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35414B1 - 기지국의응답코드데이터를고지하는무선통신단말기및그에따른응답코드데이터고지방법 - Google Patents

기지국의응답코드데이터를고지하는무선통신단말기및그에따른응답코드데이터고지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35414B1
KR100335414B1 KR1019980022747A KR19980022747A KR100335414B1 KR 100335414 B1 KR100335414 B1 KR 100335414B1 KR 1019980022747 A KR1019980022747 A KR 1019980022747A KR 19980022747 A KR19980022747 A KR 19980022747A KR 100335414 B1 KR100335414 B1 KR 1003354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ne
code data
response code
call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227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02146A (ko
Inventor
김규웅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800227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35414B1/ko
Publication of KR200000021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21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54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541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04B7/2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 H04M1/7243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for text messaging, e.g. short messaging services [SMS] or e-m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4Arrangements for automatic redial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지국의 응답코드데이터를 고지하는 무선통신단말기 및 그에 따른 응답코드데이터 고지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무선통신단말기는 전화번호를 입력하기 위한 버튼뿐만 아니라, 특정톤발생모드 및 단문메세지 표시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제1사용자 설정키와, 재다이얼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제2사용자 설정키를 구비한 키패드; 소정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대방 단말기와의 상태에 상응하는 톤을 발생하는 톤발생부; 소정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톤발생부에서 발생된 톤에 상응하는 단문메시지를 표시하는 LCD표시부; 소정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톤발생부에서 발생된 톤을 특정톤으로 출력하는 부저; 상기 키패드에 의해 설정된 모드를 저장하고, 통화 중 톤의 발생횟수와 재다어얼 시도횟수에 대한 설정값 및 그 처리프로그램이 저장되는 메모리; 및 기지국에서 송신된 응답코드데이터를 분석하여, 그에 상응하는 톤을 발생하도록 상기 톤발생부를 제어하고,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모드에 따라 상기 톤발생부에서 발생된 톤에 상응하는 특정톤을 발생하도록 상기 부저를 제어하고, 상기 톤에 상응하는 단문메시지를 출력하도록 상기 LCD부를 제어하며, 통화 중 톤의 발생횟수 및 재다이얼횟수를 제어하는 CPU를 포함함으로써, 전화통화개시신호 발신 후, 상대방 단말기와의 연결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상기 무선통신단말기의 스피커에 사용자의 귀를 계속적으로 대지 않고도 상대방 단말기와의 상태를 쉽게 확인할 수 있으며, 재다이얼 기능을 구비함으로써, 상대방 단말기와의 연결상태가 통화중일 때, 상기 할당된 채널을 끊고 특정시간 후에 자동적으로 재다이얼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Description

기지국의 응답코드데이터를 고지하는 무선통신단말기 및 그에 따른 응답코드데이터 고지방법
