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27964B1 - 종합정보통신망 가입자를 위한 인터넷 상시접속 장치 - Google Patents

종합정보통신망 가입자를 위한 인터넷 상시접속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27964B1
KR100327964B1 KR1020000000374A KR20000000374A KR100327964B1 KR 100327964 B1 KR100327964 B1 KR 100327964B1 KR 1020000000374 A KR1020000000374 A KR 1020000000374A KR 20000000374 A KR20000000374 A KR 20000000374A KR 100327964 B1 KR100327964 B1 KR 1003279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sdn
channel
subscriber
voice call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003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68448A (ko
Inventor
최두환
Original Assignee
최두환
네오웨이브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두환, 네오웨이브주식회사 filed Critical 최두환
Priority to KR10200000003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27964B1/ko
Publication of KR200100684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684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79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796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5/00Pliable tubular containers adapted to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deformed to expel contents, e.g. collapsible tubes for toothpaste or other plastic or semi-liquid material; Holders therefor
    • B65D35/02Body construction
    • B65D35/04Body construction made in one piece
    • B65D35/08Body construction made in one piece from plastics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신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종합정보통신망(inte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 ISDN) 가입자를 위한 인터넷 상시접속(Always B-channel On)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ISDN 가입자, 통신망사업자, ISP 모두의 비용 부담을 덜면서, 가입자에게 언제나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종합정보통신망(ISDN) 가입자를 위한 인터넷 상시접속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종합정보통신망(ISDN) 가입자와 교환기 사이에 제공되는 ISDN 가입자를 위한 인터넷 상시접속 장치에 있어서, ISDN 가입자 단말의 D-채널 셋업 메시지를 분석하여 음성호출/데이터 통신 여부를 판단하고, 음성통화 패스와 데이터 통신 패스를 제어하기 위한 ISDN D-채널 신호분석/제어 수단; 상기 ISDN 가입자 단말 또는 연결된 교환기로부터의 음성호출에 대한 정보를 상기 ISDN D-채널 신호분석/제어 수단과 상호 교환하기 위한 교환기 인터페이스 수단; 상기 ISDN D-채널 신호분석/제어 수단에 제어 받아 상기 ISDN 가입자 단말의 B-채널에서 PPP 패킷을 추출하고 다중화하며, 데이터망으로부터 전송된 패킷 데이터를 역화중화하기 위한 ISDN PPP 패킷 처리 수단; 상기 데이터망과 상기 ISDN PPP 패킷 처리 수단 상호간의 패킷 데이터 전송을 위한 데이터 인터페이스 수단; 및 상기 ISDN D-채널 신호분석/제어 수단에 제어 받아 상기 ISDN 가입자 단말의 B-채널을 상기 교환기 인터페이스 수단 또는 상기 ISDN PPP 패킷 처리 수단으로 스위칭하기 위한 ISDN B-채널 스위칭 수단을 구비한다.

Description

종합정보통신망 가입자를 위한 인터넷 상시접속 장치{A always B-channel on device for ISDN subscriber}
본 발명은 통신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종합정보통신망(inte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 ISDN) 가입자를 위한 인터넷 상시접속(Always B-channel On)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인터넷의 급속한 확산에 따라 ISDN, 비대칭 디지털 가입자 회선(asymmetric digital subscriber line, ASDL) 등의 디지털 통신망이 개인 사용자를 중심으로 널리 보급되고 있다. 특히 ISDN은 전화, 전신이 그외의 각종 비전화계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디지털 기술을 전제로 하고 교환, 전송, 가입자의 단말의 일원화를 실현함으로써 종합적인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신망으로, 현재 공중 전화망, 데이터 통신망, 팩시밀리망 등 서로 별개로 운용되고 있는 통신 수단을 가입자의 입장에서 선택 또는 기호의 변화에 따라 요구 충족을 하되, 보다 값싸고 편리하며 확실하게 언제 어디서나 통신 또는 정보 처리를 가능하게 하는 망 시스템을 구성하도록 한다.
