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34742B1 - 흡입기를 이용한 호소, 저수지, 댐 및 하천의 바닥퇴적물 제거방법 및 그 시스템 - Google Patents
흡입기를 이용한 호소, 저수지, 댐 및 하천의 바닥퇴적물 제거방법 및 그 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334742B1 KR100334742B1 KR1019990010254A KR19990010254A KR100334742B1 KR 100334742 B1 KR100334742 B1 KR 100334742B1 KR 1019990010254 A KR1019990010254 A KR 1019990010254A KR 19990010254 A KR19990010254 A KR 19990010254A KR 100334742 B1 KR100334742 B1 KR 10033474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ludge
- water
- tank
- treated water
- sediment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8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arrangements acting by a sucking or forcing effect, e.g. suction dredgers
- E02F3/90—Component parts, e.g. arrangement or adaptation of pumps
- E02F3/92—Digging elements, e.g. suction heads
- E02F3/9256—Active suction heads; Suction heads with cutting elements, i.e. the cutting elements are mounted within the housing of the suction head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8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arrangements acting by a sucking or forcing effect, e.g. suction dredgers
- E02F3/8833—Floating install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7/00—Equipment for conveying or separating excavated material
- E02F7/10—Pipelines for conveying excavated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흡입기를 이용한 호소, 저수지, 댐 및 하천의 바닥퇴적물제거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호소, 저수지, 댐 및 하천의 바닥에 퇴적되어 있는 퇴적물을 수질을 오염시키지 않고 확실히 제거하는 동시에 재처리 작업 없이 바로 건축공사에 사용할 수 있는 모래 및 자갈 등의 건축용 골재를 채취할 수 있는 흡입기를 이용한 호소, 저수지, 댐 및 하천의 바닥퇴적물제거방법 및 그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며, 그 구성은 활성수조부내에 원수를 유입시키는 단계와; 활성수조부내로 유입된 원수에 초미세기포를 공급하여 원수를 활성화시키는 단계와; 활성화된 원수를 처리수조부로 유입시키는 단계와; 처리수조부내에 유입된 처리수에 초미세기포를 공급하여 처리수내에 포함되어 있는 부상슬러지를 부상시키는 가압부상단계와; 처리수내에 포함되어 있는 침전슬러지를 침전 및 집적하는 단계와; 상기 가압부상단계를 거쳐 부상된 부상슬러지를 제거 및 집적하는 단계와; 집적된 부상슬러지를 탈수 및 건조하는 단계와; 집적된 침전슬러지와 부상슬러지의 침출수를 재순환시키는 단계와; 처리수조부를 통과한 최종처리수를 방류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가압수를 이용한 호소, 저수지, 댐 및 하천의 유기물질, 영양염류 및 조류제거방법에 있어서, 상기 원수유입단계는 흡입구를 통하여 바닥퇴적물과 원수를 함께 흡입하여 세척조부내로 유입시키고; 상기 활성화단계는 상기 원수유입단계에서 세척조부내에 원수와 함께 유입된 퇴적물중 세척조부의 하부에 퇴적되는 골재에 초미세기포를 공급하여 골재를 세척하는 동시에 세척조부내의 원수를 활성화시키며; 처리수조부내에 채워진 처리수를 배수하는 배수단계와; 세척조부내에 세척되어 퇴적된 골재를 채취수단으로 채취하여 세척조부내의 골재를 제거하는 골재제거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흡입기를 이용한 호소, 저수지, 댐 및 하천의 바닥퇴적물 제거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호소, 저수지, 댐 및 하천의 바닥상에 퇴적되어 수질을 오염시키는 퇴적슬러지를 제거하여 수질오염을 방지하고, 모래 및 자갈과 같은 골재를 채취하여 바닥을 준설하는 함과 동시에 건설용 골재를 얻을 수 있는 흡입기를 이용한 호소, 저수지, 댐 및 하천의 바닥퇴적물 제거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호소, 저수지, 댐 및 하천의 바닥에는 퇴적물이 쌓이게 되는데 이들 퇴적물은 상류 또는 지상에서 흘러 내려와 퇴적된 모레 및 자갈과 같은 골재와, 수질을 오염시키는 퇴적슬러지가 혼합되어 퇴적되어 형성된 것이다.
