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35636B1 - 발광소자를 구비한 통신장치 - Google Patents

발광소자를 구비한 통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35636B1
KR100335636B1 KR1019990044358A KR19990044358A KR100335636B1 KR 100335636 B1 KR100335636 B1 KR 100335636B1 KR 1019990044358 A KR1019990044358 A KR 1019990044358A KR 19990044358 A KR19990044358 A KR 19990044358A KR 100335636 B1 KR100335636 B1 KR 1003356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light emitting
communication device
communication cable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443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34999A (ko
Inventor
후지모리주니치
이나가키요시히로
구리바야시히로타카
안도다케시
Original Assignee
우에시마 세이스케
야마하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에시마 세이스케, 야마하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우에시마 세이스케
Publication of KR200000349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349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56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563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0Current supply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Maintenance And Management Of Digital Transmiss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Cable Transmission Systems, Equalization Of Radio And Reduction Of Echo (AREA)

Abstract

신호라인 및 전원라인을 가지는 통신케이블을 접속하기 위한 신호단자 및 전원단자를 포함한 통신케이블 단자, 상기 통신케이블 단자 내의 신호단자를 통해서 외부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통신 인터페이스, 및 상기 통신케이블 단자의 근처에 배치되어, 상기 통신케이블 단자 내의 전원단자에 선택적으로 접속되며, 상기 전원단자를 통해서 상기 통신케이블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동안 통신상태, 자신이 속한 통신장치의 상태, 경보상태 및 자신이 속한 장치의 접속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할 수 있는 1개 또는 다수개의 발광소자를 가지는 통신장치.

Description

발광소자를 구비한 통신장치{COMMUNICATIONS APPARATUS WITH LIGHT EMITTING ELEMENTS}
본 발명은 통신장치에 관한 것이며, 특히 발광소자를 갖는 통신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신 개인용 컴퓨터에서는 IEEE1394 규격 또는 USB(universal serial bus)등의 디지털 직렬통신 인터페이스가 탑재되는 경향이 있다.
도 6은, IEEE 1394 규격의 통신 네트워크의 구성예를 도시한 것이다. 4개의 노드 ND1~ND4가 각각 통신 인터페이스를 갖는 통신장치이며, 통신케이블(CBL)에 의해 직렬접속된다.
통상의 통신용 케이블은 신호(데이터)라인을 갖는다. IEEE 1394 및 USB용의 통신케이블은, 신호 라인 외에, 전원 라인도 가지는 것이 특징이다. 통신케이블에 전원 라인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모든 노드 ND1~ND4의 전원 스위치가 온으로 되어 있지 않아도, 통신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노드 ND1~ND4는 통신케이블 내의 전원라인으로부터 전원 공급을 받아서, 통신을 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노드 ND1, ND3, ND4의 전원이 온되고, 노드 ND2의 전원이 오프되어 있어도, 노드 ND1과 노드 ND4 와의 사이의 통신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노드 ND2는 통신케이블내의 전원 라인으로부터 전원공급을 받아서 중계기로서 기능한다. 즉, 노드 ND2는 노드 ND1과 노드 ND3와의 사이에서 신호를 중계한다.
통신용 모뎀은, 통신중인 것을 표시하기 위해서 발광 다이오드(LED)를 가진다. 또한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및 플로피 디스크 드라이브는 기록매체에 엑세스 중인 것을 표시하기 위해 발광 다이오드를 갖는다. 통신상태를 표시하기 위해 발광 다이오드를 통신장치에 설치하면, 사용자가 통신상태를 알 수 있는 데 편리하다.
통신용, 모뎀이나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등은, 그 전원을 끊으면, 발광 다이오드에 의한 표시를 행하는 것이 불가능하게 되 버린다. 통신용 모뎀이나, 하드디스크 등은 전원이 오프된 때에는 통신을 행하지 않으므로, 그 통신상태를 표시하지 않더라도, 불합리하지 않다.