본 발명은 무선통신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무선통신단말기의 전화통화개시신호에 대한 기지국의 응답코드데이터를 수신하여, 이에 대응되는 메시지에 따라, 통화 중 톤 또는 연결중 톤 등과 같은 알림신호를 스피커 뿐만 아니라, 특정톤 및 단문메시지로 부저 및 표시부에도 출력하는 무선통신단말기 및그에 따른 기지국의 응답신호를 고지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무선통신단말기에서 전화통화를 원하는 상대방의 전화번호를 입력한 후, 전송키를 누르면, 전화통화개시신호(Call Origination Message)가 해당 기지국에 전송된다. 해당 기지국에서는 상대방 단말기와 통신채널이 설정되면, 상대방전화와의 연결상태 즉, 통화 중 또는 연결중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 메시지(information message)를 상기 무선통신단말기에 전송한다. 이 때, 상기 무선통신단말기에서는 상기 메시지에 포함된 정보를 분석한 후, 그에 상응하는 톤, 예를 들어, 통화 중 톤 또는 연결중 톤 등과 같은 톤을 발생하여 상기 무선통신단말기의 스피커를 통해 사용자에게 알린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대방 단말기와의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상기 무선통신단말기의 스피커에 사용자의 귀를 계속적으로 대고 있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여기서 상대방 단말기는 무선 통신단말기 및 유선단말기를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사용자가 전화통화개시신호 발신 후, 상대방 단말기와의 연결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상기 무선통신단말기의 스피커에 사용자의 귀를 계속적으로 대지 않고도 상대방 단말기와의 상태를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별도의 부저를 통해 특정톤을 발생시키고, 이를 LCD 표시부에 단문메세지로 표시하며, 상기 상대방 단말기와의 연결상태가 통화중일 때, 상기 할당된 채널을 끊고 특정시간 후에 자동적으로 재다이얼할 수 있는 무선통신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하며, 그에 따른 응답코드데이터 고지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단말기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의 응답코드데이터의 고지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응답코드데이터의 분석과정에서 분석된 응답코드데이터가 연결 중을 나타내는 코드데이터인 경우, 그 처리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응답코드데이터 분석과정에서 분석된 응답코드데이터가 통화 중을 나타내는 코드인 경우, 그 처리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단말기는
전화번호를 입력하기 위한 버튼뿐만 아니라, 특정톤발생모드 및 단문메세지 표시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제1사용자 설정키와, 재다이얼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제2사용자 설정키를 구비한 키패드; 소정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대방 단말기와의 상태에 상응하는 톤을 발생하는 톤발생부; 소정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톤발생부에서 발생된 톤에 상응하는 단문메시지를 표시하는 LCD표시부; 소정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톤발생부에서 발생된 톤을 특정톤으로 출력하는 부저; 상기 키패드에 의해 설정된 모드를 저장하고, 통화 중 톤의 발생횟수와 재다어얼 시도횟수에 대한 설정값 및 그 처리프로그램이 저장되는 메모리; 및 기지국에서 송신된 응답코드데이터를 분석하여, 그에 상응하는 톤을 발생하도록 상기 톤발생부를 제어하고,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모드에 따라 상기 톤발생부에서 발생된 톤에 상응하는 특정톤을 발생하도록 상기 부저를 제어하고, 상기 톤에 상응하는 단문메시지를 출력하도록 상기 LCD부를 제어하며, 통화 중 톤의 발생횟수 및 재다이얼횟수를 제어하는 CPU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특정톤발생모드 및 단문메세지 표시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제1사용자 설정키와, 재다이얼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제2사용자 설정키와, 상기 특정톤을 발생하기 위한 부저 및 상기 특정톤에 상응하는 단문메시지를 표시하기 위한 LCD부를 구비한 무선통신단말기의 통화개시데이터에 대한 기지국의 응답코드데이터를 사용자에게 고지하는 방법은
