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40287B1 - 자동 2-격실 주사기 - Google Patents

자동 2-격실 주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40287B1
KR100340287B1 KR1020000004456A KR20000004456A KR100340287B1 KR 100340287 B1 KR100340287 B1 KR 100340287B1 KR 1020000004456 A KR1020000004456 A KR 1020000004456A KR 20000004456 A KR20000004456 A KR 20000004456A KR 100340287 B1 KR100340287 B1 KR 1003402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tomatic
needle
assembly
spring
compartment syri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044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76972A (ko
Inventor
김영규
류용현
김종홍
Original Assignee
한영자
삼양화학공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영자, 삼양화학공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영자
Priority to KR10200000044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40287B1/ko
Publication of KR200100769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769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02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028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18Drum screens
    • B07B1/22Revolving dru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42Drive mechanisms, regulating or controlling devices, or balanc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46Constructional details of screens in general; Cleaning or heating of screens
    • B07B1/56Heated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14Details or accessories
    • B07B13/16Feed or discharge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7/00Selective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carried by, or dispersed in, gas currents

Landscapes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 2-격실 주사기로서, 분말용기와 용액용기가 직열로 배열되어 있는 카트리지 조립체, 몸체 조립체, 스프링 조립체 및 주사침 조립체를 조립하여서 된 것임.
본 발명은 안전띠를 제거하여 제제 분말과 제제 용액을 자동적으로 혼합시키는 단계와 안전핀을 제거하고 주사기를 피주사체에 찔러 넣는 단계의 2단계 작용으로 쉽게 주사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압축된 1차 스프링의 회복력으로 격막봉을 전진시켜서 두 성분을 자동적으로 혼합시키고, 압축된 2차 스프링의 회복력으로 피스톤을 전진시켜서 자동적으로 주사되도록 한 것임.

