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27370B1 - 디지털 인터페이스에서의 특정 레지스터 데이터 갱신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털 인터페이스에서의 특정 레지스터 데이터 갱신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27370B1
KR100327370B1 KR1019990031593A KR19990031593A KR100327370B1 KR 100327370 B1 KR100327370 B1 KR 100327370B1 KR 1019990031593 A KR1019990031593 A KR 1019990031593A KR 19990031593 A KR19990031593 A KR 19990031593A KR 100327370 B1 KR100327370 B1 KR 1003273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dio
update
video
specific register
video n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315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11962A (ko
Inventor
서상일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900315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27370B1/ko
Priority to US09/628,547 priority patent/US6629159B1/en
Publication of KR200100119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119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73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737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30Arrangements for executing machine instructions, e.g. instruction decode
    • G06F9/30098Register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Abstract

디지털 인터페이스로 연결 구성된 오디오/비디오 노드간에서 갱신 권한 여부에 따라 락 트랜잭션(Lock Transaction)을 이용하여 갱신 가능 여부를 전송하도록 하기 위한 디지털 인터페이스에서의 특정 레지스터 데이터 갱신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디지털 인터페이스로 연결 구성된 다수개의 오디오/비디오 노드를 갖는 디지털 인터페이스에서의 특정 레지스터 데이터 갱신방법에 있어서, 한 오디오/비디오 노드에서 락 트랜잭션(Lock Transaction)을 통해 특정 레지스터의 갱신을 요청하면 갱신을 요청받은 오디오/비디오 노드에서 상기 오디오/비디오 노드의 갱신 권한 여부를 검색하는 단계와, 상기 검색 결과에 따라 갱신을 요청받은 오디오/비디오 노드에서 자신의 특정 레지스터의 이전 값과 상기 갱신 권한에 따른 갱신 가능 여부를 락 리스펀스 패킷(Lock Response Packet)을 통해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디지털 인터페이스로 연결 구성된 오디오/비디오 노드간에서 갱신 권한 여부에 따라 락 트랜잭션(Lock Transaction)을 이용하여 특정 레지스터의 갱신 가능 여부를 전송하도록 함으로써 갱신 권한을 갖지 않는 오디오/비디오 노드가 특정 레지스터의 데이터를 갱신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디지털 인터페이스에서의 특정 레지스터 데이터 갱신방법{method for modifying data of specific register in digital interface}
본 발명은 디지털 인터페이스에 관한 것으로, 특히 디지털 인터페이스에서의 특정 레지스터 데이터 갱신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 종래 기술에 따른 디지털 인터페이스에서의 특정 레지스터 데이터 갱신방법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종래 기술에 따른 1394 시스템의 오디오/비디오 노드간 접속 상태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1394 시리얼 버스(10)에 연결된 오디오/비디오 노드간의 연결정보를 애플러케이션 노드(application node)(미도시)의 제어신호에 따라 입출력하는 제 1 및 제 2 입력 플러그 제어 레지스터(21)(22), 제 1 입력 마스터 플러그 레지스터(23)로 구성된 제 1 오디오/비디오 노드(20)와, 상기 1394 시리얼 버스(10)에 연결된 기기간의 연결정보를 애플러케이션 노드(application node)의 제어신호에 따라 입출력하는 제 3 입력 플러그 제어 레지스터(31), 제 2 입력 마스터 플러그 레지스터(32)로 구성된 제 2 오디오/비디오 노드(30)와, 상기 1394 시리얼 버스(10)에 연결된 기기간의 연결정보를 애플러케이션 노드(application node)의 제어신호에 따라 입출력하는 제 4 입력 플러그 제어 레지스터(41), 제 3 입력 마스터 플러그 레지스터(42)로 구성된 제 3 오디오/비디오 노드(40)와, 상기 1394 시리얼 버스(10)에 연결된 기기간의 연결정보를 애플러케이션 노드(application node)의 제어신호에 따라 입출력하는 제 5 및 제 6 플러그 제어 레지스터(51)(52), 제 4 입력 마스터 플러그 레지스터(53)로 구성된 제 4 오디오/비디오 노드(50)와, 상기 1394 시리얼 버스(10)에 연결된 기기간의 연결정보를 애플러케이션노드(application node)의 제어신호에 따라 입출력하는 출력 플러그 제어 레지스터(61), 출력 마스터 플러그 레지스터(62)로 구성된 제 5 오디오/비디오 노드(60)로 구성된다.
