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1171B1 - 준설과정에서의 오탁수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준설과정에서의 오탁수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1171B1
KR101311171B1 KR1020110023405A KR20110023405A KR101311171B1 KR 101311171 B1 KR101311171 B1 KR 101311171B1 KR 1020110023405 A KR1020110023405 A KR 1020110023405A KR 20110023405 A KR20110023405 A KR 20110023405A KR 101311171 B1 KR101311171 B1 KR 1013111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filter
water
reservoir
regular interva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34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05769A (ko
Inventor
강장원
조현서
Original Assignee
(주)에이치엔
주식회사 해양수산연구개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이치엔, 주식회사 해양수산연구개발 filed Critical (주)에이치엔
Priority to KR10201100234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1171B1/ko
Publication of KR201201057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57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11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11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6/00Filter circuits or combinations of filters with other separating devices
    • B01D36/04Combinations of filters with settling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62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 B01D29/64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scrapers, brushes, nozzles, or the like, acting on the cake side of the filtering element
    • B01D29/6438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scrapers, brushes, nozzles, or the like, acting on the cake side of the filtering element nozz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62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 B01D29/66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flushing, e.g. counter-current air-bu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Abstract

본 발명은 준설과정에서 다량의 입자상물질을 포함하는 오탁수로부터 입자상물질 제거가 지속적으로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준설과정에서의 오탁수 방출로 인한 2차오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준설과정에서의 오탁수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준설과정에서의 오탁수 처리장치(A)는,
일측 상단부에 오탁수가 유입되는 유입관(11)이 마련되고, 타측 상단부에 유입관(11)을 통해 유입된 오탁수가 외부로 유출되는 유출관(12)이 마련되며, 저면 중간부에 저장된 오탁수가 강제 배출되는 배수관(13)이 마련된 저장조(10)와;
상기 저장조(10)의 유입관(11)과 유출관(12) 사이 중간에 설치되면서, 양측면이 저장조(10) 내측면에 접하고 저면이 저장조(10) 바닥에 접하는 프레임(21) 내측에 여과부재(22)가 장착된 필터(20)와;
상기 저장조(10)의 일 측벽을 관통하여 필터(20) 후방에 위치하면서, 횡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열된 관체(31) 외면에 종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열된 분사노즐(32)이 마련된 물분사관(30)과;
상기 저장조(10)의 일 측벽을 관통하여 필터(20) 후방에 위치하면서, 횡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열된 관체(41) 외면에 종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열된 분사노즐(42)이 마련된 에어분사관(40);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준설과정에서의 오탁수 처리장치{muddy water treatment apparatus for dredge}
본 발명은 오탁수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준설과정에서 다량의 입자상물질을 포함하는 오탁수로부터 입자상물질 제거가 지속적으로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준설과정에서의 오탁수 방출로 인한 2차오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준설과정에서의 오탁수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해안, 하천, 저수지 등의 바닥에는 모래, 암석, 오니 등의 퇴적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오니 등은 수질오염을 가속화할 뿐만 아니라 생태 환경을 파괴하므로 퇴적물의 퇴적 정도에 따라 준설을 통해 해안, 하천, 저수지 바닥으로부터 퇴적물을 제거하고 있다.
한편, 준설과정에서는 해안, 하천, 저수지 등의 바닥을 파헤치게 되므로 퇴적물이 부양되어 다량의 오탁수가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은 준설과정에서의 오탁수를 그대로 흘릴 경우 입자상물질이 재차 해안, 하천, 저수지 등을 오염시키게 되므로 준설과정에는 통상 오탁수로부터 입자상물질을 제거하는 단계가 포함되어 왔다.
준설과정에서 오탁수로부터의 입자상물질 제거는 다양한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일반적인 준설과정에서의 오탁수로부터 입자상물질 제거방법은 오탁수를 침전조에 가두어 입자상물질을 침전시키는 것이었다.