특정톤발생모드 및 단문메시지 표시모드를 설정하는 과정; 무선통신단말기에서 발신된 전화통화개시신호에 대한 기지국의 응답코드데이터를 분석하는 과정; 및 상기 분석된 결과를 상기 설정과정에 따라, 특정톤을 발생하도록 상기 부저를 제어하고, 상기 단문메시지를 출력하도록 상기 LCD부를 제어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분석과정에 분석된 응답코드데이터가 연결중 코드데이터이면, 그에 상응하는 링백톤을 발생시켜, 상기 부저로 출력시키거나, 상기 링백톤에 상응하는 단문메시지를 상기 LCD부에 출력하는 과정; 및 상기 링백톤이 일정시간 발생된 후, 기지국으로부터 톤오프데이터가 수신되면 상기 링백톤의 발생을 중지시키고, 통화개시모드에 대한 특정톤을 상기 부저를 통해 출력시키거나, 그에 상응하는 단문메세지를 상기 LCD부를 통해 출력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분석과정에 분석된 응답코드데이터가 통화 중 코드데이터이면, 그에 상응하는 통화 중 톤을 상기 부저를 통해 출력시키거나, 상기 통화 중 톤에 상응하는 단문메시지를 상기 LCD부를 통해 출력하는 과정; 상기 통화 중 톤이 일정시간 발생된 후, 기지국으로부터 톤오프데이터가 수신되면 상기 통화 중 톤의 발생을 중지시켜, 통화개시 톤을 상기 부저를 통해 출력시키거나, 그에 상응하는 단문메세지를 상기 LCD부를 통해 출력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부저를 통해 출력되는 톤과 상기 LCD부를 통해 출력되는 단문메시지는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동시 및 개별 출력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톤오프 코드데이터가 수신되지 않으면,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었는지를 판단하여,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되지 않으면 통화중 톤을 상기 부저를 통해 출력시키거나. 상기 LCD부를 통해 단문메시지로 출력시키는 과정; 상기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하여도 톤오프 코드데이터가 수신되지 않을 경우, 통화중 톤의 발생을 중지시키고, 이를 기지국에 알려서 할당된 채널을 해제시키는 과정; 다이얼링된 전화번호를 저장시킨 후, 소정시간이 경과한 후, 재다이얼이 설정되었는지를 판단하는 과정; 및 재다이얼이 설정되지 않았으면 통화를 종료시키고, 재다이얼이 설정되었으면 재다이얼을 통해 통화개시신호를 기지국에 재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재다이얼링 횟수는 기설정된 횟수만큼만 수행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단말기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무선통신단말기는 RF송수신부(100), 아날로그 신호처리부(102), 변/복조부(104), 제1메모리(106), 제2메모리(108), LCD표시부(110), 키패드(112), 부저(114), 코덱부(116), 스피커(118), 톤발생부(120), 마이크(122), 및 CPU(124)로 이루어진다.
RF(radio frequency)송수신부(100)는 안테나로부터 RF신호를 수신하거나, 그 반대의 동작을 수행한다.
아날로그 신호처리부(102)는 RF송수신부(100)로부터 출력된 RF신호를 사용주파수대역(기저대역)으로 낮추고 이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하거나, 그 반대의 동작을수행한다..
변/복조부(104)는 아날로그 신호처리부(102)에서 출력된 디지털신호를 특정메시지나 음성데이터로 복조하거나, 그 반대로 송신을 위해 특정메시지나 음성데이터를 변조한다.
제1메모리(106)는 응용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으로서, 플래쉬 메모리와 램으로 구성된다.
제2메모리(108)는 키패드(112)에 의해 설정된 모드를 저장하고, 상대방 단말기가 통화중일 때, 그것을 처리하기 위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한다. 즉, 통화 중 톤을 몇회동안 출력할 것인지와, 재다이얼을 몇회동안 실시할 것인지에 대한 사용자 설정값이 저장된다.
키패드(112)는 전화번호를 입력하기 위한 버튼뿐만 아니라, 부저 및 LCD부의 특정톤발생모드 및 단문메세지 표시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제1사용자 설정키와, 재다이얼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제2사용자 설정키를 구비한다.
톤발생부(120)는 기지국에서 출력되는 응답코드데이터에 따라 상대방 단말기와의 상태에 상응하는 톤을 스피커(118)출력한다.
LCD표시부(110)는 기지국에서 송신된 응답코드데이터에 따라, 상대방 단말기와의 상태에 상응하는 단문메시지를 표시한다. 예를 들어, 상기 응답코드데이터가 연결중 메시지이면 "연결중"라는 단문메시지를 표시하고, 상기 응답코드데이터가 통화 중 메시지이면 "통화 중"이라는 단문메시지를 표시하고, 톤오프메시지이면, "연결완료"라는 단문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부저(114)는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된 응답코드데이터의 분석결과에 따라. 톤 발생부(120)에서 발생된 연결중 톤 또는 통화 중 톤에 해당되는 특정톤을 출력한다. 여기서 특정톤의 예로서, 상대방 단말기가 통화중이면, "뚜 뚜 뚜.."와 같은 톤을 발생시키고, 상대방 단말기와 연결중이면, 상기 통화 중 톤보다 주기가 긴 " 뚜우 뚜우 뚜우.."와 같은 톤을 발생시키며, 상대방 단말기와 연결완료이면 "딩동댕"과 같은 차임벨 톤을 발생시킬 수 있다. 부저(114)는 스피커에 출력되는 음량보다 큰 음량을 발생시킬 수 있는 것이며, 차임벨 또는 멜로디와 같은 음을 출력할 수 있다.
