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33182B1 - 소액거래 관리시스템 - Google Patents

소액거래 관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33182B1
KR100333182B1 KR1019990002923A KR19990002923A KR100333182B1 KR 100333182 B1 KR100333182 B1 KR 100333182B1 KR 1019990002923 A KR1019990002923 A KR 1019990002923A KR 19990002923 A KR19990002923 A KR 19990002923A KR 100333182 B1 KR100333182 B1 KR 1003331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action
card
micro
approval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029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37823A (ko
Inventor
이종인
김강형
Original Assignee
이종인
주식회사 스마트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인, 주식회사 스마트로 filed Critical 이종인
Priority to KR10199900029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33182B1/ko
Publication of KR199900378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78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31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3182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22Payment schemes or models
    • G06Q20/29Payment schemes or models characterised by micropay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22Payment schemes or models
    • G06Q20/24Credit schemes, i.e. "pay af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20Point-of-sale [POS] network system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 Cash Registers Or Receiv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액거래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신용카드 또는 직불카드를 이용하여 오프-라인으로 소액거래할 수 있도록 하여 온-라인 거래에 소요 되는 비용을 절감하고, 카드 사용자로 하여금 소액거래를 위하여 별도의 카드를 보유할 필요가 없게 되어 카드 사용자의 편의를 증진시키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신용카드나 직불카드로 사용되는 M/S 카드, IC 카드, RF 카드, 태그 등 다양한 기록매체에 현행의 온-라인에 의한 신용카드 또는 직불카드의 조회시 선승인 번호를 취득하여, 또한 기록매체내에 사용 가능한 한도금액을 획득하여 신용카드 또는 직불카드를 사용, 오프-라인에 의한 소액거래를 가능하게 하는 체계로서, 사용한도금액 이내에서 소액거래는 오프-라인에 의하여 진행하며, 매 오프라인에 의한 소액거래시 카드로 사용되는 기록매체에 사용한도금액에서 서비스금액에 해당하는 금액을 차감하여 기록한다. 그리고 오프-라인에 의하여 운용되는 서비스 기기는 각 카드의 내용을 판독/기록하여 기기내에 카드의 번호, 선승인 번호, 거래 금액을 판독하고, 기록 보관하여 거래를 완성한다.

Description

소액거래 관리시스템{Management system for dealings on a small sum of money}
본 발명은 신용카드나 직불카드 등에 의해 이루어지는 소액거래를 효율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신용판매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신용카드 또는 직불카드에 의한 소액 거래시 카드정보를 조회하는데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줄임으로써, 신용카드 및 직불카드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고, 카드 서비스를 제공하는 카드 관리사(카드 발급사 또는 대행사)의 관리비용 등을 축소할 수 있도록 하여 카드의 사업성을 제고시키며, 또한 카드 사용을 활성화하여 수익성을 높일 수 있는 소액거래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카드 사용 고객의 편의를 고려하여 신용카드 또는 직불카드의 소액거래 적용이 요구되어지고 있으나, 신용카드 또는 직불카드 사업자 입장에서는 수익에 문제가 되어 확대적용이 되지 않고 있다. 특히 최근 고주파 무선(RF) 카드 또는 집적회로칩(IC) 카드를 이용한 카드의 다양한 응용분야에 적용을 검토하고 있으나, 신용카드 또는 직불카드의 적용시 필요 소요비용이 상쇄되지 않아 관련 사업의 적자를 면치 못하고 있는 실정에 있다.
상기 카드들의 정보 조회방법은 카드 발급사와의 직접 통신에 의해 카드정보를 조회하는 온-라인(유, 무선 통신 선로를 경유한) 조회방식을 사용하고 있으며, 그 밖의 다른 카드들은 카드 발급사와 직접적으로는 통신하지 않고 중간의 중계 호스트를 통해 간접적으로 카드정보를 조회하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특히 신용카드나 직불카드들은 오프-라인 조회가 불가능하여 온-라인 조회방식을 적용하고 있으므로, 매번 사용할 때 마다 해당 거래에 대한 조회를 온-라인 통신에 의하여 실시해야 하며, 이러한 온-라인 통신에 의한 신용조회 또는 잔액확인 및 거래 승인을 처리하여야 한다.
