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30775B1 - 이랑쟁기를 구비하는 원판쟁기 - Google Patents

이랑쟁기를 구비하는 원판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30775B1
KR100330775B1 KR1020000042600A KR20000042600A KR100330775B1 KR 100330775 B1 KR100330775 B1 KR 100330775B1 KR 1020000042600 A KR1020000042600 A KR 1020000042600A KR 20000042600 A KR20000042600 A KR 20000042600A KR 100330775 B1 KR100330775 B1 KR 1003307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ow
plunger
disc
mock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426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105136A (ko
Inventor
노오섭
Original Assignee
홍덕화
(주)광산엠.티.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덕화, (주)광산엠.티.시 filed Critical 홍덕화
Priority to KR10200000426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30775B1/ko
Publication of KR200101051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051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07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0775B1/ko

Links

Landscapes

  • Soil Working Imp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지의 원판쟁기에 있어서 상기 원판쟁기의 기대 일측에 형성되는 이랑쟁기 장착대와, 상기 이랑쟁기 장착대에 결합하기 위한 연결구를 구비하는 이랑쟁기 지지대와, 상기 이랑쟁기 지지대에 러그에 의해 부착되는 이랑쟁기날로 구성된 이랑쟁기를 구비하는 원판쟁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즉 원판쟁기의 전방에 형성된 원판쟁기날의 경사각을 감안한 이랑쟁기를 이랑쟁기 부착수단에 의해 형성하므로써 원판쟁기가 갖는 장점과 이랑쟁기가 갖는 장점을 동시에 공유하면서 또한 원판쟁기가 갖는 단점은 이랑쟁기가 보완하고, 이랑쟁기가 갖는 단점은 원판쟁기가 보완해주므로써 원판쟁기와 이랑쟁기가 갖는 서로의 기능을 극대화할 수 있는 이랑쟁기를 구비하는 원판쟁기를 제공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Description

