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39339B1 - 전화기에서 음성 인식 기능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전화기에서 음성 인식 기능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39339B1
KR100339339B1 KR1019990047196A KR19990047196A KR100339339B1 KR 100339339 B1 KR100339339 B1 KR 100339339B1 KR 1019990047196 A KR1019990047196 A KR 1019990047196A KR 19990047196 A KR19990047196 A KR 19990047196A KR 100339339 B1 KR100339339 B1 KR 1003393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lephone
recognition function
voice recognition
input
k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471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38993A (ko
Inventor
정병선
Original Assignee
서평원
엘지정보통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평원, 엘지정보통신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평원
Priority to KR10199900471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39339B1/ko
Publication of KR200100389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389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93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933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04M1/27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 H04M1/271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controlled by voice recogn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4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using speech recogn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종래의 음성 인식 기능을 개선하여 보다 편리하게 음성 인식 기능을 실행할 수 있는 전화기에서 음성 인식 기능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음성 인식 기능 제어 방법은 사용자가 음성 인식 기능의 자동/수동/꺼짐(Automatic/Manual/Off)모드중 하나를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전화기가 후크 스위치로부터 들려졌거나, 또는 상기 전화기의 플립이 개방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 값에 따라 상기 자동 모드 또는 수동 모드의 음성 인식 기능을 선택적으로 실행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전화기에서 음성 인식 기능 제어 방법{Voice Recognition Function Operating Method in Telephone}
본 발명은 전화기에서 음성 인식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종래의 음성 인식 기능의 제어방식을 개선하여 사용자의 입장에서 보다 편리하게 음성 인식 기능을 실행하거나 필요시 사용자가 직접 중지하기에 적당하도록 한 전화기에서 음성 인식 기능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상용 서비스를 제공하는 유선 및 무선 통신 사업자들은 대부분 음성 인식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전화기에서 음성 인식 기능이란 사용자의 전화번호를 직접 누르고 보내는 모든 발신 동작을 미리 저장된 '말'로 대신하는 기능이다.
일반적으로 전화기에 이와 같은 음성인식 기능을 첨부된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는 키패드(6)를 통하여 전화기의 모드를 음성 인식 모드로 설정하고, 전화기의 스피커를 통해 원하는 '말'(예를 들어, 우리 집, 회사, 경찰서 등등)을 메모리에 저장하고, 저장된 말에 상응하는 전화번호를 차례로 입력하여야 한다. 아울러, 전화기는 현재 상태가 유휴상태(idle states)가 되면, 전화기의 마이크로프로세서(4)에 의해 자동으로 음성인식 기능을 실행되도록 음성 인식 기능 활성화 상태로 설정된다. 여기서, 전화기의 유휴상태는 유선 전화기의 경우 전화기를 들었을 때이며, 휴대용 전화기의 경우 전화기의 플립(flip)을 열었을 때 자동으로 전환되는 음성 인식 기능 활성 상태이며, 이러한 유휴 상태는 미리 설정된 유휴 상태 카운트 시간이 종료되거나 전화기의 특정 키(any key)가 입력되면 바로 해제되어 음성 인식기능 비활성 상태로 된다.
이러한 유휴상태에서 사용자가 전화기의 마이크를 통해 미리 저장된 말을 하면, 이 음성신호는 코덱(7)에서 변조되어 전화기의 마이크로프로세서(4)에 입력된다. 마이크로프로세서(4)는 입력된 변조신호를 이미 알려진 여러 가지 음성 인식 모델링 기법중 하나를 이용하여 분석한다. 이 때, 마이크로프로세서(4)는 메모리에 저장된 전화번호와 비교하여 분석된 음성신호가 이미 메모리에 저장된 것이면, 이에 상응하는 전화 번호로 전화를 거는 발신동작을 자동으로 실시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전화기는 현재의 모드를 음성 인식 기능을 지원하도록 음성 인식 모드로 설정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음성 인식 동작을 중지시키기 위해 특정 키를 사용하는데, 이때 사용자의 오동작으로 인하여 뜻하지 않게 음성 인식 기능을 중단시킬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음성 인식 기능이 설정되지 않은 상태에서 사용자의 필요에 의해 음성 인식 기능을 선택할 수 있는 기능이 없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종래의 음성 인식 기능을 개선하여 보다 편리하게 음성 인식 기능을 실행할 수 있는 전화기에서 음성 인식 기능 제어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상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르면, 음성 인식 기능이 지원되는 전화기에 있어서 음성 인식 기능 제어 방법이 사용자가 음성 인식 기능의 자동/수동/꺼짐(Automatic/Manual/Off)모드중 하나를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전화기가 후크 스위치로부터 들려졌거나, 또는 상기 전화기의 플립이 개방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 값에 따라 상기 자동 모드 또는 수동 모드의 음성 인식 기능을 선택적으로 실행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도 1은 일반적인 휴대용 전화기의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동 모드에서의 음성 인식 기능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모드에서의 음성 인식 기능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화기는 음성 인식 기능을 활성/비활성화 시키기 위한 모드를 가지고 있으며, 이 모드는 크게 자동/수동/꺼짐(Automatic/Manual/Off)의 3가지의 모드로 구분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음성 인식 기능을 실행하기 위해서는 전화기가 유휴상태에 있을 때, 자동/수동/꺼짐 모드중 하나를 설정하여야 한다. 전화기는 유휴상태가 아닌 서비스 불능(No Service)상태나, 통화중에는 음성 인식 기능을 이용하여 발신 동작을 실행할 수 없다.
