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99084B1 - 토양의 제자리반전 경운용 플라우 - Google Patents

토양의 제자리반전 경운용 플라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99084B1
KR100199084B1 KR1019970003916A KR19970003916A KR100199084B1 KR 100199084 B1 KR100199084 B1 KR 100199084B1 KR 1019970003916 A KR1019970003916 A KR 1019970003916A KR 19970003916 A KR19970003916 A KR 19970003916A KR 100199084 B1 KR100199084 B1 KR 1001990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il
side pressure
coulter
inverted
till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039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67690A (ko
Inventor
이규승
김영길
Original Assignee
이규승
김영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규승, 김영길 filed Critical 이규승
Priority to KR10199700039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199084B1/ko
Publication of KR199800676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76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990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990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3/00Ploughs with fixed plough-shares
    • A01B3/36Ploughs mounted on tractors
    • A01B3/40Alternating plough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13/00Ploughs or like machines for special purposes ; Ditch diggers, trench ploughs, forestry ploughs, ploughs for land or marsh reclamatio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15/00Elements, tools, or details of ploughs
    • A01B15/02Plough blades; Fixing the blades
    • A01B15/04Shares
    • A01B15/06Interchangeable or adjustable shar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oil Working Imp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논의 경운작업시 경운된 토양을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시 반전시키지 않고 제자리에 반전시킬 수 있도록 하여, 모 이양작업의 전 단계인 토양의 쇄토 및 균평작업을 위한 토양의 재이동을 줄여서 농업용 트랙터의 유류소비량을 절감함과 동시에, 토양의 쇄토 및 균평작업에 소요되는 작업시간을 절감할 수 있는 토양의 제자리 반전 경운용 플라우(쟁기:plow)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토양의 제자리 반전 경운용 플라우는 프레임과, 토양을 전전하면서 7~22cm 깊이로 수직절단하는 칼날형상의 코울터와, 상기 코울터의 안쪽에 부부되어 상기 코울터에 의해 수직절단된 토양의 밑면으로 파고들어가면서 수평으로 절삭함과 동시에 들어올려 20~50°로 회전시키면서 전단파괴하여 90°로 회전시켜 세우는 이체와, 상기 이체의 보습부와 볏부의 내측단에 부착되어 토양을 수직으로 절단함과 동시에 절단된 토양을 상기 이체의 볏부측으로 밀어내는 한쌍의 측압판과, 상기 측압판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측압판 사이의 폭(구체적으로는 경사각도)을 가변시키는 측압판 폭조절수단과, 상기 이체의 반전낙하부에 의해 90°로 회전시켜 세운 토양을 180°로 넘어뜨리면서 자중에 의해 제자리로 떨어지도록 안내하는 반전수단과, 상기 이체를 고정브래킷을 개재하여 상기 프레임에 장착고정하도록 상기 이체의 외측 중앙부 일측에 부착되어 있는 프레임 연결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토양의 제자리반전 경운용 플라우
본 발명은 경운 작업시 경운된 토양을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시켜 반전시키지 않고 그대로 제자리에서 180° 반전시킬 수 있도록 하여, 벼의 이양 및 파종작업에 필요한 토양의 쇄토 및 균평작업을 위한 토양의 재이동을 줄여 농업용 트랙터의 유류 소비량을 및 토양의 쇄토 및 균평작업에 소요되는 작업 시간을 절감시킬 수 있도록 한 토양의 제자리반전 경운용 쟁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발굴된 새로운 개념의 쟁기(plow)에 대하여는 일본 교토대학의 쇼지(SHOJI) 교수의 발표논문을 들 수 있다(Proceedings of the international Conf. for Agricultural Machine. Process Engine. 10 19~22 1993, Seoul Korea). 쇼지교수가 제안한 경운용 플라우는 토양바닥으로부터 잘라진 토양괴를 토양바닥의 잘라진 제자리에 반전시키는데 필요한 성형판(Moldboard)을 구비하여야만 하므로, 구조가 복잡하고, 가격이 비싸지고 무게가 무거워지는 등의 단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토양 상태에 예민하여 제자리반전이 확실하게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는 문제점도 있었다.
일반적으로, 경운작업은 작물생육에 적합한 토양 상태를 만들기 위하여 쟁기, 써래 등으로 토양을 반전, 파쇄하는 농작업의 최초 단계를 말하며, 농작업중 에너지가 가장 많이 소요되는 작업의 하나다. 따라서, 경운 작업기의 설계 개선은 작업기의 소요 견인력 및 에너지의 측면에서 뿐 아니라 효과적인 토양의 반전 및 파괴 측면에서도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한다.
우라나라의 총 경지 면적은 200만ha 로서 이중 논이 약 130만ha 이고 밭이 75만ha 이다. 작물을 재배하기 위해서는 전 경지 면적이 1년에 한번 이상씩 경운 작업의 대상이 된다. 경운 작업을 위해 투여되는 유류 소비량은 약 4~6.1/10a 로 하였을 때, 1년에 80~120만 m3의 유류가 경운작업에 소요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1년에 단 한번만의 경운 작업을 행하였을 경우에 해당하는 유류소모량으로, 토지 이용률 등을 고려하였을 경우에는 이보다 훨씬 많은 유류가 소모되고 있음을 추정할 수 있다. 따라서 경운 작업의 방법 개선은 작업기의 소요견인력 및 에너지의 측면에서 뿐 아니라 효과적인 토양의 반전 및 파괴 측면에서도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한다.