이랑쟁기를 구비하는 원판쟁기{A disc plow with furrow plows}
본 발명은 이랑쟁기를 구비하는 원판쟁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원판쟁기날에 의해 경작되어 한쪽으로 편중(偏重)되는 흙을 다시 이랑쟁기날에 의해 뒤집어 이랑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원판쟁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쟁기는 트랙터에 장착되어 이랑(하나의 두둑과 하나의 고랑을 합쳐 이르는 말)을 형성하므로써 밭이나 논을 경작하기 위한 도구로, 주로 러그의 하단에 보습과 볏으로 이루어지는 이랑쟁기날이 형성되어 흙을 갈아엎기 위한 이랑쟁기와, 전방을 향해 경사지도록 배열되고, 구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다수개의 원판쟁기날로 구성된 원판쟁기가 사용되어지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이랑쟁기와 원판쟁기는 서로 다른 구조와 형태만큼 경작작업에서도 큰 차이를 갖는 것으로, 이랑쟁기는 일정각으로 부착된 이랑쟁기날에 의해 정확한 양과 정확한 위치로 흙을 갈아 엎기 때문에 매우 가지런한 이랑(또는 고랑)이 형성되는 반면, 흙덩어리를 미세하게 분쇄하지 못하므로써 경작효율이 떨어지며, 물기가 많거나 경작지 표면에 풀이나 짚과 같이 질긴 재질이 있는 경우는 이들때문에 쟁기에 많은 부하가 생기게 되어 경작작업이 곤란하게 된다.
특히 이랑쟁기의 경우는 대개 빠른 경작을 위해 여러개의 쟁기날을 쟁기에 부착하여 트랙터에 의해 견인하게 되는데 이때 최초 쟁기날을 견인하는 순간 엄청난 부하가 트랙터에 걸리게 되고, 경작하는 순간에도 쟁기날에는 계속해서 부하가 걸려있는 상태이므로 상당한 출력(구동력)을 갖는 트랙터를 사용할 수 밖에 없게 되어 이로인한 비용부담이 큰 폐단을 갖는 것이다.
반면 원판쟁기는 원판쟁기날이 트랙터 엔진의 구동력을 받아 스스로 회전하면서 경작하게 되므로 흙덩어리의 미세한 분쇄가 가능하고 트랙터에 큰 부하가 걸리지 않으며 진 땅이나 풀과 짚이 깔려 있어도 무리없이 경작작업이 가능한 장점을 가진다.
그러나 상기 원판쟁기는 트랙터의 진행방향으로 서로 동일한 각으로 대향되도록 결합된 한쌍의 원판쟁기날에 의해 흙을 좌우로 밀치면서 이랑을 형성하도록 하는 구성을 갖는 것이므로, 상기 한쌍의 원판쟁기날의 경사각만큼 좌우로 밀쳐진 흙들은 양쪽으로 편중되어 치우치게 되는 폐단을 갖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종래의 원판쟁기는 도 5에 도시한 바와같이 전방에 형성된 한쌍의 원판쟁기날에 의해 양쪽으로 편중되게 치우친 흙무더기를 다시 고르게 펼쳐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다수개의 후방 원판쟁기날을 구비하고는 있으나, 이들은 상기 전방 원판쟁기날의 측면 후방에 위치하여 전방 원판쟁기날이 양쪽으로 밀친 편중된 흙덩어리를 고르게 펼쳐주는 기능을 가질 뿐 가지런한 이랑을 형성하기에는 곤란한 단점을 갖는 것이다. 이때 "가지런한"의 의미는 두둑과 고랑의 구별이 명확한 것을의미한다.
또한 상기 다수개의 후방 원판쟁기날 역시 트랙터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되면서 경작하게 되므로 트랙터는 상당한 동력을 후방 원판쟁기날을 구동시키는 데 소모하여야 하는 폐단을 갖는 것이다.
이처럼 본 발명은 종래의 원판쟁기가 갖는 폐단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공지의 원판쟁기의 후방에 상기 원판쟁기의 전방에 형성된 원판쟁기날의 경사각을 감안한 이랑쟁기를 이랑쟁기 부착수단에 의해 형성하므로써 원판쟁기가 갖는 장점과 이랑쟁기가 갖는 장점을 동시에 공유하면서 또한 원판쟁기가 갖는 단점은 이랑쟁기가 보완하고, 이랑쟁기가 갖는 단점은 원판쟁기가 보완해주므로써 원판쟁기와 이랑쟁기가 갖는 서로의 기능을 극대화할 수 있는 이랑쟁기를 구비하는 원판쟁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도 1 - 본 발명의 분리사시도.
도 2 - 본 발명의 사시도.
도 3 - 본 발명의 종단면도.
도 4 - 본 발명 원판쟁기에 의한 경작상태를 보이기 위한 참고도.
도 5 - 종래 원판쟁기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원판쟁기
10: 기대 11: 트랙터장착부
11a: 상부연결구 11b: 하부연결구
12: 보조쟁기 20: 원판쟁기 구동부
21: 구동력 전달축 30: 쟁기지지대
40: 원판쟁기날 50,50a: 이랑쟁기 장착대
51,51a: 보조결합대 52: 핀
53: 핀공 60,60a: 이랑쟁기 지지대
61,61a: 연결구 70: 이랑쟁기날
71: 러그 80: 흙막이판
90: 볼트
100: 종래의 원판쟁기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구성을 보이기 위한 도면으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발명을 트랙터(미도시됨)에 장착하기 위한 트랙터 장착부(11)가 설치되고 구동력 전달축(21)에 의해 트랙터로 부터 회전력을 전달받는 구동부(20)를 구비하는 기대(10)와, 상기 기대(10)의 하단에 형성되는 쟁기지지대(30)에 동일한 경사각으로 서로 대향(對向)되도록 결합하되 구동부(20)의 회전력이 전달되도록 구성한 한쌍의 원판쟁기날(40)로 이루어지는 공지의 원판쟁기에 있어서 상기 원판쟁기(1)의 기대(10) 일측에 형성되는 이랑쟁기 장착대(50,50a)와, 상기 이랑쟁기 장착대(50,50a)에 결합하기 위한 연결구(16,16a)를 구비하는 이랑쟁기 지지대(60,60a)와, 상기 이랑쟁기 지지대(60,60a)에 러그(71)에 의해 부착되는 이랑쟁기날(70,70a)로 구성된 것이다.
상기 이랑쟁기날(70,70a)은 도 4에 도시한 바와같이 전방에 형성된 원판쟁기날(40a,40b)의 후방 측면부에 위치하되 원판쟁기날의 경사방향과 각각 반대방향의 경사각(傾斜角)을 갖도록 형성되어진다. 즉 원판쟁기날(40a)의 경사방향은 트랙터 진행방향에서 볼때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향해 있으므로 이랑쟁기날(70a)은 트랙터 진행방향의 바깥쪽방향에서 안쪽방향으로 경사지는 구성을 갖는 것이며, 이랑쟁기날(70)은 이랑쟁기날(70a)과 대향되는 경사방향을 갖게 되는 것이다.
이는 원판쟁기날(40a,40b)이 진행하면서 양쪽편에 편중되게 쌓아둔 흙무더기를 다시 이랑쟁기날(70,70a)에 의해 뒤집어 엎어주기 것으로, 따라서 원판쟁기날에 의해 미세하게 분쇄되어 양쪽으로 편중되어 쌓인 흙을 뒤따라오는 이랑쟁기날로 뒤집어 가지런히 정돈된 이랑을 형성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이랑쟁기날(70,70a)의 전방에는 흙막음판(80)을 설치하여 원판쟁기날(40a,40b)에 의해 심하게 좌우로 치우친 흙이 이랑쟁기날의 작업범위를 넘어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였다.
이때 상기 흙막음판(80)은 이랑쟁기 지지대(60,60a)의 전방에 전후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부착, 설치되어진다.
상기 이랑쟁기날(70,70a)을 좌우로 이동가능토록 하므로써 이랑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이랑쟁기날(70,70a)이 장착된 이랑쟁기 지지대(60,60a)를 이랑쟁기 장착대(50,50a)의 양측에 결합되도록 하되 연결구(61,61a)가 이랑쟁기 장착대(50,50a)에서 좌우로 약간의 유동이 가능하도록 구성하였다. 이때 연결구(61,61a)의 고정은 볼트(90)로 고정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상기 이랑쟁기 장착대(50,50a)는 기대(10)의 전방 또는 후방, 측면, 상하부 어디에라도 형성할 수 있으나, 가장 견고한 상태로 기대(10)에 부착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이때 이랑쟁기 장착대(50a)는 이랑쟁기 지지대(60,60a)의 후방을 지지하기 위하여 기대(10)로 부터 이격(離隔)되어 설치될 수도 있으므로 이를 지탱하기 위한 보조결합대(51,51a)가 필요하게 된다. 특히 보조결합대(51a)는 이랑쟁기날(70,70a)의 처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필요한 구성으로 트랙터 장착부(11)의 상부연결구(11a)에 형성된 핀공(53)에 핀(52)에 의해 결합되도록 구성되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은 미도시된 트랙터에 끌려 원판쟁기날(40a,40b)이 진행하면서 흙덩어리를 미세하게 분쇄해 원판쟁기날의 경사각만큼 바깥쪽으로 편중되게 흙무더기를 쌓아두면 이랑쟁기날(70,70a)은 이를 다시 안쪽으로 뒤집어 엎어 이랑을 형성하게 된다.
이처럼 전방에서 스스로 회전하면서 전진하는 원판쟁기날(40a,40b)에 의해 진 땅이나 경작지에 흩어져 있는 풀이나 짚이 미리 분쇄된 다음에 측면 후방에 위치한 이랑쟁기날에 의해 뒤집어 지므로 이랑쟁기날에는 큰 부하(負荷)가 걸리지 않게 되며, 또한 스스로 회전하므로 부하가 크게 걸리지 않는 원판쟁기날(40a,40b)이 전방에 위치하고 상기 원판쟁기날에 의해 분쇄된 상태의 흙을 뒤집게 되는 이랑쟁기날 역시 큰 부하가 걸리지 않게 되어 종래 이랑쟁기만으로 작업하는 것에 비해 엄청난 작업효율의 향상이 이루어는 것이다.
즉 6개의 이랑쟁기날로 이루어진 이랑쟁기라면 6개의 이랑쟁기날에 모두 부하가 걸리는 반면, 본 발명은 6개의 이랑쟁기날이 달성할 수 있는 작업효율을 달성할 수 있으면서도 원판쟁기는 스스로 회전하면서 구동되므로 전체 쟁기에 걸리는 부하는 최소화할 수 있어 적은 마력의 트랙터를 사용하더라도 같은 작업효율을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이처럼 본 발명은 원판쟁기날에 의해 미세하게 분쇄되어 양쪽으로 편중된 상태의 흙을 뒤따라오는 이랑쟁기날로 뒤집어 가지런히 정돈된 이랑을 형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분쇄상태가 매우 좋은 흙을 이랑쟁기로 뒤집은 것이므로 종래 이랑쟁기로 단순히 흙을 까 뒤집는 것보다 토양상태가 매우 양호해지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전방에서 스스로 회전하면서 전진하는 원판쟁기날에 의해 토양의 상태에 크게 상관없이 쟁기장업이 가능하게 되며, 또한 쟁기 전체에 큰 부하가 걸리지 않게 되어 엄청난 작업효율의 향상이 이루어지는 효과를 가지며, 원판쟁기에 의해 분쇄상태가 양호한 흙을 다시 이랑쟁기로 뒤집어 이랑을 형성하는 것이므로 양질의 토양을 얻을 수 있으며, 종래 원판쟁기만으로는 가지런하고 정돈된 이랑을 얻기 곤란하던 것을 본 발명 장치에 의해서 부하가 적게 걸리고 미세한 분쇄가 가능한 원판쟁기의 장점을 그대로 살리면서도 상기 원판쟁기의 측면 후방에 구비되는 이랑쟁기날에 의해 흙이 몰리지 않으면서도 가지런하고 정돈된 이랑을 형성할 수있게 되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6)

