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39049B1 - 버섯재배용 포트용기 - Google Patents

버섯재배용 포트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39049B1
KR100339049B1 KR1020000013548A KR20000013548A KR100339049B1 KR 100339049 B1 KR100339049 B1 KR 100339049B1 KR 1020000013548 A KR1020000013548 A KR 1020000013548A KR 20000013548 A KR20000013548 A KR 20000013548A KR 100339049 B1 KR100339049 B1 KR 1003390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frame
fastening
mushroom
mushroom cultiv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135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91648A (ko
Inventor
이경군
Original Assignee
이경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경군 filed Critical 이경군
Priority to KR202000000761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2086Y1/ko
Priority to KR1020000013548A priority patent/KR100339049B1/ko
Publication of KR200100916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916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90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904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8/00Cultivation of mushrooms
    • A01G18/60Cultivation rooms; Equipment therefor
    • A01G18/62Racks; Tray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8/00Cultivation of mushrooms
    • A01G18/20Culture media, e.g. compost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8/00Cultivation of mushrooms
    • A01G18/60Cultivation rooms; Equipment therefor
    • A01G18/64Cultivation containers; Lids therefor
    • A01G18/65Cultivation containers; Lid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lids, e.g. lids with filt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8/00Cultivation of mushrooms
    • A01G18/60Cultivation rooms; Equipment therefor
    • A01G18/64Cultivation containers; Lids therefor
    • A01G18/68Cultivation bottl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ushroom Cultiv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버섯종균을 배양하여 버섯재배하는 버섯종균용기에 관한 것으로써, 하나의 용기틀에 수개의 버섯재배용 포트가 마련되고 상호 적층 및 결합이 용이하여 운반과 작업성이 간편한 한편 설치재배가 다양하게 이루어지는 버섯재배용 포트용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톱밥과 쌀겨 및 솜이나 볏집등이 썩인 혼합물을 통풍뚜껑(2)이 결합되는 용기(1)에 내삽해 버섯을 재배하는 버섯재배용기에 있어서,
혼합물이 내삽되는 다수개의 포트(11)가 상부면에서 적정깊이로 함몰되게 마련되고 가장자리에 아래로 체결테(12)가 구성되는 용기틀(10)과, 상부면에 통풍구(22)가 구비되어 통풍뚜껑(21)이 설치되며 가장자리로 상부면보다 낮은 배출로(23)와 배출홈(25)이 마련되고 배출로(23)의 가장자리로 상부면보다 높은 결합테(24)가 형성된 커버(2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버섯재배용 포트용기{Mushroom growing port a case}
본 발명은 버섯종균을 배양하여 버섯재배하는 버섯종균용기에 관한 것으로써, 하나의 용기틀에 수개의 버섯재배용 포트가 마련되고 상호 적층 및 결합이 용이하여 운반과 작업성이 간편한 한편 설치재배가 다양하게 이루어지는 버섯재배용 포트용기에 관한 것이다.
느타리나 팽이등의 버섯재배 농장에 공급되고 있는 버섯종균은 일반적으로 먼저 종균 배양장에서 톱밥과 쌀겨 및 솜이나 볏집 등을 혼합해 썩은 다음, 이를 통풍되는 적당한 용기에 담아 스팀실에 다단으로 적층시켜 쌓고 뜨거운 스팀증기로 수시간을 쪄서 용기내의 각종 세균을 살균시킨 후, 용기의 혼합물에 버섯종균을 배양해 번식시켜 농장에 공급하게 된다.
여기서 버섯종균의 배양에 사용되는 용기는 적정량의 혼합물이 투입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고 통풍이 원활한 가운데 이물질과 각종 세균의 침투가 방지되야만 종균이 왕성하게 번식할 수 있다.
기존 버섯종균의 배양과 재배에 사용되는 통상적인 용기는 도면에 도시한 도 1 과 같이 적당한 크기를 갖는 원통형의 용기(1)가 마련되고 이의 상부에 통풍뚜껑(2)이 결합되는 구조로 각각의 용기(1)마다 통풍뚜껑(2)이 결합되어 이물질과 각종 세균의 침투를 방지한다.
