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33763B1 - 수직위빙용접용 캐리지 제어회로 - Google Patents

수직위빙용접용 캐리지 제어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33763B1
KR100333763B1 KR1019990037287A KR19990037287A KR100333763B1 KR 100333763 B1 KR100333763 B1 KR 100333763B1 KR 1019990037287 A KR1019990037287 A KR 1019990037287A KR 19990037287 A KR19990037287 A KR 19990037287A KR 100333763 B1 KR100333763 B1 KR 1003337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aving
motor
unit
carriage
light em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372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26108A (ko
Inventor
오민열
이창근
이재호
Original Assignee
신영균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영균,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신영균
Priority to KR10199900372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33763B1/ko
Publication of KR200100261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261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37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376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2Carriages for supporting the welding or cutting element
    • B23K37/0258Electric supply or control circuits therefor

Abstract

장착된 용접기가 수직으로 위빙동작을 하면서 용접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캐리지가 레일이 없이 자동으로 수직위빙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수직위빙용접용 캐리지 제어회로가 개시되어 있다. 수직위빙용접용 캐리지의 일측에는 위빙모터의 위치를 감지하는 위빙위치감지센서를 설치하고, 상기 위빙위치감지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신호는 제어부에 인가되도록 하며, 상기 제어부는 위빙위치감지센서로부터 인가되는 신호를 분석하여 제어부에 구비된 제1발광부 및 제2발광부를 통해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므로써 주행모터 및 위빙모터에 접속되어 있는 제1스위칭부 및 제2스위칭부가 스위칭동작을 하여 주행모터 및 위빙모터의 동작이 제어된다. 상기 주행모터 및 위빙모터의 동작이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므로 수직위빙용접용 캐리지의 위빙동작을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다.