  1. 트랙터 장착부가 설치되고 구동력 전달축에 의해 트랙터로 부터 회전력을 전달받는 구동부를 구비하는 기대와, 상기 기대의 하단에 형성되는 쟁기지지대에 동일한 경사각으로 서로 대향되도록 결합하되 구동부의 회전력이 전달되도록 구성한 한쌍의 원판쟁기날로 이루어지는 공지의 원판쟁기에 있어서 상기 원판쟁기(1)의 기대(10) 일측에 형성되는 이랑쟁기 장착대(50,50a)와, 상기 이랑쟁기 장착대(50,50a)에 결합하기 위한 연결구(16,16a)를 구비하는 이랑쟁기 지지대(60,60a)와, 상기 이랑쟁기 지지대(60,60a)에 러그(71)에 의해 부착되는 이랑쟁기날(70,70a)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이랑쟁기를 구비하는 원판쟁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랑쟁기날(70,70a)은 원판쟁기날(40a,40b)의 후방 측면부에 위치하되 원판쟁기날의 경사방향과 각각 반대방향의 경사각을 갖도록 형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이랑쟁기를 구비하는 원판쟁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랑쟁기 지지대(60,60a)의 전방에 전후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흙막음판(80)이 부착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이랑쟁기를 구비하는 원판쟁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랑쟁기 지지대(60,60a)가 이랑쟁기 장착대(50,50a)의 양측에 결합되도록 하되 연결구(61,61a)가 이랑쟁기 장착대(50,50a)에서 좌우로 유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이랑쟁기를 구비하는 원판쟁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랑쟁기 장착대(50a)는 보조결합대(51,51a)에 의해 기대(10)에 부착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이랑쟁기를 구비하는 원판쟁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결합대(51a)는 이랑쟁기날(70,70a)의 처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트랙터 장착부(11)의 상부연결구(11a)에 결합되도록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이랑쟁기를 구비하는 원판쟁기
KR1020000042600A 2000-07-25 2000-07-25 이랑쟁기를 구비하는 원판쟁기 KR1003307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2600A KR100330775B1 (ko) 2000-07-25 2000-07-25 이랑쟁기를 구비하는 원판쟁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2600A KR100330775B1 (ko) 2000-07-25 2000-07-25 이랑쟁기를 구비하는 원판쟁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0670U Division KR200207879Y1 (ko) 2000-05-18 2000-07-19 이랑쟁기를 구비하는 원판쟁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5136A KR20010105136A (ko) 2001-11-28
KR100330775B1 true KR100330775B1 (ko) 2002-04-03