상기 퇴적물 중 퇴적슬러지는 원수내의 용존산소를 소모시키는 유기물로서 이는 부영양화를 일으키는 질소와 인 등의 각종 오염물을 함유하여 수질을 악화시키고, 부영양화로 조류 등이 이상 번식하여 생물에 유해한 가스가 발생되고 호소, 저수지, 댐 및 하천 등의 자정능력을 상실시켜 오염을 가속화시킬 뿐만 아니라 상기 골재와 함께 바닥에 점차 퇴적되어 수심을 낮춤으로서 저수용량을 점차 감소시켜 호소, 저수지, 댐 및 하천 등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호소, 저수지, 댐 및 하천 등의 바닥 퇴적물에 대해 종래에는 단지 준설기와 운반선을 사용하여 바닥 퇴적물을 제거하여 바닥을 깊게 하는 준설공사(浚渫工事)를 실시하여 저수용량이 감소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퇴적물 처리방법은 바닥의 퇴적물을 제거할 수는 있으나 퇴적물 중에 혼합되어 있는 퇴적슬러지는 수면상으로 던져지지 못하고 원수내에 희석되게 되어 원수를 급속하게 오염시키게 될 뿐만 아니라 채취된 퇴적물에도 상당량의 퇴적슬러지가 혼합되어 있어 건축용 골재로 사용하기에 적합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심한 악취로 인하여 주변대기를 오염시킴은 물론 토질을 오염시킬 수 있는 2차오염의 우려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고려하여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한번의 작업으로 호소, 저수지, 댐 및 하천의 바닥에 퇴적되어 있는 퇴적슬러지를 수질을 오염시키지 않고 확실히 제거하면서 동시에 바닥의 준설공사가 이루어짐은 물론 재처리 작업 없이 바로 건축공사에 사용할 수 있는 품질이 우수한 모래 및 자갈 등의 건축용 골재를 채취할 수 있는 흡입기를 이용한 호소, 저수지, 댐 및 하천의 바닥퇴적물 제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흡입기를 이용한 호소, 저수지, 댐 및 하천의 바닥퇴적물 제거방법을 실시할 수 있는 흡입기를 이용한 호소, 저수지, 댐 및 하천의 바닥퇴적물 제거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흡입기를 이용한 호소, 저수지, 댐 및 하천의 바닥퇴적물 제거방법의 공정을 예시하는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흡입기를 이용한 호소, 저수지, 댐 및 하천의 바닥퇴적물 제거시스템을 도시하는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흡입기를 이용한 호소, 저수지, 댐 및 하천의 바닥퇴적물 제거시스템을 도시하는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흡입기를 이용한 호소, 저수지, 댐 및 하천의 바닥퇴적물 제거시스템의 흡입호스의 작동상태의 일예를 예시하는 작동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흡입기를 이용한 호소, 저수지, 댐 및 하천의 바닥퇴적물 제거시스템의 골재제거공정을 예시하는 예시도.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활성수조부내에 원수를 유입시키는 단계와; 활성수조부내로 유입된 원수에 초미세기포를 공급하여 원수를 활성화시키는 단계와; 활성화된 원수를 처리수조부로 유입시키는 단계와; 처리수조부내에 유입된 처리수에 초미세기포를 공급하여 처리수내에 포함되어 있는 부상슬러지를 부상시키는 가압부상단계와; 처리수내에 포함되어 있는 침전슬러지를 침전 및 집적하는 단계와; 상기 가압부상단계를 거쳐 부상된 부상슬러지를 제거 및 집적하는 단계와; 집적된 부상슬러지를 탈수 및 건조하는 단계와; 집적된 침전슬러지와 부상슬러지의 침출수를 재순환시키는 단계와; 처리수조부를 통과한 최종처리수를 방류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가압수를 이용한 호소, 저수지, 댐 및 하천의 유기물질, 여양염류 및 조류제거방법에 있어서, 상기 원수유입단계는 흡입구를 통하여 바닥퇴적물과 원수를 함께 흡입하여 세척조부내로 유입시키고; 상기 활성화단계는 상기 원수유입단계에서 세척조부내에 원수와 함께 유입된 퇴적물중 세척조부의 하부에 퇴적되는 골재에 초미세기포를 공급하여 골재를 세척하는 동시에 세척조부내의 원수를 활성화시키며; 처리수조부내에 채워진 처리수를 배수하는 배수단계와; 세척조부내에 세척되어 퇴적된 골재를 채취수단으로 채취하여 세척조부내의 골재를 제거하는 골재제거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기를 이용한 호소, 저수지, 댐 및 하천의 바닥퇴적물 제거방법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수면상에 장비를 부상시키고 이송하기 위한 바지선과; 소정크기의 함체로서 중간부에 소정높이를 갖는 구획웨어가 수직으로 설치되어 활성수조부와 처리수조부로 구획되며, 상기 구획웨어보다 낮은 높이를 갖고 상기 처리수조부의 후단부 내측면과 소정간격져서 수직으로 설치되는 후단웨어와, 상기 처리수조부의 후단면에 형성되어 처리된 최종 처리수를 방류하는 방류구를 구비하고 상기 바지선상에 설치되는 수조와; 상기 활성수조부내에 설치되는 기포공급파이프를 갖고 상기 세척수조부내의 골재에 초미세기포를 