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36397B1 - 모터형 밸브구동기용 밸브개폐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모터형 밸브구동기용 밸브개폐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36397B1
KR100336397B1 KR1020000017952A KR20000017952A KR100336397B1 KR 100336397 B1 KR100336397 B1 KR 100336397B1 KR 1020000017952 A KR1020000017952 A KR 1020000017952A KR 20000017952 A KR20000017952 A KR 20000017952A KR 100336397 B1 KR100336397 B1 KR 1003363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ankshaft
contact
closing
valve
valve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179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94341A (ko
Inventor
이시훈
Original Assignee
석진철
에스비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석진철, 에스비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석진철
Priority to KR10200000179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36397B1/ko
Publication of KR200100943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943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63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6397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7/00Special means in or on valves or other cut-off apparatu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operation thereof, or for enabling an alarm to be given
    • F16K37/0025Electrical or magnetic means
    • F16K37/0041Electrical or magnetic means for measuring valve parameters

Abstract

본 발명은 모터형 밸브구동기용 밸브개폐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유체가 통과하는 밸브체(10)와, 상기 밸브체(10)와 상보적으로 결합되는 본체(11)와, 상기 본체(11) 내에 설치되어 소정 전압의 전원(33)에 의해 구동되는 모터부(13)와, 상기 모터부(13)의 회전축(15)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크랭크샤프트(17)와, 상기 크랭크샤프트(17)에 편심되게 결합되며 상사점(21a) 및 하사점(21b)을 가지는 캠(21)과, 상기 캠(21)과 접촉설치되어 상기 캠(21)의 회전위치에 따라 상하직선운동하여 상기 밸브체(10)의 유로를 개폐시키는 밸브개폐수단과, 상기 모터부(13)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모터부(13)에 구동/정지신호를 제공하는 PCB어셈블리(29)와, 상기 PCB어셈블리(29)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모터부(13)에 제공되는 구동/정지신호를 제어하는 제어부(31)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모터형 밸브구동기용 밸브개폐 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크랭크샤프트(17)의 회전에 의한 캠(21)의 회전위치 변화에 따라 상기 밸브개폐수단이 상하직선운동하여 상기 밸브체(10)의 유로를 개폐시킬 때의 상태를 전기적으로 발광되게 표시하는 밸브개폐 표시수단;을 포함하여 전후좌우 어디서나 그리고, 어두운 곳에서도 밸브의 개폐여부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모터형 밸브구동기용 밸브개폐 표시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모터형 밸브구동기용 밸브개폐 표시장치{Valve lift display for motorized valve actuator}
본 발명은 모터형 밸브구동기용 밸브개폐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밸브체의 열림 및 닫힘상태를 발광 표시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모터형 밸브구동기용 밸브개폐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터형 밸브구동기는 외부의 전원공급에 의해 구동되는 모터부(motor assembly)와, 모터부에 구비된 크랭크 샤프트(crank shaft)와 크랭크 샤프트에 편심되게 결합된 캠(cam)을 구비하는 크랭크샤프트부(crank shaft assembly)와, 상기 캠의 회전위치에 따라 상하직선운동을 하여 밸브의 유로를 개폐하는 밸프개폐수단과, 모터부의 온-오프를 전기적으로 제어하는 PCB어셈블리 및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모터형 밸브구동기의 일측에는 캠의 회전위치에 따라 상하직선운동하는 밸프개폐수단의 동작상태를 전기적이 아닌 기계적으로 표시해주는 개폐표시기구가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에 따른 모터형 밸브구동기는 상술한 바와 같은 기계식 개폐표시기구가 소정 위치에 마련되기 때문에 그 설치 위치에 따라 전후 좌우 및 어두운 곳에서는 모터 구동기의 구동에 따른 밸브의 개폐여부를 식별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모터형 밸브구동기의 구동에 따른 밸브의 개폐여부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된 모터형 밸브구동기용 밸브개폐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점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모터형 밸브구동기용 밸브개폐 표시장치에 있어서, 밸브체의 유로를 폐쇄시키는 동작을 나타내 보인 개략적 사시도이고,
도 2a 및 도 2b는 도 1의 밸브체가 폐쇄될 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밸브개폐 표시수단의 동작상태를 나타내 보인 개략적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모터형 밸브구동기용 밸브개폐 표시장치에 있어서, 밸브체의 유로를 개방시키는 동작을 나타내 보인 개략적 사시도이고,
도 4a 및 도 4b는 도 3의 밸브체가 개방될 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밸브개폐 표시수단의 동작상태를 나타내 보인 개략적 도면이고,
도 5는 도 1의 밸브체가 폐쇄될 때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밸브개폐 표시수단의 동작상태를 나타내 보인 개략적 도면이고,
도 6은 도 1의 모터부가 구동될 때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밸브개폐 표시수단의 동작상태를 나타내 보인 개략적 도면이고,
도 7은 도 3의 밸브체가 개방될 때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밸브개폐 표시수단의 동작상태를 나타내 보인 개략적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터형 밸브구동기용 밸브개폐 표시장치의 밸브개폐 표시수단을 나타내 보인 것으로 힌지구가 회전체의 홈에 순간적으로 수용되는 구조를 나타내 보인 개략적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1의 밸브체가 폐쇄될 때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밸브개폐 표시수단의 동작상태를 나타내 보인 개략적 도면이고,
도 10은 도 1의 모터부가 구동될 때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밸브개폐 표시수단의 동작상태를 나타내 보인 개략적 도면이고,
그리고 도 11은 도 3의 밸브체가 개방될 때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밸브개폐 표시수단의 동작상태를 나타내 보인 개략적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밸브체
11... 본체 13... 모터부
15... 회전축 17... 크랭크샤프트
19,63... 홈 21... 캠
21a... 상사점 21b... 하사점
23... 플런저 25... 탄성스프링
27... 밸브스템 29... PCB어셈블리
31... 제어부 33... 전원
35... 제1접점스위치 37... 접점부
