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30827B1 - 무선통신시스템기지국제어 - Google Patents

무선통신시스템기지국제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30827B1
KR100330827B1 KR1019940704213A KR19940704213A KR100330827B1 KR 100330827 B1 KR100330827 B1 KR 100330827B1 KR 1019940704213 A KR1019940704213 A KR 1019940704213A KR 19940704213 A KR19940704213 A KR 19940704213A KR 100330827 B1 KR100330827 B1 KR 1003308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station
transceivers
communication system
wireless communication
gro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7042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701784A (ko
Inventor
하게스트롬울프에링
Original Assignee
텔레폰아크티에볼라게트 엘엠 에릭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텔레폰아크티에볼라게트 엘엠 에릭슨 filed Critical 텔레폰아크티에볼라게트 엘엠 에릭슨
Publication of KR9507017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7017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08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082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05Control of transmission; Equalis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여러개의 송수신기를 구비하는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을 갖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방법 및 장치는 호출 상태에 있는 송수신기 수를 제1 사전 결정된 수와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호출 상태 송수신기의 수가 제1 사전 결정된 수보다 크면, 적어도 하나를 제외한 모든 유휴 송수신기를 스위치 오프한다. 호출 상태 송수신기의 수가 제1 사전 결정된 수보다 작으면, 모든 나머지 유휴 송수신기를 스위치 오프한다. 또한, 제1 서브세트의 여러개의 송수신기를 스위치 오프한후, 제2 서브세트를 사전 결정된 기간을 기다린후 스위치 오프한다. 제2 서브세트의 동작 송수신기의 수는 제1 서브세트에서보다 작다. 기지국의 전력 소비를 더욱 저감하기 위해, 제1 군의 무선 통신 시스템 가입자는 높은 우선권군으로서 지정되고, 제2 군의 가입자는 낮은 우선권군으로서 지정된다. 이 시스템은 높은 우선권군에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낮은 우선권군에서는 거절되도록 설계된다. 이 제어 방법 및 장치는 예를 들면, 기지국의 전력 소비 및/또는 트래픽 처리 용량을 저감하는데 유용하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시스템 기지국 제어
발명의 배경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 기지국의 제어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기지국에 의해 서비스되는 셀 내에서 진행중인 호출에 나쁜 영향을 주는 일없이 무선 통신시스템 기지국에서의 전력 소비 및 트래픽 처리 용량(traffic handling capacity)을 저감하는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셀룰러 전화 시스템에서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BS)을 갖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은 미리 정해진 지역 내에 위치한 이동체에 서비스를 제공한다. 기지국은 기지국의 위치에 일반적으로 영향을 주는 전력 고장 중에 동작할 것이 기대된다. 따라서, 통상의 기지국 전원이 고장날 때 사용될 대체("백업") 전원을 기지국에 마련할 필요가 있다. 적당한 대체 전원은 배터리라도 좋고 상황에 따라 디젤로 구동되는 전기 발전기라도 좋다.
예를 들어, 각각 25%의 전력 효율로 50 와트(W)의 전력을 각각 송신하는 72개의 송수신기를 갖는 기지국은 동작하는 데 (50/0.25)*72=14400W의 전력을 필요로 한다 (통상, 기지국은 10개 내지 100개의 송수신기를 갖는다). 통상, 무선 기지국에서는 24볼트 시스템이 사용되므로, 과도한 부하시에 기지국에 필요한 예시적인 전류는 14400/24=600amp이다. 주전원이 고장일 때 이만큼의 전력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많은 고가의 배터리 또는 디젤 구동 전기 발전기로 이루어진 대체 전원이 필요하다. 또한, 이들 대체 전원의 물리적 부피를 수납하기 위해서는 기지국 플랜트바닥재를 보강하고 기지국 플랜트의 크기를 증가시킬 필요가 있다. 따라서, 배터리 및 플랜트 비용은 통상적으로 기지국 운영자의 주요 투자액이 되어서, 일부 기지국을 세우는 것을 불가능하게 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기지국이 전력 중단 중에도 계속 동작함과 동시에 대체 전원의 비용 및 크기를 저감하는 방법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기지국의 전력 소비를 저감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는 것으로, 주전원 고장이외의 상황도 또한 존재한다. 예를 들면, 장치의 과열 또는 화재 발생은 기지국전력 소모의 저감을 정당화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기지국의 트래픽 처리 용량을 줄이는 것이 바람직한 상황도 있다. 저감된 전력 소모 및/또는 저감된 트래픽 처리 용량으로 변화하는 동안, 기지국에 의해 서비스받는 셀 내의 진행하는 통신 트래픽으로의 영향을 최소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셀 내의 통신 트래픽 용량으로의 교란을 저감하는 방식으로 기지국의 전력 소비 및/또는 트래픽 처리 용량을 점차로 저감하는 방법이 필요하다.