상기 통풍뚜껑(2)은 내부에 공기여과필터가 내삽되어 이물질과 각종 세균의 침입을 방지하게 되며, 이러한 기존의 버섯재배방식은 혼합물이 담긴 용기(1)를 스팀실에서 살균한 후 종균을 배양하고 사각형태의 바구니(3)에 수개의 용기(1)들을 담아 농장으로 운반해 농장의 재배앵글에 놓여 종균의 왕성한 번식으로 버섯을 수확하게 된다.
기존의 버섯재배방식은 용기가 개별적으로 준비되야 하는 한편 이들에 각기 통풍뚜껑이 결합되야 하므로 혼합물의 투입과 살균작업이 번거로와 작업성이 떨어지므로써 많은 인원과 시간이 소요될 뿐만아니라 용기와 뚜껑의 구입에 많은 비용이 지출되는 실정이다.
또한 기존의 용기는 투입구가 좁아 버섯을 수확한 다음 용기내의 잔여 혼합물을 빼내어 재활용하지 못하므로 용기를 절개하는 실정으로 사실상 용기의 재활용이 어려울 뿐더러 운반작업이 난해하며 농장의 설치재배에 제한이 뒤따르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기존 버섯재배용기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써, 하나의 용기틀에 수개의 버섯재배용 포트를 마련하고 이에 통풍뚜껑이 설치된 커버를 덮어씌워 포트에 이물질과 세균의 침입을 방지하는 구성으로 용기들의 상호 적층 및 결합이 용이하여 운반과 작업성이 간편한 한편 설치재배가 다양하게 이루어지는 것을 본 발명의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도 1 은 기존 버섯재배용기의 사용상태도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의 적층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4 는 본 발명의 물기 배출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5 는 본 발명의 버섯재배상태를 도시한 일부 정단면도
도 6 은 본 발명의 상호 결합방식을 도시한 사시도
도 7 은 본 발명이 상호 결합된 상태의 평면도
도 8 은 본 발명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9 는 본 발명의 다른 사용상태 결합방식을 도시한 적층상태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용기틀 11.포트 12.체결테
13.체결돌기 14.체결공 15.결합홈
16.체결클립 17.결합공 20.커버
21.통풍뚜껑 22.통풍구 23.배출로
24.결합테 25.배출홈 26.지지돌기
본 발명은 하나의 용기틀에 혼합물을 담아 버섯이 수확되는 수개의 버섯재배용 포트를 구성하는 한편 수개의 포트가 마련된 용기틀위에 통풍뚜껑이 설치된 커버를 덮어씌워 이물질과 세균의 침입을 방지하여 버섯종균의 왕성한 번식을 가능케하는 것으로, 도면에 도시하고 있는 도 2 내지 도 9 에서 본 발명의 자세한 구성을 보이고 있다.
본 발명의 용기틀(10)은 사각형태나 또는 일정한 각을 갖는 다각형태를 취할 수 있는데, 사각형태가 작업성을 고려할 때 보다 바람직하며 안쪽에는 버섯재배용 혼합물이 내삽되는 수개의 포트(11)들이 적정깊이로 함몰된 가운데 정렬 구성된다.
상기 수개의 포트(11)가 구성된 용기틀(10)의 상부면 가장자리에는 적정한 낮이를 갖도록 아래로 체결테(12)가 형성되고 이 체결테(12)의 측면에는 수개의 체결돌기(13)와 체결공(14)을 상호 마주하는 측면에 형성하여 체결돌기(13)와 체결공(14)이 또다른 용기틀(10')의 체결공(13)과 체결돌기(14)에 대응하여 결합되도록 하며 2-3개소가 적당하다.