분사하여 처리수를 활성화시키는 1차 가압부상설비와; 상기 처리수조부내에 설치되는 기포공급파이프를 갖고 상기 처리수조부내의 처리수에 초미세기포를 공급하는 2차 가압부상설비와; 상기 처리수조부의 후단웨어의 전방측에 설치되어 처리수의 수면상에 부상된 부상슬러지를 제거하는 부상슬러지제거기와; 상기 처리수조부의 저면에 설치되어 침전슬러지를 집적하는 침전슬러지 배플과; 상기 부상슬러지제거기의 후단부에 설치되어 부상슬러지 제거기로부터 부상슬러지를 분리하는 부상오니트랜치와; 상기 부상오니트랜치와 연통되게 연결되어 부상슬러지를 집적하는 부상슬러지 집적조와; 상기 부상슬러지집적조와 이송파이프에 의해 연통되게 연결되어 부상슬러지를 건조하는 자연건조장치와; 상기 이송파이프상에 장착되어 부상슬러지를 이송시키는 이송펌프와; 일단부는 상기 처리수조부의 전단부측과 연통되게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침전슬러지배플 및 부상슬러지집적조와 연통되게 연결되는 재순환파이프와; 상기 재순환파이프상에 장착되어 침전슬러지와 침출수를 재순환시키는 재순환펌프와; 상기 퇴적물흡수장치, 1차 및 2차 가압부상설치, 부상슬러지제거기, 이송펌프 및 재순환펌프에 각각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발전기와; 상기 발전기에 기름을 공급하는 기름탱크와; 상기 바지선을 예인하는 예인선으로 구성되는 가압수를 이용한 호소, 저수지, 댐 및 하천의 유기물질, 영양염류 및 조류제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수조는 세척수조부와 처리수조부로 구획되고, 상기 1차 가압부상실비는 상기 세척수조부내로 초미세기포를 분사하여 처리수를 활성화시키는 동시에 세척수조부내로 유입되는 골재를 세척하며; 바닥퇴적물을 흡입하여 상기 수조의 세척수조부에 퇴적물을 유입시키는 퇴적물흡입장치와; 상기 재순환파이프와 연통되게 연결되어 상기 처리수조부내의 처리수를 배수하기 위한 배수구와; 상기 배수구와 재순환파이프의 연결부상에 장착되어 재순환유로와 배수유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밸브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기를 이용한 호소, 저수지, 댐 및 하천의 바닥퇴적물 제거시스템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흡입기를 이용한 호소, 저수지, 댐 및 하천의 바닥퇴적물 제거방법 및 그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흡입기를 이용한 호소, 저수지, 댐 및 하천의 바닥퇴적물 제거방법의 공정을 예시하는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흡입기를 이용한 호소, 저수지, 댐 및 하천의 바닥퇴적물 제거시스템을 도시하는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흡입기를 이용한 호소, 저수지, 댐 및 하천의 바닥퇴적물제거시스템을 도시하는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흡입기를 이용한 호소, 저수지, 댐 및 하천의 바닥퇴적물 제거시스템의 흡입호스의 작동상태의 일예를 예시하는 작동상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흡입기를 이용한 호소, 저수지, 댐 및 하천의 바닥퇴적물 제거시스템의 골재제거공정을 예시하는 예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흡입기를 이용한 호소, 저수지, 댐 및 하천의 바닥퇴적물 제거방법은 퇴적물유입단계(100)와, 골재세척 및 처리수활성화단계(101)와, 원수의 처리수조부 유입단계(102)와, 가압부상단계(103)와, 침전슬러지 침전 및 집적단계(104)와, 부상슬러지의 제거 및 집적단계(105)와, 부상슬러지의 탈수 및 건조단계(106)와, 침전슬러지 및 침출수의 재순환단계(107)와, 최종처리수 방류단계(108)와, 처리수조부내의 처리수 배수단계(109)와, 세척조부내의 골재채취단계(110)로 구성된다.
상기 퇴적물유입단계(100)는 호소, 저수지, 댐 및 하천 등의 바닥에 퇴적되어 있는 바닥퇴적물을 건축용 골재와 퇴적슬러지로 분리시키기 위하여 원수와 함께 세척조부로 유입하며, 세척조내에 퇴적물이 유입되면, 중량이 무거운 골재는 세척조부내의 하부에 퇴적되고, 비교적 가려운 퇴적슬러지는 골재의 상측에 퇴적되거나 원수에 희석되어 원수를 따라 유동하게되는데 이때 상기 골재세척 및 처리수활성화단계(101)가 실시된다.
상기 골재세척 및 처리수활성화단계(101)는 세척조부의 내측하부에 퇴적되어 있는 골재에 초미세기포를 분사시켜 골재를 세척하는 동시에 원수를 활성화시키는데 이때 초미세기포는 물과 공기(산소)를 혼합하여 형성된다.
상기 골재세척 및 처리수활성화단계(101)가 실시되는 동안에도 퇴적물과 원수가 지속적으로 세척조부내로 유입됨으로 세척조부내의 원수는 오버플로우(overflow)에 의해 처리수조부로 유입된다(102).
원수가 처리수조내로 유입되고, 동시에 처리수에 대한 가압부상단계(103)가 실시된다.
상기 가압부상단계(103)는 처리수조부내로 유입된 처리수에 초미세기포를 분사시켜 처리수내에 포함되어 있는 부상슬러지를 수면으로 부상시키는 것이며, 상기 초미세기포는 물, 공기(산소) 및 약품(응집제)를 혼합하여 형성된다.
