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29445B1 - 프로필렌중합체재료와올레핀중합체재료의블렌드로부터제조된부직포재료 - Google Patents

프로필렌중합체재료와올레핀중합체재료의블렌드로부터제조된부직포재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29445B1
KR100329445B1 KR1019930022688A KR930022688A KR100329445B1 KR 100329445 B1 KR100329445 B1 KR 100329445B1 KR 1019930022688 A KR1019930022688 A KR 1019930022688A KR 930022688 A KR930022688 A KR 930022688A KR 100329445 B1 KR100329445 B1 KR 1003294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pylene
ethylene
copolymer
olefin
olefin poly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226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09264A (ko
Inventor
쿠마르오갈레
마이클이.스트라시닉
Original Assignee
바셀 노쓰 아메리카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바셀 노쓰 아메리카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바셀 노쓰 아메리카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9400092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92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94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9445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6/00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 D01F6/44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mixtures of 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as major constituent with other polymers or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 D01F6/46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mixtures of 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as major constituent with other polymers or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of polyolefi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9Coated or structually defined flake, particle, cell, strand, strand portion, rod, filament, macroscopic fiber or mass thereof
    • Y10T428/2913Rod, strand, filament or fiber
    • Y10T428/2915Rod, strand, filament or fiber including textile, cloth or fabri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60Nonwoven fabric [i.e., nonwoven strand or fiber material]
    • Y10T442/697Containing at least two chemically different strand or fiber materials

Abstract

본 발명은 올레핀 중합체 물질과 배합된 프로필렌 중합체 물질의 섬유를 포함하는 부직포용 섬유물질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프로필렌 중합체 재료와 올레핀 중합체 재료의 블렌드로부터 제조된 부직포재료
본 발명은 프로필렌 중합체 재료와 올레핀 중합체 재료의 블렌드로부터 생성된 섬유로 이루이진 부직포 재료(nonwoven textile material)에 관한 것이다.
각종 열가소성 섬유를 포함하는 부직포 재료가 선행 기술 분야에 널리 공지되어 있다. 성형품 등의 구조 부재에서의 폴리프로필렌의 중요한 용도 이외에, 이리한 플리프로필렌은 사(yarn), 직물 재료 및 부직포 재료에서 특정 섬유로서 중요한 용도를 지니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의 강도, 고융점 및 화학적 불활성 뿐만 아니라 저단가에 편승하기 위해서는, 상기 응용분야에 전형적인 중합체로서 결정질 단독중합체 폴리프로필렌이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폴리프로필렌 섬유로부터 제조된 섬유 재료(예: 부직포 재료)는 일반적으로, 가장 바람직할 수도 있는 성질(예: 연성 및 드레이프성)들 간의 미묘한 균형을 나타내지 못한다.
본 발명에 이르러 프로필렌 중합체 재료와 이보다 융점이 낮은 올레핀 중합체 재료와의 블렌드로부터 형성된 섬유로부터 제조한 부직포 재료를 사용하면, 선행 및 본 명세서에서 언급한 부직포 재료의 상기 단점 및 기타 단점들이 제거되거나 감소될 수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본 발명은
(A) 본질적으로 결정질 프로필렌 단독중합체, 또는 프로필렌과 에틸렌과의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프로필렌 중합체 재료와
(B) (1) (a) 프로필렌 85 내지 96%,
(b) 에틸렌 1.5 내지 5% 및
(c) C4-C8α-올레핀 2.5 내지 10%로 본질적으로 이루어진 랜덤 프로 필렌 삼원공중합체 ;
(2) (a) 프로필렌과 C4-C8α-올레핀과의 공중합체(여기서, 당해 공중합체는 프로필렌을 80 내지 98% 함유한다) 30 내지 65%와
(b) 프로필렌과 에틸렌 및 임의로 C4-C8α-올레핀과의 공중합체 또는 삼원공중합체 35% 내지 70%로 본질적으로 이루어진 프로필렌 중합체 조성물;
(3) (a)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30 내지 60%와
(b) 에틸렌, C4-C8α-올레핀 및 이들의 배합물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공단량체와 프로필렌과의 하나 이상의 결정질 공중합체 40 내지 70%로 본질적으로 이루어진 프로필렌 중합체 조성물; 및
(4) (a) 이소택틱 지수가 80 이상인 프로필렌 중합체, 또는 프로필렌과 에틸렌. C4-C8α-올레핀 또는 이들의 배합물과의 공중합체(여기서, 당해 공중합체는 프로필렌을 80% 이상 함유하며 이소택틱 지수가 80 이상이다) 10 내지 50%,
(b) 실온 또는 주위 온도에서 크실렌에 불용성인 반결정질 공중합체 분획 5 내지 20% 및
(c) 에틸렌과 프로필렌, C4-C8α-올레핀 또는 이들의 배합물 및 임의로 미량의 디엔과의 공중합체 분획(여기서, 당해 공중합체 분획은 에틸렌, C4-C8α-올레핀 또는 이들의 배합물을 40% 미만 함유하고, 실온에서 크실렌에 가용성이며, 고유 점도가 1.5 내지 4dl/g이다) 40 내지 80%로 본질적으로 이루어진 프로필렌 중합체 조성물[여기서, 분획(b)와 분획(c)의 총량은, 총 올레핀 중합체 조성물을 기준으로 하여, 약 50% 내지 90%이며 분획(b)/분획(c)의 중량비는 0.4 미만이다]로 본질적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올레핀 중합체 재료의 블렌드로 구성된 섬유를 포함하고, 강도, 드레이프성(drapability), 연성 및 결합 성능이 우수한 부직포 재료를 제공한다.
