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37568B1 - 케이블밀봉장치 - Google Patents

케이블밀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37568B1
KR100337568B1 KR1019940704573A KR19940704573A KR100337568B1 KR 100337568 B1 KR100337568 B1 KR 100337568B1 KR 1019940704573 A KR1019940704573 A KR 1019940704573A KR 19940704573 A KR19940704573 A KR 19940704573A KR 100337568 B1 KR100337568 B1 KR 1003375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seal
housing
sealing
seal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7045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아만두스 루시엔 에밀 피크
얀 반헤스
Original Assignee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레이켐 엔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레이켐 엔베 filed Critical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레이켐 엔베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75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756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13Sealing means for cable inle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39Auxiliary devices
    • G02B6/444Systems or boxes with surplus lengths
    • G02B6/4441Boxes
    • G02B6/4442Cap coupling boxes
    • G02B6/4444Sea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2Cable terminations
    • H02G15/06Cable terminating boxes, frames or other structures
    • H02G15/076Cable terminating boxes, frames or other structures for multi-conductor cab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able Accessories (AREA)
  • Processing Of Terminals (AREA)
  • Sealing Devices (AREA)
  • Laying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utside (AREA)
  • Seal Device For Vehicle (AREA)
  • Gyroscopes (AREA)
  • Electroplating And Plating Baths Therefor (AREA)
  • Preparation Of Compounds By Using Micro-Organisms (AREA)
  • Electrical Discharge Machining, Electrochemical Machining, And Combined Machining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Extru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Joints With Pressure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케이블 밀봉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는 (a) 케이블이 통과하는 하우징과; (b) 밀봉재료를 축방향으로 배치하는 제 1 및 2 수단사이에 밀봉재료를 포함하여, 하우징과 케이블 사이의 갭을 밀봉하는 밀봉부를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은 각각의 초과 외부 및 내부압력에 대하여 밀봉부가 축방향으로 안쪽 및 바깥쪽으로 미끄러질 수 있는 공동을 가지고 있어, 그리고 상기 하우징은 밀봉재료를 축방향으로 배치하는 제 1 및 2 수단에 각각 맞물려서 축방향 미끄러짐을 억제하는 제 1 및 2 스톱수단을 가진다.

Description

케이블 밀봉장치
본 발명은 케이블 밀봉을 형성하기 위한 부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화통신 또는 그 이외의 케이블 접속용 레디 액세스 버트 클로우져(ready access butt closure) 또는 인라인 클로우져(in-line closure)를 형성하는 부재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이는 케이블 피드스루(feedthrough)를 형성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케이블 접속부는 외부 환경으로부터 밀봉되어 케이블 도체 및 이들에 연결된 커넥터에 대한 손상을 방지하여야 한다. 케이블 접속부가 만들어질 때, 케이블 피복은 접속될 케이블의 끝부분으로부터 탈피되어 연결될 도체를 노출시킨다. 접속부가 만들어진 후에, 소위 접속 케이스 또는 접속 클로우져가 접속부 주위에 형성된다.
어느 예에서, 접속부는 인라인 구조보다는 버트 구조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끝부분이 동일방향을 가리키는, 나란히 놓여 있는 두개 이상의 케이블이 서로 접속되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돔형 커버를 포함하는 하우징이 접속부 위로슬라이드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따라서, 단일 밀봉은 케이블이 하우징의 출구를 나오는 곳에서 만들어져야 한다. 인라인 접속(서로 접하고 있는 케이블 끝부분 사이에 형성)의 경우에 접속부를 감싸는 일반적인 실린더형 하우징이 각 단부에 하나씩 두개의 밀봉이 요구된다. 또한, 버트 클로우져의 하우징은 랩-어라운드(wrap-around) 타입일 필요가 없으며, 또한 제거될 수 있다.
여러 가지 케이블 접속 클로우져가 과거에 제안되어 왔으며, 이들 중 몇몇은 이하에서 재 고찰된다.
US 4194082(Campbell)는 들어오는 케이블은 수축시키는 열수축가능 단부를 가진 일반적인 돔형상의 클로우져를 기술했다. 열수축의 결과로써, 밀봉이 케이블 주위에 이루어져서 외부 환경과 클로우져의 내부를 격리시킨다.