이러한 신용카드나 직불카드를 소액거래를 위해 사용하게 되면, 온-라인 조회에 따른 통신비용이나 조회비용 및 관리비용이 과다하게 소요되어 거래에 의하여 얻을 수 있는 수익보다 관리비용이 많아 실익이 없으며, 또한 지역적으로 온-라인 조회를 할 수 없는 분야(장소)에서의 카드 거래의 확대가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정보기록매체가 다르거나 또는 발급사(또는 대행사)가 다른 여러 종류의 신용 또는 직불카드의 판독과 기록이 모두 가능한 카드 단말기에서 카드정보를 독취하여 소액거래 가능여부 및 오프-라인 거래에 필요한 선승인에 의한 사용한도잔액과 거래하고자 하는 금액을 체크하여 이상이 없는 경우 즉시 소액거래를 승인함으로써, 관리비용이 저렴한 오프-라인 조회에 의하여 신속하게 거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소액거래 관리시스템을 제공함에 제 1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정보기록매체가 다르거나 또는 각 카드 발급사가 다른 여러 종류의 신용 또는 직불카드의 판독과 기록이 모두 가능한 카드 단말기에서 카드정보를 독취하여 소액거래 여부 및 선승인에 의한 사용한도잔액과 거래하고자 하는 금액을 체크하여 이상이 없는 경우 즉시 소액거래를 승인함으로써, 관리비용이 저렴한 오프-라인 조회에 의하여 신속하게 거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상기 사용한도잔액과 거래하고자 하는 금액 체크결과에 이상이 있는 경우는 오프-라인 거래를 위한 선승인에 의한 사용한도잔액을 온-라인 조회를 통해 새로 부여받아 상기 소액거래를 승인함으로써, 보다 저렴한 관리비용과 정확한 조회정보에 의해 신속한 소액거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소액거래 관리시스템을 제공함에 제 2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온-라인 경로를 통해 여러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조회정보를 체크하여 카드번호에 해당하는 고객의 데이터 베이스를 관리하는 호스트 컴퓨터에서, 소액거래를 원하는 카드번호와 그 카드번호에 대응하는 선승인 번호 및 선승인 사용한도잔액을 고객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여 관리하고, 카드의 사용한도잔액의 범위에서 새로운 선승인 번호와 그에 따른 선승인 사용한도잔액을 상기 카드에 부여하도록 함으로써, 소액거래에 따른 고객 거래자료 데이터 베이스 및 선승인 관련 데이터 베이스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소액거래 관리시스템을 제공함에 제 3목적이 있다.
상기 제 1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정보기록매체가 다르거나 또는 각 카드 발급사가 다른 여러 종류의 신용 또는 직불카드의 판독과 기록이 모두 가능한 카드 단말기에서의 신용거래를 관리하는 시스템에 있어서,카드로부터 정보를 독취하여 소액거래가 가능한 카드인지를 판단하는 제 1단계와; 상기 판단결과, 소액거래가 가능한 카드에 대하여는 카드번호와, 선승인 번호와, 상기 선승인에 의한 사용한도잔액을 포함하는 소액거래정보와 거래요청된 금액을 체크하여 거래 이행 여부를 판단하는 제 2단계와; 상기 판단결과, 거래 이행이 가능한 상태로 판단되는 카드에 대하여는 요청된 거래를 이행함과 아울러 거래승인 상태를 표시하고, 상기 카드에서 독취된 소액거래정보를 상기 거래 이행에 따른 새로운 소액거래정보로 변경하여 카드의 소액거래정보 저장영역에 갱신 기록하는 제 3단계와; 상기 제 3단계에서 이행된 거래에 따른 소액거래정보를 자신이 관리하는 데이터 베이스의 소액거래정보 저장영역에 해당 카드번호와 함께 갱신 저장하는 제 4단계와; 상기 제 2단계에서 거래 이행이 불가능한 상태로 판단되는 카드에 대하여는 온-라인 조회경로를 통해 소액거래정보 갱신 요청을 처리하고, 상기 온-라인 조회결과로 얻은 새로운 소액거래정보를 카드에 갱신 기록하는 제 6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액거래 관리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제 2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정보기록매체가 다르거나 또는 각 카드 발급사가 다른 여러 종류의 신용 또는 직불카드의 판독과 기록이 모두 가능한 카드 단말기에서의 신용거래를 관리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카드로부터 정보를 독취하여 소액거래가 가능한 카드인지를 판단하는 제 1단계와; 상기 판단결과, 소액거래가 가능한 카드에 대하여는 소액거래정보와 거래요청된 금액을 체크하여 거래 이행 여부를 판단하는 제 2단계와; 상기 판단결과, 거래 이행이 가능한 상태로 판단되는 카드에 대하여는 요청된 거래를 이행함과 아울러 거래승인 상태를 표시하고, 상기 카드에서 독취된 소액거래정보를 상기 거래 이행에 따른 새로운 소액거래정보로 변경하여 카드의 소액거래정보 저장영역에 갱신 기록하는 제 3단계와; 상기 제 3단계에서 이행된 거래에 따른 소액거래정보를 자신이 관리하는 데이터 베이스의 소액거래정보 저장영역에 해당 카드번호와 함께 갱신저장하는 제 4단계와; 상기 제 2단계에서 거래 이행이 불가능한 상태로 판단되는 카드에 대하여는 온-라인 조회경로를 통해 소액거래정보 갱신 요청을 처리하고, 상기 온-라인 조회결과로 얻은 새로운 소액거래정보를 카드에 갱신 기록하는 제 6단계를 포함하는 소액거래 관리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서, 상기 제 1단계는 카드로부터 독취된 정보에 카드 발급사를 구별하기 위한 카드 발급사 식별정보, 또는 카드 신용도에 따라 부여된 소액거래정보, 또는 선승인에 의하여 부여된 소액거래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를 