첫 째로, 사용자에 의해 꺼짐 모드가 설정되면 전화기를 후크 스위치로부터 들거나, 전화기의 플립을 개방하거나, 키 패드의 특정 키(예를 들어, 클리어 키)를 조작하여도 음성 인식 기능을 활성화시키지 못한다. 따라서, 꺼짐 모드는 사용자가 음성 인식 기능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 선택하는 모드이다.
둘째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수동 모드가 설정된 후, 전화기의 모드가 유휴상태(S1)에서 전화기의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전화기가 후크 스위치로부터 들려졌거나, 전화기의 플립이 개방되었는지를 판단한다(S2). 이때의 판단 결과, 전화기가 후크 스위치로부터 들려졌거나, 전화기의 플립이 개방되어도 음성 인식 기능을 실행할 수 있는 활성화상태는 아니다. 이어, 마이크로프로세서는 키 패드의 입력을 감지하여 클리어 키가 입력되었는지를 판단한다(S3, S4). 이 때, 클리어 키가 입력되지 않고 다른 키가 입력되면, 마이크로프로세서는 그 키에 상응하는 키 입력을 처리하고 해당 키의 결과에 대한 기능을 실행하고 유휴상태로 천이 한다(S9, S11). 반면, 마이크로프로세서는 클리어 키가 입력되었다고 판단되면, 타이머가 종료되었는지를 판단한다(S5). 즉, 사용자는 타이머의 종료 전에 필요한 발신동작을 자동적으로 실행하기 위한 '말'을 하여야 한다. 따라서, 전화기의 마이크로프로세서는 타이머가 종료되기 전에 전화기가 인식할 수 있는 어떤 말을 하지 않으면, 음성 인식 기능이 중단된다(S10).
그러나, 사용자가 타이머가 종료되기 이전에 전화기가 인식할 수 있는 '말' 하였으면, 전화기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종료키(End Key)의 입력 여부를 판단하여(S6) 종료키가 입력되었으면, 음성 인식 기능을 중단한다(S10).
그러나, 전화기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종료키(End Key)가 입력되지 않았으면, 음성 인식 기능의 동작을 완료하고 발신호 동작을 실행한다(S7, S8).
이때, 사용자는 음성 인식 기능의 실행 도중에 음성 인식 기능의 실행을 취소하고 싶으면, 특정 키를 선택하거나, 미리 설정된 타이머 시간 이상 어떤 음성 인식 기능을 실행하지 않거나, 전화기를 후크 스위치에 올려놓거나, 플립을 닫으면, 자동으로 음성 인식 기능의 실행이 중지되고 유휴상태로 천이 한다.
여기서, 특정 키를 사용하는 이유는 음성 인식 기능의 실행 중에 사용자의 부주의로 아무 키나 누름으로써 음성 인식 기능이 비활성 상태로 천이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음성 인식 기능의 실행 중에 착신호(Incoming Call)가 오면, 전화기의 상태를 음성 인식 기능이 실행되지 않는 비활성 상태가 되도록 천이시킨다. 따라서, 사용자는 아무 키나 누름으로써 착신호에 응답할 수 있다.
