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7884Y1 - 이랑쟁기를 구비하는 원판쟁기 - Google Patents

이랑쟁기를 구비하는 원판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7884Y1
KR200207884Y1 KR2020000020779U KR20000020779U KR200207884Y1 KR 200207884 Y1 KR200207884 Y1 KR 200207884Y1 KR 2020000020779 U KR2020000020779 U KR 2020000020779U KR 20000020779 U KR20000020779 U KR 20000020779U KR 200207884 Y1 KR200207884 Y1 KR 20020788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ow
plunger
disc
blades
tra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077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오섭
Original Assignee
광산농기구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2020000014752U external-priority patent/KR200199156Y1/ko
Application filed by 광산농기구주식회사 filed Critical 광산농기구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0002077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788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788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7884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9/00Ploughs with rotary driven tools
    • A01B9/003Ploughs with rotary driven tools with tools on horizontal shaft transverse to direction of trave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13/00Ploughs or like machines for special purposes ; Ditch diggers, trench ploughs, forestry ploughs, ploughs for land or marsh reclamation
    • A01B13/02Ploughs or like machines for special purposes ; Ditch diggers, trench ploughs, forestry ploughs, ploughs for land or marsh reclamation for making or working ridges, e.g. with symmetrically arranged mouldboards, e.g. ridging plough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15/00Elements, tools, or details of ploughs
    • A01B15/16Discs; Scrapers for cleaning discs; Sharpening attachmen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oil Working Imple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공지의 원판쟁기에 있어서 상기 원판쟁기의 기대 일측에 형성되는 이랑쟁기 장착대와, 상기 이랑쟁기 장착대에 결합하기 위한 슬라이더를 구비하는 이랑쟁기 지지대와, 상기 이랑쟁기 지지대에 러그에 의해 부착되는 이랑쟁기날로 구성된 이랑쟁기를 구비하는 원판쟁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즉 원판쟁기의 전방에 형성된 원판쟁기날의 경사각을 감안한 이랑쟁기를 이랑쟁기 부착수단에 의해 형성하므로써 원판쟁기가 갖는 장점과 이랑쟁기가 갖는 장점을 동시에 공유하면서 또한 원판쟁기가 갖는 단점은 이랑쟁기가 보완하고, 이랑쟁기가 갖는 단점은 원판쟁기가 보완해주므로써 원판쟁기와 이랑쟁기가 갖는 서로의 기능을 극대화할 수 있는 이랑쟁기를 구비하는 원판쟁기를 제공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Description

이랑쟁기를 구비하는 원판쟁기{A disc plow with furrow plows}
본 고안은 이랑쟁기를 구비하는 원판쟁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방에 4개의 원판쟁기를 형성하고, 상기 원판쟁기의 측면 후방에 4개의 이랑쟁기를 형성한 원판쟁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쟁기는 트랙터에 장착되어 이랑(하나의 두둑과 하나의 고랑을 합쳐 이르는 말)을 형성하므로써 밭이나 논을 경작하기 위한 도구로, 주로 러그의 하단에 보습과 볏으로 이루어지는 이랑쟁기날이 형성되어 흙을 갈아엎기 위한 이랑쟁기와, 전방을 향해 경사지도록 배열되고, 구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다수개의 원판쟁기날로 구성된 원판쟁기가 사용되어지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이랑쟁기와 원판쟁기는 서로 다른 구조와 형태만큼 경작작업에서도 큰 차이를 갖는 것으로, 이랑쟁기는 일정각으로 부착된 이랑쟁기날에 의해 정확한 양과 정확한 위치로 흙을 갈아 엎기 때문에 매우 가지런한 이랑(또는 고랑)이 형성되는 반면, 흙덩어리를 미세하게 분쇄하지 못하므로써 경작효율이 떨어지며, 물기가 많거나 경작지 표면에 풀이나 짚과 같이 질긴 재질이 있는 경우는 이들때문에 쟁기에 많은 부하가 생기게 되어 경작작업이 곤란하게 된다.
특히 이랑쟁기의 경우는 대개 빠른 경작을 위해 여러개의 쟁기날을 쟁기에 부착하여 트랙터에 의해 견인하게 되는데 이때 최초 쟁기날을 견인하는 순간 엄청난 부하가 트랙터에 걸리게 되고, 경작하는 순간에도 쟁기날에는 계속해서 부하가 걸려있는 상태이므로 상당한 출력(구동력)을 갖는 트랙터를 사용할 수 밖에 없게 되어 이로인한 비용부담이 큰 폐단을 갖는 것이다.