39... 제2접점스위치 41... 제1LED전구
43... 제2LED전구 50... 지지판
50a... 힌지축 51... 제1힌지구
52... 제2힌지구 53... 제1돌출구
54... 제2돌출구 61... 회전체
62... 안내홀 64... 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모터형 밸브구동기용 밸브개폐 표시장치는 유체가 통과하는 밸브체와, 상기 밸브체와 상보적으로 결합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 내에 설치되어 소정 전압의 전원에 의해 구동되는 모터부와, 상기 모터부의 회전축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크랭크샤프트와, 상기 크랭크샤프트에 편심되게 결합되며 상사점 및 하사점을 가지는 캠과, 상기 캠과 접촉설치되어 상기 캠의 회전위치에 따라 상하직선운동하여 상기 밸브체의 유로를 개폐시키는 밸브개폐수단과, 상기 모터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모터부에 구동/정지신호를 제공하는 PCB어셈블리와, 상기 PCB어셈블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모터부에 제공되는 구동/정지신호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모터형 밸브구동기용 밸브개폐 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크랭크샤프트의 회전에의한 캠의 회전위치 변화에 따라 상기 밸브개폐수단이 상하직선운동하여 상기 밸브체의 유로를 개폐시킬 때의 상태를 전기적으로 발광되게 표시하는 밸브개폐 표시수단;을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밸브개폐 표시수단은 접점 또는 단락가능한 탄성 도전체로서 상기 크랭크샤프트의 길이방향과 수직을 이루도록 상기 PCB어셈블리에 직립적으로 소정간격 이격되게 접지되며 상부에 양극 및 음극의 접점부가 마련되어 있어 상기 크랭크샤프트의 외주에 간섭됨으로써 상기 접점부가 접점되는 한 쌍의 제1접점스위치와, 상기 제1접점스위치가 마련된 상기 크랭크샤프트의 반대쪽 외주에 접촉되어 간섭되는 한 쌍의 제2접점스위치와, 상기 본체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제1 및 제2접점스위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각각의 접점부가 접점될 때 빛을 발하는 LED전구가 마련되되, 상기 크랭크샤프트의 외주에 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크랭크샤프트가 회전되어 상기 캠의 상사점 및 하사점이 상기 밸브개폐수단에 접촉되어 상기 밸브개폐수단을 상하직선운동시킴으로써 상기 밸브체의 유로를 개폐시킬 때 상기 제1 및 제2접점스위치 중 어느 하나의 접점부가 상기 홈의 내부 영역에 위치되어 단락됨과 동시에 나머지 하나의 접점부는 접점됨에 따라 상기 LED전구 중 어느 하나를 발광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밸브개폐 표시수단은 상기 PCB어셈블리에 고정설치된 한 쌍의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에 마련된 힌지축에 각각 힌지결합되어 소정 탄성력에 의해 좌우 회동가능하며 몸체의 전면에 형성되어 상기 크랭크샤프트의 외주에 접촉되는 제1돌출구와 몸체의 후면에 형성되는 제2돌출구를 가진제1 및 제2힌지구와, 접점 또는 단락가능한 탄성 도전체로서 상기 크랭크샤프트의 길이방향과 수직을 이루도록 상기 PCB어셈블리에 직립적으로 소정간격 이격되게 접지되며 상부에 양극 및 음극의 접점부가 마련되어 있어 상기 제1 및 제2힌지구의 제2돌출구에 간섭됨으로써 상기 접점부가 접점되는 제1 및 제2접점스위치와, 상기 본체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제1 및 제2접점스위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각각의 접점부가 접점될 때 빛을 발하는 LED전구가 마련되되, 상기 크랭크샤프트의 외주에 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크랭크샤프트가 회전되어 상기 캠의 상사점 및 하사점이 상기 밸브개폐수단에 접촉되어 상기 밸브개폐수단을 상하직선운동시킴으로써 상기 밸브체의 유로를 개폐시킬 때 상기 제1 및 제2힌지구 중 어느 하나의 제1돌출구가 상기 홈의 내부 영역에 수용되어 제1 및 제2접점스위치 중 어느 하나의 접점부는 단락되고 나머지 하나의 접점부는 제2돌출구에 간섭되어 접점됨으로써 상기 LED전구 중 어느 하나를 발광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밸브개폐 표시수단은 상기 크랭크샤프트에 삽입되어 미끄럼 회전가능하며 원주를 따라 소정길이로 관통된 안내홀이 형성되어 있고 핀이 상기 안내홀을 통해 상기 크랭크샤프트에 결합되어 상기 안내홀의 길이만큼 회전이 제한되는 회전체와, 상기 PCB어셈블리에 고정설치된 한 쌍의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에 마련된 힌지축에 각각 힌지결합되어 소정 탄성력에 의해 좌우 회동가능하며 몸체의 전면에 형성되어 상기 회전체의 외주에 접촉되는 제1돌출구와 몸체의 후면에 형성되는 제2돌출구를 가진 제1 및 제2힌지구와, 접점 또는 단락가능한 탄성 도전체로서 상기 크랭크샤프트의 길이방향과 수직을 이루도록 상기 PCB어셈블리에 직립적으로 소정간격 이격되게 접지되며 상부에 양극 및 음극의 접점부가 마련되어 있어 상기 제1 및 제2힌지구의 제2돌출구에 간섭됨으로써 상기 접점부가 접점되는 제1 및 제2접점스위치와, 상기 본체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제1 및 제2접점스위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각각의 접점부가 접점될 때 빛을 발하는 LED전구가 마련되되, 상기 회전체의 외주에 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크랭크샤프트가 회전되어 상기 캠의 상사점 및 하사점이 상기 밸브개폐수단에 접촉되어 상기 밸브개폐수단을 상하직선운동시킴으로써 상기 밸브체의 유로를 개폐시킬 때 상기 핀에 걸려 크랭크샤프트와 함께 회전하는 회전체의 홈에 상기 제1 및 제2힌지구 중 어느 하나의 제1돌출구가 수용되어 제1 및 제2접점스위치 중 어느 하나의 접점부는 단락되고 나머지 하나의 접점부는 제2돌출구에 간섭되어 접점됨으로써 상기 LED전구 중 어느 하나를 발광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회전체는 상기 제1 및 제2힌지구 중 어느 하나의 제1돌출구가 홈의 내부영역에 수용될 때, 상기 안내홀의 길이만큼 크랭크샤프트의 외주에 미끄러져 상기 크랭크샤프트의 회전속도 보다 상대적으로 빠르게 순간회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모터부의 크랭크 샤프트에 편심되게 설치된 캠의 회전위치에 따른 밸브의 개폐여부를 크랭크 샤프트가 회전됨에 따라 접점스위치의 접점부가 접점 또는 단락되도록 하고 이것을 LED전구로 발광표시함으로써 전후좌우 어디서나 그리고, 어두운 곳에서도 밸브의 개폐여부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이러한 특징을 가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모터형 밸브구동기용 밸브개폐 표시장치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모터형 밸브구동기용 밸브개폐 표시장치는 유체가 통과하는 밸브체(10)와, 상기 밸브체(10)와 상보적으로 결합되는 본체(11)와, 상기 본체(11) 내에 설치되어 소정 전압의 전원(33)에 의해 구동되는 모터부(13)와, 상기 모터부(13)의 회전축(15)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크랭크샤프트(17)와, 상기 크랭크샤프트(17)에 편심되게 결합되며 상사점(21a) 및 하사점(21b)을 가지는 캠(21)과, 상기 캠(21)과 접촉설치되어 상기 캠(21)의 회전위치에 따라 상하직선운동하여 상기 밸브체(10)의 유로를 개폐시키는 밸브개폐수단과, 상기 모터부(13)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모터부(13)에 구동/정지신호를 제공하는 PCB어셈블리(29)와, 상기 PCB어셈블리(29)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모터부(13)에 제공되는 구동/정지신호를 제어하는 제어부(31)를 구비하며, 상기 크랭크샤프트(17)의 회전에 의한 캠(21)의 회전위치 변화에 따라 상기 밸브개폐수단이 상하직선운동하여 상기 밸브체(10)의 유로를 개폐시킬 때의 상태를 전기적으로 발광되게 표시하는 밸브개폐 표시수단(미도시)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밸브체(10)는 후술되는 밸브개폐수단의 상하운동으로 인해 개폐되는 개폐구(미도시)를 가지고 있으며, 개폐구는 밸브체(10)의 유로를 열거나 닫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밸브체(10)는 온수를 통과시켜 실내의 온도를 최적으로 유지하기 위한 것이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다른 유체들을 유동시킬 수도 있다.