이어, 통화 종료 후에 전화기가 유휴상태로 복귀하면, 사용자는 다시 특정 키(클리어 키)를 선택함으로써 음성 인식 기능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셋째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자동 모드가 설정된 후, 전화기의 모드가 유휴상태(S11)에서 전화기의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전화기가 후크 스위치로부터 들려졌거나, 전화기의 플립이 개방되었는지를 판단한다(S12). 이때의 판단 결과, 전화기가 후크 스위치로부터 들려졌거나, 전화기의 플립이 개방되어있으면 음성 인식 기능을 실행할 수 있는 활성화상태이다. 따라서, 마이크로프로세서는 키 패드의 입력을 감지하여 임의의 어떤 키가 입력되었는지를 판단한다(S13). 즉 키 패드의 키 중 어떤 키이든지에 관계없이 입력되었는가를 판단하는 것이다. 판단결과(S13), 임의의 키가 입력되었다면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입력된 키를 읽는다(S17). 즉 키 패드의 키 중 어떤 키이든지에 관계없이 입력된 키를 읽는다. 이어, 입력된 키를 읽은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읽은 키가 클리어 키인지를 판단한다. 판단결과(S18), 읽은 키가 클리어 키가 아닌 경우에는 해당 키 입력을 처리하고(S19), 키 결과에 대한 기능을 실행한 후(S20), 유휴 상태가 된다. 즉 키 패드의 키 중 클리어 키 이외의 키가 입력된 경우에는 해당 키의 입력을 처리하고, 키 결과에 대한 기능을 실행하는 것으로, 예를 들면 종료 키가 입력된 경우에는 종료 기능을 실행하는 것이다.
그러나, 판단결과(S13), 마이크로프로세서가 임의의 키 패드의 입력을 계속해서 감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키 패드의 키 중 어떤 키이든지에 관계없이 임의의 어떤 키도 입력되지 않은 경우와, 또 다른 판단결과(S18)에서 클리어 키가 입력된 경우에 마이크로프로세서는 타이머가 종료되었는지를 판단한다(S14). 즉, 사용자는 타이머의 종료 전에 발신동작을 실행하기 위한 '말'을 하여야 한다. 따라서, 전화기의 마이크로프로세서는 타이머가 종료되기 전에 전화기가 인식할 수 있는 임의의 '말'이 입력되지 않으면, 음성 인식 기능을 중단한다(S16).
반면, 사용자가 타이머가 종료되기 이전에 전화기가 인식할 수 있는 어떤 '말'을 하였으면, 전화기의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종료키(End Key)의 입력 여부를 판단한다(S15). 이때 판단 결과, 종료키가 입력되었으면 음성 인식 기능을 중단하고(S16), 종료 키(End Key)가 입력되지 않았으면 음성 인식 기능의 동작을 완료하고 발신호 동작을 실행한다(S21, S22).
여기서, 특정 키를 사용하는 이유는 음성 인식 기능의 실행 중에 사용자의 부주의로 아무 키나 누름으로써 음성 인식 기능이 비활성 상태로 천이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음성 인식 기능의 실행 중에 착신호(Incoming Call)가 오면, 전화기의 상태를 음성 인식 기능이 실행되지 않는 비활성 상태가 되도록 천이시킨다. 따라서, 사용자는 아무 키나 누름으로써 착신호에 응답할 수 있다.
이어, 통화 종료 후에 전화기가 유휴상태로 복귀하면, 사용자는 다시 전화기를 후크 스위치로부터 들거나, 전화기의 플립을 개방함으로써, 음성 인식 기능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음성 인식 기능이 지원되는 전화기에서 사용자는 자동/수동/꺼짐 모드중 하나를 설정한 상태에서 전화기를 후크 스위치로부터 들거나 또는 전화기의 플립을 개방하거나, 전화기의 특정 키를 선택하는 것에 따라 음성 인식 기능을 실행시킬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 입장에서는 종래 보다 더욱 편리하게 음성 인식 기능을 이용한 발신 동작을 실행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음성 인식 기능이 지원되는 전화기에 있어서,
    사용자가 음성 인식 기능의 자동/수동/꺼짐(Automatic/Manual/Off)모드중 하나를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전화기가 후크 스위치로부터 들려졌거나, 또는 상기 전화기의 플립이 개방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 값에 따라 상기 자동 모드 또는 수동 모드의 음성 인식 기능을 선택적으로 실행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기에서 음성 인식 기능 제어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동 모드의 음성 인식 기능을 실행하는 단계는
    상기 전화기에서 미리 설정된 제1 특정 키가 입력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전화기에서 상기 제1 특정 키가 입력되었으면, 상기 음성 인식 기능을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 실행하였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상 상기 음성 인식 기능을 상기 시간 내에 실행한 경우, 상기 전화기에서 사용자에 의한 제2 특정 키가 입력되었으면, 상기 음성 인식 기능을 중단하고, 상기 제2 특정 키가 입력되지 않았으면, 미리 설정된 발신호 동작을 실행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기에서 음성 인식 기능 제어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상기 음성 인식 기능의 실행 도중에 음성 인식 기능의 실행을 취소할 경우에는
    상기 전화기의 특정 키를 선택하거나, 상기 시간 내에 음성 인식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어떤 동작도 하지 않거나, 상기 전화기를 후크 스위치에 올려놓거나, 상기 전화기의 플립을 닫는 동작 중 어느 하나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기에서 음성 인식 기능 제어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 모드의 음성 인식 기능을 실행하는 단계는
    상기 전화기에서 상기 전화기가 후크 스위치로부터 들려졌거나, 전화기의 플립이 개방되어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전화기가 후크 스위치로부터 들려졌거나, 상기 전화기의 플립이 개방되어있는 상태에서 임의의 키가 입력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전화기에서 상기 임의의 키가 입력되지 않았으면, 입력된 키를 읽어 제3 특정 키가 입력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제3 특정 키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 해당 키 입력을 처리하고 키 결과에 대한 기능을 실행하는 단계와;
    상기 전화기에서 상기 제3 특정 키가 입력되지 않았으면, 상기 음성 인식 기능을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 실행하였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음성 인식 기능을 상기 시간 내에 실행한 경우, 상기 전화기에서 사용자에 의한 제4 특정 키가 입력되었으면 상기 음성 인식 기능을 중단하고, 상기 제4 특정 키가 입력되지 않았으면, 미리 설정된 발신호 동작을 실행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기에서 음성 인식 기능 제어 방법.
