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30764B1 - 감시장치 - Google Patents

감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30764B1
KR100330764B1 KR1019990051030A KR19990051030A KR100330764B1 KR 100330764 B1 KR100330764 B1 KR 100330764B1 KR 1019990051030 A KR1019990051030 A KR 1019990051030A KR 19990051030 A KR19990051030 A KR 19990051030A KR 100330764 B1 KR100330764 B1 KR 1003307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signal
image
video
video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510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47008A (ko
Inventor
김덕배
Original Assignee
정 일 모
유니모테크놀로지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 일 모, 유니모테크놀로지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 일 모
Priority to KR10199900510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30764B1/ko
Publication of KR200100470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470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07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076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1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plurality of remote sour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04Synchronising
    • H04N5/06Generation of synchronising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68Signal distribution or switch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의 감시용 카메라(1)의 영상을 선택 절환할시 출력화면에 바운싱 현상이 보이지 않도록 한 감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복수개의 감시용 카메라들(1)로부터 출력되는 복수개의 영상신호들 중 하나를 선택하여 입력처리하는 영상입력처리부(10); 상기 복수개의 영상신호들을 입력하고, 상기 복수개의 영상신호들 중 상기 영상입력처리부(10)에 입력되는 영상신호와 동기된 블랙레벨의 복합동기신호를 발생하는 복합동기신호발생부(20); 상기 영상입력처리부(10)에 입력되는 영상신호가 다른 영상신호로 절환될 때 상기 다른 영상신호의 동기조정시간 동안 상기 블랙레벨의 복합동기신호를 상기 영상입력처리부(10)로 입력시킨 다음에 상기 다른 영상신호가 상기 영상입력처리부(10)로 입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30); 및 상기 영상입력처리부(10)에 입력처리된 영상신호를 동기조정하여 모니터(50)에 표시되게 출력처리하는 영상출력처리부(40)를 포함함으로써 화면절환시 화면이 흔들리는 바운싱 현상이 나타나지 않게되어 영상신호의 절환순간에도 깨끗한 화질로 감시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감시장치{OBSERVING SYSTEM}
본 발명은 복수의 카메라에서 각각 촬영되는 영상신호를 번갈아가며 선택하여 모니터(monitor)에 디스플레이함으로써 현장을 원격지에서 감시할 수 있는 감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영상신호를 선택절환하는 경우에 그 선택된 영상신호를 일시적으로 록킹시키고 그 록킹시간동안 블랙레벨의 동기신호를 출력하여 화면절환시 발생하는 바운싱(bouncing)현상이 보이지 않도록 한 감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감시장치는 현장 요소에 카메라를 설치하여 각각 촬영하고, 그 촬영된 영상들을 수동 또는 자동으로 절환하면서 선택된 영상을 모니터에 디스플레이(display)함으로써 현장과 떨어진 곳에서 각 현장의 상황, 즉 침입자 등을 감지하기 위한 것으로, 은행이나 아파트 등 공공장소의 무인경비시스템 등에 이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감시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종래에는 도 1에 보인 바와 같이, 복수의 카메라(1), 이 복수의 카메라(1)와 접속되어 선택 입력되는 영상신호를 처리하는 영상입력처리부(2), 복수의 카메라(1)로부터 동시 입력되는 다(多) 채널(CH1,CH2,…,CHn)의 영상들을 일정시간 주기로 선택하도록 그 영상입력처리부(2)를 제어하는 제어부(3), 영상입력처리부(2)에 의해 입력처리된 영상신호를 출력처리하는 영상출력처리부(6), 그리고 이 영상출력처리부(6)에서 출력처리된 영상신호를 화면으로 디스플레이하는 모니터(7)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영상입력처리부(2)는 제어부(3)의 제어신호에 따라 복수의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신호중 하나를 선택하는 멀티플렉서(4)와 선택된 영상에 문자나 기호 등을 실어서 함께 출력되도록 처리하는 영상처리회로(5)로 되어 있으며, 영상출력처리부(6)는 그 입력처리된 영상을 수직동기신호와 수평동기신호로 분리하여 모니터(7)상에 디스플레이되도록 주사한다. 따라서 감시자는 모니터(7)에 주기적으로 바뀌는 영상들을 통해 각 카메라가 설치된 현장에서 일어나는 상황을 감시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감시장치에 있어서, 도 2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이전 채널(예: CH1)의 영상신호가 주사되는 중에, 임의의 절환시점 t′에서 새로 선택 절환된 채널(예: CH2)의 영상이 입력된다고 하였을 때, 그 순간에는 한 화면에 두 채널(CH1,CH2)의 영상신호들이 동시에 디스플레이되며, 선택절환된 시점에서부터 영상출력처리부가 입력된 채널(CH2)의 영상신호에 동기를 맞추기까지의 시간 이후에야 비로소 완전한 화면으로 출력될 수 있다.