한편, IEEE 1394 등에서는 예를 들면, 노드 ND2의 전원이 오프로 되어도, 노드 ND2가 중계기로서 기능한다. 이 때문에 노드 ND2의 전원이 오프이더라도, 노드 ND2의 통신상태를 알고자 하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노드 ND2의 전원이 오프되어 있을 때에는 노드 N2의 발광 다이오드를 구동하기 곤란하다. 따라서, 노드 ND2의 전원이 오프로 되어도, 노드 ND2의 통신상태를 알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자기의 전원이 오프되어 있더라도, 통신상태를 표시하는 것이 가능한 통신장비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2는 통신장치의 패널에 대한 정면도
도 3은 발광 다이오드 LED1 및 LED3의 제어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4는 발광 다이오드 LED2의 제어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5는 발광 다이오드 LED4의 제어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그리고
도 6은 통신망의 구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전원단자 2: 접지단자
3, 4 : 제1신호단자 5, 6: 제2신호단자
7: 통신케이블 단자(communication cable receptacle)
8: 패널 9: 근처영역
16: 신호라인 17: 전원라인
ND: 노드 CBL: 통신케이블
LED: 발광 다이오드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측면에 따르면, 신호라인 및 전원라인을 가지는 통신케이블을 접속하기 위한 신호단자 및 전원단자를 포함한 통신케이블 단자, 상기 통신케이블 단자 내의 신호단자를 통해서 외부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통신 인터페이스, 및 상기 통신케이블 단자 내의 전원단자에 선택적으로 접속되며, 그 전원단자를 통해서 상기 통신케이블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발광할 수 있는 1개 또는 다수개의 발광소자를 가지는 통신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2측면에 따르면, 신호라인 및 전원라인을 가지는 통신케이블을 접속하기 위한 신호단자 및 전원단자를 포함한 통신케이블 단자, 상기 통신케이블 단자 내의 신호단자를 통해서 외부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통신 인터페이스, 및 상기 통신케이블 단자의 근처에 배치되어, 상기 통신케이블 단자 내의 전원단자에 선택적으로 접속되며, 상기 전원단자를 통해서 상기 통신케이블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동안 통신상태, 자신이 속한 통신장치의 상태, 경보상태 및 자신이 속한 장치의 접속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할 수 있는 1개 또는 다수개의 발광소자를 가지는 통신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발광소자는 통신케이블 단자 내의 전원단자를 매개로 외부로부터 전원의 공급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통신장치의 전원이 오프되더라도 발광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통신장치로부터 전원이 공급될 수 없을 지라도, 예를 들면, 통신상태를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사용자는 항상 통신상태를 편리하게 확인할 수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조 및 작동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장치 ND(이하 노드(node)라고 함)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노드(ND)는 도 6에 나타낸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각 노드 ND1 내지 ND4에 대응한다.
노드(ND)는 통신 인터페이스 장치(11)와 처리장치(12)를 갖는다. 통신 인터페이스 장치(11)는 다른 통신장치(노드)와의 사이에서 통신을 행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이며, 예를 들면, IEEE 1394 또는 USB의 통신 인터페이스이다.
처리장치(12)는 디지털 신호처리부이며, 예를 들면, 악음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음원부나 화상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화상생성부이다. 처리장치(12)는 통신 인터페이스 장치(11)와의 사이에서 신호의 입출력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노드(ND)에는 통신케이블(CBL)이 접속된다. 통신케이블(CBL)은 신호를 통신하기 위한 신호라인(16) 및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라인(17)을 가진다.
노드(ND)는 전원 스위치(15)를 매개로 교류 100V 전원(또는 배터리전원: 14) 에 접속된다. 전원 스위치(15)를 온하면, 노드(ND) 내의 처리장치(12)는 교류 100V 전원(또는 배터리 전원: 14)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다.
통신 인터페이스 장치(11)는 통신케이블(CBL)에 접속되어, 전원 스위치(15)가 오프이더라도, 통신케이블(CBL) 내의 전원라인(17)로부터 전원공급을 받아서 작동한다. 노드(ND)의 전원 스위치(15)를 오프로 하면, 처리장치(12)는 작동하지 않지만, 통신 인터페이스 장치(11)는 작동 가능하다.
통신 인터페이스 장치(11)는 통신케이블(CBL) 내의 전원라인(17)에 의해 전원을 공급받기 때문에, 도 6에 도시한 모든 노드 ND1 내지 ND4의 전원 스위치가 온으로 되어있지 않아도 통신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노드 ND1, ND3, ND4의 전원이 온이고, 노드 ND2의 전원이 오프이더라도, 노드 ND1과 노드 ND4와의 사이에서 통신을 행할 수 있다.
이때, 노드ND2는 통신케이블(CBL) 내의 전원라인(17)으로부터 전원공급을 받아 중계기로서 기능한다. 즉, 노드 ND2는 노드 ND1과 노드 ND3의 사이에서 신호를 중계한다. 노드 ND2는 통신케이블(CBL)의 전원라인(17)을 매개로 노드 ND1, ND3 및/또는 ND4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다.
또한, 전원(14)은 전원 스위치(15)를 매개로 통신케이블(CBL) 내의 전원 라인(17)에 접속될 수 있으며, 전원라인(17)을 매개로 다른 노드(ND)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노드(ND)는 통신케이블(CBL)의 삽입구의 근방에 예를 들면 4개의 발광소자 LED1, LED2, LED3 및 LED4를 가진다. 발광소자 LED1 내지 LED4는 예를 들면, 발광 다이오드이다. 이하, 발광소자 LED1 내지 LED4가 발광 다이오드 인 경우를 예로서 설명한다.
통신 인터페이스 장치(11)는 제어부(13)를 갖는다. 4개의 발광 다이오드 LED1 내지 LED4는 제어부(13)에 의해 각각 통신케이블(CBL) 내의 전원라인(17)에 선택적으로 접속되며, 그 전원라인(17)로부터 전원공급을 받아서 발광한다. 발광 다이오드 LED1 내지 LED4는 노드(ND)의 전원 스위치(15)가 오프되어도 통신케이블(CBL)을 매개로 전원을 공급받아서 발광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발광소자 LED1 내지 LED4는 자신의 노드(ND)의 전원(14)에 선택적으로 접속되고, 전원(14)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서 발광할 수도 있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노드(ND)의 우측면도이며, 케이블(CBL)을 접속하기 위해 사용되는 패널(8)을 나타낸다.
패널(8)은 노드(ND)의 측면일 필요는 없고, 앞면이나 뒷면이어도 좋다.패널(8)에는 통신케이블(CBL: 도 1)을 접속하기 위한 통신케이블 단자(7)와 4개의 발광 다이오드 LED1 내지 LED4가 설치된다.