상기 본체(11)는 앞서 설명한 밸브체(10)와 너트(12)로서 상보적으로 결합되며, 소정영역의 내부공간을 가진 하우징으로서, 내부에 후술되는 모터부(13), 크랭크샤프트(17), 캠(21), 밸브개폐수단 및 PCB어셈블리(29)가 수용된다.
상기 모터부(13)는 본체(11)의 내부영역에 지지되도록 설치되며 후술되는 제어부(31)에 의해 제어된 구동/정지신호를 후술되는 PCB어셈블리(29)로부터 제공받아 소정의 전기적인 동력에 의해 정역방향으로 회전되는 회전축(15)을 가지고 있다.
상기 크랭크샤프트(17)는 모터부(13)의 회전축(15)에 결합되어 회전축(15)이 회전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되며, 그 외주에는 후술되는 제1 및 제2접점스위치(35,39)의 접점부(37)를 단락시키기 위한 홈(19)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홈(19)은 후술되는 제1 및 제2힌지구(51,52)의 제1돌출구(53)에 간섭되어 힌지구(51,52)를 좌우로 회동시키는 제1 및 제2슬라이딩면(19a,19b)을 가진다.
상기 캠(21)은 크랭크샤프트(17)에 편심되게 결합되는 것으로, 상사점(21a) 및 하사점(21b)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상사점(21a) 및 하사점(21b)은 후술되는 밸브개폐수단에 접촉되어 회전운동을 상하직선운동으로 전환시키는 역할을 한다. 부연설명하면, 캠(21)의 회전에 따라 상기 밸브개폐수단을 상하직선운동시킴으로써, 밸브체(10)의 유로를 열거나 닫게 한다.
상기 밸브개폐수단은 상기 캠(21)의 상사점(21a) 및 하사점(21b)과 미끄럼 접촉하면서 상하직선운동하는 플런저(23)를 구비하며, 상기 플런저(23)의 몸체에는상하직선운동을 탄성력으로 지지하기 위한 탄성스프링(25)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밸브개폐수단은 상기 플런저(23)와 상보적으로 설치되어 플런저(23)가 상하직선운동함에 따라 함께 상하직선운동하여 밸브체(10)의 개폐구(미도시)를 여닫는 밸브스템(27)이 설치된다. 즉, 상기 캠(21)의 하사점(21b)이 플런저(23)에 접촉되어 밸브스템(27)이 상방운동하면 개폐구는 열린상태가 되고, 반대로 캠(21)의 상사점(21a)이 플런저(23)에 접촉되어 밸브스템(27)이 하강운동하면 닫힌상태가 된다.
상기 PCB어셈블리(29)는 후술되는 제어부(3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제어부(31)로부터 모터부(13)의 구동/정지신호를 제공받아 모터부(13)에 전달하는 매개체로서 소정의 전기적 회로로 구성되어 있으며, 후술되는 밸브개폐 표시수단의 제1 및 제2접점스위치(35,39)가 직립적으로 접지되어 있다.
상기 제어부(31)는 밸브체(10) 예컨대, 온수가 통과하는 밸브체(10)의 유로를 자동으로 개폐시켜 실내 온도를 최적온도로 자동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미도시된 온도 측정수단에 의해 측정된 온도를 기설정된 최적온도와 비교판단하여 측정온도가 최적온도에 미달되면 모터부(13)를 구동시켜 밸브체(10)를 개방시킨 다음 모터부(13)의 구동을 정지시켜 실내의 온도를 최적온도로 유지한다. 그리고, 실내의 온도가 최적온도로 유지되면, 모터부(13)를 구동시켜 밸브체(10)를 개방시킨 다음 모터부(13)의 구동을 정지시킨다. 또한, 상기 제어부(31)는 후술되는 밸브개폐 표시수단의 접점부(37)가 접지되면 소정의 전압을 인가한다. 여기서 , 참조부호 33은 제어부(31)와 케이블(미도시)로 연결된 전원이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밸브개폐 표시수단은 접점 또는 단락가능한 탄성 도전체로서 상기 크랭크샤프트(17)의 길이방향과 수직을 이루도록 상기 PCB어셈블리(29)에 직립적으로 소정간격 이격되게 접지되며 상부에 양극 및 음극의 접점부(37)가 마련되어 있어 상기 크랭크샤프트(17)의 외주에 간섭됨으로써 상기 접점부(37)가 접점되는 한 쌍의 제1접점스위치(35)와, 상기 제1접점스위치(35)가 마련된 상기 크랭크샤프트(17)의 반대쪽 외주에 접촉되어 간섭되는 한 쌍의 제2접점스위치(39)와, 상기 본체(도 1 및 도 3의 11)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제1 및 제2접점스위치(35,39)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각각의 접점부(37)가 접점될 때 빛을 발하는 한 쌍의 LED전구(41,43)를 구비한다.
상기 제1 및 제2접점스위치(35,39)는 탄성적으로 소정간격 벌어진 한 쌍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각의 일단은 PCB어셈블리(29)와 전기적으로 접지된다. 부연 설명하면, 상기 제1 및 제2접점스위치(35,39)는 도전성을 가진 탄성체로서 PCB어셈블리(29)의 양극과 음극에 각각 접지된다. 한편, 상부에는 상기 PCB어셈블리(29)의 양극과 음극을 접점 또는 단락시키는 접점부(37)가 서로 마주보도록 돌출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접점부(37)는 제1 및 제2접점스위치(35,39) 중 어느 하나가 크랭크샤프트(17)의 외주에 접촉되어 간섭될 경우에는 폐쇄회로를 이룬다. 그리고, 상기 크랭크샤프트(17)가 회전되어 제1 및 제2접점스위치(35,39)의 상부가 홈(19)의 영역에 위치되면, 상기 제1 및 제2접점스위치(35,39)는 자체의 탄성력에 의해 벌어지게 되고 상기 접점부(37)는 단락된다.