WO 90/05401(레이켐)은 열-수축가능 재료를 이용하지 않는 인라인 접속 클로우져를 기술한다. 예를 들어, 겔과 같은 밀봉재료는 단부 밀봉부로써 제공되어 접속 케이스의 들어오고 나가는 케이블 사이의 갭을 밀봉시키며, 그 중심 부분은 일반적으로 실린더형 하우징을 포함한다. 단부 밀봉은 서로 연결될 수 있는 구조체 사이에서 겔을 포함하며, 케이블과 중앙 하우징에 겔을 밀봉시키기 위하여 겔을 변형시킨다.
또한, US 4701574(Shimirak 등)는 케이블 단부 밀봉부와 중앙 실린더형 하우징을 포함하는 클로우져를 기술한다. 단부 밀봉부는 실린더형 하우징의 꼬인 표면과 매칭되는 외부 꼬인 표면을 가진다. 이러한 방법에서 단부 밀봉부는 하우징 단부에서 적당한 위치에 유지된다.
US 3984623(Worden)은 중공, 튜브형, 플라스틱 몸체를 가진 케이블 접속에 대하여 기술하며, 몸체의 끝부분은 플러그를 가지고 있으며, 그 반대쪽은 출구가 없다. 클램프가 중공 몸체 주위에 제공되어 플러그 주위에 몸체를 클램핑한다. 하우징은 그리스로 채워진다.
US 2771502(J. H. King 등)는 가늘고 긴 하우징을 포함하고 접속 클로우져에 대하여 기술하고 있으며, 가늘고 긴 하우징의 양쪽 끝부분 각각은 접속되는 케이블 피복이 바깥쪽으로 뻗어 있는 탭을 하우징 안에 고정시키는 클램핑 수단을 가진다. 이는 접속부 사이에서 축방향으로 당기는 힘을 제공하며; 하중은 커넥터 및 케이블 도체에 의해서라기보다는 하우징에 의해서 전달된다. 클로우져의 탄력있는 압축 가능한 부싱 밀봉부의 각 단부는 볼트에 의해 고정수단에 연결된다.
US 2688651(J Blake)은 슬리브의 각 단부로 뻗는 케이블을 케이블 연결부(joint)상에 위치시키기 위한 튜브형 밀봉 슬리브를 포함하는 케이블 연결 보호기에 대하여 기술한다. 슬리브는 각각의 끝부분에서 슬리브 위에 외부 나사를 포함하는 밀봉장치를 가지며, 단부캡은 내부 나사를 가지고 있어 단부캡이 슬리브의 끝부분에 나사결합될 수 있다. 케이블용 구멍을 가진 탄성 플러그는 각각의 케이블을 따라 슬리브의 끝부분으로 미끄러진다. 따라서, 상기 캡이 슬리브로 나사결합되어 케이블과 슬리브 내부와 함께 플러그가 밀봉장치로 변형되도록 한다.
상기 각각의 특허 명세서의 내용은 참고로 본 명세서와 함께 기술되어 있다.
상기 기술을 이용하여 만족스러운 밀봉이 이루어질 수 있지만, 각각은 여전히 단점을 가지고 있다. 대부분은 복잡하고 비싸며 작업하는데 시간이 소모된다.
본 발명에서는 만약 초과 내부 및 외부 압력이 밀봉을 보강하기 위하여 지정될 수 있다면, 개선된 케이블 밀봉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한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케이블 밀봉장치를 제공하며, 이는 다음 ;
(a) 케이블이 통과하는 하우징과;
(b) 밀봉재료를 축방향으로 배치하는 제 1 및 제 2 플레이트 수단 및 그 사이에 제공되는 밀봉재료로 이루어지며, 하우징과 케이블 사이의 갭을 밀봉하는 밀봉부를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은 각각의 초과 외부 및 내부 압력에 대하여 밀봉부가 축방향으로 안쪽 및 바깥쪽으로 미끄러질 수 있는 공동을 가지고 있으며, 그리고 상기 하우징은 밀봉재료를 축방향으로 배치하는 제 1 및 제 2 플레이트 수단에 각각 맞물릴 수 있는 스톱 수단을 가짐으로써 축방향 미끄러짐을 방지한다.