도 2 는 종래 기술에 따른 오디오/비디오 노드의 특정 레지스터 데이터 갱신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기술에 따른 디지털 인터페이스에서의 특정 레지스터 데이터 갱신방법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애플러케이션 노드(application node)는 제 5 오디오/비디오 노드(60)에서 제 1 오디오/비디오 노드(20)로 포인트-투-포인트 커넥션(Point-to-Point connection) 또는 브러드케스트 커넥션(broadcast connection)으로 아이소크로너스 데이터(isochronous data)를 전송하기 위한 채널을 할당받은 후 제 5 오디오/비디오 노드(60)내 출력 플러그 레지스터와 입력 플러그 레지스터를 같은 포맷으로 출력 플러그 레지스터(61)와 제 2 입력 플러그 레지스터(22)에 기입한다.
이후 애플러케이션 노드(application node)는 상기 아이소크로너스 데이터(isochronous data)를 전송하기 위하여 상기 제 5 오디오/비디오 노드(60)내 출력 플러그 레지스터(61)의 온-라인(on-line) 비트와 제 2 입력 플러그 레지스터(22)의 온-라인(on-line) 비트에 '1'을 기입한다.
아울러 애플러케이션 노드(application node)는 상기 제 5 오디오/비디오 노드(60)내 출력 플러그 레지스터(61)의 브러드케이트 커넥션 카운터() 또는 포인트
그러면 제 5 오디오/비디오 노드(60)에서 제 1 오디오/비디오 노드(20)로 아이소크로너스 데이터(isochronous data)가 상기 채널(channel)을 통해 전송된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제 5 오디오/비디오 노드(60)에서 제 2 및 제 4 오디오/비디오 노드(30)(40)로의 아이소크로너스 데이터(isochronous data) 전송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제 6 오디오/비디오 노드(미도시)에서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5 오디오/비디오 노드(60)의 출력 플러그 제어 레지스터(61)의 데이터를 갱신하기 위하여 리드 리퀘스터(Read Request)를 전송하면 제 5 오디오/비디오 노드(60)는 상기 리드 리퀘스터(Read Request)에 따라 자신의 출력 플러그 제어 레지스터(61)의 값을 리드 리스펀스(Read Response)를 통해 상기 제 6 오디오/비디오 노드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제 6 오디오/비디오 노드는 상기 리드 리스펀스(Read Response)를 통해 전송된 제 5 오디오/비디오 노드(60)의 출력 플러그 제어 레지스터(61)의 값을 리드 데이터(Read Data)로 내부 메모리에 저장한 후 락 리퀘스트(Lock Request)시 이 값을 argument value에 기록하고, 이를 갱신한 값을 data value에 기록한 후 전송한다.
그러면 제 5 오디오/비디오 노드(60)는 상기 락 리퀘스트(Lock Request)에 따라 자신의 출력 플러그 제어 레지스터(61)의 현재 값을 락 리스펀스(Lock Response)를 통해 상기 제 6 오디오/비디오 노드로 전송한다.