상기 LED전구는 한 쌍의 제1 및 제2LED전구(41,43) 마련되고,PCB어셈블리(29)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1 및 제2접점스위치(35,39)와 각각 독립적으로 도전되며, 본체(도 1 및 도 3의 11)의 상면에 설치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도면에서는 상기 제1 및 제2LED전구(41,43)를 본체(11)의 상면에 설치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본체(11)의 어느 부위에 설치하여도 무방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형 밸브구동기용 밸브개폐 표시장치의 동작 및 그에 따른 작용효과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체(10)의 유로를 폐쇄시키려 할 경우에는 모터부(13)에 소정의 전원을 인가하여 회전축(15)을 화살표로 도시된 A방향 즉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 때, 모터부(13)는 PCB어셈블리(29)로부터 제공된 구동제어신호를 인가받게 된다. 이에 앞서, 상기 PCB어셈블리(29)는 구동제어신호를 제어부(31)로부터 제공받는다. 부연설명하면, 상기 제어부(31)는 온도 측정수단(미도시)에 의해 산정된 실내의 측정온도와 기설정된 온도를 비교판단하여 측정온도가 기설정 온도와 동일하게 유지되면 밸브체(10)의 유로를 폐쇄하도록 PCB어셈블리(29)에 구동제어신호를 제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모터부(13)의 회전축(15)이 A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회전축(15)에 결합된 크랭크샤프트(17) 또한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된다. 아울러, 크랭크샤프트(17)에 편심되게 결합된 캠(21)은 크랭크샤프트(17)가 회전됨에 따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된다. 이 때,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접점스위치(35,39)는 크랭크샤프트(17)의 외주에 간섭되고, 이에 따라접점부(37)는 상호 접점되어 제어부(도 1의 31)로부터 인가된 소정 전압에 의해 도전되어 각각에 연결된 한 쌍의 제1 및 제2LED전구(41,43)를 발광시킨다. 즉, 상기 제1 및 제2LED전구(41,43)가 발광되었을 경우에는 모터부(도 1의 13)가 구동중이라는 것을 표시하는 것이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계속적으로 크랭크샤프트(17)가 A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캠(21)의 상사점(21a)은 밸브개폐수단의 플런저(23)를 가압하고, 플런저(23)는 하강된다. 따라서, 밸브스템(27)은 개방되어 있는 밸브체(10)의 개폐구(미도시)를 폐쇄시키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31)는 PCB어셈블리(29)에 구동정지제어신호를 제공하여 모터부(13)의 구동을 정지시킨다.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체(도 1의 10)의 개폐구가 폐쇄되었을 때, 제1접점스위치(35)는 크랭크샤프트(17)의 외주에 간섭되어 접점부(37)가 접점됨으로써 이와 연결된 제1LED전구(41)를 발광시키며, 제2접점스위치(39)는 그 상부가 크랭크샤프트(17)의 홈(19) 영역에 위치되어 외주와의 간섭에 탄성력이 해제됨에 따라 접점부(37)가 단락되고, 그러므로 이와 연결된 제2LED전구(43)는 발광되지 않는다. 즉, 사용자는 제1LED전구(41)의 발광을 인식하여 밸브체(도 1의 10)의 유로가 폐쇄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게 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체(10)의 유로를 개방시키려 할 경우에는 모터부(13)에 소정의 전원을 인가하여 회전축(15)을 화살표로 도시된 A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 때, 모터부(13)는 PCB어셈블리(29)로부터 제공된 구동제어신호를 인가받게 된다. 이에 앞서, 상기 PCB어셈블리(29)는 구동제어신호를 제어부(31)로부터제공받는다. 부연설명하면, 상기 제어부(31)는 온도 측정수단(미도시)에 의해 산정된 실내의 측정온도와 기설정된 온도를 비교판단하여 측정온도가 기설정 온도 보다 낮게 판단되면 밸브체(10)의 유로를 개방시키도록 PCB어셈블리(29)에 구동제어신호를 제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모터부(13)의 회전축(15)이 A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회전축(15)에 결합된 크랭크샤프트(17) 또한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한다. 아울러, 크랭크샤프트(17)에 편심되게 결합된 캠(21)은 크랭크샤프트(17)가 회전됨에 따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된다. 이 때,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접점스위치(35,39)는 크랭크샤프트(17)의 외주에 간섭되고, 접점부(37)는 상호 접점되어 제어부(도 3의 31)로부터 인가된 소정 전압에 의해 도전되어 각각에 연결된 한 쌍의 제1 및 제2LED전구(41,43)를 발광시킨다. 즉, 상기 제1 및 제2LED전구(41,43)가 발광되었을 경우에는 모터부(도 3의 13)가 구동중이라는 것을 표시하는 것이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계속적으로 크랭크샤프트(17)가 A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캠(21)의 하사점(21b)은 밸브개폐수단의 플런저(23)에 접촉되고, 플런저(23)는 탄성스프링(25)에 탄성바이어스되어 상방으로 올라간다. 따라서, 밸브스템(27)은 폐쇄되어 있는 밸브체(10)의 개폐구(미도시)를 개방시키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31)는 PCB어셈블리(29)에 구동정지제어신호를 제공하여 모터부(13)의 구동을 정지시킨다.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체(도 3의 10)의 개폐구가 개방되었을 때,제2접점스위치(39)는 크랭크샤프트(17)의 외주에 간섭되어 접점부(37)가 접점됨으로써 이와 연결된 제2LED전구(43)를 발광시키며, 제1접점스위치(35)는 그 상부가 크랭크샤프트(17)의 홈(19) 영역에 위치되어 크랭크샤프트(17) 외주와의 간섭에 의한 스위치의 탄성력이 해제됨에 따라 접점부(37)가 단락되고, 그러므로 이와 연결된 제1LED전구(41)를 발광되지 않는다. 즉, 사용자는 제2LED전구(43)의 발광을 인식하여 밸브체(도 3의 10)의 유로가 개방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밸브개폐 표시수단은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PCB어셈블리(29)에 고정설치된 한 쌍의 지지판(50)과, 상기 지지판(50)에 마련된 힌지축(50a)에 각각 힌지결합되어 소정 탄성력에 의해 좌우 회동가능하며 몸체의 전면에 형성되어 상기 크랭크샤프트(17)의 외주에 접촉되는 제1돌출구(53)와 몸체의 후면에 형성되는 제2돌출구(54)를 가진 제1 및 제2힌지구(51,52)와, 접점 또는 단락가능한 탄성 도전체로서 상기 크랭크샤프트(17)의 길이방향과 수직을 이루도록 상기 PCB어셈블리(29)에 직립적으로 소정간격 이격되게 접지되며 상부에 양극 및 음극의 접점부(37)가 마련되어 있어 상기 제1 및 제2힌지구(51,52)의 제2돌출구(54)에 간섭됨으로써 상기 접점부(37)가 접점되는 제1 및 제2접점스위치(35,39)와, 상기 본체(도 1및 도 3의 11)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제1 및 제2접점스위치(35,39)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각각의 접점부(37)가 접점될 때 빛을 발하는 LED전구(41,43)를 구비한다.
상기 지지판(50)은 소정의 폭과 길이를 가지고 한 쌍으로 서로 마주보고 있는 판부재로서 PCB어셈블리(29)에 직립적으로 고정되고, 판상에는 면과 수직으로된 힌지축(50a)이 마련되어 있어 후술되는 제1 및 제2힌지구(51,52)가 힌지축(50a)을 중심으로 좌우회동가능하게 한다.