Description

자동 2-격실 주사기{Automatic 2-chamber injector}
본 발명은 전투중에 화학무기의 공격을 받은 병사가 현장에서 즉시 화학무기의 중독으로 부터 해독시키기 위하여 병사 자신에게 주사하는데 사용되는 자동 2-격실 주사기에 관한 것이다.
분말 약제와 상기 분말 약제의 용매인 용액을 별도의 용기에 저장하고 있다가 주사 직전에 양성분을 혼합시켜서 주사액으로 만들고, 상기 주사액을 주사침을 통해서 몸안으로 주사되도록 하는 자동주사기는 많이 알려져 있다.
이중 한국 특허 제 78,826 호(공고번호 제 94-6107 호)는 용액용기와 분말 용기를 병열로 배치한 다음에 해제핀을 제거하여 용액용기 내의 용액을 제 1 피스톤의 힘으로 분말 용기 쪽으로 강제 이송시켜서 양성분이 혼합되도록 하고, 작동버튼을 밀어서 제 2 피스톤이 주사액을 강제적으로 밀어내서 주사되도록한 것이었다.
상기 주사기는 부피가 커서 휴대, 사용하기가 불편하고, 구조가 복잡할 뿐만 아니라 주사침이 항상 용액과 접촉하고 있으므로 주사침이 부식될 염려가 많다.
또 상기 주사기는 용액과 주사액이 좁고, 굴곡되어 있는 긴 통로를 이동하도록 된 것이므로 작동이 원할하게 이루어지지 않을 염려도 있다.
또 한국특허 제 110,189 호(공고번호 제 96-9656 호)(미국특허 4,983,164 호) 및 한국공개 특허 제 93-19232 호(미국특허 5,569,192 호)는 용액용기와 분말 용기를 상, 하 위치에 배열 시킴으로서 주사기의 부피를 감소 시킨 장점은 있으나 이들 주사기들은 모두가 분말과 용액을 혼합해서 주사액으로 만들기 위해서는 주사기의 상부 몸체와 하부 몸체를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 시켜야 하므로 병사들이 두꺼운 장갑을 낀체 사용하기에는 어려움이 많으며 또 회전체의 구조로 인하여 주사기의 구조가 복잡해지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사용하기가 용이하고, 부피가 적으며 구조가 복잡하지 않은 자동 2-격실 주사기를 제공하는데 기술적 과제를 두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자동 2-격실 주사기의 종단면도.
도 2는 도 1 중 카트리지 조립체의 종단면도.
도 2A는 도 2 중 두가지 저장용기의 종단면도.
도 2B는 도 2 중 격막봉의 종단면도.
도 2C는 도 2 중 격막봉의 좌측면도.
도 2D는 도 2 중 카트리지 조립용 클립의 측면도.
도 2E는 도 2D의 A-A선 단면도.
도 2F는 도 2 중 주사침 조립체의 종단면도.
도 3은 도 1 중 스프링 조립체의 종단면도.
도 3A는 도 3 중 밀대의 좌측면도.
도 3B는 도 3A의 B-B선 단면도.
도 3C는 도 3 중 받침대의 정면도.
도 3D는 도 3C의 C-C선 단면도.
도 4는 도 1 중 몸체 조립체의 종단면도.
도 4A는 도 4 중 안전띠의 측면도.
도 4B는 도 4 중 안전띠의 정면도.
도 5는 도 3 중 화살대의 정면도.
도 6은 도 3 중 화살대의 분해사시도.
도 7 ∼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 2-격실 주사기의 사용단계별 상태를 표시하는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A : 카트리지 조립체, B : 몸체 조립체, C : 스프링 조립체,
D : 주사침 조립체, 1 : 외피, 2 : 내피, 3 : 발사관, 4 : 안전덮개,
4' : 안전핀, 5 : 안전띠, 8 : 1차스프링, 9 : 분말약제용기,
10 : 용액용기, 11 : 2차 스프링, 20 : 주사침 보호관, 50 : 주사침
본 발명을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본 발명의 자동 2-격실 주사기는 카트리지 조립체(A), 몸체 조립체(B), 스프링 조립체(C) 및 주사침 조립체(D)로 구성되어 있으며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같이 조립되어 있다.
도 2의 카트리지 조립체(A)는 분말용기(9), 용액용기(10), 피스톤(15), 0-링(14), 격막봉(19), 앞마개(13), 클립(7) 및 주사침 결합체(D)으로 구성되어 있다.
