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39378B1 -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 Google Patents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39378B1
KR100339378B1 KR1019990044071A KR19990044071A KR100339378B1 KR 100339378 B1 KR100339378 B1 KR 100339378B1 KR 1019990044071 A KR1019990044071 A KR 1019990044071A KR 19990044071 A KR19990044071 A KR 19990044071A KR 100339378 B1 KR100339378 B1 KR 1003393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electron beam
ray tube
electron gun
cathode r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440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36882A (ko
Inventor
이수근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900440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39378B1/ko
Publication of KR200100368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368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93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937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46Arrangements of electrodes and associated parts for generating or controlling the ray or beam, e.g. electron-optical arrangement
    • H01J29/48Electron guns
    • H01J29/488Schematic arrangements of the electrodes for beam forming; Place and form of the elecrodes

Landscapes

  • Cathode-Ray Tubes And Fluorescent Screens For Displa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칼라 음극선관 또는 고정세도 산업용 모니터(Monitor)의 전자총에서 주렌즈를 형성하는 전극내의 인너전극 구조에 관한 것으로, 주렌즈의 집속력을 방향에 구애받지 않고 일정하게 유지하고 주렌즈 인너전극의 전자빔 통과공의 중심거리를 타전극과 동일하게 하므로 인해 전자총의 제작시 발생될 수 있는 미스 얼라인먼트에 의한 각종 수차를 제거하여 스크린에 형성되는 전자빔의 형상을 최적의 상태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전자빔을 방사하는 복수개의 음극과, 상기 전자빔의 방사량 조절을 위한 제 1 전극과 제 2 전극으로 구성된 삼극부와, 상기 전자빔을 화면에 집속하기 위한 주렌즈를 형성하는 포커스 전극과 애노드 전극으로 구성하되, 각각 주렌즈 형성전극의 상호 대향면이 구면수차의 영향을 줄이기 위해 세개의 전자빔에 공통인 큰 개구부와, 상기 개구부로부터 일정 거리 떨어진 지점에 위치된 인너전극으로 구성된 음극선관용 전자총에 있어서, 포커스 전극 또는 애노드 전극의 외곽 전자빔 통과공이 우호(優弧)부와, 상기 우호(優弧)부의 단부에는 원호의 내측으로 절결부를 갖으며, 상기 절결부 사이에 곡선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electron gun for color cathode ray tube}
본 발명은 칼라 음극선관 또는 고정세도 산업용 모니터(Monitor)에 사용되는 전자총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구체적으로는 전자총에서 주렌즈를 형성하는 전극내의 인너전극 구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칼라 음극선관의 횡단면도로서, 음극선관은 내측면에 적색, 녹색, 청색의 형광물질이 도포된 패널(1)과, 상기 패널의 내측면에 근접되게 설치되어 전자빔(2)의 색선별역할을 하는 섀도우마스크(3)와, 상기 패널의 후방에 고정되는 펀넬(4)과, 상기 펀넬의 네크부(4a)에 장착되어 전자빔(2)을 스크린측으로 주사하는 전자총(5)과, 상기 네크부의 외주면에 설치되어 전자총에서 발사된 전자빔을 수직 또는 수평방향으로 편향시키는 편향요크(6) 등으로 구성되어 그 내부가 10-7Torr 정도의 고진공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상기 음극선관에 적용되는 전자총(5)의 각 전극들은 음극에서 발생된 전자빔이 일정한 세기로 제어되어 스크린에 도달할 수 있도록 전자빔이 통과하는 경로상에 수직되게 인라인(In-line)으로 배치된다.