경운 작업시 경운용 플라우(또는 쟁기)에 의한 1차 경운(primary tillage)의 목적은 토층의 반전에 의해 표토에 있던 잔유물을 매몰시켜 유기물의 단립화를 촉진시켜 지력을 개선하여 지표의 잔유물에 부착되어 있는 해충을 죽이는데 있다. 또한 1차 경운은 토양의 반전과정에서 토양을 압축절단 파쇄함으로써 쇄토 균평작업인 2차 경운(secondary tillage)을 수월하게 해준다.
종래 일반적인 경운용 플라우는 보습부, 볏부, 지측판, 코울터 등의 네개의 주요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중 코울터를 제외한 보습부, 볏부, 지측판은 이체의 3요소이다. 상기 코울터(coulter)는 본체의 맨 앞에 위치하고 있는 것이다.
상기 코울터는 토양을 수직으로 절단하는 역할을 하고, 코울터 뒤에 있는 보습부는 이체의 하부를 구성하며, 토양(역토)의 밑면을 수평으로 절단하여 절단된 토양을 보습부에까지 밀어올리는 작용을 한다. 보습부의 주요작용은 보습과, 보습부와 코울터에 의해 수평, 수직으로 절단된 역토를 절단, 파쇄시키면서 옆으로 반전시키는 것이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경운용 플라우에 의한 경운작업은 경운용 플라우의 형상 특성상 경운된 토양을 좌측 또는 우측으로 반전시킴으로써 경운작업후 고랑(ditch)에 남게 되고, 토양의 이동이 커져 논의 균평 유지가 어렵다. 그러나 수도작으로 주로 경작하는 우리나라에서는 수자원의 효율적인 이용 측면뿐만 아니라 원활한 후속작업을 위해서도 수도포장의 균평작업은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균평작업을 위해 토양의 포장전체에 걸친 전반적인 재이동에 총 유류소비량의 20~30%의 에너지가 추가로 소요되고 있다.
또한, 종래의 다련쟁기는 반전되고 있는 경토들간의 간섭현상을 막기 위하여 쟁기들이 전진방향과 수직방향으로 일직선상에 있지 않고 전진방향과 대각선으로 설계 제작되어 있어 종래의 다련쟁기로 토양을 경운하였을 경우, 반전된 경토가 제자리에서 반전되지 않고 옆으로 이동하여 반전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다련쟁기는 쟁기들이 전진방향과 대각선으로 설계 제작되어 있어 견인에너지의 증가와 회전시 많은 공간과 시간을 소모하게 된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으며, 아울러 다련쟁기의 경우 대각선 배열에 따라 그 크기가 증가하여 재료비와 제작비가 20~30% 증가하게 된다는 문제점도 가지고 있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토양반전 경운용 플라우의 문제점을 다시 한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종래의 플라우를 사용해서 제10a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안쪽 제침경법(내반 경법)에 의해 경운하면, 제9a도의 과정을 따라 토양이 논의 중앙을 향해 전체적으로 이동하여 논의 양쪽 끝에 골이 생기고, 제10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깥 제침경법(외반 경법)에 의해 경운하면, 제9a도의 과정을 따라 토양이 양쪽 두렁으로 이동하여 논의 중앙에 골이 생기고, 제10c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순차경법(왕복 경법)에 의해 경운하면, 제9a도의 과정을 따라 작업을 시작한 쪽으로 토양이 이동하여 논의 한쪽에 골이 생기게 되어 균평작업을 위해 토양의 전체적인 재이동에 필요한 에너지가 총 유류소비량의 20~30%정도 추가로 소요된다.(제9a도 및 제10a도 내지 제10c도에서 ① 내지 ⑧은 종래의 플라우에 의해 토양을 경운하는 순서를 나타낸다).
둘째, 다련 쟁기의 경우 반전된 경토가 제자리에서 잔전되지 않고 옆으로 이동하여 반전되므로 반전되고 있는 경토들간의 간섭현상을 막기 위해 쟁기들을 전진방향과 수직방향으로 일직선상에 배열하지 않는다. 따라서, 이러한 대각선 배열은 제작 재료비의 증가와 회전시 많은 작업 공간과 시간을 소모하게 된다.
셋째, 기존 플라우는 경운속도에 따라 토양의 이동이 상태가 변하여 고속작업시 토양의 측면 이동이 커서 현재 많이 수행되고 있는 고속작업에 적합치 않다.
넷째, 종래의 플라우는 반전방향에 대한 우력이 커 직진성이 불량하다.
다섯째, 종래의 플라우는 플라우의 특성상 경운된 골에 트랙터 또는 경운기의 한쪽 바퀴를 넣고 작업을 하여여야만 하므로, 항상 차체가 기울어진 상태에서 작업하기 때문에 운전자의 피로가 크다.
여섯째, 조작기술이 복잡하여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라 작업량의 편차가 크다.