이와 같은 침전을 통한 오탁수로부터의 입자상물질 제거방법은 오탁수로부터 입자상물질 제거가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기는 하였으나, 침전조의 용량에 제한이 따르는 것이어서 준설이 대규모로 이루어지는 경우 오탁수를 장시간 침전시킬 수 없어 침전에 의한 입자상물질 제거 효과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의 문제를 해소하고자 일부 준설 현장에서는 침전을 거친 오탁수를 여과하는 방법을 적용하고 있다.
침전을 거친 오탁수를 여과하는 방법은 침전을 통해 입자상물질이 일부 제거된 오탁수를 여과필터를 통해 여과함으로써 입자상물질을 한번 더 제거하게 되는 것이었으므로 침전을 통한 오탁수로부터의 입자상물질 제거방법에 비해 입자상물질 제거 효과를 높일 수 있는 것이었으나, 여과필터를 통해 오탁수를 여과하는 과정에서 여과필터 표면에 입자상물질 점착이 이루어져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여과필터를 통한 입자상물질 제거 효과가 급격히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이유로 해당 분야에서는 준설과정에서 오탁수로부터의 입자상물질 제거가 지속적으로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처리장치의 개발을 시도하고 있으나, 현재까지에는 만족할만한 결과를 얻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실정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준설과정에서 다량의 입자상물질을 포함하는 오탁수로부터 입자상물질 제거가 지속적으로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준설과정에서의 오탁수 방출로 인한 2차오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준설과정에서의 오탁수 처리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준설과정에서의 오탁수 처리장치는,
일측 상단부에 침전조로부터의 오탁수가 유입되는 유입관이 마련되고, 타측 상단부에 유입관을 통해 유입된 오탁수가 외부로 유출되는 유출관이 마련되며, 저면 중간부에 저장된 오탁수가 강제 배출되는 배수관이 마련된 저장조와;
상기 저장조의 유입관과 유출관 사이 중간에 설치되면서, 양측면이 저장조 내측면에 접하고 저면이 저장조 바닥에 접하는 프레임 내측에 여과부재가 장착된 필터와;
상기 저장조의 일 측벽을 관통하여 필터 후방에 위치하면서, 횡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열된 관체 외면에 종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열된 분사노즐이 마련된 물분사관과;
상기 저장조의 일 측벽을 관통하여 필터 후방에 위치하면서, 횡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열된 관체 외면에 종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열된 분사노즐이 마련된 에어분사관;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준설과정에서의 오탁수 처리장치는, 필터를 통해 오탁수로부터 입자상물질을 제거하는 과정에서 필터 표면에 입자상물질이 다량 점착되었을 때 물분사관 및 에어분사관으로부터 필터를 향한 물 분사 및 에어 분사를 통해 필터로부터 점착물 제거가 이루어져 필터를 통해 장기간 지속적으로 오탁수로부터 입자상물질 제거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되므로 준설과정에서의 오탁수 방출로 인한 2차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준설과정에서의 오탁수 처리장치의 전체 구조를 보인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준설과정에서의 오탁수 처리장치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준설과정에서의 오탁수 처리장치에서 필터를 통한 오탁수로부터의 입자상물질 제거를 설명하기 위한 작동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준설과정에서의 오탁수 처리장치에서 물분사관의 물 분사를 통한 필터로부터의 점착물 제거를 설명하기 위한 작동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준설과정에서의 오탁수 처리장치에서 에어분사관의 에어 분사를 통한 필터로부터의 점착물 제거를 설명하기 위한 작동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준설과정에서의 오탁수 처리장치에서 필터로부터 제거된 점착물의 배출을 설명하기 위한 작동상태도
이하, 첨부 도면에 의거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준설과정에서의 오탁수 처리장치(A)는 저장조(10)와, 필터(20)와, 물분사관(30)과, 에어분사관(4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저장조(10)는 일측 상단부에 침전조(도면상 미도시)로부터의 오탁수가 유입되는 유입관(11)이 마련된 것이고, 타측 상단부에 유입관(11)을 통해 유입된 오탁수가 외부로 유출되는 유출관(12)이 마련된 것이며, 저면 중간부에 저장된 오탁수가 강제 배출되는 배수관(13)이 마련된 것이다.