그리고 제 5 오디오/비디오 노드(60)는 상기 락 리퀘스트(Lock Request)에 따라 전송된 argument value와 자신의 출력 플러그 제어 레지스터(61)의 값을 비교하여 같으면 data value로 자신의 출력 플러그 제어 레지스터(61)를 갱신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디지털 인터페이스에서의 특정 레지스터 데이터 갱신방법은 락 트랜잭션(Lock Transaction)을 요청한 노드가 락 트랜잭션(Lock Transaction)에 성공한 후에 존재하는 레지스터 값으로 레지스터를 갱신할 권한이 없는 경우 락 트랜잭션(Lock Transaction)을 요청받은 노드가 락 트랜잭션(Lock Transaction)을 요청한 노드에게 그 사실을 알려줄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디지털 인터페이스로 연결 구성된 오디오/비디오 노드간에서 갱신 권한 여부에 따라 락 트랜잭션(Lock Transaction)을 이용하여 특정 레지스터의 갱신 가능 여부를 전송하도록 하기 위한 디지털 인터페이스에서의 특정 레지스터 데이터 갱신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 은 종래 기술에 따른 1394 시스템의 오디오/비디오 노드간 접속 상태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
도 2 는 종래 기술에 따른 오디오/비디오 노드의 특정 레지스터 데이터 갱신방법을 나타낸 도면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인터페이스에서의 특정 레지스터 데이터 갱신방법에 따른 갱신 권한을 갖는 노드에서의 특정 레지스터 데이터 갱신방법을 나타낸 도면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인터페이스에서의 특정 레지스터 데이터 갱신방법에 따른 갱신 권한을 갖지 않은 노드에서의 특정 레지스터 데이터 갱신방법을 나타낸 도면
도 5a 및 도 5b 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인터페이스에서의 특정 레지스터 데이터 갱신방법에 적용되는 resp_access_error값과 락 리스펀스 패킷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인터페이스에서의 특정 레지스터 데이터 갱신방법의 특징은, 디지털 인터페이스로 연결 구성된 다수개의 오디오/비디오 노드를 갖는 디지털 인터페이스에서의 특정 레지스터 데이터 갱신방법에 있어서, 한 오디오/비디오 노드에서 락 트랜잭션(Lock Transaction)을 통해 특정 레지스터의 갱신을 요청하면 갱신을 요청받은 오디오/비디오 노드에서 상기 오디오/비디오 노드의 갱신 권한 여부를 검색하는 단계와, 상기 검색 결과에 따라 갱신을 요청받은 오디오/비디오 노드에서 자신의 특정 레지스터의 이전 값과상기 갱신 권한에 따른 갱신 가능 여부를 락 리스펀스 패킷(Lock Response Packet)을 통해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그 특징이 있다.
상기 갱신 가능 여부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검색 결과 갱신을 요청한 오디오/비디오 노드가 갱신 권한을 갖는 오디오/비디오 노드라면 갱신을 요청받은 오디오/비디오 노드에서 락 리스펀스 패킷(Lock Response Packet)에 자신의 특정 레지스터의 값을 갱신할 수 있다는 'resp_complete'를, 갱신 권한을 갖지 않은 오디오/비디오 노드라면 락 리스펀스 패킷(Lock Response Packet)에 자신의 특정 레지스터의 값을 갱신할 수 없다는 'resp_access_error'를 기록하여 전송하는데 다른 특징이 있다.
상기 'resp_complete'과 'resp_access_error'은 상기 락 리스펀스 패킷(Lock Response Packet)의 'rcode'에 기록되는데 또다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은 디지털 인터페이스로 연결 구성된 오디오/비디오 노드간에서 갱신 권한 여부에 따라 락 트랜잭션(Lock Transaction)을 이용하여 특정 레지스터의 갱신 가능 여부를 전송하도록 함으로써 갱신 권한을 갖지 않는 오디오/비디오 노드가 특정 레지스터의 데이터를 갱신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징 및 잇점들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들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인터페이스에서의 특정 레지스터 데이터 갱신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인터페이스에서의 특정 레지스터 데이터 갱신방법에 따른 갱신 권한을 갖는 노드에서의 특정 레지스터 데이터 갱신방법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인터페이스에서의 특정 레지스터 데이터 갱신방법에 따른 갱신 권한을 갖지 않은 노드에서의 특정 레지스터 데이터 갱신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5a 및 도 5b 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인터페이스에서의 특정 레지스터 데이터 갱신방법에 적용되는 resp_access_error값과 락 리스펀스 패킷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인터페이스에서의 특정 레지스터 데이터 갱신방법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적용되는 구성 요소는 전술한 도 1 의 구성 요소와 동일함으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먼저, 제 6 오디오/비디오 노드(미도시)는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5 오디오/비디오 노드(60)의 출력 플러그 제어 레지스터(61)의 데이터를 갱신하기 위하여 리드 리퀘스터(Read Request)를 전송한다.