본 발명은 상기 여러 가지 문제점을 감안해서 이루어진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논의 경운작업시 경운된 토양을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시켜 반전시키지 않고 그대로 제자리에 반전시킬 수 있는 토양의 제자리반전 경운용 플라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경운 작업시 한쪽으로 쏠리는 힘을 상쇄시켜 안정적인 경운 작업을 할 수 있는 토양의 제자리반전 경운용 플라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구조상 역저의 균일성이 뛰어난 후속작업인 모의 이앙 또는 벼의 직파작업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토양의 제자리반전 경운용 플라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전진방향을 향해 일직선으로 구성시킬 수 있어 제조 원가절감 및 프레임을 축소시켜 회전공간을 축소시킬 수 있는 토양의 제자리반전 경운용 플라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경운 작업 후 역토의 균평성이 양호하여 후속작업인 쇄토 및 균평작업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토양의 제자리반전 경운용 플라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토양의 제자리반전 경운용 플라우는 프레임과, 샤프트에 설치되어 토양을 전진하면서 7~22 cm 깊이로 2줄로 수직으로 절단하는 원판형상 코울터와, 상기 코울터에 의해 두줄로 수직절단된 토양의 밑면으로 파고들어가면서 수평으로 절삭함과 동시에 들어올려 20~50°로 회전시키면서 전단파괴하여 180°로 반전시키고, 반전된 토양을 자중에 의해 제자리에 떨어지도록 안내하는 이체와, 상기 이체의 보습부와 볏부의 내측단에 부착되어 중앙 코울터에 의해 수직으로 절단된 경로를 따라 직진하면서 상기 이체의 볏부와 반전 낙하부를 향해 토양을 안내하는 한쌍의 측압판과, 상기 한쌍의 측압판 사이에 배설되어 상기 측압판의 기울기(또는 경사각도)를 가변하는 측압판 폭조절수단과, 상기 이체를 고정브래킷을 개재하여 상기 프레임에 장착 고정하도록 상기 이체의 외측 중앙부 일측에 부착되어 있는 프레임 연결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토양의 제자리반전 경운용 플라우는 프레임과, 토양을 전진하면서 7~22cm 깊이로 수직절단하는 칼날형상의 코울터와, 상기 코울터의 안쪽에 부착되어 상기 코울터에 의해 수직절단된 토양의 밑면으로 파고들어가면서 수평으로 절삭함과 동시에 들어올려 20~50°로 회전시키면서 전단파괴하여 90°로 회전시켜 세우는 이체와, 상기 이체의 보습부와 볏부의 내측단에 부착되어 토양을 수직으로 절단함과 동시에 절단된 토양을 상기 이체의 볏부측으로 밀어내는 한쌍의 측압판과, 상기 측압판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측압판 사이의 폭(구체적으로는 경사각도)을 가변시키는 측압판 폭조절수단과, 상기 이체의 반전낙하부에 의해 90°로 회전시켜 세운 토양을 180°로 넘어뜨리면서 자중에 의해 제자리에 떨어지도록 안내하는 반전 수단과, 상기 이체를 고정브래킷을 개재하여 상기 프레임에 장착 고정하도록 상기 이체의 외측 중앙부 일측에 부착되어 있는 프레임 연결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제자리반전 플라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제2a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토양의 제자리반전 플라우를 농업용 트랙터에 장착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제2b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토양의 제자리반전 플라우를 경운기에 장착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제3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토양의 제자리반전 플라우의 요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제4a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토양의 제자리반전 경운용 플라우의 개략적인 평면도이고, 제4b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토양의 제자리반전 경운용 플라우를 사용했을 경우에 토양이 반전되는 과정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제5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경운용 플라우에 있어서 이체의 전개도 및 경운용 플라우의 각 부분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제6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토양의 제자리반전 경운용 플라우의 요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제7a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토양의 제자리반전 경운용 플라우의 요부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제7b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토양의 제자리반전 경운용 플라우를 사용했을 경우에 토양이 반전되는 과정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제8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경운용 플라우에 있어서 이체의 전개도 및 이체의 각 부분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제9a도는 종래 경운용 플라우를 사용해서 토양을 경운하였을 경우의 토양이동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제9b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에 의한 토양의 제자리반전 경운용 플라우를 사용해서 토양을 경운하였을 경우의 토양이동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제9c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토양의 제자리반전 경운용 플라우를 사용해서 토양을 경운했을 경우의 토양이동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제10a도 내지 제10c도는 종래의 경운용 플라우를 사용해서 토양을 경운하는 경운 방법을 각각 도시한 도면이고, 제10d도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경운용 플라우를 사용해서 토양을 경운하는 경운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제1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자리반전 경운용 플라우를 농업용 트랙터에 장착하여 토양을 제자리에서 반전시키는 상태를 촬영한 사진이다.