카트리지 조립체(A)에는 0-링(14)이 끼워져 있는 격막봉(19)으로 분말과 용액제제가 분리된체 저장되어 있으며, 용액용기(10)의 뒷쪽 입구는 격막봉(19)에 끼워져 있는 피스톤(15)으로 밀봉되어 있고, 분말용기(9)의 출구에는 마개(13)가 클립(7)으로 고정된체 끼워져 있으며, 클립(7)에는 주사침 결합체(D)가 조립되어 있다.
도 2A에 표시된 바와 같이 용액용기(10)의 앞쪽 입구의 내주면에는 0-링(14)이 끼워지는 홈(24)이 있으며, 뒷쪽 입구의 내주면에는 피스톤(15)이 마음데로 움직일 수 없도록 잡아주는 역할을 하는 홈(25)이 파여져 있으며, 또 뒷쪽 입구의 외주면에는 내피(2)의 후단부에 있는 턱(27)과 맞물리는 홈(26)이 있어서 카트리지 조립체(A)가 1차 스프링(8)이 작동할 때는 움직이지 않도록 하고, 2차 스프링(11)이 작동할 때만 앞쪽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해준다.
도 2B의 격막봉(19)은 용액의 흐름을 원할하게 해주는 안내홈(28)을 가진 격막(19')(도 2C)과 0-링(14)이 바깥쪽으로 벗어나지 않도록 해주는 턱(29)이 있으며, 주사기가 작동할때만 작동봉(19)이 가동될 수 있도록 해주는 피스톤 자리 홈(30)을 가지고 있다.
피스톤(15)은 뒷쪽에 턱(31)이 형성되어 있어서 1차 스프링(8)이 작동할 때는 피스톤(15)을 잡아주며, 2차 스프링(11)이 작동할 때만 피스톤(15)이 가동되도록 한다.
도 2D의 클립(7)은 연질의 재료로 되어있는 마개(13)를 고정시켜주는 수개의 턱(32)을 가지고 있으며 도 2의 마개(13)은 얇은 연질의 막(13')를 가지고 있다.
도 2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사침 결합체(D)는 주사할 때 주사침이 주사기 밖으로 일정한 길이만큼만 나오도록 해주는 돌출부(34)를 가지며, 그 뒷쪽 내측면에는 클립(7)과 견고하게 결합시켜주는 턱(33)을 가지고 있다.
또 주사침(50)을 무균상태로 유지시켜주는 주사침 삽입관(35)과 함께 주사침 보호관(20)이 끼워져 있다.
도 3 의 스프링 조립체(C)는 금속링(21)이 장착된 스프링집(6)에 화살대(17)가 삽입된 밀대(16)에 의해 2차 스프링(11)이 압축 조립되어 있고, 스프링이 불필요하게 작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안전핀(4')을 꽂은 안전덮개(4)로 발사관(3)을 덮고 있으며, 밀대(16)의 내부에는 카트리지 조립체(A)의 격막봉(19)이 뒤로 밀리지 않도록 받쳐주는 받침대(18)가 삽입되어 있다.
도 3A의 밀대(16) 안에는 도 6처럼 화살대(17')(17')가 십자형으로 끼워져 있는 화살대(17)(도 5)가 자리잡고, 받침대(18)가 조립될 수 있도록 안쪽에 4개의 돌기(36)가 형성되어 있으며(도 3A), 돌기(36) 앞쪽에는 받침대(18)가 저절로 미끄러져 내려오는 것을 방지하개 위하여 멈춤 턱(37)이 만들어져 있다(도 3B).
도 3C의 받침대(18)는 밀대(16) 안쪽으로 끼워져 화살대(17) 사이로 해서 밀대 위쪽으로 빠져나가도록 십자형 절개부(38)가 형성되어 있으며(도 3D), 작동시에는 격막봉(19)이 받침대(18)를 밀대(16) 안쪽으로 까지 밀어 올리 수 있도록 밀대(16)에는 길게 홈(39)이 파여있다.
발사관(3)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단 부에 몸체(1)와 결합될 수 있는 나사부(22)가 성형되어 있고, 상단부에는 홈(40)이 형성되어 있어서 안전덮개(4)의 고정턱(41)이 여기에 살짝 걸려있다.
그러므로 평상시에는 쉽게 이탈되지 않고 안전하게 조립되어 있다가 사용할 때 안전덮개(4)를 적당한 힘으로 잡아당기면 쉽게 이탈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3의 안전덮개(4)는 중앙부에 안전핀(4')가 길게 돌출되어 있고, 이것이 도 1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살대(17)의 틈(17)에 끼워져서 스프링(11)의 힘이 가해지더라도 화살대(17)를 금속링(21) 위에 얹혀진 상태에서 빠지지 않도록 해준다.
도 4 의 몸체 조립체는 몸체(1)에 1차 스프링(8)이 내피(2)로 압축 조립되어 있고, 1차 스프링(8)이 작동되지 않도록 안전띠(5)가 몸체(1)의 앞쪽 끝부분과 내피(2)를 결합시키고 있다.
내피(2)는 안전띠(5)가 결합될 수 있도록 홈(42)이 만들어져 있고, 내피(2)의 외측면에는 턱(43)이 형성되어 있다.