그러면 제 5 오디오/비디오 노드(60)는 상기 리드 리퀘스터(Read Request)에 따라 자신의 출력 플러그 제어 레지스터(61)의 값을 리드 리스펀스(Read Response)를 통해 상기 제 6 오디오/비디오 노드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제 6 오디오/비디오 노드는 상기 리드 리스펀스(Read Response)를 통해 전송된 제 5 오디오/비디오 노드(60)의 출력 플러그 제어 레지스터(61)의 값을 리드 데이터(Read Data)로 내부 메모리에 저장한 후 락 리퀘스트(Lock Request)시 이 값을 argument value에 기록하고, 이를 갱신한 값을 data value에 기록한 후전송한다.
그러면 제 5 오디오/비디오 노드(60)는 상기 락 리퀘스트(Lock Request)에 따라 상기 제 6 오디오/비디오 노드(60)의 갱신 권한 여부를 검색한 후 갱신 권한이 있는 노드라면 자신의 출력 플러그 제어 레지스터(61)의 이전 값과 자신의 출력 플러그 제어 레지스터(61)를 갱신할 수 있다는 'resp_complete'를 락 리스펀스(Lock Response)를 통해 상기 제 6 오디오/비디오 노드로 전송한다.
그리고 제 5 오디오/비디오 노드(60)는 상기 락 리퀘스트(Lock Request)에 따라 상기 전송된 argument value와 자신의 출력 플러그 제어 레지스터(61)의 값을 비교하여 같으면 data value로 자신의 출력 플러그 제어 레지스터(61)를 갱신한다.
이어 제 6 오디오/비디오 노드는 상기 제 5 오디오/비디오 노드(60)에서 락 리스펀스(Lock Response)를 통해 전송된 'resp_complete'에 따라 제 5 오디오/비디오 노드(60)의 출력 플러그 제어 레지스터의 갱신에 성공한 것으로 인식한다.
한편, 제 6 오디오/비디오 노드가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 레지스터의 값을 갱신할 수 있는 권한을 갖지 않은 노드라면 제 5 오디오/비디오 노드(60)는 상기 락 리퀘스트(Lock Request)에 따라 자신의 출력 플러그 제어 레지스터(61)의 이전 값과 도 5a 에 도시된 바와 같은 자신의 출력 플러그 제어 레지스터(61)를 갱신할 수 있는 권한이 없다는 'resp_access_error'을 도 5b 에 도시된 바와 같은 락 리스펀스(Lock Response)의 'rcode'에 기록하여 상기 제 6 오디오/비디오 노드로 전송한다.
그리고 제 5 오디오/비디오 노드(60)는 상기 검색 결과 제 6 오디오/비디오노드가 자신의 출력 플러그 제어 레지스터(61)를 갱신할 수 있는 권한을 갖지 않았으므로 자신의 출력 플러그 제어 레지스터(61)의 값을 갱신하지 않는다.
그러면 갱신 권한을 갖지 않는 제 6 오디오/비디오 노드는 상기 제 5 오디오/비디오 노드(60)의 락 리스펀스(Lock Response)에 따라 상기 제 5 오디오/비디오 노드(60)의 출력 플러그 제어 레지스터(61) 값을 갱신할 수 없다는 것을 인식한다.
즉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갱신 권한을 갖지 않은 오디오/비디오 노드가 특정 레지스터의 데이터 갱신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인터페이스에서의 특정 레지스터 데이터 갱신방법은 디지털 인터페이스로 연결 구성된 오디오/비디오 노드간에서 갱신 권한 여부에 따라 락 트랜잭션(Lock Transaction)을 이용하여 특정 레지스터의 갱신 가능 여부를 전송하도록 함으로써 갱신 권한을 갖지 않는 오디오/비디오 노드가 특정 레지스터의 데이터를 갱신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실시예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한다.