이러한 ISDN은 아날로그 방식으로 운용되고 있는 교환 또는 전송로 시설의 통신망을 모두 디지털 방식의 시스템으로 점차 일원화하여, 단일 통신망으로 이용이 가능하게 되어 다양한 통신 수요를 효율적으로 충족할 수 있다. 또한, 통신망의 다원적 설비에 따른 중복 투자를 피하고, 경제적인 시설로 누구라도 손쉽게 이용하여 설비의 활용도를 극대화함으로써 거리의 원근에 관계없이 정보량에 의한 전국단일 요금제로 개선할 수 있다. 선로 또는 전송로의 다중화 또는 대량 전송로의 케이블 등이 도입되어 음성 신호나 문자, 도면은 물론 화상 분야까지도 전송이 가능하다.
단편적으로, 현재 상용화된 ISDN은 56k 채널 2개를 이용하기 때문에 기존의 공중전화망(PSTN)을 이용한 일반 전화접속 통신에 비해 2배 이상 빠른 데이터 통신을 가능하게 한다.
첨부된 도면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ISDN 가입자의 인터넷 접속을 위한 망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 기존의 ISDN 가입자가 교환기(10)를 통하여 인터넷접속서비스사업자(Internet Service Provider, ISP), 구체적으로는 ISDN 접속장치(ISDN POOL)(13)에 전화 접속을 한 후 인터넷(14)에 접속하는 과정을 나타내고 있다.
ISDN 가입자가 PC(11)와 ISDN 터미널 어댑터(terminal adaptorm, TA)(12)를 통해 음성호출을 하거나 데이터 통신을 하는 경우에, 교환기(10)는 모든 호출에 대해 ISDN 가입자의 착신 번호에 따라 회선 교환(Circuit Switching)을 수행하게 된다. 즉, 가입자의 호출 특성(음성/데이터)을 구분하지 않고, 다시 말해 ISDN B-채널에 흐르는 정보의 특성은 고려하지 않고 회선 교환을 수행하게 된다.
여기서, LE(Local exchange)는 가입자단과 연결되는 최초의 교환기로 가입자를 서비스하는 교환기이며, Tandem switch는 가입자의 호출로부터 LE와 LE간의 정보교환 및 회선교환을 위한 교환기로 가입자망과 직접 연결되어 있지 않고 교환대 교환에만 연결된 교환기이다.
이와 같은 종래기술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가진다.
현재 대부분의 PSTN 교환기 및 ISDN 교환기는 평균 3∼5분 이내의 음성통화를 기준으로 설계되어, 이 교환기를 이용하여 평균 사용시간이 30분 이상인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교환기의 과부하 및 회선의 데이터 통신 점유로 긴급음성통화요구(119, 112 등) 서비스가 불가능한 상황이 발생될 수 있다. 또한, ISDN 가입자의 데이터 통신을 회선 교환을 통하여 연결하면, 패킷 교환(Packet Switching)을 사용하는 경우에 비해 회선의 효율이 감소한다. 한편, 신규 가입자에게 원활한 ISDN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ISDN 교환기를 증설하거나, 기존의 PSTN 교환기를 ISDN 교환기로 대체하여야만 한다. 가입자의 인터넷 이용이 증가할수록 지속적으로 회선 및 교환기 증설이 필요하나, 회선의 증설에 큰 비용이 발생하고 데이터 통신의 특성(burst traffic)상 회선의 효율성 저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교환기를 운영하는 통신망사업자(예컨대, 한국통신)의 경우, 음성통화 및 데이터 통신을 구분하지 않음으로써 각각의 통화에 대하여 동일한 요금을 부과하는 요금정책을 시행하게 된다.
이에 따라서, 인터넷 통신량이 많은 ISDN 가입자는 상당한 통신 비용의 부담이 발생한다. 또한, ISP의 ISDN 접속장치의 용량에 따라 인터넷에 접속할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하며,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ISDN 전용선을 구현하는 경우, 높은 설치 및 통신 비용이 소요된다.
한편, ISP는 가입자가 증가할수록 교환기로부터의 회선 사용 비용 및 ISDN 접속장치(ISDN POOL)의 지속적인 증대를 해야 한다.