상기 장치는 하우징이 그 각각의 끝부분에 인접하게 밀봉부를 가지도록 된 인라인 접속 클로우져를 포함할 수 있지만, 하우징이 그 한쪽 끝 가까이에는 밀봉부를 그 다른 쪽에는 블라인드를 가지는 버트 접속 클로우져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우징은 바람직하게 베이스와 이를 위한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에 밀봉부가 형성된다. 상기 커버는 바람직하게 돔형이다. 상기 두 부분은 원형 같은 클램프에 의해 고정되며, 선택적으로 상기 두 부분의 두 인접 표면 사이에 위치한 O자형 링과 함께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장치가, 예를 들어 케이블이 벽 또는 벌크헤드(bulkhead)를 통과하는피드수루(feedthrough)와 같이 단일 케이블을 밀봉하기에도 유용하지만, 일반적으로 다수의 케이블을 밀봉시키기 위해 이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밀봉부에 각각의 케이블을 위한 구멍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위치를 설정하는 제 1 및 제 2 플레이트 수단은 서로 당기고 있어 밀봉재료를 축방향으로 압축시킨다. 이러한 축방향 압축은 방사형 팽창을 유발하며, 이는 케이블 사이 및/또는 케이블과 하우징 사이의 갭을 밀봉시킨다. 상기 위치설정 수단은 너트 및 볼트에 의해 서로 연결되며, 이들 중 하나는 바람직하게 압축 스프링의 끝부분을 압박하고 다른 하나는 위치설정 수단 중 하나를 압박한다. 이러한 방법에서 밀봉재료는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압축상태를 유지한다.
밀봉재료는 바람직하게 30-400(10-1mm) 범위내의 원뿔 관입값(개선된 버전 ASTM D217에 의하여 측정됨)과, 그리고/또는 적어도 100%의 신장율에 대한 탄성 변형을 가진 100% 이상의 극한 신장율(ASTM D412에 의해 측정됨)을 가진 겔 또는 기타 재료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상기 재료는 오일같은 액체, 확장된 중합체 조성물을 포함한다. 상기 조성물은 바람직하게 삼차원 가교분자 구조를 포함한다. 상기 구조는 예를 들어, 스티렌-디엔 블록 공중합체(예를 들면 스티렌 이소프렌 또는 스티렌-부타디엔 블록 공중합체) 또는 스티렌-에틸렌 브티렌-스티렌 트리블록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공중합체와 같은, 상대적으로 하드 블록 및 엘라스토머 블록을 가진 블록 공중합체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트리블록 공중합체의 예는 상표명 Kraton으로 Shell사에 의해 공급되는 것을 포함한다. 이들 블록 공중합체는 오일에 의해 신장된다. 그 결과, 겔은 열가소성 수지가 되어, 바람직하게 제품을 제조하기가 쉬워진다. 한 실시예에서 공중합체 Kraton G1651 10-14 중량 %, 미네랄오일 84-88%, 그리고 소량의 안정제 등을 포함하는 겔이 이용된다. 필요하다면, 예를 들어 폴리우레탄 또는 실리콘을 근거로 한 다른 겔이 이용될 수 있다. 보다 경화된 겔은 오일 함유량을 줄임으로써, 예를 들면 78-82% 오일을 이용함으로써, 그리고 필요하다면 Kraton G61651 및 Kraton G1650과 같은 블록 공중합체 혼합물을 약 10% 사용함으로써 만들어질 수 있다.
밀봉재료 주위에 하우징을 위치시키기 위하여, 밀봉물질은 케이블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확장되어 케이블을 횡방향으로 수축시킨다. 어떤 경우에 밀봉재료는 바람직하게 케이블(또는 케이블들) 주위에 놓여지며, 그 다음에 하우징은 케이블을 따라 밀봉재료 위로 미끄러진다. 선택적으로, 케이블이 하우징에 대하여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고 밀봉재료가 이들에 대하여 미끄러져 들어갈 수 있다. 밀봉재료는 바람직하게 각각의 케이블을 통과시키는 축 방향 구멍을 가진 일반적인 실린더형 플러그를 포함한다. 상기 구멍은 바람직하게 밀봉재료를 통한 슬릿에 의해 플러그의 외부와 통한다. 이러한 방법에서 플러그 케이블 주위를 감쌀 수 있어서, 케이블의 끝부분에 접근할 필요성을 방지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제 1도는 버트 접속 클로우져를 도시하며;
제 2도는 축방향으로 미끄러질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는 접속 클로우져의 하우징내에 이용하기 위한 밀봉부를 도시하며;
제 3도는 초과 내부 및 외부 압력의 효과를 도시하며;
제 4도는 분해된 접속 클로우져를 도시하며;
제 5도는 조립한 후의 제 4도의 클로우져를 도시한다.