본원에서 모든 부 및 %는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중량을 기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성분(A)는 이소택틱 기수가 90 이상, 바람직하게는 96 이상인 결정질 프로필렌 단독중합체 또는 이소택틱 지수가 85 이상이고 에틸렌 함량이 10%, 미만, 바람직하게는 5% 미만인 프로필렌과 에틸렌과의 공중합체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올레핀 중합체 재료인 성분(B)는 본질적으로
(1) (a) 프로필렌 85 내지 96%, 바람직하게는 약 90 내지 95%,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92% 내지 94%,
(b) 에틸렌 1.5 내지 5%, 바람직하게는 약 2 내지 3%,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2.2 내지 2.7% 및
(c) C4-C8α-올레핀 약 2.5 내지 10%, 바람직하게는 약 4 내지 6%,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4.4 내지 5.6%로 본질적으로 이루어진 랜덤 프로필렌 삼원공중합체(여기서, 프로필렌과의 총 공단량체 함량은 약 4 내지 15%이다);
(2) (a) 프로필렌과 C4-C8α-올레핀과의 공중합체(여기서, 당해 공중합체는 프로필렌을 80 내지 98%, 바람직하게는 85 내지 95% 함유한다) 30 내지 65%, 바람직하게는 약 45 내지 65%와
(b) 프로필렌과 에틸렌 및 임의로 C4-C8α-올레핀과의 공중합체 또는 삼원공중합체(여기서, (b)가 삼원공중합체이면, 총 공단량체 함량, 즉 에틸렌과 C4-C8α-올레핀의 함량은 2 내지 10%, 바람직하게는 3 내지 6%이고 에틸렌 함량은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이고, (b)가 공중합체이면. 애틸렌은 바람직하게는 7 내지 9%의 양으로 존재한다) 약 35 내지 70%, 바람직하게는 약 35 내지 55%로 본질적으로 이루어진 프로필렌 중합체 조성물;
(3) (a) 용융지수 E(ASTM D-1238에 따르는 MIE)가 0.1 내지 15,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5의 범위이고, 밀도가 약 0.94 내지 0.90, 바람직하게는 약 0.94 내지 0.91,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0.93 내지 0.915이며, C3내지 C12, 바람직하게는 C4내지 C8α-올레핀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공단량체를 바람직하게는 약 3 내지 20%, 가장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5% 함유하는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30 내지 60%,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60%와
(b) 에틸렌, C4-C8α-올레핀 및 이들의 배합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공단량체와 프로필렌과의 하나 이상의 결정질 공중합체(여기서, 공단량체(들)의 함량은 5 내지 20%, 바람직하게는 8 내지 15%이고, 50℃에서 n-헥산중의 추출 가능한 물질의 함량은 7% 미만, 바람직하게는 5.5% 미만, 가장 바람직하게는 3% 미만이다) 40 내지 70%,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60%로 본질적으로 이루어진 프로필렌 중합체 조성물 및
(4) (a) 이소택틱 지수가 바람직하게는 85 내지 98%인 프로필렌 단독중합체, 또는 (i) 프로필렌과 에틸렌, (ii) 프로필렌, 에틸렌 및 CH2=CHR α-올레핀(여기서, R은 C2-C8직쇄 또는 측쇄 알킬이다) 및 (iii) 프로필렌과 상기 (a)(ii)애서 정의한 바와 같은 α-올레핀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공중합체(여기서, 당해 공중합체는 프로필렌을 바람직하게는 90 내지 99% 함유하고 이소택틱 지수가 80 이상이다) 10 내지 50%,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40%, 가장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35%,
(b) (i) 에틸렌을 55% 이상 함유하는 에틸렌과 프로필렌의 공중합체; (ii) α-올레핀을 1 내지 10% 함유하고 에틸렌과 α-올레핀 둘 다를 55% 이상 98% 이하, 바람직하게는 80 내지 95% 함유하는, 에틸렌, 프로필렌 및 상기 (a)(ii)에서 정의한 바와 같은 α-올레핀의 공중합체; 및 (iii) 상기 (a)(ii)에서 정의한 바와 같은 α-올레핀을 55% 이상 98% 이하, 바람직하게는 80 내지 95% 함유하는, 에틸렌과 α-올레핀과의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고, 실온 또는 주위 온도에서 크실렌에 불용성이며, 시차 주사 열량계(DSC)로 측정한 결정화도가 약 20 내지 60%인 반결정질의 본질적으로 선형인 공중합체 분획 5 내지 20%, 바람직하게는7 내지 15% 및
(c) (i) 에틸렌과 프로필렌의 공중합체(여기서, 당해 공중합체는 에틸렌을 20% 내지 40%s 미만,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38%, 가장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38% 함유한다); (ii) 에틸렌, 프로필렌 및 상기 (a)(ii)에서 정의한 바와 같은 α-올레핀의 공중합체(여기서, α-올레핀은 1 내지 10%,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의 양으로 존재하고, 에틸렌과 α-올레핀은 20% 내지 40% 미만의 양으로 존재한다); 및 (iii) 애틸렌과 상기 (a)(ii)에서 정의한 바와 같은 α-올레핀과의 공중합체(여기서, 당해 공중합체 α-올레핀을 20% 내지 40% 미만,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38%, 가장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38%를 함유한다) 및 이들과 임의로 디엔 1.5 내지 10%,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와의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된 공중합체 분획(여기서, 당해 분획은 주위온도에서 크실렌에 가용성이고, 고유 점도가 바람직하게는 1.7 내지 3.0dl/g이다) 40 내지 80%,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70%로 필수적으로 이루어진 프로필렌 중합체 조성물[여기서, 분획(b)와 분및(c)의 총량은, 총 올레핀 중합체 조성물음 기준으로 하여, 바람직하게는 약 65 내지 80%이고, 분획(b)/분획(c)의 중량비는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약 0.3이며, 에틸렌 단위 또는 α-올레핀 단위의 총량 또는 당해 조성물에 에틸렌과 α-올레핀 단위 모두가 존재하는 경우 에틸렌 단위와 α-올레핀 단위 둘 다의 총량은 15 내지 35%이고, (b+c)에서 에틸렌, C4-C8α-올레핀 또는 이들의 배합물의 총 함량은 50% 미만,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45%이다]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다.
성분(B)(4)의 조성물은 120℃ 보다 높은 온도에서 존재하는 하나 이상의 용융 피크(DSC로 측정함)와 -10℃ 내지 -35℃의 온도에서 존재하는, 유리 전이에 대해 하나 이상의 피크를 가진다. 또한, (B)(4)의 조성물은 굽힘 모듈러스가 150MPa미만, 일반적으로 20 내지 100MPa이고; 항복 인장강도가 10 내지 20MPa미여, 파단신도가 400% 이상이고; 75% 변형시 잔류 신장률(tension set)이 20% 내지 50%이며; 쇼어 D 경도가 20 내지 35이고; 헤이즈 값(haze value)이 40% 미만, 바람직하게는 35% 미만이며; 이조드 충격 시험(Izod impact test)을 -50℃에서 수행하는 경우 파괴되지 않는다(어떠한 취성 충격 파손도 발생되지 않는다).
당해 블렌드의 성분(B)의 제조에 유용한 C4-C8α-올레핀으로는 부텐-1, 펜텐-1, 헥센-1, 4-메틸필텐-1 및 옥텐-1이 있다. 부텐-1이 특히 바람직하다.
존재하는 경우, 디엔은 전형적으로 부타디엔, 1,4-헥사디엔, 1,5-헥사디엔 또는 에틸디엔 노르보르넨 디엔 단량체이다.
본 발명의 부직포 재료의 제조에 사용된 섬유의 조성은 결정질 프로필렌 중합체 재료인 성분(A) 약 5 내지 95%가 위에서 기재한 올레핀 중합체 재료(B)와 배합된 조성물이다. 성분(A)를 30 내지 95%, 가장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95% 갖는 조성물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부직포 재료에 사용된 섬유 제조에 유용한 프로필렌 중합체 재료와 올레핀 중합체 재료는 활성 형태의 마그네슘 디할라이드 위에 지지된 고체 촉매 성분을 갖는 입체 특이적 지글러-낫타(Ziegler-Natta) 촉매 시스템의 존재하에 관련 단량체를 중합반응, 일반적으로 올레핀 중합체 재료의 경우에는 연속적으로 중합반응시켜 제조한다. 이러한 고체 촉제 성분이 하나 이상의 할로겐-티탄 결합을 갖는 티탄 화합물과 활성 형태의 마그네슘 디할라이드 위에 지지된 전자 공여체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이 필수적인 요건이다. 프로필렌 중합체 조성물의 제조에 유용한 이러한 촉매 시스템은 이들이 최적의 조건하에서, 이소택틱 지수가 90% 이상, 바람직하게는 95% 이상인 폴리프로필렌을 생성시킨다는 사실로 특징지워진다. 이러한 특징을 갖는 촉매 시스템은 당해 특허문헌에 널리 공지되어 있다. 미합중국 특허 제4,339,054호, 제4,472,524호 및 제4,473,660호 및 유럽 특허 제45,977호에 기재된 촉매 시스템이 특히 유리하다.