코덱부(116)는 변복조부(104)에서 출력된 무선신호를 D/A변환하여 음성신호로 복원하여 스피커(118)로 출력하거나, 마이크(122)에서 출력된 아날로그신호를 디지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CPU(124)는 제1메모리(106)에 저장된 응용프로그램과 제2메모리(108)에 저장된 사용자 설정모드에 의해 동작되어, 기지국에서 송신된 응답코드데이터를 분석하여, 그에 상응하는 톤을 발생하도록 상기 톤발생부(120)를 제어하고, 상기 톤발생부(120)에서 발생된 톤에 상응하는 특정톤을 발생하도록 상기 부저(114)를 제어하고, 특정톤에 상응하는 단문메시지를 표시하도록 상기 LCD부(110)를 제어하며, 재다이얼모드를 수행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의 응답코드데이터의 고지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즉 본 발명에서는 기지국의 응답코드데이터를 스피커(118)뿐만 아니라, 부저(114)를 통해 특정톤을, LCD부(110)를 통해 단문메시지로도 출력할 수있다. 도 2를 참조하여 도 1의 개략적인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캐패드(12)의 제1사용자 설정키 및 제2사용자 설정키를 이용하여, 부저 및 LCD부의 특정톤발생모드 및 단문메세지 표시모드를 설정하고(200 단계), 숫자버튼을 이용하여 상대방의 전화번호를 입력한 후, 전송키(SEND)키를 눌러 통화개시신호를 기지국으로 송신한다(201 단계). 여기서, 특정톤발생모드 및 단문메세지 표시모드를 설정함에 있어서, 상기 모드를 동시에 수행하도록 설정하거나, 상기 모드를 개별적으로 수행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무선통신단말기로부터 전화통화 개시신호를 수신한 기지국에서는 상대방 전화번호와의 통화채널을 할당하고, 할당된 통화채널의 상태 즉, 상기 전화통화개시신호에 대응되는 응답코드데이터를 상기 무선통신단말기로 전송한다.
따라서, 무선통신단말기의 CPU(124)에서는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된 상기 응답코드데이터를 수신하여(202 단계), 응답코드데이터를 분석한다(204 단계). 여기서 응답코드데이터는 상대방 단말기와의 상태에 따라, "연결중"을 나타내는 코드데이터나, "통화 중"을 나타내는 코드데이터나, 상대방 단말기와 연결되었으므로, 현재 발생중인 톤의 발생을 중지하라는 "톤오프 코드데이터"를 포함하는데, 이러한 응답코드데이터는 각각에 대해 구별되는 코드가 부여되어 있다. 예를 들어, 연결중을 나타내는 코드데이터는 001, 통화중을 나타내는 코드데이터는 002, 톤오프 코드데이터는 003과 같이 구별된다.
이와 같은 각각의 코드데이터를 분석한 CPU(124)에서는 그 결과에 대응되는 톤을 발생하도록 톤발생부(120)를 제어한다(206 단계).
톤발생부(120)에서 발생된 톤은 CPU(124)의 제어에 의해 스피커(118)로 출력시키거나, 부저(114)를 통해 특정톤으로 출력되거나. LCD부(110)를 통해 단문메시지로 표시시킨다(208 단계). 여기서, 부저(114)나 LCD부(110)로의 출력여부는 상기 200단계에서 사용자의 설정모드에 따라 결정된다.