통신케이블 단자(7)는 예를 들면, IEEE 1394용 케이블 단자이며, 전원단자(1), 접지단자(2), 제1신호단자(3, 4), 제2신호단자(5, 6)을 갖는다. 전원단자(1)는 예를 들면, +3.3V 또는 +5V이다. 제1신호단자 및 제2신호단자(3 내지 6)는 데이터 신호 및 스트로브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단자이다.
통신케이블 단자(7)에는 도 1의 통신케이블(CBL)이 접속된다. 통신케이블(CBL)은 통신케이블 단자(7) 내의 6개의 단자(1 내지 6)에 대응하여서, 6개의 라인을 갖는다.
IEEE 1394의 통신케이블은 전술한 바와 같이, 2개의 전원라인(전원단자 1 및 2)와 4개의 통신라인(신호단자 3 내지 6)을 포함하여 6개의 라인을 갖는다. 한편 USB의 통신케이블은 2개의 전원라인(전원단자)과 2개의 신호라인(신호단자)를 포함하는 4개의 라인을 갖는다.
발광소자 LED1 내지 LED4는, 통신케이블 단자(7)의 근방에 설치되며, 바람직하기로는, 복수의 통신케이블 단자가 있는 경우에, 다른 통신케이블단자에 비해서 당해 통신케이블 단자(7)의 가깝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4개의 발광 다이오드 LED1 내지 LED4 중 적어도 통신케이블 단자(7)에 가장 가까운 발광 다이오드 LED1이 영역 9 내에 설치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영역(9)에 대해서 설명한다. 통신케이블 단자(7)는 폭이 L2이며, 높이가 L1이라고 하자. 영역(9)은 통신케이블 단자(7)를 중심으로 하여, 그 좌우양측 및 상하양측으로 각각 통신케이블 단자(7)의 1개분 크기만큼의 넓이를 갖는 사각형 영역이며, 3 ×L1 ×3 ×L2의 면적을 갖는다.
다음으로, 발광 다이오드 LED1 내지 LED4에 대해서 설명한다. 발광 다이오드 LED1 내지 LED4는 각각 통신케이블 단자(7) 내의 전원단자(1) 및 접지단자(2)에 선택적으로 접속된다. 각 발광소자 LED1 내지 LED4는 단자(1 및 2)에 접속되는 것에 의해 발광한다.
이하, 발광 다이오드 LED1 내지 LED4의 각각 또는 모두를 발광 다이오드(LED)라고 한다.
각 발광 다이오드(LED)는 적색 발광 다이오드와 녹색 발광 다이오드의 2개의 발광다이오드를 포함하여, 4상태를 나타내는 것이 가능하다. 즉, 4 상태를 표시하는 것이 가능한 발광 다이오드(LED)가 4개 설치되어 있다. 1개의 다이오드에 의한 4개의 상태표시를 설명한다.
제1상태는, 적색 및 녹색 발광 다이오드를 소등한 상태이며, 발광 다이오드(LED)가 소등된 상태이다.
제2상태는 적색 발광 다이오드를 점등하고, 녹색 발광 다이오드를 소등한 상태이며, 발광 다이오드(LED)가 적색으로 발광하는 상태이다.
제3상태는 적색 발광 다이오드를 소등하고, 녹색 발광 다이오드를 점등한 상태이며, 발광 다이오드(LED)가 녹색으로 발광하는 상태이다.
제4상태는 적색 및 녹색 발광 다이오드를 점등한 상태이며, 발광 다이오드(LED)가 황색으로 발광하는 상태이다.
각각의 발광 다이오드(LED)는 노드(ND)의 통신 상태 등에 대응하여, 전술한 4가지 상태를 나타낸다. 다음으로 각 발광 다이오드 LED1 내지 LED4와 통신상태 등과의 관계를 설명한다.
(1) 발광 다이오드 LED1
발광 다이오드의 상태 통신상태
송신 중
수신 중
버스 리셋 중
소등 송수신 중도 아니고,버스 리셋 중도 아님
노드(ND)가 송신 중인 경우에는, 발광 다이오드 LED1가 녹색으로 발광한다. 노드(ND)가 수신 중인 경우에는 발광 다이오드 LED1가 적색으로 발광한다. 노드(ND)를 포함한 통신 네트워크가 버스리셋 중인 경우에는 발광 다이오드 LED1가 황색으로 발광한다.
버스 리셋(bus reset)은, IEEE 1394 규격에서 정해진 리셋 상태이다. 예를 들면 통신 네트워크에 새로운 노드가 추가되도록 접속을 행하거나, 또는 이미 접속되어 있는 노드를 삭제하기 위해서 어느 노드(ND)에 대한 통신케이블(CBL)을 접속을 해제하면 버스 리셋 상태로 된다. 버스 리셋은 새로운 통신 네트워크를 구축하기 위한 초기화에 해당된다.
(2) 발광 다이오드 LED2
발광 다이오드의 상태 노드의 전원 리셋 기능
오프
소등 오프 오프
발광 다이오드 LED2는 노드(ND)의 상태를 나타낸다. 노드(ND)의 상태는 예를 들면, 노드(ND)의 전원 온/오프 및 중계(repeat) 기능의 온/오프이다.