도 2는 유니 바이(Uni-Bi)형 다단집속 전자총을 나타낸 것으로, 상기 전자총(5)은 히터(도시는 생략함)가 각각 내장되고 상호 독립되게 수평으로 나란히 배치된 3개의 음극(7)과, 상기 음극으로부터 일정 간격이 유지되게 배치되어 음극에서 발생되는 열전자를 제어하는 제 1 전극(8)과, 상기 제 1 전극으로부터 일정간격이 유지되게 배치되어 음극(7)의 전자 방사물질면(도시는 생략함)에 모여 있는 열전자를 당겨내어 가속시키는 역할을 하는 제 2 전극(9)과, 상기 전자빔을 패널(1)에 도포된 형광면(10)에 집속시키기 위한 주정전 집속렌즈를 형성하도록 관축방향으로 제 3 전극(11), 제 4 전극(12), 포커스 전극(13) 그리고 애노드 전극(14)이 일정 간격을 두고 순차적으로 배치되어 있고, 상기 애노드 전극(14)의 상부에는 쉴드컵(15)이 고정되어 이들이 절연성물질인 비드 글라스(16)에 의해 일정 간격을 유지한 채 고정되어 있다.
상기한 구조를 갖는 전자총(5)의 음극(7)에서 출발한 전자빔(2)이 화면에 도달하는 과정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음극(7)에 내장된 히터가 스템핀으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발열하면 상기 발열에 의해 음극(7)에서 전자가 방출되는데, 이렇게 방출되는 전자빔(2)은 제어전극인 제 1 전극(8)에 의해 그 양이 제어되고 가속전극인 제 2 전극(9)에 의해 가속된다.
상기 제 2 전극(9)과 제 4 전극(12)에 약 1,000 V 이하의 전압이 인가되고, 상기 제 3 전극(11)과 포커스 전극(13)에는 애노드 전극(14)에 인가되는 전압의 약 20 ∼ 40%에 해당하는 전압이 인가된다.
상기 전자빔(2)은 이들 제 2 전극(9), 제 3 전극(11)사이에 형성된 정전렌즈와 제 3 전극(11), 제 4 전극(12) 그리고 포커스전극(13)사이에 형성되는 전단집속렌즈에 의해 일부 집속 및 가속되는데, 이 때 전자빔이 주렌즈측으로 입사하는 입사각이 결정된다.
상기 애노드전극(14)에 약 20,000 ∼ 35,000 V 의 고전압을 인가하고 애노드전극(14)과 약 0.8 ∼ 1.3mm 간격을 두고 설치된 포커스전극(13)에는 애노드전극(14)의 약 20 ∼ 40%에 해당하는 전압을 인가하면 두 전극사이에 주정전 집속렌즈(주렌즈)가 형성되므로 전자빔이 주렌즈를 통과하면서 주집속 및 가속된다.
이렇게 주집속 및 가속된 전자빔(2)은 형광면(10)에 근접되게 설치된 섀도우마스크(3)를 통과하면서 색선별되어 형광면(10)에 충돌하여 형광체를 발광시키게 되므로 화면이 재현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전자총(5)에서 방출된 전자빔(2)이 전자총을 떠나 스크린측으로 진행시 네크부(4a)에 설치된 편향요크(6)가 전자빔을 화면의 전 영역에 걸쳐 수직 및 수평방향으로 편향시켜 준다.
상기한 바와 같은 동작으로 음극(7)내의 열전자가 주정전 집속렌즈에 의해 집속되어 스크린을 형성하는데, 이 때 스크린에서 전자빔 스폿의 선예도(Sharpness)는 다음 3가지 성분에 의해 좌우된다.
여기서, Dx : 주정전 집속렌즈의 배율에 의한 크로스 오버점의 확대성분
Dsa : 주렌즈 구면수차에 의한 전자빔 분산성분
Dsc : 공간 전하효과에 의한 전자빔 분산성분
이들 중 특히 구면수차는 전자총의 포커스특성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구면수차를 저감하고 해상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실효 대구경 전자총을 사용하는데, 도 3에 일반적인 실효 대구경 전자총에서 주정전 집속렌즈부의 일 예를 나타내었다.
상기 도면은 이해를 도모하기 위해 분해하여 나타내었으나, 실제는 포커스전극(13)과 애노드전극(14)이 서로 대향하는 구조이다.