발명의 개요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기지국의 전력 소모를 저감함과 동시에 상기 기지국에 의해 서비스되는 셀 내의 진행하는 통신 트래픽에 대해서 저감된 전력 소비로 인한 영향을 저감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기지국의 트래픽 처리 용량을 저감함과 동시에 그 기지국에 의해 서비스되는 셀 내의 진행하는 통신 트래픽에 대한 저감된 트래픽 처리용량의 영향을 줄이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하나의 특징에 따르면, 상기 및 그 밖의 목적은 복수의 송수신기를 구비한 기지국을 적어도 하나 갖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달성된다. 송수신기의 각각은 스위치 온되었을 때 호출 상태와 유휴 상태를 택일적으로 갖는다. 방법 및 해당 장치는 예를 들면, 주전원 고장 중에, 제1의 소정의 수 이하의 송수신기가 여전히 동작하도록 복수의 송수신기의 제1 서브세트를 스위치 오프함으로써 기지국을 제어한다. 제1 서브세트의 송수신기는 동작하는 데 복수의 전체 송수신기보다 적은 전력을 필요로 하므로, 대체 전원의 출력 전력 요구를 저감한다. 기지국의 트래픽 처리 용량도 마찬가지로 영향을 받는다. 제1 서브세트의 송수신기를 스위치 오프하는 방법은 현재 호출을 처리하는 송수신기(즉, "호출 상태 송수신기") 수와 제1의 소정의 수를 비교하고, 호출 상태 송수신기 수가 제1의 소정의 수보다 크면, 적어도 하나의 송수신기를 제외하고 모든 유휴 송수신기를 스위치 오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한편, 호출 상태 송수신기의 수가 제1의 소정의 수보다 적으면, 제1의 소정의 수와 동일한 수의 송수신기만이 스위치 온되도록, 나머지 유휴 송수신기 모두를 스위치 오프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시스템은 제1 서브세트의 복수의 송수신기가 스위치 오프된 후 소정의 기간 동안 기다린 후, 제2 소정의 수 이하의 송수신기가 스위치 온되도록 제2 서브세트의 복수의 송수신기를 스위치 오프한다. 이 경우, 제2 소정의 수는 제1 소정의 수보다 적다. 이 특징은 예를 들면, 기지국을 짧은 기간의 정전 및 긴 기간의 정전에 대하여 다르게 응답하도록 하는데 유용하고, 긴 기간의 정전은 전력을 훨씬 더 저감함으로써 대체 전원의 수명을 연장시켜야 한다는 것을 알 수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제1 군의 무선 통신 시스템 가입자는 높은 우선 순위군으로서 지정되고, 제2 군의 무선 통신 시스템 가입자는 낮은 우선순위 군으로서 지정된다. 본 발명의 이러한 특징에 따르면, 높은 우선 순위군은 여전히 스위치 온되어 있는 제1 및 제2의 소정의 수의 송수신기로부터 서비스를 받을 수 있고, 낮은 우선 순위군은 이 서비스가 거절된다. 예를 들면, 높은 우선 순위군은 긴급 호출을 하는 가입자로 이루어져야 한다. 이러한 부하 저감에 의해 더 많은 송수신가 유휴로 되므로, 전력 소모가 더 적어진다. 트래픽 처리 용량도 마찬가지로 저감된다. 또한, 이들 유휴 송수신기를 스위치 오프함과 동시에 높은 우선 순위군에 필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충분한 송수신기를 동작하도록 함으로써 더 많은 전력을 저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핸드오프 호출(handoff call) 또는 발신호출(originating call)을 받을 때,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더 높은 우선 순위를 갖는 다른 기지국보다 후보가 될 가능성이 적도록 하는 낮은 우선 순위가 기지국에 할당된다.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영향받는 기지국이 받지 않으면, 임의의 다른 기지국에 의해 받아질 수 없는 핸드오프 호출만을, 영향받는 기지국이 받아들이도록 하는 낮은 우선 순위가 설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러한 특징은 기지국의 트래픽 처리 용량을 저감하고 영향을 받는 기지국에서의 부하를 더 저감하므로, 영향받는 기지국에서의 더 많은 송수신기를 유휴로 되도록 하여, 전력 소모를 훨씬 더 줄일수 있다, 이 특징은 또한, 기지국에서의 전력 소비 및 트래픽 처리 용량을 더욱 저감하기 위해 유휴 송수신기를 스위치 오프하는 상술한 방법과 결합되어도 좋다.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는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이해될 것이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라 기능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기지국의 장치의 블럭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에서의 전력 소비를 저감하기 위한 단계를 도시한 흐름도.
상세한 설명
제1도에 있어서, 제어 장치(101)의 블럭도는 복수의 송수신기(103) 각각이 제어 장치(10)에 접속되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송수신기는 한번에 하나의 호출만을 또는 한번에 하나 이상의 호출을 처리할 수 있다. 정상 동작중, 스위칭 장치(109)를 통해 주전원(105)에 의해 송수신기(103)에 전력이 공급된다. 일반적인 정전과 같이, 주전원(105)로 부터의 전력 공급이 중단되는 경우, 스위치(109)는 예를 들면, 하나 이상의 배터리 또는 디젤 구동 전기 발전기일 수 있는 대체 전원(107)에 의해 송수신기(103)에 전력이 공급되도록 한다. 스위칭 장치(109)와 제어장치(101) 사이의 접속(111)으로 제어 장치(101)에, 주전원(105)으로부터의 전력중단을 나타내는 신호를 제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과부하 동안 복수의 송수신기(103)에 의해 인출된 전류량은 매우 클 수 있다. 그러나, 비용 및 크기 때문에, 대체 전원(107)의 전력 출력 요구를 줄이는 것이 희망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전력 중단 기간 중 제어 장치(10)는 송수신기(103)의 동작을 제어하여, 송수신기(103)의 전력 입력 요구를 줄일 것이다. 이것은 대체 전원(107)이 더 적게 사용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어 장치(101)는 가변수의 송수신기(103)를 폐쇄(shut down)함으로써 주전원(105)으로부터의 전원 중단시 송수신기(103)의 총 입력 전류 요구를 줄인다. 즉, 송수신기(103)는 저감된 양의 전력을 소비하는 대기(standby) 상태로 유지되거나 스위치 오프된다. 대기 상태에서, 송수신기는 온 상태이지만 시스템 제어에 의해 호출을 능동적으로 처리하는 대신 유휴 상태로 있게 된다. 송수신기(103)를 실제로 스위치 오프하면 전력 소비를 가장 많이 줄일 수 있지만, 송수신기(103)를 단순히 대기 상태로 유지함으로써 실질적인 전력 저감을 달성할 수 있다. 대기 상태에서 동작하는 송수신기는 스위치 오프된 송수신기를 다시 온하는데 필요한 웜 업(warm up) 시간에 비해, 호출을 처리하는 데 즉시 이용할 수 있다는 또다른 효과를 갖는다.
