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23435A - 차량용 백미러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백미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23435A
KR20020023435A KR1020000055529A KR20000055529A KR20020023435A KR 20020023435 A KR20020023435 A KR 20020023435A KR 1020000055529 A KR1020000055529 A KR 1020000055529A KR 20000055529 A KR20000055529 A KR 20000055529A KR 20020023435 A KR20020023435 A KR 200200234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lens system
disposed
vehicle
portab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555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명덕
고정현
Original Assignee
고명덕
고정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명덕, 고정현 filed Critical 고명덕
Priority to KR10200000555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23435A/ko
Priority to AU2001244816A priority patent/AU2001244816A1/en
Priority to DE60108095T priority patent/DE60108095T2/de
Priority to EP01917941A priority patent/EP1274605B1/en
Priority to CNB018091040A priority patent/CN1230324C/zh
Priority to JP2001574403A priority patent/JP3677477B2/ja
Priority to PCT/KR2001/000533 priority patent/WO2001076911A1/en
Publication of KR200200234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23435A/ko
Priority to US10/253,019 priority patent/US6844966B2/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12Mirror assembli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e.g. cl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6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 B60R1/06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with remote control for adjusting position
    • B60R1/07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with remote control for adjusting position by electrically powered actuators
    • B60R1/07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with remote control for adjusting position by electrically powered actuators for adjusting the mirror relative to its hou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12Mirror assembli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e.g. clocks
    • B60R2001/1215Mirror assembli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e.g. clocks with information displ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12Mirror assembli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e.g. clocks
    • B60R2001/1292Mirror assembli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e.g. clocks with holding means for personal articles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백미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절곡된 통형상을 가지고 양 단이 차량의 내외측에 각각 배치되며 실내측 일 영역에 투시창이 형성되어 있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외측 단부영역에 배치되는 대물렌즈계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상기 대물렌즈계의 촛점거리 이내에 경사지게 배치되는 상부반사부 및 하부반사부와, 상기 대물렌즈계의 촛점거리 이후에 배치되어 상기 상부반사부 및 하부반사부로부터 반사된 광을 반사하는 고정반사경부와, 상기 고정반사경부의 일측에 회동가능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고정반사경부와 상호 협조적으로 상기 상부반사부 및 하부반사부로부터 반사된 광을 반사하는 가동반사경부와, 상기 하우징의 실내측 단부영역에 배치되어 상기 대물렌즈계와 어포컬 광학계를 형성하는 대안렌즈계를 가지는 백미러유니트와; 상기 가동반사경부를 구동시키는 가동반사경구동수단과;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 배치되며 휴대용 단말기의 적어도 일영역을 수용하는 단말기홀더와;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표시창과 동일한 정보를 출력하는 표시면을 가지고 상기 투시창의 외측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차량의 공기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휴대용 단말기의 표시창에 출력되는 정보를 확대하여 볼 수 있어 정보판독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핸즈프리가 가능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제고시킬 수 있는 차량용 백미러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차량용 백미러장치{SIDE VIEW MIRROR APPARATUS FOR MOT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백미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외부로 돌출되는 돌출길이를 축소시켜 공기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휴대용 단말기의 표시창에 출력되는 정보를 확대하여 볼 수 있어 정보판독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핸즈프리가 가능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제고시킬 수 있도록 한 차량용 백미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차량용 백미러는 거의 평면에 가까운 반사면을 갖는 “평면 반사경”타입으로 차량의 외부에 차체의 전후방향 축선에 대해 가로로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공기저항을 유발시키게 되며 돌출길이가 커질수록 공기저항이 크게 된다. 이러한 공기저항은 차량의 연료소비를 증대시킬 뿐만 아니라, 불완전연소에 기인한 오염물질의 배출량을 증대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종래의 평면 반사경 타입의 백미러는, 차량의 측후방 투사각도가 비교적 작을 뿐만 아니라, 눈 또는 비가오는 경우 평면 반사경의 표면에 물방울, 습기 또는 성에가 접촉 또는 응결되어 후방관찰이 용이하지 못하게 되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고려하여 차량의 외부로 돌출되는 돌출길이를 줄임과 동시에 후방관찰각도를 증대시킬 수 있도록 광학적요소를 채택한 차량용 백미러가 고안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광학적요소를 채택한 종래의 차량용 백미러들은 구성이 비교적 복잡할 뿐만 아니라 최종적으로 운전자의 시야에 포착되는 사물이 왜곡되어 사물을 정확하게 관찰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광학적요소를 채택한 종래의 차량용 백미러들의 문제점을 해결한 차량용 백미러가 본 출원인 명의로 대한민국 실용신안공보 제76588호 및 미국 특허공보 US5,264,962호에 각각 개시되어 있으며, 본 출원인은 또한 상기 차량용 백미러의 단점을 극복한 대한민국 특허출원번호 제99-40282호(1999.9.18)“차량용 백미러”를 기 출원한 바 있다.
한편, 최근에는 반도체기술의 급속한 발달과 함께 휴대용 전화기를 비롯한 GPS수신기(Global Positioning System Receiver), 개인용 휴대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 휴대용 단말기의 이용이 급속히 증가하고 있으며, 국내의 경우 휴대용 전화기의 이용가입자수는 이미 유선전화기 가입자수를 훨씬 상회하고 있다.
휴대용 전화기에는 인터넷검색이 가능하고, 생활속의 필요한 다양한 정보를 디지탈 지도상에 표시된 위치정보와 함께 제공받을 수 있는 등 다양한 형태의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최근에는 웹브라우저가 내장된 휴대용 단말기를 기지국에 무선으로 접속해 일반전화선보다 매우 빠른 전송속도로 인터넷의 접속이 가능하고, 음성, 문자, 동영상을 포함한 영상서비스가 가능하여 인터넷외에도 차량항법, 영상전화, 양방향TV 등 다양한 서비스가 가능한 이른바 차세대 동영상휴대폰 단말기들이 국내에서도 이미 개발되어 있는 실정이다.