소액거래가 가능한 카드로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서, 상기 소액거래정보는 카드번호와, 선승인 번호와, 사용한도횟수, 상기 선승인에 의한 사용한도잔액, 또는 상기 선승인에 의한 1회 사용한도잔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서, 상기 제 2단계는 소액거래정보에 포함된 사용한도횟수, 또는 선승인에 의한 신용한도잔액과 거래요청된 금액을 체크하여, 사용한도 횟수 이하이거나, 선승인에 의한 신용한도잔액이 거래 요청된 금액을 수용하는 경우, 및/ 또는 1회 사용한도금액 이하인 경우, 거래 이행 가능한 상태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의 각 실시예는, 상기 제 4단계에서 자신의 데이터 베이스에 갱신 저장된 소액거래정보를 지정된 처리방식에 따라 체크하여 온-라인 처리방식(또는 오프-라인 처리방식)에 의해 자동으로 조회하는 제 5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제 6단계는 독취된 카드번호와 현재의 선승인 번호 및 현재의 선승인에 필요한 잔액을 온-라인 경로를 통해 전송하여 오프-라인 선승인에 의한 신용한도잔액 갱신을 요청하고, 수신대기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대기상태에서 자료가 수신되면, 온-라인 조회결과를 판독하여 유효한 카드에 대하여는 선승인 번호 및 선승인 한도금액을 카드에 갱신 기록한 후 상기 제 1단계로 복귀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제 6단계는 온-라인 경로를 통해 오프-라인 선승인에 의한 신용한도잔액 갱신을 요청하기 위하여, 비밀번호가 필요한 카드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비밀번호가 필요한 카드에 대하여 온-라인 조회경로로 전송할 비밀번호를 입력받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3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온-라인 경로를 통해 여러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조회정보를 체크하여 카드번호에 해당하는 고객의 데이터 베이스를 관리하는 호스트 컴퓨터에서의 관리시스템에 있어서, 카드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조회정보를 체크하여 유효한 카드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 결과, 유효한 카드에 대하여는 그 카드번호에 대응하는 소액거래정보를 고객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고, 상기 소액거래정보내의 사용한도와 카드사용한도잔액을 확인하여 새로운 소액거래정보를 부여하고, 그것을 단말기측으로 송신하는 단계와; 해당 고객의 거래자료 데이터 베이스와 그에 따른 소액거래와 관련된 데이터 베이스의 저장내용을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액거래 관리시스템을 제공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오프-라인 처리방식 카드 단말기의 한 구성예를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1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오프-라인 및 온-라인 처리방식 카드 단말기의 한 구성예를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소액거래 관리시스템의 온-라인 및 오프-라인 거래방법을 전체적으로 도시한 동작 흐름도이고,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소액거래 관리시스템에서 카드 단말기에서의 온-라인 및 오프-라인 거래절차를 도시한 흐름도이고,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소액거래 관리시스템에서 카드 단말기에서의 온-라인 거래절차를 도시한 흐름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소액거래 관리시스템에서 호스트 컴퓨터에서의 소액거래 처리절차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21 : 키입력부 12, 22 : 전원부
13, 23 : 카드 판독/기록부 14, 24 : 보안접근모듈(SAM)
15, 25 : 표시부 16, 26 : 경보 발생부
17, 27 : 프린터부 18, 28 : 메모리부
29 : 통신부
이하에서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액거래 관리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하여 나타내 보인 오프-라인 처리방식을 사용하는 카드 단말기의 한 구성예에 대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액거래 관리시스템이 카드 단말기에 적용되기 위하여서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용자가 의도하는 거래금액을 설정할 수 있는 다수의 키들을 구비한 키입력부(11)와, 단말기의 각 부분에 동작 전원을 제공하는 전원부(12)와, 자기띠를 이용한 M/S 카드나 IC 칩을 이용한 고주파 무선(RF)카드 및 IC 카드, 또는 태그(TAG) 등을 인식하기 위하여 카드 투입구(또는 카드 투시창)를 마련하고, 상기 카드 투입구에 카드가 투입될 때(또는 카드 투시창을 통과할 때) 카드에 저장된 정보를 독취하거나, 또는 반대로 카드에 정보들을 기록할 수 있게 한 내장형 혹은 외장형의 카드 판독/기록부(13)를 구비하여야 한다. 물론, 이때 카드 투입구(또는 카드 투시창)에 투입되는 카드에는 본 발명에서 원하는 소액거래정보를 독취하거나 기록하기 위한 소액거래정보 저장영역이 할당(카드 발급사 또는 기록매체의 종류마다 각각 다르게 할당될 수 있음)되어 있어야 한다. 