반면 원판쟁기는 원판쟁기날이 트랙터 엔진의 구동력을 받아 스스로 회전하면서 경작하게 되므로 흙덩어리의 미세한 분쇄가 가능하고 트랙터에 큰 부하가 걸리지 않으며 진 땅이나 풀과 짚이 깔려 있어도 무리없이 경작작업이 가능한 장점을 가진다.
그러나 상기 원판쟁기는 트랙터의 진행방향으로 서로 동일한 각으로 대향되도록 결합된 한쌍의 원판쟁기날에 의해 흙을 좌우로 밀치면서 이랑을 형성하도록 하는 구성을 갖는 것이므로, 상기 한쌍의 원판쟁기날의 경사각만큼 좌우로 밀쳐진 흙들은 양쪽으로 편중되어 치우치게 되는 폐단을 갖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종래의 원판쟁기(100)는 도 7에 도시한 바와같이 전방에 형성된 한쌍의 원판쟁기날에 의해 양쪽으로 편중되게 치우친 흙무더기를 다시 고르게 펼쳐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다수개의 후방 원판쟁기날을 구비하고는 있으나, 이들은 상기 전방 원판쟁기날의 측면 후방에 위치하여 전방 원판쟁기날이 양쪽으로 밀친 편중된 흙덩어리를 고르게 펼쳐주는 기능을 가질 뿐 가지런한 이랑을 형성하기에는 곤란한 단점을 갖는 것이다. 이때 '가지런한'의 의미는 두둑과 고랑의 구별이 명확한 것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다수개의 후방 원판쟁기날 역시 트랙터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되면서 경작하게 되므로 트랙터는 상당한 동력을 후방 원판쟁기날을 구동시키는 데 소모하여야 하는 폐단을 갖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자는 상기와 같은 종래의 원판쟁기가 갖는 폐단을 해결하기 위하여 공지의 원판쟁기에 있어서 상기 원판쟁기의 기대 일측에 형성되는 이랑쟁기 장착대와, 상기 이랑쟁기 장착대에 결합하기 위한 연결구를 구비하는 이랑쟁기 지지대와, 상기 이랑쟁기 지지대에 러그에 의해 부착되는 이랑쟁기날로 구성된 이랑쟁기를 구비하는 원판쟁기를 선출원한 바 있으나, 이는 두개의 원판쟁기와 두개의 이랑쟁기에 의해서 경작이 이루어지므로 트랙터의 한번 진행시 경작되는 범위가 너무 좁아 작업효율이 현저히 떨어지는 폐단을 갖는 것이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트랙터의 한번 이동으로도 넓은 면적을 경작할 수 있도록 하므로써 경작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이랑쟁기를 구비하는 원판쟁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전방에 2조의 원판쟁기(1조는 서로 대향(對向)되도록 하나의 축에 결합된 한쌍의 원판쟁기를 의미)를 형성하고, 상기 원판쟁기의 측면 후방에 4개의 이랑쟁기를 형성하되 트랙터로 부터 구동력 전달축에 의해 전달되는 회전력을 구동기어부에 의해 구동축을 회전시키고 상기 구동축에 연결된 스프라켓과 체인에 의해 역시 스프라켓이 구비된 원판쟁기의 축을 회전시키고 이로인해 원판쟁기가 회전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회전가능토록 결합된 각 원판쟁기날의 측면 후방에 상기 원판쟁기날에 대응되도록 4개의 이랑쟁기날을 형성하되 상기 이랑쟁기날은 원판쟁기날의 경사방향과 반대방향으로 경사각이 형성되도록 구성하므로써 원판쟁기날에 의해 미세하게 분쇄되어 양쪽으로 편중되어 쌓이는 흙을 뒤따라오는 이랑쟁기날에 의해 뒤집어 다시 가지런히 정돈된 이랑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 - 본 고안의 분리사시도.
도 2 - 본 고안의 사시도.
도 3 - 본 고안 구동장치부의 참고사시도.
도 4 - 본 고안 구동장치부의 구동력 전달상태를 보이기 위한 개략적인 구성
도.
도 5 - 도 3의 A-A선 단면도.
도 6 - 본 고안 원판쟁기의 작업상태를 보이기 위한 사용상태 참고도.
