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37783B1 - 차량용 백미러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백미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37783B1
KR100337783B1 KR1020000016604A KR20000016604A KR100337783B1 KR 100337783 B1 KR100337783 B1 KR 100337783B1 KR 1020000016604 A KR1020000016604 A KR 1020000016604A KR 20000016604 A KR20000016604 A KR 20000016604A KR 100337783 B1 KR100337783 B1 KR 1003377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housing
portable terminal
rearview mirror
refl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166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94380A (ko
Inventor
고명덕
고정현
Original Assignee
고명덕
고정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명덕, 고정현 filed Critical 고명덕
Priority to KR10200000166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37783B1/ko
Priority to CNB018091040A priority patent/CN1230324C/zh
Priority to DE60108095T priority patent/DE60108095T2/de
Priority to JP2001574403A priority patent/JP3677477B2/ja
Priority to EP01917941A priority patent/EP1274605B1/en
Priority to PCT/KR2001/000533 priority patent/WO2001076911A1/en
Priority to AU2001244816A priority patent/AU2001244816A1/en
Publication of KR200100943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943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77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7783B1/ko
Priority to US10/253,019 priority patent/US6844966B2/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12Mirror assembli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e.g. cl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6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 B60R1/06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with remote control for adjusting position
    • B60R1/07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with remote control for adjusting position by electrically powered actuators
    • B60R1/07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with remote control for adjusting position by electrically powered actuators for adjusting the mirror relative to its hou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4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telepho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12Mirror assembli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e.g. clocks
    • B60R2001/1253Mirror assembli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e.g. clocks with cameras, video cameras or video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12Mirror assembli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e.g. clocks
    • B60R2001/1292Mirror assembli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e.g. clocks with holding means for personal 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Rear-View Mirror Devices That Are Mounted On The Exterior Of The Vehicle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백미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절곡된 통형상을 가지고 각 단부가 차량의 실외 및 실내에 각각 배치되며 실내 일측에 투시창이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각 단부에 각각 배치되어 상호 협조적으로 어포컬광학계를 형성하는 대물렌즈계 및 대안렌즈계와, 상기 대물렌즈계의 촛점거리 이내에 배치되는 상부반사부 및 하부반사부와, 상기 대물렌즈계의 촛점거리 이후에 상기 투시창을 차단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상부반사부 및 하부반사부에 의해 반사된 광을 상기 대안렌즈계로 반사하는 평면반사경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1백미러유니트와; 상기 평면반사경을 상기 반사위치와 상기 투시창이 개방되도록 철회되는 철회위치간을 구동시키는 반사경구동수단과; 내부에 휴대용 단말기의 적어도 일영역을 수용할 수 있도록 단말기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배치되는 단말기홀더와; 상기 하우징의 외측에서 상기 투시창을 차단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휴대용 단말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표시창과 동일한 정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차량의 외부로 돌출되는 돌출길이를 축소시켜 공기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휴대용 단말기의 표시창에 출력되는 정보를 확대하여 볼 수 있어 정보판독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핸즈프리가 가능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제고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백미러장치{SIDE VIEW MIRROR APPARATUS FOR MOT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백미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외부로 돌출되는 돌출길이를 축소시켜 공기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휴대용 단말기의 표시창에 출력되는 정보를 확대하여 볼 수 있어 정보판독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핸즈프리가 가능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제고시킬 수 있도록 한 차량용 백미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차량용 백미러는 거의 평면에 가까운 반사면을 갖는 “평면 반사경”타입으로 차량의 외부에 차체의 전후방향 축선에 대해 가로로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공기저항을 유발시키게 되며 돌출길이가 커질수록 공기저항이 크게 된다. 이러한 공기저항은 차량의 연료소비를 증대시킬 뿐만 아니라, 불완전연소에 기인한 오염물질의 배출량을 증대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종래의 평면 반사경 타입의 백미러는, 차량의 측후방 투사각도가 비교적 작을 뿐만 아니라, 눈 또는 비가오는 경우 평면 반사경의 표면에 물방울, 습기 또는 성에가 접촉 또는 응결되어 후방관찰이 용이하지 못하게 되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고려하여 차량의 외부로 돌출되는 돌출길이를 줄임과 동시에 후방관찰각도를 증대시킬 수 있도록 광학적요소를 채택한 차량용 백미러가 고안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광학적요소를 채택한 종래의 차량용 백미러들은 구성이 비교적 복잡할 뿐만 아니라 최종적으로 운전자의 시야에 포착되는 사물이 왜곡되어 사물을 정확하게 관찰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광학적요소를 채택한 종래의 차량용 백미러들의 문제점을 해결한 차량용 백미러가 본 출원인 명의로 대한민국 실용신안공보 제76588호 및 미국 특허공보 US5,264,962호에 각각 개시되어 있으며, 본 출원인은 또한 상기 차량용 백미러의 단점을 극복한 대한민국 특허출원번호 제99-40282호(1999.9.18)“차량용 백미러”를 기 출원한 바 있다.
한편, 최근에는 반도체기술의 급속한 발달과 함께 휴대용 전화기를 비롯한 GPS수신기(Global Positioning System Receiver), 개인용 휴대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 휴대용 단말기의 이용이 급속히 증가하고 있으며, 국내의 경우 휴대용 전화기의 이용가입자수는 이미 유선전화기 가입자수를 훨씬 상회하고 있다.
휴대용 전화기에는 인터넷검색이 가능하고, 생활속의 필요한 다양한 정보를 디지탈 지도상에 표시된 위치정보와 함께 제공받을 수 있는 등 다양한 형태의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최근에는 웹브라우저가 내장된 휴대용 단말기를 기지국에 무선으로 접속해 일반전화선보다 매우 빠른 전송속도로 인터넷의 접속이 가능하고, 음성, 문자, 동영상을 포함한 영상서비스가 가능하여 인터넷외에도 차량항법, 영상전화, 양방향TV 등 다양한 서비스가 가능한 이른바 차세대 동영상휴대폰 단말기들이 국내에서도 이미 개발되어 있는 실정이다.
한편, 휴대용 전화기의 급속한 사용증가와 더불어 운전중 휴대용 전화기의 사용이 운전사고발생률을 증가시킨다는 지적이 일고 있으며, 이에 따라 미국, 일본 등을 비롯한 일부 국가에서는 휴대전화기로 인한 교통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운전중 휴대용 전화기 사용규제가 강하게 대두되고 있으며, 일부 국가에서는 휴대용 전화기를 들지 않고 송신 및 수신할 수 있도록 고안된 소위 “핸즈프리킷” 의 의무사용 법제화가 추진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휴대용 전화기를 포함한 각종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는, 그 휴대의 편리성을 고려하여 크기가 작고 무게가 가볍도록 설계되어 있어, 핸즈프리킷을 사용할 경우, 각 휴대용 단말기의 표시창을 통해 제공되는 정보, 예를 들면 디지탈지도를 서비스 받을 경우와 같이, 표시창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작고 눈으로부터 비교적 멀리 이격되어 있어 표시창에 표시되는 정보를 판독하기가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의 외부로 돌출되는 돌출길이를 축소시켜 공기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휴대용 단말기의 표시창에 출력되는 정보를 확대하여 볼 수 있어 정보판독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핸즈프리가 가능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제고시킬 수 있는 차량용 백미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백미러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2 및 도 3은 각각 도 1의 차량용 백미러장치의 측면도 및 평단면도,
도 4는 도 3의 제1백미러유니트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3의 평면반사경 및 반사경구동부를 개략적으로 확대분해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5의 결합상태의 부분종단면도,
도 7a 및 도 7b는 각각 도 5의 평면반사경의 반사위치 및 철회위치를 도시한 평면상태도,
도 8은 도 1의 휴대용 단말기의 확대사시도,
도 9는 도 1의 단말기홀더의 절취사시도,
도 10은 도 1의 단말기홀더의 내부에 휴대용 단말기의 수용결합시 안테나접속부영역을 도시한 도면,
도 11은 도 1의 제2백미러유니트의 분해사시도,
도 12는 도 11의 제2미러부의 분해사시도,
도 13은 도 11의 제2백미러유니트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4는 도 13의 요부확대도,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백미러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16 및 도 17은 각각 도 15의 차량용 백미러장치의 측면도 및 평단면도,
도 18은 도 17의 제1백미러유니트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19는 도 15의 디스플레이패널 및 패널구동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20은 도 19의 결합상태의 확대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 : 차량 101 : 제1백미러유니트 113 : 광전달부재
114 : 대물렌즈부 115 : 상부반사부 117 : 하부반사부
121 : 대안렌즈 151 : 상부회동축수용부 155 : 하부회동축수용부
159 : 압축스프링부재 161 : 투시창 171a,171b : 자성부재
201 : 평면반사경 205 : 회동축 251 : 디스플레이패널
301 : 반사경구동부 303 : 피동기어 305 : 구동기어
307 : 구동모터 309 : 구동부하우징 315 : 수동조작손잡이
401 : 휴대용 단말기 402 : 표시창 403 : 조작버튼
405 : 동영상카메라 408a : 안테나접속부 408b : 케이블핀접속부
408c : 전원접속부 411 : 내장안테나 413 : 고정단자
415 : 가동단자 417 : 전파송수신회로 418 : 스프링부재
501 : 단말기홀더 516 : 스피커폰 518 : 마이크로폰
519 : 음량조절부재 521 : 안테나결합부 523 : 키보드접속부
525 : 전원코드접속부 533 : 키보드 535 : 전원코드
546a : 외부안테나연결플러그 546b : 통신케이블핀
546c : 전원플러그