그리고 이 소액거래정보 저장영역에는 소액거래를 위해 카드 발급사에서 카드 신용정도에 따라 미리 부여한 사용한도횟수, 또는 카드 발급사(또는 대행사)로부터 미리 승인받은 선승인 번호와 그 선승인에 의하여 부여받은 사용한도금액(또는 부적당한 사용자가한 장소에서 많은 금액을 사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카드 발급사에서 임의로 지정한 1회 사용한도금액을 포함할 수도 있음) 등의 소액거래정보가 카드번호와 함께 저장되어 있어야 한다. 또한 상기 소액거래정보 저장영역에는 카드 발급사 고유의 식별정보를 상기 소액거래정보와 함께 기록하여 사후에 카드 단말기가 카드 발급사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카드 판독/기록부에서 판독된 카드정보들을 오프-라인 방식으로 조회할 수 있는 보안 접근 모듈(SAM)(14)을 내장하고, 결제에 필요한 상기 키입력부의 키조작상태 및 단말기의 동작 상태에 관한 서비스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15) 및 경보 발생부(16)와, 상기 카드 판독부에서 독취된 정보들을 오프-라인 방식으로 조회하기 위하여 상기 SAM과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실행하고, 단말기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오프-라인 제어부(10)와, 상기 오프-라인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동작하여 거래 이행 또는 불이행에 따른 영수증을 발행하는 프린터부(17)와, 카드 판독/기록부에서 독취된 카드번호와 그에 해당하는 사용한도횟수, 또는 선승인 번호 및 선승인에 의한 사용한도잔액(또는 1회 사용한도금액) 등을 포함하는 소액 거래정보들을 카드번호와 함께 저장하는 소액거래정보 저장영역을 별도로 할당한 메모리부(18) 등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액거래 관리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하여 오프-라인 처리방식과 온-라인 처리방식을 모두 사용하는 카드 단말기의 한 예를 나타내 보인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액거래 관리시스템이 상기 카드 단말기에적용되기 위하여서는, 상기 도 1에서와 같은 동일한 구성의 키입력부(21)와, 전원부(22)와, 카드 판독/기록부(23)와, 보안 접근 모듈(24)과, 표시부(25) 및 경보 발생부(26)와, 프린터부(27)와, 메모리부(28)를 포함하며, 상기 카드 판독/기록부에서 독취된 정보들을 오프-라인 방식으로 조회하기 위하여 상기 SAM과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실행하거나, 또는 상기 카드 판독/기록부에서 독취된 정보들을 온-라인 방식으로 조회하기 위하여 카드 발급사(또는 대행사)의 카드결제 시스템(호스트 컴퓨터 등)과 유무선 통신을 통해 통신 인터페이스를 실행하면서, 그와 동시에 상기 단말기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온-라인 및 오프-라인 제어부(20)와, 카드 발급사(또는 부가가치 통신망 사업을 실시하는 대행사 등)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지원하는 통신부(29) 등을 구비하여야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소액거래 관리시스템의 온-라인 및 오프-라인 거래절차를 전체적으로 도시한 동작 흐름도로서, 카드로부터 정보를 독취하여 소액거래가 가능한 카드인지를 판단하는 제 1단계(S211-S215)와; 상기 판단결과, 소액거래가 가능한 카드에 대하여는 소액거래정보와 거래요청된 금액을 체크하여 거래 이행 여부를 판단하는 제 2단계(S216-S219)와; 상기 판단결과, 거래 이행이 가능한 상태로 판단되는 카드에 대하여는 요청된 거래를 이행함과 아울러 거래승인 상태를 표시하고, 상기 카드에서 독취된 소액거래정보를 상기 거래 이행에 따른 새로운 소액거래정보로 변경하여 카드의 소액거래정보 저장영역에 갱신 기록하는 제 3단계(S220-S223)와; 상기 제 3단계에서 이행된 거래에 따른 소액거래정보를 자신이 관리하는 데이터 베이스의 소액거래정보 저장영역에 해당 카드번호와 함께 갱신 저장하는 제4단계(S224)와; 상기 제 2단계에서 거래 이행이 불가능한 상태로 판단되는 카드에 대하여는 온-라인 조회경로를 통해 소액거래정보 갱신 요청을 처리하고, 상기 온-라인 조회결과로 얻은 새로운 소액거래정보를 카드에 갱신 기록하는 제 6단계(S226-S229)를 포함하여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도 3a는 본 발명의 소액거래 관리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상기 도 2에서 선승인에 의한 소액거래 절차를 예를 들어 보인 상세 흐름도로서, 카드 단말기가 신용카드나 직불카드(또는 다른 카드일 경우도 가능함)로부터 정보를 독취하게 되었을 때 실행하는 오프-라인 처리방식 거래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드정보를 독취하여 소액거래가 가능한 카드인지를 판단하는 제 1단계(S311-S315)와; 소액거래정보와 거래요청된 금액을 체크하여 거래 이행 여부를 판단하는 제 2단계(S316-S318)와; 거래 이행이 가능한 카드에 대하여 요청된 거래를 이행함과 아울러 거래승인 상태를 표시하고, 카드에서 독취된 소액거래정보내의 신용한도잔액(또는 사용한도횟수)으로부터 거래요청금액을 차감한 새로운 신용한도잔액을 카드의 소액거래정보 저장영역에 갱신 기록하는 제 3단계(S319, S320)와; 이행된 소액거래에 따른 거래정보를 자신이 관리하는 데이터 베이스의 소액거래정보 저장영역에 해당 카드번호와 