한편, 휴대용 전화기의 급속한 사용증가와 더불어 운전중 휴대용 전화기의 사용이 운전사고발생률을 증가시킨다는 지적이 일고 있으며, 이에 따라 미국, 일본 등을 비롯한 일부 국가에서는 휴대전화기로 인한 교통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운전중 휴대용 전화기 사용규제가 강하게 대두되고 있으며, 일부 국가에서는 휴대용 전화기를 들지 않고 송신 및 수신할 수 있도록 고안된 소위 “핸즈프리킷” 의 의무사용 법제화가 추진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휴대용 전화기를 포함한 각종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는, 그 휴대의 편리성을 고려하여 크기가 작고 무게가 가볍도록 설계되어 있어, 핸즈프리킷을 사용할 경우, 각 휴대용 단말기의 표시창을 통해 제공되는 정보, 예를 들면 디지탈지도를 서비스 받을 경우와 같이, 표시창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작고 눈으로부터 비교적 멀리 이격된 상태에서 표시창에 표시되는 정보를 판독하게 되므로 판독이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의 외부로 돌출되는 돌출길이를 축소시켜 공기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휴대용 단말기의 표시창에 출력되는 정보를 확대하여 볼 수 있어 정보판독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핸즈프리가 가능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제고시킬 수 있는 차량용 백미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백미러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의 차량용 백미러장치의 평단면도,
도 3은 도 2의 백미러유니트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1의 차량용 백미러장치의 가동반사경구동부영역의 확대분해사시도,
도 5는 도 1의 Ⅴ-Ⅴ선에 따른 확대단면도,
도 6a 및 도 6b는 각각 도 4의 가동반사경부의 동작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평단면도,
도 7은 도 1의 휴대용 단말기의 확대사시도,
도 8은 도 1의 단말기홀더의 절취사시도,
도 9는 도 1의 단말기홀더의 내부에 휴대용 단말기의 수용결합시 안테나접속부영역을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백미러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11은 도 10의 백미러유니트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백미러장치의 사시도,
도 13은 도 12의 백미러유니트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 : 차량 101 : 백미러유니트
113 : 광전달부재 114 : 대물렌즈부
115 : 상부반사부 117 : 하부반사부
121 : 대안렌즈 161 : 투시창
171a,171b : 자성부재 201 : 고정반사경부
251 : 가동반사경부 255 : 회동축
301 : 가동반사경구동부 303 : 피동기어
305 : 구동기어 315 : 수동조작손잡이
401 : 휴대용 단말기 402 : 표시창
403 : 조작버튼 501 : 단말기홀더
701,703 : 디스플레이패널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통형상을 가지고 일단이 차량의 외측에 후방영역을 향해 배치되고 타단은 상기 차량의 실내측에 후방영역을 향해 배치되며 실내측 일영역에 상기 실내측 단부와 대향된 위치에 광이 투과할 수 있도록 투시창이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외측 단부영역에 배치되어 통과한 광을 축소굴절시키는 대물렌즈계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상호 내각이 직각을 이루며 상호 접촉선이 상기 대물렌즈계의 수평중심선에 대응되도록 상기 대물렌즈계의 촛점거리 이내에 경사지게 배치되는 상부반사부 및 하부반사부와, 평면반사면을 가지고 상기 대물렌즈계의 촛점거리 이후에 상기 투시창을 차단하도록 경사지게 배치되어 상기 상부반사부 및 하부반사부로부터 반사된 광을 상기 하우징의 실내측 단부영역으로 반사하는 고정반사경부와, 상기 고정반사경부의 일측에 상기 투시창이 개방되도록 배치되는 개방위치와 상기 고정반사경부와 상호 협조적으로 상기 상부반사부 및 하부반사부로부터 반사된 광을 상기 하우징의 실내측 단부영역으로 반사하는 반사위치간을 회동가능하도록 배치되는 가동반사경부와, 상기 하우징의 실내측 단부영역에 배치되어 적어도 상기 고정반사경부에 의해 반사된 상을 확대굴절시킴으로써 상기 대물렌즈계와 어포컬 광학계를 형성하는 대안렌즈계를 가지는 백미러유니트와; 상기 가동반사경부를 상기 개방위치와 상기 반사위치간을 구동시키는 가동반사경구동수단과; 내부에 휴대용 단말기의 적어도 일영역을 수용할 수 있도록 단말기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배치되는 단말기홀더와; 상기 휴대용 단말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단말기수용공간내에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수용시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표시창과 동일한 정보를 출력하는 표시면을 가지고 상기 표시면이 상기 투시창을 향하도록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 결합되는 디스플레이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백미러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가동반사경부의 상기 투시창측 연부에는 적어도 일단이 상기 하우징을 관통하여 노출되도록 설치되는 회동축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가동반사경구동수단은, 상기 회동축의 노출단부에 일체로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피동기어와, 상기 피동기어에 회전가능하도록 맞물림된 구동기어와, 상기 구동기어를 정역회전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동반사경부의 상기 투시창측 연부에는 적어도 일단이 상기 하우징을 관통하여 노출되도록 설치되는 회동축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가동반사경구동수단은, 상기 회동축의 노출단부에 일체로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수동조작손잡이를 포함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분야에 따르면, 통형상을 가지고 일단이 차량의 외측에 후방영역을 향해 배치되고 타단은 상기 차량의 실내측에 후방영역을 향해 배치되며 실내측 일영역에 상기 실내측 단부와 대향된 위치에 광이 투과할 수 있도록 투시창이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외측 단부영역에 배치되어 통과한 광을 축소굴절시키는 대물렌즈계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상호 내각이 직각을 이루며 상호 접촉선이 상기 대물렌즈계의 수평중심선에 대응되도록 상기 대물렌즈계의 촛점거리 이내에 경사지게 배치되는 상부반사부 및 하부반사부와, 평면반사면을 가지고 상기 하우징의 실내측 단부를 통해 상기 투시창이 관찰될 수 있도록 상기 대물렌즈계의 촛점거리 이후에 경사지게 배치되어 상기 상부반사부 및 하부반사부로부터 반사된 광을 상기 하우징의 실내측 단부영역으로 