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38418B1 - 도로 시설용 반사판 - Google Patents

도로 시설용 반사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38418B1
KR100338418B1 KR1019990021469A KR19990021469A KR100338418B1 KR 100338418 B1 KR100338418 B1 KR 100338418B1 KR 1019990021469 A KR1019990021469 A KR 1019990021469A KR 19990021469 A KR19990021469 A KR 19990021469A KR 100338418 B1 KR100338418 B1 KR 1003384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lective
reflector
glass beads
inciden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214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68672A (ko
Inventor
경덕영
Original Assignee
경덕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덕영 filed Critical 경덕영
Priority to KR10199900214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38418B1/ko
Publication of KR199900686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686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84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8418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01F9/619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with reflectors; with means for keeping reflectors clea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로시설용 반사판에 관한 것으로,
투명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로 구성되고 그 전후면에 각각 반구형의 입사부와 호형의 반사부가 밀집배열 되도록 판체로 사출형성시킨 수지층과,상기 반사부의 하면에 접착고정되어 입사된 빛을 입사방향으로 굴절시키는 미세유리구슬과,상기 미세유리구슬의 하면에 수은코팅 형성되어 입사굴절된 빛을 반사시키는 반사층으로 구성되어,
그 구성과 제작이 극히 단순 용이하여 원과절감과 대량생산이 가능하고, 사용시에는 방향에 구애됨 없이 우수한 재귀반사 효과를 나타내어 운전자가 도로운행 정보를 쉽게 육안 확일할 수 있으므로 인지도 향상에 의한 사고 예방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사용목적, 용도 또는 필용에 따라 필요한 너비와 길이로 절취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내충격성과 내마모성이 우수하여 유지보수가 용이하게 한 것이다.