상기 제1 및 제2힌지구(51,52)는 각기 지지판(50)의 힌지축(50a)에 힌지결합되는 것으로, 내부에는 일단이 힌지축(50a)에 고정되는 탄성편(P)이 내장되어 있고, 상기 탄성편(P)은 후술되는 제1돌출구(53)가 크랭크샤프트(17)의 외주를 소정 탄성력으로 가압하여 홈(19)의 슬라이딩면을 따라 홈(19)의 내부영역으로 자연스럽게 수용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힌지구(51,52)의 전면에는 탄성편(P)의 탄성력으로 크랭크샤프트(17)의 외주를 가압하는 제1돌출구(53)가 돌출형성되어 있으며, 제1돌출구(53)는 회전하는 크랭크샤프트(17)의 외주를 가압하고 있다가 홈(19)의 내부영역으로 슬라이딩되어 수용된다. 아울러, 상기 제1 및 제2힌지구(51,52)의 후면에는 힌지구(51,52)의 제1돌출구(53)가 크랭크샤프트(17)의 외주를 가압하거나, 홈(19)에 수용될 때 후술되는 제1 및 제2접점스위치(35,39)가 상보적으로 간섭되어 접점부(37)를 접점 또는 단락시키기 위한 제2돌출구(54)가 형성되어 있다. 즉, 제1 및 제2힌지구(51,52) 중 어느 하나의 제1돌출구(53)가 크랭크샤프트(17)의 외주에 접촉 가압되면 후술되는 제1 및 제2접점스위치(35,39) 중 어느 하나는 제2돌출구(54)에 간섭되어 접점부(37)가 접점되며, 반면, 제1돌출구(53)가 홈(19)의 내부영역에 수용되면 제2돌출구(54)의 간섭이 해제되어 벌어지게 되고 그로 인해 접점부(37)는 서로 떨어져 단락된다.
상기 제1 및 제2접점스위치(35,39)는 탄성적으로 소정간격 벌어진 한 쌍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각의 하단은 PCB어셈블리(29)와 전기적으로 접지된다. 부연 설명하면, 상기 제1 및 제2접점스위치(35,39)는 도전성을 가진 탄성체로서 바아형상을 가지며 PCB어셈블리(29)의 양극과 음극에 각각 접지되고, 제1 및 제2힌지구(51,52)의 제2돌출구(54)에 항상 접촉된 상태를 이룬다. 한편, 제1 및 제2접점스위치(35,39)의 상단에는 상기 PCB어셈블리(29)의 양극과 음극을 접점 또는 단락시키는 접점부(37)가 서로 마주보도록 돌출형성되어 있다. 상기 접점부(37)는 제1 및 제2힌지구(51,52) 중 어느 하나의 제1돌출구(53)가 크랭크샤프트(17)의 외주에 가압접촉될 경우에는 제2돌출구(54)에 간섭되어 점점됨에 따라 폐쇄회로를 이루게 된다. 그리고, 상기 크랭크샤프트(17)가 회전되어 제1 및 제2힌지구(51,52) 중 어느 하나의 제1돌출구(53)가 홈(19)의 영역에 수용되면, 상기 제1 및 제2접점스위치(35,39) 중 어느 하나는 제2돌출구(54)에 의한 간섭이 해제되어 자체의 탄성력에 의해 벌어지게 되고 상기 접점부(37)는 단락된다.
상기 제1 및 제2LED전구(41,43)의 설명은 앞서 설명한 일 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터형 밸브구동기용 밸브개폐 표시장치의 동작 및 그에 따른 작용효과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밸브체(10)의 유로가 폐쇄되는 경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캠(21)의 상사점(21a)은 밸브개폐수단의 플런저(23)를 가압하고, 상기 플런저(23)는 하강된다. 따라서, 개폐구(미도시)는 하강된 밸브스템(27)에 의해 폐쇄된다. 이 때, 모터부(13)는 제어부(31)로부터 구동정지제어신호를 제공받아 구동이 정지된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힌지구(51)의 제1돌출구(53)는 크랭크샤프트(17)에 형성된 홈(19)에 수용된다. 따라서, 제1접점스위치(35)의 접점부(37)는 제1힌지구(51)의 제2돌출구(54)와 간섭이 이루어지지 않아 서로 단락되고, 이와 연결된 제1LED전구(41)는 발광되지 않는다. 반면, 제2접점스위치(39)의 접점부(37)는 제2힌지구(52)의 제1돌출구(53)가 계속 크랭크샤프트(17)의 외주를 가압하고 있기 때문에 제2돌출구(54)에 간섭되어 접점되고, 이와 연결된 제2LED전구(43)는 전원(도 1의 33)으로부터 인가된 소정의 전압에 의해 발광된다. 즉, 사용자는 제2LED전구(43)의 발광을 인식하여 밸브체(도 1의 10)의 유로가 폐쇄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게 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체(10)의 유로를 개방시킬 경우, 제어부(31)는 모터부(13)에 소정의 전압을 인가하여 회전축(15)을 화살표로 도시된 B방향 즉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 때, 모터부(13)는 PCB어셈블리(29)로부터 제공된 구동제어신호를 인가받게 된다. 이에 앞서, 상기 PCB어셈블리(29)는 구동제어신호를 제어부(31)로부터 제공받는다. 부연설명하면, 상기 제어부(31)는 온도 측정수단(미도시)에 의해 산정된 실내의 측정온도와 기설정된 온도를 비교판단하여 측정온도가 기설정 온도의 범위에 미달되면 밸브체(10)의 유로를 개방하도록 PCB어셈블리(29)에 구동제어신호를 제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모터부(13)의 회전축(15)이 B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회전축(15)에 결합된 크랭크샤프트(17) 또한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된다. 그리고, 크랭크샤프트(17)에 편심되게 결합된 캠(21)은 크랭크샤프트(17)가 회전됨에 따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된다.
따라서, 밸브개폐수단의 플런저(23)는 캠(21)의 접촉위치가 상사점(21a)을 벗어나 하사점(21b)에 다다르는 동안 캠(21)의 가압력이 해제되어 상승되고, 결국 밸브스템(27)은 캠(21)의 접촉위치가 하사점(21b)에 도달하면 탄성스프링(25)에 탄성바이어스되어 상승된 플런저(23)에 의해 개폐구(미도시)를 개방시킨다. 개폐구의 개방이 완료되면, 상기 제어부(31)는 PCB어셈블리(29)에 구동정지제어신호를 제공하여 모터부(13)의 구동을 정지시킨다.