반사하는 고정반사경부와, 상기 하우징의 실내측 단부영역에 배치되어 상기 고정반사경부에 의해 반사된 상을확대굴절시킴으로써 상기 대물렌즈계와 어포컬 광학계를 형성하는 대안렌즈계를 가지는 백미러유니트와; 내부에 휴대용 단말기의 적어도 일영역을 수용할 수 있도록 단말기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배치되는 단말기홀더와; 상기 휴대용 단말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단말기수용공간내에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수용시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표시창과 동일한 정보를 출력하는 표시면을 가지고 상기 표시면이 상기 투시창을 향하도록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 결합되는 디스플레이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백미러장치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투시창과 상기 대안렌즈계사이에 상기 디스플레이패널의 배율을 조절할 수 있도록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배율조절렌즈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투시창과 상기 대안렌즈계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대안렌즈계를 통해 관찰되는 상기 디스플레이패널의 표시면의 왜곡을 보상하는 적어도 하나의 왜곡보상용 광학렌즈를 더 포함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분야에 따르면, 통형상을 가지고 일단이 차량의 외측에 후방영역을 향해 배치되고 타단은 상기 차량의 실내측에 후방영역을 향해 배치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외측 단부영역에 배치되어 통과한 광을 축소굴절시키는 대물렌즈계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상호 내각이 직각을 이루며 상호 접촉선이 상기 대물렌즈계의 수평중심선에 대응되도록 상기 대물렌즈계의 촛점거리 이내에 경사지게 배치되는 상부반사부 및 하부반사부와, 상기 대물렌즈계의 촛점거리 이후에 배치되어 상기 상부반사부 및 하부반사부로부터 반사된 광을 상기 하우징의실내측 단부영역으로 반사하는 제3반사부와, 상기 하우징의 실내측 단부영역에 배치되어 상기 제3반사부에 의해 반사된 상을 확대굴절시킴으로써 상기 대물렌즈계와 어포컬 광학계를 형성하는 대안렌즈계를 가지는 백미러유니트와; 내부에 휴대용 단말기의 적어도 일영역을 수용할 수 있도록 단말기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배치되는 단말기홀더와; 상기 휴대용 단말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단말기수용공간내에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수용시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표시창과 동일한 정보를 출력하는 표시면을 가지고 상기 대안렌즈계를 통해 상기 제3반사부에 반사된 상과 상기 표시면이 동시에 관찰될 수 있도록 상기 제3반사부와 상기 대안렌즈계사이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백미러장치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디스플레이패널과 상기 대안렌즈계사이에 상기 디스플레이패널의 배율을 조절할 수 있도록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배율조절렌즈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패널과 상기 대안렌즈계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대안렌즈계를 통해 관찰되는 상기 디스플레이패널의 표시면의 왜곡을 보상하는 적어도 하나의 왜곡보상용 광학렌즈를 더 포함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백미러장치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차량용 백미러장치의 평단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백미러유니트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차량용백미러장치는, 일단이 차량(11)의 실외측에 배치되고 타단이 차량(11)의 실내측에 배치되는 하우징(111)과, 하우징(111)의 실외측 및 실내측 단부영역에 각각 배치되어 상호 어포컬광학계(Afocal System)를 형성하는 대물렌즈계 및 대안렌즈계와, 대물렌즈계와 대안렌즈계사이에 개재되어 대물렌즈계의 광을 대안렌즈계로 반사하는 고정반사경부(201) 및 가동반사경부(251)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백미러유니트(101)와, 가동반사경부(251)를 고정반사경부(201)와 상호 협조적으로 광을 반사하는 반사위치와 후술할 투시창이 개방되도록 철회되는 철회위치간을 구동시키는 후술할 가동반사경구동부와, 하우징(111)의 실내 일측벽에 형성된 투시창(161)에 결합되며 휴대용 단말기(401)의 표시창(402)에 표시되는 정보와 동일한 정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패널(701)과, 휴대용 단말기(401)의 일 영역을 수용하며 휴대용 단말기(401)의 수용시 휴대용 단말기(401)와 디스플레이패널(701)을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단말기홀더(501)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하우징(111)은 전체적인 형상이 “U”형상을 가지며, 차량(11)의 운전석의 전방영역에 일단이 고정결합되고 타단이 차량(11)의 후방영역을 향해 배치되는 외관부(112a)와, 일단이 외관부(112a)에 상대운동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타단이 차량(11)의 실내측 후방영역을 향해 배치되는 내관부(112b)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외관부(112a)의 실외측 단부영역에는 적어도 하나의 볼록렌즈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대물렌즈계가 배치형성되며, 내관부(112b)의 자유단부영역에는 대물렌즈계와 어포컬광학계를 형성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볼록렌즈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대안렌즈계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외관부(112a)의 내부에 대물렌즈부(114), 상부반사부(115) 및 하부반사부(117)가 일체로 형성된 광전달부재(113)가 수용설치되어 있으며, 대안렌즈(121)는 대물렌즈부(114)에 의해 축소된 사물의 상을 확대할 수 있도록 대물렌즈부(114)에 비해 확대된 크기를 가지는 단일의 볼록렌즈로 구성되어 있다.
광전달부재(113)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에 볼록렌즈타입으로 형성되어 사물의 상이 축소되도록 광을 굴절시키는 대물렌즈부(114)와, 대물렌즈부(114)의 촛점거리 이내에 내각이 상호 직각을 이루고 대물렌즈부(114)의 광축선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되며 상호 접촉선이 대물렌즈부(114)의 상하중심선에 대응되도록 배치되는 상부반사부(115) 및 하부반사부(117)를 가진다.