상기 가압부상단계(103)가 실시되면, 처리수내의 부상슬러지는 수면상으로 부상되고, 처리수는 처리수조부를 따라 서서히 흐르게되는데 이때 처리수내에 포함되어 있는 미세 침전슬러지가 처리수조부의 저면에 침전되고, 침전된 침전슬러지는 침전슬러지 배플에 의해 집적되며(104), 처리수의 수면에 부상된 부상슬러지는 부상슬러지 제거기에 의해 수면으로부터 제거되어 집적된다(105).
상기 집적된 부상슬러지는 탈수 및 건조단계(106)를 거쳐 부상슬러지에 배어있는 침출수는 탈수되어 자연건조등에 의해 탈수된 부상슬러지는 건조하고, 건조된 부상슬러지는 소각, 매립 또는 퇴비로 재활용된다.
상기 집적된 침전슬러지와 부상슬러지의 침출수는 재순환유로를 통하여 처리수조부의 전단부측으로 재순환되어 재처리된다(107).
상기 공정을 거쳐 정수가 완료된 최종 처리수는 방류구를 통하여 방류된다(108).
상기와 같은 공정에 의해 상기 세척구조부내에 골재가 일정량 채워지면, 상기 처리수조부내의 처리수 배수단계(109) 및 세척조부내의 골재채취단계(110)가 실시된다.
상기 처리수조부내의 처리수 배수단계(109)는 바지선을 지상쪽으로 이동시키기 전에 처리수조부내의 처리수를 배수시켜 바지선의 부하를 최소화시키는 것이며, 배수단계(109)가 완료되면, 바지선을 지상쪽으로 이동시킨 후 세척조부내에 채워진 세척된 골재를 골재채취수단을 이용하여 세척조부내의 세척된 골재를 지상에 하역(110)한 후 바지선을 작업수면상에 이동시켜 상기 일련의 공정을 반복적으로 실시하여 호소, 저수지, 댐 및 하천 등의 바닥에 퇴적되어 있는 퇴적물을 수질의 오염없이 확실하게 제거하는 동시에 양호한 건축용 골재도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이하, 상기 방법을 실시할 수 있는 본 발명에 따른 흡입기를 이용한 호소, 저수지, 댐 및 하천의 바닥퇴적물 제거시스템의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흡입기를 이용한 호소, 저수지, 댐 및 하천의 바닥퇴적물 제거시스템(10)은 바지선(11)과, 수조(12)와, 퇴적물흡입장치(18)와, 1차 및 2차 가압부상설비(19)(21)와, 부상슬러지제거기(23)와, 침전슬러지 배플(24)과, 부상오니트랜치(25)와, 부상슬러지 집적조(26)와, 자연건조장치(28)와, 이송펌프(29)와, 재순환파이프(30)와, 배수구(31)와, 밸브수단(32)과, 재순환펌프(33)와, 발전기(34)와, 기름탱크(35)와, 예인선(도시되지 않음)으로 구성된다.
상기 바지선(11)은 소정크기를 갖는 통상의 바지선으로서 수면상에 장비를부상시키고 이송하기 위하여 설비를 지지한다.
상기 수조(12)는 소정크기의 함체로서 중간부에 소정높이를 갖는 구획웨어(13)가 수직으로 설치되어 세척수조부(16)와 처리수조부(17)로 구획되며, 후단웨어(14)와 방류구(15)를 일체로 구비하고, 상기 바지선(11)상에 설치된다.
상기 후단웨어(14)는 상기 구획웨어(13)보다 낮은 높이를 갖고 상기 처리수조부(17)의 후단부 내측면과 소정간격져서 수직으로 설치되고, 상기 방류구(15)는 처리된 최종 처리수를 방류하기 위하여 상기 처리수조부(17)의 후단면에 형성된다.
상기 퇴적물흡입장치(18)는 호소, 저수지, 댐 및 하천 등의 바닥에 퇴적되어 있는 퇴적물을 흡입하여 상기 수조(12)의 세척조부(16)내에 유입시키기 위한 것으로 펌프(18a)와, 흡입호스(18b)와, 배출호스(18c)로 구성된다.
상기 펌프(18a)는 세척수조부(16)측 바지선(11)상에 소정설치되며, 상기 흡입호스(18b)는 소정직경과 길이를 갖는 호스로서 하단부에 흡입구(표시되지 않음)을 갖고 상단부는 상기 펌프(18a)의 흡입구와 좌우회동될 수 있도록 연통되게 연결되고, 상기 배출호스(18c)는 흡입된 퇴적물을 세척수조부(16)내로 유입시키기 위하여 일단부는 상기 펌프(18a)의 배출구에 연동되게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세척수조부(16)내에 설치된다.
상기 1차 가압부상설비(19)는 상기 세척수조부(16)내의 골재(40)에 초미세기포를 분사하여 골재(40)를 세척하고 처리수를 활성화시키기 위하여 상기 세척수조부내(16)에 설치되어 기포를 공급하는 기포공급파이프(20)를 갖고 상기 바지선(11)상에 설치된다.