어떤 서브세트의 송수신기(103)가 스위치 오프(또는 유휴로 함)되도록 선택하는 방법은 각 송수신기(103)의 활동을 모니터링하는 것을 수반한다. 송수신기(103)가 진행중인 호출을 가지면, 상기 송수신기의 수신 및 송신 동작을 계속하도록 허락된다. 그러나, 송수신기(103)가 호출을 처리하지 않는 것이라 알려지면, 제어 장치(101)는 그 송수신기(103)를 스위치 오프한다 (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그 송수신기(103)를 대기 모드로 한다). 각 수신기(103)가 통신시스템에서 하나 이상의 채널을 처리되도록 계획되는 것이 보통이므로, 송수신기(103)는 그의 채널중 적어도 하나가 진행중인 호출을 갖는 한 활동할 수 있도록 허락된다. 그러나, 이 기간중, 우선 순위가 없는 호출은 바람직하게는 기지국의 이 송수신기 또는 임의의 송수신기(103)에 의해 수신이 허용되지 않는다. 그러한 호출은 바람직하게는, 전력 중단에 영향을 받지 않는 다른 기지국에 의해 대신 처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입자를 상술한 바와 같이 우선 순위군으로 나눔으로써, 시스템은 영향을 받은 기지국의 송수신기(103)가 유휴로 되어 스위치 오프될 수 있는 가능성을 증가시킨다. 이 특징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최고 우선 순위 호출만이 기지국에서 송수신기(103)에 의해 수신될 수 있지만, 유휴 송수신기가 스위치 오프되지는 않는다. 그 대신, 더 많은 송수신기(103)를 유휴로 함으로써 기지국의 전력소비를 저감한다. 유휴중, 송수신기(103)는 활동 상태보다 적은 전력을 필요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송수신기(103)의 채널중 어느 것도 진행중인 호출을 갖지않으면, 송수신기(103)는 택일적으로 스위치 오프되거나 적은 전력을 쓰는 대기 상태로 된다. 그러나, 긴급 호출자 및 전기 회사와 같은 높은 우선 순위 가입자에 의한 호출은 전력 중단에 의해 영향을 받더라도, 기지국에 의해 처리할 수 있는 것을 보장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제어 장치(101)는 현재 어떠한 호출도 처리하지 않는 제1 송수신기(103)의 오프전에 기지국의 제2 송수신기(103)가 적어도 하나의 활동 자유 채널을 갖는 것을 보장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전력 중단이 단기간이면, 출력이 저감된 대체 전원(107)도 다수의 송수신기(103)의 동작을 유지할 수 있다는 사실을 인식하여서, 활동이 허용된 송수신기(103)의 수가 동적으로 결정된다. 그러나, 전력 중단기간이 증가하면, 대체 전원(107)이 소정의 최소 갯수의 활동 송수신기(103)에 전력을 계속 공급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활동 송수신기(103)의 수는 더욱 저감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서, 제어 장치(101)는 특정 송수신기 또는 송수신기군을 오프할 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송수신기의 전류 상태뿐 아니라, 전력 중단 기간을 모니터하여야 한다.
영향 받은 기지국이 송수신기(103)를 오프할 것이기 때문에, 이동체가 인접셀로 전환하려는 다수의 동시 시도가 있을 가능성이 증가된다. 이 시점에서 시스템의 제한된 호출 처리 용량은 시스템 성능을 떨어뜨릴 수 있다. 이 "위험한 차단(hazardous blocking)"을 피하기 위해서, 이용가능한 채널수를 감소시키는 처리가 완만하게 처리되어야 한다. 이러한 처리는 두개의 우선 순위군, 즉 높은 우선 순위군과 우선 순위가 없는 호출에 대하여 상술된 바와 같이, 가입자를 우선 순위군으로 나눔으로써 행해질 수 있다. 그러나, 두개 이상의 우선 순위군 계층을 정의함으로써, 제어 장치(101)는 채널이 더욱 완만하게 폐쇄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몇 개의 소 군의 송수신기가 5분, 15분, 25분후 등과 같이 각각 다른 시간에 스위치 오프될 수 있다. 그러한 우선 순위군은 예를 들면, 사용되는 송수신기가 없는한 긴급 호출자에 액세스를 제공하도록 정의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그러한 긴급 호출자는 낮은 우선 순위군에 의해 이루어진 호출을 종료함으로써 송수신기를 액세스할 수 있게 한다. 다른 우선 순위군은 다수의 다른 규칙에 따라 액세스가 주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송수신기 액세스는 타이머에 의해, 최저 우선 순위군은 전력 고장으로 셀로의 액세스가 완전히 거부되고, 다음 높은 우선 순위군은 전력 손실이 5분 이상으로 지속되지 않는 한 액세스가 허용되고, 그 다음 높은 우선 순위군은 전력 고장후 10분 후에만 액세스가 거부되는 등과 같은 범례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또한, 가입자 우선 순위 방법은 적어도 두개(또는 다른 수)의 음성 경로(송수신기)가 이용가능할 때만 우선 순위군의 액세스가 허용되고, 적어도 네개의 음성경로가 이용가능할 때 다음으로 낮은 우선 순위군의 가입자에게 액세스를 허용하도록 정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핸드오프 호출 또는 새로운 (발신) 호출을 받아들이도록 통신 시스템이 인접하는 기지국보다 낮은 우선 순위를, 영향을 받은 기지국에 할당하게 함으로써 전력 중단에 의해 영향을 받은 기지국의 활성 채널수가 완만하게 저감될 수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다른 기지국으로의 핸드오프를 요구하는 호출은 영향을 받은 기지국의 신호 품질이 우수하더라도 인접 기지국에 할당될 것이다. 마찬가지로, 영향을 받은 기지국 부근을 지나는 이동체로부터의 새로운 호출은 인접하는 기지국에 할당된다. 영향받는 기지국에 의하지 않으면 손실되는 호출만이, 영향 받는 기지국에 의해 서비스를 받는 셀에 의해 처리되는 것이 허용된다. 이 특징은 송수신기가 하나만 사용되거나 또는 유휴 송수신기가 폐쇄되는 상술한 특징과 관련되어 사용될 수 있다. 하나만 사용될 때, 유휴 송수신기가 호출을 활동적으로 처리하고 있는 송수신기보다 적은 전력을 필요로 하므로, 기지국 전력 소비는 저감된다.