광전달부재(113)의 후방영역 즉, 대물렌즈부(114)의 촛점거리 이후에는 상부반사부(115) 및 하부반사부(117)에 의해 반사된 광을 대안렌즈(121)를 향해 반사할 수 있도록 평면반사면을 갖는 고정반사경부(201)이 배치되어 있으며, 고정반사경부(201)의 상측에는 가동반사경부(251)가 회동가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가동반사경부(251)의 일측연부에 상하방향을 따라 형성된 회동축(255)에는 광축선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되어 광전달부재(113)를 통과한 광을 대안렌즈(121)를 향해반사하는 반사위치와, 광축선과 나란하게 배치됨으로써 광경로를 차단함과 동시에 고정반사경부(201)과 상호 협조적으로 광을 대안렌즈(121)측으로 반사하는 철회위치간을 회동구동시키는 가동반사경구동부가 마련된다.
한편, 내관부(112b)는 역“L”형상을 가지며 자유단부영역으로 향할수록 상하 및 좌우방향을 따라 폭이 증대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차량(11)의 진행방향에 가로로 배치된 영역에는 외부로부터의 광이 내부로 투과할 수 있도록 투시창(161)이 형성되어 있으며, 투시창(161)은 가동반사경부(251)에 의해 개폐될 수 있도록 가동반사경부(251)에 대응되게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투시창(161)은 내관부(112b)에 관통형성된 개구를 필름상의 투명차단막이나, 유리 또는 투명아크릴 등과 같은 투명강성부재를 사용하여 광의 투과를 허용함과 동시에 외부로부터의 이물질이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투시창(161)의 외측에는 가동반사경부(251)의 철회위치시 대안렌즈(121)를 통해 표시면의 관찰이 가능하도록 디스플레이패널(701)이 결합되어 있으며, 투시창(161)의 상하연부에는 디스플레이패널(701)의 조명을 위해 조명등(163)이 각각 마련되어 있다. 여기서, 조명등(163)은 디스플레이패널(701)에 형성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단말기홀더(501)는 내부에 휴대용 단말기(401)의 하부영역을 수용할 수 있도록 수용공간(S)이 형성되어 있으며, 전면에는 휴대용 단말기(401)를 핸즈프리한 상태에서 조작할 수 있도록 스피커폰(516) 및 마이크로폰(518)이 각각 구비되어 있다. 스피커폰(516)과 마이크로폰(518)사이에는 음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음량조절부재(519)가 설치되어 있다.
단말기홀더(501)의 일측 연부에는 차량(11)의 외부에 설치되는 외부안테나의 플러그(532)가 접속될 수 있도록 안테나결합부(521)가 형성되어 있다. 안테나결합부(521)의 하측에는 휴대용 단말기(401)의 각 조작버튼(403)에 대응되도록 복수의 조작버튼(534)이 구비된 키보드(533)가 접속될 수 있도록 키보드접속부(523)가 구비되어 있으며, 키보드접속부(523)의 하측에는 일단이 차량(11)의 시거라이터잭에 접속되는 전원코드(535)의 타단이 연결될 수 있도록 전원코드접속부(525)가 마련되어 있다.
단말기홀더(501)의 내부에는 다수의 회로와 전자(반도체)부품으로 구성되어 휴대용 단말기(401)가 단말기홀더(501)의 수용공간(S)내에 수용될 경우에도 휴대용 단말기(401)를 정상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기판조립체(미도시)가 내장된다.
도 4는 도 1의 차량용 백미러장치의 가동반사경구동부영역의 확대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도 1의 Ⅴ-Ⅴ선에 따른 확대단면도이며, 도 6a 및 도 6b는 각각 도 4의 가동반사경부의 동작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평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동반사경부(251)의 둘레에는 거의 사각형상을 가지는 케이싱(253)이 형성되어 있으며, 케이싱(253)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측연부에는 상하방향을 따라 돌출된 회동축(255)이 형성되어 있다. 회동축(255)의 하단은 고정반사경부(201)의 일측 연부에 형성된 축공(206)을 통과하여 내관부(112b)의 저부면(123c)를 통과하여 노출될 수 있도록 하향연장되어 있다. 케이싱(253)의 회동축(255) 대향연부에는 판상의 영구자석(257)이 매입되어 있으며, 내관부(112b)의 내부에는 영구자석(257)에 대응하여 상호 자기적으로 접촉되어 가동반사경부(251)가 반사위치 또는 철회위치에 각각 고정될 수 있도록 자성부재(171a,171b)가 각각 마련되어 있다.
내관부(112b)에는 회동축(255)을 회동가능하게 수용지지할 수 있도록 상부회동축수용부(151) 및 하부회동축수용부(155)가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각 회동축수용부(151,155)에는 회동축(255)의 각 단부가 하우징(111)의 상부면(123a) 및 저부면(123c)을 관통하여 내관부(112b)의 외부로 각각 돌출될 수 있도록 관통된 축수용공(153,157)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내관부(112b)에는 가동반사경부(251)를 반사위치와 철회위치간을 수동조작 또는 간단한 스위치조작 등을 통해 회동구동시킬 수 있도록 가동반사경구동부(301)가 마련되어 있다.
가동반사경구동부(301)는, 회동축(255)의 하단에 일체로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피동기어(303)와, 피동기어(303)와 상호 맞물림되어 일체로 회전하는 구동기어(305)와, 구동기어(305)를 정역회전시킬 수 있도록 일체로 결합되는 구동모터(307)를 가진다. 피동기어(303) 및 구동기어(305)는 상호 베벨기어의 형태로 형성되어 있어 각 회전축이 상호 직각방향으로 교차되도록 맞물림결합되어 있다. 내관부(112b)의 저부면(123c)에는 회동축(255)의 하단이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회동축(255)의 노출단부영역에는 피동기어(303), 구동기어(305) 및 구동모터(307)가 각각 결합되어 있다.