Family

ID=458143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2600A KR100330775B1 (ko) 2000-07-25 2000-07-25 이랑쟁기를 구비하는 원판쟁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3077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6012B1 (ko) * 2018-06-08 2019-05-07 위캔글로벌 주식회사 원판 쟁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5136A (ko) 2001-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35572B1 (ko) 트렉터에 연결되는 2련 플라우 및 그 제조방법
JP2007000013A (ja) 耕起・整地装置の砕土作業具およびこれを取り付けた耕起・整地装置
US6138771A (en) Tine for mounting on soil-working implement
KR200469752Y1 (ko) 커터가 장착된 쟁기
JP2009100659A (ja) 深耕爪を装備した成形培土器ユニット
KR200207879Y1 (ko) 이랑쟁기를 구비하는 원판쟁기
KR100330775B1 (ko) 이랑쟁기를 구비하는 원판쟁기
KR100330776B1 (ko) 이랑쟁기를 구비하는 원판쟁기
JP5800393B2 (ja) その場反転プラウのレキ土反転調整装置
KR200207884Y1 (ko) 이랑쟁기를 구비하는 원판쟁기
KR102185477B1 (ko) 쟁기로터리
WO1992006578A1 (en) Tillage implements
GB2184332A (en) Soil-tilling implement with following levelling discs
KR20150035029A (ko) 이랑쟁기의 가름흙 분배장치
KR102612795B1 (ko) 트랙터용 디스크 해로우
JP4116154B2 (ja) 管理作業機
KR200199115Y1 (ko) 배토판을 갖는 트랙터용 갓돌림 배토기
KR100199084B1 (ko) 토양의 제자리반전 경운용 플라우
CN2174836Y (zh) 多用组合犁
GB2249008A (en) "Tillage discs"
JP2001016907A (ja) 多機能農作業機
JPH0440403Y2 (ko)
KR200214869Y1 (ko) 트랙터용 쟁기
AU646102C (en) Tillage implements
US4369846A (en) Tilling machine for sandy soi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8 Du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