그러므로 1차 스프링(8)이 여기에 압축 상태로 걸려 있다가 주사기를 작동시 킬 때 1차 스프링(8)의 힘에 의해 내피(2)가 위로 밀려 올라갈 수 있도록 해준다.
2차 스프링(11) 작동시 카트리지 조립체(A)가 내피(2)의 내부 턱(27)으로부터 쉽게 벗어나 밑으로 밀려 내려갈 수 있도록 내피(2)의 뒷쪽에는 3개 이상의 절개부(46)가 있다.
또 내피(2)의 앞쪽에는 주사침 조립체(D)의 주사침 보호관(20)의 선단부(44)와 일치하는 홈(45)을 가지고 있으므로 내피(2)에 주사침 조립체(D)를 안정적으로 조립할 수 있다.
몸체(1)는 스프링집(6)이 쉽게 미끄러져 내려가지 않게 해주는 턱(47)이 형성되어 있고, 발사관(3)을 결합시켜주는 나사부(23)가 성형되어 있다.
도 4A의 안전띠(5)는 링형의 띠로 되어있으며, 내피(2)의 결합 홈(42)에 끼워질 수 있는 돌기(48)가 있고, 사용시에 잡고 쉽게 제거할 수 있도록 손잡이(49)가 만들어져 있다(도 4B).
본 발명의 자동주사기(도1)는 도 4의 몸체 조립체(B)에 도 2 의 카트리지 조립체(A)가 조립되어지고, 몸체 조립체(B)의 몸체(1)의 나사부(23)와 도 3 의 스프링 조립체(C)의 발사관(3)의 나사부(22)가 나사 결합됨으로서 조립이 완성된다.
본 발명의 자동 주사기의 사용법을 단계적으로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본 발명의 자동 주사기는 1단계와 2단계로 작동된다.
1단계의 작동은 카트리지 조립체(A)의 내부에 있는 분말 제제와 용액 제제를 혼합 용해시키는 단계이고, 2단계 작동은 혼합용액을 주사기를 통하여 인체에 주사하는 단계이다.
1단계 작동은 먼저 자동 주사기의 하단부에 있는 안전띠(5)의 손잡이(49)를 잡고 힘을 가하여 제거하는 단계이다(도7).
안전띠(5)가 제거된 주사기(도7)는 다른 힘을 가하지 않아도 자동적으로 1차스프링(8)의 힘에 의해 내피(2)를 포함한 카트리지 조립체(A)가 위쪽으로 밀려 올라가게 되며, 카트리지 조립체(A)의 격막봉(19)은 스프링 조립체(C)의 받침대(18)에 받혀서 자동으로 격막(19')은 0-링(14)과 분리되면서 분말약제용기(9)의 내부로 하강하고, 그 결과 분말 제제와 용액 제제가 서로 혼합되어서 용액 제제에 분말 제제가 용해된다(도7).
제제가 혼합 용해된 주사기의 안전덮개(4)를 제거하고, 몸체(1) 및 발사관(3)을 잡고 내피(2)의 앞부분을 몸에 대고 앞으로 밀면 화살대(17)가 안쪽으로 오므라들면서 압축되어 있던 2차 스프링(11)의 힘에 의해 2단계 작동이 시작된다.
2단계 작동이 시작되면 2차 스프링(11)의 힘에 의해 밀대(16)가 피스톤(15)을 밀게되고, 힘을 받은 피스톤(15)은 용액용기(10) 내부로 밀려 내려가기 전에 내피(2)의 내부 턱(27)에 임시로 지지되어 있던 카트리지 조립체(A) 전체가 힘을 받아 밑으로 밀려 내려가며, 주사침 결합체(D)의 돌출부(34)는 내피(2)의 앞부분에 밀착되며, 주사침(50)은 주사침 보호관(20)을 뚫고 밖으로 빠져나간다(도8).
동시에 주사침 결합체(D)가 내피(2)의 앞부분에 받혀 멈추어진 상태에서 카트리지 조립체(A)가 계속 전진하면 주사침 결합체(D)의 뒤쪽으로 노출된 주사침(50)에 의해 앞마개(13)가 뚫리고, 피스톤(15)이 용액용기(10) 안으로 내려가면서 혼합 용액(주사액)을 피주사체로 방출시킨다(도8).
피스톤(15)이 0-링(14)과 함께 용액용기(10)의 저면에 도달하면 혼합용액, 즉 주사액은 피주사체 안으로 완전히 방출되어서 자동주사가 완료된다(도9).
본 발명의 자동 2-격실 주사기는 안전띠(5)를 제거하여 자동적으로 제제분말이 용액에 용해되도록 하는 단계와 안전덮개(4)를 제거하고 주사침을 하방으로 밀어주는 단계 만으로 자동적으로 주사할 수 있는 것이므로 매우 쉽게 사용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주사기는 카트리지 조립체(A), 몸체 조립체(B), 스프링 조립체(C) 및 주사침 조립체(D)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조립하기가 용이하며, 또 1차 스프링과 2차 스프링이 압축된 상태로 부터 해제되는 과정중에 일어나는 직진운동에 의하여 주사기의 2단계 작용이 이루어지도록 된 것이므로 구조가 비교적 간단하다.
또 본 발명의 주사침이 사용할 때 까지는 용액과 격리되어 있으므로 부식될 염려가 없어서 장기간에 걸쳐서 위생적으로 보관할 수 있다.