이와 동시에,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캠(도 3의 21)의 하사점(도 3의 21b)이 플런저(도 3의 23)에 접촉되기 전, 제1힌지구(51)의 제1돌출구(53)는 홈(19)의 제1슬라이딩면(19a)을 따라 슬라이딩되어 홈(19)의 내부영역으로부터 이탈됨과 동시에 크랭크샤프트(17)의 외주를 가압하게 된다. 따라서, 제1 및 제2힌지구(51,52)는 각각의 제1돌출구(53)가 크랭크샤프트(17)의 외주를 가압하고 있기 때문에 크랭크샤프트(17)의 외주에 간섭되어 양방으로 후진되고, 제1 및 제2접점스위치(35,39)의 접점부(37)는 후진되는 제1 및 제2힌지구(51,52)의 제2돌출구(54)에 간섭됨에 따라 상호 접점되어 제어부(도 3의 31)로부터 인가된 소정 전압에 의해 도전되고, 각각에 연결된 한 쌍의 제1 및 제2LED전구(41,43)는 모두 발광된다. 즉, 상기 제1 및 제2LED전구(41,43)가 발광됨에 따라 사용자는 모터부(도 3의 13)가 구동중이라는 것을 인식할 수 있게 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캠(도 3의 21)의 하사점(도 3의 21b)이 플런저(도 3의 23)에 접촉되면, 제2힌지구(52)의 제1돌출구(53)는 크랭크샤프트(17)에 형성된홈(19)의 제2슬라이딩면(도 6의 19b)을 따라 슬라이딩되어 홈(19)의 내부영역에 수용된다. 즉, 상기 제2힌지구(52)는 탄성편(P)의 탄성력이 크랭크샤프트(17)의 외주 쪽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제2슬라이딩면(도 6의 19b)에 미끄러져 홈(19)의 내부영역에 수용된다. 따라서, 제2접점스위치(39)의 접점부(37)는 제2힌지구(52)의 제2돌출구(54)와 서로의 간섭이 해제되어 단락되고, 이와 연결된 제2LED전구(43)는 발광되지 않는다. 반면, 제1접점스위치(35)의 접점부(37)는 제1힌지구(51)의 제1돌출구(53)가 계속 크랭크샤프트(17)의 외주를 가압하고 있기 때문에 제2돌출구(54)에 간섭되어 접점됨으로써 이와 연결된 제1LED전구(41)는 전원(도 3의 33)으로부터 인가된 소정의 전압에 의해 발광된다. 즉, 사용자는 제1LED전구(41)의 발광을 인식하여 밸브체(도 3의 10)의 유로가 개방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밸브개폐 표시수단은 도 8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크랭크샤프트(17)에 삽입되어 미끄럼 회전가능하며 원주를 따라 소정길이로 관통된 안내홀(62)이 형성되어 있고 핀(64)이 상기 안내홀(62)을 통해 상기 크랭크샤프트(17)에 결합되어 상기 안내홀(62)의 길이만큼 회전이 제한되는 회전체(61)와, 상기 PCB어셈블리(29)에 고정설치된 한 쌍의 지지판(50)과, 상기 지지판(50)에 마련된 힌지축(50a)에 각각 힌지결합되어 소정 탄성력에 의해 좌우 회동가능하며 몸체의 전면에 형성되어 상기 회전체(61)의 외주에 접촉되는 제1돌출구(53)와 몸체의 후면에 형성되는 제2돌출구(54)를 가진 제1 및 제2힌지구(51,52)와, 접점 또는 단락가능한 탄성 도전체로서 상기크랭크샤프트(17)의 길이방향과 수직을 이루도록 상기 PCB어셈블리(29)에 직립적으로 소정간격 이격되게 접지되며 상부에 양극 및 음극의 접점부(37)가 마련되어 있어 상기 제1 및 제2힌지구(51,52)의 제2돌출구(54)에 간섭됨으로써 상기 접점부(37)가 접점되는 제1 및 제2접점스위치(35,39)와, 상기 본체(도 1 및 도 3의 11)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제1 및 제2접점스위치(35,39)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각각의 접점부(37)가 접점될 때 빛을 발하는 LED전구(41,43)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밸브개폐 표시수단에 있어서, 앞서 설명한 다른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고, 특징부만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회전체(61)는 크랭크샤프트(17)에 삽입되어 미끄럼 회전이 가능한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 외주에는 제1 및 제2힌지구(51,52)의 제1돌출구(53)가 슬라이딩되어 수용되는 홈(63)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홈(63)은 제1 및 제2힌지구(51,52) 중 어느 하나의 제1돌출구(53)가 슬라이딩되는 제1 및 제2슬라이딩면(63a,63b)을 가진다. 아울러, 상기 회전체(61)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소정길이를 가진 안내홀(62)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회전체(61)는 안내홀(62)을 통해 크랭크샤프트(17)에 결합된 핀(64)에 걸려 크팽크샤프트(17)에 지지되며, 제1 및 제2힌지구(51,52) 중 어느 하나의 제1돌출구(53)가 홈(63)의 내부영역에 수용될 때, 상기 안내홀(62)의 길이만큼 크랭크샤프트(17)의 외주에 미끄러져 상기 크랭크샤프트(17)의 회전속도 보다 상대적으로 빠르게 순간회전한다. 따라서, 상기 제1 및 제2힌지구(51,52) 중 어느 하나의 제2돌출구(54)가 빠른 속도로 홈(63)에 수용될 수 있게 한다. 여기서, 참조부호 62a와 62b는 크랭크샤프트(17)가회전될 때 핀(64)이 걸리는 안내홀(62)의 제1 및 제2위치이다.
그러므로, 상술한 바와 같은 회전체(61)가 채용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밸브개폐 표시장치는 우선,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체(도 1의 10)의 유로가 폐쇄되는 경우, 제1힌지구(51)의 제1돌출구(53)는 회전체(61)에 형성된 홈(63)의 내부영역에 수용된다. 이 때, 상기 핀(64)은 안내홀(62)의 제2위치(62b)에 접촉되어 있다. 따라서, 제1접점스위치(35)의 접점부(37)는 제1힌지구(51)의 제2돌출구(54)와 서로 간섭이 이루어지지 않아 단락되고, 이와 연결된 제1LED전구(41)는 발광되지 않는다. 반면, 제2접점스위치(39)의 접점부(37)는 제2힌지구(52)의 제1돌출구(53)가 계속 회전체(61)의 외주를 가압하고 있기 때문에 제2돌출구(54)에 간섭되어 접점됨으로써 이와 연결된 제2LED전구(43)는 전원(도 1의 33)으로부터 인가된 소정의 전압에 의해 발광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체(도 3의 10)의 유로가 개방되는 경우, 캠(도 3의 21)의 하사점(도 3의 21b)이 플런저(도 3의 23)에 접촉되기 전, 상기 회전체(61)는 핀(64)이 안내홀(62)의 제1위치(62a)에 접촉될 때까지 정지해 있다가 크랭크샤프트(17)가 회전되어 핀(64)이 제1위치(62a)에 걸리게 되면 회전체(61) 또한 같은 방향으로 회전한다. 따라서, 제1힌지구(51)의 제1돌출구(53)는 홈(63)의 제1슬라이딩면(63a)을 따라 슬라이딩되어 홈(63)의 내부영역으로부터 이탈됨과 동시에 회전체(61)의 외주를 가압하게 된다. 따라서, 제1 및 제2힌지구(51,52)는 각각의 제1돌출구(53)가 회전체(61)의 외주를 가압하고 있기 때문에 회전체(61)의 외주에 간섭되어 양방으로 후진되고, 제1 및 제2접점스위치(35,39)의 접점부(37)는 후진되는 제1 및 제2힌지구(51,52)의 제2돌출구(54)에 간섭됨에 따라 상호 접점되어 제어부(도 3의 31)로부터 인가된 소정 전압에 의해 도전되고, 각각에 연결된 한 쌍의 제1 및 제2LED전구(41,43)는 모두 발광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캠(도 3의 21)의 하사점(도 3의 21b)이 플런저(도 3의 23)에 접촉되면, 제2힌지구(52)의 제1돌출구(53)는 회전체(61)에 형성된 홈(63)의 제2슬라이딩면(도 10의 63b)을 따라 슬라이딩되어 홈(63)의 내부영역에 수용된다. 