상기 포커스전극(13)에 세 전자빔이 공통으로 통과하는 레이스 트랙 형태 등의 공통 개구부(17)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포커스전극(13)의 내부에는 3개의 독립된 전자빔 통과공(18a)이 형성된 인너전극(18)이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포커스전극(13)과 0.8 ∼ 1.3mm 의 간격을 갖고 대향되게 위치하는 애노드전극(14)에 세 전자빔이 공통으로 통과하는 도그 본(dog bone)형태 등의 공통 개구부(19)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애노드전극(14)의 내부에는 3개의 독립된 전자빔 통과공(20a)이 형성된 인너전극(20)이 고정되어 있다.
상기 애노드전극(14)에 약 20,000 ∼ 35,000 V 의 고전압을 인가하고 포커스전극(13)에는 약 5,000 ∼ 10,000 V 의 전압을 인가하면, 상기 두 전극사이에 정전렌즈가 형성된다.
이 때, 포커스전극(13)과 애노드전극(14)에 형성된 각각의 개구부(17)(19)는 수평방향(세 전자빔의 배열방향) 직경보다 수직방향 직경이 작아 수직방향으로 보다 강한 집속력을 갖는다.
그리고 상기 포커스전극(13)과 애노드전극(14)의 개구부(17)(19)를 통해 침투한 약화된 전계는 각 전극내에 고정된 인너전극(18)(20)에 의해 수평 집속력을 갖는다.
또한, 외곽 전자빔(2a)(2c)들은 포커스전극(13)과 애노드전극(14)의 공통 개구부(17)(19)에 형성된 전계에 의해 중앙 전자빔(2b)을 향하여 모이게 되는데, 이를 '스테이틱 컨버젼스'라 일컫는다.
상기한 전계내에서 전자빔의 이동속도는 다음과 같은 수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v : 전자의 속도(m/sec)
e : 전자의 전하량(1.6 ×10-19Coulomb)
m : 전자의 질량(9.1 ×10-31Kg)
V : 전위(Volt)
상기한 바와 같은 식에 의하면 전계내에서 전자빔의 이동속도는 전압의 제곱근에 비례하므로 전자빔은 전위가 높은 애노드전극(14)내에서 더욱 빨리 움직이게 되고, 이에 따라 포커스전극(13)내에서 집속받는 시간보다 애노드전극(14)내에서 발산받는 시간이 짧아지게 된다.
즉, 애노드전극(14)에 의한 발산작용보다 포커스전극(13)에 의한 집속작용을 강하게 받는다.
상기 전자빔의 수평방향 집속은 인너전극(18)(20)에 의해 주로 제어되며, 수직방향의 집속은 개구부(17)(19)에 의해 제어되는데, 전자빔을 수직방향으로 적절히 집속하기 위해서는 애노드전극(14)의 개구부 수직경을 포커스전극(13)의 개구부수직경보다 작게 설계하여야 된다.
또한, 애노드전극(14)의 중앙 전자빔(2b) 위치의 개구부 수직경이 외곽 전자빔(2a)(2c) 위치의 개구부 수직경보다 작게 설계되어야만 중앙 전자빔(2b)과 외곽 전자빔(2a)(2c)간에 균등한 집속력을 얻을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외곽 전자빔(2a)(2c)들은 통과 경로의 비대칭성으로 인해 외곽 전자빔(2a)(2c)의 중심을 기준으로 중앙 전자빔 방향의 집속력과 그 반대방향의 집속력이 차이를 나타낸다.
즉, 외곽 전자빔들은 통과 경로상에 형성된 렌즈의 광학 중심을 지나지 않음으로 인한 수차성분을 겪게 되는데, 이를 코마(coma)수차라 일컫는다.
상기 외곽 전자빔(2a)(2c)의 코마수차를 해결하기 위해 주렌즈에서 많이 사용하는 수단은 인너전극(18)(20)의 외곽 전자빔 통과공들을 전자빔의 진행중심에서 내측 또는 외측으로 편심되게 설계하거나, 타원형으로 설계하고 있다.