이제, 상술한 여러 특징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가 도 2의 순서도에 따라 설명될 것이다. 블럭(201)에서 시작하여, 제어 장치(101)는 전력 고장이 있는 지를 테스트한다. 전력 고장이 검출되면, 블럭(203)에서 실행이 계속되어, 대체 전원이 스위치 온되므로, 송수신기(103)는 전력을 계속 받을 것이다.
다음으로, 블럭(205)에서, 정전 상태가 되는 기지국에는 통신 시스템에 의해 낮은 핸드오프 우선 순위가 할당된다. 그와 동시에, 통신 시스템은 또한 발신 호출을 접수하는 데 영향 받은 기지국에 낮은 우선 순위를 부여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것은 영향 받는 기지국이 이 특정 호출에 서비스를 하나 제공할 수 있는 유일한 기지국인 경우를 제외하고는 인접 기지국을 핸드오프를 요구하는 새로운 호출 또는 발신 호출을 서비스하게 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것은 영향받는 기지국의 송수신기(103)를 유휴 상태로 될 가능성을 증가시켜, 전력 소비를 크게 저감시킨다. 이 특징은 더 많은 전력 소비를 저감할 수 있어도,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휴 송수신기(103)를 폐쇄하는 단계와 관련하여 사용된다.
그 후, 블럭(207)에서, 제어 장치(101)는 다른 전력 중단이 있는 지를 찾기위해 테스트한다. 다른 전력 중단이 없다면, 블럭(227)이 실행된다. 블럭(227)에서, 대체 전원이 스위치 오프되고, 주전원은 다시 스위치 온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통신 시스템은 다시 스위치 온된 후 핸드오프 호출 및 발신 호출을 접수하는 데, 기지측에 정상 우선 순위를 할당한다.
전력 중단이 계속되면, 블럭(207)에서 블럭(209)으로 진행하여, 현재 호출을 서비스하는 송수신기("호출 상태 송수신기") 수가 비시간 제한 임계값(non-time limit threshold)보다 크거나 같은지를 판정하기 위한 테스트가 행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전력 중단이 단기간이면, 다수의 송수신기(103)가 동작하도록 허용될 수 있다. 비시간 제한 임계값은 에너지를 보존하기 위해 이 시간에 전력이 공급될 수 있는 최대수의 스위치 온된 송수신기 목표수를 나타낸다.
호출 상태인 송수신기의 수가 비시간 제한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으면, 블럭(211)에서, 하나를 제외한 모든 유휴 송수신기는 스위치 오프된다. 상술한 바와같이, 임의의 수신되는 1 순위의 호출을 서비스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유휴송수신기를 동작가능하게 남겨두는 것이 유리하다. 그 후, 블럭(207)에서 시작하는 루프가 반복된다. 블럭(207,209,211)을 포함하는 루프에서, 호출 상태 송수신기는 호출이 종료할 때 결국 유휴 송수신기로 된다. 이들 유휴 송수신기는 하나를 제외하고는, 스위치 온된 송수신기의 수가 비시간 제한 임계값 +1과 같을 때까지 이 루프에서 오프될 것이다.
호출 상태인 송수신기의 수가 비시간 제한 임계값보다 작으면, 블럭(213)에서 실행이 계속되어, 모든 나머지 송수신기가 오프되고, 나머지 송수신기 = 송수신기의 총수 - 비시간 제한 임계값에 의해 나머지 송수신기 개수가 정의된다. 이것은 호출 상태 또는 활성 상태에서 비시간 제한 임계값과 동일한 총 수의 수신기를 스위치 온되도록 둘 것이다. 그 후, 블럭(215)에서 실행이 계속된다.
블럭(215)에서, 제어 장치(101)는 전력 중단 기간이 소정의 제한 임계값에도달했는지를 알기 위해 체크한다. 도 2에 도시된 예의 경우, 이 제한 임계값은 5분으로 설정되지만, 당업자라면 송수신기(103)의 전력 입력 요구 뿐 아니라 사용되는 대체 전원(107)의 종류에 따른 최적값으로 제한 임계값을 설정할 수 있음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소정의 시간 제한 임계값이 아직 경과하지 않았으면, 블럭(217)에서, 제어 장치(101)는 전력 중단이 계속되는지를 판정한다. 전력 중단이 계속되지 않으면, 블럭(227)으로 실행이 점프하여, 주전원(105)으로부터의 전력이 복원되고 대체 전원(107)이 스위치 오프된다. 그러나, 전력 중단이 계속되면, 블럭(215)으로 실행히 점프한다, 블럭(215,217)을 포함하는 루프의 목적은 전력히 복원되거나 또는 전력 중단이 소정의 시간 제한 임계값을 넘는것을 기다리는 것이다. 이 기간 동안, 스위치 온된 송수신기의 수는 비시간 제한 임계값과 동일하다.
전력 중단이 소정의 제한 임계값을 넘으면, 블럭(215)에서 블럭(219)으로 실행을 진행하고, 전력 중단이 계속되는 가를 알기 위한 다른 체크가 이루어진다. 전력 중단이 계속되지 않으면, 상술한 바와 같이 블럭(227)에서 실행이 계속되어, 상술한 바와 같이, 주전원(105)으로부터의 전력이 복원되고, 대체 전원(107)이 스위치 오프되도록 하며, 통신 시스템은 핸드오프 호출 및 발신 호출을 접수하는 데 기지국에 정상 우선 순위를 할당한다. 전력 중단이 계속되면, 블럭(219)에서 블럭(221)으로 실행이 계속된다.
