 위하여 설치된 제 2 입력/출력 커넥터; 및
    상기 송신필터 및 상기 수신필터 각각의 유전체 공진기와 결합되기 위하여 설치된 안테나 입력/출력 커넥터를 가지고; 또한
    상기 제 1 입력/출력 커넥터와 상기 제 2 입력/출력 커넥터 중의 적어도 하나는 상기 고주파 회로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기 장치.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체 공진기는 상기 공진기부를 통하여 연장되면서 상기 오목부와 소통하는 관통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기 장치.
  21. 고주파 회로와 발진기를 포함하는 통신기 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주파 회로는 송신필터와 수신필터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또한
    상기 발진기는 상기 고주파 회로에 접속되며 또한 상기 발진기는 유전체 공진기, 결합장치, 발진용 능동소자 및 공동을 포함하고;
    상기 유전체 공진기는 동일한 유전체 재료에 의해 일체로서 이루어진 공진기부와 지지대부를 포함하며;
    상기 공진기부와 상기 지지대부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바깥쪽 형상을 가지고;
    오목부는 상기 지지대부 안에 형성되며, 상기 오목부는 상기 공진기부와 떨어지도록 배치된 단면에서 가장 넓은 부분으로부터 상기 공진기부에 근접한 가장 좁은 부분으로 갈수록 상기 지지대부의 안쪽지름이 작아지도록 점차 가늘어지는 수직단면 형상을 가지고;
    상기 결합장치는 상기 유전체 공진기와 전자기적으로 결합되기 위하여 설치되며;
    상기 발진용 능동소자는 상기 결합장치에 접속되고; 또한
    상기 공동은 상기 유전체 공진기, 상기 결합장치 및 상기 발진용 능동소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기 장치.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체 공진기는 상기 공진기부를 통하여 연장되면서 상기 오목부와 소통하는 관통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진기.
  23. 송신회로, 수신회로, 및 듀플렉서를 포함하는 통신기 장치에 있어서,
    상기 듀플렉서는 송신필터와 수신필터를 포함하며;
    상기 송신필터 및 수신필터 각각은 유전체 공진기를 포함하고;
    상기 유전체 공진기는 동일한 유전체 재료에 의해 일체로서 이루어진 공진기부와 지지대부를 포함하며;
    상기 공진기부와 상기 지지대부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바깥쪽 형상을 가지고;
    오목부는 상기 지지대부 안에 형성되며, 상기 오목부는 상기 공진기부와 떨어지도록 배치된 단면에서 가장 넓은 부분으로부터 상기 공진기부에 근접한 가장 좁은 부분으로 갈수록 상기 지지대부의 안쪽지름이 작아지도록 점차 가늘어지는 수직단면 형상을 가지고; 또한
    상기 유전체 공진기는 공동 안에 실장되며, 상기 공동은
    상기 송신필터의 유전체 공진기와 결합되기 위하여 설치되고 또한 상기 송신회로에 접속되는 제 1 입력/출력 커넥터;
    상기 수신필터의 유전체 공진기와 결합되기 위하여 설치되고 또한 상기 수신회로에 접속되는 제 2 입력/출력 커넥터; 및
    상기 송신필터 및 상기 수신필터 각각의 유전체 공진기와 결합되기 위하여 설치된 안테나 입력/출력 커넥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기 장치.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체 공진기는 상기 공진기부를 통하여 연장되면서 상기 오목부와 소통하는 관통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기 장치.
KR1020000028361A 1999-05-25 2000-05-25 유전체 공진기, 필터, 듀플렉서, 발진기 및 통신기 장치 KR10034045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1-144980 1999-05-25
JP14498099A JP3427781B2 (ja) 1999-05-25 1999-05-25 誘電体共振器、フィルタ、デュプレクサ、発振器及び通信機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77431A KR20000077431A (ko) 2000-12-26
KR100340453B1 true KR100340453B1 (ko) 2002-06-12