상기 2차 가압부상설비(21)는 상기 처리수조부(18)내의 처리수에 초미세기포를 공급하여 처리수내에 포함되어 있는 부상슬러지를 수면으로 부상시키기 위하여 상기 처리수조부(17)내에 설치되어 기포를 공급하는 기포공급파이프(22)를 갖고 상기 바지선(11)상에 설치된다.
상기 부상슬러지 제거기(23)는 처리수조부(17)내의 처리수 수면상에 부상된 부상슬러지를 포획하여 제거하는 것으로 복수개의 롤러(23a)와, 제거벨트(23b)와, 구동모터(23d)로 구성되어 상기 처리수조부(18)의 후단웨어(14)의 전방측에 설치된다.
상기 복수개의 롤러(23a)는 상기 처리수조부(17)의 후단웨어(14)의 전방측 소정위치에 상호 평행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거벨트(23b)는 상기 복수개의 롤러(23a)에 팽팽하게 걸려 롤러(23a)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면서 수면상에 부상된 부상슬러지를 제거하며, 상기 구동모터(23d)는 상기 복구개의 롤러(23a)를 구동시키기 위해 벨트 또는 체인(23c)으로 연결된다.
상기 침전슬러지 배플(24)은 상기 처리수조부(17)의 저면에 침전된 침전슬러지를 집적하기 위하여 상기 처리수조부(18)의 저면 소정위치에 설치된다.
상기 부상오니트랜치(25)는 부상슬러지 제거기(23)의 제거벨트(23b)상에 부착포획되어 이송되는 부상슬러지를 분리하고 수집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부상슬러지제거기(23)의 후단부, 구체적으로는 상기 제거벨트(23b)의 후단부측에 설치된다.
상기 부상슬러지 집적조(26)는 상기 부상오니트랜치(25)내에 수집된 부상슬러지를 집적하 및 탈수시키기 위하여 상기 부상오니트랜치(25)와 연통되게 연결되어 바지선(11)상에 설치되며, 상기 자연건조장치(28)는 상기 부상슬러지 집적조(26)와 이송파이프(27)에 의해 연통되게 연결되어 상기 바지선(11)상에 설치되며, 상기 이송펌프(29)에 의해 이송파이프(27)를 통하여 이송되는 탈수된 부상슬러지를 자연건조시킨다.
상기 이송펌프(29)는 상기 이송파이프(27)상에 장착되어 부상슬러지 집적조(26)내의 탈수처리된 부상슬러지를 자연건조장치(28)로 이송시킨다.
상기 재순환파이프(30)는 상기 침전슬러지 배플(24)내에 집적된 침전슬러지와 부상슬러지집적조(26)내에 저수된 부상슬러지의 침출수를 처루수조부(17)로 재순환하여 재처리시키기 위하여 일단부는 상기 처리수조부(18)의 전단부측과 연통되게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침전슬러지배플(24) 및 부상슬러지집적조(26)와 연통되게 연결되며, 소정위치에 상기 처리수조부(17)내의 처리수를 외부로 배수시키기 위한 상기 배수구(31)가 연통되게 연결되고, 상기 재순환파이프(30)와 배수구(31)의 연결부상에는 재순환유로와 배수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기 위한 상기 밸브수단(32)이 장착되다.
상기 밸브수단(32)으로는 3방향 콕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재순환펌프(33)는 상기 재순환파이프(30)상에 장착되어 상기 침전슬러지 및 침출수를 재순환파이프(30)를 통하여 처리수조부(17)의 전단부측으로 재순환시킨다.
상기 발전기(34)는 소요전력을 발전하기 위하여 바지선(11)상에 설치되며, 상기 퇴적물흡수장치(18), 1차 및 2차 가압부상설비(19)(21),부상슬러지제거기(23), 이송펌프(29) 및 재순환펌프(33)에 각각 전력을 공급하고, 상기 기름탱크(35)는 바지선(11)상에 설치되어 상기 발전기(34)에 소요되는 기름을 공급한다.
상기 예인선(도시되지 않음)은 상기 바지선(11)과 연결되어 바지선(11)을 예인하여 요구되는 지점까지 바지선(11)을 이동시킨다.
