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39851B1 - 페이퍼드레인장치에 있어서 드레인케이싱 인입 또는 인발용 와이어 권선방법 - Google Patents

페이퍼드레인장치에 있어서 드레인케이싱 인입 또는 인발용 와이어 권선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39851B1
KR100339851B1 KR1019990022793A KR19990022793A KR100339851B1 KR 100339851 B1 KR100339851 B1 KR 100339851B1 KR 1019990022793 A KR1019990022793 A KR 1019990022793A KR 19990022793 A KR19990022793 A KR 19990022793A KR 100339851 B1 KR100339851 B1 KR 1003398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lley
box
drain
casing
wi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227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02807A (ko
Inventor
최균영
Original Assignee
최균영
초석건설산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균영, 초석건설산업(주) filed Critical 최균영
Priority to KR10199900227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39851B1/ko
Publication of KR200100028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28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98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9851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00Improving or preserving soil or rock, e.g. preserving permafrost soil
    • E02D3/02Improving by compacting
    • E02D3/10Improving by compacting by watering, draining, de-aerating or blasting, e.g. by installing sand or wick drains
    • E02D3/103Improving by compacting by watering, draining, de-aerating or blasting, e.g. by installing sand or wick drains by installing wick drains or sand 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28Other constructional details
    • B66D1/40Control devices
    • B66D1/48Control devices automatic
    • B66D1/50Control devices automatic for maintaining predetermined rope, cable, or chain tension, e.g. in ropes or cables for towing craft, in chains for anchors; Warping or mooring winch-cable tension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vestigation Of Foundation Soil And Reinforcement Of Foundation Soil By Compacting Or Drain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종래의 페이터드레인장치와는 와이어권선방법을 달리하므로써 페이퍼드래인장치의 구조 및 무게에는 큰 변화를 주지않으면서도 50m깊이의 페이퍼 매설작업을 가능하게 하였으며, 또한 드레인케이싱을 지중에 매설하기 위해 인입용 와이어를 당길 때 인입용와이어 고정단과 견인용활차를 지렛대로 하여 드레인케이싱의 상단에 형성된 인입용활차를 당기므로 드레인케이싱은 양쪽에서 균일한 힘으로 당기는 것과 같은 결과가 되어 편심력이 작용하지 않는 상태로 지중에 인입되도록 하므로써 페이퍼 매설작업을 용이하게 한 것이다.

Description

페이퍼드레인장치에 있어서 드레인케이싱 인입 또는 인발용 와이어권선 방법{A Wire Winding Method for Pulling Drain Casing in PaperDrain Equipment}
본 발명은 페이퍼드레인장치에 있어서 페이퍼를 매설하기 위한 드레인케이싱의 인입 또는 인발하기 위해 권선되는 와이어의 권선방법에 관한 것이다.
페이퍼드레인장치는 간척지나 수분을 많이 함유하는 연약한 지반을 다지기 위한 장치로, 내부가 빈 파이프형태의 드레인케이싱에 투수성(透水性) 페이퍼(paper)를 내삽한 후 상기 드레인케이싱을 인입하기 위한 여러 가지 수단, 즉 드레인케이싱 견인수단 및 활차, 와이어등에 의해 당겨서 땅속에 박고 페이퍼만 남긴 상태로 드레인케이싱을 인발하므로써 지중(地中)에 페이퍼를 매설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페이퍼는 지중의 수분을 지상으로 배출시켜 지반을 점차 견고하게 하는 것이다.
또 페이퍼드레인장치의 구조는 크게 드레인하부장치(A)와, 상기 드레인장치 상단에 설치되는 지지골조(B)와, 상기 지지골조의 전면에 부착되어 드레인케이싱을 지지하기 위한 케이싱용 레일(D)과, 상기 레일수단을 따라 내장된 페이퍼를 물고 땅속(지중)으로 인입되는 드레인케이싱(C)과, 상기 지지골조의 하부에 형성되어 드레인케이싱을 지지하기 위한 케이싱지지구(E)과, 활차 및 와이어, 유압실린더(G)로 구성되어 상기 드레인케이싱을 지중에 인입시키거나, 인발시키기 위한 인입 또는 인발수단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페이퍼드레인장치는 지중에 드레인케이싱을 얼마정도의 깊이로 박을 수 있으냐에 따라 페이퍼매설 작업능력이 결정되어지며, 드레인케이싱의 매설깊이는 곧 페이퍼드레인장치의 제작업체의 기술력을 측정하는 기준이 되기도 한다.