블럭(221)에서, 유휴 및 호출 상태 송수신기의 총수가 제2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은지를 판정하기 위해 테스트가 이루어진다. 상술된 바와 같이, 전력 중단이장시간 동안 지속되면, 제어 장치(101)는 훨신 더 적은 수의 송수신기를 동작하도록 함으로써 대체 전원(107)의 수명을 연장시켜야만 한다. 따라서, 시간 제한 임계값은 장기간의 전력 중단 상태에서 동작하도록 허용될 수 있는 최대수의 송수신기를 결정한다.
블럭(221)에서, 시간 제한 임계값을 초과하였다고 판정되면, 블럭(223)에서, 적어도 하나의 유휴 송수신기(103)가 남아있는 한, 유휴 송수신기(103)는 스위치오프된다. 블럭(219)에서 실행이 계속되어, 블럭(219,221,223)으로 구성된 루프가 반복될 수 있다. 유휴 송수신기 + 호출 상태 송수신기(103)의 총수가 초기에 시간제한 임계값보다 크면(비시간 제한 임계값이 시간 제한 임계값보다 큰 경우), 각 루프를 통과하는 동안 하나의 송수신기(103)만을 오프함으로써, 활성 송수신기 + 유휴 송수신기(103)의 수가 시간 제한 임계값보다 하나만큼 작을 때까지 루프가 반복될 것임을 알아야 할 것이다.
블럭(221)에서, 유휴 및 호출 상태 송수신의 총수가 시간 제한 임계값보다 작다고 판정되자 마자, 어떠한 송수기도 더 이상 폐쇄할 필요가 더이상 없다. 따라서, 실제상 전력 중단이 끝나기를 기다리는 블럭(225)에서 실행이 계속된다. 전력 중단이 끝나는 즉시, 블럭(227)에서 실행이 계속되어서, 대체 전원(107)이 스위치 오프되고 주전원(105)이 스위치 온되며, 핸드오프 호출 및 발신 호출을 접수하는 데 기지국에 정상 우선 순위를 할당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대체 전원(105)의 수명을 연장할 목적으로 기지국 전력소비를 저감하는 것에 관련하여 설명되었다. 그러나, 상술한 방법은 기지국에 의해서비스되는 셀내의 진행 호출에 나쁜 영향을 주지 않는 방식으로, 통신 트래픽 용량의 저감과 함께 기지국 전력 소비를 점차적인 저감한다. 예를 들면, 상술한 방법은 어떠한 진행하는 호출도 비접속되도록 하지 않는다. 그보다, 이러한 호출은 스스로 종료하거나 또는 인접하는 셀로 핸드오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주전원(105)이 고장났다는 것 이외에, 시간적으로 기지국의 전력 소비 및 트래픽 용량을 "부드럽게" 저감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또한 유용하다. 예를 들면, 이것은 기지국 장치가 과열하는 경우 또는 기지국에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에 유용할 것이다. 또한, 상술한 방법은 하나의 기지국에서 다른 인접 기지국으로 진행 호출에 대한 책임을 완만하게 넘기는 데 유용하여서, 하나의 특정 기지국 내의 장비가 오프되는 것을 필요로 하는 유지 작업이 행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방법은 이러한 이벤트의 검출에 따라 발생하도록 유발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본 발명의 방법은 기지국 전력 소비 및/또는 트래픽 처리 용량을 저감할 필요가 있다고 조작자가 결정할 때마다, 조작자에 의해 수동으로 발행되는 명령에 따라 시작되어도 좋다.
본 발명은 특정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술된 바람직한 실시예 이외의 구체적인 다른 형태로 본 발명을 실시한 수 있음을 당업자라면 명백히 알 수 있을 것이다. 이것은 본 발명의 참 뜻 내에서 행해질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는 단순히 예시적일 뿐, 어떠한 방법이라고 제한적으로 고려되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 제공되며, 청구 범위내에서의 모든 변화 및 등가 형태가 본 발명에서 채택되도록 의도된다.

Claims (20)

  1. 각각이 스위치 온 상태 동안 호출 상태(call state) 및 유휴 상태(idle state)를 택일적으로 갖는 복수의 송수신기를 포함하는 기지국을 적어도 하나 구비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통신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송수신기 중 제1 서브세트가 스위치 오프된 후에도 스위치 온되는 송수신기의 수를 나타내는 제1의 소정의 수와 호출 상태의 송수신기의 수를 비교하는 단계;
    상기 호출 상태 송수신기의 수가 상기 제1의 소정의 수보다 크면, 적어도 하나의 송수신기를 제외한 모든 유휴 송수신기를 스위치 오프하는 단계; 및
    상기 호출 상태 송수신기의 수가 상기 제1의 소정의 수보다 작으면, 상기 제1의 소정의 수와 동일한 수의 송수신기만을 스위치 온 상태로 남겨두기 위하여, 모든 나머지 유휴 송수신기를 스위치 오프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송수신기 중 상기 제1 서브세트를 스위치 오프한 후, 소정의 기간 동안 대기하는 단계, 및
    상기 제1의 소정의 수보다 작고 제2의 소정의 수 이하의 송수신기를 여전히 스위치 온 상태로 남겨두기 위하여 상기 복수의 송수신기중 제2 서브세트를 스위치오프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제1 군의 무선 통신 시스템 가입자는 높은 우선 순위군으로서 지정되고, 제2 군의 무선 통신 시스템 가입자는 낮은 우선 순위군으로서 지정되며, 상기 높은 우선 순위군은 여전히 스위치 온되어 있는 상기 제1 및 제2의 소정의 수의 송수신기로부터 서비스를 수신받고, 상기 낮은 우선 순위군은 여전히 스위치 온되어 있는 상기 제1 및 제2의 소정의 수의 송수신기로부터의 서비스가 거절되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군의 무선 통신 시스템 가입자는 긴급 호출을 하는 군(group)을 포함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제1 군의 무선 통신 시스템 가입자는 높은 우선 순위군으로서 지정되고, 제2 군의 무선 통신 시스템 가입자는 낮은 우선 순위군으로서 지정되며, 상기 높은 우선 순위군은 여전히 스위치 온된 상기 제1의 소정의 수의 송수신기로부터 서비스를 수신받고, 상기 낮은 우선 순위군은 상기 여전히 스위치 온된 상기 제1의 소정의 수의 송수신기로부터의 서비스가 거절되는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군의 무선 통신 시스템 가입자는 긴급 호출을 하는 군을 포함하는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기지국에 낮은 우선 순위를 할당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낮은 우선 순위를 할당받은 상기 기지국은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 내의 다른 기지국보다 핸드오프 호출을 받는 후보가 될 가능성이 적은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에 대한 낮은 우선 순위 할당은 당해 기지국에 의하지 않으면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내의 임의의 다른 기지국에 의해 받아지지 않는 핸드오프 호출을 당해 기지국이 받아들이도록 하는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의 낮은 우선 순위 할당은 상기 기지국이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내의 다른 기지국보다 발신 호출을 받아들이는 후보로 될 가능성을 줄어들게 하는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에 대한 낮은 우선 순위 할당은 당해 기지국에 의하지 않으면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내의 임의의 다른 기지국에 의해 받아지지 않는 발신 호출을 당해 기지국이 받아들이도록 하는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 단계는 상기 기지국의 주전원 고장에 응답하여행해지는 방법.