이들 촉매 시스템에 사용된 고체 촉매 성분에는 전자 공여체 화합물로서의 에테르, 케톤 또는 락톤; N, P 및/또는 S 원자를 함유하는 화합물; 및 모노카복실산 및 디카복실산의 에스테르가 포함된다. 전자 공여체로서 특히 유용한 것은 프탈산의 에스테르, 예를 들면, 디이소부틸프탈레이트, 디옥틸프탈레이트, 디페닐프탈페이트 및 벤질부틸프탈레이트; 말론산의 에스테르, 예를 들면, 디이소부틸말로네이트 및 디에틸말로네이트; 알킬 말레에이트; 알킬 및 아릴 카보네이트, 예를 들면, 디이소부틸 카보네이트, 에틸페닐 카보네이트 및 디페닐 카보네이트; 및 석신산 에스테르, 예를 들면, 모노 및 디에틸 석시네이트이다.
기타 특히 적합한 전자 공여체는 다음 일반식의 애테르 화합물이다:
상기식에서,
RI및 RII는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C1-C18직쇄 또는 측쇄 알킬, C5-C18사이클로알킬 또는 C6-C18아릴 라디칼이며,
RIII및 RIV는 동일하거나 상이하고, C1-C4직쇄 또는 측쇄 알킬 라디칼이다.
이러한 유형의 전형적인 에테르 및 이의 제조방법은 본 명세서에서 참조문헌 으로 인용된 미합중국 특허 제5,095,153호에 기재되어 있다. 이러한 에테르 화합물의 예로는 2-메틸-2-이소프로필-1,3-디메톡시프로판, 2,2-디이소부틸-1,3-디메톡시프로판 및 2-이소프로필-2-사이클로펜틸-1,3-디메톡시프로판이 있다.
당해 지지된 촉매 성분은 통상적인 무수 마그네슘 디할라이드, 즉 물을 1%미만 함유하는 불활성화 마그네슘 디할라이드, 티탄 화합물 및 전자 공여체 화합물을 마그네슘 디할라이드의 활성화를 유발시키는 조건하에서 분쇄시킴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이어서, 분쇄된 생성물은 90 내지 135℃에서 과량의 TiCl4로 1회 이상 처리한 다음, 모든 염소 이온이 세척물로부터 제거될 때까지 탄화수소(예: 헥산)로 반복해서 세척한다.
또 다른 방법으로는, 무수 마그세슘 할라이드를 공지된 방법으로 예비활성화시킨 다음, 80 내지 135℃에서 용액중의 전자 공여체 화합물을 함유하는 과량의 TlCl4로 처리한다. 이어서, TiCl4로의 처리를 반복한 다음, 고체를 헥산 또는 기타 적합한 탄화수소 용매로 세척하여 반응되지 않은 미량의 모든 TiCl4를 제거한다. 마그네슘 디할라이드 화합물 또는 이의 착물은 할라이드 함유 티탄 화합물(이는 바람직하게는 TiCl4이다)로의 처리시 상기와 동일한 화합물을 생성시킬 수 있는 마그네슘 화합물로부터 동일계 반응내에서 생성시킬 수 있다.
또 다른 방법에서는, 고체 촉매 지지체는 마그네슘 디클로라이드의 부가물, 바람직하게는 구형 미립자 형태의 부가물과 알콜(예: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이소부탄올 및 2-에틸-헥산올)을 형성(여기서, 몰 비는 1:1 내지 1:3 이다)시킨 다음, 용액 중의 전자 공여체를 함유하는 과량의 TiCl4로 처리함으로써 제조할 수도 있다. 온도 범위는 일반적으로 80 내지 120℃이다. 고체를 분리시키고 TiCl4로 다시 처리한다. 고체를 분리시키고, 모든 염소 이온이 세척물로부터 제거될 때까지 탄화수소로 세척한다.
또한, 또 다른 방법에서는, 알콕시 마그네슘 화합물과 알콕시 마그네슘 클로라이드 화합물(여기서, 알콕시 마그네슘 클로라이드 화합물은 본 명세서에서 참조 문헌으로 인용된 미합중국 특허 제4,220,554호에 기술된 방법에 따라서 제조한다)을 위에서 기재한 반응 조건하에서, 용액중의 전자 공여체 화합물을 함유하는 과량의 TiCl4로 처리한다.
당해 고체 촉매 성분에 있어서, Ti로서 표현되는 Ti 화합물은 일반적으로 0.5 내지 10중량%의 양으로 존재하고; 고체 반대 부분(counterpart) 위에 고정된 전자 공여체 화합물(내부 공여체)의 양은 마그네슘 디할라이드에 대해 일반적으로 5 내지 20몰%이다. 고체 촉매 성분의 제조에 유용한 티탄 화합물은 할라이드 및 티탄의 알콕시 할라이드이다. 사염화티탄이 바람직한 화합물이다. 티탄 트리할라이드 및 티탄의 알콕시 할라이드, 예를 들면, TiCl3OR(여기서, R은 페닐 라디칼이다)을 사용하는 경우애도 만족할만한 결과가 수득된다.
활성 형태의 마그네슘 디할라이드를 생성시키는 상기 반응 이외에도, 할라이드 이외의 마그네슘 화합물(예: 알콕시 마그네슘 화합물 및 마그네슘 카보네이트)로부터 활성 형태의 마그네슘 디할라이드를 생성시키는 것으로 당해 분야의 문헌에 공지된 기타 반응이 있다.
고체 촉매 성분 중의 활성 형태의 마그네슘 디할라이드는 불활성화 마그네슘 디할라이드(표면적이 3㎡/g 미만임)의 X선 스펙트럼에서 나타나는 고강도 회절선이부재하고 대신 불활성화 마그네슘 디할라이드의 고강도 회절선의 위치에 대해 이동된 최대 강도를 갖는 할로가 존재함으로써 고체 촉매 성분의 X선 스펙트럼애서 입증되거나, 상기 고강도 회절선이 불활성화 마그네슘 디할라이드의 고강도 회절선의 하프 피크 폭(half peak breadth) 보다 30% 이상 큰 하프 피크 폭을 갖는 확대된것을 나타낸다는 사실에 의해 입증된다. 최대 활성 형태는 전술한 할로가 고체 촉매 성분의 X선 스펙트럼에 나타나는 형태이다.
마그네슘 디클로라이드가 바람직한 화합물이다. 최대 활성 형태의 마그네슘 디클로라이드의 경우에는, 고체 촉매 성분의 X선 스펙트럼이 2.56Å의 거리에서, 불활성화 마그네슘 디클로라이드의 X선 스펙트럼에서 나타나는 회절선 대신 할로를 나타낸다.
조촉매(cocatalyst)로서 유용한 Al-알킬 화합물로는 A1-트리알킬(예: Al-트리에틸, Al-트리이소프로필 및 Al-트리이소부틸); A1-디알킬 (Cl-C6알킬) 수소화물 (예: A1-디에틸 수소화물); 및 산소, 질소 및/또는 황 헤테로원자를 통하여 서로 결합된 2개 이상의 Al 원자를 함유하는 화합물, 예를 들면,
(C2H5)2A1-0-Al(C2H5)2;
(C2H5)2Al-SO4-Al(C2H5)2;
[여기서, n은 1 내지 20의 수이다]이 있다.
바람직하게는 Al-알킬 화합물은 Al-트리에틸(TEAL)이다.
또한. AlR2OR'(여기서, R'는 1개 또는 2개의 위치가 Cl-C6알킬에 의해 치환된 아릴 라디칼이고, R은 Cl-C6알킬 라디칼이다)을 사유할 수 있다.