제12도는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2 실시예에 따른 토양의 제자리반전 경운용 플라우를 사용해서 경우하였을 경우, 토양이 제자리에서 반전된 상태를 촬영한 사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이체 11 : 보습부
12 : 볏부 13 : 반전낙하부
14 : 칼날형 코울터 20 : 측압판
25 : 측압판 폭조절수단 40 : 프레임 연결부
60L, 60C, 60R : 원판형 로울러 63 : 샤프트
63 : 브래킷 68 : 고정브래킷
45 : 반전수단 80 : 프레임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토양의 제자리반전 경운용 플라우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제자리반전 플라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제2a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토양의 제자리반전 플라우를 농업용 트랙터에 장착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제2b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토양의 제자리반전 플라우를 경운기에 장착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제3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토양의 제자리반전 플라우의 요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제4a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토양의 제자리반전 경운용 플라우의 개략적인 평면도이고, 제4b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토양의 제자리반전 경운용 플라우를 사용했을 경우에 토양이 반전되는 과정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그리고 제5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경운용 플라우의 전개도 및 경운용 플라우의 각 부분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토양의 제자리반전 경운용 플라우는 제1도 내지 제5도 및 제9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코울터(60L. 60C, 60R)는 토양을 전진하면서 7~22cm 깊이로 각각 수직절단하는 것이고, 이체(10)는 상기 코울터(60L, 60C, 60R)에 의해 두줄로 각각 수직절단된 토양의 밑면으로 파고들어가면서 수평으로 절삭함과 동시에 들어올려 20~50°로 회전시키면서 전단파괴하여 180°로 반전시키고, 반전된 토양(90)을 자중에 의해 제자리에 떨어지도록 안내하는 것이고, 상기 코울터(60L, 60C, 60R) 및 이체(10)는 브래킷(65) 및 고정브래킷(68)을 통해서 프레임(80)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프레임(80)은 트랙터 또는 경운기에 장착되어서 토양을 경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설명에 있어서, 상기 코울터(60L, 60C, 60R)는 토양(90)을 2줄로 수직으로 절단하도록 샤프트(63)에 설치되어 있는 원판형상의 것으로써, 상기 샤프트(63)의 양단부는 브래킷(65)을 개재하여 프레임(80)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이체(10)는 나선형상의 곡면으로 일체적으로 벤딩형상되거나, 또는 롤(Roll)형상으로 성형된 것으로, 고정 브래킷(68)을 개재하여 상기 프레임(80)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이체(10)는 상기 코울터(60L, 60C, 60R)에 의해 수직절단된 각각의 토양을 수평으로 절삭하는 보습부(11)와, 상기 코울터(60L, 60C, 60R)에 의해 각각 수직절단됨과 동시에 상기 보습부(11)에 의해 수평으로 절삭된 토양(90)을 들어올리면서 20~50°로 회전시켜 전단파괴하는 볏부(12)와, 상기 볏부(12)에 의해 전단파괴된 토양(90)을 180°로 반전시킴과 동시에 반전된 토양(90)이 자중에 의해 제자리에 떨어지도록 안내하는 반전낙하부(13)로 구성되어 있다.
측압판(20)은 상기 이체(10)의 보습부(11)와 볏부(12)의 내측단에 부착되어 중앙 코울터(60C)에 의해 수직으로 절단된 경로를 따라 직진하면서 상기 좌측 및 우측 코울터(60L, 60R)에 의해 수직으로 각각 절단된 좌우측의 토양을 이체(10)의 볏부(12) 및 반전낙하부(13)를 향해서 밀어붙이도록 안내하도록 한쌍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한쌍의 측압판(20) 사이에는 상기 측압판(20)의 폭(구체적으로는 경사각도)을 가변시키는 가변형 측압판 폭조절수단(25)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측압판 폭조절수단(25)은 왼나사와 오른나사로 조절되는 턴버클(turnbuckle)로 구성함이 바람직하지만, 필요에 따라서는 적절한 구조를 가지는 조절수단으로 구성해도 된다.
프레임 연결부(40)는 상기 이체(10)를 상기 프레임(80)에 장착고정하는 것으로써, 상기 프레임 연결부(40)는 상기 이체(10)의 외측 중앙부 일측에 부착되며 타측단이 상기 프레임(80)에 장착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토양의 제자리반전 경운용 플라우는 제4a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좌우측의 이체(10)와 측압판(20)은 서로 대칭되게 설치되어 있고, 상기 좌우측에 이체(10)와 측압판(20)사이 및 중앙 코울터(60C)의 중심을 관통하는 중심선(l)과 이체(10)의 보습부(12) 내측선단코너지점(R)(또는 S)이 이루는 각도(θ)는 10° 내지 15°로 설정되어 있고, 상기 좌우측의 이체(10)와 측압판(20)사이 및 중앙 코울터(60C)의 중심을 관통하는 중심선(l)과 이체(10)의 볏부(12)의 중앙 지점(T)(또는 U)이 이루는 각도(θ)는 16° 내지 19°로 설정되어 있고, 상기 이체(10)의 외측코너지점(P)(또는 Q)의 선단각도 65°내지 85°로 설정되어 있고, 상기 이체(10)의 선단부와 상기 좌우측의 이체(10)와 측압판(20) 사이 및 중앙 코울터(60C)의 중심을 관통하는 중심선(l)이 이루는 각도는 52.5°내지 62.5°로 설정되어 있다.
제4a도 및 제4b도에 있어서, 중앙지점T 및 중앙지점S는 측압판(20)과 이체(10)가 각각 분리되는 지점을 표시하고, 라인 m은 상기 측압판(20)과 이체(10)가 접촉하는 경계라인이고, 라인 m'는 상기 라인 R과 평행한 라인으로써, 토양(90)의 반전기준라인을 표시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토양의 제자리반전 경운용 플라우에 있어서의 이체(10)는 제5도에 상세히 도시한 바와 같이 빗금친 부분은 평탄면을 이루고, 빗금치지 않은 부분(하얀부분)은 토양을 절단함과 동시에 반전시키도록 곡면부로 형성되어 있다. 제5도에서 라인L은 이체(10)의 상부면이 형성하는 라인으로써, 이 라인 L을 기준으로 28°내지 32°각도를 두고 이체(10)의 평탄면과 곡면부로 분리되며, 도면에서 라인 k는 토양의 반전기준라인(또는 이체(10)의 곡면기준선)으로써, 상기 평탄면과 곡면부를 분리하는 선과 평행하다.