제 1도는 케이블(2) 사이의 접속부를 밀봉시키는 버트 접속 클로우져(1)를 도시한다. 상기 클로우져(1)는 케이블(2)이 통과하는 베이스(3)와 상기 베이스(3)와 매칭되어 케이블 접속부 자체가 은폐되는 돔형 커버(4)를 포함한다. 클로우져는 브라켓(5)에 의하여 폴 또는 벽 등에 부착될 수 있다.
일부 다른 바람직한 형태가 도시된다. 상기 클로우져에는 밸브(6)가 제공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하여 클로우져는 압력을 받거나 압력시험될 수 있다. 이는 클로우져가 압력을 받는 케이블 사이의 접속부를 밀봉시킬 때 바람직하다. 베이스 및 돔형 커버는 환형 클램프(7)에 의하여 서로 고정되며, 클램프(7)의 끝부분은 볼트같은 고정수단(8)에 의해 힘을 받는다. 클램프는 베이스와 커버 사이에 위치한 O자형-링을 중심으로 베이스와 커버에 힘을 가한다.
상기 밀봉재료는 예를 들어 베이스(3)내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클로우져는 4개의 케이블에 대하여 기술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상당히 많은 수의 케이블을 밀봉시키기 위하여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케이블은 전기 또는 광학 케이블일 수 있다.
제 2도에 베이스가 단면으로 보다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상기 베이스는 커버와 분리되어 도시되며, O자형-링(9)은 커버가 안착될 때를 도시한다. O자형-링은 경사진 플랜지 위에 안착되어 있으며, 이는 커버 위에서유사한 경사진 플랜지와 함께 방사방향으로 조여진 클램프(제 1도)가 베이스 및 커버에 모두 힘을 가하는 수단을 제공한다.
케이블(2)은 베이스내의 구멍을 통하여 클로우져로 들어가며, 케이블 피복은 클로우져 내에서 탈피되어 케이블 도체(14)가 함께 연결되도록 한다.
클로우져는 도체(14)에 대한 습기 등에 의한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외부 환형으로부터 밀봉되어야 한다. 이는 케이블과 베이스 벽, 또는 클로우져의 전체 하우징의 다른 부분 사이의 갭을 밀봉시키는 것을 요구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갭은 밀봉재료(10)에 의하여 밀봉되며, 상기 밀봉재료는 밀봉재료를 세로방향으로 압축시키는 두 개의 플레이트(11) 또는 축방향으로 밀봉재료를 압축시키는 압축수단 사이에 위치한다.
상기 세로압축(제 2도에서는 아직 영향을 주지 못함)은 밀봉재료가 방사방향으로 바깥으로 치환되도록 하여 원하는 밀봉을 형성시킨다.
플레이트(11)는 이를 위하여 디바이스(15)에 의해 서로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디바이스(15)는 회전시 볼트(도시안됨)를 따라 이동하여 두 플레이트(11) 중 하부 플레이트에 대하여 스프링(6)에 힘을 가하는 너트이거나 또는 이를 포함한다. 상기 볼트는 상부 플레이트(11)에 부착되어, 너트를 조여서 플레이트를 서로 당겨, 밀봉재료(10)에 대한 적정한 변형을 발생시킨다.
하부 플레이트(11)는 안쪽으로 향한 림 또는 립 형태의 제1스톱수단(17A)에 의하여, 상부 플레이트(11)는 림 또는 립 형태의 제2 스톱수단(17B)에 의하여 베이스(3)내에 유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 및 제 2 스톱 수단(17A) 및 (17B)은 림또는 립 형태이다. 베이스(3)의 하부 및/또는 상부에는 웨이스트(waist)가 제공되며, 상기 웨이스트를 따라 플레이트(11)는 거리(18)를 미끄러져 들어갈 수 있으며, 또한 측면이동을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밀봉재료와 플레이트는 각각의 축방향으로 어느 정도 미끄러져 들어갈 수 있다. 이러한 방법에서, 클로우져의 내부 및 외부의 초과 압력이 밀봉재료 위의 축방향 압력에 가산되어 밀봉을 보강할 수 있다.