현재까지는 약 30m정도 높이의 지지골조를 구비하는 페이퍼드레인장치에 의해 페이퍼 매설작업을 해왔으며, 따라서 페이퍼매설깊이도 30m를 넘을 수 없는 것이었다.
즉 지금 사용되고 있는 페이퍼드레인장치의 인입 또는 인발수단은 도 5에 도시한 바와같이 드레인케이싱의 상단에 형성된 와이어고정단에 인입용 와이어와 인발용 와이어를 고정하여 상기 인발용 와이어는 탑활차에 권선하고, 또 상기 인입용 와이어는 견인용 활차에 권선한 다음, 이를 상부고정활차박스와 이동용 고정활차박스, 하부고정활차박스를 거쳐 상기 인발용 와이어와 인입용 와이어가 다시 연결되도록 하는 구성을 갖는다.
따라서 그러나 상기한 방법은 케이싱가이드수단에 형성된 하나의 견인용 활차에 의해 고정단을 직접 당겨 드레인케이싱을 지중에 매설하는 방법이므로, 이는 드레인케이싱 인입(引入)시 드레인케이싱이 한쪽으로만 당겨지게 되고, 이로인해 드레인케이싱에 편심력이 작용하므로써 레일에 드레인케이싱이 접촉하게되어 드레인케이싱의 이송이 용이하지 못하게 되며, 드레인케이싱이 휠 우려가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상부고정용 활차박스 및 하부고정용 활차박스, 이동용활차박스 등에 형성되어 있는 활차의 권선방법이 약 20∼30m의 행정거리만 가능하도록 권선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50m까지 다져야 하는 연약지반의 경우는 페이퍼매설작업을 전혀 할 수 없는 상태이다.
따라서 50m깊이의 페이퍼 매설작업을 가능하게 하는 드레인장치의 개발을 위해 모든 업체가 노력하고 있는 실정이나, 그렇다고 무작정 지지골조의 높이와 드레인케이싱의 길이는 늘이는 것만으로는 상기와 같은 문제는 해결되지 않으며, 오히려 문제를 야기하는 결과를 가져오게 된다. 즉 드레인케이싱의 길이를 늘이기 위해서는 지지골조의 높이를 키워야 하는데 이는 지지골조를 지지하는 드레인하부장치의 무게 증가가 필연적이고, 이로인해 드레인장치의 기동력이 떨어지게 되어 작업효율이 현저하게 저하되는 폐단을 갖게 되는 것이다.
또한 길어진 드레인케이싱의 행정거리만큼 이를 견인하기 위한 인입용 또는 인발용 와이어의 길이도 길어져야 하며, 상기 와이어의 인입과 인발길이를 늘이기 위해서는 와이어가 감겨있는 활차들의 권선방법을 달리하여야만 한다.
본 발명은 종래의 페이퍼드레인장치가 가지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50m깊이의 페이퍼 매설작업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드레인케이싱의 길이를 늘이고, 상기 길어진 드레인케이싱의 행정거리만큼 이를 견인하기 위한 인입용 또는 인발용 와이어의 길이도 늘이기 위하여 페이퍼드레인장치의 활차에 권선되는 와이어들의 권선방법을 달리하여 이를 가능하게 하였다.
도 1 은 본 발명 와이어권선방법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 페이퍼드레인장치의 개략적인 사용상태참고도.
도 3 는 본 발명 드레인케이싱 인입 또는 인발용 와이어권선방법의 일부를 보이기 위한 참고도.
도 4 는 도 3의 개략적인 정면도.