함께 갱신 저장하는 제 4단계(S321)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단계는 카드로부터 독취된 정보에 선승인에 의한 소액거래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를 소액거래가 가능한 카드로 인식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며, 특히 상기 소액거래정보중에서 카드발급사로부터 부여받은 카드번호와, 카드신용도에 따라 부여되는 사용한도횟수, 또는 선승인 번호와 상기 선승인에 의한 사용한도잔액, 또는 선승인 번호와 상기 선승인에 의한 1회 사용한도잔액이 포함된 경우를 소액거래가 가능한 카드로 인식하도록 설정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 2단계는 소액거래정보에 포함된 선승인에 의한 신용한도잔액과 거래요청된 금액을 체크하여, 선승인에 의한 신용한도잔액이 거래 요청된 금액을 수용하는 경우, 거래 이행 가능한 상태로 판단하거나, 또는 소액거래정보에 포함된 선승인에 의한 1회 사용한도금액과 거래요청된 금액을 체크하여, 상기 거래요청된 금액이 1회 사용한도금액 이하인 경우, 거래 이행 가능한 상태로 판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2단계는 소액거래정보에 포함된 사용한도 횟수를 미리 지정된 일정한 금액으로 환산하여 신용한도잔액을 계산하고, 그 환산된 신용한도잔액이 거래 요청된 금액을 수용하는 경우, 거래 이행 가능한 상태로 판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도면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자신의 데이터 베이스에 갱신 저장된 소액거래정보량을 체크하여, 주기적으로 혹은 일정량 이상의 정보량이 체크되는 경우, 미리 지정된 처리방식 즉, 온-라인 처리방식이나 오프-라인 처리방식에 의해 자동으로 조회하는 제 5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도 3b는 본 발명의 소액거래 관리시스템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상기 도 2에서 선승인에 의한 소액거래 절차를 예를 들어 보인 상세 흐름도로서, 카드 단말기가 신용카드나 직불카드(또는 다른 카드일 경우도 가능함)로부터 정보를 독취하게 되었을 때, 사용한도잔액이 부족한 소액거래카드에 대하여 실행하는온-라인 처리방식 거래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 3a의 제 2단계에서 거래 이행이 불가능한 상태로 판단되는 카드에 대하여 곧바로 거래절차를 종료할 수도 있지만,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라인 조회경로를 통해 소액거래정보 갱신 요청을 처리하고, 상기 온-라인 조회결과로 얻은 새로운 소액거래정보를 카드에 갱신 기록하는 제 6단계(S323-S333)를 더 포함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구현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여기서 상기 제 6단계는 독취된 카드번호와 현재의 선승인 번호 및 현재의 선승인에 필요한 잔액을 온-라인 경로를 통해 전송하여 온-라인 선승인에 의한 신용한도잔액 갱신을 요청하고, 수신대기하는 단계(S323-S325, S328-S330)와; 상기 수신대기상태에서 자료가 수신되면, 온-라인 조회결과를 판독하여 유효한 카드에 대하여는 선승인 번호 및 선승인 한도금액을 카드에 갱신 기록한 후 상기 제 1단계로 복귀하는 단계(S331-S333)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6단계는 온-라인 경로를 통해 온-라인 선승인에 의한 신용한도잔액 갱신을 요청하기 위하여, 비밀번호가 필요한 카드인지를 판단하는 단계(S326)와; 비밀번호가 필요한 카드에 대하여 온-라인 조회경로로 전송할 비밀번호를 입력받는 단계(S327)를 선택적으로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소액거래 관리시스템의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로서, 온-라인 경로를 통해 여러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조회정보를 체크하여 소액거래정보가 포함된 카드정보에 대하여, 그 카드번호에 해당하는 고객의데이터 베이스를 관리하는 호스트 컴퓨터에서의 소액거래 처리절차를 도시하고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드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조회정보를 체크하여 유효한 카드인지를 판단하는 단계(S411-S418)와; 상기 판단 결과, 유효한 카드에 대하여는 그 카드번호에 대응하는 소액거래정보(예를 들면, 사용한도횟수나 선승인 번호와 선승인 사용한도잔액)을 고객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고, 상기 소액거래정보와 카드사용한도잔액을 확인하여 새로운 소액거래정보(사용한도횟수나 선승인 번호와 그에 따른 선승인 사용한도잔액)을 부여하고, 그것을 단말기측으로 송신하는 단계(S419-S422)와; 해당 카드번호의 고객 데이터 베이스 및 소액거래와 관련된 데이터 베이스를 갱신하는 단계(S423)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카드의 번호체계(BIN)나 카드 확인치(CVV; card verification value) 또는 카드확인코드(CVC; card verification code)를 검출함으로써, 유효한 카드인지를 확인할 수 있게 되며, 카드의 비밀번호를 검출함으로써, 정당한 사용자인지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의 소액거래정보들은 소액거래를 위하여 카드 발급사나 