Claims (3)

  1. 디지털 인터페이스로 연결 구성된 다수개의 오디오/비디오 노드를 갖는 디지털 인터페이스에서의 특정 레지스터 데이터 갱신방법에 있어서,
    한 오디오/비디오 노드에서 락 트랜잭션(Lock Transaction)을 통해 특정 레지스터의 갱신을 요청하면 갱신을 요청받은 오디오/비디오 노드에서 상기 오디오/비디오 노드의 갱신 권한 여부를 검색하는 단계와;
    상기 검색 결과에 따라 갱신을 요청받은 오디오/비디오 노드에서 자신의 특정 레지스터의 이전 값과 상기 갱신 권한에 따른 갱신 가능 여부를 락 리스펀스 패킷(Lock Response Packet)을 통해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인터페이스에서의 특정 레지스터 데이터 갱신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갱신 가능 여부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검색 결과 갱신을 요청한 오디오/비디오 노드가 갱신 권한을 갖는 오디오/비디오 노드라면 갱신을 요청받은 오디오/비디오 노드에서 락 리스펀스 패킷(Lock Response Packet)에 자신의 특정 레지스터의 값을 갱신할 수 있다는 'resp_complete'를, 갱신 권한을 갖지 않은 오디오/비디오 노드라면 락 리스펀스 패킷(Lock Response Packet)에 자신의 특정 레지스터의 값을 갱신할 수 없다는 'resp_access_error'를 기록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인터페이스에서의 특정 레지스터 데이터 갱신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resp_complete'과 'resp_access_error'은
    상기 락 리스펀스 패킷(Lock Response Packet)의 'rcode'에 기록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인터페이스에서의 특정 레지스터 데이터 갱신방법.
KR1019990031593A 1999-07-31 1999-07-31 디지털 인터페이스에서의 특정 레지스터 데이터 갱신방법 KR1003273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1593A KR100327370B1 (ko) 1999-07-31 1999-07-31 디지털 인터페이스에서의 특정 레지스터 데이터 갱신방법
US09/628,547 US6629159B1 (en) 1999-07-31 2000-07-28 Method for modifying data of specific register in digital interfa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1593A KR100327370B1 (ko) 1999-07-31 1999-07-31 디지털 인터페이스에서의 특정 레지스터 데이터 갱신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1962A KR20010011962A (ko) 2001-02-15
KR100327370B1 true KR100327370B1 (ko) 2002-03-06

Family

ID=196059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1593A KR100327370B1 (ko) 1999-07-31 1999-07-31 디지털 인터페이스에서의 특정 레지스터 데이터 갱신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27370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1962A (ko) 2001-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33938A (en) Descriptor mechanism for assuring indivisible execution of AV/C operations
JP4314745B2 (ja) データ処理システム、データ処理方法及びデータ処理装置
US20010047475A1 (en) Data transfer system, communication device, radio device, dishonest copy preventive method, and record medium having recorded program
JP2002525732A (ja) 通信方法及び通信システム
US6671768B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dynamic configuration ROM using double image buffers for use with serial bus devices
KR100575017B1 (ko) 통신 제어 방법, 통신 시스템 및 그들에 사용되는 전자 기기
US6374316B1 (en) Method and system for circumscribing a topology to form ring structures
US20070124554A1 (en) Global memory for a rapidio network
JPH0927814A (ja) 通信制御方法及び電子機器
US5063501A (en) Information control system for selectively transferring a tree lock from a parent node to a child node thereby freeing other nodes for concurrent access
KR100327370B1 (ko) 디지털 인터페이스에서의 특정 레지스터 데이터 갱신방법
KR100308049B1 (ko) 디지털 인터페이스에서의 특정 레지스터 데이터 갱신방법
US20040059734A1 (en) Data access control
JP3348330B2 (ja) 通信制御方法
US6885631B1 (en) Connection management method for digital interface
US6629159B1 (en) Method for modifying data of specific register in digital interface
KR19990062904A (ko) 전자기기 및 데이터 통신방법
US6314485B1 (en) Automatic status register
US20060137025A1 (en) Method for restriction of access to at least one content, computer program product and corresponding receiver device
KR100556466B1 (ko) 버스시스템에서의기기간자동연결복원제어방법
JP2505298B2 (ja) スプリットバスにおける可変バス幅指定方式及び可変バス幅情報受信方式
KR100546563B1 (ko) 버스시스템에서의 기기간 연결 제어방법
JP4546960B2 (ja) 分散された複数の局のネットワークのためのネットワーク加入者局及び該ネットワーク加入者局を操作するための方法
EP1697937B1 (en) Control apparatus, video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0218688B1 (ko) 오디오 버스 마스터 제어기의 구조 및 그 구동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4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3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2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3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2

Year of fee payment: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4

Year of fee payment: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