첨부도면중 미설명 부호 50은 세척수조부(16)내에 채워진 세척된 골재(40)를 지상으로 하역시키기 위한 골재채취수단을 나타낸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흡입기를 이용한 호소, 저수지, 댐 및 하천의 바닥퇴적물 제거시스템(10)은 상기 퇴적물흡입장치(18)에 의해 호소, 저수지, 댐 및 하천 등의 바닥에 퇴적되어 있는 퇴적물이 원수와 함께 흡입되어 세척수조부(16)내로 유입되면, 상기 1차 가압부상설치(19)는 상기 기포공급파이프(20)를 통하여 물과 공기(산소)를 혼합하여 형성시킨 초미세기포를 세척수조부(16)의 내측하부에 쌓이는 골재(40)에 분사시켜 골재(40)를 세척하고 동시에 세척수조부(16)내의 원수를 활성화시키고, 활성화된 처리수를 상기 구획웨어(13)을 넘어 처리수조부(17)로 유입된다. 처리수조부(17)내로 유입된 처리수 상기 2차 가압부상설비(21)가 물, 공기(산소) 및 약품(응집제)를 혼합하여 형성된 초미세기포를 기포공급파이프(22)를 통하여 처리수에 분사시켜 가압부상시킴으로서 처리수내에 포함되어 있는 부상슬러지는 수면으로 부상되며, 처리수는 처리수조부(17)를 따라 서서히 흐르게되는데 이때 처리수내에 포함되어 있는 침전슬러지는 자중에 의해 침전되면서 처리수조부(17)의 저면에 침전되어 사익 침전슬러지 배플(24)내에 집적되고, 처리수의 수면에 부상된 부상슬러지는 상기 부상슬러지 제거기(23)에 의해 수면으로부터 포획제거되어 상기 부상오니트랜치(25)로 수집되고, 수집된 부상슬러지는 상기 부상슬러지 집적조(26)내에 집적되어 침출수가 제거되도록 탈수처리된다.
상기 탈수처리된 부상슬러지는 이송펌프(29)에 의해 이송파이프(27)를 통하여 부상슬러지 집적조(26)에서 자연건조장치(28)로 이송되어 자연건조된 후 소각, 매립되거나 또는 퇴비 등으로 재할용된다.
상기 침전슬러지 배플(24)내의 침전슬러지와 부상슬러지 집적조(26)내의 침출수는 상기 재순환펌프(33)에 의해 상기 재순환파이프(30)를 통하여 처리수조부(17)의 전단부측으로 재순환되어 재처리되며, 이EO 상기 밸브수단(32)은 재순환유로가 개방되어 배수로가 차단된 상태를 갖는다. 상기 처리수조부(17)를 통과하여 정화된 최종 처리수는 상기 후단웨어(14)를 넘어 방류구(15)를 통해 외부로 방류된다.
상기와 같은 작동이 반복적으로 실시됨에 따라 상기 세척된 골재(40)가 세척수조부(16)내에 점차 채워져서 상한치에 이루게 되면, 전원 스위치(도시되지 않음)을 OFF시켜 설비를 정지시킨 후 재순환파이프(30)의 재순환유로가 차단되고 배수구(31)의 배수로가 개방되도록 상기 밸브수단(32)을 작동시켜 상기 처리수조부(17)내의 처리수를 외부로 배수시킨 후 예인선에 의해 바지선(11)을 지상(골재하역장)쪽으로 이동시켜 골재채취수단(50)에 의해 세척수조부(16)내에 채워진 세척된 골재(40)를 하역하여 세척수조부(16)를 비운 후 바지선(11)을 작업위치로 재차 이동시켜 상기 작업을 반복적으로 실시함으로서 호소, 저수지, 댐 및 하천 등의 바닥에 퇴적된 퇴적슬러지를 수질오염없이 확실히 제거하는 동시에 모래 및 자갈등과 같은 건축용 골재를 채취함으로서 퇴적슬러지에 의한 수질오염의 방지 및 준설작업을 동시에 실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별도의 처리없이 건축에 즉시사용할 수 있는 다량의 건축용 골재도 채취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으로 설명한 본 발명에 의하면, 한번으로 작업으로 호소, 저수지, 댐 및 하천의 바닥에 퇴적되어 있는 퇴적슬러지를 수질을 오염시키지 않고 확실히 제거하면서 동시에 바닥의 준설공사가 이루어짐은 물론 재처리 작업 없이 바로 건축공사에 사용할 수 있는 품질이 우수한 모래 및 자갈 등의 건축용 골재를 채취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5)
- 활성수조부내에 원수를 유입시키는 단계와; 활성수조부내로 유입된 원수에 초미세기포를 공급하여 원수를 활성화시키는 단계와; 활성화된 원수를 처리수조부로 유입시키는 단계와; 처리수조부내에 유입된 처리수에 초미세기포를 공급하여 처리수내에 포함되어 있는 부상슬러지를 부상시키는 가압부상단계와; 처리수내에 포함되어 있는 침전슬러지를 침전 및 집적하는 단계와; 상기 가압부상단계를 거쳐 부상된 부상슬러지를 제거 및 집적하는 단계와; 집적된 부상슬러지를 탈수 및 건조하는 단계와; 집적된 침전슬러지와 부상슬러지의 침출수를 재순환시키는 단계와; 처리수조부를 통과한 최종처리수를 방류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가압수를 이용한 호소, 저수지, 댐 및 하천의 유기물질, 여양염류 및 조류제거방법에 있어서, 상기 원수유입단계(100)는 흡입구를 통하여 바닥퇴적물과 원수를 함께 흡입하여 세척조부내로 유입시키고; 상기 활성화단계(100)는 상기 원수유입단계(100)에서 세척조부내에 원수와 함께 유입된 퇴적물중 세척조부의 하부에 퇴적되는 골재에 초미세기포를 공급하여 골재를 세척하는 동시에 세척조부내의 원수를 활성화시키며; 처리수조부내에 채워진 처리수를 배수하는 배수단계(109)와; 세척조부내에 세척되어 퇴적된 골재를 채취수단으로 채취하여 세척조부내의 골재를 제거하는 골재제거단계(1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기를 이용한 호소, 저수지, 댐 및 하천의 바닥퇴적물 제거방법.