601 : 제2백미러유니트 611 : 지지판부
612a : 상부힌지부 612b : 하부힌지부 613 : 힌지축
614 : 상하반사각조절부 615 : 전동부재
617 : 치형부 618 : 상하반사각조절손잡이
621 : 외부하우징 623 : 내부하우징 631 : 제1미러부
632 : 제1지지프레임 634 : 압축스프링 637a,637b : 안내리브
640 : 제1반사부재 641 : 힌지축 651 : 제1미러구동부
661 : 제2미러부 663 : 제2지지프레임 664 : 손잡이부
671 : 제3지지프레임 675 : 암나사부 680 : 제2반사부재
681 : 제3지지프레임구동부
701 : 디스플레이패널 703 : 패널지지플레이트
705 : 회동축 707 : 조명등
711 : 수동조작손잡이 721 : 패널구동부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통형상을 가지고 일단이 차량의 외측에 후방영역을 향해 배치되고 타단은 상기 차량의 실내측에 후방영역을 향해 배치되며 실내측 일영역에 상기 실내측 단부와 대향된 위치에 광이 투과할 수 있도록 투시창이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외측 단부영역에 배치되어 통과한 광을 축소굴절시키는 대물렌즈계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상호 내각이 직각을 이루며 상호 접촉선이 상기 대물렌즈계의 수평중심선에 대응되도록 상기 대물렌즈계의 촛점거리 이내에 경사지게 배치되는 상부반사부 및 하부반사부와, 평면반사면을 가지고 상기 대물렌즈계의 촛점거리 이후에 상기 투시창을 차단하도록 경사지게 배치되어 상기 상부반사부 및 하부반사부로부터 반사된 광을 상기 하우징의 실내측 단부영역으로 반사하는 반사위치와 상기 투시창이 개방되도록 철회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벽면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철회위치간을 이동가능하게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평면반사경과, 상기 하우징의 실내측 단부영역에 배치되어 상기 평면반사경에 의해 반사된 상을 확대굴절시킴으로써 상기 대물렌즈계와 어포컬 광학계를 형성하는 대안렌즈계를 가지는 제1백미러유니트와; 상기 평면반사경을 상기 반사위치와 상기 철회위치간을 구동시키는 반사경구동수단과; 내부에 휴대용 단말기의 적어도 일영역을 수용할 수 있도록 단말기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배치되는 단말기홀더와; 상기 휴대용 단말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단말기수용공간내에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수용시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표시창과 동일한 정보를 출력하는 표시면을 가지고 상기 표시면이 상기 투시창을 향하도록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 결합되는 디스플레이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백미러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평면반사경의 상기 투시창측 연부에는 상하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적어도 일단이 상기 하우징을 관통하여 노출되도록 설치되는 회동축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반사경구동수단은, 상기 회동축의 노출단부에 일체로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피동기어와, 상기 피동기어에 회전가능하도록 맞물림된 구동기어와, 상기 구동기어를 정역회전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모터를 포함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평면반사경의 상기 투시창측 연부에는 상하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적어도 일단이 상기 하우징을 관통하여 노출되도록 설치되는 회동축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반사경구동수단은, 상기 회동축의 노출단부에 일체로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수동조작손잡이를 포함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그리고, 상기 평면반사경의 상기 반사위치 및 상기 철회위치시 상기 평면반사경과 상기 하우징의 상호 접촉면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는 자석과, 다른 하나에 상기 자석과 상호 자기적으로 결합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자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분야에 따르면, 통형상을 가지고 일단이 차량의 외측에 후방영역을 향해 배치되고 타단은 상기 차량의 실내측에 후방영역을 향해 배치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외측 단부영역에 배치되어 통과한 광을 축소굴절시키는 대물렌즈계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상호 내각이 직각을 이루며 상호 접촉선이 상기 대물렌즈계의 수평중심선에 대응되도록 상기 대물렌즈계의 촛점거리 이내에 경사지게 배치되는 상부반사부 및 하부반사부와, 상기 대물렌즈계의 촛점거리 이후에 배치되어 상기 상부반사부 및 하부반사부로부터 반사된 광을 상기 하우징의 실내측 단부영역으로 반사하는 제3반사부와, 상기 하우징의 실내측 단부영역에 배치되어 상기 제3반사부에 의해 반사된 상을 확대굴절시킴으로써 상기 대물렌즈계와 어포컬 광학계를 형성하는 대안렌즈계를 가지는 제1백미러유니트와; 내부에 휴대용 단말기의 적어도 일영역을 수용할 수 있도록 단말기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배치되는 단말기홀더와; 상기 휴대용 단말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단말기수용공간내에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수용시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표시창과 동일한 정보를 출력하는 표시면을 가지고 상기 하우징의 내부 상기 제3반사부와 상기 대안렌즈계사이에 상기 표시면이 상기 대안렌즈계를 향하도록 배치되는 출력위치와 상기 하우징의 내벽에 나란하게 배치되는 철회위치간을 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디스플레이패널과; 상기 디스플레이패널을 상기 출력위치와 상기 철회위치간을 회동구동시키는 패널구동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백미러장치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패널구동수단은, 상기 디스플레이패널의 회동축과 일체로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 배치되어 상기 디스플레이패널을 상기 출력위치 및 상기 철회위치중 어느 하나로 회동시키는 수동조절손잡이를 포함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동조절손잡이를 상기 출력위치 및 상기 철회위치에 각각 위치고정되도록 하는 손잡이위치고정수단을 더 포함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패널구동수단은, 상기 디스플레이패널의 회동축과 일체로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된 피동기어와, 상기 피동기어에 회전가능하도록 맞물림된 구동기어와, 상기구동기어를 정역회전구동시키는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패널의 표시면의 조명을 위해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조명등을 더 포함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또한, 상기 단말기홀더의 일측에 상기 휴대용 단말기와 전기적으로 연결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음성정보를 출력하는 음성출력수단 및 외부로부터의 음성정보를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 입력되도록 하는 음성입력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단말기홀더에는 일단이 상기 차량의 시거라이터잭에 연결되는 전원연결코드의 타단을 수용할 수 있도록 전원접속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효과적이다.
적어도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조작버튼에 대응되도록 기능하는 복수의 조작버튼이 구비된 키보드를 더 포함하며, 상기 단말기홀더의 일측에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됨과 동시에 상기 키보드가 접속될 수 있게 키보드접속부가 형성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단말기홀더의 일측에는 상기 차량의 외부에 설치되는 외부안테나가 연결될 수 있도록 외부안테나접속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외부안테나접속부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상기 단말기수용공간내에 수용시 상기 휴대용 단말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또한, 상기 차량의 외측에 배치되는 지지판부와, 상기 지지판부에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1지지프레임과 상기 제1지지프레임의 일측 연부에 형성되는 제1반사부재를 가지고 상기 차량의 후방영역을 반사할 수 있도록 상기 차량의 진행방향에가로로 배치되는 반사위치와 상기 차량의 진행방향에 평행하게 배치되는 철회위치간을 회동가능하도록 배치되는 제1미러부와, 상기 제1반사부재와 상기 제1지지프레임사이에 슬라이딩 인출가능하게 수용결합되고 인출시 상기 제1반사부재와 상호 협조적으로 상기 차량의 후방영역을 반사할 수 있도록 반사면을 형성하는 제2미러부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제2백미러유니트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미러부는, 상기 제1지지프레임의 내부에 일단이 노출되게 수용되어 상기 제1지지프레임에 대해 슬라이딩 인출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2지지프레임과, 상기 제2지지프레임의 내부에 제2지지프레임에 대해 슬라이딩 인출가능하도록 수용결합되는 제3지지프레임과, 상기 제3지지프레임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제1반사부재와 상호 협조적으로 반사면을 형성하는 제2반사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제2지지프레임과 상기 제3지지프레임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제2지지프레임에 대해 상기 제3지지프레임이 인출되는 인출위치와 철회되는 철회위치간을 구동시키는 제3지지프레임구동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미러부 및 제2미러부에 형성된 반사면의 반사각을 조절하는 반사각조절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반사각조절수단은, 상기 제1지지프레임의 힌지축의 일단에 일체로 회전가능하도록 형성된 피동기어와, 상기 피동기어와 상호 맞물림되는 구동기어와, 상기 구동기어의 회전축에 일체로 결합되는 전동모터를 가지는 좌우반사각조절수단을 포함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또한, 상기 반사각조절수단은, 상기 차량의 진행방향에 가로로 형성된 회전축선을 중심으로 상기 지지판부를 정역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제1미러부 및 제2미러부에 의해 형성된 반사면의 상하반사각을 조절하는 상하반사각조절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상하반사각조절수단은, 상기 지지판부와 상호 평행하게 이격배치되어 상기 지지판부와 일체로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고 둘레면의 적어도 일영역에 치형부가 형성되어 있는 전동부재와, 상기 전동부재의 치형부에 상호 치형결합되어 상기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구동기어와, 상기 구동기어를 정역회전구동시키는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상하반사각조절수단은, 상기 지지판부와 상호 평행하게 상기 차량의 실내측에 이격배치되고 상기 지지판부와 일체로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전동부재와, 상기 전동부재를 정역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전동부재의 판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되는 상하반사각조절손잡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효과적이다.상기 평면반사경은, 상기 상부반사부 및 하부반사부로부터 반사된 광을 상기 대안렌즈계로 반사할 수 있도록 고정배치되는 고정반사경부와, 상기 고정반사경부의 일측에 상기 투시창을 개폐할 수 있도록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가동반사경부를 포함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백미러장치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 및 도 3은 각각 도 1의 차량용 백미러장치의 측면도 및 평단면도이며, 도 4는 도 3의 제1백미러유니트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차량용 백미러장치는, 일단이 차량(11)의 실외측에 배치되고 타단이 차량(11)의 실내측에 배치되는 하우징(111)과, 하우징(111)의 실외측 및 실내측 단부영역에 각각 배치되어 상호 어포컬광학계(Afocal System)를 형성하는 대물렌즈계 및 대안렌즈계와, 대물렌즈계와 대안렌즈계사이에 개재되어 대물렌즈계의 광을 대안렌즈계로 반사하는 평면반사경(201)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1백미러유니트(101)와,평면반사경(201)이 광을 반사하는 반사위치와 철회되는 철회위치간을 구동시키는 반사경구동부(301)와, 하우징(111)의 실내 일측벽에 형성된 투시창(161)에 결합되며 휴대용 단말기(401)의 표시창(402)에 표시되는 정보와 동일한 정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패널(251)과, 휴대용 단말기(401)의 일 영역을 수용하며 휴대용 단말기(401)의 수용시 휴대용 단말기(401)와 디스플레이패널(251)을 연결하는 단말기홀더(501)와, 제1백미러유니트(101)의 대물렌즈계 영역에 차량(11)의 진행방향에 가로로 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제2백미러유니트(601)를 가진다.