도 1에서, 노드(ND)에 교류 100V 전원(또는 배터리 전원: 14)이 접속되며, 전원 스위치(15)가 온으로 되면, 노드(ND)의 전원이 온으로 되고, 발광 다이오드 LED2가 황색으로 발광한다. 한편, 노드(ND)에 교류 100V 전원 및 배터리 전원(14) 중 어느 것에도 접속되어 있지 않거나 또는 전원 스위치(15)가 오프로 되어 있는 경우에는 노드(ND)의 전원이 오프로 되며, 중계기능에 따라서 발광 다이오드 LED2가 녹색으로 발광하거나 또는 소등된다.
중계기능의 온/오프는 노드(ND)의 중계기로서의 기능에 대한 온/오프이다. 예를 들면, 도 6에 도시한 노드 ND2의 중계기능이 온 상태이면 노드ND2가 노드 ND1과 ND3의 사이에서 데이터 통신을 중계할 수 있다.
도 1의 통신 인터페이스 장치(11)에 전원이 공급되면, 통신 인터페이스 장치(11)는 중계기능을 부여할 수 있다. 전원 스위치가 온 되어 자신의 노드(ND)로부터 전력이 공급되면, 중계기능이 항상 온되고 발광 다이오드 LED2는 황색으로 발광한다.
노드(ND)의 전원 스위치가 오프되더라도, 전원 스위치가 온된 다른 노드(ND)로부터 통신케이블(CBL: 도 1)을 통해 전원이 공급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자신의 노드(ND)의 전원이 오프되고, 중계기능이 온되어, 발광 다이오드 LED2가 녹색으로 발광한다.
통신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모든 노드(ND)의 전원이 오프인 경우에는, 모든노드(ND)는 통신케이블(CBL)를 통해 전원 공급을 받는 것이 불가능하다. 노드(ND)의 전원 스위치가 온되면, 전원(14)로부터 통신케이블(CBL)의 전원라인(17: 통신케이블 단자(7)의 공급단자(1, 2))으로 전력이 공급된다. 반대로, 그 노드의 전원 스위치가 오프되면, 전원(14)로부터 통신케이블(CBL)의 전원라인(17: 통신케이블 단자(7)의 공급단자(1, 2))으로 전력이 공급되지 못한다. 이 경우, 중계기능은 오프되고 발광 다이오드 LED2는 소등된다.
(3) 발광 다이오드 LED3
발광 다이오드 LED3은 노드(ND)에 대해서 통신케이블(CBL)의 접속/분리를 금지하는 금지상태를 표시한다. 발광 다이오드 LED3가 점등되어 있는 상태에는 통신케이블(CBL)을 접속/분리 하지 않도록 사용자에게 경보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노드(ND)가 송신 중 또는 수신 중인 경우에, 발광 다이오드 LED3를 점등하여 통신케이블(CBL)을 접속하거나 또는 분리하지 않도록 그 금지상태를 사용자에게 알린다.
(4) 발광 다이오드 LED4
발광 다이오드 LED4는 통신 네트워크 중에서 자신의 노드(ND)에 대한 접속상태를 나타낸다. 예를 들면, 자신의 노드(ND)가 통신 네트워크에 리프되어 있는 상태(leaf state)일 경우에는, 발광 다이오드 LED4를 점등한다. 리프상태는 네트워크 중의 말단의 노드(ND)를 의미한다. 예를 들면 도 6에 도시한 통신 네트워크에서는 노드 ND1 및 노드 ND4가 리프 상태이다. 자신의 노드(ND)에 1개의 통신케이블(CBL)이 접속되어 있으면, 그 노드(ND)는 리프상태에 있고, 자신의 노드(ND)에 2개 이상의 통신케이블(CBL)이 접속되어 있으면 그 노드는 리프상태에 있지 않는다고 판단할 수 있다.
자신의 노드(ND)가 리프 상태에 있지 않더라도, 발광 다이오드 LED3는 온 될 수 있다. 노드(ND)가 송신 중 또는 수신 중인 때에는 그 노드(ND)의 발광 다이오드 LED3를 점등시켜서 그 노드(ND)에 대해서 통신케이블(CBL)의 접속/분리 금지상태를 사용자에게 알리도록 한다. 노드(ND)가 리프상태가 아닌 때에는 중계기능을 부여해야 하므로 전술한 바와 같이 통신케이블(CBL)을 접속/분리 금지상태로 해야 할 필요가 있다.
도 3은, 발광 다이오드 LED1 및 LED3를 제어하는 처리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이 흐름도에서의 처리는 자신의 노드(ND)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때마다 도 1에 도시된 제어부(13)에 의해 수행하도록 한다.
단계 SA1에서는, 송신 또는 수신에 따라 발광 다이오드 LED1을 녹색 또는 적색으로 점등한다. 데이터 송신일 때에는, 발광 다이오드 LED1을 녹색으로 점등하며, 데이터 수신일 때에는 발광 다이오드 LED1을 적색으로 점등한다.
단계 SA2에서는, 자신의 노드(ND)가 리프상태인가 아닌가를 검사하고, 리프상태가 아닌 경우에는, 자신의 노드(ND)가 중계기능을 부여해야 하므로, 단계 SA3로 진행시키고, 발광 다이오드 LED3를 점등한다. 발광 다이오드 LED3의 점등은 그 노드(ND)에 대해서 통신케이블(CBL)을 접속하거나 분리하지 않도록 금지상태를 사용자에게 알리는 것을 의미한다. 그후 단계 SA4로 진행한다.