즉, 상기 제2힌지구(52)는 탄성편(P)의 탄성력이 회전체(61)의 외주 쪽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제2슬라이딩면(도 10의 63b)에 미끄러져 홈(63)의 내부영역에 수용된다. 부연 설명하면, 제2힌지구(52)의 제1돌출구(53)는 홈(63)의 제2슬라이딩면(도 10의 63b)에 슬라이딩될 때, 상기 제2슬라이딩면(도 10의 63b)을 가압하기 때문에 핀(64)에 걸려 크랭크샤프트(17)와 동일한 회전속도 예컨대 10rpm으로 회전하던 회전체(61)는 크랭크샤프트(17)의 외주에 미끄러져 안내홀(62)의 길이 만큼 빠른속도 예컨대 15rpm으로 B방향을 따라 순간회전되고, 제1돌출구(53)는 홈(63)의 내부영역에 순간적으로 수용된다. 이 때, 상기 핀(64)은 안내홀(62)의 제2위치(62b)에 접촉되어 회전체(61)의 회전을 제한하고, 상기 제어부(도 3의 31)는 PCB어셈블리(29)에 구동정지제어신호를 제공하여 모터부(도 3의 13)의 구동을 정지시킨다. 따라서, 제2접점스위치(39)의 접점부(37)는 제2힌지구(52)의 제2돌출구(54)와 서로의 간섭이 해제되어 단락되고, 이와 연결된 제2LED전구(43)는 발광되지 않는다. 반면, 제1접점스위치(35)의 접점부(37)는 제1힌지구(51)의 제1돌출구(53)가 계속 회전체(61)의 외주를 가압하고 있기 때문에 제2돌출구(54)에간섭되어 접점됨으로써 이와 연결된 제1LED전구(41)는 전원(도 3의 33)으로부터 인가된 소정의 전압에 의해 발광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어느 장소에서나 그리고, 어두운 곳에서도 밸브체(10)의 개폐여부를 인식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며,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사실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모터형 밸브구동기용 밸브개폐 표시장치는 모터의 크랭크샤프트에 편심되게 설치된 캠의 회전위치에 따른 밸브의 개폐여부를 크랭크 샤프트가 회전됨에 따라 접점스위치의 접점부가 접점 또는 단락되도록 하고 이것을 LED전구로 발광표시함으로써 전후좌우 어디서나 그리고, 어두운 곳에서도 밸브의 개폐여부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는 점에 그 장점이 있다.

Claims (5)

  1. 유체가 통과하는 밸브체(10)와, 상기 밸브체(10)와 상보적으로 결합되는 본체(11)와, 상기 본체(11) 내에 설치되어 소정 전압의 전원(33)에 의해 구동되는 모터부(13)와, 상기 모터부(13)의 회전축(15)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크랭크샤프트(17)와, 상기 크랭크샤프트(17)에 편심되게 결합되며 상사점(21a) 및 하사점(21b)을 가지는 캠(21)과, 상기 캠(21)과 접촉설치되어 상기 캠(21)의 회전위치에 따라 상하직선운동하여 상기 밸브체(10)의 유로를 개폐시키는 밸브개폐수단과, 상기 모터부(13)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모터부(13)에 구동/정지신호를 제공하는 PCB어셈블리(29)와, 상기 PCB어셈블리(29)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모터부(13)에 제공되는 구동/정지신호를 제어하는 제어부(31)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모터형 밸브구동기용 밸브개폐 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크랭크샤프트(17)의 회전에 의한 캠(21)의 회전위치 변화에 따라 상기 밸브개폐수단이 상하직선운동하여 상기 밸브체(10)의 유로를 개폐시킬 때의 상태를 전기적으로 발광되게 표시하는 밸브개폐 표시수단;을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형 밸브구동기용 밸브개폐 표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개폐 표시수단은,
    접점 또는 단락가능한 탄성 도전체로서 상기 크랭크샤프트(17)의 길이방향과 수직을 이루도록 상기 PCB어셈블리(29)에 직립적으로 소정간격 이격되게 접지되며 상부에 양극 및 음극의 접점부(37)가 마련되어 있어 상기 크랭크샤프트(17)의 외주에 간섭됨으로써 상기 접점부(37)가 접점되는 한 쌍의 제1접점스위치(35)와, 상기 제1접점스위치(35)가 마련된 상기 크랭크샤프트(17)의 반대쪽 외주에 간섭되는 한 쌍의 제2접점스위치(39)와, 상기 본체(11)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제1 및 제2접점스위치(35,39)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각각의 접점부(37)가 접점될 때 빛을 발하는 LED전구(41,43)가 마련되되, 상기 크랭크샤프트(17)의 외주에 홈(19)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크랭크샤프트(17)가 회전되어 상기 캠(21)의 상사점(21a) 및 하사점(21b)이 상기 밸브개폐수단에 접촉되어 상기 밸브개폐수단을 상하직선운동시킴으로써 상기 밸브체(10)의 유로를 개폐시킬 때 상기 제1 및 제2접점스위치(35,39) 중 어느 하나의 접점부(37)가 상기 홈(19)의 내부 영역에 위치되어 단락됨과 동시에 나머지 하나의 접점부(37)는 접점됨에 따라 상기 LED전구(41,43) 중 어느 하나를 발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형 밸브구동기용 밸브개폐 표시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개폐 표시수단은,
    상기 PCB어셈블리(29)에 고정설치된 한 쌍의 지지판(50)과, 상기 지지판(50)에 형성된 힌지축(50a)에 각각 힌지결합되어 소정 탄성력에 의해 좌우 회동가능하며 몸체의 전면에 형성되어 상기 크랭크샤프트(17)의 외주에 접촉되는 제1돌출구(53)와 몸체의 후면에 형성되는 제2돌출구(54)를 가진 제1 및 제2힌지구(51,52)와, 접점 또는 단락가능한 탄성 도전체로서 상기 크랭크샤프트(17)의 길이방향과 수직을 이루도록 상기 PCB어셈블리(29)에 직립적으로 소정간격 이격되게 접지되며 상부에 양극 및 음극의 접점부(37)가 마련되어 있어 상기 제1 및 제2힌지구(51,52)의 제2돌출구(54)에 간섭됨으로써 상기접점부(37)가 접점되는 제1 및 제2접점스위치(35,39)와, 상기 본체(11)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제1 및 제2접점스위치(35,39)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각각의 접점부(37)가 접점될 때 빛을 발하는 LED전구(41,43)가 마련되되, 상기 크랭크샤프트(17)의 외주에 홈(19)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크랭크샤프트(17)가 회전되어 상기 캠(21)의 상사점(21a) 및 하사점(21b)이 상기 밸브개폐수단에 접촉되어 상기 밸브개폐수단을 상하직선운동시킴으로써 상기 밸브체(10)의 유로를 개폐시킬 때 상기 제1 및 제2힌지구(51,52) 중 어느 하나의 제1돌출구(53)가 상기 홈(19)의 내부 영역에 수용되어 제1 및 제2접점스위치(35,39) 중 어느 하나의 접점부(37)는 단락되고 나머지 하나의 접점부(37)는 제2돌출구(54)에 간섭되어 접점됨으로써 상기 LED전구(41,43) 중 어느 하나를 발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형 밸브구동기용 밸브개폐 표시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개폐 표시수단은,