A1-알킬 화합물은 일반적으로, Al/Ti 비가 1 내지 1000이 되는 양으로 사용된다.
Al-알킬 화합물 조촉매와 함께 전자 공여체로서 사용될 수 있는 전자 공여체 화합물로는 방향족 산 에스테르(예: 알킬 벤조에이트) 및 오가노실란 화합물이 있다. 전형적인 오가노실란 화합물은 Si-OR, Si-OCOR 또는 Si-NR2결합(여기서, R은 C1-C20알킬, C2-C20알케널, C6-C2O아릴, C7-C2O아릴알킬 또는 C5-C20사이클로알킬이다)과 중심 윈소로서 Si(IV)를 갖는 화합물이다. 이러한 화합물은 미합중국 특허 제4,472,524호, 제4,522,930호, 제4,560,671호, 제4,581,342호, 제4,657,882호 및 유럽 특허원 제45976호 및 제45977호에 기술되어 있다. 적합한 오가노실란 화합물로는 (3급-부틸)2Si(OCH3)2, (사이클로헥실)2Si(OCH3)2및 (페닐)2Si(OCH3)2가 있다.
위에서 나타낸 바와 같은 일반식을 갖는 1,3-디에테르가 또한 유리하게 사용될 수도 있다. 내부 공여체가 이들 디애테르 중의 하나인 경우, 외부 공여체는 부재할 수 있다.
랜덤 결정질 공중합체 조성물의 중합반응은 성분(a) 및 (b)와 임의로 (c)가 별개의 단계에서 제조되도록 두 단계 이상의 단계로 수행하는 데, 이때 각각의 후속 단계에서는 중합체 및 앞서 단계에서 사용된 촉매의 존재하에 작동시킨다(즉, 어떠한 추가의 촉매도 제2 단계에 첨가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성분(b)는 어느 한 단계에서 제조할 수 있으며 성분(a)는 그 후속 단계에서 제조할 수 있다. 성분(a)와 성분(b)가 제조되는 순서는 중요하지 않다.
당해 중합반응은 공지된 기술을 사용하여 배치식으로 또는 연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약 20 내지 약 100℃,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80℃의 온도 및 일반적으로 대략 대기압 내지 약 1000psi, 바람직하게는 액상 중합반응에서는 약 200 내지 500psi의 압력 및 전형적으로는 기상 중합반응에서는 대기압 내지 약 600spi의 압력에서, 액체 또는 기상 단량체 또는 이들의 배합물의 존재하 및 임의로 불활성 탄화수소 용매에 존재하에 불활성 대기중에서 수행한다. 기상 중합반응이 바람직하다. 전형적인 체류시간은 약 15분 내지 약 6시간이다.
중합체의 분자량을 감소시키기 위한 연쇄 전이제로서 수소를 필요에 따라 첨가할 수 있다.
당해 촉매는 소량의 관련 올레핀 당량체로 전처리(예비중합)할 수 있는데, 이는 촉매를 탄화수소 용매중의 현탁액에 유지시킨 후, 촉매 중량의 0.5 내지 300배,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300배 정도의 양의 중합체를 제조하기에 충분한 시간 동안 60℃ 이하의 온도에서 중합반응시킴으로써 수행한다. 예비 중합반응은 또한 액체 또는 기상 단랑체애서 수행하여 촉매 중량의 1,000배 이하의 양의 중합체를 제조할 수 있다.
성분(a) 및 성분(b)와 임의로 성분(c)는 당해 중합반응에서 직접 제조되기 때문에, 생성된 올레핀 중합체 재료 조성물은 중합된 상태 그대로의 입자 형태이다. 성분(A)와 성분(B)는 생성된 프로필렌 중합체 조성물이 후중합반응 처리(예: 과립화)에 의존하지 않고서도 섬유 제조용으로 직접 사용할 수 있도록 최적으로 혼합시킨다.
바람직한 올레핀 중합체 재료는 직경이 0.5 내지 7mm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입자의 90% 이상의 직경이 0.5 내지 5.5mm인 협소한 입도측정 분포를 갖는 구형 또는 타원형 입자 형태이다. 이러한 입자는, 예를 들면, 본원에 참조문헌으로 인용된 미합중국 특허 제4,472,524호에 기술된 촉매 시스템을 사용하이 수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블렌드에 사용된 결정질 폴리프로필렌 중합체 재료는 바람직하게는 용융 유량(MFR, ASTM D-1238에 따라서 230℃하 2.16kg에서 측정함)이 5 내지 400,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00, 가장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100이고, 초기 MFR이 0.2 내지 20, 바람직하게는 약 0.5 내지 3인, 위애서 기재한 바와 같은 구형 입자로부터 개조된 "비스브레이킹된" 중합체이다.
이러한 올레핀 중합체 재료는 바람직한 MFR이 10 내지 40이고 원래의 MFR이 약 0.5 내지 10, 바람직하게는 약 0.5 내지 3인 성분(B)(4)를 제외하고는, 용융 유량(MFR, ASTM D-1238에 따라서 230℃하 2.16kg에서 측정함)이 약 5 내지 1,000, 바람직하게는 약 10 내지 400,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40 내지 400인 "비스브레이킹된" 중합체가 바람직하다.
사용된 특정 프로필렌 중합체 재료 및 올레핀 중합체 재료의 MFR은 부직포를제조하기 위해 사용된 공정에 따라서 다양하다. 예를 들면, 부직포를 용융취입법으로 제조할 경우, 블렌드의 MFR은 일반적으로 40 내지 400인데, 단 성분(B)(4)가 사용되는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10 내지 40이다.
또 다른 방법으로는, 성분(A)와 성분(B)는 중합반응기 속에서 바람직한 MFR로 직접 제조할 수 있다. 필요한 경우, 성분(A)와 성분(B)의 비스브레이킹은 별도로 수행하거나 서로의 존재하에 수행할 수 있다.
프로필렌 중합체 재료(또는 올레핀 중합체 재료)를 비스 브레이킹하는 방법은 당해 분야에 널리 공지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이는 다음과 같이 수행한다: 중합 반응기로부터 빼낸 "중합화된 상태 그대로의" 형태(예: 플레이크, 분말 또는 구상) 또는 펠렛화 형태의 올레핀 중합체 재료 또는 프로필렌 중합체 물질을 분해제전구체(prodegradant) 또는 자유 라디칼 생성 공급원, 예를 들면, 액체 또는 분말 형태의 과산화물 또는 과산화물/폴리프로필렌 농축물[예: HIMONT U.S.A., Inc.가시판중인 Xantrix 3024 과산화물 농축물] 위에 분무시키거나 이와 배합한다. 이어서, 프로필렌 중합체 재료 또는 올레핀 중합체 재료와 과산화물을 열가소화시키고 혼합물을 승온하에서 운반시켜 주는 수단(예: 압출기) 내로 도입시킨다. 체류 시간 및 온도는 목적하는 중합체 쇄 분해도로 수행되도록 선택된 특정 과산화물(즉, 압출기의 작동 온도에서 과산화물의 반감기를 기준으로 함)에 대해 조절한다. 전체적인 결과는 중합체의 분자량 분포가 협소해졌을 뿐만 아니라 전반적인 분자량이 감소됨으로써 중합화된 상태 그대로의 중합체에 비해 MFR이 증가되었다. 예를 들면, MFR이 작은(즉, 1 미만) 중합체 또는 MFR이 0.5 내지 10인 중합체가, 과도한 실험을수행하지 않는 과산화물 유형, 압출기 손도 및 압출기 잔류 시간을 선택함으로 MFR 15 내지 50, 바람직하게는 28 내지 42, 예를 들면, 약 35로 선택적으로 비스트레이킹될 수 있다. 에틸렌 함유 공중합체의 존재하에서 가교결합을 피하기 위해서는 공정 실행시 충분한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전형적으로 가교결합은 공중합체의 에틸렌 함량이 충분이 낮은 경우에는 피하는 것이 용이할 수 있다.