상기 영상출력처리부(4)에서는 선택 절환된 시점에서부터 그 선택입력되는 영상신호에 따라 동기를 조정하게 되며, 이 동기조정에 걸리는 시간을 록킹시간(locking time)이라고 한다. 이 록킹시간동안은 입력되는 영상신호의 시작점과 모니터가 주사하는 시작점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화면이 흔들리는 것처럼 보이는 바운싱현상이 나타난다.
즉, 종래의 감시장치에 의하면 화면절환시마다 반복되는 상기 바운싱 현상으로 인해 모니터 화질이 크게 저하되며, 이로 인해 화면을 계속해서 주시해야 하는 감시자가 쉽게 피로를 느끼게 되는 등 효과적으로 감시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화면이 절환되는 순간에 화면이 심하게 흔들리는 상기 바운싱 현상을 육안으로는 보이지 않도록 처리함으로써 깨끗한 화질로 감시할 수 있도록 한 감시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감시장치의 회로구성을 보인 블록도.
도 2는 감시장치의 화면출력 상태를 설명하는 영상주사선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감시장치의 회로구성을 보인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감시장치에서 영상절환시에 처리되는 동기신호와 영상신호를 보인 타이밍 챠아트.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감시장치에 의하여 출력화면이 바뀌는 상태를 묘사한 도식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영상입력처리부 11 : 주멀티플렉서
12 : 영상처리회로 20 : 복합동기발생부
21 : 보조멀티플렉서 22 : 복합동기회로
30 : 제어부 40 : 영상출력처리부
41 : 동기신호분리회로 42 : 발진회로
45 : 소인회로 50 : 모니터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복수개의 카메라들로부터 출력되는 복수개의 영상신호들 중 하나를 선택하여 입력처리하는 영상입력처리부; 상기 복수개의 영상신호들을 입력하고, 상기 복수개의 영상신호들 중 상기 영상입력처리부에 입력되는 영상신호와 동기된 블랙레벨의 복합동기신호를 발생하는 복합동기신호발생부; 상기 영상입력처리부에 입력되는 영상신호가 다른 영상신호로 절환될 때 상기 다른 영상신호의 동기조정시간 동안 상기 블랙레벨의 복합동기신호를 상기 영상입력처리부로 입력시킨 다음에 상기 다른 영상신호가 상기 영상입력처리부로 입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영상입력처리부에서 입력처리된 영상신호를 동기조정하여 모니터에 표시되게 출력처리하는 영상출력처리부를 구비하는 감시장치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영상신호가 선택절환되면 그 선택절환된 영상신호는 일단 정상적인 화면으로 출력되도록 동기조정되기까지의 록킹시간동안 상기 복합동기신호발생부에서 발생되는 블랙레벨의 복합동기신호가 대신 출력된다. 이렇게 출력되는 블랙레벨의 복합동기신호는 물론, 그 출력되는 시간이 매우 짧으므로 바운싱 현상이 육안으로는 보이지 않도록 처리한 것이다.
따라서 영상신호가 절환되는 순간마다 발생되는 바운싱 현상은 화면상으로 나타나지 않게 되며, 결과적으로 화면이 바뀌는 순간에도 깨끗한 화질로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감시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감시장치는 그 블록도가 도시한 도 3과 같이 요소에 배치되는 복수의 카메라(1), 영상입력처리부(10), 복합동기발생부(20), 제어부(30), 영상출력처리부(40), 및 모니터(50)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영상입력처리부(10)는 복수의 카메라(1) 및 상기 복합동기발생부(20)와 각각 접속되는 다(多) 채널(CH1,CH2,…,CHn)의 입력단자(부호생략) 그리고 제어부(30)의 신호에 따라 그 복수의 입력단자중 하나로부터 선택입력되는 영상신호를 출력하는 하나의 출력단자(부호생략)를 가지는 주멀티플렉서(11)와, 이 주멀티플렉서(11)에서 선택된 영상신호에 해당되는 카메라(1)가 설치된 위치정보등 소정의 문자정보를 실어서 처리하는 영상처리회로(12)로 이루어진다.