종래 기술에 의한 전자총은 포커스 전극(13)의 개구부(17)가 좌우 외측이 반원인 레이스 트랙형상으로 되어 있고 애노드 전극(14)의 개구부(19)는 좌우 외측이 반원보다 큰원의 일부이며 중앙 전자빔 통과부의 수직경이 작은 도그 본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상기 각 전극(13)(14)의 내부에는 원형공 또는 비대칭공을 갖는 인너전극(18)(20)이 고정되어 있다.
이 때, 전자빔들은 인너전극(18)(20)에 의해 수평방향의 집속 및 발산작용을 받으며 개구부(17)(19)에 의해서는 수직방향의 집속 및 발산작용을 받는다.
도 4는 종래의 포커스 전극을 나타낸 정면도로서, 상기 포커스전극(13)의 개구부(17) 수평 끝단과 애노드전극(14)의 개구부(19) 수평 끝단은 최대 구경을 얻기 위해 일치시키고 있으나, 개구부의 수직경은 애노드전극(14)이 포커스전극(13)보다 작다.
상기 전극(13)(14)들의 개구부(17)(19)에 의한 수평방향의 집속 및 발산력은 개구부의 수직경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데, 포커스전극(13)에 형성된 개구부(17)의 수직경보다 애노드전극(14)에 형성된 개구부(19)의 수직경을 작게 하면 수직방향의 발산력이 증가하는 대신 대향하고 있던 포커스전극(13)의 개구부(17)로부터의 전계 유입이 약화되어 애노드측 인너전극(20)에 의한 수평방향의 발산력을 약화시킬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조를 갖는 전자총의 전극들을 배열하기 위하여는 단품전극 또는 단품전극을 용접한 용접전극들을 소정의 간격으로 유지시킨 상태에서 상기 각 전극의 양측으로 노출된 비드 써포터를 비드 글라스에 용융 매입하여 고정시키게 된다.
이 때, 각 전극들의 중심을 유지하기 위해 비딩 맨드릴(beading mandrel)을 사용하는데, 인너전극(18)(20)의 외곽 전자빔 통과공이 도 4의 'D'만큼 편심되어 있기 때문에 비딩 맨드릴 또한 편심되게 제작하고 있으나, 이로 인해 비딩 맨드릴의 제작시 오차가 발생된다.
그리고 비딩 맨드릴을 비딩 지그(beading jig)에 고정할 때, 비딩 맨드릴의 방향을 정확하게 유지하기 곤란하여 편심의 위치가 목표하는 위치에서 벗어나게 되고, 이로 인해 전자빔이 편측 할로(halo)를 나타내는 주요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또한, 종래의 전자총은 외곽 전자빔들이 수평 및 수직방향으로 스크린에서 적절히 집속하도록 설계 가능하나, 전자빔의 중심을 기준으로 임의의 각도에서 균일한 집속력을 갖도록 하는 수단이 구비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편측 할로 및 회전 비대칭적(rotational unsymmetry)인 집속력으로 인해 전자빔의 품위가 저하되는 결과를 초래하게 되었다.
이렇게 전자빔이 스크린의 중심에서 최적화되지 못하고 편향요크(6)에 의해 스크린의 주변부로 편향되면 그 오차 성분이 확대되어 스크린에 나타나므로 결국 스크린의 주변부에서의 해상도를 더욱 저하시키게 되었다.
도 5a 및 도 5b는 일본 공개 04315736호에 나타난 전자총의 주렌즈부로서, 도 5a에 표현된 작은 원호(R2)가 큰 원호(R1)와 직선(21)으로 연결된 구조로 되어 있는데, 상기한 구조의 주렌즈부에서는 작은 원호(R2)의 집속력이 약하여 전체적인 집속력의 균형을 유지하지 못하게 되므로 방향에 따른 차이를 나타내게 된다.
또한, 작은 원호(R2)가 외곽 전자빔 통과공의 중심으로부터 멀리 위치함에 따라 상기 방향의 집속력이 떨어져 회전대칭의 전자빔 집속력을 얻지 못하게 되므로 선명도가 떨어지게 된다.