이와 같은 저장조(10)에서 유입관(11)과, 유출관(12)과, 배수관(13)상에는 개폐밸브(11a, 12a, 13a)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저장조(10)에서 유입관(11)과, 유출관(12)과, 배수관(13)상에 개폐밸브(11a, 12a, 13a)가 마련됨으로써 유입관(11)을 통한 오탁수의 유입과, 유출관(12)을 통한 오탁수의 유출과, 배수관(13)을 통한 오탁수의 배출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저장조(10) 내에는 유입관(11)과 유출관(12)에 각각 인접하는 탁도계(14)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저장조(10) 내에 유입관(11)과 유출관(12)에 각각 인접하는 탁도계(14)가 마련됨으로써 유입관(11)을 통해 유입된 오탁수의 탁도와 유출관(12)을 통해 유출되는 오탁수의 탁도를 대비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필터(20)는 저장조(10)의 유입관(11)과 유출관(12) 사이 중간에 설치되는 것으로, 양측면이 저장조(10) 내측면에 접하고 저면이 저장조(10) 바닥에 접하는 프레임(21) 내측에 여과부재(22)가 장착된 것이다.
이와 같은 필터(20)에서 여과부재(22)는 스펀지, 부직포, 극세사의 어느 하나로 된 것임이 바람직하다.
필터에서 여과부재(22)가 스펀지, 부직포, 극세사의 어느 하나로 됨으로써 여과부재(22)를 통과하는 오폐수로부터 입자상물질의 제거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상기 물분사관(30)은 저장조(10)의 일 측벽을 관통하여 필터(20) 후방에 위치하는 것으로, 횡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열된 관체(31) 외면에 종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열된 분사노즐(32)이 마련된 것이다.
이와 같은 물분사관(30)에서 분사노즐(32)은 둔각으로 물분사가 이루어지는 것임이 바람직하다.
물분사관(30)에서 분사노즐(32)이 둔각으로 물분사가 이루어지는 것임으로써 분사노즐(32)로부터 분사되는 물이 각 필터(20)의 일면 전체에 고르게 미칠 수 있게 된다.
한편, 물분사관(30)에는 펌프(33)가 연결된다.
물분사관(30)에 펌프(33)를 연결하여 물을 분사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은 일반화된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는 바이다.
상기 에어분사관(40)은 저장조(10)의 일 측벽을 관통하여 필터(20) 후방에 위치하는 것으로, 횡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열된 관체(41) 외면에 종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열된 분사노즐(42)이 마련된 것이다.
이와 같은 에어분사관(40)에서 분사노즐(42)은 둔각으로 에어분사가 이루어지는 것임이 바람직하다.
에어분사관(40)에서 분사노즐(42)이 둔각으로 에어분사가 이루어지는 것임으로써 분사노즐(42)로부터 분사되는 에어가 각 필터(20)의 일면 전체에 고르게 미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에어분사관(40)에서 각 관체(41)는 물분사관(30)의 관체(31)와 관체(31) 사이에 위치하는 것임이 바람직하다.
에어분사관(40)에서 관체(41)가 물분사관(30)의 관체(31) 사이에 위치함으로써 에어분사관(40)으로부터의 에어 분사와 물분사관(30)으로부터의 물 분사가 간섭없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한편, 에어분사관(40)에는 펌프(43)가 연결된다.
에어분사관(40)에 펌프(43)를 연결하여 에어를 분사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은 일반화된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는 바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준설과정에서의 오탁수 처리장치(A)를 통해 오탁수를 처리하는 과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저장조(10)의 유입관(11)을 통해 오탁수의 유입이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 저장조(10)의 유입관(11)은 침전조로부터 이어지는 것이고, 유입관(11)상에는 개폐밸브(11a)가 마련되어 있으므로, 유입관(11)의 개폐밸브를 개방하게 되면 침전조로부터 침전을 거친 오탁수가 저장조(10) 내부로 유입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필터(20)를 통해 오탁수로부터 입자상물질이 제거된다.