림 또는 립 형태의 제1 스톱수단(17A)이 베이스의 통합부분이거나 영구적으로 베이스에 고정되어 있으면, 밀봉재료(10) 및 플레이트(11)가 위로부터 베이스(3)로 삽입되는 것이 요구된다. 유사하게, 림 또는 립 형태의 제2 스톱수단(17B)이 통합부분이거나 영구적으로 고정되어 있으면, 아래로부터 밀봉재료(10) 및 플레이트(11)를 삽입하는 것이 요구된다. 선택적인 설계는 밀봉재료 및 플레이트가 양쪽 끝으로부터 삽입되는 것을 허용한다. 분리된 C-링 또는 다른 밀폐수단이 베이스의 하부 및 상부에 부착되어 대응하는 플레이트(11)를 밀폐할 수 있다. 상기 수단은 베이스의 원주상에서 버튼과 같은 잠금수단에 의해 제위치에서 록킹될 수 있으며, 상기 잠금수단은 예를들어 스냅 피트(snap fit) 또는 슬라이딩 및 회전과 관련될 수 있다. 억제수단 또는 정지수단에 대한 그 외의 방법은 베이어닛(bayonet) 고정, 스프링, 푸쉬-스루(push-through) 정지 스크류 맞춤 또는 제 4도 및 제 5도의 폴 클램프를 포함한다.
제 2도는 가로부재(12)를 도시하며, 이는 바람직하게 하우징으로 미끄러져 들어가며, 하우징에 대한 축방향 이동에 대하여(예를 들어 그의 회전에 의하여) 록킹된다. 가로부재가 상부 플레이트(11)에서 분리되고, 상기 상부 플레이트가 가로부재(12)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부 림 또는 립 형태의 제2 스톱수단(17B)은 유사한 방법으로 가로부재(12)에 고정될 수 있다.
가로부재(12)의 기능은 케이블(2)과 클로우져, 바람직하게는 클로우져의 베이스(3) 사이에 기계적 결합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부 플레이트(11)와 가로부재(12) 사이의 이동가능성은 밀봉기능 및 기계적 결합기능이 분리되도록 한다. 이러한 방법에서 케이블의 축방향 당김이나 구부림에 의해 손상되지 않는 최적의 밀봉이 형성될 수 있다.
가로부재(12)는 바람직하게(케이블(2)과 함께) 베이스의 전체 단면을 거의 덮는 플레이트 또는 플랜지이다. 그러나, 이는 가늘고 긴 막대같은 부재를 포함하며 프레임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케이블(2)은 클램프(13)에 의하여 가로부재에 고정되며, 클램프는 호스 클램프(hose-clamp) 또는 주빌리클립(jubilee clip)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클램프가 케이블에 고정되어 가로부재(12)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클램프가 부재(12)에 영구적으로 또는 적어도 첫번째로 부착되면 조립은 더욱 어려워진다.
밀봉재료가 적정 밀봉을 형성하기 위하여 압축되기 때문에, 만약 밀봉재료의 균일 압력이 모든 케이블 주위에 얻어진다면, 케이블의 일부 방사형 이동이 바람직하다. 다른 사이즈 케이블의 밀봉은 상기와 같이 이동을 더욱 필요로 한다. 상기 이동은 바람직하게 클램프(13)가 가로부재(12)에 고정되는 방법에 의하여 본 발명에서 허용된다. 상대적인 미끄러짐의 일부 형태가 바람직하게 허용된다.
예를 들어 가로부재는 클램프가 미끄러 들어갈 수 있는 방사방향으로 확장하는 슬롯을 가질 수 있다. 각각의 술롯 및 클램프쌍은 일반적으로 상호물림 돌출부 및 리세스를 가지고 있어 관련 축방향 이동을 방지하거나 억제한다. 각 돌출부 및 리세스 중 하나 또는 둘 모두는 방사방향으로 확장되어 상호 맞물림이 관계된 적정 방사이동 전체에 유지되도록 한다. 리세스의 벽은 클램프의 슬롯과 매칭되는 레일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그 반대도 가능하다.
방사방향으로 확장되는 슬롯은 바람직하게 가로부재의 위주로 확장되어 케이블이 클램프에 고정된 후에 클램프가 슬롯에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
제 3A도, 제 3B도 및 제 3C도는 각각의 동일 내부 및 외부 압력, 초과 외부 및 내부 압력에 대한 효과를 도시하며, 여기서 내부압력(P1)이 외부 압력(P2)보다 큰 경우(P1>P2)(도 3C)를 초과내부 압력, 내부압력(P1)이 외부 압력(P2)보다 작은 경우(P1<P2)(도 3B)를 초과외부 압력이라 한다. 이들 상황 각각은 케이블 접속 케이스, 특히 온도에 민감한 접속 케이스에서 야기될 수 있다.