도 6은 일본 공개 1074467호에 나타난 전자총의 주렌즈부로서, 하나의 큰 원호(R1)와, 이에 연속한 절결부(22)를 갖는 구조이다.
상기한 구조의 주렌즈부 역시 전술한 바와 같이 절결부(22)의 방향으로 약화된 집속력을 갖게 되므로 선명도를 저하시키게 된다.
그리고 구조적으로, 큰 원호(R1)를 더욱 증대시키면 중앙 전자빔 통과공과의 기구적인 거리로 인해 외곽 전자빔 통과공을 외측으로 더욱 편심시켜야만 되므로 편심된 비딩 맨드릴 사용에 따른 제작상의 오차가 더욱 심화시키는 결과를 초래하게 된다.
본 발명은 종래의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주렌즈의 집속력을 방향에 구애받지 않고 일정하게 유지하고 주렌즈 인너전극의 전자빔 통과공의 중심거리를 타전극과 동일하게 하므로 인해 전자총의 제작시 발생될 수 있는 미스 얼라인먼트(Mis-Alignment)에 의한 각종 수차를 제거하여 스크린에 형성되는 전자빔의 형상을 최적의 상태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형태에 따르면, 전자빔을 방사하는 복수개의 음극과, 상기 전자빔의 방사량 조절을 위한 제 1 전극과 제 2 전극으로 구성된 삼극부와, 상기 전자빔을 화면에 집속하기 위한 주렌즈를 형성하는 포커스 전극과 애노드 전극으로 구성하되, 각각 주렌즈 형성전극의 상호 대향면이 구면수차의 영향을 줄이기 위해 세개의 전자빔에 공통인 큰 개구부와, 상기 개구부로부터 일정 거리 떨어진 지점에 위치된 인너전극으로 구성된 음극선관용 전자총에 있어서, 포커스 전극 또는 애노드 전극의 외곽 전자빔 통과공이 우호(優弧)부와, 상기 우호(優弧)부의 단부에는 원호의 내측으로 절결부를 갖으며, 상기 절결부 사이에 곡선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이 제공된다.
도 1은 일반적인 칼라 음극선관의 횡단면도
도 2는 도 1에 적용되는 전자총의 구조를 일부 절결하여 나타낸 측면도
도 3은 실효 대구경 전자총에서 주렌즈 형성전극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종래의 포커스 전극을 나타낸 정면도
도 5a 및 도 5b는 종래 주렌즈부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 및 사시도
도 6은 종래 주렌즈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인너전극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인너전극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인너전극의 제 3 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인너전극의 제 4 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7 : 음극 8 : 제 1 전극
9 : 제 2 전극 13 : 포커스 전극
14 : 애노드 전극 17, 19 : 개구부
18, 20 : 인너전극 23 : 절취부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로 도시한 도 7 내지 도 10을 참고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설명하기에 앞서 기하학적인 용어를 정리하기로 한다. 원주상의 두점을 잇는 선분을 원호라 할때, 180도 미만의 각을 갖는 원호를 열호(劣弧)라 하고, 180도를 초과하는 각을 갖는 원호를 우호(優弧)라 하는바, 이하 설명에서 180도를 초과하는 각을 갖는 원호를 우호(優弧)부라 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인너전극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로서, 본 발명은 포커스측 인너전극(18)의 외곽 전자빔 통과공(18a)이 비딩 맨드릴을 이용하여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원의 일부(R1)와, 적어도 1개의 다른 반경을 갖는 원(R2) 또는 타원으로 구성되어 있다.
전자총의 조립 작업시 비딩 맨드릴과 접촉되는 부위를 우호(優弧)로 형성하여 비딩 맨드릴과 상하좌우로 충분히 접촉되도록 하므로서 위치변동이 최소화되도록 하여야 된다.
만약, 비딩 맨드릴과의 접촉부가 열호(劣弧)이면 수평 및 수직방향으로 인너전극(18)(20)을 지지할 수 없게 되고, 이를 정확히 반원으로 하면 수직방향의 위치는 고정할 수 있으나, 수평방향으로는 충분히 위치를 고정할 수 없어 설계한 공차범위 이상의 위치 오차를 갖게 된다.