과산화물 분해율은 반감기, 즉 소정의 온도에서 과산화물 분자의 절반이 분해되는데 소요되는 시간으로서 정의된다. 예를 들면, 전형적인 압출기 펠렛차 조건(45) F, 잔류시간 2 1/2분)하에서 루페르졸(Lupersol) 101 과산화물을 사용하면 과산화물의 2x10-13%만이 펠렛화된 채로 존재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참조: 미합중국 특허 제4,451,589호].
일반적으로, 분해제 전구체는 통상적으로 사용된 폴리프로필렌 안정화제에 의해 방해받지 않거나 불리한 효과를 나타내지 말아야 하며 폴리프로필렌 잔기의 초기 붕해물의 분해시 자유 라디칼을 효과적으로 생성시켜야 한다. 분해제 전구체는 압출기로부터 배출되기 전에 본질적으로 전적으로 반응되도록, 중합체 제조 압출 온도에서 충분히 짧은 반감기를 지녀야만 한다. 바람직하게는, 이들의 폴리프로필렌에서의 반감기는 분해제 전구체의 99% 이상이 압출기 잔류 시간 1분 전에 용융된 중합체로 반응되도록 550°F에서 9초 미만이다. 이러한 분해제 전구체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지만, 이로써 제한되지는 않는다; 2,5-디메틸-2,5-비스(3급-부틸퍼옥시) 헥산-3 및 4-메틸-4-3급-부틸퍼옥시-2-펜탄온(예: Penwalt Corporation 의Lueidol Division에서 시판중인 루페르졸 130 및 루페르졸 120 과산화물), 3,6,6,9,9-펜타메틸-3-(에틸아세테이트)-1,2,4,5-테트라옥시 사이클로노난(예: Witco Chemical Corporation이 시판중인 USP-138 과산화물) 및 1,1'-비스(3급-부틸퍼옥시 디이소프로필 벤젠(예: Hercules Incorporated가 시판중인 Vulcup R 과산화물). 자유 라디칼 공급원 분해제 전구체의 바람직한 농도는, 중합체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약 0.01 내지 0.4%의 범위내이다. 과산화물을 약 230℃에서 압출기내로 공급하기에 앞서 전형적으로 약 0.1중량%의 농도로 약 2 내지 3분의 체류시간 동안 프로필렌 중합체 상에 분무하거나 이들과 혼합할 때 루페르졸 101 과산화물이 특히 바람직하다. 용융유량을 증가시키고 점도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유기 과산화물의 존재하에 프로필렌 함유 중합체의 처리와 관련한 압출공정은 당해 분야에 공지되어 있고, 예를 들면, 미합중국 특허 제3,862,265호, 제4,451,589호 및 제 4,578,430호에 기재되어 있다.
결정질 프로필렌 중합체 재료와 올레핀 중합체 재료와의 블렌드는 두 성분을 물리적으로 혼합하거나 이들을 다단계 연속 중합반응으로 중합시켜 제조할 수 있는데, 후자 중합반응에서는 결정질 프로필렌 중합체 재료를 적어도 어느 한 단계에서 생성시킨 다음 올레핀 중합체 재료를 적어도 또 다른 한 단계에서 생성시킨다. 이블렌드를 당해 분야에 공지된 통상의 방사법으로 섬유 형태로 방사시킬 수 있다. 두 재료 모두 합당한 온도 조건하에서 열 가소화되거나 용융될 수 있기 때문에, 섬유 제조는 용액법과는 달리 용융방사시켜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용융 방사법애서는, 중합체를 압출기 속에서 융점으로 가열하고, 용융된 중합체를 수많은 구멍을 갖는 방사구금을 통하여 고압하에 일정한 속도로 펌핑시킨다. 용융된 유체 중합체 스트림은 방사구금의 앞면 하부로부터 빠져나와 기체, 일반적으로 공기의 냉각 스트림으로 된다. 용융된 중합체 스트림은 냉각의 결과로서 고형화되어 필라멘트를 형성하고, 이들을 함께 모은 다음, 보빈(bobbin) 위에 권취하거나 웹으로서 레이드 다운(laid down)시키고 결합시킨다. 필요한 경우, 압출기 속의 중합체 용융물은 이를 스팀 또는 불활성 기체(예: 이산화탄소, 질소 등)로 블랭킷화(blanketing)함으로써 산소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부직포 재료는 통상적인 스펀본드 공정, 용융취입 공정 또는 카아딩(carding) 공정이나 에어 레이드 스테이플 섬유 공정으로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부직포 재료의 제조에 사용된 섬도는 전형적으로 10데니어 미만, 바람직하게는 2 내지 4데니어이다. 본 발명에서 가장 전형적인 양태에서의 섬도는 2 데니어 미만 내지 0.4데니어이다.
당해 분야에 공지된 방법에 따라서, 통상적인 첨가제를 본 발명의 부직포 재료의 섬유를 제조하는데 사용된 중합체와 배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로는 안정화제, 산화방지제, 슬립방지제(antislip agent), 난연제, 윤활제, 충전제, 착색제, 대전방지제 및 방오제 등이 있다.
본 발명의 부직포 재료는 개인용 위생 제품(예: 유아용 보호제품 및 성인 실금증 환자용 제품)과 보호용 커버(예: 외과용 가운, 신발 커버, 및 기타 1회용 의료제품 및 의류제품)로서 유용하다.
다음 실시예는 예시하기 위해 제시되었지만, 본인에서 기술되고 청구된 본발명의 범위를 제한하지는 않는다.
다음 표에 제시된 물성치는 다음 방법으로 측정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다음 실시예에 제시된 성분(A) 및 성분(B)를 루페르졸 101 2,5-디메틸-2,5-비스(3급-부틸퍼옥시)헥산, 및 이르가녹스(Irganox) 1076 안정화제 500ppm과 칼슘 스테아레이트 500ppm으로 이루어진 안정화 패키지와 균질한 혼합물이 수득될 때까지 약 1분 동안 텀블링 배합(tumble blending)함을 포함하는 일반적인 방법으로 제조한다. 이로써 수득된 혼합물을 200 내지 250℃에서 압출시켜 펠렛화하고, 이 펠렛을 다음과 같은 주요 특징을 갖는 시스템에서 방사시킨다:
- 스크류 직경이 10 내지 175mm이고 길이/직경 비가 24 내지 32이며 폴리을래핀 나사를 갖는 압출기;
- 계량 펌프(meter pump);
- 190 내지 300℃의 다이 온도;
- 온도가 10 내지 20℃인 공기 급냉 시스템;
- 250 내지 4000m/min의 범위의 속도를 갖는 용용 취입 메카니즘.
당해 부직포 재료는 섬유를 랜덤한 방식으로 이동 다공 형성 벨트 위에 침착시켜 웹을 형성시킴으로써 제조한다. 이 웹은 90 내지 145℃ 및 10pli 내지 100pli(lb/직선 in)의 압력에서 두개의 롤 사이에서 압착시킨다.