따라서, 기존의 방식은 ISDN 가입자, 통신망사업자, ISP 모두에게 많은 비용부담을 요구한다. 따라서 현재의 폭발적인 인터넷 사용의 증가추세를 기존 방식을 이용하여 충족시키기는 어렵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ISDN 망의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한 방안으로 IDSL(ISDN Digital Subscriber Loop)가 제안되었다. IDSL은 가입자의 ISDN 호출을 교환기를 통하지 않고, 가입자의 PPP 패킷(Packet)을 데이터망을 이용하여 ISP까지 전송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IDSL은 ISDN 교환기를 설치할 필요가 없고, 또한 가입자의 데이터 통신이 기존의 교환기망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교환기의 과부하 현상은 발생하지 않는다.
그러나, IDSL은 데이터 통신만이 가능하고, 가입자의 음성호출은 서비스가 불가능하다는 단점이 있다. 이에 따라, 가입자에게 음성 통신을 위한 전화선과 데이터 통신을 위한 회선으로 2 회선이 필요하게 된다. 즉, IDSL을 사용하는 가입자는 2 회선의 전화선이 필요하게 되므로, 전화 회선을 증설하여야 하는 비용상의 부담이 있다.
본 발명은 ISDN 가입자, 통신망사업자, ISP 모두의 비용 부담을 덜면서, 가입자에게 언제나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종합정보통신망(ISDN) 가입자를 위한 인터넷 상시접속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ISDN 가입자의 인터넷 접속을 위한 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ISDN 가입자의 음성호출 및 데이터 통신을 위한 망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BO 장치의 구성도.
도 4는 ISDN 가입자가 128kbps(2B)로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고 있을 때, 가입자가 음성호출을 하거나 교환기로부터 음성호출을 받은 경우에 ISDN B-채널의 밴드폭(Bandwidth) 변화를 도시한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 : ISDN D-채널 신호분석/제어부
31 : ISDN B-채널 스위칭부
32 : 교환기 인터페이스부
33 : 교환기
34 : ISDN PPP 패킷 처리부
35 : 데이터 인터페이스부
36 : 데이터망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종합정보통신망(ISDN) 가입자와 교환기 사이에 제공되는 ISDN 가입자를 위한 인터넷 상시접속 장치에 있어서, ISDN 가입자 단말의 D-채널 셋업 메시지를 분석하여 음성호출/데이터 통신 여부를 판단하고, 음성통화 패스와 데이터 통신 패스를 제어하기 위한 ISDN D-채널 신호분석/제어 수단; 상기 ISDN 가입자 단말 또는 연결된 교환기로부터의 음성호출에 대한 정보를 상기 ISDN D-채널 신호분석/제어 수단과 상호 교환하기 위한 교환기 인터페이스 수단; 상기 ISDN D-채널 신호분석/제어 수단에 제어 받아 상기 ISDN 가입자 단말의 B-채널에서 PPP 패킷을 추출하고 다중화하며, 데이터망으로부터 전송된 패킷 데이터를 역화중화하기 위한 ISDN PPP 패킷 처리 수단; 상기 데이터망과 상기 ISDN PPP 패킷 처리 수단 상호간의 패킷 데이터 전송을 위한 데이터 인터페이스 수단; 및 상기 ISDN D-채널 신호분석/제어 수단에 제어 받아 상기 ISDN 가입자 단말의 B-채널을 상기 교환기 인터페이스 수단 또는 상기 ISDN PPP 패킷 처리 수단으로 스위칭하기 위한 ISDN B-채널 스위칭 수단을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ISDN PPP 패킷 처리 수단이 통계적 다중화 및 역다중화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교환기 인터페이스 수단이 상기 ISDN B-채널 스위칭부로부터 전달된 상기 ISDN 가입자 단말의 B-채널을 상기 교환기의 신호 형태로 에뮬레이션(emulation)하여 음성통화를 성립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ABO(Always B-Channel ON) 장치(20)를 ISDN 가입자(21)와 교환기(22) 사이에 배치하여 ISDN 가입자(21)가 음성호출을 하는 경우에는 교환기(22)로 전송하고, ISDN 가입자(21)의 호출이 데이터 통신인 경우에는 데이터망(Ethernet, Frame Relay, ATM 등)(23)을 통해 ISDN 가입자(21)의 데이터를 ISP(도시되지 않음)까지 전송하도록 한다. 이때, 교환기(22)는 PSTN 교환기일 수도 있고, ISDN 교환기일 수도 있다.
이때, 가입자의 음성통화와 인터넷통신에 대한 처리 원리는 다음과 같다.