KR1019990047196A 1999-10-28 1999-10-28 전화기에서 음성 인식 기능 제어 방법 KR1003393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7196A KR100339339B1 (ko) 1999-10-28 1999-10-28 전화기에서 음성 인식 기능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7196A KR100339339B1 (ko) 1999-10-28 1999-10-28 전화기에서 음성 인식 기능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8993A KR20010038993A (ko) 2001-05-15
KR100339339B1 true KR100339339B1 (ko) 2002-06-03

Family

ID=196174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7196A KR100339339B1 (ko) 1999-10-28 1999-10-28 전화기에서 음성 인식 기능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3933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48471A (en) * 1989-11-20 1992-09-15 Motorola, Inc. Communications device with voice recognition and movable element control interface
KR970055729A (ko) * 1995-12-20 1997-07-31 양승택 이동단말기에서의 음성인식에 의한 전화번호 송신방법 및 장치
KR19990011023A (ko) * 1997-07-21 1999-02-18 윤종용 기능모드의 음성 인식이 가능한 디지털 휴대용 전화기 및 그 인식방법
JPH11275205A (ja) * 1998-01-16 1999-10-08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自動ダイヤル用音声コマンド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48471A (en) * 1989-11-20 1992-09-15 Motorola, Inc. Communications device with voice recognition and movable element control interface
KR970055729A (ko) * 1995-12-20 1997-07-31 양승택 이동단말기에서의 음성인식에 의한 전화번호 송신방법 및 장치
KR19990011023A (ko) * 1997-07-21 1999-02-18 윤종용 기능모드의 음성 인식이 가능한 디지털 휴대용 전화기 및 그 인식방법
JPH11275205A (ja) * 1998-01-16 1999-10-08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自動ダイヤル用音声コマンド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8993A (ko) 2001-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045176C (en) Communications device with movable element control interface
JP4475580B2 (ja) 電話機
KR0144390B1 (ko) 무선전화기에서 휴대장치의 통화키를 이용한 다기능 구현방법
US7031743B2 (en) Foldable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KR20010102001A (ko) 전화 핸드셋용 음성 인식 사용자 인터페이스
CN101335786A (zh) 静音系统和方法
JP2000022788A (ja) 携帯電話機
EP1345389B1 (en) Folding-type radio terminal, conversation start method and conversation start program
KR100339339B1 (ko) 전화기에서 음성 인식 기능 제어 방법
JP2001119467A (ja) 携帯電話装置
KR100556858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자동 제어 방법
US7715881B1 (en) Automatically initiating and answering communications
JP3609698B2 (ja) 折り畳み式通信端末機
JP3014943B2 (ja) 電子システム手帳型携帯電話装置
WO2017096980A1 (zh) 在移动通信终端中实现防干扰模式的方法以及具有防干扰模式的移动通信终端
JPH04259156A (ja) 携帯電話機
KR20010098128A (ko) 휴대폰 또는 전화기 연동 도어폰의 원격 제어장치 및 방법
CN201252622Y (zh) 静音系统
JPH0357353A (ja) 電話機
KR0143600B1 (ko) 키폰 전화기의 착신모드를 변경 또는 전환을 제어하는 키폰제어 시스템
KR101011438B1 (ko) 휴대폰에서의 히스토리 메뉴 사용 방법
JP4206697B2 (ja) 振動感知機能付き携帯電話機および振動感知通話プログラム
KR100312229B1 (ko) 전화기의 이어 마이크 구동 장치 및 방법
JP3028915B2 (ja) 電子システム手帳型携帯電話装置
KR20030073328A (ko) 지정시간동안 벨소리/진동모드를 실행하지 않는 방법과이를 구현하는 휴대전화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4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