- 청구항2는 삭제 되었습니다.
- 청구항3는 삭제 되었습니다.
- 수면상에 장비를 부상시키고 이송하기 위한 바지선과; 소정크기의 함체로서 중간부에 소정높이를 갖는 구획웨어가 수직으로 설치되어 활성수조부와 처리수조부로 구획되며, 상기 구획웨어보다 낮은 높이를 갖고 상기 처리수조부의 후단부 내측면과 소정간격져서 수직으로 설치되는 후단웨어와, 상기 처리수조부의 후단면에 형성되어 처리된 최종 처리수를 방류하는 방류구를 구비하고 상기 바지선상에 설치되는 수조와; 상기 활성수조부내에 설치되는 기포공급파이프를 갖고 상기 세척수조부내의 골재에 초미세기포를 분사하여 처리수를 활성화시키는 1차 가압부상설비와; 상기 처리수조부내에 설치되는 기포공급파이프를 갖고 상기 처리수조부내의 처리수에 초미세기포를 공급하는 2차 가압부상설비와; 상기 처리수조부의 후단웨어의 전방측에 설치되어 처리수의 수면상에 부상된 부상슬러지를 제거하는 부상슬러지제거기와; 상기 처리수조부의 저면에 설치되어 침전슬러지를 집적하는 침전슬러지 배플과; 상기 부상슬러지제거기의 후단부에 설치되어 부상슬러지 제거기로부터 부상슬러지를 분리하는 부상오니트랜치와; 상기 부상오니트랜치와 연통되게 연결되어 부상슬러지를 집적하는 부상슬러지 집적조와; 상기 부상슬러지집적조와 이송파이프에 의해 연통되게 연결되어 부상슬러지를 건조하는 자연건조장치와; 상기 이송파이프상에 장착되어 부상슬러지를 이송시키는 이송펌프와; 일단부는 상기 처리수조부의 전단부측과 연통되게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침전슬러지배플 및 부상슬러지집적조와 연통되게 연결되는 재순환파이프와; 상기 재순환파이프상에 장착되어 침전슬러지와 침출수를 재순환시키는 재순환펌프와; 상기 퇴적물흡수장치, 1차 및 2차 가압부상설치, 부상슬러지제거기, 이송펌프 및 재순환펌프에 각각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발전기와; 상기 발전기에 기름을 공급하는 기름탱크와; 상기 바지선을 예인하는 예인선으로 구성되는 가압수를 이용한 호소, 저수지, 댐 및 하천의 유기물질, 영양염류 및 조류제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수조는 세척수조부(16)와 처리수조부(17)로 구획되고, 상기 1차 가압부상실비(19)는 상기 세척수조부(16)내로 초미세기포를 분사하여 처리수를 활성화시키는 동시에 세척수조부(16)내로 유입되는 골재를 세척하며; 바닥퇴적물을 흡입하여 상기 수조(12)의 세척수조부(16)에 퇴적물을 유입시키는 퇴적물흡입장치(18)와; 상기 재순환파이프(30)와 연통되게 연결되어 상기 처리수조부(17)내의 처리수를 배수하기 위한 배수구(31)와; 상기 배수구(31)와 재순환파이프(30)의 연결부상에 장착되어 재순환유로와 배수유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밸브수단(3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기를 이용한 호소, 저수지, 댐 및 하천의 바닥퇴적물 제거시스템.