제작사로부터 사전에 부여받아 카드의 소액거래정보 저장영역과 카드 발급사의 고객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되어 있어야 함은 물론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서, 선승인에 의한 소액거래정보를 이용하여 온-라인 및 오프-라인 거래절차가 실행되는 경우(도 3a 및 도 3b)를 예로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의 소액거래 관리시스템에서는 선승인에 의한 소액거래를 위하여 IC 카드 또는 RF 카드내의 소액거래정보 저장영역에 카드 발급사별 고유의 식별코드와, 소액거래 사용한도횟수, 또는 선승인 번호와 선승인 한도 금액을 저장하고 있으며, 소액거래 요청시 카드 단말기로 하여금 카드내의 소액거래정보, 즉 카드발급사 식별코드와 소액거래 선승인 번호, 선승인 한도금액(기 거래시 기 거래 차감잔액, 또는 남은 사용한도횟수) 및 신용카드 번호를 검증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실제 소액 거래시 카드 단말기는 카드 판독/기록부(13)(23)에서 정보 기록 매체 또는 각 카드사가 다른 여러 종류의 신용 또는 직불카드로부터 기록된 정보를 읽어내어 소액거래 가능 여부를 확인(S311-S315)한다. 즉, 카드 발급사 고유의 식별코드와 사전에 부여받은 소액거래정보(소액거래를 위해 미리 부여받은 선승인된 사용한도잔액 또는 선승인 번호)를 확인(S316)하여 별도의 조회처리를 거치지 않고 소액거래를 신속하게 이행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물론 잔여 신용한도금액(또는 횟수)과 거래요청된 금액을 모두 체크(S316-S318)하여 잔여 신용한도금액이 거래하고자 하는 금액 이상인 경우에만 소액거래를 이행하도록 거래를 실시할 수도 있다. 이때 카드 단말기는 거래요청카드내의 선승인 한도금액에서 거래요청금액을 차감한 금액을 신규 선승인 거래한도 금액으로 요청카드내의 한도금액을 갱신 기록한다.
그리고 만약 잔여 신용한도가 부족할 때(S316의 '아니오' 분기, 또는 S318의 '아니오' 분기)에는 도 3b의 동작 흐름도에서와 같이, 온-라인 경로를 타고 온-라인 조회를 실시(S323-S334)하여 카드발급사나 대행사로부터 새로운 소액거래정보(새로운 선승인 번호와 새로운 신용한도잔액)를 부여받을 수 있으며, 이러한 새로운 소액거래정보를 갖고 상기 제 1단계(S312)로 복귀하여 다시 소액거래를 실행할 수 있다.
상기 소액거래 이행한 이후에도 거래 이행에 따라 변경된 신용한도 잔액을 계산하여 카드의 소액거래정보 저장영역에 갱신 기록함으로써, 이후 카드를 사용하게 될 때 최종 변경된 신용한도잔액이 적용될 수 있게 한다. 또한 자신(소액거래가 이루어진 카드 단말기)이 관리하는 데이터 베이스의 소액거래정보 저장영역에도 그 소액거래정보를 저장하여 둠으로써, 거래 종료후 카드 단말기가 적절한 청구방법에 의하여 거래대금을 청구할 수 있게 한다. 즉, 도면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온-라인의 경우 온-라인 처리방법에 의하여 청구하게 되며, 오프-라인 거래의 경우 카드의 판독 또는 기록장치에 일련의 거래내역을 보관하게 되며, 이는 경우에 따라 주기적으로 또는 일정 정보량을 모아 실행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카드 단말기는 각 선승인 소액거래 내용 즉, 당해 카드번호, 선승인 번호, 거래금액, 거래일시 데이터를 해당 거래기록에 대응하여 보관할 수 있으며, 이를 오프-라인 방식 즉, 디스크 또는 메모리팩( 예로 RAM 팩, 플래쉬 롬 팩 등 ) 외부기록매체를 사용하여 은행 또는 카드사에 전달할 수도 있고, 또는 이를 일정 규모 또는 일정기간마다 온-라인 일괄처리(batch)방식으로 처리한다. 또한 별도의 집계시스템(POS 시스템)에서 외부 기록매체를 읽어서 온-라인 배치방식으로 처리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소액거래 관리시스템이 효율적으로 사용되기 위해서는 도 4의 동작 흐름도에서와 같이, 상기 카드 발급사(또는 대행사나 은행)는 선승인 소액거래에 의한 데이터를 각 카드 단말기로부터 오프-라인 또는 온-라인으로 수집(S411, S412)하고 카드정보의 유효성, 혹은 정당성들을 판단(S413-S418)하여, 그 데이터를 기 고객의 카드번호에 대응하는 선승인 번호별로 거래금액을 분류 집계(S419)하여야 하며, 카드사용한도잔액이 소액거래정보내의 사용한도잔액보다 클 경우에는 신규한 소액거래정보(예를 들어 새로운 사용한도횟수, 또는 새로운 선승인 번호와 선승인에 의한 사용한도금액)을 부여하여 카드 단말기측으로 송신해줌으로써, 카드 단말기에서는 새로운 소액거래정보를 부여받을 수 있도록 하며, 해당 카드번호의 고객 거래자료 데이터 베이스 및 선승인과 관련된 데이터 베이스를 갱신함으로써, 소액거래 단말 거래내용 집계에 따라 카드 가맹점의 청구 비용을 정산하도록 하여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소액거래 관리시스템에 의하면, 신용카드 또는 직불카드를 이용하여 오프-라인으로 소액거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경제적으로 온-라인 거래시 소요되는 제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동시에 카드 사용자로 하여금 소액거래를 위하여 별도의 카드를 보유할 필요가 없게 되어 카드 사용자의 편의를 증진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또한 본 발명은 거래전 선승인에 의해 사용한도금액을 처리하고, 거래후에 선승인과 관련된 사용한도잔액등의 데이터를 호스트컴퓨터의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관리함으로써 오프라인으로 신용거래시 발생할 수 있는 위험을 최소화하면서도, 오프라인 방식에 의한 조회 및 관리비용 절감, 조회 시간 단축 등의 효과를 가지는 이점이 있다.