이들 도면은 제 2도의 베이스(3)의 일부분을 도시한다. 두 플레이트(11) 사이의 밀봉 재료를 밀봉시키는 밀봉부는 상부 및 하부 스톱 수단(17B)과 (17A) 사이의 베이스(3)내에 위치한다.
제 2도의 볼트(15) 및 스프링(16)과 같은 일부 부재들은 플레이트(11)를 서로 결합시키기 위해 이용되며, 따라서 밀봉재료(10)를 축방향으로 압축하고 팽창시킨다. 베이스(3)의 벽에 형성된 밀봉부를 볼 수 있다(케이블은 간단화하기 위하여 생략되었다).
제 3A도에서 접속 클로우져내의 압력(P1)은 주위압력(P2)과 동일하여, 밀봉재료상의 밀봉압력은 플레이트(11)에 의해 제공된 바이어스 압력과 동일하다.
제 3B도는 주위압력(P2)이 접속 클로우져내의 압력을 초과하는 경우를 도시한다. 밀봉부는 스톱수단(17B,17A) 사이에서 이동이 자유로운 상태이기 때문에, 초과 압력에 반응하여 변형될 수 있어 베이스에 대한 밀봉부가 이탈될 정도로 감소된다(도면은 단지 개략적으로 밀봉의 버트이동만 도시한다). 상기 밀봉부는 제2 스톱수단(17B)에 접할 때까지 이동할 수 있다. 그 결과, 밀봉압력은 플레이트에 의한 바이어스 압력과 초과 외부 압력(P2-P1)의 합이 된다.
제 3C도의 상황도 동일하다. 여기서 초과 내부 압력은 상기 밀봉부를 제1 스톱수단(17A)으로 이동시킨다. 밀봉압력은 플레이트에 의한 바이어스 압력과 초과 내부 압력(P1-P2)의 합과 동일하다.
제 4도 및 제 5도는 제1 스톱수단(17A)이 제공될 수 있는 기술을 도시한다.
돔커버(4)와 베이스(3)를 포함하는 하우징이 통합부분으로서 도시되지만, 이들은 분리할 수 있다. 플레이트(11) 사이에 밀봉재료(10)를 포함하는 밀봉부는 화살표(1)의 방향으로 하우징의 밑으로 삽입된다. 다음에, 브라켓(5)은 화살표(2)의 방향으로 미끄러져 들어가 플랜지(20)가 브라켓(5)상의 리세스(21)와 맞물린다. 다음에 브라켓의 부분(17A)은 밀봉부를 위한 스톱수단 중 하나를 제공한다. 다른 스톱수단은 쇼울더(shoulder)(22) 또는 베이스(3) 또는 커버(4)의 삽입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브라켓의 상부는 찰칵하고 잠기거나 그렇지 않으면 커버(4)의 일부분에 물리어 커버를 제위치에 고정시킨다.
외부 브라켓(5)은 스톱수단(특히 제1 스톱수단(17A))을 제공하는 유일한 기능을 가지며,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베이스(3)와 커버(4)를 모두 고정시키거나, 또는 예를 들어 축방향 부분(24)에 의하여 클로우져(1)를 벽 또는 폴 등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이용될 수 있다.
제 5도는 조립되었을 때 제 4도의 클로우져를 도시한다.

Claims (9)

  1. (a) 케이블이 통과하는 하우징과;
    (b) 밀봉재료를 축방향으로 압축시키는 제 1 및 제 2 플레이트 수단(11) 및 그 사이에 제공되는 밀봉재료(10)로 이루어지며, 하우징과 케이블 사이의 갭을 밀봉하는 밀봉부(10, 11)를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은 각각의 초과 외부 및 내부 압력에 따라서 밀봉부가 축 방향으로 안쪽 및 바깥쪽으로 미끄러질 수 있는 공동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하우징은 밀봉재료를 축방향으로 배치하는 제 1 및 2 플레이트 수단(11)에 각각 맞물려서 축방향 미끄러짐을 억제하는 제 1 및 2 스톱수단(17A 및 17B)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밀봉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인라인 케이블 접속 클로우져를 더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은 그 각각의 끝부분 가까이에 밀봉부(10, 11)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밀봉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버트 접속 클로우져를 더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은 한쪽 끝부분 가까이에 밀봉부(10,11)를 가지며 다른 쪽 끝부분은 폐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밀봉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베이스(3)와 상기 베이스를 위한 커버(4)를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에 밀봉부(10, 11)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밀봉장치.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밀봉 장치는 다수의 케이블을 밀봉시키는데 사용되며, 상기 밀봉부(10, 11)는 각각의 케이블에 대한 구멍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밀봉장치.