Description

도로 시설용 반사판{AAAAA}
본 발명은 도로시설용 반사판, 더욱 상세히는 운전자에게 운행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도로의 표지병, 안내 표지판, 지시판 또는 각종 도로 시설물 등에 사용되는 반사판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재귀반사율을 극대화 시켜 운전자의 육안인지도를 대폭향상 시킴으로써 각종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된 도로시설용 반사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도로 에는 도로의 상황, 전방안내, 속도규정, 방향지시, 위험지역 등의 운행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다양한 시설물들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러한 지시, 안내 사항은 전조등의 불빛을 양호하게 반사하도록 문자, 도형으로 구성한 반사수단을 시설물에 부착, 고정등의 방법으로 설치하여 운전자의 육안확인에 의해 도로정보를 제공받게 되어 있음은 주지와 같다.
상기한 종래 반사수단은 다양한 형태, 구성의 것들이 제시 사용되고
있는바, 도 1에는 반사지(1A)의 대표적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이는, 셀로판지 등이 보호지(11)에 접착층(12)을 도포하여 반사층(13)을 구성시키고, 반사층(13)의 상면에는 미세유리구슬(micro glass bead:14 )을 유착층(15)에 의해 고정시킨후 투명수지층(16)을 표면에 형성시킨 구성의 것으로, 광원으로 부터 입사된 빛을 대체로 난반사 시키게 되므로 육안 인지도가 낮다는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도 2에는 고휘도 반사지(1B)를 나타낸 것으로, 이는 차례로 적층 구성된 보호지(11)와 접착층(12) 및 반사층(13)의 표면에 유착층(15)에 의해 미세유리구슬(14)을 접착시키되 그 상부에는 공기층(17)이 형성되도록 투명수지층(16)을 형성시킨 구성이다.
이러한 고휘도 반사지(1B)는 일반적인 반사지(1A)에 비해 상대적인 인지도 상승효과는 있으나, 운전자가 확실하게 육안확인할 수 있는 정도의 재구 반사율을 나타내지는 못하며, 반사지(1A)와 고휘도 반사지(1B) 모두는 우천, 먼지, 태양광 등에 의해 쉽게 오염 및 파손된다는 문제점이 지적된다.
상기한 내구성의 문제점을 해소시킬 수 있는 반사수단으로는 도 3에 나타낸 초 고휘도 반사판(1C)이 있다.
이는, 보호지(11)에 접착층(12)을 형성시켜 봉입필름(18)을 적층시키고 그 상면에 공기층(19)이 형성되도록 반사판(20)을 접착시킨후 보호필름(21)으로 표면처리한 것으로, 반사판(20)의 하면에는 삼각입방체의 미세돌기(22)들을 밀집배열 형성시킨 것이다.
그러나, 이런한 초고휘도 반사판(1C)은 어느 정도의 반사효율 향상 효과는 얻을 수 있지만, 충격에 약하여 유리보수에 많은 시간과 경비가 요구되고, 제작비용의 과대히 높아진다는 문제점이 지적된다.
도 4에는 가장 근대에 도로표지병등에 사용되는 반사판(1D)을 예시한 것으로, 2∼3mm 직경의 유리구슬(23) 하면에 반사층(13)을 형성시키고, 이를 분리방지되도록 일정간격으로 합성수지재의 베이스(24)에 삽입사출 시킨 구성의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반사판(1D)은 유리구슬(23)이 일정간격을 유지하며 설치되어 있으므로 재귀반사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원래의 목적을 달성하기 어렵고, 대단히 고가이며, 베이스(24)의 내구성 특히 내충격성이 불량하여 도로표지병 등의 내부에 은폐설치 시켜야 한다는 등의 여러가지 문제점들이 지적되고 있다.
한편, 상기한 종래 반사수단들은 공통적으로 전량 수입에 의존해야 하므로 엄청난 외화의 낭비가 발생되고, 사용시에는 필요 용도 이외에는 사용할수가 없으며, 동일한 용도의 경우에도 규격에 따라 별도로 구입해야 함은 물론, 유지보수가 어렵다는 문제점도 지적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재귀반사효율을 극대화시켜 운전자의 인지도 향상을 구현할 수 있고, 저가제작이 가능하면서도 내구성이 대폭향상되어 원가절감 및 유지보수의 용이함을 도모할 수 있으며, 필요 용도, 형태에 맞추어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는 도로 시설용 반사판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반사판은, 전,후면에 각각 반구형의 입사부와 호형의 반사부를 밀집형성시킨 수지층과, 상기 반사부의 하면에 접착고정된 미세유리구슬과, 상기 미세유리구슬의 하면에 수은코팅 형성시킨 반사층으로 구성되며, 상기 반사층의 하면에는 필요에 따라 보호층을 구성시킬 수도 있도록 구성된다.
도 1은 종래 반사지의 단면구성 예시도.
도 2는 종래 다른 반사지의 단면구성 예시도.
도 3은 종래 반사판의 단면구성 예시도.
도 4는 종래 다른 반사판의 단면구성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반사판의 평면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반사판의 확대 단면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반사판의 반사 작용설명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반사판의 반사작용 설명을 위한 비교구성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반사판의 반사작용 설명을 위한 다른 비교구성도.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반사판의 다른실시 예시도.
<도면의 조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 1C, 1D : 반사판 1A, 1B : 반사지
12 : 접착층 13 : 반사층
14 : 미세유리구슬 23 : 유리구슬
25 : 수지층 26 : 입사부
27 : 반사부
이하에서 상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반사판(1)의 평면도로서, 넓은 판체로 구성되어 필요에 따라 절단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데, 이 수지층(25)은 내충격성과 내마모성이 우수하여 방판용으로 널리 사용되는 폴리카보네이트(poly carbonate) 수지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며, 아크릴 수지로 형성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수지층(25)의 표면에는 반구형의 입사부(26)가 밀집형성 되는데, 밀집도를 높이기 위해 도 5에서와 같이 45°각도로 배열시킴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지층(25)에 형성시킨 입사부(26)의 수직하부에는 도 6 에서와 같이 호형의 반사부(27)가 입사부(26)와 동일한 직경으로 배열형성된다.
상기 반사부(27)의 하면에는 미세유리구슬(14)이 접착고정되며, 상기 미세유리구슬(14)의 하면에는 수은코팅형성시킨 반사층(13)이 형성된다.
이와같은 구성의 본 발명 반사판(1)은 도 7 에서와 같이, 차량의 전조 등으로부터 나오는 불빛이 입사부(26)를 통해 굴절 입사되어 호형의 반사부(27)를 통과하게 되는데, 반사부(27)를 통과한 빛은 미세유리구슬(14)로 굴절입사된후 반사층(13)에 의해 반사되어 입사부(26)를 통해 전조등 측으로 재귀 반사된다.
상기한 재귀반사는 반사판(1)의 어느 각도에서 빛이 입사되어도 동일한 효과를 나타내며 따라서, 운전자의 인지도는 대폭향상된다.
도 8 은 본 발명 반사판(1)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비교 구성도로서, 여기서는 반사판(1)의 입사부(26)와 반사부(27)를 동일한 반구형, 전체적으로는 구형으로 형성시킨 상태를 나타내었다.
이경우에는 본 발명에서와 같이 입사각에 구애됨 없이 탁월한 재귀반사효과를 나타낼 수 있지만, 전체적인 두께가 두꺼워 지므로 소요자재 증가와 원가상승이 유발되며, 이에 반하여 본 발명 반사판(1)은 반사부(27)가 호형으로 형성되므로 제품의 슬림(slim)화가 가능하며 더욱큰 원가절감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도 9 는 본 발명 반사판(1)의 하면에 접착된 미세유리구슬(14)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비교 구성도로서, 여기서는 반사부(27)의 하면에 직접 반사층(13)을 코팅형성 시킨 상태를 나타내었다.
이 경우에는, 차량의 전조등으로부터 입사되는 빛이 반사부(27)에서 반사층(13)에 의해 각도가 변화된후 반대방향의 반사부(27)에서 다시한번 반사되어 입사방향과 전혀 다른 방향으로 반사되므로 특정한 입사각도가 아닌 경우에는 재귀효과를 기대할 수 없으나, 이에 반하여 본 발명에서는 미세유리구슬(14)이 입사된 방향으로 빛을 반사시켜 주게 되므로 탁월한 재귀반사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도 10 은 본 발명 반사판(1)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여기서는
반사층(13)의 하면에 보호층(28)을 형성시켜 반사층(13)의 긁힘 또는 박리로인한 기능 저하가 방지되도록 하였다.
상기 보호층(28)은 보호필름이나 수지코팅등의 다양한 방법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이와같이 본 발명 반사판은, 그 구성과 제작이 극히 단순 용이하여 원과절감과 대량생산이 가능하고, 사용시에는 방향에 구애됨 없이 우수한 재귀반사 효과를나타내어 운전자가 도로운행 정보를 쉽게 육안 확일할 수 있으므로 인지도 향상에 의한 사고 예방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사용목적, 용도 또는 필용에 따라 필요한 너비와 길이로 절취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내충격성과 내마모성이 우수하여 유지보수가 용이한 등의 광범위한 효과가 있다.