  12. 복수의 송수신기를 포함하는 기지국을 적어도 하나 갖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통신 방법에 있어서,
    제1 군의 무선 통신 시스템 가입자를 높은 우선 순위군으로 지정하는 단계;
    제2 군의 무선 통신 시스템 가입자를 낮은 우선 순위군으로 지정하는 단계; 및
    상기 높은 우선 순위군은 상기 기지국 내의 상기 복수의 송수신기로부터 서비스를 수신받고 상기 낮은 우선 순위군에는 상기 기지국 내의 상기 복수의 송수신기로부터의 서비스가 거절되도륵 기지국을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군의 무선 통신 시스템 가입자는 긴급 호출을 하는 군을 포함하는 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단계는 상기 기지국의 주전원 고장에 응답하여 행해지는 방법.
  15.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을 갖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통신 방법에 있어서,
    낮은 우선 순위군을 기지국에 할당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낮은 우선 순위 할당은 상기 기지국이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더 높은 우선 순위 할당을 갖는 다른 기지국보다 핸드오프 호출을 받는 후보로 될 가능성을 적게 하는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에 대한 낮은 순위 할당은 당해 기지국에 의하지 않으면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내의 임의의 다른 기지국에 의해 받아지지 않는 핸드오프 호출을 당해 기지국이 받아들이도록 하는 방법.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의 낮은 우선 순위 할당은 상기 기지국이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 내의 다른 기지국보다 발신 호출을 받아들이는 후보로 될 가능성을 적게 하는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에 대한 낮은 우선 순위 할당은 당해 기지국에 의하지 않으면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내의 임의의 다른 기지국에 의해 받아지지 않는 발신 호출을 당해 기지국이 받아들이도록 하는 방법.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할당 단계는 상기 기지국의 주전원 고장에 응답하여 행해지는 방법.
  20. 복수의 송수신기, 주전원 및 상기 주전원의 고장 중 사용되는 대원 고장 중 기지국 전력 소비를 저감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주전원 고장을 나타내는 신호를 수신하는 입력 수단; 및
    상기 입력 수단에 결합되고, 상기 신호에 응답하여 제1의 소정의 수 이하의 송수신기가 여전히 동작하도록 복수의 송수신기 중 제1 서브세트를 폐쇄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장치.
    복수의 송수신기를 구비하는 기지국을 적어도 하나 갖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방법 및 장치는 호출 상태에 있는 송수신기 수를 제1의 소정의 수와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호출 상태 송수신기의 수가 제1의 소정의 수보다 크면, 적어도 하나의 송수신기를 제외한 모든 유휴 송수신기를 스위치 오프한다. 호출 상태 송수신기의 수가 제1의 소정의 수보다 작으면, 모든 나머지 유휴 송수신기를 스위치 오프한다. 또한, 제1 서브세트의 복수의 송수신기를 스위치 오프한 후, 제2 서브세트는 소정의 기간을 기다린 후 스위치 오프될 수 있다. 제2 서브세트의 동작 송수신기의 수는 제1 서브세트에서보다 작다. 기지국의 전력 소모를 더욱 저감하기 위해, 제1 군의 무선 통신 시스템 가입자는 높은 우선 순위군으로서 지정되고, 제2 군의 가입자는 낮은 우선 순위군으로서 지정된다. 이 시스템은 높은 우선 순위군에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반면 낮은 우선 순위군에서는 서비스를 거절하도록 설계된다. 이 제어 방법 및 장치는 예를 들면, 기지국의 전력 소모 및/또는 트래픽 처리 용량을 저감하는데 유용하다.
KR1019940704213A 1993-03-24 1994-03-15 무선통신시스템기지국제어 KR10033082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8/036,290 US5410740A (en) 1993-03-24 1993-03-24 Control of a radio communications system base station
US08/036290 1993-03-24
PCT/SE1994/000225 WO1994022239A1 (en) 1993-03-24 1994-03-15 Control of a radio communications system base sta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701784A KR950701784A (ko) 1995-04-28
KR100330827B1 true KR100330827B1 (ko) 2002-08-27

Family

ID=218877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704213A KR100330827B1 (ko) 1993-03-24 1994-03-15 무선통신시스템기지국제어

Country Status (15)

Country Link
US (1) US5410740A (ko)
EP (1) EP0642718B1 (ko)
KR (1) KR100330827B1 (ko)
CN (1) CN1106198A (ko)
AU (1) AU675836B2 (ko)
CA (1) CA2136528A1 (ko)
DE (1) DE69421978T2 (ko)
DK (1) DK0642718T3 (ko)
ES (1) ES2141222T3 (ko)
FI (1) FI945501A (ko)
GR (1) GR3032330T3 (ko)
HK (1) HK1014303A1 (ko)
SG (1) SG48876A1 (ko)
TW (1) TW247381B (ko)
WO (1) WO199402223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31451B1 (en) * 1991-02-25 2002-08-13 Intermec Ip Corp. Hand-held data capture system with interchangeable modules
US6001379A (en) * 1993-09-15 1999-12-14 L'oreal Stable acidic oil-in- water type emulsions and compositions containing them
FR2709982B1 (fr) * 1993-09-15 1995-12-08 Oreal Emulsions acides stables de type huile-dans-eau et compositions les contenant.