하우징(111)은 전체적인 형상이 “U”형상을 가지며, 차량(11)의 운전석의 전방영역에 일단이 고정결합되고 타단이 차량(11)의 후방영역을 향해 배치되는 외관부(112a)와, 일단이 외관부(112a)에 상대운동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타단이 차량(11)의 실내측 후방영역을 향해 배치되는 내관부(112b)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외관부(112a)의 실외측 단부영역에는 적어도 하나의 볼록렌즈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대물렌즈계가 배치형성되며, 내관부(112b)의 자유단부영역에는 대물렌즈계와 어포컬광학계를 형성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볼록렌즈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대안렌즈계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외관부(112a)의 내부에 대물렌즈부(114), 상부반사부(115) 및 하부반사부(117)가 일체로 형성된 광전달부재(113)가 수용설치되어 있으며, 대안렌즈(121)는 대물렌즈부(114)에 의해 축소된 사물의 상을 확대할 수 있도록 대물렌즈부(114)에 비해 거의 2배정도 확대된 크기를 가지는 단일의 볼록렌즈로 구성되어있다.
광전달부재(113)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에 볼록렌즈타입으로 형성되어 사물의 상이 축소되도록 광을 굴절시키는 대물렌즈부(114)와, 대물렌즈부(114)의 촛점거리 이내에 내각이 상호 직각을 이루고 대물렌즈부(114)의 광축선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되며 상호 접촉선이 대물렌즈부(114)의 상하중심선에 대응되도록 배치되는 상부반사부(115) 및 하부반사부(117)를 가진다.
광전달부재(113)의 후방영역 즉, 대물렌즈부(114)의 촛점거리 이후에는 상부반사부(115) 및 하부반사부(117)에 의해 반사된 광을 대안렌즈(121)를 향해 반사할 수 있도록 평면반사면을 갖는 평면반사경(201)이 배치되어 있다. 평면반사경(201)의 일측연부에 상하방향을 따라 형성된 회동축(205)에는 광축선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되어 광전달부재(113)를 통과한 광을 대안렌즈(121)를 향해반사하는 반사위치와, 광축선과 나란하게 배치됨으로써 광경로를 차단하는 철회위치간을 회동구동시키는 후술할 반사경구동부가 마련된다.
한편, 내관부(112b)는 역“L”형상을 가지며 자유단부영역으로 향할수록 상하 및 좌우방향을 따라 폭이 증대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차량(11)의 진행방향에 가로로 배치된 영역에는 외부로부터의 광이 내부로 투과할 수 있도록 투시창(161)이 형성되어 있으며, 투시창(161)의 중심은 대안렌즈(121)의 중심과 일치하게 된다. 투시창(161)은 내관부(112b)에 관통형성된 개구를 필름상의 투명차단막이나, 유리 또는 투명아크릴 등과 같은 투명강성부재를 사용하여 광의 투과를 허용함과 동시에 외부로부터의 이물질이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투시창(161)의 외측에는 투시창(161)을 차단하도록 디스플레이패널(251)이 결합되어 있으며, 투시창(161)의 상하연부에는 디스플레이패널(251)의 조명을 위해 조명등(163)이 각각 마련되어 있다.
단말기홀더(501)는 내부에 휴대용 단말기(401)의 하부영역을 수용할 수 있도록 수용공간(S)이 형성되어 있으며, 전면에는 휴대용 단말기(401)를 핸즈프리한 상태에서 조작할 수 있도록 스피커폰(516) 및 마이크로폰(518)이 각각 구비되어 있다. 스피커폰(516)과 마이크로폰(518)사이에는 음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음량조절부재(519)가 설치되어 있다.
단말기홀더(501)의 일측 연부에는 차량(11)의 외부에 설치되는 외부안테나의 플러그(532)가 접속될 수 있도록 안테나결합부(521)가 형성되어 있다. 안테나결합부(521)의 하측에는 휴대용 단말기(401)의 각 조작버튼(403)에 대응되도록 복수의 조작버튼(534)이 구비된 키보드(533)가 접속될 수 있도록 키보드접속부(523)가 구비되어 있으며, 키보드접속부(523)의 하측에는 일단이 차량(11)의 시거라이터잭에 접속되는 전원코드(535)의 타단이 연결될 수 있도록 전원코드접속부(525)가 마련되어 있다.
단말기홀더(501)의 내부에는 다수의 회로와 전자(반도체)부품으로 구성되어 휴대용 단말기(401)가 단말기홀더(501)의 수용공간(S)내에 수용될 경우에도 휴대용 단말기(401)를 정상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기판조립체(미도시)가 내장된다.
도 5는 도 3의 평면반사경 및 반사경구동부를 개략적으로 확대분해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도 5의 결합상태의 부분종단면도이며, 도 7a 및 도 7b는 각각 도 5의 평면반사경의 반사위치 및 철회위치를 도시한 평면상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면반사경(201)의 둘레에는 거의 사각형상을 가지는 케이싱(203)이 형성되어 있으며, 케이싱(203)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측연부에는 상하방향을 따라 돌출된 회동축(205)이 형성되어 있다. 케이싱(203)의 회동축(205) 대향연부에는 판상의 영구자석(207)이 매입되어 있으며, 내관부(112b)의 내부에는 영구자석(207)에 대응하여 상호 자기적으로 접촉되어 평면반사경(201)이 반사위치 또는 철회위치에 각각 고정될 수 있도록 자성부재(171a,171b)가 각각 마련되어 있다.
내관부(112b)에는 회동축(205)을 회동가능하게 수용지지할 수 있도록 상부회동축수용부(151) 및 하부회동축수용부(155)가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각 회동축수용부(151,155)에는 회동축(205)의 각 단부가 하우징(111)의 상부면(123a) 및 저부면(123c)을 관통하여 내관부(112b)의 외부로 각각 돌출될 수 있도록 관통된 축수용공(153,157)이 형성되어 있다. 하부회동축수용부(155)는 케이싱(203)의 저부면에 접촉되어 케이싱(203)을 지지할 수 있도록 내관부(112b)의 저부면(123c)으로부터 소정 돌출형성되어 있으며, 상부회동축수용부(151)와 케이싱(203)의 상부면사이에는 케이싱(203)을 회동축(205)의 축선방향을 따라 탄성가압하는 압축스프링부재(159)가 개재되어 있다.
한편, 내관부(112b)에는 평면반사경(201)을 반사위치와 철회위치간을 수동조작 또는 간단한 스위치조작 등을 통해 회동구동시킬 수 있도록 반사경구동부(301)가 마련되어 있다.