Claims (9)

  1. 액체용기(10)와 분말용기(9)를 가지며 전방에 주사침 조립체(D)를 연결시킨 카트리지 조립체(A)가 내피(2)에 끼워져 있고, 상기 내피(2)는 몸체(1) 안에서 압축상태의 1차 스프링(8)으로 지지되어 있으며, 받침대(16)와 화살대(17)를 가진 밀대(18)가 스프링집(6) 안에서 압축된 2차 스프링(11)으로 지지된체로 발사관(3)에 끼워져 있는 스프링 조립체(C)는 그 하단부가 몸체(1)의 상단부와 결합되어 있으며, 몸체(1)의 하단부와 내피(2)의 홈(42)에는 안전띠(5)가 끼워져 있으며, 그리고 발사관(3)의 상단부에는 화살대(17)의 첨단부를 지지하고 있는 안전덮개(4)가 제거 가능하도록 복개되어 있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2-격실 주사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액체용기(10)는 그 하부가 0-링(14)으로 지지되어 있는 격막봉(19)의 격막(19')로 밀봉되어 있고, 그 상부는 피스톤(15)으로 막혀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2-격실 주사기
  3. 제 1 항에 있어서, 격막봉(19)의 상단부가 받침대(18)의 단부와 접촉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2-격실 주사기
  4. 제 1 항에 있어서, 분말용기(9)는 그 출구가 부드러운 재질로 되어 있는 앞마개(13)의 얇은 막(13')으로 막혀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2-격실 주사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주사침 조립체(D)는 그 중앙부에 주사침(50)이 관통되어 있으며, 주사침(50)의 후단부는 앞마개(13)의 안쪽으로 돌출되어 있고, 주사침(50)의 선단부는 주사침 보호관(20)으로 보호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2-격실 주사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스프링집(6)에는 금속링(21)이 끼워져 있고, 여기에 화살대(17)의 첨단부가 얹혀져 있으며, 화살대(17)에는 안전핀(4')이 삽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2-격실 주사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안전덮개(4)의 고정턱(40)이 발사관(3)의 걸림홈(40)에 걸려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2-격실 주사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안전띠(5)는 내피(2)의 홈(42)에 끼어지는 돌기(48)와 손잡이(49)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2-격실 주사기
  9. 제 6 항에 있어서, 화살대(17)는 두개의 화살대(17')(17')가 십자형으로 조립되어 있고, 틈(17)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2-격실 주사기
KR1020000004456A 2000-01-29 2000-01-29 자동 2-격실 주사기 KR1003402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4456A KR100340287B1 (ko) 2000-01-29 2000-01-29 자동 2-격실 주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4456A KR100340287B1 (ko) 2000-01-29 2000-01-29 자동 2-격실 주사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6972A KR20010076972A (ko) 2001-08-17
KR100340287B1 true KR100340287B1 (ko) 2002-06-12

Family

ID=196427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04456A KR100340287B1 (ko) 2000-01-29 2000-01-29 자동 2-격실 주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4028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56808A1 (en) * 2012-04-19 2013-10-24 Jean Jacques Jaouen Reusable or one time use multi-compartment mixing and dispensing applicator tube or special spouted pouch with a sliding clamp
KR101508217B1 (ko) 2014-12-26 2015-04-07 삼양화학공업주식회사 2-격실 주사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83164A (en) * 1987-04-14 1991-01-08 Astra Meditec Ab Automatic two-chamber injector
US5041088A (en) * 1988-08-23 1991-08-20 Medimech International Ltd. Multiple chamber automatic injector
KR940006107A (ko) * 1992-08-19 1994-03-23 세끼자와 다다시 자기디스크간 자기헤드입이 용이한 자기 디스크장치
US5569192A (en) * 1992-03-27 1996-10-29 Duphar International Research B.V. Automatic injecto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83164A (en) * 1987-04-14 1991-01-08 Astra Meditec Ab Automatic two-chamber injector
US5041088A (en) * 1988-08-23 1991-08-20 Medimech International Ltd. Multiple chamber automatic injector
US5569192A (en) * 1992-03-27 1996-10-29 Duphar International Research B.V. Automatic injector
KR940006107A (ko) * 1992-08-19 1994-03-23 세끼자와 다다시 자기디스크간 자기헤드입이 용이한 자기 디스크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56808A1 (en) * 2012-04-19 2013-10-24 Jean Jacques Jaouen Reusable or one time use multi-compartment mixing and dispensing applicator tube or special spouted pouch with a sliding clamp
KR101508217B1 (ko) 2014-12-26 2015-04-07 삼양화학공업주식회사 2-격실 주사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6972A (ko) 2001-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69192A (en) Automatic injector
EP1324790B1 (en) Wet/dry automatic injector assembly
CA2425143C (en) Wet/dry automatic injector assembly
JP5599394B2 (ja) 格納式注射器
US6203530B1 (en) Auto-injection device
JP4153503B2 (ja) 引き込み可能な歯科用シリンジに用いられるカルプル
US5665071A (en) Reloadable automatic or manual emergency injection system
KR940006107B1 (ko) 자동약제성분 혼합 및 주사장치
JPH0460673B2 (ko)
EP0197625A1 (en) Hypodermic injection apparatus
WO1995031235A1 (en) Modular automatic or manual emergency medicine injection system
CZ202997A3 (cs) Kombinace ovládacího ústrojí a kazety
JPH03118072A (ja) 自動注射器
IL197317A (en) Scramble feature for drug release system
WO1994009839A1 (en) Automatic two-chamber injector
KR100340287B1 (ko) 자동 2-격실 주사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9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9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9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9

Year of fee payment: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9

Year of fee payment: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