이후, 기지국에서 톤오프 코드데이터가 수신되었는지를 판단하여(210 단계), 톤오프 코드데이터가 수신되면, CPU(124)의 제어에 의해, 현재 톤의 발생을 중지시키고, 통화모드에 관련된 톤을 발생시켜, 스피커(118)로 출력시키거나, 부저(114)를 통해 특정톤으로 출력되거나. LCD부(110)를 통해 단문메시지로 표시시킨 후(212 단계), 통화모드로 진입한다(214단계). 여기서, 부저(114)나 LCD부(110)로의 출력여부는 상기 200단계에서 사용자의 설정모드에 따라 동작된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응답코드데이터의 분석과정에서 분석된 응답코드데이터가 연결중을 나타내는 코드데이터인 경우, 그 처리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응답코드데이터의 분석결과, 연결중을 나타내는 코드데이터이면, CPU(124)에서는 톤발생부(120)를 제어하여 그에 상응하는 링백톤(ring back tone)을 발생시킨다(306단계). 이와 같이 발생된 링백톤은 CPU(124)의 제어에 의해, 스피커(118)로 출력되거나, 부저(114)를 통해 특정톤을 발생시키거나, LCD부(110)를 통해 단문메시지를 표시한다(308 단계). 여기서, 부저(114)나 LCD부(110)로의 출력여부는 상기 200단계에서 사용자의 설정모드에 따라 동작된다.
308단계의 처리후 일정시간이 경과되면, 기지국으로부터 톤오프 코드데이터가 수신되었는지를 판단하여(310 단계), 톤오프데이터가 수신되면, CPU(124)의 제어에 의해, 링백톤의 발생을 중지시킨 후, 통화모드에 관련된 톤을 스피커(118)로 출력시키거나, 부저(114)를 통해 특정톤을 발생시키거나, LCD부(110)를 통해 단문메시지로 표시시킨 후(312 단계), 통화모드로 진입한다(314 단계). 여기서, 부저(114)나 LCD부(110)로의 출력여부는 상기 200단계에서 사용자의 설정모드에 따라 결정된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응답코드데이터 분석과정에서 분석된 응답코드데이터가 통화중을 나타내는 코드인 경우, 그 처리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응답코드데이터의 분석결과, 통화중을 나타내는 코드데이터이면, CPU(124)에서는 톤발생부(120)를 제어하여 통화 중 톤(busy tone)을 발생시킨다(406 단계).
이와 같이 톤발생부(120)에서 발생된 통화 중 톤은 CPU(124)의 제어에 의해 스피커(118)로 출력시키거나, 부저(114)를 통해 특정톤으로 출력시키거나, LCD부(110)를 통해 단문메시지로 표시시킨다(408 단계). 여기서, 부저(114)나 LCD부(110)로의 출력여부는 상기 200단계에서 사용자의 설정모드에 따라 동작된다.
408단계의 처리후 일정시간이 경과하면, 톤오프데이터가 수신되었는지를 판단하여(410 단계), 만약 톤오프데이터가 수신되면, CPU(124)의 제어에 의해, 통화 중 톤의 발생을 중지시킨 후, 통화모드에 관련된 톤을 스피커(118)로 출력시키거나, 부저(114)를 통해 특정톤을 발생시키거나, LCD부(110)를 통해 단문메시지로 표시시킨 후(412 단계), 통화모드로 진입한다(414 단계). 여기서, 부저(114)나 LCD부(110)로의 출력여부는 상기 200단계에서 사용자의 설정모드에 따라 결정된다.