도 5 는 종래 드레인케이싱의 인입 또는 인발용 와이어권선방법의 일부를 보이기 위한 개략적인 참고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인발(引拔)용 와이어 2: 인입(引入)용 와이어
10: 인발용 와이어고정단 20: 탑활차
30: 이동용 활차박스 40: 상부고정용 활차박스
50: 하부고정용 활차박스 60: 인입용 와이어고정단
70: 인입용 활차 80: 견인(牽引)용 활차
90: 인입와이어 텐션조절용 유압실린더
100: 인발와이어 텐션조절용 유압실린더
A: 드레인하부장치 B: 지지골조
C: 드레인케이싱 D: 케이싱용 레일
E: 케이싱지지구 F: 케이싱견인구
G: 이동용 활차박스 구동용 유압실린더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이기 위한 개략적인 구성도로써, 본 발명은 드레인하부장치(A)와, 상기 드레인장치 상단에 설치되는 지지골조(B)와, 상기 지지골조의 전면에 부착되어 드레인케이싱을 지지하기 위한 케이싱용 레일(D)과, 상기 레일수단을 따라 내장된 페이퍼를 물고 땅속(지중)으로 인입되는 드레인케이싱(C)과, 상기 지지골조의 하부에 형성되어 드레인케이싱을 지지하기 위한 케이싱지지구(E)과, 활차 및 인입 또는 인발용 와이어, 유압실린더(G)로 구성되어 상기 드레인케이싱을 지중에 인입시키거나, 인발시키기 위한 인입 또는 인발수단으로 이루어지는 페이퍼드레인장치의 와이어권선방법에 있어서 상기 드레인케이싱(C)를 인발하기 위한 인발용 와이어(1)를 인발용와이어 고정단(10)에 고정한 상태로 탑활차(20)에 권선되도록 하고, 상기 탑활차(20)에 감긴 인발용와이어(1)를 이동용 활차박스(30)의 3번축(31) 33a활차에 권선한 다음, 상부고정용 활차박스(40)의 활차축(41) 41a활차에 권선되도록 한다.
상기 인발용와이어(1)를 다시 이동용 활차박스(30)의 3번축(31) 33b활차에 권선하고, 상부고정활차박스(40)의 41b활차에 권선한 다음, 이동용 활차박스(30)의 33c활차를 거쳐 상부고정용 활차박스(40)의 41c활차에 권선하고, 이를 다시 이동용 활차박스(30)의 33d활차에 권선한 다음, 고정용 활차(42)를 거쳐 인발와이어 텐션조절용 유압실린더(100)에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드레인케이싱(C)를 인입하기 위한 인입용 와이어(2)의 일단은 케이싱지지구(E)의 일측에 형성된 인입용와이어 고정단(60)에 고정한 상태로 인입용 활차(70)에 권선되도록 하고, 이를 다시 케이싱지지구(E)의 타측에 형성된 견인용 활차(80)에 권선한 다음, 이동용 활차박스(30)의 1번축(31) 31a활차에 먼저 권선하고, 다시 하부고정용 활차박스(50)의 1번축(51) 51a활차에 권선하며, 다시 이동용 활차박스(30)의 31b활차에 권선하고, 하부고정용 활차박스(50)의 51b활차에 권선한다.
다시 이동용 활차박스(30)의 31c활차에 권선된 인입용 와이어(2)는 하부고정용 활차박스(50)의 51c활차와, 이동용 활차박스(30)의 31d활차를 거쳐 하부고정용 활차박스(50)의 3번축(53) 53a활차에 권선한 다음, 이동용 활차박스(30)의 2번축(32) 32d활차에 권선한다.
상기 인입용 와이어(2)는 다시 하부고정용 활차박스(50)의 2번축(52) 52c활차와, 이동용 활차박스(30)의 32c활차와, 하부고정용 활차박스(50)의 52b활차와, 이동용 활차박스(30)의 32b활차와, 하부고정용 활차박스(50)의 52a활차와, 이동용 활차박스(30)의 32a활차를 거쳐 인입와이어 텐션조절용 유압실린더(90)에 고정하는 것이다.
이처럼 권선된 인입용 또는 인발용 와이어(1,2)는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드레인하부장치(A)의 상단에 고정된 상태로 지지골조(B) 내부에 장착된 유압실린더(G)에 의해 구동되어 상하로 이동되는 이동용 활차박스(30)에 의해 견인되므로써 드레인케이싱(C)를 땅속에 박거나 빼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길이만 늘이고, 폭이 가급적 늘이지 않아 매우 한정될 수 밖에 없는 지지골조(B)내의 내부공간에서 가장 효율적으로 드레인케이싱(C)을 인입 또는 인발할 수 있도록 와이어를 권선하므로써 드레인하부장치(A)에 큰 무리를 주지 않으면서 드레인케이싱(C)의 행정거리를 50m까지 이동할 수 있도록 하였고, 또한 상기 인입용 와이어(2)를 이동용 활차박스(30)에 의해 당길 때 케이싱지지구(E)의 일측에 형성된 인입용와이어 고정단(60)에 고정되어 있는 인입용 와이어(2)는 상기 인입용와이어 고정단(60)과 케이싱지지구(E)의 타측에 형성된 견인용활차(80)를 지렛대로 하여 드레인케이싱(C)의 상단에 고정된 인입용활차(70)를 당기게 되므로 드레인케이싱(C)은 양쪽에서 균일한 힘으로 당기는 것과 같은 결과가 되어 드레인케이싱(C)에 편심력이 작용하지 않는 상태로 지중에 인입되어지므로 견인작업이 원활해지며, 드레인케이싱(C)이 레일(D)에 접촉하지 않게 되어 인입작업이 용이하고, 드레인케이싱(C)이 휠 우려가 없어 보다 큰힘이 드레인케이싱에 전달될 수 있으므로 견고한 지반에서의 페이퍼드레인작업도 가능한 효과를 갖는 것이다.