즉, 이체(10)의 보습부(11) 앞쪽부분은 상기 코울터(60L, 60C, 60R)에 의해 수직으로 절단된 토양(90)의 하부를 수평으로 절삭(제4b도의 ⓑ참조)하도록 하부측이 대체로 일직선상으로 되어있고, 상부측이 약간 벤딩되어서 후단부측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벤딩각도를 크게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볏부(12)는 보습부(11)에 의해 수평으로 절단된 토양(90)을 들어올리면서 20~50°로 회전시켜 전단파괴하도록(제4b도의 ⓒ참조)상기 보습부(11) 앞쪽부분보다 더욱 벤딩되어 있고, 상기 반전낙하부(13)의 전단부는 상기 볏부(12)에서 전단파괴된 토양(90)을 180°로 반전시키도록(제4b도의 ⓓ참조) 반경이 R이고 95°내지 105°의 각(θ2)을 갖는 원주면으로 벤딩되어 있고, 상기 반전낙하부(13)의 후반부는 상기 반전낙하부(13)의 전단부에 의해 180°로 반전된 토양(90)을 자중에 의해 제자리에 떨어지도록 안내반경이 R인 역초생달 모양으로 벤딩되어 있다.
다음에,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토양의 제자리반전 경운용 플라우의 동작 및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토양의 제자리반전 경운용 플라우를 제2a도 및 제1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80)에 장착한 상태에서 농업용 트랙터(또는 동력 경운기)에 설치하여 경운 작업을 행하면, 상기 코울터(60L, 60C, 60R)에 의해 토양(90)을 수직으로 각각 절단한다(제4b도의 ⓐ참조 및 제9b도 참조). 다음에, 상기 코울터(60L, 60C, 60R)에 의해 수직으로 절단된 토양(90)은 보습부(11)에 의해 수평으로 절삭된 후 (제4b도의 ⓑ참조 및 제9b도참조), 측압판(20)에 의해서 각각 볏부(12)측으로 밀리면서 볏부(12)에서 절단된 토양(90)을 들어올리면서 20~50°로 회전시켜 전단파괴한다(제4b도의 ⓒ참조 및 제9b도 참조).
그후, 상기 반전낙하부(13)의 전단부에 의해 상기 볏부(12)에서 전단파괴된 토양(90)을 180°로 반전시키고(제4b도의 ⓓ참조 및 제9b도참조), 상기 반전낙하부(13)의 후단부(제5도에서 13'로 표시함)에 의해 180°로 반전된 토양(90)을 자중에 의해 제자리에 떨어지도록 안내한다(제4b도의 ⓔ참도 및 제9b도 참조). 이와 같이 토양을 경운함으로써, 제12도의 사진과 같이 토양이 제자리반전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토양(90)을 경운함으로써, 본 발명에 의한 토양의 제자리반전 경운용 플라우는 도10d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토양(90)을 수직절단한 다음, 토양(90)의 하부를 수평으로 절삭하고, 들어올리면서 우력에 의해 제자리에 반전시킴으로써, 경운법에 영향을 받음이 없이 토양(90)을 이동시키지 않으므로, 토양을 경운한 후에, 쇄토 및 균평작업이 불필요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토양의 제자리반전 경운용 플라우를 사용하여 경운하면, 역토의 균평성도 기존의 경운용 플라우에 비해 월등히 양호하므로, 경운작업시 전체적으로 유류소비량을 절감할 수 있음과 동시에, 경운작업 시간을 크게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구조가 간단하여 제조 원가를 절감시킬 수 있고, 프레임(80)을 축소시킬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토양의 제자리반전 경운용 플라우는 구조가 좌우 대칭인 관계로 종래의 경운용 플라우의 가장 큰 문제점 중의 하나인 경운 작업시 한쪽으로 쏠리는 힘을 상쇄시켜 안정적인 경운작업이 가능하며, 제자리반전 경운용 플라우의 구조상 역저의 균일성이 뛰어나 후속작업인 모의 이앙 또는 벼의 직파작업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한쌍의 측압판(20) 사이에는 상기 측압판(20)의 폭(구체적으로는 경사각도)을 조절시키도록 측압판 폭조절수단(25)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경운속도나 또는 경심(경운깊이), 토질에 따라 경운작업에 적합하도록 상기 측압판 폭조절수단(25)을 조절하여 각도 θ'를 크게 또는 작게 조절하여 경운하면 된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제6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토양의 제자리반전 경운용 플라우의 요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제7a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토양의 제자리반전 경운용 플라우에 있어서 요부의 평면도이고, 제7b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토양의 제자리반전 경운용 플라우를 사용하였을 경우에 토양이 반전되는 과정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며, 제8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경운용 플라우에 있어서 이체의 전개도 및 이체의 각 부분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제6도 내지 제8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토양을 전진하면서 7~22 cm 깊이로 수직절단하는 칼날형상의 코울터(14)와, 상기 코울터(14)의 안쪽에 부착되어 상기 코울터(14)에 의해 수직절단된 토양(90)의 밑면으로 파고들어가면서 수평으로 절삭함과 동시에 들어올려 20~50°로 회전시키면서 전단파괴하여 90°로 회전시켜세우는 이체(10)와, 