그러나, 톤오프데이터가 수신되지 않으면,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었는지를 판단한다(416 단계). 만약,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되지 않으면 406단계 내지 416단계를 반복한다. 그러나,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될 때까지 톤오프데이터가 수신되지 않을 경우, 통화 중 톤의 발생을 중지시키고(418 단계), 이를 기지국에 알려서 할당된 채널을 해제시킨다(420 단계). 그리고, 이 때 다이얼링된 전화번호를 제2메모리(108)에 저장시킨다(422 단계). 이후 소정시간이 경과되면(424 단계), 재다이얼모드가 설정되었는지를 판단한다(426 단계). 여기서 소정시간은 시스템 설계자에 의해 정의된다. 재다이얼모드가 설정되지 않았으면 종료시킨다. 여기서 재다이얼모드는 키패드에 구비된 재다이얼을 설정하기 위한 제2사용자 설정키에 의해 설정한다. 재다이얼모드가 설정되었으면 재다이얼링을 통해 통화개시신호를 기지국에 재전송하여(430 단계), 도 2에 도시된 202 단계부터 재수행한다. 여기서, 재다이얼링 횟수는 기설정된 횟수만큼만 수행한다(428 단계). 이 재다이얼링 횟수는 시스템 설계자에 의해 정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의 응답코드데이터를 고지하는 무선통신단말기 및 그에 따른 응답코드데이터 고지방법에 의하면, 특정톤을 발생시키는 부저와, 이에 따른 단문메시지를 표기하는 LCD 부를 구비함으로써, 전화통화개시신호 발신 후, 상대방 단말기와의 연결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상기 무선통신단말기의 스피커에 사용자의 귀를 계속적으로 대지 않고도 상대방 단말기와의 상태를 쉽게 확인할 수 있으며, 재다이얼 기능을 구비함으로써, 상대방 단말기와의 연결상태가통화중일 때, 상기 할당된 채널을 끊고 특정시간 후에 자동적으로 재다이얼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Claims (4)

  1. 기지국을 통해 상대방 단말기와 통화를 시도할 수 있는 무선 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전화번호를 입력하기 위한 버튼, 특정 톤 발생모드 및 단문 메시지 표시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제1사용자 설정키, 및 재다이얼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제2사용자 설정키를 구비한 키 패드;
    상대방 단말기와의 전화통화 개시부터 연결이 완료될 때까지 상대방 단말기와의 일련의 연결 상태를 각각 나타내는 톤을 발생하는 톤 발생부;
    상기 단문 메시지 표시 모드가 설정되어 있으면, 상기 톤 발생부에서 발생된 톤에 상응하는 단문메시지를 표시하는 LCD표시부;
    상기 특정 톤 발생 모드가 설정되어 있으면, 상기 무선 통신 단말기에 구비되어 있는 스피커와 별도로 상기 톤 발생부에서 발생된 톤에 상응하는 특정 톤으로 출력하는 부저;
    상기 키 패드에 의해 설정된 모드, 통화 중 톤의 발생횟수, 재다이얼 시도 횟수를 저장하고, 저장된 정보에 따라 상기 통신 단말기를 운영하기 위한 운영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응답코드데이터에 상응하는 톤을 발생하도록 상기 톤발생부를 제어하면서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모드에 따라 상기 부저와 상기 LCD부의 동작을 제어하고, 통화 중 톤의 발생횟수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횟수를 넘으면 재다이얼 모드를 수행하고, 재다이얼 횟수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재다이얼 횟수를 넘지 않도록 제어하는 CPU를 포함하는 무선통신단말기.