Description

수직위빙용접용 캐리지 제어회로{Circuit for controlling a carriage of a welding machine vertically}
본 발명은 용접기용 캐리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용접기가 장착되어 용접기가 수직으로 위빙동작을 하면서 용접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캐리지가 레일이 없이 자동으로 수직위빙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수직위빙용접용 캐리지 제어회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용접기가 장착되는 캐리지는 마그네틱 레일을 따라 이동을 하면서 수직용접을 수행한다. 상기 용접기가 장착되는 캐리지는 무게가 무거워 이동이 불편하고, 위빙동작이 원활하지 못하여 작업중에 작업자가 일일이 조작을 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용접기가 장착되는 캐리지의 일측부에 제어회로를 설치하여 캐리지가 제어회로의 제어에 따라 신속하게 수직위빙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수직위빙용접용 캐리지 제어회로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직위빙용접용 캐리지 제어회로를 나타낸 회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전원공급부 12 : 정전압부
14 : 주행스위치 16 : 위빙위치감지센서
18 : 기능선택스위치 20 : 주행모터
22 : 위빙모터 24 : 동작스위치
26 : 스톱스위치 30 : 주행모터구동부
40 : 위빙모터구동부 50 : 제1스위칭부
52 : 제1수광부 60 : 제2스위칭부
62 : 제2수광부 70 : 제어부
72 : 제1발광부 74 : 제2발광부
90 : 시간지연설정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을 일정한 전압으로 변환시키는 전원공급부; 상기 전원공급부로부터 인가되는 전압을 일정하게 유지시켜주는 정전압부; 상기 전원공급부로부터 인가되는 전압에 의해 주행모터를 구동시키는 주행모터구동부; 상기 전원공급부로부터 인가되는 전압에 의해 위빙모터를 구동시키는 위빙모터구동부; 위빙모터의 위빙위치를 감지하는 위빙위치감지센서; 상기 위빙위치감지센서로부터 인가되는 신호에 따라 위빙모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에 접속되어 위빙위치에서 위빙모터의 동작지연시간을 설정하는 지연시간설정부; 상기 주행모터와 주행모터구동부의 사이에 접속되어 제어부에 접속된 제1발광부로부터 발생되는 발광신호에 따라 온/오프되는 제1스위칭부; 그리고 상기 위빙모터와 위빙모터구동부의 사이에 접속되어 제어부에 접속된 제2발광부로부터 발생되는 발광신호에 따라 온오프되는 제2스위칭부로 이루어지는 수직위빙용접용 캐리지 제어회로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직위빙용접용 캐리지 제어회로를 나타낸 회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캐리지의 형상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캐리지의 동작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발명에 따른 수직위빙용접용 캐리지 제어회로를 설명하면, 먼저, 외부 전원단자(도시 안됨)로부터 인가되는 전압은 전원공급부(10)의 트랜스포머(T1)를 통해 일정한 전압(예 : 15V)으로 변환된 후 정전압부(12)에 인가되고, 상기 정전압부(12)는 전원공급부(10)로부터 인가되는 전압값이 일정하도록 유지시켜 준다. 상기 정전압부(12)에는 제어부(70) 및 시간지연설정부(90)가 접속된다. 상기 시간지연설정부(90)를 통해 캐리지(도시 안됨)의 방향전환시간을 설정하게 된다. 즉, 상기 위빙모터(22)가 위빙동작을 위해 방향전환하는 위치에서 일정한 시간동안 동작을 지연시키는 시간을 시간지연설정부(90)에서 가변저항(VR)을 이용하여 조절하게 된다. 상기 시간지연설정부(90)에서 설정된 시간에 해당하는 신호가 제어부(70)의 17번 단자를 통해 제2발광부(74)에 인가되고, 상기 제2발광부(74)에서는 제어부(70)로부터 인가되는 신호에 해당하는 시간동안 발광신호를 발생하게 된다.
상기 위빙모터(22)가 방향전환하는 위치는 제어부(70)에 접속되어 있는 위빙위치감지센서(16)로부터 인가되는 신호에 의해 알 수 있다. 상기 위빙위치감지센서(16)는 위빙모터(22)의 근접부에 설치되어 위빙모터(22)의 위치를 감지한후 제어부(70)에 8, 9 및 10단자를 통해 인가한다.
상기 제어부(70)에는 제1발광부(72)와 제2발광부(74)가 구비되며, 상기 제1발광부(72) 및 제2발광부(74)는 제어부(70)로부터 인가되는 신호에 따라 발광동작을 실행하게 된다. 즉, 상기 제어부(70)는 위빙위치감지센서(16)로부터 인가되는 신호를 분석한 후 시간지연설정부(90)에서 설정된 지연시간에 따라 제1발광부(72) 또는 제2발광부(74)에 신호를 인가함으로써 제1발광부(72) 또는 제2발광부(74)가 발광동작을 하도록 한다.
상기 제1발광부(72)에서 발생되는 발광신호는 제1스위칭부(50)의 제1수광부(52)에 인가되고, 상기 제2발광부(74)에서 발생되는 발광신호는 제2스위칭부(60)의 제2수광부(62)에 인가된다. 상기 제1발광부(72) 및 제2발광부(74)에서 발광신호를 발생하지 않으면 제1스위칭부(50)의 제1수광부(52)와 제2스위칭부(60)의 제2수광부(62)에 발광신호가 인가되지 않으므로 제1스위칭부(50) 및 제2스위칭부(60)는 오프상태가 된다. 반대로, 상기 제1발광부(72) 및 제2발광부(74)에서 발광신호를 발생하면 제1스위칭부(50)의 제1수광부(52)와 제2스위칭부(60)의 제2수광부(62)에 발광신호가 인가되므로 제1스위칭부(50) 및 제2스위칭부(60)는 온상태가 된다.
상기 전원공급부(10)에는 주행모터구동부(30)와 위빙모터구동부(40)가 병렬로 접속되고, 상기 주행모터구동부(30)는 제1스위칭부(50)를 통해 주행모터(20)가 접속되며, 상기 위빙모터구동부(40)는 제2스위칭부(60)를 통해 위빙모터(22)가 접속된다.
상기 주행모터구동부(30)의 제1가변저항(VR1)은 주행모터(20)의 속도를 조절하게 되고, 위빙모터구동부(40)의 제2가변저항(VR2)은 위빙모터(22)의 속도를 조절하게 되므로, 주행모터(20)와 위빙모터(22)는 주행모터구동부(30)와 위빙모터구동부(40)로부터 인가되는 신호에 의해 동작속도가 결정된다.
상기 전원공급부(10)에는 동작스위치(24)와 스톱스위치(26)가 직렬로 접속되며, 상기 동작스위치(24)가 온절환되면 릴레이기능을 하는 CR1에 의해 제어부(70)의 7번단자에 접속되어 있는 CR2가 이를 감지하여 제어부(70)에 동작신호를 인가한다. 상기 제어부(70)는 CR2로부터 인가되는 동작신호에 따라 제1발광부(72) 및 제2발광부(74)가 발광신호를 발생하도록 하고, 상기 제1발광부(72) 및 제2발광부(74)가 발광신호를 발생하면 제1스위칭부(50) 및 제2스위칭부(60)가 온절환되어 주행모터(20) 및 위빙모터(22)가 동작을 하게 된다.
상기 캐리지의 동작을 정지시키기 위해 스톱스위치(26)를 작동시키면 CR1이 릴레이기능을 하지 않게 되므로 제어부(70)의 제1발광부(72) 및 제2발광부(74)가 발광신호를 발생하지 않게 되므로 제1스위칭부(50) 및 제2스위칭부(60)가 오프상태로 절환되어 주행모터(20) 및 위빙모터(22)가 동작을 하지 않게 된다.
상기 제어부(70)의 13, 14 및 15단자에는 캐리지의 기능을 선택하는 기능선택스위치(18)가 접속되고, 제어부(70)의 11 및 12단자에는 주행스위치(14)가 접속된다. 상기 기능선택스위치(18)를 이용하여 제1발광부(72) 및 제2발광부(74)의 기능을 선택하여 다양한 기능을 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주행스위치(14)는 캐리지가 용접기능을 수행하지 않으면서 주행을 할 경우 사용하게 된다.
도면에서 R은 저항이고, D는 다이오드이고, C는 캐패시터이고, VR은 가변저항이고, 28은 용접시작과 끝을 감지하는 근접센서이며, 80은 주행모터의 회전방향을 변환시키는 정역스위치이다.
이상 설명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수직위빙용접용 캐리지의 일측에는 위빙모터의 위치를 감지하는 위빙위치감지센서를 설치하고, 상기 위빙위치감지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신호를 제어부가 감지하여 주행모터 및 위빙모터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자동으로 수직위빙용접용 캐리지가 위빙동작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Claims (4)