Claims (1)

  1. 투명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로 구성되고 그 전후면에 각각 반구형의 입사부와 호형의 반사부가 밀집배열 되도록 판체로 사출형성시킨 수지층과,
    상기 반사부의 하면에 접착고정되어 입사된 빛을 입사방향으로 굴절시키는 미세유리구슬과,
    상기 미세유리구슬의 하면에 수은코팅 형성되어 입사굴절된 빛을 반사시키는 반사층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 시설용 반사판.
KR1019990021469A 1999-06-09 1999-06-09 도로 시설용 반사판 KR1003384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1469A KR100338418B1 (ko) 1999-06-09 1999-06-09 도로 시설용 반사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1469A KR100338418B1 (ko) 1999-06-09 1999-06-09 도로 시설용 반사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8672A KR19990068672A (ko) 1999-09-06
KR100338418B1 true KR100338418B1 (ko) 2002-05-27

Family

ID=374800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21469A KR100338418B1 (ko) 1999-06-09 1999-06-09 도로 시설용 반사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3841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5444B1 (ko) * 2006-01-19 2007-11-15 (주)글라텍 도로시선유도 유리 표지병의 제조방법
KR102471614B1 (ko) 2022-02-21 2022-11-29 이용관 보차도용 재귀반사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8672A (ko) 1999-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101643C (en) Biased lenticular sign system
KR100338418B1 (ko) 도로 시설용 반사판
JP4099403B2 (ja) 自発光視線誘導標
JP4099318B2 (ja) 支柱貼付用反射体
SE463947B (sv) Reflektor, saerskilt foer skyltar och vaegmaerken, samt daerav tillverkad skyltanordning
KR20050006078A (ko) 표지병
JP2009264049A (ja) 立体矢形付標識
KR200385892Y1 (ko) 도로 시선 유도 표지용 반사체 구조
KR200412731Y1 (ko) 자동차 번호판용 반사밴드
CN2243483Y (zh) 路面反光标志
JPH08220315A (ja) 可変色反射素子
KR20130039899A (ko) 광섬유를 사용하여 다방향으로 빛을 발산하는 도로표지병
CN2243702Y (zh) 反光标志
KR200271330Y1 (ko) 표지병몸체가 삽입된 도로안전표지병
KR200265890Y1 (ko) 도로 경계석용 리플렉터
KR200370272Y1 (ko) 표지병
JP4223974B2 (ja) 道路鋲
KR200334637Y1 (ko) 도로 시선유도 표지용 반사체의 구조
CN2646199Y (zh) 一种用于道路的突起路标
KR200339921Y1 (ko) 도로표지병의 반사체 결합구조
KR200245981Y1 (ko) 도로 표지병용 반사렌즈
KR200272932Y1 (ko) 경계석용 표지병
KR20050006031A (ko) 표지병
KR20020090670A (ko) 도로 표지병용 반사렌즈
KR20050115783A (ko) 표지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