또한 상부면의 가장자리에 근접하는 위치엔 작은 직경을 갖는 수개의 결합홈(15)을 함몰되도록 구성하되 포트(11)와 포트(11')사이에 위치하여 적정간격이 주어지도록 마련하며 용기틀(10)과 또다른 용기틀(10')의 상호 결합홈(15)(15')에 체결클립(16)이 끼워지게 한다.
여기서 용기틀(10)에 구성되는 수개의 포트(11)들은 기존 버섯재배용기의 직경과 상하 깊이가 유사하게 하여 포트(11)에 내삽되는 혼합물량이 기존과 별차이가 없도록 하고 상측에서 하측으로 점점 좁아지는 테이퍼형태를 취하여 혼합물을 포트(11)에 삽입해 종균의 번식으로 버섯을 수확한 후, 잔여 혼합물을 빼내기 용이하게 한다.
용기틀(10)의 체결테(12)에 형성되는 수개의 체결공(14)은 또다른체결돌기(13)가 아래에서 위로 끼워지도록 하측이 절개된다.
이와같은 용기틀(10)위에 밀폐되게 덮어 씌워져 공기의 통풍을 원활하도록 하는 커버(20)는 상부면의 중앙부에 통풍구(22)가 구비되어 이물질과 세균의 침입을 방지하는 통풍뚜껑(21)이 설치되고 상부면의 가장자리로 상부면 보다 낮은 배출로(23)가 형성되는 한편 배출로(23)의 가장자리엔 상단부가 상부면 보다 높고 용기틀(10)의 체결테(12)가 밀폐되게 내삽되는 결합테(24)가 구성된다.
사방 결합테(24)의 중간엔 배출로(23)와 같은 높이를 갖는 배출홈(25)이 형성되어 상부면과 배출로(23)위에 떨어진 물기가 배출홈(25)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며 상부면의 저면부엔 하중을 받치는 수개의 지지돌기(26)가 돌출된다.
저면부의 지지돌기(26)는 용기틀(10)에 구성된 수개의 포트(11)(11')사이사이에 놓이도록 형성되어 용기틀(10)의 상부면에 지지되며 통풍뚜껑(21)도 포트(11)와 포트(11')사이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커버(20)가 구성된다.
상기 커버(20)에 설치되는 통풍뚜껑(21)은 내부에 살균용 공기여과필터가 내삽되는 기존 공지의 통풍뚜껑을 사용할 수 있고 공기의 통풍량을 고려하여 하나이상 다수개를 설치해 공기의 통풍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설명하면, 먼저 용기틀(10)에 마련된 수개의 포트(11)에 톱밥과 쌀겨 및 솜이나 볏집등이 혼합된 혼합물을 적정량 내삽하고 통풍뚜껑(21)이 설치된 커버(20)를 용기틀(10)위에 밀폐되게 덮어씌운 다음 스팀실에 다단으로 적층하여 뜨거운 스팀증기로 살균시키게 된다.
포트(11)에 내삽된 혼합물이 살균처리된 용기틀(10)은 버섯종균을 배양하고커버(20)가 결합된 채로 종균을 번식시켜 농장으로 운반해 공급이 이루어진다.
살균처리를 위한 스팀실이나 운반시 커버(20)위에 또다른 용기틀(10')이 다단으로 적층되는데, 커버(20)의 결합테(24)안쪽 상부면위에 용기틀(10')의 포트(11') 바닥면이 놓이므로 상부면 보다 높은 결합테(24)에 의해 상부에 적층된 또다른 용기틀(10')의 유동을 방지하게 된다.
스팀실에서 살균처리과정이나 운반시 커버(20)의 상부면과 배출로(23)위에 떨어진 물기는 배출홈(25)을 통해 외부로 흘러 배출되므로써 용기틀(10)내로 물기의 유입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커버(20)는 혼합물의 살균과정과 버섯종균의 배양후 번식과 유통과정에만 사용하게 되며 농장에 공급된 다음 버섯재배시에는 커버(20)를 분리하고 통풍뚜껑(21)의 공기여과필터를 교환해 재사용하게 된다.