대조 실시예 1
초기의 중합 상태 그대로의 MFR 0.4로부터 MFR 40으로 비스브레이킹된 플레이크 형태의 결정질 프로필렌 단독중합체를 위에서 기재된 방법에 따라서 방사시킨다.
대조 실시예 2
초기의 중합 상태 그대로의 MFR 5로부터 MFR 25로 비스브레이킹된 구형의 프로피렌 단독중합체를 위에서 기재된 방법에 따라서 방사시킨다.
대조 실시예 3
에틸렌 함량이 3%인 에틸렌-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를 MFR 40으로 비스브레이킹시킨다. 이 공중합체의 섬유를 위에서 기술된 일반적인 방법에 따라서 방사시킨다.
대조 실시예 4
에틸렌-프로필렌 랜덤 공중합체 30%와 대조 실시예 2의 프로필렌 단독중합체 70%로 이루어진 것을 제외하고는, 대조 실시예 3에서 제시된 성분들과 일반적인 방법에 따라서 제조된 블렌드를 위에서 기술된 일반적인 방법에 따라서 방사시킨다.
실시예 1
위에서 기재된 대조 실시예 1의 결정질 프로필렌 단독중합체(A) 90%와, 두단계 이상의 연속 중합반응으로 수득되는,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중합 단위 96:4 중량비) 25%와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중합 단위 30:70 중량비) 75%를 함유하고 초기의 중합 상태 그대로의 MFR 0.8로부터 MFR 40으로 비스브레이킹된 올레핀 중합해 재료(B) 10%와의 블렌드를 포함하는 섬유를 위에서 기재된 일반적인 방법에 따라서 제조한다.
실시예 2
위에서 기재된 대조 실시예 1의 결정질 프로필렌 단독중합체(A) 80%와, 두 단계의 연속 중합반응으로 수득되는, 제1 단계에서 생성된 프로필렌-부텐 공중합체 (중합된 단위 90:10 중량비) 50%와 제2 단계에서 생성된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 (중합된 단위 95:5 중량비) 50%를 함유하고 초기의 중합 상태 그대로의 MFR 5로부터 MFR 40으로 비스브레이킹된 올레핀 중합체 재료(B) 20%와의 블렌드를 포함하는 섬유를 위에서 기재된 일반적인 방법에 따라서 제조한다.
실시예 3
성분(B)인 올레핀 중합체 재료를 MFR 400으로 비스브레이킹시킨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에서 나타낸 블렌드의 성분들을 사용하여 일반적인 방법에 따라서 섬유를 제조한다.
실시예 4
성분(A)가 대조실시예 1 대신 위에서 기재한 대조 실시예 2의 성분 90%이고 성분(B)가 MFR 40 대신 MFR 400으로 비스브레이킹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에서 나타낸 블렌드의 성분들을 사용하여 일반적인 방법에 따라서 섬유를 제조한다.
실시예 5
블렌드가 성분(A) 70%와 성분(B) 30%를 함유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4에서 나타낸 블렌드의 성분들을 사용하여 일반적인 방법에 따라서 섬유를 제조한다.
실시예 6
성분(A)가 대조실시예 1의 80% 대신 위에서 기재된 대조 실시예 2의 성분 90%이고 성분(B)가 20% 대신 10% 사용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에서 나타낸 블렌드의 성분들과 일반적인 방법에 따라서 섬유를 제조한다.
실시예 7
실시예 6에서와 같은 성분(A) 90%와 성분(B) 10% 대신 성분(A) 70%와 성분(B) 30%가 사용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6에서 나타낸 블렌드의 성분들을 사용하여 일반적인 방법에 따라서 섬유를 제조한다.
실시예 8
위에서 기재된 대조실시예 2의 성분(A) 70%와 에틸렌 4%, 프로필렌 90% 및 부텐 6%를 함유하고 초기의 중합된 상태 그대로의 MFR 5로부터 MFR 40으로 비스브레이킹된 올레핀 중합체 재료(B) 30%를 포함하는 섬유를 위에서 기재한 일반적인 방법에 따라서 제조한다.
결합 대 수축
제1도 내지 제3도에 예시된 것은 0℃ 내지 160℃의 온도의 함수로서 결합 강도(g) 대 수축율(%)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이들 데이타는 0 내지 160℃의 온도 함수로서 섬유의 결합강도와 0 내지 160℃의 온도 함수로서 섬유의 수축율을 별도로 산출함으로써 수득된다. 이어서, 소정의 온도에서의 결합치와 수축율 치를 취한 다음 (x,y)쌍으로 도시한다.
대조 실시예 1 및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3으로부터, 필라멘트당 데니어가 2이고 2250m min으로 방사되어 수집된 200개의 필라멘트로 구성된 번들(bundle) 형태의 섬유를 제조한다.
치수 안정성이 우수한 강한 직물을 수득하기 위해서는 높은 결합 강도와 낮은 수축율이 필요하다.
제1도 내지 제3도에서, 본 발명의 블렌드로부터 제조된 섬유가 대조 실시예 1의 폴리프로필렌으로부터 제조된 섬유보다 수축율은 떨어지고 결합 강도는 더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대조 실시예 1의 섬유가 실시예 1 내지 3의 블렌드를 사용하여 제조한 섬유와 동일한 결합강도를 수득하기 위해서는 수축율도 증가된다.
스펀본드 직물-연성, 드레이프성 및 강도
대조 실시예 2 내지 4의 중합체 및 본 발명의 실시예 4 내지 8의 중합체로부터의 스펀본드 직물은 위에서 기재된 일반적인 방법에 따라서 제조한다. 이러한 직물의 연성 및 드레이프성은 기계방향/가로방향(MD/CD)의 굴곡 길이에 의해 측정하고, 직물과 전반적인 직물 강도는 인장강도(MD/CD)로 측정한다. 그 결과를 다음 표 I에 나타내었다.
표 1
상기 표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대조 실시예 2의 직물은 전체 강도가 우수하지만, 높은 인장강도 수치(MD/CD)와 낮은 굴곡강도 수치(MD/CD)에 의해 입증된 바와 같이 연성과 드레이프성이 불량하고; 대조 실시예 3의 직물은 연성과 드레이프성이 우수하지만, 전체 강도가 불량하며; 랜덤 공중합체와 폴리프로필렌과의 배합에 의해서는 어떠한 이점도 관찰되지 않았다. 본 발명의 실시예 4 내지 8의 직물은 연성과 드레이프성 모두가 개선되었으며, 낮은 굴곡강도치와 높은 인장 강도치로 입증되는 바와 같이 전체 강도가 개선되었다.