Family

ID=153746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8361A KR100340453B1 (ko) 1999-05-25 2000-05-25 유전체 공진기, 필터, 듀플렉서, 발진기 및 통신기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429756B1 (ko)
EP (1) EP1056151B1 (ko)
JP (1) JP3427781B2 (ko)
KR (1) KR100340453B1 (ko)
DE (1) DE60022429T2 (ko)
TW (1) TW45606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50208B2 (en) * 2001-06-07 2003-11-18 Remec Oy Dual-mode resonator
JP2003318603A (ja) * 2002-04-19 2003-11-07 Kobe Steel Ltd 高周波フィルタ
JPWO2005062415A1 (ja) * 2003-12-24 2007-07-19 株式会社村田製作所 誘電体共振器およびこれを用いた通信機装置
EP1603187B1 (de) * 2004-06-03 2008-04-16 Huber+Suhner Ag Hohlraumresonator, Verwendung eines Hohlraumresonators und Oszillatorschaltung
US8031036B2 (en) 2008-10-15 2011-10-04 Com Dev International Ltd. Dielectric resonator and filter with low permittivity material
KR20140134260A (ko) * 2011-09-06 2014-11-21 파워웨이브 테크놀로지스 에스에이알엘 듀플렉서용 개방형 회로 공통 접합 피드
CN106558747A (zh) * 2015-09-28 2017-04-05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谐振腔及其构成的滤波器
TWI733042B (zh) * 2018-04-27 2021-07-11 詠業科技股份有限公司 多頻天線裝置
JPWO2020054663A1 (ja) * 2018-09-12 2021-08-30 京セラ株式会社 共振器、フィルタおよび通信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53907A (en) * 1978-10-17 1980-04-19 Hitachi Ltd Microwave oscillator
GB2224397B (en) * 1988-09-28 1993-01-13 Murata Manufacturing Co Dielectric resonator and filter
JPH02150808U (ko) * 1989-05-22 1990-12-27
JPH0425303U (ko) * 1990-06-22 1992-02-28
US5179074A (en) * 1991-01-24 1993-01-12 Space Systems/Loral, Inc. Hybrid dielectric resonator/high temperature superconductor filter
CA2048404C (en) * 1991-08-02 1993-04-13 Raafat R. Mansour Dual-mode filters using dielectric resonators with apertures
JPH07135411A (ja) * 1993-11-10 1995-05-23 Murata Mfg Co Ltd 誘電体共振器
JP3425704B2 (ja) * 1993-11-30 2003-07-14 株式会社村田製作所 誘電体共振器及び誘電体共振器の共振周波数調整方法
JP3339194B2 (ja) * 1994-09-13 2002-10-28 株式会社村田製作所 Tmモード誘電体共振器
JPH08222917A (ja) * 1995-02-09 1996-08-30 Murata Mfg Co Ltd 誘電体共振部品
JP2998627B2 (ja) * 1996-02-07 2000-01-11 株式会社村田製作所 誘電体共振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0022429D1 (de) 2005-10-13
JP2000341009A (ja) 2000-12-08
EP1056151B1 (en) 2005-09-07
KR20000077431A (ko) 2000-12-26
TW456067B (en) 2001-09-21
DE60022429T2 (de) 2006-06-14
US6429756B1 (en) 2002-08-06
JP3427781B2 (ja) 2003-07-22
EP1056151A1 (en) 2000-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95292B2 (en) High-frequency line transducer, having an electrode opening surrounded by inner and outer vias
US20050146399A1 (en) Dielectric resonator, dielectric filter, dielectric duplexer, and communication apparatus incorporating the same
KR100340453B1 (ko) 유전체 공진기, 필터, 듀플렉서, 발진기 및 통신기 장치
US6236288B1 (en) Dielectric filter having at least one stepped resonator hole with a recessed or protruding portion, the stepped resonator hole extending from a mounting surface
KR100401972B1 (ko) 유전체 필터, 유전체 듀플렉서 및 통신 장치
KR100317468B1 (ko) 유전체필터,듀플렉서및통신장치
EP1006603B1 (en) Band pass filter, antenna duplexer, and communication apparatus
US6930571B2 (en) Dielectric filter, dielectric duplexer, and communication apparatus
EP1030400B1 (en) A dielectric filter, a dielectric duplexer, and a communication apparatus
KR100367860B1 (ko) 유전체 공진 장치의 입출력 전극 형성 방법
US6822538B2 (en) Dielectric filter, dielectric duplexer, and communication apparatus incorporating the same
KR100343320B1 (ko) 유전체 필터, 유전체 듀플렉서 및 이를 사용하는 통신 장치
KR100611486B1 (ko) 유전체 공진기 및 이것을 사용한 통신기 장치
KR100338589B1 (ko) 유전체 필터, 유전체 듀플렉서 및 통신 장치
KR100517070B1 (ko) 유전체 필터, 유전체 듀플렉서, 및 통신 장치
KR20020073407A (ko) 유전체 필터, 유전체 듀플렉서 및 통신 장치
KR20020045228A (ko) 유전체공진기를 이용한 듀플렉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3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7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30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0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9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3

Year of fee payment: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