본 발명인 용기틀(10)의 설치재배방식은 농장에 시설된 앵글위에 종균이 배양된 용기틀(10)을 개별적으로 올려놓아 평면재배도 가능하고 또는 도면에 도시한 도 6 내지 도 8 과 같이 다수개의 용기틀(10)(10')을 시설공간에 맞게 상호 체결하여 평면재배도 가능하다.
상기 용기틀(10)의 체결방식은 체결테(12)에 마련된 체결돌기(13)와 체결공(14)에 또다른 용기틀(10')의 체결공(14)과 체결돌기(13)를 끼워 결합한 다음, 상호 마주하는 용기틀(10)(10')의 결합홈(15)(15')에 체결클립(16)을 끼워서 수개의 용기틀(10)(10')을 결합하게 된다.
이 경우 용기틀(10)의 유동을 보다 방지할 수 있으며 기존보다 시설공간의활용도가 높을 뿐만아니라 버섯의 수확에 따른 작업성을 향상시키게 된다.
또한 도면에 도시하고 있는 도 9 는 본 발명의 다른 사용상태를 보이는 것으로써, 농장의 앵글위에 수직재배가 가능한 실시예로 이때엔 중앙부에 위치한 포트(11)의 바닥면에 수개의 결합공(17)을 천공하고 포트(11)의 바닥면이 접하여 서로 마주하도록 결합공(17)에 체결볼트(18)를 체결하여 용기틀(10)을 서로 결합하게 된다.
상기 포트(11)의 입구가 상호 반대로 결합된 용기틀(10)은 앵글위에 세워서 체결테(12)가 지지하도록 하여 수직재배가 가능한데, 수직재배에는 혼합물을 포트(11)에 내삽해 살균처리나 종균을 배양할 수 없으므로 혼합물이 내삽되고 통풍뚜껑이 설치된 비닐봉지용기(30)를 세워진 용기틀(10)의 포트(11)에 내삽해 버섯을 재배할 수 있다.
이 경우 용기틀(10)을 세워서 수직재배하므로 앵글위의 공간활용도를 높일 수 있고 양쪽에서 작업이 가능해 작업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체결테(12)가 앵글위에 놓여 세워진 용기틀(10)의 상측으로 또다른 용기틀(10')을 수직으로 결합하여 수직재배가 가능한데, 이 경우 용기틀(10)의 상호 결합은 평면재배시의 결합방식으로 체결돌기(13)와 체결공(14) 및 체결클립(16)으로 용기틀(10)(10')을 서로 고정시키게 된다.
본 발명은 하나의 용기틀에 다수개의 포트를 마련하고 이에 통풍이 원활한 커버를 덮어씌우도록 구성하므로써 버섯을 수확한 다음 포트에서 잔여 혼합물을 빼내고 재활용이 가능해 시설비용을 절감시키며 설치재배가 다양한 한편 시설공간의 활용도가 높고 운반과 작업성을 향상시키게 된다.

Claims (3)

  1. 톱밥과 쌀겨 및 솜이나 볏집등이 썩인 혼합물을 통풍뚜껑(2)이 결합되는 용기(1)에 내삽해 버섯을 재배하는 버섯재배용기에 있어서,
    혼합물이 내삽되는 다수개의 포트(11)가 상부면에서 적정깊이로 함몰되게 마련되고 가장자리에 아래로 체결테(12)가 구성되는 용기틀(10)과,
    상부면에 통풍구(22)가 구비되어 통풍뚜껑(21)이 설치되며 가장자리로 상부면보다 낮은 배출로(23)와 배출홈(25)이 마련되고 배출로(23)의 가장자리로 상부면보다 높은 결합테(24)가 형성된 커버(2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섯재배용 포트용기.
  2. 청구항 1 에서,
    용기틀(10)의 체결테(12)에 수개의 체결돌기(13)와 체결공(14)이 상호 마주하는 측면에 형성되고 상부면의 가장자리에 수개의 결합홈(15)이 함몰되게 형성되어 체결클립(16)이 끼워지도록 하며 커버(20)의 상부면엔 수개의 통풍뚜껑(21)이 설치되고 저면부에 수개의 지지돌기(26)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섯재배용 포트용기.