  6.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재료를 배치하는 제 1 및 2 플레이트 수단(11)은 서로에 대향 접근하여 밀봉재료에 대해 축방향 압축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밀봉장치.
  7.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재료는 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밀봉장치.
  8.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재료는 ASTM D217에 의하여 측정된 30-400(10-1mm)의 원뿔관입값 및/또는 ASTM D412에 의하여 측정된 100% 이상의 극한 신장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밀봉장치.
  9.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재료는 케이블용 통로를 가지며, 상기 통로는 재료의 외부면으로 팽창하여 재료가 케이블을 감싸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밀봉장치.
KR1019940704573A 1992-06-15 1993-05-28 케이블밀봉장치 KR10033756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929212625A GB9212625D0 (en) 1992-06-15 1992-06-15 Cable sealing device
GB9212625.9 1992-06-15
PCT/GB1993/001121 WO1993026069A1 (en) 1992-06-15 1993-05-28 Cable sealing and/or feedthrough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37568B1 true KR100337568B1 (ko) 2002-09-04

Family

ID=107170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704573A KR100337568B1 (ko) 1992-06-15 1993-05-28 케이블밀봉장치

Country Status (15)

Country Link
EP (1) EP0646294B1 (ko)
JP (1) JP3176065B2 (ko)
KR (1) KR100337568B1 (ko)
AT (1) ATE145097T1 (ko)
AU (1) AU681584B2 (ko)
BR (1) BR9306552A (ko)
CA (1) CA2137556C (ko)
DE (1) DE69305854T2 (ko)
DK (1) DK0646294T3 (ko)
ES (1) ES2096299T3 (ko)
FI (1) FI108320B (ko)
GB (1) GB9212625D0 (ko)
NO (1) NO310327B1 (ko)
PL (1) PL172795B1 (ko)
WO (1) WO199302606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9503502D0 (en) * 1995-02-21 1995-04-12 Raychem Sa Nv Cable seal insert
WO1997002637A1 (en) * 1995-06-30 1997-01-23 N.V. Raychem S.A. Cable seal insert
GB0303782D0 (en) * 2003-02-19 2003-03-26 Tyco Electronics Raychem Nv Cable sealing and/or feedthrough device
DE102005010075A1 (de) 2005-03-04 2006-10-05 Tyco Electronics Raychem Gmbh Gehäuse für eine Kabelverbindung
DE202006006019U1 (de) 2006-04-11 2006-06-14 CCS Technology, Inc., Wilmington Dichtungskörper einer Kabelmuffe
DE202006006020U1 (de) * 2006-04-11 2006-06-14 CCS Technology, Inc., Wilmington Dichtungskörper einer Kabelmuffe
DE202006008655U1 (de) * 2006-05-30 2006-08-03 CCS Technology, Inc., Wilmington Kabelmuffe zur strukturierten Ablage bzw. Handhabung von in Lichtwellenleiterkabeln geführten Lichtwellenleitern
DE202006008654U1 (de) 2006-05-30 2006-08-03 CCS Technology, Inc., Wilmington Kabelmuffe zur strukturierten Ablage bzw. Handhabung von in Lichtwellenleiterkabeln geführten Lichtwellenleitern
DE202007002375U1 (de) * 2007-02-14 2007-04-19 CCS Technology, Inc., Wilmington Kabelmuffe
DE202007002376U1 (de) * 2007-02-14 2007-04-26 CCS Technology, Inc., Wilmington Kabelmuffe
US7650055B2 (en) 2007-05-31 2010-01-19 Corning Cable Systems Llc Terminal with internal environmental seal
ITMI20081082A1 (it) 2008-06-16 2009-12-17 Optotec Spa Dispositivo per sigillare cavi attraverso contenitori per fibre ottiche e contenitore comprendente tale dispositivo
CN103221863B (zh) 2010-10-28 2016-06-01 康宁光缆系统有限责任公司 抗冲击光纤外壳及相关方法
US9069151B2 (en) 2011-10-26 2015-06-30 Corning Cable Systems Llc Composite cable breakout assembly
EP2783250A2 (en) 2011-11-22 2014-10-01 Tyco Electronics Raychem BVBA System and method for mounting blown fiber tubes to a housing