반사경구동부(301)는, 회동축(205)의 하단에 일체로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는피동기어(303)와, 피동기어(303)와 상호 맞물림되어 일체로 회전하는 구동기어(305)와, 구동기어(305)를 정역회전시킬 수 있도록 일체로 결합되는 구동모터(307)를 가진다. 피동기어(303) 및 구동기어(305)는 상호 베벨기어의 형태로 형성되어 있어 각 회전축이 상호 직각방향으로 교차되도록 맞물림결합되어 있다. 내관부(112b)의 하측에는 피동기어(303), 구동기어(305) 및 구동모터(307)의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일측이 개구된 통형상을 가지는 구동부하우징(309)이 결합되어 있으며, 구동부하우징(309)의 개구연부에는 내관부(112b)의 저부면(123c)에 접촉되는 접촉플랜지(310)가 절곡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접촉플랜지(310)에는 복수의 스크류(312)가 통과하도록 결합될 수 있게 복수의 스크류공(313)이 판면을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으며, 내관부(112b)에는 스크류공(313)과 상호 연통되는 복수의 스크류결합공(미도시)이 형성되어 있다.
내관부(112b)의 상부면(123a)에는 회동축(205)의 상단이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회동축(205)의 노출단부에는 수동으로 회동축(205)을 정역회전시킬 수 있도록 수동조작손잡이(315)가 일체로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다. 수동조작손잡이(315)에는 평면반사경(201)의 위치를 식별할 수 있도록 마킹부(317)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반사경구동부(301)는 내관부(112b)의 상부면(123a)에 형성되도록 구성하고, 회동축(205)을 연장하여 구동부하우징(309)의 상부면으로 노출되도록 하고 수동조작손잡이(315)를 구동부하부징(309)의 상단으로 노출된 회동축(205)의 단부에 결합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사위치에 있는 평면반사경(201)을 수동조작에 의해 철회위치로 회동시키고자 할 때는, 내관부(112b)의 상부면(123a)에 결합되어 있는 수동조작손잡이(315)를 해당 위치로 회전시킨다. 그러면, 상호 자기력에 의해 접촉되어 위치고정된 케이싱(203)은 반사위치에 있는 자성부재(171a)로부터 분리되어 회동축(205)을 중심으로 회동하게 되고, 철회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자성부재(171b)와 상호 자기적으로 접촉됨으로써 철회위치에 위치고정된다.
한편, 스위치조작에 의해 평면반사경(201)의 위치를 자동으로 조절하고자 할 경우에는, 도시 않은 반사경위치조절스위치를 조작하여 구동모터(307)에 전원이 인가되도록 하면, 구동모터(307)의 구동력은 상호 맞물림된 구동기어(305) 및 피동기어(303)를 통해 회동축(205)에 전달된다.
이에 의해, 반사위치에 영구자석(207)의 자기력에 의해 자성부재(171a)와 접촉되어 위치고정된 케이싱(203)은 반사위치에 형성된 자성부재(171a)로부터 이격되어 회동축(205)을 중심으로 철회위치로 회동하게 된다. 케이싱(203)에 형성된 영구자석(207)과 철회위치에 설치된 자성부재(171b)가 상호 자기적으로 접촉결함됨으로써 평면반사경(201)은 철회위치에 위치고정된다. 이 때, 내관부(112b)의 상부면(123a)에 설치된 수동조작손잡이(315)는 회동축(205)과 일체로 회전함으로써 평면반사경(201)의 위치를 식별할 수 있게 된다.
도 8은 도 1의 휴대용 단말기의 확대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 단말기(401)는, 각종 정보를 출력할 수 있도록 표시창(402)과, 복수의조작버튼(403)이 구비되어 있다. 길이방향을 따라 표시창(402)의 상측영역에는 동영상카메라(405) 및 수화기(406)가 설치되어 있으며, 조작버튼(403)의 하측영역에는 송화기(407)가 마련되어 있다. 휴대용 단말기(401)의 하측 단부에는 단말기홀더(501)에 형성되는 후술할 외부안테나연결플러그(546a), 통신케이블접속핀(546b) 및 전원플러그(546c)가 각각 접속될 수 있도록 안테나접속부(408a), 케이블핀접속부(408b) 및 전원접속부(408c)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도 9는 도 1의 단말기홀더의 절취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1의 단말기홀더의 내부에 휴대용 단말기의 수용결합시 안테나접속부영역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홀더(501)의 내부에 형성된 단말기수용공간(S)의 저부영역에는 휴대용 단말기(401)의 저부에 형성된 안테나접속부(408a), 케이블핀접속부(408b) 및 전원접속부(408c)에 각각 삽입결될 수 있도록 외부안테나연결플러그(546a), 통신케이블접속핀(546b) 및 전원플러그(546c)가 각각 돌출형성되어 있다.
외부안테나연결플러그(546a)는 단말기홀더(501)의 일측면에 형성된 안테나결합부(52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전원플러그(546c)는 단말기홀더(501)의 일측에 형성된 전원코드접속부(525)와 연결되어 외부로부터의 전원을 휴대용 단말기(401)에 제공하게 된다.
통신케이블접속핀(546b)은 키보드접속부(523) 및 디스플레이패널(251)과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어 키보드접속부(523)를 통해 입력되는 키보드(533)로부터의 신호를 휴대용 단말기(401)에 전달하며, 휴대용 단말기(401)의 표시창(402)에 표시되는 영상정보와 동일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패널(251)에 동시에 표시하게 된다. 또한, 통신케이블접속핀(546b)은, 스피커폰(516) 및 마이크로폰(518)과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마이크로폰(518)을 통해 입력되는 음성정보를 휴대용 단말기(401)에 전달할 뿐만 아니라, 스피커폰(516)을 통해 휴대용 단말기(401)의 음성정보를 출력하게 된다.
한편, 휴대용 단말기(401)의 안테나결합부(521)의 말단영역에는 휴대용 단말기(401)에 내장된 내장안테나(411)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원반형상의 고정단자(413)가 설치되어 있으며, 고정단자(413)의 중앙영역에는 외부안테나연결플러그(546a)가 통과할 수 있도록 플러그통과공(414)이 형성되어 있다.
플러그통과공(414)의 연부는 외부안테나(531)에 연결된 외부안테나연결플러그(546a)와 절연이 가능하도록 절연층(415)이 형성되어 있다. 외부안테나연결플러그(546a)의 삽입방향에 대해 고정단자(413)의 후방 일측에는 전파송수신회로(417)와 연결된 가동단자(415)가 접촉 및 이격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가동단자(415)의 일측에는 가동단자(415)를 탄성가압하여 고정단자(413)에 접촉되도록 하는 스프링부재(418)가 설치되어 있다.
휴대용 단말기(401)가 단말기홀더(501)내에 수용되면 수용공간(S)의 저부에 돌출형성된 외부안테나연결플러그(546a)가 안테나접속부(408a)내에 수용결합된다. 외부안테나연결플러그(546a)의 선단이 고정단자(413)의 플러그통과공(414)을 통과하여 가동단자(415)의 판면에 접촉되면 가동단자(415)의 일측에 탄성접촉된 스프링부재(418)는 압축되고, 가동단자(415)는 고정단자(413)로부터 이격된다.
이에 의해, 전파송수신회로(417)는 내장안테나(411)와의 연결이 차단됨과 동시에 외부안테나(531)와 연결됨으로써, 휴대용 단말기(401)의 사용시 발생될 수 있는 전자파에 기인한 각종 기기의 오작동 예를 들면, 에어백, 엔진의 급가속 또는 급발진 뿐만 아니라, 심장병, 당뇨병 등의 지병을 앓고 있는 환자 등에 미치게 될지도 모르는 악영향 등을 예방할 수 있게 된다.
도 11은 도 1의 제2백미러유니트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제2미러부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13은 도 11의 제2백미러유니트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4는 도 13의 요부확대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백미러유니트(601)는, 차량(11)의 외측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지지판부(611)와, 차량(11)의 진행방향에 가로로 배치되는 반사위치와 차량(11)의 진행방향에 평행하게 배치되는 절첩위치간을 회동가능하도록 지지판부(611)에 결합되는 제1미러부(631)와, 제1미러부(631)를 지지판부(611)에 대해 상대회동가능하도록 결합시키는 힌지축(641)과, 힌지축(641)을 중심으로 제1미러부(631)를 반사위치와 절첩위치간을 회동구동시킴과 동시에 차량(11)에 대한 좌우반사각을 조절하는 제1미러구동부(651)와, 제1미러부(631)에 대해 인출 및 철회가능하도록 수용결합되는 제2미러부(661)를 가진다.
지지판부(611)는 원반형상을 가지며 차량(11)의 외측에 배치되는 판면에는 제1미러부(631)를 회동지지할 수 있도록 상하방향을 따라 상부힌지부(612a) 및 하부힌지부(612b)가 형성되어 있으며, 차량(11)측 판면에는 중앙영역으로부터 돌출된 지지축(613)이 형성되어 있다.