그리고 포커스측 인너전극(13)의 외곽 전자빔 통과공(18a)이 원의 일부로 구성되어 있고 그 중심간 거리가 다른 전극들의 중심간 거리와 동일하게 되어 있으므로 전자총의 조립을 위한 비딩 맨드릴의 제작이 정확하고 용이해지게 된다.
또한, 비딩 맨드릴을 비딩 지그에 고정할 때 발생될 수 있는 비딩 맨드릴의 회전에 의한 부정확한 위치 설정과 전자총의 조립불량을 미연에 방지하게 된다.
한편, 비딩 맨드릴에 접촉하는 큰 원호(R1)를 연장한 가상원의 내부에 형성된, 큰 원호(R1)와는 연결되지 않은 작은 원(R2) 또는 타원을 사용하여 외곽 전자빔의 중심을 기준으로 중앙빔 방향에서의 전자빔 집속력을 강화하여 코마수차를 개선하도록 되어 있고, 사선방향으로 전극을 가까이 배치함에 있어 사선방향의 집속력을 강화하여 외곽 전자빔이 전체적으로 회전대칭의 집속력을 얻도록 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제작상의 제약에 의하여 도 7에 나타낸 외곽 전자빔 통과공(18a)(20a)에 위치한 작은 타원(R2)의 크기와 위치가 제한을 받게 된다.
전자총의 비딩공정에 의하여 여러개의 전자총 전극들을 순차적으로 적층한 다음 비딩 맨드릴을 이용하여 위치를 고정하므로 나중에 적층되는 전극의 구멍 치수가 먼저 적층된 전극의 구멍 치수보다 크다면 제작에 무리가 따른다.
따라서 이들 외곽 전자빔 통과공의 구멍 크기 및 위치는 나중에 적층될 전극들의 치수에 영향을 받게 된다.
도 7의 작은 타원은 일정거리 이상 외곽 전자빔 통과공의 중심에 가까이 있을 수 없으며, 타원의 크기 또한 마찬가지이다.
본 발명은 외곽 전자빔들이 기구적으로 보다 정확하게 배열되어 있어 편측 할로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고 전자 광학적인 렌즈의 형태도 회전대칭으로 할 수 있으므로 스크린에 형성되는 전자빔의 형상이 매우 균일해지게 된다.
또한, 편측할로가 적고 회전대칭적인 집속력을 갖으므로 전자빔들이 편향요크에 의해 스크린의 주변부로 편향될 때, 불필요한 오차의 증폭에 의한 화질 저하현상을 현저히 줄일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스크린의 전 영역에서 작고 뚜렷한 빔 스폿을 형성할 수 있게 되므로해상도를 향상시키게 된다.
상기 포커스측 인너전극(18)과 애노드측 인너전극(20)에 동일한 형상의 외곽 전자빔 통과공(18a)(20a)을 도 7과 같이 형성하여도 전술한 식에 의해 포커스 전극(13)을 통과하는 전자빔의 이동속도가 애노드 전극(14)을 통과할 때의 이동속도보다 느리므로 포커스측 인너전극(18)의 형상에 의한 집속력의 변화를 더 겪게 되고, 목적하는 회전대칭의 집속력을 얻을 수 있게 된다.
물론, 포커스측 인너전극(18)의 작은 원 또는 타원보다 애노드측 인너전극(20)의 작은 원 또는 타원을 크게 하거나, 외곽 전자빔 통과공의 중심으로부터 더 멀리 위치되도록 하면 더욱 강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 애노드측 인너전극(20)의 형상은 포커스측 인너전극(18)의 형상과 큰 차이가 없으므로 별도 표시는 하지 않았다.
도 9는 우호(優弧)부와 작은 타원에 각을 형성하여 연결한 인너전극의 제 3 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로서, 상기한 바와 같은 구조를 적용하면 비딩 맨드릴 또한 각을 주어 제작 가능하므로 좀 더 기구적으로 강한 구조를 얻을 수 있게 되므로 전자총의 제작시 정밀도를 확보하는데 더욱 유리하다.