본 발명에서 필터(20)는 저장조(10)의 유입관(11) 전방에 마련되어 있으므로 유입관(11)을 통해 유입된 오탁수는 필터(20)를 통과하게 되는데, 필터(20)에는 스펀지 또는 부직포 또는 극세사로 된 여과부재(22)가 마련되어 있으므로 저장조(10) 내부로 유입된 오탁수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20)를 거치는 과정에서 입자상물질 제거가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은 저장조(10) 내에서의 필터(20)를 통한 오탁수로부터의 입자상물질 제거 과정에서 유출관(12)의 개폐밸브(12a)는 개방되고, 배수관(13)의 개폐밸브(13a)는 폐쇄된다.
저장조(10) 내에서 필터(20)를 통한 오탁수로부터의 입자상물질을 제거 과정에서 유출관(12)의 개폐밸브(12a)가 개방되고, 배수관(13)의 개폐밸브(13a)가 폐쇄됨으로써 필터(20)를 거친 오탁수는 저장조 내의 수위가 상승함에 따라 유출관(12)을 통해 저장조(10) 외부로 유출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준설과정에서의 오탁수 처리장치(A)는 필터(20)로부터 점착물의 제거가 가능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필터(20) 후방에는 물분사관(30)이 마련되어 있으므로 물분사관(30)의 분사노즐(32)을 통해 필터(20)에의 고압 물 분사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필터(20) 표면에 입자상물질이 다량 점착되었을 때 유입관(11)의 개폐밸브(11a)를 폐쇄하고 배수관(13)의 개폐밸브(13a)를 개방한 상태에서 펌프(33)를 가동하여 물분사관(30)의 분사노즐(32)을 통해 고압으로 물을 분사하게 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압 분사되는 물이 필터(20)에 미칠 때의 충격으로 필터(20) 표면의 점착물이 떨어지며 제거된 이후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분사관(30)으로부터 분사된 물과 함께 배수관(13)을 통해 저장조(10) 외부로 배출되므로 필터(20)를 통해 오탁수로부터 입자상물질 제거가 지속적으로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필터(20)로부터 점착물 제거 이후 폐쇄되었던 유입관(11)의 개폐밸브(11a)는 개방되고, 개방되었던 배수관(13)의 개폐밸브(13a)는 폐쇄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필터(20) 후방에는 에어분사관(40)이 마련되어 있으므로 에어분사관(40)의 분사노즐(42)을 통해 필터(20)에의 고압 에어 분사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필터(20) 표면에 입자상물질이 다량 점착되었을 때 유입관(11)의 개폐밸브(11a)를 폐쇄하고 배수관(13)의 개폐밸브(13a)를 개방한 상태에서 펌프(43)를 가동하여 에어분사관(40)의 분사노즐(42)을 통해 고압으로 에어를 분사하게 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압 분사되는 에어가 필터(20)에 미칠 때의 충격으로 필터(20) 표면의 점착물이 떨어지며 제거된 이후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분사관(30)으로부터 분사된 물과 함께 배수관(13)을 통해 저장조(10) 외부로 배출되므로 필터(20)를 통해 오탁수로부터 입자상물질 제거가 지속적으로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필터(20)로부터 점착물 제거 이후 폐쇄되었던 유입관(11)의 개폐밸브(11a)는 개방되고, 개방되었던 배수관(13)의 개폐밸브(13a)는 폐쇄된다.