자신의 노드(ND)가 리프상태인 때에는, 자신의 노드(ND)가 중계기능을 부여할 필요가 없으므로, 발광 다이오드 LED3을 점등시키지 않고(또는 발광 다이오드 LED를 소등시키지 않고 단계 SA4로 바로 진행한다.
단계 SA4에서는, 데이터의 송신처리 또는 수신처리를 행하고, 그후 이 흐름도의 처리를 종료한다.
그 후, 타이머에 의해 정기적으로 데이터의 송수신을 감시한다. 데이터의 송수신이 종료한 것을 검출하면, 일정시간(예를 들면, 1 내지 2초)만큼 발광 다이오드 LED1 및 LED3의 점등상태를 유지한 후 소등한다.
도 4는 발광 다이오드 LED2의 제어처리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 흐름도의 처리는 노드(ND)의 전원이 온 또는 오프로 변경된 때, 또는 통신케이블(CBL)이 노드(ND)에 접속되거나 노드(ND)로부터 분리된 때, 도 1의 제어부(13)에 의해 수행된다.
단계 SB1에서는 자기의 노드(ND)의 전원이 온인가 여부를 검사한다. 전원이 온인 때에는 YES 화살표를 따라 단계 SB5로 진행하고, 전원이 오프인 때에는 NO 화살표를 따라 단계 SB2로 진행한다.
단계 SB2에서는, 통신케이블(CBL)로부터 자신의 노드(ND)로 전원이 공급되고 있는가 여부를 검사한다. 전원이 공급되고 있을 때에는 YES 화살표를 따라서 단계 SB4로 진행하고, 전원이 공급되고 있지 않을 때에는 NO 화살표를 따라서 단계 SB3으로 진행한다.
단계 SB3에서는, 자신의 노드(ND)의 전원이 오프이며, 또한 통신케이블(CBL)을 통해서 전원이 공급되고 있지 않다는 사실(즉, 중계기능이 오프인 것)을 사용자에게 알리도록 하기 위해 발광 다이오드 LED2를 소등한다. 또한 이 경우, 발광 다이오드 LED2는 어디에서도 전원이 공급되고 있지 않으므로, 제어에 의하지 않고 소등된다. 이 처리는 노드에서 적극적인 제어처리에 의해 수행되는 것은 아니지만, 도 4에서의 논리의 흐름으로서 흐름도에 나타낸 것이다.
단계 SB4에서는, 자신의 노드(ND)의 전원이 오프이며 또한 통신케이블(CBL)을 통해 전원이 공급되고 있다는 사실(즉, 중계기능이 온인 것)을 사용자에게 알려주기 위해서 발광 다이오드 LED2를 녹색으로 점등한다.
단계 SB5에서는, 자신의 노드(ND)의 전원이 온이며 또한 중계기능이 온인 사실을 사용자에게 알려주도록 발광 다이오드 LED2를 황색으로 점등한다. 이상으로, 이 흐름도의 처리를 종료한다.
도 5는 발광 다이오드 LED4의 제어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며, 도 1의 제어부(13)에 의해 수행되는 것이다.
단계 SC1에서는, 통신 네트워크 상에서, 노드(ND)의 추가 또는 제거가 있었는가의 여부를 검출한다. 즉, 어느 노드에 통신케이블(CBL)이 접속되었거나 또는 어느 노드로부터 통신케이블(CBL)이 분리되었는가를 검출한다. 이러한 노드의 추가 또는 제거가 검출되면, 이하의 처리과정을 수행한다.
단계 SC2에서, 발광 다이오드 LED1을 황색으로 점등하여 통신 네트워크가 버스 리셋 상태임을 사용자에게 알려준다.
단계 SC3에서, 발광 다이오드 LED3를 점등하여 자신의 노드(ND)에 대해서 통신케이블(CBL)에 대한 접속/분리가 금지된 상태임을 사용자에게 알려준다.
단계 SC4에서는, 통신 네트워크의 버스 리셋 처리(초기화)를 수행한다. 구체적으로는 각 노드로 식별변호를 새롭게 부여하고 새로운 루트 노드(root node)를 결정한다. 이 처리 후에 버스 리셋 상태를 해제한다.
단계 SC5에서, 발광 다이오드 LED1을 소등하여 통신 네트워크가 버스 리셋 중이 아니고, 또한 자신의 노드(ND)가 송수신 중이 아님을 사용자에게 알려준다.
단계 SC6에서는, 자신의 노드(ND)가 리프상태인가 여부를 검사한다. 리프상태가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NO 화살표를 따라 단계 SC9로 진행하며, 발광 다이오드 LED4를 소등하여 자신의 노드(ND)가 리프상태가 아님을 사용자에게 알린다. 그 후 이 흐름도의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단계 SC6에서 자신의 노드(ND)가 리프상태인 것을 판단되면, YES 화살표를 따라서 단계 SC7로 진행하고, 발광 다이오드 LED를 점등하여 자신의 노드(ND)가 리프상태라는 사실을 사용자에게 알려준다. 그 후 단계 SC8로 진행한다.