제1미러부(631)는, 내부에 제1미러부(631)의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통형상의 제1지지프레임(632)과, 제1지지프레임(632)의 일측에 결합되는 제1반사부재(640)를 가진다. 제1지지프레임(632)은 거의 “U”단면형상의 통형상을 가지며, 일측에는 지지판부(611)의 상부힌지부(612a) 및 하부힌지부(612b)사이에 개재되고 상하방향을 따라 힌지축(641)이 결합되는 힌지축수용부(633)가 형성되어 있다.
힌지축수용부(633)의 상단에는 판면으로부터 상부힌지부(612a)의 상측으로 소정 돌출될 수 있도록 걸림리브(635)가 형성되어 있으며, 힌지축수용부(633)의 하부영역은 제1지지프레임(632)을 탄성지지할 수 있도록 일단이 하부힌지부(612b)에 지지되는 코일형상의 압축스프링부재(634)가 개재될 수 있도록 하단으로부터 소정 상향절취되어 있다.
제1지지프레임(632)의 길이방향을 따라 저판부(636b)의 양 단부영역에는 판면을 관통하여 걸림공(638a,638b)이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제1지지프레임(632)의 상판부(636a) 및 저판부(636b)의 내부에는 제2미러부(661)를 슬라이딩 안내할 수 있도록 안내리브(637a,637b)가 각각 돌출형성되어 있다.
제1미러구동부(651)는, 힌지축(641)의 상단에 일체로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피동기어(653)와, 피동기어(653)에 상호 맞물리결합되는 구동기어(656)와, 구동기어(656)를 정역회전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모터(658)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피동기어(653)는 상부힌지부(612a)에 비해 확장된 반경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압축스프링부재(634)에 의해 탄성지지된 제1지지프레임(632)에 형성된 걸림리브(635)는 피동기어(653)의 치형사이에 개재되어 회전방향에 대해 걸림유지됨으로써, 피동기어(653) 및 힌지축(641)의 회전시 제1지지프레임(632)이 일체로 회전가능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제1미러구동부(651)는 제1미러부(631)를 차량(11)의 진행방향에 대해 가로로 회전구동시킴과 동시에, 운전자의 조작에 의해 제1미러부(631) 및 제2미러부(661)에 의해 형성되는 반사면의 좌우반사각을 조절하게 된다.
제2미러부(661)는, 제1지지프레임(632)의 내부에 슬라이딩 인출가능하도록 수용결합되는 제2지지프레임(663)과, 제2지지프레임(663)의 내부에 슬라이딩 인출가능하도록 수용결합되는 제3지지프레임(671)과, 제3지지프레임(671)의 일측에 결합되는 제2반사부재(680)와, 제2지지프레임(663)과 제3지지프레임(671)사이에 개재되어 제2지지프레임(663)에 대해 제3지지프레임(671)을 인출 및 철회되도록 구동시키는 제3지지프레임구동부(681)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제2지지프레임(663)은, 제1지지프레임(632)의 형상에 대응하여 축소된“U”단면형상을 가지며 일단이 외부에 노출될 수 있도록 제1지지프레임(632)의 내부에 수용결합되어 있다. 제2지지프레임(663)의 노출측 단부에는 폭방향으로 돌출된 손잡이부(664)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판부(665a) 및 저판부(665b)에는 제1지지프레임(632)에 형성된 안내리브(637a,637b)를 각각 수용할 수 있도록 리브수용그루브(667a,667b)가 길이방향을 따라 각각 함몰형성되어 있다.
제2지지프레임(663)의 삽입측 단부의 저부영역에는 판면으로부터 하향돌출된 걸림돌기(668)가 형성되어 있으며, 걸림돌기(668)의 후방영역에는 걸림돌기(668)가 저판부(665b)로부터 돌출될 수 있도록 탄성력을 가하는 스프링부재(미도시)가 설치되어 있다. 걸림돌기(668)는 제1지지프레임(632)의 저판부(636b)의 양 단부영역에 형성된 걸림공(638b,638a)에 각각 수용되어 제2지지프레임(663)을 인출위치 및 철회위치에 각각 고정되도록 한다.
제3지지프레임(671)은 제2지지프레임(663)의 내부에 일단이 노출되도록 수용결합되며, 노출단부영역에는 제2지지프레임(663)의 노출단부영역을 차단할 수 있도록 커버부(673)가 두께방향을 따라 연장형성되어 있다. 제3지지프레임(671)의 일측에는 인출시 제1반사부재(640)와 상호 협조적으로 반사면을 형성하는 제2반사부재(680)가 일체로 유동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다.
제3지지프레임구동부(681)는, 제2반사부재(680)의 대향측에 형성되는 암나사부(675)와, 제2지지프레임(663)의 배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회전가능하도록 배치되며 외주면에 암나사부(675)와 상대운동가능하도록 맞물림결합되는 수나사부가 형성된 회전축(683)과, 회전축(683)의 일단에 일체로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피동기어(687)와, 피동기어(687)에 맞물림결합되는 구동기어(689)와, 구동기어(689)를 정역회전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모터(691)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제2지지프레임(663)의 배면에 배치된 회전축(683)의 양 단부영역에는 회전축(683)을 회전지지할 수 있도록 한 쌍의 지지편(685)이 구비되어 있다.
한편, 지지판부(611)의 외측표면에는 피동기어(653)와, 구동기어(656) 및 구동모터(658)를 둘러싸도록 외부하우징(621)이 결합되어 있으며, 차량(11)측 표면으로부터 차량(11)의 내측을 향해 연장된 지지축(613)의 단부영역에는 상하반사각조절부(614)가 형성되어 있다.
상하반사각조절부(614)는, 부채꼴형상을 가지고 원주면에 치형부(617)가 형성되어 있으며 지지축(613)의 단부에 일체로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전동부재(615)와, 전동부재(615)의 치형부(617)에 지지판부(611)의 지지축과 평행하게 배치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도록 맞물림결합되는 구동기어(619)와, 구동기어(619)의 회전축에 구동기어(619)를 정역회전시킬 수 있도록 결합되는 구동모터(620)를 가진다.
전동부재(615) 및 구동모터(620)의 둘레영역에는 이들을 둘러싸도록 내부하우징(623)이 결합되어 있으며, 전동부재(615)의 판면에는 수동으로 전동부재(615)를 회동시킬 수 있도록 상하반사각조절손잡이(618)가 돌출형성되어 있다. 내부하우징(623)에는 상하반사각조절손잡이(618)가 노출될 수 있도록 상하반사각조절손잡이(618)의 회동궤적에 대응하여 호형상을 가지는 안내슬롯(624)이 관통형성되어 있다.
도시 않은 제2백미러유니트(601)의 조작스위치를 조작하면, 먼저 제1미러구동부(651)의 구동모터(658)가 회전하게 되고 구동모터(658)의 회전축에 결합된 구동기어(656)는 피동기어(653)를 회전시키게 된다. 피동기어(653)는 힌지축(641)과 일체로 회전하게 되고, 피동기어(653)에 걸림리브(635)에 의해 맞물림된 제1지지프레임(632)은 힌지축(641)과 일체로 회전하게 된다.
이와 거의 동시에, 제3지지프레임구동부(681)의 구동모터(691)가 동작을 개시하고 구동모터(691)의 회전력은 구동기어(689) 및 피동기어(687)에 의해 회전축(683)에 전달된다. 회전축(683)이 회전하게 되면 수나사부에 결합된 암나사부(675)는 회전축(683)의 축선방향을 따라 이동하게 되고 암나사부(675)가 고정된 제3지지프레임(671)은 제2지지프레임(663)에 대해 외부로 인출되고, 제2반사부재(680)는 제1반사부재(640)와 상호 협조적으로 차량(11)의 후방영역을 반사할 수 있도록 반사면을 형성하게 된다.
제1 및 제2반사부재(640,680)에 의해 형성된 반사면의 상하반사각을 조절하고자 할 때는, 도시 않은 상하반사각조절스위치를 조작하여 구동모터(620)를 회전구동시킨다. 그러면, 구동모터(620)의 회전축에 결합된 구동기어(619)에 의해 전동부재(615)가 회동하게 되고, 전동부재(615)의 회동에 따라 지지판부(611) 및 제1 및 제2반사부재(640,680)가 회동하게 됨으로써 상하반사각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수동으로 제2백미러유니트(601)를 조작하고자 할 때는, 제1지지프레임(632)을 힌지축(641)의 축선방향을 따라 하향가압하면 압축스프링부재(634)가 압축되면서 피동기어(653)의 치형사이에 맞물림된 걸림리브(635)가 치형으로부터 하방 이탈된다.
이 때, 제1지지프레임(632)을 힌지축(641)을 중심으로 소망하는 위치로 회동시키고 가압력을 제거하게 되면 압축스프링부재(634)의 탄성력에 의해 걸림리브(635)는 회동된 위치에서 피동기어(653)의 치형사이에 수용되어 회전방향에 대해 걸림유지된다.
다음, 제2지지프레임(663)의 손잡이부(664)를 잡고 제1지지프레임(632)의 연장방향으로 당기면 제2지지프레임(663)은 철회위치로부터 인출되고,제2지지프레임(663)의 저판부(665b)에 형성된 걸림돌기(668)는 제1지지프레임(632)의 자유단부영역에 형성된 걸림공(638b)내에 수용되어 제2지지프레임(663)이 인출위치에 고정되도록 한다.