  1.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을 일정한 전압으로 변환시키는 전원공급부; 상기 전원공급부로부터 인가되는 전압을 일정하게 유지시켜주는 정전압부; 상기 전원공급부로부터 인가되는 전압에 의해 주행모터를 구동시키는 주행모터구동부; 상기 전원공급부로부터 인가되는 전압에 의해 위빙모터를 구동시키는 위빙모터구동부; 위빙모터의 위빙위치를 감지하는 위빙위치감지센서; 상기 위빙위치감지센서로부터 인가되는 신호에 따라 위빙모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에 접속되어 위빙위치에서 위빙모터의 동작지연시간을 설정하는 지연시간설정부; 상기 주행모터와 주행모터구동부의 사이에 접속되어 제어부에 접속된 제1발광부로부터 발생되는 발광신호에 따라 온오프되는 제1스위칭부; 그리고 상기 위빙모터와 위빙모터구동부의 사이에 접속되어 제어부에 접속된 제2발광부로부터 발생되는 발광신호에 따라 온오프되는 제2스위칭부로 이루어지는 수직위빙용접용 캐리지 제어회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위빙모터구동부에는 위빙모터의 동작속도를 조절하는 제2가변저항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위빙용접용 캐리지 제어회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지연설정부는 가변저항으로 이루어지며, 위빙모터의 위치를 감지하는 위빙위치감지센서로부터 인가되는 위치에서 위빙모터가 일시적으로 정지하는 시간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위빙용접용 캐리지 제어회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모터구동부에는 주행모터의 동작속도를 조절하는 제1가변저항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위빙용접용 캐리지 제어회로.
KR1019990037287A 1999-09-03 1999-09-03 수직위빙용접용 캐리지 제어회로 KR1003337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7287A KR100333763B1 (ko) 1999-09-03 1999-09-03 수직위빙용접용 캐리지 제어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7287A KR100333763B1 (ko) 1999-09-03 1999-09-03 수직위빙용접용 캐리지 제어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6108A KR20010026108A (ko) 2001-04-06
KR100333763B1 true KR100333763B1 (ko) 2002-04-25