단계 SC8에서는, 자신의 노드(ND)가 리프상태이어서 중계기능을 부과할 필요가 없으므로, 발광 다이오드 LED3를 소등하고, 자신의 노드(ND)에 대해서 통신케이블(CBL)을 접속하거나 분리하는 것이 가능함을 알리도록 한다. 이상으로, 이 흐름도의 처리를 종료한다.
전술한 도 3 내지 도 5에 도시한 발광 다이오드 LED1 내지 LED4의 제어처리는 전술한 조건하에서 수행된는 경우에 한정되지 않으며, 그 외의 다른 조건에서 수행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각 발광 다이오드 LED1 내지 LED4의 제어처리를 소정의 사전 설정된 조건에 따라 적절히 조합하여 수행되도록 하여도 좋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서, 발광 다이오드 LED1은 송수신 및 버스 리셋 등의 통신상태를 나타낸다. 발광 다이오드 LED2는 자신의 노드(ND)에 대한 전원 온/오프 또는 중개기능의 온/오프 등 자신의 노드(ND)에 대한 상태를 표시한다. 발광 다이오드 LED3은 통신케이블의 접속/분리가 금지되는 상태임을 경보한다. 발광 다이오드 LED4는 통신 네트워크 중에서 자신의 노드(ND)에 대해서 리프상태 등의 접속상태를 나타낸다.
발광 다이오드 LED1 내지 LED4는 각각 통신케이블(CBL) 내의 전원라인에 선택적으로 접속된다. 가령 자신의 노드(ND)의 전원이 오프이더라도, 발광 다이오드 LED1 내지 LED4는 통신케이블(CBL)을 통해 다른 노드(ND)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발광 다이오드 LED1 내지 LED4는 자신의 노드(ND)의 전원이 오프이더라도 통신상태, 자신의 노드(ND)의 상태, 경보상태 및 네트워크 내에서의 자신의 노드에 대한 접속상태를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통신용 모뎀이나 하드디스크 등은, 그 전원을 끊으면 발광 다이오드에 의한 표시를 행하는 것이 불가능하게 되지만, 본 실시예에 의한 노드(통신장치)(ND)는 그 전원을 끊더라도, 발광 다이오드 LED1 내지 LED4에 의한 표시를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IEEE 1394에 따르면, 노드(ND)의 전원을 끊더라도 그 노드(ND)는 중계기로서 기능할 수 있다. 발광 다이오드 LED1 내지 LED4는 자신의 노드(ND)의 전원이 끊어져 있을 때에도, 버스 리셋상태, 중계기능상태, 경보상태 및 리프상태를 표시할 필요가 있고 또한 이것이 가능하다.
발광 다이오드 LED1 내지 LED4가 통신케이블 단자(7)의 근처에 설치되면, 그 통신케이블 단자(7)에 대한 통신상태 등을 용이하게 알려줄 수 있다.
노드(ND)에 복수의 통신케이블 단자를 설치하고, 각 통신케이블 단자의 근처에 발광 다이오드를 설치하여서, 각 통신케이블 단자에 대해서 통신상태 등을 알려줄 수 있다.
발광 다이오드를 통신케이블 근처에 설치하면, 통신케이블을 접속하거나 분리할 때, 발광 다이오드의 발광상태를 용이하게 볼 수 있다. 특히, 통신케이블을 접속하거나 분리할 때 금지상태를 알려주는 발광 다이오드는 통신케이블 단자의 근처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여러 가지 색의 발광 다이오드에 의해 여러 가지 상태를 표시하는 경우를 예로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동일한 색의 다수의 발광 다이오드를 점등된 수를 다르게 하는 것에 의해 여러 가지 상태를 표시하도록 하여도 좋다. 발광 다이오드를 대신에 백열전등, 방전등 등의 다른 발광소자를 사용하여도 좋다.
통신 인터페이스 장치(11)(도 1)는 디지털 직렬통신에 한정되지 않고, 병렬통신이나 아날로그 통신을 행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이어도 좋다.
이상의 실시예에 따라서 본 발명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이 분야의 통상의 전문가에 의해 다양한 형태의 변경, 개량및 조합등이 가능함은 자명한 것이다.

Claims (29)

  1. 신호라인 및 전원라인을 가지는 통신케이블을 접속하기 위한 신호단자 및 전원단자를 포함한 통신케이블 단자,
    상기 통신케이블 단자 내의 신호단자를 통해서 외부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통신 인터페이스, 및
    상기 통신케이블 단자 내의 전원단자에 선택적으로 접속되며, 그 전원단자를 통해서 상기 통신케이블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발광할 수 있는 1개 또는 다수개의 발광소자를 가지는 통신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케이블의 전원라인과 독립적으로 자신의 통신장치 내의 발광소자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통신케이블 단자의 전원단자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독립된 전원장치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소자는 상기 통신케이블로부터 선택적으로 전원을 공급받거나, 또는 상기 독립된 전원장치로부터 선택적으로 전원을 공급받아서 발광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소자는 통신상태, 자신의 통신장치의 상태, 경보상태 및 자신의 통신장치에 대한 접속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소자는 상기 통신케이블 단자의 근방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소자는 상기 통신케이블 단자의 근방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소자는 통신상태를 표시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소자는 송신상태 및/또는 수신상태를 표시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소자는 버스 리셋 상태를 표시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소자는 자신의 장치에 대한 통신상태를 표시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장치.