-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퇴적물흡입장치(18)는 세척수조부(16)측 바지선(11)상에 설치되어 퇴적물을 흡입 및 배출시키는 펌프(18a)와, 소정직경과 길이를 갖는 호스로서 하단부에 흡입구을 갖고 상단부는 상기 펌프(18a)의 흡입구와 좌우회동될 수 있도록 연통되게 연결되어 퇴적물을 흡입하는 흡입호스(18b)와, 흡입된 퇴적물을 세척수조부(16)내로 유입시키기 위하여 일단부는 상기 펌프(18a)의 배출구에 연동되게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세척수조부(16)내에 설치되는 배출호스(18c)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기를 이용한 호소, 저수지, 댐 및 하천의 바닥퇴적물 제거시스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90010254A KR100334742B1 (ko) | 1999-03-25 | 1999-03-25 | 흡입기를 이용한 호소, 저수지, 댐 및 하천의 바닥퇴적물 제거방법 및 그 시스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90010254A KR100334742B1 (ko) | 1999-03-25 | 1999-03-25 | 흡입기를 이용한 호소, 저수지, 댐 및 하천의 바닥퇴적물 제거방법 및 그 시스템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00061304A KR20000061304A (ko) | 2000-10-16 |
KR100334742B1 true KR100334742B1 (ko) | 2002-05-04 |
Family
ID=195776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90010254A KR100334742B1 (ko) | 1999-03-25 | 1999-03-25 | 흡입기를 이용한 호소, 저수지, 댐 및 하천의 바닥퇴적물 제거방법 및 그 시스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334742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75150B1 (ko) | 2009-11-30 | 2010-08-11 | 주식회사 현진기업 | 여과사 세척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처리방법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55743B1 (ko) * | 1999-07-27 | 2004-11-06 | 윤계용 | 하천의 퇴적물 채취선 |
KR100448650B1 (ko) * | 2000-12-18 | 2004-09-13 | 이종경 | 호소, 저수지, 댐의 수질 및 하천의 바닥퇴적물제거시스템 |
KR100422848B1 (ko) * | 2001-03-08 | 2004-03-12 | 학교법인 성균관대학 | 사이펀 관을 이용한 오염물 배출장치 |
KR100406903B1 (ko) * | 2001-03-31 | 2003-11-21 | 엘지건설 주식회사 | 퇴적 준설토 처리 장치 및 방법 |
KR100711257B1 (ko) * | 2006-09-19 | 2007-04-25 | 주식회사 태경이엔지 | 흡입 및 배출이 가능한 살수펌프가 구비된 살수차 |
KR100930602B1 (ko) * | 2009-06-12 | 2009-12-09 | 의왕개발 주식회사 | 친환경 준설선 |
CN106836342A (zh) * | 2017-01-24 | 2017-06-13 | 黄河水利委员会黄河水利科学研究院 | 一种破土射流冲吸式吸泥头 |
CN110734189A (zh) * | 2018-07-18 | 2020-01-31 | 苏州园林营造产业股份有限公司 | 一种景观河的治理方法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00060291A (ko) * | 1999-03-13 | 2000-10-16 | 이종경 | 가압수를 이용한 호소, 저수지, 댐 및 하천의 오염물질, 영양염류 및 조류제거 방법 및 그 시스템 |
-
1999
- 1999-03-25 KR KR1019990010254A patent/KR100334742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00060291A (ko) * | 1999-03-13 | 2000-10-16 | 이종경 | 가압수를 이용한 호소, 저수지, 댐 및 하천의 오염물질, 영양염류 및 조류제거 방법 및 그 시스템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75150B1 (ko) | 2009-11-30 | 2010-08-11 | 주식회사 현진기업 | 여과사 세척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처리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00061304A (ko) | 2000-10-1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729863B1 (ko) | 준설토의 슬러지제거와 오탁수 처리장치 및 그 방법 | |
KR101982969B1 (ko) | 복합 오염토양 정화시스템용 유수분리장치 | |
KR102018647B1 (ko) | 오수 처리차 | |
KR100334742B1 (ko) | 흡입기를 이용한 호소, 저수지, 댐 및 하천의 바닥퇴적물 제거방법 및 그 시스템 | |
CN102644302A (zh) | 一种河道、湖泊淤泥处理系统及其处理方法 | |
KR100922414B1 (ko) | 친환경 수중 준설 장치 및 공법 | |
KR101501473B1 (ko) | 자연적 친환경 방식을 활용한 하수처리 시스템 | |
KR20070007986A (ko) | 초기 우수 유출수 정화장치 | |
KR200422043Y1 (ko) | 준설토의 슬러지제거와 오탁수 처리장치 | |
KR102315734B1 (ko) | 순환모듈을 구비하는 오염토양 정화용 침전조 장치 | |
JP2003334533A (ja) | 土壌洗浄方法及び土壌洗浄装置並びに吸水送気兼用装置 | |
CN106977073B (zh) | 生态清淤集成系统 | |
CN112960877A (zh) | 一种连续式底泥污染物剥离处理方法 | |
KR20000060291A (ko) | 가압수를 이용한 호소, 저수지, 댐 및 하천의 오염물질, 영양염류 및 조류제거 방법 및 그 시스템 | |
KR100943813B1 (ko) | 나노기포 및 응집제를 함유한 미세기포를 이용한 정체성 수역의 오염물 제거장치 및 제거방법 | |
KR101311171B1 (ko) | 준설과정에서의 오탁수 처리장치 | |
KR100336453B1 (ko) | 호소, 저수지, 댐의 수질 및 하천의 바닥퇴적물 제거시스템 | |
KR101925607B1 (ko) | 하천, 호소의 퇴적오니 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퇴적오니 처리 공법 | |
KR100470138B1 (ko) | 이동식 오니(汚泥)처리시스템 | |
JP4382397B2 (ja) | 土砂洗浄装置及び土砂洗浄方法 | |
JP2002355663A (ja) | 高圧噴流土壌洗浄システム及び洗浄方法 | |
KR0116989Y1 (ko) | 하수 슬러지 준설 및 탈수장치 | |
JPH10118698A (ja) | ダム汚泥排砂設備 | |
KR102347977B1 (ko) | 우수처리장치 | |
KR100501795B1 (ko) | 바다, 호소, 하천 등 수역에서의 가압부상공법을 이용한퇴적오니 준설방법 및 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00416 Year of fee payment: 9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