<음성통화시>
우선, ISDN 가입자(21)가 ISDN 전화기나 ISDN TA에 연결된 일반전화기의 수화기를 들면, ISDN 단말기(ISDN 전화기나 ISDN TA)는 ISDN D-채널을 통하여 셋업 메시지(SETUP Message)를 ISDN망측으로 전송하게 된다.
ISDN망측에 있는 ABO 장치(20)는 ISDN 단말기에서 보내온 ISDN D-채널의 셋업 메시지(정확하게는 셋업 메시지 상의 베어러 능력 정보 엘리먼트(Bearer Capability Information Element))를 분석하여 음성호출인지를 구분한다.
ABO 장치(20)에 접속된 교환기(22)가 IDLC(Intergrated Digital Loop Carrier) 기능을 제공하는 경우에는, ISDN 가입자(21)의 ISDN D-채널 셋업 메시지를 V5.2 인터페이스(Interface)를 통하여 교환기로 전달하고, 음성은 PCM(Pulsed Code Modulation) 형태로 교환기(22)에 전송한다.
만일 접속된 교환기(22)가 UDLC(Universal Digital Loop Carrier) 기능만을 제공하는 경우에는 ISDN 가입자(21)의 ISDN D-채널 셋업 메시지를 수신하면, 일반 POTS(Plain Old Telephone Service) 교환기가 알 수 있는 온-훅 신호(On-Hook Signal)를 전송하고 ISDN 단말기와 연결시킨다. 이후의 ISDN 가입자(21)의 다이얼-업(Dial-up) 정보는 가입자 단말에서 교환기(22)로 직접 전송하여 음성통화를 가능하게 한다.
<인터넷 데이터 통신시>
우선, ISDN 가입자(21)의 ISDN 전화기나 ISDN TA에 연결된 컴퓨터에서 다이얼-업 통신을 시작하면, ISDN 단말기(ISDN 전화기나 ISDN TA)는 ISDN D-채널을 통하여 셋업 메시지를 ISDN망측으로 전송하게 된다.
ISDN망측에 있는 ABO 장치(20)는 ISDN 단말기에서 보내온 ISDN D-채널의 셋업 메시지(정확하게는 셋업 메시지 상의 베어러 능력 정보 엘리먼트)를 분석하여 데이터 호출인지를 구분한다.
또한, ABO 장치(20)에서는 ISDN D-채널 셋업 메시지 상의 피호출 가입자 정보 엘리먼트(Called Party Information Element)를 이용하여 목적지의 ISP 주소를 내장 데이터베이스(Database)를 이용하여 분석한다(ISP의 수가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내장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이를 업데이트 하는 것은 그리 어려운 일이 아님).
해당 ISP 주소를 분석한 후, ABO 장치(20)는 해당 ISP로 접속시키고, 가입자 ISDN 단말의 B-채널에서의 PPP 패킷을 추출하여 ISP로 전송하고, ISP로부터의 PPP 패킷을 가입자 ISDN 단말의 B-채널을 이용하여 가입자 단말기로 보낸다.
이때, ISP로의 데이터 전송은 데이터망으로 이용하여 해당 ISDN 가입자(21)의 PPP 패킷을 통계적 다중화(Statistical Multiplexing) 방식으로 다중화한 후에 ISP로 전송하고, ISP로부터 전달된 데이터는 역다중화(Demultiplex)되어 해당 ISDN 가입자(21)에 전송한다.
참고적으로, 통계적 다중화는 다중 전송로에서 채널을 동적으로 할당하는 방식으로, 저속 회선의 부호열과 고속 회선의 부호열의 관계가 시간축에서 고정되어 있지 않고 저속 회선에서 보낼 데이터가 있을 때에 고속 회선의 부호열을 할당받는 방식을 말한다.
이후, 가입자는 항상 ISDN B-채널을 통하여 ISP에 연결되어 항상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고, 음성통화가 필요한 경우에는 온-디맨드(On-Demand)로 음성통화를 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보다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소개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BO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 이하 이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ABO 장치의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한다.
우선 ISDN D-채널 신호분석/제어부(30)는, ISDN 가입자로부터 수신된 ISDN D-채널 셋업 메시지를 분석하여 음성통화인지 데이터 통신인지를 구분한다.