US11852883B2 (en) 2012-04-03 2023-12-26 CommScope Connectivity Belgium BVBA Cable clamp and telecommunications enclosure
KR102015686B1 (ko) 2012-04-03 2019-08-28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레이켐 비브이비에이 케이블 클램프 및 통신 인클로저
US8873926B2 (en) 2012-04-26 2014-10-28 Corning Cable Systems Llc Fiber optic enclosures employing clamping assemblies for strain relief of cables, and related assemblies and methods
KR102443624B1 (ko) * 2013-02-19 2022-09-15 콤스코프 커넥티비티 벨지움 비브이비에이 재진입가능한 인클로저 및 장착하기 위한 형상
AU2018254713A1 (en) 2017-04-17 2019-11-07 CommScope Connectivity Belgium BVBA Modularized cable termination unit
TWM566823U (zh) * 2018-05-23 2018-09-11 大陸商安費諾光纖技術(深圳)有限公司 分線盒
AU2020348681A1 (en) 2019-09-16 2022-04-28 Commscope Technologies Llc Cable fixation assembly with strength member anchor adapter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041657A1 (de) * 1980-11-05 1982-06-03 HEW-Kabel Heinz Eilentropp KG, 5272 Wipperfürt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zugfester und druckdichter, insbesondere temperaturbestaendiger, verbindungen fuer elektrische kabel und leitungen
DE3243828C2 (de) * 1982-11-26 1986-12-04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 Saint Paul, Minn. Kabelverbindung für unter Gasdruck setzbare Fernmeldekabel
US4606603A (en) * 1983-04-07 1986-08-19 Lockheed Corporation Underwater connector including integral bladder and seal with a set of constricting means
US4602840A (en) * 1984-06-01 1986-07-29 Harvey Hubbell Incorporated Under-carpet connection system
NL8601616A (nl) * 1986-06-20 1988-01-18 Du Pont Nederland Aftakconnector voor coaxiale kabel.
US5091987A (en) * 1991-02-11 1992-02-25 G & H Technology, Inc. Fiber optic hermetic conne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305854T2 (de) 1997-06-12
FI945885A0 (fi) 1994-12-14
AU681584B2 (en) 1997-09-04
JP3176065B2 (ja) 2001-06-11
PL172795B1 (en) 1997-11-28
BR9306552A (pt) 1998-09-15
WO1993026069A1 (en) 1993-12-23
FI108320B (fi) 2001-12-31
NO944842L (no) 1994-12-14
ATE145097T1 (de) 1996-11-15
NO944842D0 (no) 1994-12-14
DK0646294T3 (da) 1996-11-25
GB9212625D0 (en) 1992-07-29
EP0646294B1 (en) 1996-11-06
ES2096299T3 (es) 1997-03-01
CA2137556C (en) 2003-03-11
JPH07507916A (ja) 1995-08-31
NO310327B1 (no) 2001-06-18
EP0646294A1 (en) 1995-04-05
DE69305854D1 (de) 1996-12-12
FI945885A (fi) 1994-12-14
AU4336393A (en) 1994-01-04
CA2137556A1 (en) 1993-1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37568B1 (ko) 케이블밀봉장치
KR100337567B1 (ko) 케이블밀봉장치
US5455391A (en) Cable sealing
US5502280A (en) Cable splice protector
EP0731998B1 (en) An end plate for forming a seal around an elongate object
US5235134A (en) Sealed reenterable splice enclosure
KR100658414B1 (ko) 케이블 관통장치
US6344615B1 (en) Closure having an adjustable volume sealant chamber
US4684764A (en) High voltage cable splice protector
US4079193A (en) Central office cable splice enclosure
US5055636A (en) Sealed reenterable splice enclosure
CA2169926A1 (en) Sealing member
US5625167A (en) Cable seal
WO1992022113A1 (en) Cable sealing
US5814770A (en) Cable closure
WO1995015602A1 (en) Environmental seal
WO1996009673A1 (en) Sealing device
MXPA97003943A (en) H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50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