본원에 기술된 본 발명의 기타 특징, 이점 및 양태는 전술한 내용으로부터 당해 분야의 전문가에게는 익히 명백할 것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발명의 특정양태가 보다 상세히 기술되었지만, 본원에 기술되고 청구된 본 발명의 요지와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서도 본 발명의 양태에 대한 각종 변화 및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제1도는 대조실시예 1의 화합물인 결정질 프로필렌 단독중합체와, 본 발명의 실시에 1의 화합물인 결정질 프로필렌 단독중합체 90%와 올헤핀 중합체[여기서, 당해 올레핀 중합체는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 25% 및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75%를 함유하고 MFR 40으로 비스브레이킹(visbreaking)됨] 10%와의 블렌드(blend) 간의 온도 함수로서 섬유 결합과 섬유 수축간의 상관 관계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제2도는 대조실시예 1의 화합물인 결정질 프로필렌 단독중합체와 본 발명의 실시예 2의 화합물인 결정질 프로필렌 단독중합체 80%와 올레핀 중합체(여기서, 당해 올레핀 중합체는 프로필렌-부텐 공중합체 50% 및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 50%를 함유하고 MFR 40으로 비스브레이킹됨) 20%와의 블렌드 간의 온도 함수로서 섬유 결합과 섬유 수축간의 상관 관계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제3도는 대조실시에 1의 화합물인 결정질 프로필렌 단독중합체와 본 발명의 실시예 3의 화합물인 결정질 프로필렌 단독중합체 80%와 올레핀 중합체(여기서, 당해 올레핀 중합체는 프로필렌-부텐 공중합체 50% 및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 50%를 함유하고 MFR 400으로 비스브레이킹됨) 20%와의 블렌드 간의 온도 함수로서 섬유 결합과 섬유 수축간의 상관 관계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Claims (12)

  1. (A) 이소택틱 기수가 90 이상인 결정질 프로필렌 단독중합체와 에틸렌 함량이 10% 미만인 에틸렌과 프로필렌과의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프로필렌 중합체 재료 5 내지 95%와
    (B) (1) (a) 프로필렌 85 내지 96%,
    (b) 에틸렌 1.5 내지 5% 및
    (c) C4-C8α-올레핀 2.5 내지 10%로 본질적으로 이루어진 랜덤 프로필렌 삼원공중합체;
    (2) (a) 프로필렌을 80 내지 98% 함유하는, 프로필렌과 C4-C8α-올레핀과의 공중합체 30 내지 65% 및
    (b) 프로필렌과 에틸렌과의 공중합체 35% 내지 70%로 본질적으로 이루어진 프로필렌 중합체 조성물;
    (3) (a)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30 내지 60% 및
    (b) 에틸렌, C4-C8α-올레핀 및 이들의 배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공단량체와 프로필렌과의 하나 이상의 결정질 공중합체 40 내지 70%로 본질적으로 이루어진 프로필렌 중합체 조성물 및
    (4) (a) 이소택틱 지수가 80 이상인 프로필렌 중합체 또는 이소틱틱 지수가 80 이상이고 프로필렌을 80% 이상 함유하는, 애틸렌, C4-C8α-올레핀 또는 이들 배합물과 프로필렌과의 공중합체 10 내지 50%
    (b) 반결정질 공중합체 분획(여기서, 당해 공중합체 분획은 실온 또는 주위 온도에서 크실렌에 불용성이다) 5 내지 20% 및
    (c) 에틸렌과 프로필렌 또는 C4-C8α-올레핀과의 공중합체 분획(여기서 당해 공중합체 분획은 에틸렌, C4-C8α-올레핀 또는 이들의 배합물을 40% 미만 함유하고, 실온에서 크실렌에 가용성이며, 고유점도가 1.5 내지 4dl/g이다) 40 내지 80%로 본질적으로 이루어진 프로필렌 중합체 조성물 [여기서, 분획(b)와 분획(c)의 총량은, 총 올레핀 중합체 조성물을 기준으로 하여, 50 내지 90%이고, 분획(b)/분획(c)의 중량비는 0.4 미만이다]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올레핀 중합체 재료 95 내지 5%의 블렌드로부터 수득된 섬유를 포함하는 부직포 재료.
  2. 제1항에 있어서, 섬유의 데니어가 10 미만인 부직포 재료.
  3. 제2항에 있어서, 올레핀 중합체 재료(B)가 (1)인 부직포 재료.
  4. 제3항에 있어서, (B)(1)이 10 내지 70%의 양으로 존재하는 부직포 재료.
  5. 제2항에 있어서, 올레핀 중합체 재료(B)가 (2)인 부직포 재료.
  6. 제5항에 있어서, (B)(2)가 10 내지 70%의 양으로 존재하는 부직포 재료.
  7. 제2항에 있어서, 올레핀 중합체 재료(B)가 (3)인 부직포 재료.
  8. 제7항에 있어서, (B)(3)이 10 내지 70%의 양으로 존재하는 부직포 재료.
  9. 제2항에 있어서, 올레핀 중합체 재료(B)가 (4)인 분직포 재료.
  10. 제9항에 있어서, (B)(4)가 10 내지 70%의 양으로 존재하는 부직포 재료.
  11. 제1항에 있어서, (B)(2)(b)가 프로필렌과 에틸렌 및 C4-8α-올레핀과의 삼원공중합체인 부직포 재료.
  12. 제1항에 있어서, (B)(4)(c)가 에틸렌과 프로필렌 또는 C4-8α-올레핀 및 미량의 디엔과의 공중합체 분획인 부직포 재료.
KR1019930022688A 1992-10-30 1993-10-29 프로필렌중합체재료와올레핀중합체재료의블렌드로부터제조된부직포재료 KR10032944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7/968,766 1992-10-30
US07/968,766 US5346756A (en) 1992-10-30 1992-10-30 Nonwoven textile material from blends of propylene polymer material and olefin polymer composition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9264A KR940009264A (ko) 1994-05-20
KR100329445B1 true KR100329445B1 (ko) 2002-08-27

Family

ID=255147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22688A KR100329445B1 (ko) 1992-10-30 1993-10-29 프로필렌중합체재료와올레핀중합체재료의블렌드로부터제조된부직포재료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5346756A (ko)
EP (1) EP0598224B1 (ko)
JP (1) JP3368013B2 (ko)
KR (1) KR100329445B1 (ko)
CN (1) CN1047635C (ko)
AT (1) ATE174973T1 (ko)
CA (1) CA2108819C (ko)
DE (1) DE69322742T2 (ko)
MX (1) MX9306617A (ko)
TW (1) TW23531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82772A (en) 1992-12-28 1996-01-09 Kimberly-Clark Corporation Polymeric strands including a propylene polymer composition and nonwoven fabric and articles made therewith
IT1264840B1 (it) * 1993-06-17 1996-10-17 Himont Inc Fibre adatte per la produzione di tessuti non tessuti con migliorate caratteristiche di tenacita' e sofficita'
US5455305A (en) * 1993-07-12 1995-10-03 Montell North America Inc. Propylene polymer yarn and articles made therefrom
US5547746A (en) * 1993-11-22 1996-08-20 Kimberly-Clark Corporation High strength fine spunbound fiber and fabric
FR2721949B1 (fr) * 1994-04-26 1996-08-09 Fiberweb Sodoca Non-tisses a bas de melanges polyethylene/polypropylene et leur procede de fabrication
US5529845A (en) * 1994-06-13 1996-06-25 Montell North America Inc. Fibers suitable for the production of nonwoven fabrics having improved strength and softness characteristics
US5460884A (en) * 1994-08-25 1995-10-24 Kimberly-Clark Corporation Soft and strong thermoplastic polymer fibers and nonwoven fabric made therefrom
US5652051A (en) * 1995-02-27 1997-07-29 Kimberly-Clark Worldwide, Inc. Nonwoven fabric from polymers containing particular types of copolymers and having an aesthetically pleasing hand
WO1996037644A2 (en) * 1995-05-25 1996-11-28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Undrawn, tough, durably melt-bondable, macrodenier, thermoplastic, multicomponent filaments
WO1997049853A1 (fr) * 1996-06-26 1997-12-31 Chisso Corporation Non-tisse a base de fibres longues et article absorbant constitue desdites fibres
FI104824B (fi) 1997-06-24 2000-04-14 Borealis As Menetelmä propeenin terpolymeerien aikaansaamiseksi
AU2235101A (en) * 2000-01-04 2001-07-16 Yamil Alfredo Abdo Mina Method for plasticizing a nonwoven with polyethylene or molten polypropylene forthe manufacture of disposable garments used as bibs and for surgical applicatio ns
US6440882B1 (en) * 2000-02-29 2002-08-27 Exxon Mobil Chemical Patents Inc. Fibers and fabrics prepared with propylene impact copolymers
US6248833B1 (en) * 2000-02-29 2001-06-19 Exxon Mobil Chemical Patents Inc. Fibers and fabrics prepared with propylene impact copolymers
US6476135B1 (en) * 2000-06-07 2002-11-05 Basell Poliolefine Italia S.P.A. Polyolefin composition containing low viscosity propylene homopolymer, fiber and extensible non-woven fabric prepared therefrom
US20020099107A1 (en) * 2000-10-27 2002-07-25 Tucker John David Textile fibers made from strengthened polypropylene
US6638636B2 (en) 2001-08-28 2003-10-28 Kimberly-Clark Worldwide, Inc. Breathable multilayer films with breakable skin layers
US8466235B2 (en) * 2002-08-27 2013-06-18 Braskem America, Inc. Polypropylene blends for non-woven production
EP1609890A1 (en) * 2004-06-24 2005-12-28 Borealis Technology OY Polypropylene fibres
WO2006067214A1 (en) * 2004-12-23 2006-06-29 Basell Poliolefine Italia S.R.L. Fibres having elastic properties
US20090029621A1 (en) * 2005-12-20 2009-01-29 Basell Poliolefine Italia S.R.L. Soft Non-Woven Fabrics
CN1920754B9 (zh) * 2006-09-05 2016-06-08 北京搜狗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向应用程序输入艺术字/图形的方法及系统
EP1964948A1 (en) * 2007-02-28 2008-09-03 Total Petrochemicals Research Feluy Polypropylene fibers and spunbond nonwoven with improved properties.