US5546397A (en) * 1993-12-20 1996-08-13 Norand Corporation High reliability access point for wireless local area network
US5960344A (en) 1993-12-20 1999-09-28 Norand Corporation Local area network having multiple channel wireless access
US5862478A (en) * 1995-07-31 1999-01-19 Cutler, Jr.; Victor Hawes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the initiation of new traffic in a resource limited communication system
DE69532826T2 (de) * 1995-08-31 2005-02-24 Nokia Corp. Weiterreichverfahren und zellulares funksystem
US6697415B1 (en) * 1996-06-03 2004-02-24 Broadcom Corporation Spread spectrum transceiver module utilizing multiple mode transmission
CN1119036C (zh) * 1996-12-09 2003-08-20 西门子公司 用于无线通信系统的基站
GB2362300B (en) * 1996-12-23 2002-01-16 Ericsson Telefon Ab L M Telecommunications systems
US6085114A (en) * 1997-02-06 2000-07-04 At&T Wireless Systems Inc. Remote wireless unit having reduced power operating mode
US5933421A (en) 1997-02-06 1999-08-03 At&T Wireless Services Inc. Method for frequency division duplex communications
US6501771B2 (en) 1997-02-11 2002-12-31 At&T Wireless Services, Inc. Delay compensation
KR100216356B1 (ko) * 1997-02-18 1999-08-16 윤종용 기지국과 제어국간의 모뎀을 통한 접속 방법
KR100258212B1 (ko) * 1997-02-20 2000-09-01 윤종용 옥외용기지국의시스템환경감시장치및방법
US6408016B1 (en) * 1997-02-24 2002-06-18 At&T Wireless Services, Inc. Adaptive weight update method and system for a discrete multitone spread spectrum communications system
US6584144B2 (en) * 1997-02-24 2003-06-24 At&T Wireless Services, Inc. Vertical adaptive antenna array for a discrete multitone spread spectrum communications system
US6359923B1 (en) * 1997-12-18 2002-03-19 At&T Wireless Services, Inc. Highly bandwidth efficient communications
FI108764B (fi) * 1997-05-28 2002-03-15 Nokia Corp Solukkoradiojärjestelmän lähetinvastaanotinyksiköiden ohjaus
US6119017A (en) * 1997-11-25 2000-09-12 Motorola, Inc. Method of registration in a communication system
US6411816B1 (en) * 1997-11-25 2002-06-25 Motorola, Inc. Method of registration in a communication system
JP3179398B2 (ja) * 1997-12-02 2001-06-25 埼玉日本電気株式会社 簡易型携帯電話基地局装置
US6751232B1 (en) * 1997-12-22 2004-06-15 Nortel Networks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ng data between first and second pairs of transceivers communicating on a common communications link
US6094567A (en) * 1997-12-23 2000-07-25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Temperature control safety mechanism for radio base stations
US6721278B1 (en) 1998-04-30 2004-04-13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Dynamic allocation of packet data channels
EP1006677A1 (en) * 1998-09-30 2000-06-07 ICO Services Ltd. Satellite data communication with radio path suspension in maintenance mode
US6151483A (en) * 1998-10-28 2000-11-21 Ericsson Inc. Method and device for management of base station resources
US6366774B1 (en) 1999-03-30 2002-04-02 Nokia Telecommunications, Oy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RF output power compensation for a battery backup system
WO2001082641A1 (en) * 2000-04-19 2001-11-0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An arrangement and a method for managing power of a telecommunication network element
DE10043264A1 (de) * 2000-08-25 2002-04-04 Siemens Ag Verfahren und Anordnung zum Herstellen von gewichteten Kommunikationsverbindungen
JP3886795B2 (ja) * 2001-12-10 2007-02-28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移動通信システム、移動通信方法、移動端末及び通信基地局
US7421291B2 (en) * 2002-08-12 2008-09-02 Broadcom Corporation Method for selective power management for a hand held host
CN100482000C (zh) * 2003-12-19 2009-04-22 艾利森电话股份有限公司 移动远程通信网络节点用的自适应电源管理
EP1947882A1 (en) * 2007-01-18 2008-07-23 Mitsubishi Electric Information Technology Centre Europe B.V. Method for determining if a call, in which a mobile terminal located in a cell of a base station of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is involved, has to go through a base station
CN101179814A (zh) * 2007-11-28 2008-05-14 上海华为技术有限公司 基站节能方法及装置
CN101299841A (zh) * 2008-06-06 2008-11-05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移动通信控制方法、基站控制器、基站及系统
US20100159991A1 (en) * 2008-12-22 2010-06-24 Mediatek Inc. Reliable femtocell system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CN101841859A (zh) * 2009-03-20 2010-09-22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基站状态控制方法、基站节能控制系统
US9155103B2 (en) 2009-06-01 2015-10-06 Qualcomm Incorporated Coexistence manager for controlling operation of multiple radios
US8594056B2 (en) 2009-06-16 2013-11-26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dynamic and dual antenna bluetooth (BT)/WLAN coexistence
US9161232B2 (en) 2009-06-29 2015-10-13 Qualcomm Incorporated Decentralized coexistence manager for controlling operation of multiple radios
US9185718B2 (en) 2009-06-29 2015-11-10 Qualcomm Incorporated Centralized coexistence manager for controlling operation of multiple radios
US20110007680A1 (en) * 2009-07-09 2011-01-13 Qualcomm Incorporated Sleep mode design for coexistence manager
US9135197B2 (en) 2009-07-29 2015-09-15 Qualcomm Incorporated Asynchronous interface for multi-radio coexistence manager