복합동기발생부(20)는 상기 복수의 카메라(1)측에 상기 영상입력처리부(10)의 주멀티플렉서(11)와 병렬로 접속되는 복수의 입력단자 그리고 선택입력되는 영상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단자를 가지는 보조멀티플렉서(21)와, 이 보조멀티플렉서에서 선택된 영상신호로부터 동기된 블랙레벨의 복합동기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주멀티플렉서(11)의 잉여 입력단자에 입력시키는 복합동기회로(22)로 이루어진다.
제어부(30)는 상기 주 및 보조멀티플렉서(11,21)를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제어회로(31)와, 외부로부터 영상신호의 선택시기와 그 절환순서 등의 조건을 설정하거나 수동으로 영상신호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키입력회로(32)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영상출력처리부(40)는 통상과 같이 상기 영상입력처리부(10)에 의해 입력처리된 합성영상신호로부터 수직 및 수평동기신호를 분리하는 동기신호분리회로(41)와, 분리된 수직 및 수평동기신호를 발진하는 수직 및 수평동기발진회로(42;43,44)와, 발진된 수직 및 수평동기신호에 따라 모니터(50)의 전자총(도시생략)을 제어하여 영상신호에 대응한 전자빔이 주사되게 하는 수직 및 수평소인회로(45;46,47)로 이루어진다.
이하, 상기와 같이 실시된 본 발명에 따른 감시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3에서, 복수의 카메라(1)중에서 선택된 채널의 영상신호가 영상입력처리부(10)와 영상출력처리부(40)를 거쳐 모니터(50)의 화면상에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상태에서 제어부(30)의 제어신호에 의하여 다른 채널의 영상신호가 선택되기전 그 다음에 선택될 영상신호는 복합동기신호발생부(20)에 있는 보조멀티플렉서(21)를 통해 복합동기회로(22)로 입력되어지고 복합동기회로(22)에서는 그 다음에 입력될 영상신호로부터 동기된 복합동기신호가 발생된다 이렇게 발생되는 복합동기신호가 상기 주멀티플렉서(11)의 잉여 입력단자를 통해 입력되면 영상입력처리부(10)에 있는 주멀티플렉서(11)의 입력단자중 그 다음에 선택될 영상신호에 해당되는 입력단자가 절환되는 것이다. 따라서 화면절환 순간 선택된 영상신호의 동기조정시간인 록킹시간 동안은 새로 선택된 영상신호 대신 그로부터 추출된 복합동기신호만이 입력처리되며, 그 록킹시간 이후에야 비로서 선택된 영상신호가 입력처리되는 것이다. 실제로 영상입력처리부(10)에 있는 주멀티플렉서(11)의 채널 선택절환시점은 그 시점 이전에 주사되는 영상신호의 수직동기신호 기간내에서 행해지게 되며(도 2 참조), 그 순간에 상기한 바와 같은 복합동기신호발생부(20)의 복합동기신호가 입력되어진다.
상기 복합동기신호발생부(20)는 그 입력되는 카메라(1)의 합성영상신호로부터 수직동기신호와 복합동기신호를 분리한다. 이때 영상출력처리부(40)의 PLL(위상동기루프)를 록킹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복합동기신호의 레벨은 입력되는 카메라 영상신호의 동기신호와 같은 레벨로 한다. 이를 위해서는 영상입력처리부(10)의 영상처리회로(12)에 의한 문자정보가 그 복합동기신호에 첨가되지 않도록 주의하여야 하는데, 그 이유는 문자정보의 레벨 역시 카메라의 영상신호의 레벨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이로 인해 주지한 바운싱 현상이 나타날 수 있기 때문이다. 참고로 카메라의 영상신호 레벨은 도 4에 보인 바와 같이 1V이며 그 동기신호는 블랙레벨이라고 하는 273mV에 해당된다. 즉, 선택절환 시점을 기준으로 그 이전에 입력된 영상신호의 디스플레이 화면과 그 이후에 입력되는 영상신호의 디스플레이 화면 사이에는, 도 5에 가시화하여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선택된 영상신호의 동기조정시간에 해당되는 록킹시간 동안 전술한 블랙레벨의 복합동기신호가 화면으로 처리되는 것이다.
블랙레벨의 복합동기신호는 화면상에서 검게 디스플레이되므로 주지한 바와 같은 바운싱 현상은 보이지 않게 되며, 또한 그 록킹시간은 매우 짧은 시간이므로 소위 착시현상으로 인해 육안으로는 느껴지지 않게 된다. 결과적으로 선택 절환된 영상신호는 바운싱 영향이 이미 사라진 동기조정된 시점부터 깨끗한 화질로 디스플레이되어진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화면 절환시마다 발생되었던 바운싱 현상을 육안으로는 보이지 않게 되는 블랙레벨의 화면으로 처리함으로써 그 화면 절환순간에도 화면이 흔들리지 않는 깨끗한 화질을 제공하는 것이다. 따라서 감시장치의 화질을 크게 향상시켜서 감시자 눈의 피로를 덜어주고, 아울러 감시의 신뢰도를 높이는 효과가 제공되는 것이다.