US20090149605A1 (en) * 2007-12-07 2009-06-11 Fina Technology, Inc. Heterophasic propylene based polymers for forming fiber
US8664129B2 (en) 2008-11-14 2014-03-04 Exxonmobil Chemical Patents Inc. Extensible nonwoven facing layer for elastic multilayer fabrics
US9498932B2 (en) 2008-09-30 2016-11-22 Exxonmobil Chemical Patents Inc. Multi-layered meltblown composite and methods for making same
US9168718B2 (en) 2009-04-21 2015-10-27 Exxonmobil Chemical Patents Inc. Method for producing temperature resistant nonwovens
US10161063B2 (en) 2008-09-30 2018-12-25 Exxonmobil Chemical Patents Inc. Polyolefin-based elastic meltblown fabrics
JP5650138B2 (ja) 2009-02-27 2015-01-07 エクソンモービル・ケミカル・パテンツ・インク 多層不織in situラミネ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8668975B2 (en) 2009-11-24 2014-03-11 Exxonmobil Chemical Patents Inc. Fabric with discrete elastic and plastic regions and method for making same
CN105623074B (zh) * 2014-10-27 2018-12-28 中国石油化工股份有限公司 无纺布原料及其制备方法和无纺布的制备方法
CN105524351B (zh) * 2014-10-27 2019-03-26 中国石油化工股份有限公司 无纺布原料及其制备方法和无纺布的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87485A (en) * 1976-08-16 1978-05-02 Exxon Research & Engineering Co. Polypropylene blends having high impact strength and improved optical properties
JPS53147816A (en) * 1977-05-24 1978-12-22 Chisso Corp Hot-melt fiber of polypropylene
FR2493855B1 (fr) * 1980-11-13 1986-01-10 Naphtachimie Sa Compositions de polypropylene de resistance au choc ameliorees
US4351930A (en) * 1981-02-05 1982-09-28 El Paso Polyolefins Company Propylene copolymerization process and product
JPS60212443A (ja) * 1984-04-09 1985-10-24 Toa Nenryo Kogyo Kk ポリプロピレン組成物
US4634739A (en) * 1984-12-27 1987-01-06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Blend of polyethylene and polypropylene
JPS62112644A (ja) * 1985-11-11 1987-05-23 Nippon Petrochem Co Ltd 軟質ポリオレフイン系組成物
CA1279422C (en) * 1985-11-25 1991-01-22 Shell Oil Company Butene-rich butene-1 propylene copolymer compostion
DE3624543A1 (de) * 1986-07-19 1988-01-21 Wolff Walsrode Ag Heisssiegelbare mehrschichtfolien aus polyolefinen
FR2603291B1 (fr) * 1986-09-02 1992-10-16 Bp Chimie Sa Composition a base de polyethylene de basse densite lineaire, destinee a la fabrication de film
US4839228A (en) * 1987-02-04 1989-06-13 The Dow Chemical Company Biconstituent polypropylene/polyethylene fibers
DE3888859T2 (de) * 1987-01-12 1994-08-04 Unitika Ltd Bikomponentfaser aus Polyolefin und aus dieser Faser hergestellter Vliesstoff.
US4804577A (en) * 1987-01-27 1989-02-14 Exxon Chemical Patents Inc. Melt blown nonwoven web from fiber comprising an elastomer
IT1229141B (it) * 1989-04-06 1991-07-22 Himont Inc Poliolefine atte alla filatura e fibre termosaldabili da esse ottenute.
US5212246A (en) * 1990-09-28 1993-05-18 Himont Incorporated Olefin polymer film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108819A1 (en) 1994-05-01
CN1093128A (zh) 1994-10-05
JPH06200093A (ja) 1994-07-19
KR940009264A (ko) 1994-05-20
DE69322742D1 (de) 1999-02-04
DE69322742T2 (de) 1999-06-02
EP0598224B1 (en) 1998-12-23
ATE174973T1 (de) 1999-01-15
TW235312B (ko) 1994-12-01
US5346756A (en) 1994-09-13
JP3368013B2 (ja) 2003-01-20
CN1047635C (zh) 1999-12-22
EP0598224A1 (en) 1994-05-25
MX9306617A (es) 1994-04-29
CA2108819C (en) 2001-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29445B1 (ko) 프로필렌중합체재료와올레핀중합체재료의블렌드로부터제조된부직포재료
EP1222227B1 (en) Polyolefin composition containing low viscosity propylene homopolymer, fiber and extensible non-woven fabric prepared therefrom
EP1543185B1 (en) Polypropylene fibres suitable for spunbonded non-woven fabrics
EP1834015B1 (en) Fibres having elastic properties
KR100649376B1 (ko) 프로필렌의 랜덤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열 결합성폴리올레핀 섬유
JP4690131B2 (ja) 長繊維不織布用ポリプロピレン樹脂組成物
KR100557209B1 (ko) 폴리올레핀성형조성물을포함하는부직포의제조방법
JP2011195988A (ja) ポリプロピレン繊維、その製造方法およびそれを用いた製品
US20060057374A1 (en) Polypropylene fibres suitable for spunbonded non-woven fabrics
EP1694889B1 (en) Fibres made from copolymers of propylene and hexene-1
EP2729507B1 (en) Random copolymer of propylene with 1-hexene
JP3453454B2 (ja) ポリオレフィン系繊維
WO2024041848A1 (en) Bicomponent fib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306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