분석 결과, 음성통화인 경우에는 ISDN B-채널 스위칭부(31)를 제어하여 ISDN 가입자의 음성통화용 B-채널을 교환기 인터페이스부(32)로 접속할 수 있도록 제어하고, 교환기 인터페이스부(32)에 가입자의 음성통화 요구를 알려준다. 또한, 교환기 인터페이스부(32)에서 오는 교환기로부터의 음성호출에 대해서는, ISDN B-채널 스위칭부(31)를 제어하고 해당 ISDN 가입자에 대해 ISDN D-채널을 통하여 음성호출 사실을 전달하여 음성통화가 가능하게 한다.
분석 결과, 데이터 통신인 경우에는, ISDN D-채널 신호분석/제어부(30)는 ISDN 가입자로부터의 D-채널 셋업 메시지를 분석하여 연결하고자 하는 ISP의 주소를 추출하고, ISDN B-채널 스위칭부(31)를 제어하여 가입자의 ISDN B-채널을 ISDN PPP 패킷 처리부(34)에 연결시키고, ISDN PPP 패킷 처리부(34)에 데이터 통신임을 통보하여 처리하게 한다.
다음으로 교환기 인터페이스부(32)는, ISDN D-채널 신호분석/제어부(30)로부터 ISDN 가입자의 음성호출 사실을 통보받아 인식한 후에 연결된 해당 교환기(33)의 형태에 따라 ISDN 가입자의 음성통화 제어신호를 전송하고, ISDN B-채널 스위칭부(31)로부터의 가입자 음성통화 B-채널(PCM Coding)을 교환기(33)에 PCM 스위칭하여 음성통화를 성립시킨다. 또한, 교환기(33)로부터의 음성호출에 대하여는 ISDN D-채널 신호분석/제어부(30)에 음성호출 사실을 통보함으로써, ISDN 가입자에게 음성호출이 가능할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ISDN PPP 패킷 처리부(34)는, ISDN D-채널 신호분석/제어부(30)로부터의 데이터 처리 명령에 따라 해당 ISDN B-채널에서 PPP 패킷을 추출하고, 해당 ISDN 가입자의 PPP 패킷을 통계적 다중화 방식으로 다중화하여 데이터 인터페이스부(35)로 전송한다. 또한, 데이터 인터페이스부(35)로부터 전달된 다중화된 패킷에 대해서는 역다중화를 수행하여 해당 가입자의 ISDN B-채널로 전송하여 양 방향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도록 한다.
다음으로 데이터 인터페이스부(35)는, ISDN PPP 패킷 처리부(34)로부터 전달된 패킷 데이터를 Ethernet, Framer Relay, ATM 등의 데이터망(36)으로 전송하는역할을 수행하고, 데이터망(36)으로부터의 입력 패킷을 ISDN PPP 패킷 처리부(34)로 전달하는 일을 수행한다.
다음으로 ISDN B-채널 스위칭부(31)는, ISDN D-채널 신호분석/제어부(30)의 제어신호에 따라 해당 ISDN 가입자의 ISDN B-채널을, 음성호출인 경우에는 교환기 인터 페이스부(32)로, 데이터 통신인 경우에는 ISDN PPP 패킷 처리부(34)로 스위칭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첨부된 도면 도 4는 ISDN 가입자가 128kbps(2B)로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고 있을 때, 가입자가 음성호출을 하거나 교환기로부터 음성호출을 받은 경우에 ISDN B-채널의 밴드폭(Bandwidth) 변화를 도시한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ISDN 가입자는 음성통화가 없는 경우에는 항상 128kbps로 ISP에 접속된다. ISDN 가입자가 음성호출을 원하거나 교환기로부터 음성호출이 있는 경우에는 64kbps로 데이터 통신이 수행되며, ISDN 가입자가 동시에 2통화의 음성호출 서비스를 요구하고 2통화 동시 음성통화가 허용될 경우에는 일시적으로 데이터 통신이 중단된다. ISDN은 채널 특성상 동시에 2통화의 음성통화가 가능하다. 그리고, 음성통화가 종료되는 경우에 자동적으로 데이터 통신속도는 128kbps로 복귀하게 된다.