도 10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인너전극의 제 4 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로서, 우호부(R1) 외측으로 절취부(23)를 형성하여 코마수차를 조절하는 별도의 수단을 구비한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외곽 전자빔에 대한 각 방향으로 집속력의 균형을 이루게 하며, 전자총의 조립시 발생되는 위치 결정오차를 억제하여 편측 할로를 없애 스크린에 형성되는 전자빔을 예리하게 할 수 있게 되므로 스크린의 전 영역에 걸쳐 해상도를 향상시키게 된다.

Claims (9)

  1. 전자빔을 방사하는 복수개의 음극과, 상기 전자빔의 방사량 조절을 위한 제 1 전극과 제 2 전극으로 구성된 삼극부와, 상기 전자빔을 화면에 집속하기 위한 주렌즈를 형성하는 포커스 전극과 애노드 전극으로 구성하되, 각각 주렌즈 형성전극의 상호 대향면이 구면수차의 영향을 줄이기 위해 세개의 전자빔에 공통인 큰 개구부와, 상기 개구부로부터 일정 거리 떨어진 지점에 위치된 인너전극으로 구성된 음극선관용 전자총에 있어서, 포커스 전극 또는 애노드 전극의 외곽 전자빔 통과공이 우호(優弧)부와, 상기 우호(優弧)부의 단부에는 원호의 내측으로 절결부를 갖으며, 상기 절결부 사이에 곡선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곡선부는 원 또는 타원의 일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3. 제 1 항에 있어서,
    중앙빔 통과공이 원 또는 타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포커스 전극과 애노드 전극에 고정된 인너전극이 동일한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포커스 전극과 애노드 전극에 고정된 인너전극의 전자빔 통과공 중심간 거리가 타전극의 전자빔 통과공 중심간 거리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우호(優弧)부 외측으로 절취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우호(優弧)부와 상기 곡선부는 직선으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우호(優弧)부가 곡선부에 비하여 반경이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9.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우호(優弧)부와 상기 곡선부는 상호 곡선으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KR1019990044071A 1999-10-12 1999-10-12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KR1003393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4071A KR100339378B1 (ko) 1999-10-12 1999-10-12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4071A KR100339378B1 (ko) 1999-10-12 1999-10-12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6882A KR20010036882A (ko) 2001-05-07
KR100339378B1 true KR100339378B1 (ko) 2002-06-03

Family

ID=196150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4071A KR100339378B1 (ko) 1999-10-12 1999-10-12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3937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96740A (ja) * 1994-03-01 1995-11-10 Hitachi Ltd カラー陰極線管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96740A (ja) * 1994-03-01 1995-11-10 Hitachi Ltd カラー陰極線管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6882A (ko) 2001-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51741A (en) Electron gun for color picture tube
US5512797A (en) Electron guns for color picture tube
KR970008566B1 (ko)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의 제2그리드
KR100339378B1 (ko)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US5506468A (en) Electron gun for color cathode-ray tube
JPH08138570A (ja) カラー陰極線管用電子銃口体
KR100355446B1 (ko)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JP3926953B2 (ja) カラー受像管
KR100189830B1 (ko) 칼라음극선관용 전자총
JPH0139187B2 (ko)
EP1361596B1 (en) In-line type electron gun and color picture tube apparatus using the same
KR100308051B1 (ko)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KR100459222B1 (ko) 음극선관용 전자총
KR960016259B1 (ko)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KR100224977B1 (ko) 칼라음극선관용 전자총
JP2602254B2 (ja) カラー受像管
KR19990086205A (ko)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KR100829734B1 (ko) 전극들과 이를 이용한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KR100546579B1 (ko)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_
KR200271015Y1 (ko)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KR100269395B1 (ko)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KR100339348B1 (ko) 칼라음극선관용 전자총
JP3360863B2 (ja) 受像管用電子銃
KR19990038711A (ko)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KR20010017583A (ko)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42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