상기 이체(10)의 보습부(11)와 볏부(12)의 내측단에 부착되어 토양을 수직으로 절단함과 동시에 절단된 토양을 상기 이체(10)의 볏부(12)측으로 밀어내는 측압판(20)과, 상기 측압판(20)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측압판의 폭(구체적으로는 경사각도)을 가변시키는 측압판 폭조절수단(25)과, 상기 이체(10)의 반전낙하부(13)에 의해 90°로 회전시켜 세운 토양(90)을 180°로 넘어뜨리면서 자중에 의해 제자리에 떨어지도록 안내하는 반전수단(3))과, 상기 이체(10)를 고정 브래킷(68)을 개재하여 상기 프레임(80)에 장착고정하도록 상기 이체(10)의 외측 중앙부 일측에 부착되어 있는 프레임 연결부(40)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설명에 있어서, 상기 이체(10)는 상기 상기 칼날형상의 코울터(14) 및 측압판에(20)의 선단부에 의해 수직절단된 토양(90)을 수평으로 절삭하는 보습부(11)와, 상기 코울터(14) 및 측압판(20)의 선단부에 의해 수직절단되고, 상기 보습부(11)에 의해 수평으로 절삭된 토양(90)을 들어올리면서 20~50°로 회전시켜 전단파괴하는 볏부(12)와, 상기 볏부(12)에 의해 회전된 토양(90)을 90°로 반전시키는 반전낙하부(13)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한쌍의 측압판(20)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측압판(20)의 폭(구체적으로는 경사각도)을 가변시키는 상기 측압판 폭조절수단(25)은 왼나사와 오른나사로 조절되는 턴버클(turnbuckle)로 구성함이 바람직하지만, 필요에 따라서는 적절한 구조를 가지는 조절수단으로 구성해도 된다.
상기 프레임 연결부(40)는 고정 브래킷(68)을 개재하여 상기 이체(10)를 상기 프레임(80)에 장착고정하는 것으로서, 상기 프레임 연결부(40)는 상기 이체(10)의 외측 중앙부 일측에 부착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토양의 제자리반전 경운용 플라우는 제7a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좌우측의 이체(10)와 측압판(20)은 서로 대칭되게 설치되어 있고, 상기 좌우측에 이체(10)와 측압판(20)사이를 관통하는 중심선(l)과 이체(10)의 보습부(12) 내측선단코너지점(R)(또는 S)이 이루는 각도(θ)는 7°내지 9°로 설정되어 있고, 상기 좌우측의 이체(10)와 측압판(20)사이를 관통하는 중심선(l)과 이체(10의 볏부(12)의 중앙 지점(T)(또는 U)이 이루는 각도(θ')는 13.5°내지 16°로 설정되어 있고, 상기 이체(10)의 외측코너지점(P)(또는 Q)의 선단각도는 75°내지 85°로 설정되어 있다.
제7a도 및 제7b도에 있어서, 라인 m은 상기 측압판(20)과 이체(10)가 접촉하는 경계라인이고, 라인 m'는 상기 라인 m과 평행한 라인으로써, 토양(90)의 반전기준라인을 표시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토양의 제자리반전 경운용 플라우에 있어서의 이체(10)는 제8도에 상세히 도시한 바와 같이 빗금친 부분은 평탄면을 이루고, 빗금치지 않은 부분(하얀부분)은 토양을 절단함과 동시에 반전시키도록 곡면부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평면부와 곡면부는 이체(10)의 상부면에 의해 형성되는 선으로부터 12°내지 15°의 각도를 두고 형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제8도에 있어서, 선V는 토양(90)이 반전되는 기준라인이다. 즉, 제8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체(10)의 보습부(11) 앞쪽부분은 상기 칼날형상의 코울터(14)에 의해 수직으로 절단된 토양(90)의 하부를 제7b도의 ⓔ와 같이 수평으로 절삭하도록 하부측이 대체로 일직선형상으로 되어있고, 상부측이 약간 벤딩되어서 후단부측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벤딩각도를 크게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볏부(12)는 상기 칼날형상의 코울터(14)에 의해 수평으로 절단됨과 동시에 보습부(11)에 의해 수평으로 절단된 토양(90)을 제7b도의 ⓕ와 같이 들어올리면서 20~45°로 회전시켜 전단파괴하도록 상기 보습부(11) 앞쪽부분보다 더욱 벤딩되어 있고, 상기 반전낙하부(13)의 전단부는 상기 볏부(12)에서 전단파괴된 토양(90)을 제7b도의 ⓖ와 같이 45°내지 80°로 반전시키도록 반경이 R이고 70°내지 80°의 각(θ3)을 갖는 원주면으로 벤딩되어 있고, 상기 반전낙하부(13)의 후반부는 상기 반전낙하부(13)의 전단부에 의해 45°내지 80°로 반전된 토양(90)을 제7b도의 ⓗ와 같이 80°내지 150°로 회전시키도록 J자 형상(제8도에서 13'로 포시함)으로 벤딩되어 있고, 상기 반전수단(30)은 상기 반전낙하부(13)의 후반부에 의해 80°내지 150°로 회전된 토양을 제7b도의 ⓘ와 같이 자중에 의해 제자리에 떨어지도록 안내하기 위하여 상기 이체(10)의 반전낙하부(13) 후단부에 안쪽으로 경사지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토양의 제자리반전 경운용 플라우를 제2b도 및 제1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80)에 장착한 상태에서 농업용 동력 경운기(또는 트랙터)에 설치하여 경운 작업을 행하면, 이체(10)의 선단부 및 칼날형상의 코울터(14)가 전진하면서 토양(90)을 제7b도의 ⓔ및 제9c도의 ⓔ와 같이 수직으로 절단함과 동시에 상기 이체(10)의 보습부(11)가 토양의 밑면으로 파고 들어가면서 토양(90)을 수평으로 절단하고, 상기 절단된 토양(90)은 제7b도의 ⓕ 및 제9c도의 ⓕ와 같이 들어올리면서 20°내지 50°로 회전시킨다. 