이처럼 본 발명은 종래의 페이터드레인장치와는 와이어권선방법을 달리하므로써 페이퍼드래인장치의 구조 및 무게에는 큰 변화를 주지않으면서도 50m깊이의 페이퍼 매설작업을 가능하게 하였으며, 또한 드레인케이싱을 지중에 매설하기 위해 인입용 와이어를 당길 때 인입용와이어 고정단과 견인용활차를 지렛대로 하여 드레인케이싱의 상단에 형성된 인입용활차를 당기므로 드레인케이싱은 양쪽에서 균일한힘으로 당기는 것과 같은 결과가 되어 편심력이 작용하지 않는 상태로 지중에 인입되어지므로 견인작업이 원활해지며, 드레인케이싱이 레일에 접촉하지 않고, 될 우려가 없으므로 보다 큰힘이 드레인케이싱에 전달되어 견고한 지반에서의 페이퍼 매설작업도 가능한 효과를 갖는 것이다.

Claims (1)

  1. 드레인하부장치(A)와, 상기 드레인장치 상단에 설치되는 지지골조(B)와, 상기 지지골조의 전면에 부착되어 드레인케이싱을 지지하기 위한 케이싱용 레일(D)과, 상기 레일수단을 따라 내장된 페이퍼를 물고 땅속(지중)으로 인입되는 드레인케이싱(C)과, 상기 지지골조의 하부에 형성되어 드레인케이싱을 지지하기 위한 케이싱지지구(E)과, 활차 및 인입 또는 인발용 와이어, 유압실린더(G)로 구성되어 상기 드레인케이싱을 지중에 인입시키거나, 인발시키기 위한 인입 또는 인발수단으로 이루어지는 페이퍼드레인장치의 와이어권선방법에 있어서 상기 드레인케이싱(C)를 인발하기 위한 인발용 와이어(1)를 인발용와이어 고정단(10)에 고정한 상태로 탑활차(20)에 권선되도록 하고, 상기 탑활차(20)에 감긴 인발용와이어(1)를 이동용 활차박스(30)의 3번축(31) 33a활차에 권선한 다음, 상부고정용 활차박스(40)의 활차축(41) 41a활차에 권선되도록 하며, 상기 인발용와이어(1)를 다시 이동용 활차박스(30)의 3번축(31) 33b활차에 권선하고, 상부고정활차박스(40)의 41b활차에 권선한 다음, 이동용 활차박스(30)의 33c활차를 거쳐 상부고정용 활차박스(40)의 41c활차에 권선하고, 이를 다시 이동용 활차박스(30)의 33d활차에 권선한 다음, 고정용 활차(42)를 거쳐 인발와이어 텐션조절용 유압실린더(100)에 고정되도록 하며, 상기 드레인케이싱(C)를 인입하기 위한 인입용 와이어(2)의 일단은 케이싱지지구(E)의 일측에 형성된 인입용와이어 고정단(60)에 고정한 상태로 인입용 활차(70)에 권선되도록 하고, 이를 다시 케이싱지지구(E)의 타측에 형성된 견인용활차(80)에 권선한 다음 이동용 활차박스(30)의 1번축(31) 31a활차에 먼저 권선하고, 다시 하부고정용 활차박스(50)의 1번축(51) 51a활차에 권선하며, 다시 이동용 활차박스(30)의 31b활차에 권선하고, 하부고정용 활차박스(50)의 51b활차에 권선하며, 이를 다시 이동용 활차박스(30)의 31c활차에 권선한 다음, 하부고정용 활차박스(50)의 51c활차와, 이동용 활차박스(30)의 31d활차를 거쳐 하부고정용 활차박스(50)의 3번축(53) 53a활차에 권선하고, 이를 다시 이동용 활차박스(30)의 2번축(32) 32d활차에 권선하며, 하부고정용 활차박스(50)의 2번축(52) 52c활차와, 이동용 활차박스(30)의 32c활차와, 하부고정용 활차박스(50)의 52b활차와, 이동용 활차박스(30)의 32b활차와, 하부고정용 활차박스(50)의 52a활차와, 이동용 활차박스(30)의 32a활차를 거쳐 인입와이어 텐션조절용 유압실린더(90)에 고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퍼드레인장치에 있어서 드레인케이싱 인입 또는 인발용 와이어권선방법.