따라서, ISDN 가입자에게 1통화의 음성통화만이 가능하도록 설정하면, ISDN 가입자는 하루 24시간 최소 64kbps의 통신속도로 인터넷에 상시접속할 수 있다. 즉, 음성통화를 위한 시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 대해서는 ISDN 가입자는 128kbps의 통신속도로 인터넷을 항상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ABO(Always B-channel ON) 장치는 이러한 기능을 ISDN 단말기 및 교환기와 접속하여 구현한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의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의 제한은 의도하는 바가 아님에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내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우선 통신망사업자에 대해서는, 가입자의 음성통화 및 데이터 통신을 교환기 전단에서 분리하여 처리함으로써 교환기의 과부하 현상을 해소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ISDN 가입자의 인터넷 사용량 증가에 따른 교환기 및 교환기의 회선증설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교환기의 기능 변경이나 수정 없이도 적용이 가능하며, 특히 데이터 통신의 특성(burst traffic)을 이용하여 통계적 다중화를 적용할 경우 통신회선의 효율성을 제고할 수 있다.
다음으로 ISP에 대해서는, 가입자의 데이터 통신이 교환기 회선에서부터 분리되어 데이터망을 통하여 ISP로 전송되기 때문에 가입자의 다이얼-업 데이터 통신에 따른 교환기로부터의 회선 임대 및 증설이 필요하지 않으며, ISDN POOL의 유지 및 보수 증설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가입자에게 항상 접속을 허용할 수 있어, 다이얼-업에 의한 접속 대기 시간 및 접속이 불가능한 경우가 발생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가입자에게 보다 나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다음으로 가입자에 대해서는 인터넷에 항시 고속으로 접속할 수 있도록 하며, 기존의 회선 교환 방식을 통한 인터넷 접속보다 저렴한 요금으로 인터넷 항시 접속이 가능하다.

Claims (3)

  1. 종합정보통신망(ISDN) 가입자와 교환기 사이에 제공되는 ISDN 가입자를 위한 인터넷 상시접속 장치에 있어서,
    ISDN 가입자 단말의 D-채널 셋업 메시지를 분석하여 음성호출/데이터 통신 여부를 판단하고, 음성통화 패스와 데이터 통신 패스를 제어하기 위한 ISDN D-채널 신호분석/제어 수단;
    상기 ISDN 가입자 단말 또는 연결된 교환기로부터의 음성호출에 대한 정보를 상기 ISDN D-채널 신호분석/제어 수단과 상호 교환하기 위한 교환기 인터페이스 수단;
    상기 ISDN D-채널 신호분석/제어 수단에 제어 받아 상기 ISDN 가입자 단말의 B-채널에서 PPP 패킷을 추출하고 다중화하며, 데이터망으로부터 전송된 패킷 데이터를 역화중화하기 위한 ISDN PPP 패킷 처리 수단;
    상기 데이터망과 상기 ISDN PPP 패킷 처리 수단 상호간의 패킷 데이터 전송을 위한 데이터 인터페이스 수단; 및
    상기 ISDN D-채널 신호분석/제어 수단에 제어 받아 상기 ISDN 가입자 단말의 B-채널을 상기 교환기 인터페이스 수단 또는 상기 ISDN PPP 패킷 처리 수단으로 스위칭하기 위한 ISDN B-채널 스위칭 수단을 구비한 종합정보통신망 가입자를 위한 인터넷 상시접속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ISDN PPP 패킷 처리 수단은,
    통계적 다중화 및 역다중화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합정보통신망 가입자를 위한 인터넷 상시접속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교환기 인터페이스 수단은,
    상기 ISDN B-채널 스위칭부로부터 전달된 상기 ISDN 가입자 단말의 B-채널을 상기 교환기의 신호 형태로 에뮬레이션(emulation)하여 음성통화를 성립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합정보통신망 가입자를 위한 인터넷 상시접속 장치.