다음에, 상기 볏부(12)에 의해 20°내지 50°로 회전된 토양(90)은 측압판(20)의 안내를 받으면서 반전낙하부(13)의 전단부로 이동되어서 45°내지 80°로 회전되고, 상기 반전낙하부(13)의 전단부에서 80°내지 150°로 회전된다. 상기 반전낙하부(13)의 후반부에 의해 80°내지 150°로 회전된 토양(90)은 제7b도의 ⓘ와 같이 상기 반전수단(30)에 의해서 제7b도의 ⓘ와 같이 자중에 의해 제자리에 반전되어 떨어진다(제9c도 및 제12도 참조). 상술한 바와 같이 토양(90)을 경운함으로써, 본 발명에 의한 토양의 제자리반전 경운용 플라우는 도10d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토양(90)을 수직절단한 다음, 토양(90)의 하부를 수평으로 절삭하고, 들어올리면서 우력에 의해 제자리에 반전시킴으로써, 경운법에 영향을 받음이 없이 토양(90)을 이동시키지 않으므로, 토양을 경운한 후에, 쇄토 및 균평작업이 불필요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토양의 제자리반전 경운용 플라우를 사용하여 경운하면, 역토의 균평성도 기존의 경운용 플라우에 비해 월등히 양호하므로, 경운작업시 전체적으로 유류소비량을 절감할 수 있음과 동시에, 경운작업 시간을 크게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구조가 간단하여 제조 원가를 절감시킬 수 있고, 프레임(80)을 축소시킬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토양의 제자리반전 경운용 플라우는 구조가 좌우 대칭인 관계로 종래의 경운용 플라우의 가장 큰 문제점 중의 하나인 경운 작업시 한쪽으로 쏠리는 힘을 상쇄시켜 안정적인 경운작업이 가능하며, 제자리반전 경운용 플라우의 구조상 역저의 균일성이 뛰어나 후속작업인 모의 이앙 또는 벼의 직파작업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한쌍의 측압판(20) 사이에는 상기 측압판(20)의 폭(구체적으로는 경사각도)을 조절시키도록 측압판 폭조절수단(25)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경운속도나 또는 경심, 토질에 따라 경운작업에 적합하도록 상기 측압판 폭조절수단(25)을 조절하여 각도 θ'를 크게 또는 작게 조절하여 경운하면 된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토양의 제자리반전 경운용 플라우는 논의 경운작업시 경운된 토양을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시켜 반전시키지 않고 그대로 제자리에 반전시킬 수 있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토양의 쇄토 및 균평작업을 위해 토양의 재이동이 불필요하며 농업용 트랙터의 유류소비량 및 경운작업 시간을 절감시킬 수 있으며, 또한, 구조가 좌우 대칭인 관계로 종래의 경운용 플라우의 가장 큰 문제점 중의 하나인 경운 작업시 한쪽으로 쏠리는 힘을 상쇄시켜 안정적인 경운작업이 가능하며, 경운용 플라우의 구조상 역저의 균일성이 뛰어나 후속작업인 모의 이앙 또는 벼의 직파작업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토양의 제자리반전 경운용 플라우는 다련 경운용 플라우의 경우 전체적인 구조를 전진방향을 향해 일직선으로 구성시킬 수 있어 제조원가 절감 및 트랙터의 프레임을 축소시켜 회전공간을 축소시킬 수 있으며 또 경운 작업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경운 작업 후 역토의 균평성이 양호하여 후속작업인 쇄토, 균평작업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Claims (5)

  1. 프레임과, 샤프트에 설치되어 토양을 전진하면서 7~22 cm 깊이로 2줄로 수직으로 절단하는 원판형상의 코울터와, 상기 코울터에 의해 두줄로 수직절단된 토양의 밑면으로 파고들어가면서 수평으로 절삭함과 동시에 들어올려 20~50°로 회전시키면서 전단파괴하여 180°로 반전시키고, 반전된 토양을 자중에 의해 제자리에 떨어지도록 안내하는 이체와, 상기 이체의 보습부와 볏부의 내측단에 부착되어 중앙 코울터에 의해 수직으로 절단된 경로를 따라 직진하면서 상기 이체의 볏부와 반전 낙하부를 향해 토양을 안내하는 한쌍의 측압판과, 상기 한쌍의 측압판 사이에 배설되어 상기 측압판의 기울기(또는 경사각도)를 가변하는 측압판 폭조절수단과, 상기 이체를 고정브래킷을 개재하여 상기 프레임에 장착 고정하도록 상기 이체의 외측 중앙부 일측에 부착되어 있는 프레임 연결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양의 제자리반전 경운용 플라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체는 상기 코울터에 의해 각각 수직절단된 토양을 수평으로 절삭하는 보습부와, 상기 코울터에 의해 각각 수직절단됨과 동시에 상기 보습부에 의해 수평으로 절삭된 토양을 들어올리면서 20~50°로 회전시켜 전단파괴하는 볏부와, 상기 볏부에 의해 전단파괴된 토양을 180°로 반전시킴과 동시에 반전된 토양이 자중에 의해 제자리에 떨어지도록 안내하는 반전낙하부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양의 제자리반전 경운용 플라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체는 나선형상의 곡면으로 일체적으로 벤딩성형되거나, 또는 롤(Roll)형상으로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양의 제자리반전 경운용 플라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측압판 폭조절수단은 왼나사와 오른나사로 조절되는 턴버클(turnbuckl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양의 제자리반전 경운용 플라우.