이들의 둘레영역에는 일측이 개구된 통형상을 가지는 구동부하우징(309)이 결합되어 있으며, 구동부하우징(309)의 개구연부에는 내관부(112b)의 저부면(123c) 접촉되는 접촉플랜지(310)가 절곡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접촉플랜지(310)에는 복수의 스크류(312)가 통과하도록 결합될 수 있게 복수의 스크류공(313)이 판면을관통하여 형성되어 있으며, 내관부(112b)에는 스크류공(313)과 상호 연통되는 복수의 스크류결합공(미도시)이 형성되어 있다.
내관부(112b)의 상부면(123a)에는 회동축(255)의 상단이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회동축(255)의 노출단부에는 수동으로 회동축(255)을 정역회전시킬 수 있도록 수동조작손잡이(315)가 일체로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다. 수동조작손잡이(315)에는 가동반사경부(251)의 위치를 식별할 수 있도록 마킹부(317)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반사위치에 있는 가동반사경부(251)를 수동조작에 의해 철회위치로 회동시키고자 할 때는, 내관부(112b)의 상부면에 결합되어 있는 수동조작손잡이(315)를 해당 위치로 회전시킨다. 그러면, 상호 자기력에 의해 접촉되어 위치고정된 케이싱(253)은 반사위치에 있는 자성부재(171a)로부터 분리되어 회동축(255)을 중심으로 회동하게 되고, 철회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자성부재(171b)와 상호 자기적으로 접촉됨으로써 철회위치에 위치고정된다.
한편, 스위치조작에 의해 평면반사경(201)의 위치를 자동으로 조절하고자 할 경우에는, 도시 않은 반사경위치조절스위치를 조작하여 구동모터(307)에 전원이 인가되도록 하면, 구동모터(307)의 구동력은 상호 맞물림된 구동기어(305) 및 피동기어(303)를 통해 회동축(255)에 전달되어 회동축(255)를 회동시키게 된다.
이에 의해, 반사위치에 영구자석(257)의 자기력에 의해 자성부재(171a)와 접촉되어 위치고정된 케이싱(253)은 반사위치에 형성된 자성부재(171a)로부터 이격되어 회동축(255)을 중심으로 철회위치로 회동하게 된다. 케이싱(253)에 형성된영구자석(257)과 철회위치에 설치된 자성부재(171b)가 상호 자기적으로 접촉결함됨으로써 가동반사경부(251)는 투시창(161)이 개방되는 철회위치에 위치고정된다.
도 7은 도 1의 휴대용 단말기의 확대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 단말기(401)는, 각종 정보를 출력할 수 있도록 표시창(402)과, 복수의 조작버튼(403)이 구비되어 있다. 길이방향을 따라 표시창(402)의 상측영역에는 동영상카메라(405) 및 수화기(406)가 설치되어 있으며, 조작버튼(403)의 하측영역에는 송화기(407)가 마련되어 있다. 휴대용 단말기(401)의 하측 단부에는 단말기홀더(501)에 형성되는 후술할 외부안테나연결플러그(546a), 통신케이블접속핀(546b) 및 전원플러그(546c)가 각각 접속될 수 있도록 안테나접속부(408a), 케이블핀접속부(408b) 및 전원접속부(408c)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도 8은 도 1의 단말기홀더의 절취사시도이고, 도 9는 도 1의 단말기홀더의 내부에 휴대용 단말기의 수용결합시 안테나접속부영역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홀더(501)의 내부에 형성된 단말기수용공간(S)의 저부영역에는 휴대용 단말기(401)의 저부에 형성된 안테나접속부(408a), 케이블핀접속부(408b) 및 전원접속부(408c)에 각각 삽입결될 수 있도록 외부안테나연결플러그(546a), 통신케이블접속핀(546b) 및 전원플러그(546c)가 각각 돌출형성되어 있다.
외부안테나연결플러그(546a)는 단말기홀더(501)의 일측면에 형성된 안테나결합부(52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전원플러그(546c)는 단말기홀더(501)의 일측에 형성된 전원코드접속부(525)와 연결되어 외부로부터의 전원을 휴대용 단말기(401)에 제공하게 된다.
통신케이블접속핀(546b)은 키보드접속부(523) 및 디스플레이패널(701)과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어 키보드접속부(523)를 통해 입력되는 키보드(533)로부터의 신호를 휴대용 단말기(401)에 전달하며, 휴대용 단말기(401)의 표시창(402)에 표시되는 영상정보와 동일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패널(701)에 동시에 표시하게 된다. 또한, 통신케이블접속핀(546b)은, 스피커폰(516) 및 마이크로폰(518)과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마이크로폰(518)을 통해 입력되는 음성정보를 휴대용 단말기(401)에 전달할 뿐만 아니라, 스피커폰(516)을 통해 휴대용 단말기(401)의 음성정보를 출력하게 된다.
한편, 휴대용 단말기(401)의 안테나결합부(521)의 말단영역에는 휴대용 단말기(401)에 내장된 내장안테나(411)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원반형상의 고정단자(413)가 설치되어 있으며, 고정단자(413)의 중앙영역에는 외부안테나연결플러그(546a)가 통과할 수 있도록 플러그통과공(414)이 형성되어 있다.
플러그통과공(414)의 연부는 외부안테나(531)에 연결된 외부안테나연결플러그(546a)와 절연이 가능하도록 절연층(415)이 형성되어 있다. 외부안테나연결플러그(546a)의 삽입방향에 대해 고정단자(413)의 후방 일측에는 전파송수신회로(417)와 연결된 가동단자(415)가 접촉 및 이격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가동단자(415)의 일측에는 가동단자(415)를 탄성가압하여 고정단자(413)에 접촉되도록 하는 스프링부재(418)가 설치되어 있다.