수동으로 상하반사각을 조절하고자 할 때는, 내부하우징(623)에 돌출된 상하반사각조절손잡이(618)를 원하는 방향으로 원하는 각도만큼 회전시키면 전동부재(615)가 지지축(613)과 함께 회전하게 되고, 지지축(613)과 일체로 지지판부(611)가 회전하게 됨으로써 상하반사각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먼저 단말기홀더(501)를 차량의 내부에 적절한 위치에 거치시키고, 단말기홀더(501)의 일측에 형성된 안테나결합부(521)와, 키보드접속부(523)와, 전원코드접속부(525)에 외부안테나의 플러그(532), 키보드(533) 및 전원코드(535)를 각각 접속한다.
다음, 휴대용 단말기(401)의 표시창(402)이 운전자를 향하도록 하여 단말기홀더(501)의 단말기수용공간(S)내에 삽입하면, 휴대용 단말기(401)의 하단에 형성된 안테나접속부(408a), 케이블핀접속부(408b) 및 전원접속부(408c)에 단말기수용공간(S)의 저부영역에 돌출형성된 외부안테나연결플러그(546a), 통신케이블접속핀(546b) 및 전원플러그(546c)가 각각 수용결합된다.
휴대용 단말기(401)의 표시창(402)을 확대하여 보고자 할 경우에는, 도시 않은 반사경위치조절스위치를 조작하여 반사경구동부(301)의 구동모터(307)를 회전구동시킨다. 구동모터(307)의 구동력은 구동기어(305)를 통해 피동기어(303)에 전달되고, 피동기어(303)는 회동축(205)와 함께 일체로 회동함으로써 평면반사경(201)은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철회위치로 이동하여 광경로를 차단함과 동시에 투시창(161)을 개방하게 된다.
한 편, 수동으로 평면반사경(201)의 위치를 조절하고자 할 때는, 내관부(112b)의 상부면(123a)에 노출되도록 설치된 수동조작손잡이(315)를 철회위치로 회동시키면 된다.
스위치조작 또는 수동조작에 의해 평면반사경(201)이 철회위치로 이동하여 투시창(161)이 개방되면, 휴대용 단말기(401)의 표시창(402)과 동일한 정보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패널(251)을 대안렌즈(121)를 통해 확대하여 볼수 있게 된다.
평면반사경(201)이 철회위치로 이동하게 되면 광전달부재(113)를 통과한 광이 대안렌즈(121)로 전달되지 못하게 되므로, 제1백미러유니트(101)를 이용해서는 후방을 관찰할 수 없게 된다. 그러면, 도 11 내지 도 14와 관련하여 전술한 것과 같이, 제2백미러유니트(601)를 조작하여 후방을 관찰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제1백미러유니트(101)를 통해 차량의 후방영역을 다시 관찰하기 위해서는, 먼저, 도시 않은 반사경위치조절스위치를 조작하여 반사경구동부(301)의 구동모터(307)를 회전구동시키면, 구동모터(307)의 회전력은 구동기어(305) 및 피동기어(303)를 통해 회동축(205)에 전달된다. 이에 의해, 평면반사경(201)은 회동축(205)을 중심으로 반사위치로 회동하여 위치고정되어 투시창(161)을 차단함과 동시에 광전달부재(113)를 통해 제공되는 광을 대안렌즈(121)를 향해 반사하게 된다.
이와 거의 동시에, 제2미러구동부(681) 및 제1미러구동부(651)의 각구동모터(691,651)를 회전구동시키면 제2미러부(661)는 제1지지프레임(632)의 내부로 철회되고, 제1미러부(631)는 힌지축(641)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차량(11)의 진행방향에 평행하게 철회된다. 제2백미러유니트(601)가 철회되면 대안렌즈(121)를 통해 차량(11)의 후방영역을 관찰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백미러장치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16 및 도 17은 각각 도 15의 차량용 백미러장치의 측면도 및 평단면도이며, 도 18은 도 17의 제1백미러유니트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 및 동일 상당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의 편의상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였으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차량용 백미러장치는, 일단이 차량(11)의 실외측에 배치되고 타단이 차량(11)의 실내측에 배치되는 하우징(111)과, 하우징(111)의 실외측 및 실내측 단부영역에 각각 배치되어 상호 어포컬광학계(Afocal System)를 형성하는 대물렌즈계 및 대안렌즈계와, 대물렌즈계와 대안렌즈계사이에 개재되어 대물렌즈계의 광을 대안렌즈계로 반사하는 제3반사부(119)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1백미러유니트(101)와, 제3반사부(119)와 대안렌즈계사이에 회동가능하도록 배치되고 휴대용 단말기(40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휴대용 단말기(401)의 표시창(402)에 표시되는 영상정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패널(701)과, 디스플레이패널(701)이 대물렌즈계를 통해 전달되는 광경로를 차단하도록 배치되어 소정의 영상정보를 출력하는 출력위치와 광경로가 개방되도록 철회되는 철회위치간을 회동구동시키는 패널구동부(721)와, 제1백미러유니트(101)의 대물렌즈계 영역에 차량(11)의 진행방향에 가로로 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제2백미러유니트(601)를 가진다.
하우징(111)은 전체적인 형상이 “U”형상을 가지며, 차량(11)의 운전석의 전방영역에 일단이 고정결합되고 타단이 차량(11)의 후방영역을 향해 배치되는 외관부(112a)와, 일단이 외관부(112a)에 상대운동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타단이 차량(11)의 실내측 후방영역을 향해 배치되는 내관부(112b)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외관부(112a)의 실외측 단부영역에는 적어도 하나의 볼록렌즈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대물렌즈계가 배치형성되며, 내관부(112b)의 자유단부영역에는 대물렌즈계와 어포컬광학계를 형성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볼록렌즈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대안렌즈계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도 전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외관부(112a)의 내부에는 대물렌즈부(114), 상부반사부(115) 및 하부반사부(117)가 일체로 형성된 광전달부재(113)가 수용설치되어 있으며, 대안렌즈(121)는 대물렌즈부(114)에 의해 축소된 사물의 상을 확대할 수 있도록 대물렌즈부(114)에 비해 거의 2배정도 확대된 크기를 가지는 단일의 볼록렌즈로 구성되어 있다.
광전달부재(113)는,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에 볼록렌즈타입으로 형성되어 사물의 상이 축소되도록 광을 굴절시키는 대물렌즈부(114)와, 대물렌즈부(114)의 촛점거리 이내에 내각이 상호 직각을 이루고 대물렌즈부(114)의 광축선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되며 상호 접촉선이 대물렌즈부(114)의 상하중심선에 대응되도록 배치되는 상부반사부(115) 및 하부반사부(117)를 가진다.
광전달부재(113)의 후방영역 즉, 대물렌즈부(114)의 촛점거리 이후에는 상부반사부(115) 및 하부반사부(117)에 의해 반사된 광을 대안렌즈(121)를 향해 반사할 수 있도록 제3반사부(119)가 광경로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되어 있다.
내관부(112b)는 역“L”형상을 가지며 자유단부영역으로 향할수록 상하 및 좌우방향을 따라 폭이 증대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내관부(112b)의 일측 내벽에는 철회위치시 디스플레이패널(701)이 나란하게 배치된다.
내관부(112b)의 상부면(123a)에는 디스플레이패널(701)을 수동으로 조작할 수 있도록 수동조작손잡이(711)가 구비되어 있으며, 저부면(123c)에는 스위치조작에 의해 디스플레이패널(701)을 출력위치와 철회위치간을 회동구동시키는 패널구동부(721)가 마련되어 있다.
한편, 휴대용 단말기(401)는, 각종 정보를 출력할 수 있도록 표시창(402)과, 복수의 조작버튼(403)이 구비되어 있다. 길이방향을 따라 표시창(402)의 상측영역에는 동영상카메라(405) 및 수화기(406)가 설치되어 있으며, 조작버튼(403)의 하측영역에는 송화기(407)가 마련되어 있다. 휴대용 단말기(401)의 하측 단부에는 단말기홀더(501)에 형성되는 후술할 외부안테나연결플러그(546a), 통신케이블접속핀(546b) 및 전원플러그(546c)가 각각 접속될 수 있도록 안테나접속부(408a), 케이블핀접속부(408b) 및 전원접속부(408c)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단말기홀더(501)는 내부에 휴대용 단말기(401)의 하부영역을 수용할 수 있도록 수용공간(S)이 형성되어 있으며, 전면에는 휴대용 단말기(401)를 핸즈프리한 상태에서 조작할 수 있도록 스피커폰(516) 및 마이크로폰(518)이 각각 구비되어 있다. 스피커폰(516)의 일측에는 음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음량조절부재(519)가 설치되어 있다.