도 7 - 종래 원판쟁기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본고안 원판쟁기
10: 기대 11: 트랙터장착구
11a: 상부연결구 11b: 하부연결구
20: 원판쟁기 구동장치부 21: 트랙터 연결축
22: 구동기어부 23: 구동축
24,24a: 구동력 전달부 25: 스프라켓
26: 체인 27: 스프라켓
28: 축 30,30a: 원판쟁기 지지대
40,40a: 원판쟁기날 50,50a: 이랑쟁기 장착대
51: 장착대 결합보조관 52: 슬라이더(slider)
53,53a,53b,53c: 이랑쟁기 지지대 54: 연결구
55: 연결대 56: 핀
60,60a,60b,60c: 이랑쟁기날 61: 러그
70,70a,70b: 흙막이판 80: 보조쟁기
100: 종래의 원판쟁기
본 고안을 첨부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본 고안의 구성은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같이 트랙터 연결축(21)에 의해 트랙터 엔진의 회전력을 전달받는 원판쟁기 구동장치부(20)를 구비하고, 미도시된 트랙터에 쟁기를 장착하기 위한 트랙터 장착부(11)가 설치된 기대(10)와, 상기 기대(10)의 하단에 형성되는 원판쟁기 지지대(30,30a)에 동일한 경사각으로 서로 대향(對向)되도록 결합하되 원판쟁기 구동장치부(20)의 회전력이 전달되도록 구성한 원판쟁기날(40)로 이루어지는 공지의 원판쟁기에 있어서 상기 원판쟁기(1)의 기대(10)의 양단부에 원판쟁기 지지대(30,30a)에 의해 결합되고 원판쟁기 구동장치부(20)에 의해 회전되어지는 2조의 원판쟁기(40,40a)와, 상기 기대(10)에형성되는 이랑쟁기 장착대(50,50a)와, 상기 이랑쟁기 장착대(50,50a)에 외삽(外揷)되어져 좌우로 유동가능토록 결합되는 슬라이더(52)와, 상기 슬라이더(52)에 결합되는 이랑쟁기 지지대(53,53a,53b,53c)와, 상기 이랑쟁기 지지대(53,53a,53b,53c)에 러그(61)에 의해 부착되는 이랑쟁기날(60,60a,60b,60c)로 구성된 것이다.
상기 이랑쟁기날(60,60a,60b,60c)은 전방에 형성된 각 원판쟁기날(40,40a)의 측면 후방에 위치하되 상기 원판쟁기날(40,40a)의 경사방향과 각각 반대방향의 경사각(傾斜角)을 갖도록 형성되어진다. 예를 들면 원판쟁기날(40)의 우측 원판쟁기날의 경사방향이 트랙터 진행방향에서 볼때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향해 있으므로 상기 원판쟁기의 우측 후방에 형성된 이랑쟁기날(60)은 트랙터 진행방향의 바깥쪽방향에서 안쪽방향으로 경사지는 구성을 갖게 되는 것이다.
이는 도 6에 도시한 바와같이 원판쟁기날(40,40a)이 진행하면서 원판쟁기날의 진행방향 양쪽으로 편중되게 쌓아둔 흙무더기를 이랑쟁기날(60,60a,60b,60c)에 의해 다시 뒤집어주기 위한 것으로, 이로인해 가지런히 정돈된 이랑을 형성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이랑쟁기날(60,60a,60b,60c)의 전방에는 흙막음판(70,70a,70b)을 설치하므로써 원판쟁기날(40,40a)의 회전에 의해 심하게 흩뿌려진 흙이 이랑쟁기날의 작업범위를 넘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때 상기 흙막음판((70,70a,70b)은 이랑쟁기 지지대(53,53c)와 기대(10)에 전후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부착, 설치되어진다.
상기 이랑쟁기날(60,60a,60b,60c)을 좌우로 이동가능토록 하므로써 이랑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이랑쟁기날(60,60a,60b,60c)이 장착된 이랑쟁기 지지대(53,53a,53b,53c)를 이랑쟁기 장착대(50,50a)에 슬라이더(52)에 의해 결합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때 슬라이더(52)의 고정은 미도시된 볼트로 고정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상기 이랑쟁기 장착대(50,50a)는 기대(10)의 전방 또는 후방, 측면, 상하부 어디에라도 형성할 수 있으나, 가장 견고한 상태로 기대(10)에 부착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이때 이랑쟁기 장착대(50,50a)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장착대 결합보조관(51)에 이랑쟁기 장착대(50,50a)를 내삽시켜 기대(10)에 결합할 수도 있다.