휴대용 단말기(401)가 단말기홀더(501)내에 수용되면 수용공간(S)의 저부에돌출형성된 외부안테나연결플러그(546a)가 안테나접속부(408a)내에 수용결합된다. 외부안테나연결플러그(546a)의 선단이 고정단자(413)의 플러그통과공(414)을 통과하여 가동단자(415)의 판면에 접촉되면 가동단자(415)의 일측에 탄성접촉된 스프링부재(418)는 압축되고, 가동단자(415)는 고정단자(413)로부터 이격된다.
이에 의해, 전파송수신회로(417)는 내장안테나(411)와의 연결이 차단됨과 동시에 외부안테나(531)와 연결됨으로써, 휴대용 단말기(401)의 사용시 발생될 수 있는 전자파에 기인한 각종 기기의 오작동 예를 들면, 에어백, 엔진의 급가속 또는 급발진 뿐만 아니라, 심장병, 당뇨병 등의 지병을 앓고 있는 환자 등에 미치게 될지도 모르는 악영향 등을 예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백미러장치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백미러유니트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 및 동일 상당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의 편의상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였으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이 차량(11)의 실외측에 배치되고 타단이 차량(11)의 실내측에 배치되는 하우징(111)과, 하우징(111)의 실외측 및 실내측 단부영역에 각각 배치되어 상호 어포컬광학계를 형성하는 대물렌즈부(114) 및 대안렌즈(121)와, 대물렌즈부(114)와 대안렌즈(121)사이에 개재되어 대물렌즈부(114)를 통과한 광을 대안렌즈(121)측으로 반사하는 고정반사경부(201)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백미러유니트(101)와, 하우징(111)의 실내 일측벽에 형성된 투시창(161)에 결합되며 휴대용 단말기(401)의 표시창(402)에 표시되는 정보와 동일한 정보를 출력하는디스플레이패널(701)과, 휴대용 단말기(401)의 일 영역을 수용하며 휴대용 단말기(401)의 수용시 휴대용 단말기(401)와 디스플레이패널(701)을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단말기홀더(501)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투시창(161)은 정면투영시 고정반사경부(201)의 상측에 배치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대안렌즈(121)는 고정반사경부(201)와 투시창(161)을 동시에 확대관찰할 수 있는 정도의 상하폭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대안렌즈(121)와 투시창(161)의 사이영역에는 디스플레이패널(701)의 표시면의 배율을 조절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배율조절렌즈(미도시)를 설치할 수도 있으며, 대안렌즈(121)와 투시창(161)의 사이영역에는 대안렌즈(121)에 의해 디스플레이패널(701)의 표시면의 왜곡이 발생될 경우 이를 보상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별도의 왜곡보상용 광학렌즈(미도시)를 설치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차량(11)의 후방영역의 상은 대물렌즈부(114)를 통해 축소되어 상부반사부(115) 및 하부반사부(117)에 의해 반사된 후 고정반사경부(201)에 의해 재반사되어 대안렌즈(121)를 통해 확대된다. 한편, 휴대용 단말기(401)의 표시창(402)의 정보는 디스플레이패널(701)에 동시에 표시되고, 디스플레이패널(701)에 표시된 정보는 대안렌즈(121)의 상부영역에 대안렌즈(121)를 통해 확대됨으로써 차량(11)의 후방영역의 상과 동시에 관찰이 가능하게 된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백미러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13은 도 12의 백미러유니트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전술 및 도시한 실시예와 동일 및 동일 상당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였으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차량용 백미러장치는, 일단이 차량(11)의 실외측에 배치되고 타단이 차량(11)의 실내측에 배치되는 하우징(111)과, 하우징(111)의 실외측 및 실내측 단부영역에 각각 배치되어 상호 어포컬광학계를 형성하는 대물렌즈부(114) 및 대안렌즈(121)와, 대물렌즈부(114) 및 대안렌즈(121)사이에 배치되어 대물렌즈부(114)를 통과하여 상부반사부(115) 및 하부반사부(117)에 의해 반사된 광을 대안렌즈(121)로 반사하는 제3반사부(119)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백미러유니트(101)와, 제3반사부(119)와 대안렌즈(121)사이에 배치되고 휴대용 단말기(40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휴대용 단말기(401)의 표시창(402)에 표시되는 영상정보와 동일한 정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패널(703)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제3반사부(119)는, 평면반사면을 가지는 평면반사경 타입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광전달부재(113)의 후방영역 즉, 대물렌즈부(114)의 촛점거리 이후에 상부반사부(115) 및 하부반사부(117)에 의해 반사된 광을 대안렌즈(121)를 향해 반사할 수 있도록 광경로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되어 있다.
한편, 평면투영시 광경로를 따라 제3반사부(119)와 대안렌즈(121)의 사이영역에는 디스플레이패널(703)이 상하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으며, 디스플레이패널(703)의 대안렌즈(121)측 상하연부에는 조명을 위한 조명등(705)가 각각 구비되어 있다.
내관부(112b) 및 대안렌즈(121)는 광전달부재(113)를 통과하여제3반사부(119)에 의해 반사된 차량(11)의 후방영역의 상과 디스플레이패널(703)을 동시에 확대관찰이 가능한 정도의 상하폭을 가지도록 각각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대안렌즈(121)와 디스플레이패널(703)의 사이영역에는 디스플레이패널(703)의 표시면의 배율을 조절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배율조절렌즈(미도시)를 설치할 수도 있다. 또한, 대안렌즈(121)와 디스플레이패널(703)의 사이영역에는 대안렌즈(121)에 의해 디스플레이패널(703)의 표시면의 왜곡이 발생될 경우 이를 보상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별도의 왜곡보상용 광학렌즈(미도시)를 설치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휴대용 단말기(401)의 표시창(402)의 정보는 디스플레이패널(703)에 동시에 표시되고, 디스플레이패널(703)에 표시된 정보는 대안렌즈(121)를 통해 확대됨으로써, 차량(11)의 후방영역의 상과 동시에 관찰이 가능하게 된다.