단말기홀더(501)의 측연에는 차량(11)의 외부에 설치되는 외부안테나의 플러그(532)가 접속될 수 있도록 안테나결합부(521)와, 휴대용 단말기(401)의 각 조작버튼(403)에 대응되도록 복수의 조작버튼(534)이 구비된 키보드(533)가 접속될 수 있도록 키보드접속부(523)가 각각 구비되어 있으며, 키보드접속부(523)의 하측에는 일단이 차량(11)의 시거라이터잭에 접속되는 전원코드(535)의 타단이 연결될 수 있도록 전원코드접속부(525)가 마련되어 있다.
단말기홀더(501)의 내부에는 다수의 회로와 전자(반도체)부품으로 구성되어 휴대용 단말기(401)가 단말기홀더(501)내에 수용될 경우에도 휴대용 단말기(401)를 정상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기판조립체(미도시)가 내장된다.
도 19는 도 15의 디스플레이패널 및 패널구동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20은 도 19의 수동조작손잡이의 결합상태의 확대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관부(112b)의 내부에는 휴대용 단말기(40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디스플레이패널(701)이 내관부(112b)의 중앙영역에 위치될 수 있도록 지지하는 패널지지플레이트(703)가 설치되어 있다.
패널지지플레이트(703)의 일측에는 상하방향을 따라 회동축(705)이 마련되어 있으며, 패널지지플레이트(703)는 이 회동축(705)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광경로에 대해 가로방향으로 배치되어 광경로를 차단하고 디스플레이패널(701)이 영상정보를 출력하는 출력위치와 광경로와 나란하게 배치되어 광경로가 개방되도록 하는 철회위치간을 회동하면서 디스플레이패널(701)을 지지하게 된다. 패널지지플레이트(703)에는 디스플레이패널(701)을 사이에 두고 상하에 각각 디스플레이패널(701)의 조명을 위한 조명등(707)이 설치되어 있다.
회동축(705)은 상단 및 하단이 각각 내관부(112b)의 상부면(123a) 및 저부면(123c)을 관통하여 외부에 노출될 수 있도록 연장형성되어 있다. 회동축(705)의 상단부에는 일측에 형성된 축결합공(712)을 가지는 회동축(705)과 일체로 회동가능하게 수동조작손잡이(711)가 결합되어 있다.
수동조작손잡이(711)의 자유단부영역에는 돌출 및 철회가능하게 위치고정돌기(713)가 마련되어 있으며, 위치고정돌기(713)의 후방영역에는 위치고정돌기(713)가 돌출되도록 탄성력을 가하는 스프링부재(714)가 구비되어 있다. 내관부(112b)의 상부면(123a)에는 출력위치 및 철회위치에 수동조작손잡이(711)를 각각 위치고정시킬 수 있도록 판면으로부터 함몰된 돌기수용공(151a,151b)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한편, 패널구동부(721)는, 내관부(112b)의 저부면(123c)을 통과하여 노출되도록 설치된 회동축(705)의 하단에 결합되는 피동기어(723)와, 피동기어(723)와 일체로 회전가능하도록 맞물림되는 구동기어(725)와, 구동기어(725)를 정역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모터(727)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으며, 내관부(112b)의 저부면(123c)에는 내부에 이들의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구동부하우징(729)이 결합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휴대용 단말기(401)의 표시창(402)의 영상정보를 확대하여 보고자 할 경우에는, 도시 않은 패널구동부(721)의 조작스위치를 조작하여 패널구동부(721)의 구동모터(727)를 회전구동되도록 한다. 구동모터(727)가 회전하면 구동모터(727)의 회전력은 상호 맞물림된 구동기어(725) 및 피동기어(723)에 의해 회동축(705)에 전달된다.
이 때, 상단에 결합된 수동조작손잡이(711)의 위치고정돌기(713)는 돌기수용공(151a)의 연부에 접촉되어 스프링부재(714)가 압축되면서 철회되고 내관부(112b)의 상부면(123a)에 접촉된 상태로 회동축(705)과 함게 회동하게 된다. 이에 의해, 디스플레이패널(701)과 패널지지플레이트(703)는 회동축(705)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광경로를 차단하는 출력위치에 배치되고, 디스플레이패널(701)이 휴대용 단말기(401)로부터 제공된 영상정보를 출력하면 대안렌즈(121)를 통해 확대하여 볼 수 있게 된다.
디스플레이패널(701)을 수동으로 출력위치로 이동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내관부(112b)의 상부면(123a)에 결합된 수동조작손잡이(711)를 잡고 시계방향으로 돌리면, 수동조작손잡이(711)와 일체로 회동할 수 있게 결합된 회동축(705)이 회동하여 디스플레이패널(701)을 출력위치로 회동시키게 된다.
한편, 디스플레이패널(701)이 출력위치에 있게 되면, 패널지지플레이트(703)에 의해 광경로가 차단되어 제1백미러유니트(101)를 통해 더 이상 차량(11)의 후방영역을 관찰할 수 없게 되므로, 전술한 바와 같이, 제2백미러유니트(601)를 차량(11)의 측연으로부터 돌출되도록 구동시켜 후방영역을 관찰할 수 있도록 한다.도 1 내지 도 14와 관련하여 전술 및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평면반사경을 하우징에 대해 상대회동가능한 단일체로 구성된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평면반사경중 일부영역을 투시창이 개방되는 위치와 차단되는 위치간을 회동가능한 가동반사경부로 구성하고, 나머지 영역을 대물렌즈부를 통과한 광을 대안렌즈측으로 반사하는 반사위치에 고정배치되는 고정반사경부로 구성하여 차량의 후방영역을 관찰함과 동시에 휴대용 단말기의 표시창의 정보를 확대하여 볼 수 있게 구성할 수도 있다.또한, 도 15 내지 도 20과 관련하여 전술 및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대물렌즈부로부터의 광 경로에 대해 제3반사부와 대안렌즈부사이에 출력위치와 철회위치간을 회동가능하게 디스플레이패널이 배치된 경우를 예를 들고 있지만, 제3반사부에 비해 하우징의 폭을 확장시키고 확장된 영역에 제3반사부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치수를 가지는 디스플레이패널을 배치하여 차량의 후방영역을 관찰함과 동시에 휴대용 단말기의 표시창의 정보를 확대하여 볼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백미러장치는, 차량의 외부로돌출되는 돌출길이를 축소시켜 공기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휴대용 단말기의 표시창에 출력되는 정보를 확대하여 볼 수 있어 정보판독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핸즈프리가 가능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제고시킬 수 있는 차량용 백미러장치가 제공된다.

Claims (22)

  1. 통형상을 가지고 일단이 차량의 외측에 후방영역을 향해 배치되고 타단은 상기 차량의 실내측에 후방영역을 향해 배치되며 실내측 일영역에 상기 실내측 단부와 대향된 위치에 광이 투과할 수 있도록 투시창이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외측 단부영역에 배치되어 통과한 광을 축소굴절시키는 대물렌즈계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상호 내각이 직각을 이루며 상호 접촉선이 상기 대물렌즈계의 수평중심선에 대응되도록 상기 대물렌즈계의 촛점거리 이내에 경사지게 배치되는 상부반사부 및 하부반사부와, 평면반사면을 가지고 상기 대물렌즈계의 촛점거리 이후에 상기 투시창을 차단하도록 경사지게 배치되어 상기 상부반사부 및 하부반사부로부터 반사된 광을 상기 하우징의 실내측 단부영역으로 반사하는 반사위치와 상기 투시창이 개방되도록 철회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벽면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철회위치간을 이동가능하게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평면반사경과, 상기 하우징의 실내측 단부영역에 배치되어 상기 평면반사경에 의해 반사된 상을 확대굴절시킴으로써 상기 대물렌즈계와 어포컬 광학계를 형성하는 대안렌즈계를 가지는 제1백미러유니트와; 상기 평면반사경을 상기 반사위치와 상기 철회위치간을 슬라이딩 구동시키는 반사경구동수단과; 내부에 휴대용 단말기의 적어도 일영역을 수용할 수 있도록 단말기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배치되는 단말기홀더와; 상기 휴대용 단말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단말기수용공간내에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수용시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표시창과 동일한 정보를 출력하는 표시면을 가지고 상기표시면이 상기 투시창을 향하도록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 결합되는 디스플레이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백미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평면반사경의 상기 투시창측 연부에는 상하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적어도 일단이 상기 하우징을 관통하여 노출되도록 설치되는 회동축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반사경구동수단은, 상기 회동축의 노출단부에 일체로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피동기어와, 상기 피동기어에 회전가능하도록 맞물림된 구동기어와, 상기 구동기어를 정역회전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백미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평면반사경의 상기 투시창측 연부에는 상하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적어도 일단이 상기 하우징을 관통하여 노출되도록 설치되는 회동축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반사경구동수단은, 상기 회동축의 노출단부에 일체로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수동조작손잡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백미러장치.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평면반사경의 상기 반사위치 및 상기 철회위치시 상기 평면반사경과 상기 하우징의 상호 접촉면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는 자석과, 다른 하나에 상기 자석과상호 자기적으로 결합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자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백미러장치.