KR1020000000374A 2000-01-05 2000-01-05 종합정보통신망 가입자를 위한 인터넷 상시접속 장치 KR1003279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0374A KR100327964B1 (ko) 2000-01-05 2000-01-05 종합정보통신망 가입자를 위한 인터넷 상시접속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0374A KR100327964B1 (ko) 2000-01-05 2000-01-05 종합정보통신망 가입자를 위한 인터넷 상시접속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8448A KR20010068448A (ko) 2001-07-23
KR100327964B1 true KR100327964B1 (ko) 2002-03-16

Family

ID=196365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00374A KR100327964B1 (ko) 2000-01-05 2000-01-05 종합정보통신망 가입자를 위한 인터넷 상시접속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2796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9903B1 (ko) * 2004-01-17 2005-12-28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vod 데이터 처리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20897A (ko) * 1992-03-18 1993-10-20 경상현 고정길이 패킷 수신기능 처리용 통신 프로토콜 처리장치
KR940003244A (ko) * 1992-07-02 1994-02-21 양승택 Isdn 전전자 교환기 시스팀에서 가상회선 서비스 b-채널 패킷 자국 호 처리를 위한 메시지 처리 방법
JPH07143118A (ja) * 1993-06-16 1995-06-02 Nec Corp Isdnターミナルアダプタ
JPH08274771A (ja) * 1995-03-31 1996-10-18 Hitachi Telecom Technol Ltd パケット交換/回線交換通信の切替方式
KR19990050404A (ko) * 1997-12-17 1999-07-05 이계철 대용량 통신처리시스템에서 종합정보통신망 가입자의 인터넷 접속 방법
KR19990047502A (ko) * 1997-12-04 1999-07-05 이계철 전전자 교환기의 인터넷 접속 서비스를 위한 가입자 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20897A (ko) * 1992-03-18 1993-10-20 경상현 고정길이 패킷 수신기능 처리용 통신 프로토콜 처리장치
KR940003244A (ko) * 1992-07-02 1994-02-21 양승택 Isdn 전전자 교환기 시스팀에서 가상회선 서비스 b-채널 패킷 자국 호 처리를 위한 메시지 처리 방법
JPH07143118A (ja) * 1993-06-16 1995-06-02 Nec Corp Isdnターミナルアダプタ
JPH08274771A (ja) * 1995-03-31 1996-10-18 Hitachi Telecom Technol Ltd パケット交換/回線交換通信の切替方式
KR19990047502A (ko) * 1997-12-04 1999-07-05 이계철 전전자 교환기의 인터넷 접속 서비스를 위한 가입자 호 제어방법
KR19990050404A (ko) * 1997-12-17 1999-07-05 이계철 대용량 통신처리시스템에서 종합정보통신망 가입자의 인터넷 접속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8448A (ko) 2001-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54799A (en) Access to telecommunications networks in a multi-service environment by mapping and exchanging control message between CPE adaptors and access server
US5991292A (en) Network access in multi-service environment
EP0845186B1 (en) An improved access to telecommunications networks in multi-service environment
US6075784A (en) System and method for communicating voice and data over a local packet network
KR0150651B1 (ko) Isdn 비디오 전화기를 이용한 isdn 오디오 및 비디오 호출 방법 및 장치
US6118777A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ompeting local exchange carriers unbundled access to subscriber access lines
US6128293A (en) Multiservice access management system
US6400708B1 (en) D-channel voice communications
US20110026515A1 (en) Communication network with line-and packet-switching control
WO1999051005A3 (en) Multi-service access switched system
EP0983693B1 (en) Control of communication traffic
US7254228B2 (en) Method and system for effective utilizing the switching capacity of local exchanges
KR100327964B1 (ko) 종합정보통신망 가입자를 위한 인터넷 상시접속 장치
EP1346599B1 (en) Method of optimizing equipment utilization in telecommunication access network
CN100488285C (zh) 一种控制用户侧设备接入的方法及装置
WO1998015157A1 (en) Arrangement for interleaving data and signalling information
JP4167414B2 (ja) アクセス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
JP2002271323A (ja) 総合情報通信網加入者のためのインターネット常時接続装置
JP3726281B2 (ja) ナルデータ抑圧・挿入機能を有する電話システム
KR100264855B1 (ko) 아이디엘씨기능구현을위한가입자전송장치
US7657010B1 (en) System and method for establishing a high speed non-switched data connection
WO2002028115A2 (en) Method and system for effective utilizing the switching capacity of local exchanges
JP2000032130A (ja) サービス総合ディジタル網のアクセスノード
JP2002101065A (ja) 高速データ伝送方法および遠隔終端装置
KR20020016684A (ko) 종합정보 통신망의 디-채널 패킷서비스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28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