  5. 프레임과, 토양을 전진하면서 7~22 cm 깊이로 수직절단하는 칼날형상의 코울터와, 상기 코울터의 안쪽에 부착되어 상기 코울터에 의해 수직절단된 토양의 밑면으로 파고들어가면서 수평으로 절삭함과 동시에 들어올려 20~50°로 회전시키면서 전단파괴하여 90°로 회전시켜 세우는 이체와, 상기 이체의 보습부와 볏부의 내측단에 부착되어 토양을 수직으로 절단함과 동시에 절단된 토양을 상기 이체의 볏부측으로 밀어내는 한쌍의 측압판과, 상기 측압판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측압판 사이의 폭(구체적으로는 경사각도)을 가변시키는 측압판 폭조절수단과, 상기 이체의 반전낙하부에 의해 90°로 회전시켜 세운 토양을 180°로 넘어뜨리면서 자중에 의해 제자리에 떨어지도록 안내하는 반전 수단과, 상기 이체를 고정브래킷을 개재하여 상기 프레임에 장착 고정하도록 상기 이체의 외측 중앙부 일측에 부착되어 있는 프레임 연결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양의 제자리반전 경운용 플라우.
KR1019970003916A 1997-02-10 1997-02-10 토양의 제자리반전 경운용 플라우 KR1001990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03916A KR100199084B1 (ko) 1997-02-10 1997-02-10 토양의 제자리반전 경운용 플라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03916A KR100199084B1 (ko) 1997-02-10 1997-02-10 토양의 제자리반전 경운용 플라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7690A KR19980067690A (ko) 1998-10-15
KR100199084B1 true KR100199084B1 (ko) 1999-06-15

Family

ID=194967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03916A KR100199084B1 (ko) 1997-02-10 1997-02-10 토양의 제자리반전 경운용 플라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19908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6047B1 (ko) 2010-11-09 2011-09-20 유한회사 웅진기계 농기계용 쟁기장치
KR101313090B1 (ko) 2011-04-12 2013-10-01 유한회사 영신 이랑 쟁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6047B1 (ko) 2010-11-09 2011-09-20 유한회사 웅진기계 농기계용 쟁기장치
KR101313090B1 (ko) 2011-04-12 2013-10-01 유한회사 영신 이랑 쟁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7690A (ko) 1998-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0987258Y (zh) 一种振动深松机
US4243104A (en) Soil working machine
KR100199084B1 (ko) 토양의 제자리반전 경운용 플라우
CN208624053U (zh) 一种双刀轴卧式分层粉耕深松机
KR100199085B1 (ko) 토양의 제자리반전 경운방법
US5417238A (en) Tillage implements
CN209861490U (zh) 一种耕地机专用的耕地装置
CN201171266Y (zh) 水旱田两用旋耕机
WO2019145373A1 (en) Apparatus for tilling agricultural soils, particularly for preparing for sowing or transplantation, vibrating frame and toothed disk for such apparatus
CN2098144U (zh) 驱动式多用途耕整地机具
RU184890U1 (ru) Комбинированный почвообрабатывающий агрегат
GB2023382A (en) Soil cultivating
CN2207688Y (zh) 一种农用双排四铧犁
CN219660353U (zh) 一种多作物高效农用开沟装置
CN220087875U (zh) 组合式宽窄行秸秆集行深松条耕机
CN2715482Y (zh) 新型深耕犁
CN211064061U (zh) 一种旋耕机的机械支撑结构
RU2684565C2 (ru) Устройство обработки почвы
CN2080742U (zh) 水旱两用浅耕碎土机
RU2160518C1 (ru) Комплексный почвообрабатывающий агрегат для послойной обработки почвы
KR940006155Y1 (ko) 쟁기의 보습구조
KR200182598Y1 (ko) 쟁기의 보습구조
AU646102C (en) Tillage implements
KR100330776B1 (ko) 이랑쟁기를 구비하는 원판쟁기
KR200232911Y1 (ko) 쟁기틀의 이중보습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20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