Family

ID=196099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7287A KR100333763B1 (ko) 1999-09-03 1999-09-03 수직위빙용접용 캐리지 제어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33763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25371A (ja) * 1982-01-22 1983-07-2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ウイ−ビング溶接機の制御装置
JPS60240379A (ja) * 1984-05-16 1985-11-29 Toshiba Corp 自動溶接装置
JPS62279085A (ja) * 1986-05-26 1987-12-03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自動溶接機におけるトーチの位置制御方法
KR19980057874A (ko) * 1996-12-30 1998-09-25 이대원 용접위빙장치
KR19990011015U (ko) * 1997-08-30 1999-03-25 김징완 용접기의 위빙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25371A (ja) * 1982-01-22 1983-07-2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ウイ−ビング溶接機の制御装置
JPS60240379A (ja) * 1984-05-16 1985-11-29 Toshiba Corp 自動溶接装置
JPS62279085A (ja) * 1986-05-26 1987-12-03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自動溶接機におけるトーチの位置制御方法
KR19980057874A (ko) * 1996-12-30 1998-09-25 이대원 용접위빙장치
KR19990011015U (ko) * 1997-08-30 1999-03-25 김징완 용접기의 위빙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6108A (ko) 2001-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33763B1 (ko) 수직위빙용접용 캐리지 제어회로
KR100200639B1 (ko) 자동 용접장치의 용접토오치 경로 보정방법
US6359407B1 (en) Windshield wiper device
KR100976592B1 (ko) 선루프 장치용 구동모터의 제어장치, 선루프 장치 및선루프 장치용 구동모터의 제어 방법
JP2984392B2 (ja) スタッド溶接機
KR100792904B1 (ko) 전자 제어 와이퍼 구동 장치 및 방법
CN110814469B (zh) 一种多模式自动弧压调节控制系统
KR0116266Y1 (ko) 대전류 서브머지드 아-크 용접의 수직, 수평붐을 이용한 용접선 추적장치
JPH05156665A (ja) 建設機械の制御装置
KR0166133B1 (ko) 굴삭기의 주행속도 자동절환장치
JP2000143133A (ja) エレベータドアの制御装置
JP2876449B2 (ja) 鉄道模型車両制御装置
JP4006952B2 (ja) 溶接装置
JP3610708B2 (ja) 電動機の駆動制御装置
JP2008207215A (ja) 消耗電極アーク溶接のくびれ検出制御方法
KR100752114B1 (ko) 전동 지게차의 제동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JPH092144A (ja) リフトトラックのヘッドランプ照度制御装置
KR100234807B1 (ko) 전동 지게차의 플라이백 다이오드의 상태검출 방법
JP4101479B2 (ja) 加工条件表示装置を備えたアーク加工機及びアーク溶接機の溶接条件表示装置
KR20060036272A (ko) 피크 앤드 홀드 엑츄에이터의 전압 변동에 대한 러싱 구간제어장치
JP2002172464A (ja) 消耗性電極式溶接機のモータ駆動方法及び駆動装置
KR200368288Y1 (ko) 용접기의 오토캐리지
KR0152095B1 (ko) 접촉센서를 이용한 장애물 감지장치
KR19980059859A (ko) 전동식 승하강 개폐칠판의 상하 이송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0138413B1 (ko) 차량의 방향지시등 점멸제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41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