한편, 필터(20)로부터 점착물 제거는 필터(20)의 여과 효율이 저하된 시점에서 이루어지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저장조(10)의 내부에는 유입관(11)과 유출관(12)에 각각 인접하여 탁도계(14)가 마련되어 있으므로 필터(20)를 거치기 이전의 오탁수 탁도와 필터(20)를 거친 이후의 오탁수 탁도를 대비하여 그 차이가 필터(20)를 통한 오탁수 여과 초기의 탁도차에 비해 현격히 저하된 경우 필터(20)에 다량의 입자상물질이 점착되어 여과 효율이 저하된 것으로 간주하여 필터(20)로부터 점착물 제거가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의 설명에서는 물분사관(30)의 물 분사와 에어분사관(40)의 에어 분사를 분리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이해를 돕고자 하는 것일 뿐 본 발명에 의한 준설과정에서의 오탁수 처리장치(A)는 필터(20)로부터 점착물 제거시 물분사관(30)의 물 분사와 에어분사관(40)의 에어 분사가 동시에 이루어짐으로써 필터(20)로부터 점착물 제거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준설과정에서의 오탁수 처리장치(A)는 필터(20)를 통해 오탁수로부터 입자상물질을 제거하는 과정에서 물분사관(30)의 고압 물 분사 및 에어분사관(40)의 고압 에어 분사에 의해 필터(20)로부터 점착물 제거가 가능한 것이어서, 필터(20)를 통해 오탁수로부터의 입자상물질 제거가 지속적으로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게 되므로 준설 과정에서 오탁수 방출로 인한 2차 오염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므로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안에서 변경 가능한 것이며, 그와 같은 변경은 기재된 청구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 : 저장조 11 : 유입관
11a : 개폐밸브 12 : 유출관
12a : 개폐밸브 13 : 배수관
14 : 탁도계 13a : 개폐밸브
20 : 필터 21 : 프레임
22 : 여과부재 30 : 물분사관
31 : 관체 32 : 분사노즐
33 : 펌프 40 : 에어분사관
41 : 관체 42 : 분사노즐
43 : 펌프 A : 오탁수 처리장치

Claims (7)

  1. 일측 상단부에 침전조로부터의 오탁수가 유입되는 유입관(11)이 마련되고, 타측 상단부에 유입관(11)을 통해 유입된 오탁수가 외부로 유출되는 유출관(12)이 마련되며, 저면 중간부에 저장된 오탁수가 강제 배출되는 배수관(13)이 마련된 저장조(10)와; 상기 저장조(10)의 유입관(11)과, 유출관(12)과, 배수관(13)상에는 개폐밸브(11a, 12a, 13a)가 마련되고, 저장조(10)의 내부에는 유입관(11)과 유출관(12)에 각각 인접하는 탁도계(14)가 마련된 오탁수 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저장조(10)의 유입관(11)과 유출관(12) 사이 중간에 설치되면서, 양측면이 저장조(10) 내측면에 접하고 저면이 저장조(10) 바닥에 접하는 프레임(21) 내측에 스펀지, 부직포, 극세사 중 어느 하나로 된 여과부재(22)가 장착된 필터(20)와;
    상기 저장조(10)의 일 측벽을 관통하여 필터(20) 후방에 위치하면서, 횡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열된 관체(31) 외면에 종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열된 분사노즐(32)이 마련된 물분사관(30)과;
    상기 저장조(10)의 일 측벽을 관통하여 필터(20) 후방에 위치하면서, 횡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열된 관체(41) 외면에 종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열된 분사노즐(42)이 마련된 에어분사관(40)과:
    상기 에어분사관(40)의 각 관체(41)는 물분사관(30)의 관체(31)와 관체(31)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준설과정에서의 오탁수 처리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10023405A 2011-03-16 2011-03-16 준설과정에서의 오탁수 처리장치 KR1013111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3405A KR101311171B1 (ko) 2011-03-16 2011-03-16 준설과정에서의 오탁수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3405A KR101311171B1 (ko) 2011-03-16 2011-03-16 준설과정에서의 오탁수 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5769A KR20120105769A (ko) 2012-09-26
KR101311171B1 true KR101311171B1 (ko) 2013-09-23

Family