  5. 통형상을 가지고 일단이 차량의 외측에 후방영역을 향해 배치되고 타단은 상기 차량의 실내측에 후방영역을 향해 배치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외측 단부영역에 배치되어 통과한 광을 축소굴절시키는 대물렌즈계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상호 내각이 직각을 이루며 상호 접촉선이 상기 대물렌즈계의 수평중심선에 대응되도록 상기 대물렌즈계의 촛점거리 이내에 경사지게 배치되는 상부반사부 및 하부반사부와, 상기 대물렌즈계의 촛점거리 이후에 배치되어 상기 상부반사부 및 하부반사부로부터 반사된 광을 상기 하우징의 실내측 단부영역으로 반사하는 제3반사부와, 상기 하우징의 실내측 단부영역에 배치되어 상기 제3반사부에 의해 반사된 상을 확대굴절시킴으로써 상기 대물렌즈계와 어포컬 광학계를 형성하는 대안렌즈계를 가지는 제1백미러유니트와; 내부에 휴대용 단말기의 적어도 일영역을 수용할 수 있도록 단말기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배치되는 단말기홀더와; 상기 휴대용 단말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단말기수용공간내에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수용시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표시창과 동일한 정보를 출력하는 표시면을 가지고 상기 하우징의 내부 상기 제3반사부와 상기 대안렌즈계사이에 상기 표시면이 상기 대안렌즈계를 향하도록 배치되는 출력위치와 상기 하우징의 내벽에 나란하게 배치되는 철회위치간을 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디스플레이패널과; 상기 디스플레이패널을 상기 출력위치와 상기 철회위치간을 회동구동시키는 패널구동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백미러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구동수단은, 상기 디스플레이패널의 회동축과 일체로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 배치되어 상기 디스플레이패널을 상기 출력위치 및 상기 철회위치중 어느 하나로 회동시키는 수동조절손잡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백미러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수동조절손잡이를 상기 출력위치 및 상기 철회위치에 각각 위치고정되도록 하는 손잡이위치고정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백미러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구동수단은, 상기 디스플레이패널의 회동축과 일체로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된 피동기어와, 상기 피동기어에 회전가능하도록 맞물림된 구동기어와, 상기 구동기어를 정역회전구동시키는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백미러장치.
  9.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패널의 표시면의 조명을 위해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조명등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백미러장치.
  10.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홀더의 일측에 상기 휴대용 단말기와 전기적으로 연결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음성정보를 출력하는 음성출력수단 및 외부로부터의 음성정보를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 입력되도록 하는 음성입력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백미러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홀더에는 일단이 상기 차량의 시거라이터잭에 연결되는 전원연결코드의 타단을 수용할 수 있도록 전원접속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백미러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조작버튼에 대응되도록 기능하는 복수의 조작버튼이 구비된 키보드를 더 포함하며, 상기 단말기홀더의 일측에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됨과 동시에 상기 키보드가 접속될 수 있게 키보드접속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백미러장치.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홀더의 일측에는 상기 차량의 외부에 설치되는 외부안테나가 연결될 수 있도록 외부안테나접속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외부안테나접속부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상기 단말기수용공간내에 수용시 상기 휴대용 단말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백미러장치.
  14.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외측에 배치되는 지지판부와, 상기 지지판부에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1지지프레임과 상기 제1지지프레임의 일측 연부에 형성되는 제1반사부재를 가지고 상기 차량의 후방영역을 반사할 수 있도록 상기 차량의 진행방향에 가로로 배치되는 반사위치와 상기 차량의 진행방향에 평행하게 배치되는 철회위치간을 회동가능하도록 배치되는 제1미러부와, 상기 제1반사부재와 상기 제1지지프레임사이에 슬라이딩 인출가능하게 수용결합되고 인출시 상기 제1반사부재와 상호 협조적으로 상기 차량의 후방영역을 반사할 수 있도록 반사면을 형성하는 제2미러부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제2백미러유니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백미러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미러부는, 상기 제1지지프레임의 내부에 일단이 노출되게 수용되어 상기 제1지지프레임에 대해 슬라이딩 인출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2지지프레임과, 상기 제2지지프레임의 내부에 제2지지프레임에 대해 슬라이딩 인출가능하도록 수용결합되는 제3지지프레임과, 상기 제3지지프레임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제1반사부재와 상호 협조적으로 반사면을 형성하는 제2반사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백미러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2지지프레임과 상기 제3지지프레임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제2지지프레임에 대해 상기 제3지지프레임이 인출되는 인출위치와 철회되는 철회위치간을 구동시키는 제3지지프레임구동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백미러장치.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미러부 및 제2미러부에 형성된 반사면의 반사각을 조절하는 반사각조절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백미러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각조절수단은, 상기 제1지지프레임의 힌지축의 일단에 일체로 회전가능하도록 형성된 피동기어와, 상기 피동기어와 상호 맞물림되는 구동기어와, 상기 구동기어의 회전축에 일체로 결합되는 전동모터를 가지는 좌우반사각조절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백미러장치.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각조절수단은, 상기 차량의 진행방향에 가로로 형성된 회전축선을 중심으로 상기 지지판부를 정역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제1미러부 및 제2미러부에 의해 형성된 반사면의 상하반사각을 조절하는 상하반사각조절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백미러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반사각조절수단은, 상기 지지판부와 상호 평행하게 이격배치되어 상기 지지판부와 일체로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고 둘레면의 적어도 일영역에 치형부가 형성되어 있는 전동부재와, 상기 전동부재의 치형부에 상호 치형결합되어 상기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구동기어와, 상기 구동기어를 정역회전구동시키는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백미러장치.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반사각조절수단은, 상기 지지판부와 상호 평행하게 상기 차량의 실내측에 이격배치되고 상기 지지판부와 일체로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전동부재와, 상기 전동부재를 정역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전동부재의 판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되는 상하반사각조절손잡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백미러장치.
  2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평면반사경은, 상기 상부반사부 및 하부반사부로부터 반사된 광을 상기 대안렌즈계로 반사할 수 있도록 고정배치되는 고정반사경부와, 상기 고정반사경부의 일측에 상기 투시창을 개폐할 수 있도록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가동반사경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백미러장치.
KR1020000016604A 2000-03-30 2000-03-30 차량용 백미러장치 KR1003377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6604A KR100337783B1 (ko) 2000-03-30 2000-03-30 차량용 백미러장치
CNB018091040A CN1230324C (zh) 2000-03-30 2001-03-30 车辆综合监视系统
DE60108095T DE60108095T2 (de) 2000-03-30 2001-03-30 Seitenspiegelvorrichtung für fahrzeuge
JP2001574403A JP3677477B2 (ja) 2000-03-30 2001-03-30 車両用フュージョンモニタシステム
EP01917941A EP1274605B1 (en) 2000-03-30 2001-03-30 Sideview mirror apparatus for vehicles
PCT/KR2001/000533 WO2001076911A1 (en) 2000-03-30 2001-03-30 Sideview mirror apparatus for vehicles
AU2001244816A AU2001244816A1 (en) 2000-03-30 2001-03-30 Sideview mirror apparatus for vehicles
US10/253,019 US6844966B2 (en) 2000-03-30 2002-09-23 Fusion monitor system for vehicl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6604A KR100337783B1 (ko) 2000-03-30 2000-03-30 차량용 백미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4380A KR20010094380A (ko) 2001-11-01
KR100337783B1 true KR100337783B1 (ko) 2002-05-24

Family

ID=196602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16604A KR100337783B1 (ko) 2000-03-30 2000-03-30 차량용 백미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3778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3435A (ko) * 2000-09-21 2002-03-29 고명덕 차량용 백미러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3435A (ko) * 2000-09-21 2002-03-29 고명덕 차량용 백미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4380A (ko) 2001-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42100B2 (en) Portable terminal having digital camera function
KR100744295B1 (ko) 휴대용 단말기
US5194955A (en) Video telephone
KR20200132971A (ko) 이동 단말기
EP1601166A1 (en) Sliding-type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having two liquid crystal displays
JP3677477B2 (ja) 車両用フュージョンモニタシステム
EP1773030A2 (en) Foldable portable terminal with a hinge which allows several angle positions of the two housings
KR100630138B1 (ko)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 장치
KR100337783B1 (ko) 차량용 백미러장치
KR100337782B1 (ko) 차량용 백미러장치
KR100337781B1 (ko) 차량용 백미러장치
JP4252021B2 (ja) 携帯電話機
KR20020023435A (ko) 차량용 백미러장치
EP1489256A2 (en) Hinge for a portable terminal
KR20020023436A (ko) 차량용 백미러장치
KR20060085023A (ko) 회동형 카메라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KR100651208B1 (ko) 절첩식 카메라를 구비한 개인휴대단말기
JPH07255027A (ja) スクリーン収納式投写型表示装置
KR200411022Y1 (ko) 화면확대장치
KR200353339Y1 (ko) 핸드폰용 확대구
KR100771328B1 (ko) 표시장치가 자동/수동으로 구동되는 표시단말기
KR100547779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KR100548424B1 (ko) 슬라이드형 휴대용 단말기의 줌카메라
JP2003258973A (ja) 携帯通信端末装置
KR100631626B1 (ko) 줌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317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