KR1019990022793A 1999-06-12 1999-06-12 페이퍼드레인장치에 있어서 드레인케이싱 인입 또는 인발용 와이어 권선방법 KR1003398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2793A KR100339851B1 (ko) 1999-06-12 1999-06-12 페이퍼드레인장치에 있어서 드레인케이싱 인입 또는 인발용 와이어 권선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2793A KR100339851B1 (ko) 1999-06-12 1999-06-12 페이퍼드레인장치에 있어서 드레인케이싱 인입 또는 인발용 와이어 권선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2807A KR20010002807A (ko) 2001-01-15
KR100339851B1 true KR100339851B1 (ko) 2002-06-05

Family

ID=195931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22793A KR100339851B1 (ko) 1999-06-12 1999-06-12 페이퍼드레인장치에 있어서 드레인케이싱 인입 또는 인발용 와이어 권선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3985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41554A (ko) * 1996-10-02 1996-12-19 배병갑 연약지반 개량용 크레인의 드레인재 보조압입장치
KR19980019633U (ko) * 1996-10-05 1998-07-15 이두연 항타기의 해머 및 오거 안내활차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41554A (ko) * 1996-10-02 1996-12-19 배병갑 연약지반 개량용 크레인의 드레인재 보조압입장치
KR19980019633U (ko) * 1996-10-05 1998-07-15 이두연 항타기의 해머 및 오거 안내활차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2807A (ko) 2001-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S62189215A (ja) 排水用芯の挿入設備
KR100703620B1 (ko) 토양 작업을 위한 절단기 및 방법
KR100839751B1 (ko) 앵커플레이트 없이 드레인재를 지중에 매설하는 드레인재타설장치
ATE417961T1 (de) Hebevorrichtung
KR100339851B1 (ko) 페이퍼드레인장치에 있어서 드레인케이싱 인입 또는 인발용 와이어 권선방법
NO301384B1 (no) Anordning ved åk i et heisesystem for et boretårn
FI980681A0 (fi) Anordning i en fiberbelaeggningslinje
CN113152501A (zh) 一种电网土建节能排水装置
AU2712588A (en) Process and device for laying a foundation by prestressing the ground
JP3927550B2 (ja) トンネル履工のアーチクラウン部のコンクリート締め固め装置
PT1102374E (pt) Dispositivo tensor de cabos electricos
KR100306067B1 (ko) 드레인재 시공기
KR200252270Y1 (ko) 페이퍼드레인장치에 있어서 드레인케이싱 견인용 활차 설치구조
CN1112486C (zh) 现场灌注混凝土桩的施工设备
KR100839729B1 (ko) 앵커플레이트 없이 드레인재를 지중에 매설하는 드레인재타설장치
CN107653844A (zh) 一种中小型渠道混凝土简易自动成型机
KR100727312B1 (ko) 유압진동 토사 슬러지 탈수장치
FI76858B (fi) Foerfarande och anordning foer framstaellning av betongpaolar, som skall gjutas pao plats.
JP2779912B2 (ja) アンカー打設装置
DE59402875D1 (de) Anordnung zum Ankuppeln eines Seiles einer Hebevorrichtung an ein Fertigteil
KR200180865Y1 (ko) 연약지반 배수장치
KR200163566Y1 (ko) 페이퍼드레인보드시공장치
SU747974A1 (ru) Бурова виброустановка
CN220138718U (zh) 一种用于电力施工的接地防护机构
ES2186622T3 (es) Proteccion de cables dielectrico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020919

Effective date: 200405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52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