  1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소자는 상기 독립된 전원장치의 온-상태 또는 오프-상태를 표시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장치.
  12.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소자는 상기 독립된 전원장치가 상기 통신케이블 단자의 전원단자로 전원을 공급하고 있는 지에 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장치.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소자는 자신의 장치가 중계기능을 제공하는 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소자는 장치의 경보상태를 표시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소자는 상기 통신케이블의 접속/분리가 금지되는 상태를 표시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장치.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소자는 자신의 통신장치에 대한 접속상태를 표시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소자는 자신의 통신장치에 대한 접속상태가 리프상태인 것을 표시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장치.
  1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또는 다수개의 발광소자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통신케이블 단자를 중심으로 해서 그 좌우 및 상하 방향으로 각각 상기 통신케이블 단자의 1개분 크기만큼 넓이의 사각형 영역 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장치.
  19. 제5항에 있어서, 또 하나의 통신케이블 단자를 표함하며, 상기 발광소자는 상기 또 하나의 통신케이블 단자보다 상기 통신케이블 단자에 더욱 가깝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장치.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소자는 발광 다이오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장치.
  2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소자는 다수의 색을 발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장치.
  2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는 디지털 직렬 통신 인터페이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는 IEEE 1394 또는 USB의 통신 인터페이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장치.
  24.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는 IEEE 1394의 통신 인터페이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장치.
  25.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는 USB의 통신 인터페이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장치.
  2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케이블 단자는 2개의 전원단자 및 4개의 신호단자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장치.
  2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케이블 단자는 2개의 전원단자 및 2개의 신호단자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장치.
  2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소자는 다수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장치.
  2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독립된 전원장치는 상기 통신케이블 단자로 전원을 공급하고 있지 않더라도, 상기 발광소자는 상기 통신케이블로부터 선택적으로 전원을 공급받아서 발광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장치.
KR1019990044358A 1998-10-13 1999-10-13 발광소자를 구비한 통신장치 KR10033563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9104198A JP3277901B2 (ja) 1998-10-13 1998-10-13 通信装置
JP98-291041 1998-10-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4999A KR20000034999A (ko) 2000-06-26
KR100335636B1 true KR100335636B1 (ko) 2002-05-08

Family

ID=177636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4358A KR100335636B1 (ko) 1998-10-13 1999-10-13 발광소자를 구비한 통신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6574741B1 (ko)
EP (1) EP0994601B1 (ko)
JP (1) JP3277901B2 (ko)
KR (1) KR100335636B1 (ko)
CN (1) CN1181622C (ko)
DE (1) DE69928891T2 (ko)
SG (1) SG77716A1 (ko)
TW (1) TW44448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80510B1 (en) 1998-07-28 2002-11-12 Serconet Ltd. Local area network of serial intelligent cells
US6956826B1 (en) 1999-07-07 2005-10-18 Serconet Ltd. Local area network for distributing data communication, sensing and control signals
US6549616B1 (en) 2000-03-20 2003-04-15 Serconet Ltd. Telephone outlet for implementing a local area network over telephone lines and a local area network using such outlets
US6961303B1 (en) 2000-09-21 2005-11-01 Serconet Ltd. Telephone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over local area network wiring
US7000147B2 (en) * 2002-02-06 2006-02-14 Tekchain Development, Inc. Rapid self-error-check circuit of a computer power supply
JP4761423B2 (ja) * 2002-08-05 2011-08-31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記録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
IL152824A (en) 2002-11-13 2012-05-31 Mosaid Technologies Inc A socket that can be connected to and the network that uses it
JP2005254793A (ja) * 2003-07-17 2005-09-22 Seiko Epson Corp 出力装置及び無線通信器
IL159838A0 (en) 2004-01-13 2004-06-20 Yehuda Binder Information device
US7509508B2 (en) * 2005-08-10 2009-03-24 Topower Computer Industrial Co., Ltd. Signal transmission apparatus for external electronic devices
JP4903491B2 (ja) * 2006-05-24 2012-03-28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ネットワーク装置及びネットワーク装置電源制御方法
TWI562673B (en) 2014-04-02 2016-12-11 Hon Hai Prec Ind Co Ltd Light circuit and electronic device