전술 및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차량의 운전석의 전방영역에 본 차량용 백미러장치가 설치된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조수석에도 마찬가지로 적용할 수도 있다.
전술 및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대안렌즈를 통해 관찰되는 차량의 후방영역의 사물의 상의 상측에 휴대용 단말기의 표시창의 확대된 상이 배치되도록 구성한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투시창 또는 디스플레이패널의 위치를 조절하여 후방영역의 사물의 상의 하측 또는 좌우측중 어느 일측에 배치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백미러장치는, 반사면이 차량의 외부로 돌출됨으로써 공기저항을 유발시키던 종래의 백미러와는 달리, 차량의 외부로 돌출되는 돌출길이를 축소시켜 공기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휴대용 단말기의 표시창에 출력되는 정보를 확대하여 볼 수 있어 정보판독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핸즈프리가 가능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제고시킬 수 있는 차량용 백미러장치가 제공된다.

Claims (9)

  1. 통형상을 가지고 일단이 차량의 외측에 후방영역을 향해 배치되고 타단은 상기 차량의 실내측에 후방영역을 향해 배치되며 실내측 일영역에 상기 실내측 단부와 대향된 위치에 광이 투과할 수 있도록 투시창이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외측 단부영역에 배치되어 통과한 광을 축소굴절시키는 대물렌즈계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상호 내각이 직각을 이루며 상호 접촉선이 상기 대물렌즈계의 수평중심선에 대응되도록 상기 대물렌즈계의 촛점거리 이내에 경사지게 배치되는 상부반사부 및 하부반사부와, 평면반사면을 가지고 상기 대물렌즈계의 촛점거리 이후에 상기 투시창을 차단하도록 경사지게 배치되어 상기 상부반사부 및 하부반사부로부터 반사된 광을 상기 하우징의 실내측 단부영역으로 반사하는 고정반사경부와, 상기 고정반사경부의 일측에 상기 투시창이 개방되도록 배치되는 개방위치와 상기 고정반사경부와 상호 협조적으로 상기 상부반사부 및 하부반사부로부터 반사된 광을 상기 하우징의 실내측 단부영역으로 반사하는 반사위치간을 회동가능하도록 배치되는 가동반사경부와, 상기 하우징의 실내측 단부영역에 배치되어 적어도 상기 고정반사경부에 의해 반사된 상을 확대굴절시킴으로써 상기 대물렌즈계와 어포컬 광학계를 형성하는 대안렌즈계를 가지는 백미러유니트와; 상기 가동반사경부를 상기 개방위치와 상기 반사위치간을 구동시키는 가동반사경구동수단과; 내부에 휴대용 단말기의 적어도 일영역을 수용할 수 있도록 단말기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배치되는 단말기홀더와; 상기 휴대용 단말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단말기수용공간내에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수용시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표시창과 동일한 정보를 출력하는 표시면을 가지고 상기 표시면이 상기 투시창을 향하도록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 결합되는 디스플레이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백미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반사경부의 일측 연부에는 적어도 일단이 상기 하우징을 관통하여 노출되도록 설치되는 회동축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가동반사경구동수단은, 상기 회동축의 노출단부에 일체로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피동기어와, 상기 피동기어에 회전가능하도록 맞물림된 구동기어와, 상기 구동기어를 정역회전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백미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반사경부의 일측 연부에는 적어도 일단이 상기 하우징을 관통하여 노출되도록 설치되는 회동축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가동반사경구동수단은, 상기 회동축의 노출단부에 일체로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수동조작손잡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백미러장치.
  4. 통형상을 가지고 일단이 차량의 외측에 후방영역을 향해 배치되고 타단은 상기 차량의 실내측에 후방영역을 향해 배치되며 실내측 일영역에 상기 실내측 단부와 대향된 위치에 광이 투과할 수 있도록 투시창이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외측 단부영역에 배치되어 통과한 광을 축소굴절시키는 대물렌즈계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상호 내각이 직각을 이루며 상호 접촉선이 상기 대물렌즈계의 수평중심선에 대응되도록 상기 대물렌즈계의 촛점거리 이내에 경사지게 배치되는 상부반사부 및 하부반사부와, 평면반사면을 가지고 상기 하우징의 실내측 단부를 통해 상기 투시창이 관찰될 수 있도록 상기 대물렌즈계의 촛점거리 이후에 경사지게 배치되어 상기 상부반사부 및 하부반사부로부터 반사된 광을 상기 하우징의 실내측 단부영역으로 반사하는 고정반사경부와, 상기 하우징의 실내측 단부영역에 배치되어 상기 고정반사경부에 의해 반사된 상을 확대굴절시킴으로써 상기 대물렌즈계와 어포컬 광학계를 형성하는 대안렌즈계를 가지는 백미러유니트와; 내부에 휴대용 단말기의 적어도 일영역을 수용할 수 있도록 단말기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배치되는 단말기홀더와; 상기 휴대용 단말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단말기수용공간내에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수용시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표시창과 동일한 정보를 출력하는 표시면을 가지고 상기 표시면이 상기 투시창을 향하도록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 결합되는 디스플레이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백미러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투시창과 상기 대안렌즈계사이에 상기 디스플레이패널의 배율을 조절할수 있도록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배율조절렌즈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백미러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투시창과 상기 대안렌즈계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대안렌즈계를 통해 관찰되는 상기 디스플레이패널의 표시면의 왜곡을 보상하는 적어도 하나의 왜곡보상용 광학렌즈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백미러장치.