  3. 청구항 1 에서,
    포트(11)의 바닥면에 결합공(17)을 천공해 서로다른 포트(11)(11')의 바닥면이 상호 마주하도록 체결볼트(18)로 용기틀(10)을 결합하고 이를 세워서 수직재배가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섯재배용 포트용기.
KR1020000013548A 2000-03-17 2000-03-17 버섯재배용 포트용기 KR1003390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7612U KR200192086Y1 (ko) 2000-03-17 2000-03-17 버섯재배용 포트용기
KR1020000013548A KR100339049B1 (ko) 2000-03-17 2000-03-17 버섯재배용 포트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3548A KR100339049B1 (ko) 2000-03-17 2000-03-17 버섯재배용 포트용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7612U Division KR200192086Y1 (ko) 2000-03-17 2000-03-17 버섯재배용 포트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1648A KR20010091648A (ko) 2001-10-23
KR100339049B1 true KR100339049B1 (ko) 2002-05-31

Family

ID=1965608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7612U KR200192086Y1 (ko) 2000-03-17 2000-03-17 버섯재배용 포트용기
KR1020000013548A KR100339049B1 (ko) 2000-03-17 2000-03-17 버섯재배용 포트용기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7612U KR200192086Y1 (ko) 2000-03-17 2000-03-17 버섯재배용 포트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0192086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8892B1 (ko) * 2007-01-16 2007-03-22 이경군 버섯 생육지지틀
JP5302757B2 (ja) * 2008-07-07 2013-10-02 ユーロ 株式会社 きのこ栽培用容器及びきのこ栽培用の子実体ガイド
SE542577C2 (en) * 2018-07-11 2020-06-09 Shaojun Xiong Methods and devices for producing mushrooms
CN109220520B (zh) * 2018-08-10 2020-11-10 遵义新蓝图休闲农业发展有限公司 红平菇栽培方法
CN109042092B (zh) * 2018-08-24 2021-05-28 贵州同辉食用菌发展有限公司 一种蘑菇培育用智能培养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1648A (ko) 2001-10-23
KR200192086Y1 (ko) 2000-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87521B1 (ko) 버섯 재배 시설 및 시스템
KR100339049B1 (ko) 버섯재배용 포트용기
US4567690A (en) Selectively closed modular cultivation apparatus
KR101214311B1 (ko) 버섯 재배용 용기 및 그를 이용한 표고 버섯의 자동화 재배 방법
US20180084736A1 (en) Cultivating tool
US20220039329A1 (en) Planter with a removable floor
KR102114035B1 (ko) 수경재배용 스폰지 삽입 포트
KR20140044580A (ko) 버섯재배용 용기세트
KR100395450B1 (ko) 버섯종균용기의 통풍장치
KR20200029213A (ko) 버섯 재배장치
KR100698892B1 (ko) 버섯 생육지지틀
KR200166792Y1 (ko) 버섯종균용기의통풍장치
KR200207814Y1 (ko) 버섯재배용 포트용기
CN111937623B (zh) 模块化种植及养殖箱组件
KR100241686B1 (ko) 식물재배 및 유통용 용기
KR200197889Y1 (ko) 버섯재배용 용기
KR200169264Y1 (ko) 버섯종균 용기의 통풍장치
KR100302906B1 (ko) 콩나물의자동재배장치
KR20080049895A (ko) 버섯 생육지지틀
KR200166793Y1 (ko) 버섯종균용기의통풍장치
JPH0494621A (ja) きのこの栽培方法及び栽培器
KR101245608B1 (ko) 효율적 물 공급 구조를 구비한 식물배양기
KR200217103Y1 (ko) 버섯종균용기의 통풍뚜껑
KR200279750Y1 (ko) 버섯배지 운반 및 배양용 상자
KR20150146001A (ko) 컨테이너형 소형식물 재배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30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2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3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1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