또한 이랑쟁기날(60a,60b)의 처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이랑쟁기 지지대(53a,53b)의 상단에 연결구(54)를 연결하고, 상기 연결구(54)와 트랙터 장착구(11)의 상부 연결구(11a)를 연결대(55)에 의해 결합시킬 수도 있다.
상기 기대(10)의 양단에 형성된 원판쟁기날(40,40a)의 회전을 위한 원판쟁기 구동장치부(20)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기대(10)의 중앙에는 트랙터 연결축(21)에 축착되는 구동기어부(22)를 형성하고, 상기 기대(10)의 양단에는 스프라켓(25)을 내장하는 구동력 전달부(24,24a)를 형성하여 상기 구동기어부(22)와 스프라켓(25)을 구동축(23)으로 연결되도록 한다. 상기 스프라켓(25)은 원판쟁기날이 결합된 축(28)에 형성된 스프라켓(27)과 체인(26)으로 연결되어진다.
따라서 트랙터 연결축(21)에 의해 전달된 트랙터 엔진의 구동력은 구동기어부(22)에 전달되고, 상기 구동기어부(22)의 회전력은 스프라켓(25,27)과 체인(26)을 통해 원판쟁기날에 전달되어지는 것이다.
이처럼 본 고안은 미도시된 트랙터에 의해 원판쟁기날(40,40a)이 회전하면서 앞으로 전진하게 되고, 상기 원판쟁기날(40,40a)이 흙덩어리를 미세하게 분쇄해 원판쟁기날의 바깥쪽으로 미세하게 분쇄된 흙무더기를 쌓아두면 뒤따라 오던 이랑쟁기날(60,60a,60b,60c)들이 이를 다시 안쪽으로 뒤집어 엎어 이랑을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종래 1조의 원판쟁기날과 2개의 이랑쟁기날로 구성되는 원판쟁기에 비해 본 고안은 한번의 작업으로 2배의 경작효율향상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물론 본 고안에서는 2조의 원판쟁기날과 4개의 이랑쟁기날로 구성된 원판쟁기에 대해서만 언급하였으나, 3조의 원판쟁기날과 6개의 이랑쟁기날 및 4조의 원판쟁기날과 8개의 이랑쟁기날로 구성된 원판쟁기를 구성하는 것도 본 고안에 의해 쉽게 응용될 수 있는 기술수준이라 할 것이다.
본 고안은 스스로 회전하므로 부하가 크게 걸리지 않는 원판쟁기날과 가지런하고 정돈된 이랑을 형성하기 용이한 이랑쟁기날을 동시에 사용하여 경작하게 되므로 원판쟁기가 갖는 장점과 이랑쟁기가 갖는 장점을 동시에 공유하면서 또한 원판쟁기가 갖는 단점은 이랑쟁기가 보완하고, 이랑쟁기가 갖는 단점은 원판쟁기가 보완해주므로써 원판쟁기와 이랑쟁기가 갖는 서로의 기능을 극대화할 수 있게 되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특히 본 고안은 2조의 원판쟁기날과 4개의 이랑쟁기날에 의해 경작하게 되므로 트랙터의 이동을 최소화 하면서 경작면적은 최대화할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되는 것이다.