ID=471125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3405A KR101311171B1 (ko) 2011-03-16 2011-03-16 준설과정에서의 오탁수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117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6204B1 (ko) * 2021-04-21 2022-07-05 주식회사 코스모테크 리드식 수위계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9031B1 (ko) * 2014-12-31 2017-01-23 에코엔텍(주) 수처리 장치
CN109758815B (zh) * 2019-03-28 2021-04-20 山东创优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植物油油料分离设备
CN114275402B (zh) * 2021-11-22 2022-10-28 浙江微盾环保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医疗废物处理的水循环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4731U (ja) * 1992-09-02 1994-04-05 日立プラント建設株式会社 固液分離装置
JPH09164304A (ja) * 1995-12-15 1997-06-24 Tsutomu Tomiyama 濾過浄水装置
JP2004305902A (ja) 2003-04-07 2004-11-04 Hitachi Plant Eng & Constr Co Ltd 濾過機
KR100938216B1 (ko) * 2009-07-16 2010-01-22 김미란 공극제어형 그물망 압착식 섬유여과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4731U (ja) * 1992-09-02 1994-04-05 日立プラント建設株式会社 固液分離装置
JPH09164304A (ja) * 1995-12-15 1997-06-24 Tsutomu Tomiyama 濾過浄水装置
JP2004305902A (ja) 2003-04-07 2004-11-04 Hitachi Plant Eng & Constr Co Ltd 濾過機
KR100938216B1 (ko) * 2009-07-16 2010-01-22 김미란 공극제어형 그물망 압착식 섬유여과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6204B1 (ko) * 2021-04-21 2022-07-05 주식회사 코스모테크 리드식 수위계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5769A (ko) 2012-09-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2275B1 (ko) 초기우수분리 및 자동역세와 정체수 배출이 가능한 비점오염저감시설
KR101692678B1 (ko) 비점오염저감시설의 여과 및 역세척 장치
KR101311171B1 (ko) 준설과정에서의 오탁수 처리장치
KR101661997B1 (ko) 역세척이 가능한 여과시설 및 그를 이용한 배수제어시스템
KR101736743B1 (ko) 자동 역세척 및 정체수 처리 기능을 갖는 비점오염 저감시설의 자동 역세척장치
KR20190083289A (ko) 합류식 하수관거 월류수의 부유물질 제거를 위한 여과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수처리 방법
KR101637078B1 (ko) 초기우수의 수 처리시스템
KR101656664B1 (ko) 카트리지 모듈식 침투도랑 전처리조, 이를 이용한 카트리지 모듈식 침투도랑 여과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우수의 여과 방법
KR101580859B1 (ko) 우·오수 및 빗물 재이용 여과형 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처리와 역세 방법
KR20120022028A (ko) 무인 자동 제어가 가능한 초기우수 처리장치
KR101527005B1 (ko) 오염수 정화장치
KR102009847B1 (ko) 비점오염 저감 및 모니터링 시스템
KR100805877B1 (ko) 하수도용 저류조 월류수 스크린장치
KR101608043B1 (ko) 비점오염 처리 시설
JP5051921B2 (ja) 洗浄水リサイクル機構付き吸引清掃車
KR100334742B1 (ko) 흡입기를 이용한 호소, 저수지, 댐 및 하천의 바닥퇴적물 제거방법 및 그 시스템
KR101560158B1 (ko) 역세척 초기 우수 처리장치
KR101713397B1 (ko) 자동 역세척이 가능한 초기우수 처리장치
KR101309232B1 (ko) 준설과정에서의 오탁수 처리장치
KR102441181B1 (ko) 우수처리설비 및 우수처리방법
KR101764721B1 (ko) 역세척이 가능한 비점오염저감시설 및 그 자동 역세척 시스템
KR101104553B1 (ko) 터널 유출수 처리장치
JP2007000737A (ja) 既存の処理施設を有効利用した合流式下水道の固液分離装置及び下水処理方法
KR20230065482A (ko) 계단식 스크린을 구비한 비점오염저감시설
KR101181324B1 (ko) 수처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