    상기 크랭크샤프트(17)에 삽입되어 미끄럼 회전가능하며 원주를 따라 소정길이로 관통된 안내홀(62)이 형성되어 있고 핀(64)이 상기 안내홀(62)을 통해 상기 크랭크샤프트(17)에 결합되어 상기 안내홀(62)의 길이만큼 회전이 제한되는 회전체(61)와, 상기 PCB어셈블리(29)에 고정설치된 한 쌍의 지지판(50)과, 상기 지지판(50)에 형성된 힌지축(50a)에 각각 힌지결합되어 소정 탄성력에 의해 좌우 회동가능하며 몸체의 전면에 형성되어 상기 회전체(61)의 외주에 접촉되는제1돌출구(53)와 몸체의 후면에 형성되는 제2돌출구(54)를 가진 제1 및 제2힌지구(51,52)와, 접점 또는 단락가능한 탄성 도전체로서 상기 크랭크샤프트(17)의 길이방향과 수직을 이루도록 상기 PCB어셈블리(29)에 직립적으로 소정간격 이격되게 접지되며 상부에 양극 및 음극의 접점부(37)가 마련되어 있어 상기 제1 및 제2힌지구(51,52)의 제2돌출구(54)에 간섭됨으로써 상기 접점부(37)가 접점되는 제1 및 제2접점스위치(35,39)와, 상기 본체(11)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제1 및 제2접점스위치(35,39)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각각의 접점부(37)가 접점될 때 빛을 발하는 LED전구(41,43)가 마련되되, 상기 회전체(61)의 외주에 홈(63)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크랭크샤프트(17)가 회전되어 상기 캠(21)의 상사점(21a) 및 하사점(21b)이 상기 밸브개폐수단에 접촉되어 상기 밸브개폐수단을 상하직선운동시킴으로써 상기 밸브체(10)의 유로를 개폐시킬 때 상기 핀(64)에 걸려 크랭크샤프트(17)와 함께 회전하는 회전체(61)의 홈(63)에 상기 제1 및 제2힌지구(51,52) 중 어느 하나의 제1돌출구(53)가 수용되어 제1 및 제2접점스위치(35,39) 중 어느 하나의 접점부(37)는 단락되고 나머지 하나의 접점부(37)는 제2돌출구(54)에 간섭되어 접점됨으로써 상기 LED전구(41,43) 중 어느 하나를 발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형 밸브구동기용 밸브개폐 표시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61)는, 상기 제1 및 제2힌지구(51,52) 중 어느 하나의 제1돌출구(53)가 홈(63)의 내부영역에 수용될 때, 상기 안내홀(62)의 길이만큼 크랭크샤프트(17)의 외주에 미끄러져 상기 크랭크샤프트(17)의 회전속도 보다 상대적으로 빠르게 순간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형 밸브구동기용 밸브개폐 표시장치.
KR1020000017952A 2000-04-06 2000-04-06 모터형 밸브구동기용 밸브개폐 표시장치 KR1003363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7952A KR100336397B1 (ko) 2000-04-06 2000-04-06 모터형 밸브구동기용 밸브개폐 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7952A KR100336397B1 (ko) 2000-04-06 2000-04-06 모터형 밸브구동기용 밸브개폐 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4341A KR20010094341A (ko) 2001-10-31
KR100336397B1 true KR100336397B1 (ko) 2002-05-10

Family

ID=196621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17952A KR100336397B1 (ko) 2000-04-06 2000-04-06 모터형 밸브구동기용 밸브개폐 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3639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219073B (zh) * 2017-08-07 2023-07-11 成都秦川物联网科技股份有限公司 阀到位检测装置与阀到位检测系统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46972A (en) * 1981-03-04 1982-09-10 Hitachi Ltd Disc opening detecting mechanism of testable check valve
KR950006293A (ko) * 1993-08-28 1995-03-20 문정환 자동압력 제어밸브 개폐 측정장치
KR950027943U (ko) * 1994-03-29 1995-10-18 이종호 개폐표시 램프가 부착된 수동식 밸브
KR960011211A (ko) * 1994-09-21 1996-04-20 마리안네 찔라기· 리하르트 푸러 다이어프램 밸브의 밸브 리프트를 감시하는 장치
KR970016251A (ko) * 1997-01-10 1997-04-28 김일규 밸브개도율 표시기능을 갖는 전자제어 밸브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KR20000018621A (ko) * 1998-09-03 2000-04-06 윤종용 가스 유량조절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46972A (en) * 1981-03-04 1982-09-10 Hitachi Ltd Disc opening detecting mechanism of testable check valve
KR950006293A (ko) * 1993-08-28 1995-03-20 문정환 자동압력 제어밸브 개폐 측정장치
KR950027943U (ko) * 1994-03-29 1995-10-18 이종호 개폐표시 램프가 부착된 수동식 밸브
KR960011211A (ko) * 1994-09-21 1996-04-20 마리안네 찔라기· 리하르트 푸러 다이어프램 밸브의 밸브 리프트를 감시하는 장치
KR970016251A (ko) * 1997-01-10 1997-04-28 김일규 밸브개도율 표시기능을 갖는 전자제어 밸브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KR20000018621A (ko) * 1998-09-03 2000-04-06 윤종용 가스 유량조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4341A (ko) 2001-10-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4160C (zh) 位置指示装置
RU2008126076A (ru) Всасывающая щетка для использования в пылесосе и способ регулирования высоты
CA2176845A1 (en) Switch for Vehicle Power Window
KR100336397B1 (ko) 모터형 밸브구동기용 밸브개폐 표시장치
US20070029175A1 (en) High-frequency heating device
US5510583A (en) Assembly for sequential switching
BRPI0721092B1 (pt) Chave elétrica para o acoplamento elétrico de um condutor elétrico a um trilho de corrente e instalação de ligação
CN107610974B (zh) 一种风压开关
US20070034489A1 (en) Operation mechanism for electric apparatus
KR101843015B1 (ko) 전장용 로터리 스위치
KR20100028777A (ko) 자동차용 파워 윈도우 스위치
KR100832491B1 (ko) 냉장고용 도어 스위치
CN220474502U (zh) 一种电磁开关、可调时控制器及多士炉
JP2007315349A (ja) モニタリングスイッチ機構付可変ベーンポンプ
CN220963120U (en) LED switch
CN215806655U (zh) 一种高精度电动阀执行器
CN215869050U (zh) 一种低压断路器及其微动模块
CN219658598U (zh) 一种开关
CN215265977U (zh) 手动操作装置
CN215686721U (zh) 烹饪电器的门体组件和具有其的烹饪电器
KR100407183B1 (ko) 세탁기용 안전장치
JPH0635329Y2 (ja) リミツトスイツチ
JP3121177U (ja) ドアの接点式給電装置
KR100597677B1 (ko) 냉장고
KR100237698B1 (ko) 냉장고용 램프 스위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41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