US9185719B2 (en) 2009-08-18 2015-11-10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mapping applications to radio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US8903314B2 (en) 2009-10-29 2014-12-02 Qualcomm Incorporated Bluetooth introduction sequence that replaces frequencies unusable due to other wireless technology co-resident on a bluetooth-capable device
GB0921052D0 (en) * 2009-12-01 2010-01-13 Poweroasis Ltd Managing projected power outrage at mobile radio base sites
JP2012029268A (ja) * 2010-06-25 2012-02-09 Ntt Docomo Inc ネットワーク装置
CN102378320A (zh) * 2010-08-05 2012-03-14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移动通信系统的节能方法及装置
US9130656B2 (en) 2010-10-13 2015-09-08 Qualcomm Incorporated Multi-radio coexistence
US8931016B2 (en) * 2011-09-15 2015-01-06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Program handoff between devices and program network offloading
CN104518858B (zh) * 2013-09-27 2018-07-06 上海诺基亚贝尔股份有限公司 双/多连接无线通信系统中为用户设备配置drx的方法与设备
CN109565902B (zh) * 2016-11-29 2022-02-11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掉电处理、获取连接关系的方法及设备
US11849390B2 (en) * 2020-03-20 2023-12-19 Dish Wireless L.L.C. Method and system for power management based on full RF conditions
US20230292248A1 (en) * 2022-02-02 2023-09-14 Arista Networks, Inc. Adaptive access point configuration based on available power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55042A (en) * 1977-10-31 1979-05-15 Permut Alan R Disaster alert system
JPS56136050A (en) * 1980-03-28 1981-10-23 Nec Corp Individual selective call reception system
US4392225A (en) * 1981-02-17 1983-07-05 Tii Corporation Telephone carrier system repeater and power supply
US4435840A (en) * 1981-06-22 1984-03-06 Nippon Electric Co., Ltd. Radio mobile communication system wherein probability of loss of calls is reduced without a surplus of base station equipment
US4449248A (en) * 1982-02-01 1984-05-15 General Electric Company Battery saving radio circuit and system
JPH06105884B2 (ja) * 1986-05-06 1994-12-21 日本電気株式会社 無線電話システム
US4819180A (en) * 1987-02-13 1989-04-04 Dencor Energy Cost Controls, Inc. Variable-limit demand controller for metering electrical energy
JPH0695656B2 (ja) * 1987-03-12 1994-11-24 株式会社東芝 無線チヤネルサ−チ方式
US4905302A (en) * 1987-06-03 1990-02-27 General Electric Company Trunked radio repeater system
US4926496A (en) * 1987-08-14 1990-05-15 General Electric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infrequent radio users to simply obtain emergency assistance
FR2664768B1 (fr) * 1990-07-12 1994-04-01 Alain Charbonnier Regulation de la charge de stations fixes dans un reseau de radiocommunication cellulaire.
US5134714A (en) * 1990-10-12 1992-07-28 Motorola, Inc. Remote control of priority communications automatic
JPH04192959A (ja) * 1990-11-27 1992-07-13 Fujitsu Ltd 構内ページングシステム
JPH04207931A (ja) * 1990-11-30 1992-07-29 Fujitsu Ltd 複数ビルの自家発負荷制御方式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410740A (en) 1995-04-25
CN1106198A (zh) 1995-08-02
SG48876A1 (en) 1998-05-18
GR3032330T3 (en) 2000-04-27
FI945501A0 (fi) 1994-11-23
ES2141222T3 (es) 2000-03-16
TW247381B (ko) 1995-05-11
HK1014303A1 (en) 1999-09-24
CA2136528A1 (en) 1994-09-29
FI945501A (fi) 1994-11-23
EP0642718B1 (en) 1999-12-08
KR950701784A (ko) 1995-04-28
DE69421978T2 (de) 2000-03-30
AU675836B2 (en) 1997-02-20
DK0642718T3 (da) 2000-05-29
EP0642718A1 (en) 1995-03-15
AU6388194A (en) 1994-10-11
WO1994022239A1 (en) 1994-09-29
DE69421978D1 (de) 2000-0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30827B1 (ko) 무선통신시스템기지국제어
KR100265584B1 (ko) 이동통신에서의 유휴 핸드오프 제어방법
RU2211534C2 (ru) Способ полупрограммируемого переноса связи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многочисленных общих частот
KR0170190B1 (ko) 씨디엠에이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트래픽 부하 제어방법
US6337984B1 (en) Method for controlling a handoff in a communication system
JP3722055B2 (ja) 携帯端末装置
US8428638B2 (en) Base station control
RU2144263C1 (ru) Способ переключения каналов связи посредством программируемой перекачки в сотовой системе множественного доступа с кодовым разделением каналов
CN100459464C (zh) 信道分配方法和通信装置
CN1322770C (zh) 移动通信系统、移动通信方法和移动台
WO2012071827A1 (zh) 基站功耗控制方法及系统
US5754958A (en) Method of selecting a radio base sta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KR19990062661A (ko) 이동 통신용 핸드오프 전환 장치
JPH10303804A (ja) 故障移動局の強制切断方法
JP2005020458A (ja) 通信装置及び通信システム及び通信装置のセクタ選択方法
US6618597B1 (en) Increasing cell capacity by gain control of traffic channels
JP3990016B2 (ja) Cdmaのソフトハンドオフ制御方法
GB2404310A (en) Managing radio resources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6668171B1 (en) Procedure and system for position management in a mobile telephone system
Worley et al. Handoff schemes in CDMA cellular systems
JPH1023502A (ja) Cdma移動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周波数帯使用方法および基地局装置
KR20030043402A (ko) 이동국에서의 트래픽 부하 분산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00009979A (ko)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이동국의 핸드오프 요구 제어 방법
KR20000032309A (ko) 씨디엠에이 셀룰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소프트/하드 핸드오프 방법
JP3860893B2 (ja) 移動通信システムおよび基地局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