Claims (33)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정보기록매체가 다르거나 또는 각 카드 발급사가 다른 여러 종류의 신용 또는 직불카드의 판독과 기록이 모두 가능한 카드 단말기에서의 신용거래를 관리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카드로부터 정보를 독취하여 소액거래가 가능한 카드인지를 판단하는 제 1단계와;
    상기 판단결과, 소액거래가 가능한 카드에 대하여는 카드번호와, 선승인 번호와, 상기 선승인에 의한 사용한도잔액을 포함하는 소액거래정보와 거래요청된 금액을 체크하여 거래 이행 여부를 판단하는 제 2단계와;
    상기 판단결과, 거래 이행이 가능한 상태로 판단되는 카드에 대하여는 요청된 거래를 이행함과 아울러 거래승인 상태를 표시하고, 상기 카드에서 독취된 소액거래정보를 상기 거래 이행에 따른 새로운 소액거래정보로 변경하여 카드의 소액거래정보 저장영역에 갱신 기록하는 제 3단계와;
    상기 제 3단계에서 이행된 거래에 따른 소액거래정보를 자신이 관리하는 데이터 베이스의 소액거래정보 저장영역에 해당 카드번호와 함께 갱신 저장하는 제 4단계와;
    상기 제 2단계에서 거래 이행이 불가능한 상태로 판단되는 카드에 대하여는 온-라인 조회경로를 통해 소액거래정보 갱신 요청을 처리하고, 상기 온-라인 조회결과로 얻은 새로운 소액거래정보를 카드에 갱신 기록하는 제 6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액거래 관리시스템.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단계는 카드로부터 독취된 정보에 선승인에 의하여 부여된 소액거래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를 소액거래가 가능한 카드로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액거래 관리시스템.
  19.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단계는 카드로부터 독취된 정보에 카드 발급사를 구별하기 위한 카드 발급사 식별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를 소액거래가 가능한 카드로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액거래 관리시스템.
  20. 삭제
  21. 삭제
  22.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소액거래정보는 카드번호와, 선승인 번호와, 상기 선승인에 의한 1회 사용한도잔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액거래 관리시스템.
  23.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소액거래정보는 카드번호와, 선승인 번호와, 상기 선승인에 의한 사용한도잔액과, 상기 선승인에 의한 1회 사용한도잔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액거래 관리시스템.
  24. 삭제
  25.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제 2단계는 소액거래정보에 포함된 선승인에 의한 신용한도잔액과 거래요청된 금액을 체크하여, 선승인에 의한 신용한도잔액이 거래 요청된 금액을 수용하는 경우, 거래 이행 가능한 상태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액거래 관리시스템.
  26.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제 2단계는 소액거래정보에 포함된 선승인에 의한 1회 사용한도금액과 거래요청된 금액을 체크하여, 상기 거래요청된 금액이 1회 사용한도금액 이하인 경우, 거래 이행 가능한 상태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액거래 관리시스템.
  27.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제 2단계는 소액거래정보에 포함된 선승인에 의한 신용한도잔액과 1회 사용한도금액과 거래요청된 금액을 체크하여, 상기 거래요청된 금액이 선승인에 의한 신용한도잔액 이하의 금액이면서 1회 사용한도금액 이하인 경우, 거래 이행 가능한 상태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액거래 관리시스템.
  2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제 4단계에서 자신의 데이터 베이스에 갱신 저장된 소액거래정보를 지정된 처리방식에 따라 체크하여 조회하는 제 5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액거래 관리시스템.
  29. 삭제
  30. 삭제
  31.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제 6단계는 독취된 카드번호와 현재의 선승인 번호 및 현재의 선승인에 필요한 잔액을 온-라인 경로를 통해 전송하여 오프-라인 선승인에 의한 신용한도잔액 갱신을 요청하고, 수신대기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대기상태에서 자료가 수신되면, 온-라인 조회결과를 판독하여 유효한 카드에 대하여는 선승인 번호 및 선승인 한도금액을 카드에 갱신 기록한 후 상기 제 1단계로 복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액거래 관리시스템.