JP2016092629A (ja) * 2014-11-06 2016-05-23 アズビル株式会社 通信状態表示方法および通信状態表示装置
JP7064608B2 (ja) * 2018-09-27 2022-05-10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電動車両
CN113964600A (zh) * 2021-12-01 2022-01-21 耀芯电子(浙江)有限公司 一种连接器及连接线缆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67945A (ja) * 1992-11-30 1994-06-14 Yokogawa Electric Corp 多点入出力装置の表示装置
KR970047405U (ko) * 1995-12-29 1997-07-31 케이블커넥터 진단장치
JPH1153068A (ja) * 1997-08-07 1999-02-26 Mitsubishi Electric Corp 電力制御システム及び情報通知システム
KR19990041793A (ko) * 1997-11-24 1999-06-15 윤종용 케이블 모뎀의 led 표시 장치
KR19990027122U (ko) * 1997-12-23 1999-07-15 이구택 케이블 체크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530262A1 (de) 1985-08-22 1987-02-26 Siemens Ag Schaltungsanordnung zur pruefung eines passiven busnetzsystems (csma/cd-zugriffsverfahren)
JPH0851447A (ja) 1994-08-05 1996-02-20 Sony Corp 通信システム
US5598418A (en) * 1994-11-10 1997-01-28 Advanced Micro Devices Inc. Repeater status LED array interface
US6292161B1 (en) * 1995-05-09 2001-09-18 Level One Communications, Inc. Multiple display blink scheme for integrated circuit with application sense
US5799196A (en) * 1996-07-02 1998-08-25 Gateway 2000, Inc. Method and apparatus of providing power management using a self-powered universal serial bus (USB) device
JP3101206B2 (ja) 1996-07-19 2000-10-23 松下電工株式会社 ネットワーク集線装置
US5945631A (en) * 1996-09-16 1999-08-31 Sony Corporation IEEE 1394 active wall disconnect and aircraft qualified cable
TW316020U (en) * 1996-10-18 1997-09-11 Accton Technology Corp Concentrator with voice function
JPH10134892A (ja) 1996-10-30 1998-05-22 Sony Corp 電源ケーブル装置
US5990577A (en) * 1996-11-01 1999-11-23 Allied Telesis K. K. Hub for local area network with backup power supply system
JPH10224384A (ja) 1997-02-06 1998-08-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ディジタルバス故障検出装置
JPH10233051A (ja) 1997-02-20 1998-09-02 Yamaha Corp 外部記憶装置のアクセス状態表示装置
JP3710016B2 (ja) 1997-03-18 2005-10-26 パイオニア株式会社 データ転送装置
DE29712043U1 (de) 1997-04-11 1998-08-06 Escha Bauelemente Gmbh Busverteiler
DE19734376A1 (de) 1997-08-08 1999-02-11 Abb Patent Gmbh Programmierbare Schnittstelleneinrichtung für die Gebäudesystemtechnik
JPH1169392A (ja) * 1997-08-15 1999-03-09 Nec Corp 交換機加入者線路を利用した局給電方式
US6061742A (en) * 1997-10-10 2000-05-09 Nortel Networks Corporation Computer network adaptor
JP2000099217A (ja) * 1998-09-21 2000-04-07 Sony Corp ケーブル装置
JP4372244B2 (ja) * 1998-10-26 2009-11-25 富士通マイクロ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インタフェース回路の電源制御方法、インタフェース回路、及び、データ転送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67945A (ja) * 1992-11-30 1994-06-14 Yokogawa Electric Corp 多点入出力装置の表示装置
KR970047405U (ko) * 1995-12-29 1997-07-31 케이블커넥터 진단장치
JPH1153068A (ja) * 1997-08-07 1999-02-26 Mitsubishi Electric Corp 電力制御システム及び情報通知システム
KR19990041793A (ko) * 1997-11-24 1999-06-15 윤종용 케이블 모뎀의 led 표시 장치
KR19990027122U (ko) * 1997-12-23 1999-07-15 이구택 케이블 체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SG77716A1 (en) 2001-01-16
EP0994601A3 (en) 2003-10-22
CN1181622C (zh) 2004-12-22
US6574741B1 (en) 2003-06-03
KR20000034999A (ko) 2000-06-26
EP0994601B1 (en) 2005-12-14
TW444481B (en) 2001-07-01
JP3277901B2 (ja) 2002-04-22
CN1251481A (zh) 2000-04-26
EP0994601A2 (en) 2000-04-19
JP2000124925A (ja) 2000-04-28
DE69928891D1 (de) 2006-01-19
DE69928891T2 (de) 2006-08-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35636B1 (ko) 발광소자를 구비한 통신장치
US6934788B2 (en) Port expansion peripheral module system
US9483928B2 (en) Input/output circuits and devices having physically corresponding status indicators
US20140156879A1 (en) Active cable with indicators showing operating modes and linking status
CN110718847B (zh) 具有实时监测光学模块异常功能的多模块光纤激光器
JP2012522433A (ja) Rfidチップ技術を使用した相互接続構成用物理層管理
EP2526737A1 (en) Lighting device comprising a plurality of light emitting tiles
JP2013157194A (ja) Lanコネクタ
US6704832B1 (en) Peripheral bus jumper block for a configurable peripheral bus interconnect system
US5644730A (en) Dual mode binary sensor for bus operation
CN115002991A (zh) 照明设备、系统以及连接方法
CN1228641A (zh) Rs-485多点连接的扇出扩展电路
JP2016515288A (ja) 2つのインターフェイスを備える発光装置
CN102308488B (zh) 照明装置
EP0618702A1 (en) Multiple transmission apparatus
WO1986004471A1 (en) Portable testing device for monitoring a data communication system
CN109955239B (zh) 一种分布式控制系统和机器人设备
KR100294432B1 (ko)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의 데이터통신 장치와 그 방법
KR102612712B1 (ko) 1선로 통신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CN210120294U (zh) 一种端子台
CN211319376U (zh) 一种流水线的智能远程启停控制装置
US20030155811A1 (en) Remote input/output device
JPH0476654A (ja) 通信装置
CN117768322A (zh) 网络配置切换装置、板卡和交换机
KR0164202B1 (ko) 다종 접점으로 연결된 부하 제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318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