  2. 무선통신단말기의 통화개시에 따라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응답코드데이터에 대한 고지 방법에 있어서,
    상기 무선통신단말기에 구비되는 있는 스피커와 별도의 출력수단을 통해 특정 톤을 발생하게 하는 특정 톤 발생모드 및/또는 단문메시지 표시모드를 설정하는 과정;
    상기 통화개시 후,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응답코드데이터를 분석하는 과정; 및
    상기 특정 톤 발생 모드만 설정된 경우에, 상기 분석된 결과를 토대로 상기 응답 코드 데이터에 상응하는 특정 톤만을 발생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단문메시지 표시모드만 설정된 경우에, 상기 응답 코드 데이터에 상응하는 단문 메시지만을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특정 톤 발생모드와 상기 단문메시지 표시모드가 모두 설정된 경우에 상기 응답 코드 데이터에 상응하는 특정 톤과 단문메시지 모두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기지국의 응답코드데이터의 고지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응답코드데이터가 상대방 단말기와 연결중을 의미하는 코드데이터이면, 상기 제어 과정은 상기 연결 중임을 나타내는 특정 톤 및/또는 단문메시지가 출력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응답코드데이터가 상대방 단말기가 통화중임을 의미하는 코드 데이터이면, 상기 제어 과정은 상기 통화 중임을 나타내는 특정 톤 및/또는 단문 메시지가 출력되도록 제어하고; 및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톤 오프 데이터를 의미하는 코드 데이터가 수신되면, 상기 제어 과정은 통화개시를 의미하는 특정 톤 및/또는 단문 메시지가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의 응답코드데이터의 고지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중임을 의미하는 응답코드데이터가 일정 시간동안 수신되면, 상기 통화중임을 의미하는 특정 톤 및/또는 단문 메시지 출력을 중단시키고, 상기 통화 개시로 할당되었던 채널을 해제시키는 과정;
    재다이얼 모드가 설정되어 있는지를 판단하는 과정; 및
    재다이얼 모드가 설정되어 있으면, 재다이얼을 통해 통화개시신호를 상기 기지국으로 재전송하고, 설정된 재다이얼 횟수이전에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톤 오프 코드 데이터가 수신되거나 상기 설정된 재다이얼 횟수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전 과정을 반복 수행하면서 상기 응답코드데이터를 고지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기지국의 응답코드데이터의 고지방법.
KR1019980022747A 1998-06-17 1998-06-17 기지국의응답코드데이터를고지하는무선통신단말기및그에따른응답코드데이터고지방법 KR1003354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22747A KR100335414B1 (ko) 1998-06-17 1998-06-17 기지국의응답코드데이터를고지하는무선통신단말기및그에따른응답코드데이터고지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22747A KR100335414B1 (ko) 1998-06-17 1998-06-17 기지국의응답코드데이터를고지하는무선통신단말기및그에따른응답코드데이터고지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2146A KR20000002146A (ko) 2000-01-15
KR100335414B1 true KR100335414B1 (ko) 2002-08-21

Family

ID=195398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22747A KR100335414B1 (ko) 1998-06-17 1998-06-17 기지국의응답코드데이터를고지하는무선통신단말기및그에따른응답코드데이터고지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35414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2146A (ko) 2000-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92251B1 (en) Communication system having a notification function with respect to a predetermined state of each communication terminal thereof
JP2002176679A (ja) 移動無線端末装置
US5602900A (en) Radio Telecommunication apparatus
JPH08125720A (ja) 受信機
KR100345535B1 (ko) 이동무선 단말기에서 문자메시지 자동전송방법
KR100335414B1 (ko) 기지국의응답코드데이터를고지하는무선통신단말기및그에따른응답코드데이터고지방법
US6477383B1 (en) Communication system having a notification function with respect to a predetermined state of each communication terminal thereof
JPH10107919A (ja) メッセージ通信方法および装置
JP2005102268A (ja) 通信装置の表示システム
JP2004289577A (ja) 移動通信端末及び移動通信システム
JP3551455B2 (ja) 通信システム、網管理装置および通信端末装置
KR20010088553A (ko) 휴대폰의 착신음 발생시 무음으로 전환
US20020086713A1 (en) Mobile radio terminal apparatus
JP3827878B2 (ja) 携帯電話機
KR100713486B1 (ko) 발신정보 음성 알림 방법
JP2007184987A (ja) 移動通信端末
JP3354350B2 (ja) 携帯電話機
KR20010058200A (ko) 전화 번호 송신 장치 및 송신 방법
KR20000067418A (ko) 단방향통신 단말기간 통화종료 통보방법
KR100227331B1 (ko) 휴대폰에서의 발신방법
KR100594092B1 (ko) 통신단말기에서 음성과 데이터의 착신호 구분 경보방법
KR100241779B1 (ko) 씨티-2 단말기에서 직접통화 서비스 접속방법
KR100535988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에스엠에스 전송 방법
KR100703294B1 (ko) 이동 무선 단말기의 수신측 상태 통보 방법
JPH11178064A (ja) 携帯電話機とその発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328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