  32. 제 31항에 있어서, 상기 제 6단계는 온-라인 경로를 통해 오프-라인 선승인에 의한 신용한도잔액 갱신을 요청하기 위하여, 비밀번호가 필요한 카드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비밀번호가 필요한 카드에 대하여 온-라인 조회경로로 전송할 비밀번호를 입력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액거래 관리시스템.
  33.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제 4단계는 온-라인 경로를 통해 여러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조회정보를 체크하여 카드번호에 해당하는 고객의 데이터 베이스를 관리하는 호스트 컴퓨터에서 카드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조회정보를 체크하여 유효한 카드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 결과, 유효한 카드에 대하여는 그 카드번호에 대응하는 소액거래정보를 고객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고, 상기 소액거래정보내의 사용한도와 카드사용한도잔액을 확인하여 새로운 소액거래정보를 부여하고, 그것을 단말기측으로 송신하는 단계와;
    해당 고객의 거래자료 데이터 베이스와 그에 따른 소액거래와 관련된 데이터 베이스의 저장내용을 갱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액거래 관리시스템.
KR1019990002923A 1999-01-29 1999-01-29 소액거래 관리시스템 KR1003331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2923A KR100333182B1 (ko) 1999-01-29 1999-01-29 소액거래 관리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2923A KR100333182B1 (ko) 1999-01-29 1999-01-29 소액거래 관리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7823A KR19990037823A (ko) 1999-05-25
KR100333182B1 true KR100333182B1 (ko) 2002-04-18

Family

ID=374795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02923A KR100333182B1 (ko) 1999-01-29 1999-01-29 소액거래 관리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3318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50723A (ko) * 2002-12-09 2004-06-17 조승호 인증절차가 생략된 소액 결제장치 및 그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9918B1 (ko) * 2000-05-25 2003-04-14 박창환 카드결제가 가능한 핸드폰 및 이에 의한 카드 결제방법
KR20010088910A (ko) * 2001-03-30 2001-09-29 박길주 신용카드 발급신용에 따른 조건부 신용보증 포인트 적립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30086818A (ko) * 2002-05-07 2003-11-12 코리아까르떼코뮤니케이션 주식회사 오프라인 거래가 가능한 신용 지불 처리 방법 및 시스템
KR100454140B1 (ko) * 2002-05-21 2004-10-26 주식회사 스마트로 정보기록매체를 이용하는 선승인에 의한 소액거래시스템 및방법
KR100515087B1 (ko) * 2002-12-09 2005-09-14 조승호 선승인 방식의 카드결제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50723A (ko) * 2002-12-09 2004-06-17 조승호 인증절차가 생략된 소액 결제장치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7823A (ko) 1999-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46624B1 (ko) 신용거래용 카드 및 이를 이용한 신용거래장치 및 방법
US8849713B2 (en) Dynamic currency conversion system and method
US7668751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coordinating a change in status of stored-value cards
KR20080100219A (ko) 결제 장치 이용의 인가를 위한 기술
WO2009112207A1 (en) Refund system and method
US8571938B2 (en) Updating dynamic information within an intelligent controller utilizing a smart card
US20020121545A1 (en) Service providing method
KR100454140B1 (ko) 정보기록매체를 이용하는 선승인에 의한 소액거래시스템 및방법
KR100333182B1 (ko) 소액거래 관리시스템
KR20010094889A (ko) 카드매체의 온라인 및 오프라인의 거래실적 통합 관리시스템
KR19990084820A (ko) 오프-라인 승인 대행모듈 및 그를 이용한 온-라인/오프-라인승인 시스템
KR19990015765A (ko) 구매전용 단말기의 결제시스템
KR100965144B1 (ko) 카드를 이용한 듀얼 애플리케이션 제공 시스템
AU2015207871B2 (en) Dynamic currency conversion system and method
KR100788594B1 (ko) 쿠폰 또는 교환권 제공 기능이 구비된 자동화기기
KR101124304B1 (ko) 고객 구매상품에 대응하는 알에프아이디 정보 이용 승인처리 방법
KR100990359B1 (ko) 듀얼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 운용 방법
KR20040050191A (ko) 선승인 방식의 카드결제 시스템 및 방법
KR20040028939A (ko) 접촉 및 비접촉 거래의 무선식별을 이용하는 지불장려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988883B1 (ko) 애플리케이션(또는 데이터) 운용 시스템
KR20210136763A (ko) 환석결제에 의한 할인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서버
KR100990388B1 (ko) 혼용카드 사용 방법
JP2004348504A (ja) 電子チケットのオフライン認証方法及びシステム
KR20040050723A (ko) 인증절차가 생략된 소액 결제장치 및 그 방법
KR20180033161A (ko) 무선단말을 이용한 오프라인 가맹점의 결제 처리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2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2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3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7

Year of fee payment: 17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