Claims (3)

  1. 복수개의 카메라들로부터 출력되는 복수개의 영상신호들 중 하나를 선택하여 입력처리하는 영상입력처리부;
    상기 복수개의 영상신호들을 입력하고, 상기 복수개의 영상신호들 중 상기 영상입력처리부에 입력되는 영상신호와 동기된 블랙레벨의 복합동기신호를 발생하는 복합동기신호발생부;
    상기 영상입력처리부에 입력되는 영상신호가 다른 영상신호로 절환될 때 상기 다른 영상신호의 동기조정시간 동안 상기 블랙레벨의 복합동기신호를 상기 영상입력처리부로 입력시킨 다음에 상기 다른 영상신호가 상기 영상입력처리부로 입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영상입력처리부에서 입력처리된 영상신호를 동기조정하여 모니터에 표시되게 출력처리하는 영상출력처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합동기발생부에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카메라의 영상신호를 선택입력하는 보조멀티플렉서와, 이 보조멀티플렉서에서 선택입력되는 영상신호로부터 동기된 블랙레벨로의 복합동기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영상입력처리부에 입력시키는 복합동기신호발생부가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는 상기 영상입력처리부 및 상기 복합동기신호발생부에 입력될 영상신호의 선택시기 및 그 주기를 제어하는 제어회로와, 그 영상신호의 선택시기 및 그 주기를 설정하거나 수동선택을 위해 입력조작하기 위한키입력부가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장치.
KR1019990051030A 1999-11-17 1999-11-17 감시장치 KR1003307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1030A KR100330764B1 (ko) 1999-11-17 1999-11-17 감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1030A KR100330764B1 (ko) 1999-11-17 1999-11-17 감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7008A KR20010047008A (ko) 2001-06-15
KR100330764B1 true KR100330764B1 (ko) 2002-03-29

Family

ID=196204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1030A KR100330764B1 (ko) 1999-11-17 1999-11-17 감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3076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4108B1 (ko) 2012-03-28 2013-05-14 주식회사 큐비엠 고속 영상 전환 스위치 및 스위칭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6177B1 (ko) * 2010-12-09 2017-03-14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원격 제어 무장 장치
CN111179317A (zh) * 2020-01-04 2020-05-19 阔地教育科技有限公司 互动教学系统及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4133A (ko) * 1997-06-27 1999-01-15 윤종용 멀티 폐회로 tv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4133A (ko) * 1997-06-27 1999-01-15 윤종용 멀티 폐회로 tv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4108B1 (ko) 2012-03-28 2013-05-14 주식회사 큐비엠 고속 영상 전환 스위치 및 스위칭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7008A (ko) 2001-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70003098B1 (ko) 고체 촬상 장치
KR100448188B1 (ko) 화질검사장치 및 화질검사방법
KR100330764B1 (ko) 감시장치
JPS62289083A (ja) 広視野ビデオカメラ装置
US6275265B1 (en) Video signal synchronizing apparatus
KR20100002732A (ko) 매트릭스 스위처 및 그 구동 방법
JPH0576006A (ja) Cctv監視システム
KR200321225Y1 (ko) 카메라의 동기 제어 장치
JP2577975B2 (ja) 監視システム
JPH0583713A (ja) Cctv監視システム
JPS62295588A (ja) 画面合成装置
JPH0514809A (ja) テレビカメラ装置
JP3381097B2 (ja) スーパーインポーズ装置
JP2904103B2 (ja) 液晶プロジェクタの映像信号切り換え装置
JP4380137B2 (ja) 映像の黒レベル再生方法及び黒レベル再生回路
KR100267730B1 (ko) 4분할 화면 표시기의 명도 조절 장치
JP3441128B2 (ja) テレビカメラの同期装置
JPH02217085A (ja) 文字放送受信機内蔵テレビジョン受像機
JP2980036B2 (ja) ビデオカメラ装置
JP2000078487A (ja) 映像信号切替え装置
JPH1084519A (ja) ゲンロック機能付き映像表示装置
KR20060029829A (ko) 폐쇄채널 텔레비전에서 복수의 채널을 병합하여 표시하는방법 및 그 장치
JPH0698231A (ja) 遠隔制御撮像装置
JP2001292351A (ja) 信号処理装置および表示装置
JP2003009026A (ja) オンスクリー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318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