  7. 통형상을 가지고 일단이 차량의 외측에 후방영역을 향해 배치되고 타단은 상기 차량의 실내측에 후방영역을 향해 배치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외측 단부영역에 배치되어 통과한 광을 축소굴절시키는 대물렌즈계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상호 내각이 직각을 이루며 상호 접촉선이 상기 대물렌즈계의 수평중심선에 대응되도록 상기 대물렌즈계의 촛점거리 이내에 경사지게 배치되는 상부반사부 및 하부반사부와, 상기 대물렌즈계의 촛점거리 이후에 배치되어 상기 상부반사부 및 하부반사부로부터 반사된 광을 상기 하우징의 실내측 단부영역으로 반사하는 제3반사부와, 상기 하우징의 실내측 단부영역에 배치되어 상기 제3반사부에 의해 반사된 상을 확대굴절시킴으로써 상기 대물렌즈계와 어포컬 광학계를 형성하는 대안렌즈계를 가지는 백미러유니트와; 내부에 휴대용 단말기의 적어도 일영역을 수용할 수 있도록 단말기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배치되는 단말기홀더와; 상기 휴대용 단말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단말기수용공간내에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수용시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표시창과 동일한 정보를 출력하는 표시면을 가지고 상기 대안렌즈계를 통해 상기 제3반사부에 반사된 상과 상기 표시면이 동시에 관찰될 수 있도록 상기 제3반사부와 상기 대안렌즈계사이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백미러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패널과 상기 대안렌즈계사이에 상기 디스플레이패널의 배율을 조절할 수 있도록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배율조절렌즈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백미러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패널과 상기 대안렌즈계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대안렌즈계를 통해 관찰되는 상기 디스플레이패널의 표시면의 왜곡을 보상하는 적어도 하나의 왜곡보상용 광학렌즈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백미러장치.
KR1020000055529A 2000-03-30 2000-09-21 차량용 백미러장치 KR20020023435A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5529A KR20020023435A (ko) 2000-09-21 2000-09-21 차량용 백미러장치
AU2001244816A AU2001244816A1 (en) 2000-03-30 2001-03-30 Sideview mirror apparatus for vehicles
DE60108095T DE60108095T2 (de) 2000-03-30 2001-03-30 Seitenspiegelvorrichtung für fahrzeuge
EP01917941A EP1274605B1 (en) 2000-03-30 2001-03-30 Sideview mirror apparatus for vehicles
CNB018091040A CN1230324C (zh) 2000-03-30 2001-03-30 车辆综合监视系统
JP2001574403A JP3677477B2 (ja) 2000-03-30 2001-03-30 車両用フュージョンモニタシステム
PCT/KR2001/000533 WO2001076911A1 (en) 2000-03-30 2001-03-30 Sideview mirror apparatus for vehicles
US10/253,019 US6844966B2 (en) 2000-03-30 2002-09-23 Fusion monitor system for vehicl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55529A KR20020023435A (ko) 2000-09-21 2000-09-21 차량용 백미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3435A true KR20020023435A (ko) 2002-03-29

Family

ID=196897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55529A KR20020023435A (ko) 2000-03-30 2000-09-21 차량용 백미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23435A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7246Y1 (ko) * 1987-04-06 1990-08-11 고명덕 차량용 백미러
KR950031671A (ko) * 1994-05-20 1995-12-20 남중권 광학 백미러
KR970038124A (ko) * 1995-12-22 1997-07-24 김태구 소음 감쇄 효과를 가진 자동차 사이드미러 시스템
KR100337783B1 (ko) * 2000-03-30 2002-05-24 고명덕 차량용 백미러장치
KR100337781B1 (ko) * 2000-03-15 2002-05-24 고명덕 차량용 백미러장치
KR100337782B1 (ko) * 2000-03-30 2002-05-24 고명덕 차량용 백미러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7246Y1 (ko) * 1987-04-06 1990-08-11 고명덕 차량용 백미러
KR950031671A (ko) * 1994-05-20 1995-12-20 남중권 광학 백미러
KR970038124A (ko) * 1995-12-22 1997-07-24 김태구 소음 감쇄 효과를 가진 자동차 사이드미러 시스템
KR100337781B1 (ko) * 2000-03-15 2002-05-24 고명덕 차량용 백미러장치
KR100337783B1 (ko) * 2000-03-30 2002-05-24 고명덕 차량용 백미러장치
KR100337782B1 (ko) * 2000-03-30 2002-05-24 고명덕 차량용 백미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42100B2 (en) Portable terminal having digital camera function
EP1324100B1 (en) Portable terminal device having a display unit utilizing a holographic screen
US5194955A (en) Video telephone
US20030036365A1 (en) Portable communications terminal with camera capable of taking pictures
US7874683B2 (en) Mobile phone with an image projection device
US20060103590A1 (en) Augmented display system and methods
JP3677477B2 (ja) 車両用フュージョンモニタシステム
KR100593177B1 (ko) 광학 줌 기능이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 카메라 모듈
CN100525329C (zh) 滑动摆动式便携式终端
KR100593544B1 (ko) 자동 개폐 슬라이드형 이동통신단말기
KR20010028989A (ko) 폴더형 휴대폰의 카메라 렌즈 장착장치
KR20020023435A (ko) 차량용 백미러장치
KR100337782B1 (ko) 차량용 백미러장치
KR100337783B1 (ko) 차량용 백미러장치
KR20020023436A (ko) 차량용 백미러장치
KR100337781B1 (ko) 차량용 백미러장치
US7155118B2 (en) Portable terminal
KR20040077291A (ko) 휴대폰용 카메라 모듈
EP0868039A2 (en) Optical transmitting and receiving apparatus
CN111726482B (zh) 摄像头组件及电子设备
KR20020080566A (ko) 카메라가 구비된 이동전화 단말기
WO2020038037A1 (zh) 移动终端
KR101141444B1 (ko) 이동통신 단말기
KR20050016772A (ko) 줌기능 카메라를 구비한 이동단말기
JP2003037795A (ja) 携帯型画像観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