Claims (6)

  1. 트랙터 연결축에 의해 트랙터 엔진의 회전력을 전달받는 원판쟁기 구동장치부를 구비하고, 미도시된 트랙터에 쟁기를 장착하기 위한 트랙터 장착부가 설치된 기대와, 상기 기대의 하단에 형성되는 쟁기지지대에 동일한 경사각으로 서로 대향되도록 결합하되 원판쟁기 구동장치부의 회전력이 전달되도록 구성한 원판쟁기날로 이루어지는 공지의 원판쟁기에 있어서 상기 원판쟁기(1)의 기대(10)의 양단부에 원판쟁기 지지대(30,30a)에 의해 결합되고 원판쟁기 구동장치부(20)에 의해 회전되어지는 2조의 원판쟁기(40,40a)와, 상기 기대(10)에 형성되는 이랑쟁기 장착대(50,50a)와, 상기 이랑쟁기 장착대에 외삽되어져 좌우로 유동가능토록 결합되는 슬라이더(52)와, 상기 슬라이더에 결합되는 이랑쟁기 지지대(53,53a,53b,53c)와, 상기 이랑쟁기 지지대에 러그(61)에 의해 부착되는 이랑쟁기날(60,60a,60b,60c)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이랑쟁기를 구비하는 원판쟁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랑쟁기날(60,60a,60b,60c)은 전방에 형성된 각 원판쟁기날(40,40a)의 측면 후방에 위치하되 상기 원판쟁기날(40,40a)의 경사방향과 각각 반대방향의 경사각을 갖도록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이랑쟁기를 구비하는 원판쟁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랑쟁기날(60,60a,60b,60c)의 전방에는 흙막음판(70,70a,70b)을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랑쟁기를 구비하는 원판쟁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랑쟁기날(60,60a,60b,60c)을 좌우로 이동가능토록 하기 위해서 이랑쟁기 지지대(53,53a,53b,53c)를 이랑쟁기 장착대(50,50a)에 슬라이더(52)에 의해 결합되도록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이랑쟁기를 구비하는 원판쟁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랑쟁기날(60a,60b)의 처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이랑쟁기 지지대(53a,53b)의 상단에 연결구(54)를 연결하고, 상기 연결구(54)와 트랙터 장착구(11)의 상부 연결구(11a)를 연결대(55)에 의해 결합되도록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이랑쟁기를 구비하는 원판쟁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원판쟁기날(40,40a)의 회전을 위한 원판쟁기 구동장치부(20)가 트랙터 연결축(21)과 상기 트랙터 연결축(21)에 축착되는 구동기어부(22)와, 상기 구동기어부(22)에 의해 회전하는 구동축(23)과, 상기 구동축(23)에 결합되고 구동력 전달부(24,24a)에 내장된 스프라켓(25)과, 원판쟁기날이 결합된 축(28)과, 상기 축(28)에 축착된 스프라켓(27)과, 상기 스프라켓(25)와 스프라켓(27)을 연결하는 체인(26)으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이랑쟁기를 구비하는 원판쟁기.
KR2020000020779U 2000-05-22 2000-07-20 이랑쟁기를 구비하는 원판쟁기 KR20020788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0779U KR200207884Y1 (ko) 2000-05-22 2000-07-20 이랑쟁기를 구비하는 원판쟁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4752 2000-05-22
KR2020000014752U KR200199156Y1 (ko) 2000-05-22 2000-05-22 양측방에 2조 이랑쟁기의 플러그구조를 갖는 원판쟁기의구조
KR2020000020779U KR200207884Y1 (ko) 2000-05-22 2000-07-20 이랑쟁기를 구비하는 원판쟁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2601A Division KR100330776B1 (ko) 2000-07-25 2000-07-25 이랑쟁기를 구비하는 원판쟁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7884Y1 true KR200207884Y1 (ko) 2000-12-15

Family

ID=266375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0779U KR200207884Y1 (ko) 2000-05-22 2000-07-20 이랑쟁기를 구비하는 원판쟁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7884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35572B1 (ko) 트렉터에 연결되는 2련 플라우 및 그 제조방법
CN101869015B (zh) 前深粗耕后浅细碎旋耕机
KR20200044657A (ko) 해로우를 갖는 경작장치
JP2009100659A (ja) 深耕爪を装備した成形培土器ユニット
KR200469752Y1 (ko) 커터가 장착된 쟁기
CN201682759U (zh) 前深粗耕后浅细碎旋耕机
JPS63237702A (ja) 耕耘用農業機械
KR100330776B1 (ko) 이랑쟁기를 구비하는 원판쟁기
KR200207884Y1 (ko) 이랑쟁기를 구비하는 원판쟁기
KR200207879Y1 (ko) 이랑쟁기를 구비하는 원판쟁기
KR100966623B1 (ko) 쟁기
KR100330775B1 (ko) 이랑쟁기를 구비하는 원판쟁기
KR102185477B1 (ko) 쟁기로터리
US5417238A (en) Tillage implements
CN101869016B (zh) 同轴深粗耕浅细碎旋耕机
CN2843025Y (zh) 多功能微型耕播机
JP4116154B2 (ja) 管理作業機
GB2184332A (en) Soil-tilling implement with following levelling discs
KR102612795B1 (ko) 트랙터용 디스크 해로우
CN2607001Y (zh) 多功能开沟起垄自动点种播肥犁具
KR200182603Y1 (ko) 농기계용 로타리날 개선구조
KR200454326Y1 (ko) 트랙터용 쟁기틀 보습
CN2285544Y (zh) 多功能铧犁
JP2001016907A (ja) 多機能農作業機
KR200214869Y1 (ko) 트랙터용 쟁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