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26875B1 - 정지화상 플레이어 - Google Patents

정지화상 플레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26875B1
KR100326875B1 KR1019980035792A KR19980035792A KR100326875B1 KR 100326875 B1 KR100326875 B1 KR 100326875B1 KR 1019980035792 A KR1019980035792 A KR 1019980035792A KR 19980035792 A KR19980035792 A KR 19980035792A KR 100326875 B1 KR100326875 B1 KR 1003268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data
still picture
display
condi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357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24044A (ko
Inventor
아키라 가미야
Original Assignee
모리시타 요이찌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모리시타 요이찌,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모리시타 요이찌
Publication of KR199900240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40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68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687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04Synchronis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8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 H04N5/782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on tape
    • H04N5/783Adaptations for reproducing at a rate different from the recording ra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2Content retrieval operation from a local storage medium, e.g. hard-disk
    • H04N21/4325Content retrieval operation from a local storage medium, e.g. hard-disk by playing back content from the storage mediu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4Dis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demultiplexing audio and video streams, extraction of additional data from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Disassembling of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4343Extraction or processing of packetized elementary streams [P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4400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video buffer management, e.g. video decoder buffer or video display buff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46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graphical data, e.g. 3D object, 2D graphics
    • H04N21/8153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graphical data, e.g. 3D object, 2D graphics comprising still images, e.g. texture, background ima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6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ression Or Coding Systems Of Tv Signals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지화상 플레이어, 보다 특정적으로는 영상 플레이어의 영상 플레이기능을 확장하여 상기 영상 플레이어에 정지화상 플레이기능을 갖게 하기 위한 정지화상 플레이어에 관한 것으로서, 표시프레임 선택부(113)는 플레이해야 하는 프레임데이터만을 선택하고, 표시데이터 관리부(1604)는 수신되어 디코드된 플레이해야 하는 표시데이터만을 표시데이터 저장부(1605)의 임의의 저장영역에 입력하고, 표시데이터 관리부(1604)와 표시제어부(1606)는 헤더정보 저장부(1608)를 통해서 제휴하고, 표시데이터 저장부(1605)에 대해서 토글처리를 실시하고, 표시데이터 관리부(1604)는 디코드된 프레임데이터를 사용가능한 저장영역 IP에 입력하고, 표시제어부(1606)는 다음에 플레이해야 하는 표시데이터의 입력이 종료하기 까지는 입력이 종료하고 있는 저장영역 IP에서 표시데이터를 계속해서 판독하고, 표시부(1607)는 이 표시데이터를 계속해서 표시하고, 이에 의해 영상 플레이어의 기능을 확장하고, 또한 동시에 입력된 정지화상 중 필요한 정지화상(예를 들면 시청자측의 취향에 따라서 선택된 정지화상 등)을 블랙 아웃하지 않고 표시하는 정지화상 플레이어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정지화상 플레이어
본 발명은 정지화상 플레이어, 보다 특정적으로는 영상 플레이어의 영상 플레이기능을 확장하여 상기 영상 플레이어에 정지화상 플레이기능을 갖게 하기 위한 정지화상 플레이어에 관한 것이다.
최근, 통신위성 등을 이용한 디지탈방송 서비스가 주목받고 있다. 이러한 서비스에서는 보통 디지탈 영상의 수신단에는 영상 플레이어가 설치된다. 도 22는 종래의 영상 플레이어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2에 있어서, 영상 플레이어는 프레임데이터 수신부(1601), 프레임데이터 저장부(1602), 디코드처리부(1603), 표시데이터 관리부(1604), 표시데이터 저장부(1605), 표시제어부(1606), 표시부(1607), 헤더정보 저장부(1608) 및 타이밍제어부(1609)를 구비한다. 또 타이밍제어부(1609)는 타이머부(1610)와 시각정보 저장부(1611)를 포함한다.
상술한 영상 플레이어에는 영상을 구성하고, MPEG(Motion Picture Experts Group)에 기초하여 압축·부호화된 PES(Packetized Elementary Stream)형식의 프레임데이터가 차례로 입력된다.
여기에서 도 23은 도 22에 도시한 영상 플레이어에 입력하는 프레임데이터의 포맷을 나타내고 있다. 도 23에 있어서, 프레임데이터의 포맷은 ISO/IEC13818-1 및 2의 규격에 기초하고 있고, 대략적으로 PES헤더(PES header)와 상기 PES헤드 이후에 계속된 엘러멘터리 스트림(Elementary Stream)을 구비하고 있다. PES헤더는 개시코드(packet_start_code_perfix), 스트림 ID(stream_id), 포켓길이(PES_packet_length), PTS(presentation_time_stamp) 및 DTS(decoding_time_stamp)와의 필드(도시 참조)를 포함하고 있고, 그 밖에도 상기 규격에 기초한 소정의 필드(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하고 있다. 엘러멘터리 스트림은 계층적인 구조를 갖고, 시퀀스층이나 픽쳐층을 포함하고 있다. 엘러멘터리 스트림은 그 외에도 상기 규격에 기초한 층(도시하지 않음)을 포함하고 있다. 시퀀스층의 선두에는 시퀀스헤더(Sequence header)가 부가되어 있고(도시 참조), 상기 시퀀스헤더는 시퀀스헤더 코드(Sequence_header_code) 그 외 상기 규격에 기초한 헤더정보를 갖는다. 또, 픽쳐층의 선두에는 픽쳐헤더(Picture header)가 부가되어 있고(도시참조), 상기 픽쳐헤더는 픽쳐 개시 코드(picture_start_code), 템퍼럴 레퍼런스(temporal_reference) 및 픽쳐코딩타입(picture_coding_type)과 그외 상기 규격 에 기초한 헤더정보를 갖는다. 그리고 프레임데이터의 말미에는 종료 코드(sequence_end_code)가 부가된다.
또, 도 24는 도 22에 도시한 영상 플레이어에 차례로 입력하는 영상을 구성하는 프레임데이터 I0, P3,…를 나타내고 있다. 도 24에 있어서 프레임데이터 I0의 템퍼럴 레퍼런스는 「0」이고, 픽쳐코딩타입은 「I」이다. 또, 프레임데이터P3의 템퍼럴 레퍼런스는 「3」이고, 픽쳐코딩타입은 「P」이다. 이렇게 도 24에 도시한 각 프레임데이터 내의 좌측에 나타낸 알파벳은 픽쳐코딩타입을 나타내고, 그 우측에 나타낸 수자는 템퍼럴 레퍼런스를 나타낸다.
다음에 프레임데이터P3(도 24 참조)이 프레임데이터 수신부(1601)에 도착한 시각에서 표시부(1607)에 표시되기 까지의 동작을 구체예로서 영상 플레이어의 처리순서를 설명한다.
우선, 프레임데이터 P3의 도착시, 표시데이터 저장부(1605)의 저장영역 IP「1」에는 도 3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데이터(프레임데이터) I0가 저장되어 있고, 그 플래그 정보저장영역에는 플래그정보「입력완료」가 설정되어 있다. 이러한 표시데이터의 저장에 대해서는 후술하기 때문에, 여기에서는 설명하지 않는다.
다음에 도 25에 도시한 플로우챠트를 참조하여, 프레임데이터의 수신부분인 프레임데이터 수신부(1601), 프레임데이터 저장부(1602) 및 헤더정보 저장부(1608)의 처리순서에 대해서 설명한다. 프레임데이터 수신부(1601)는 도 23 및 도 24에 도시한 바와 같은 PES형식으로 인코드된 프레임데이터(현시점에서는 P3)를 수신한다(도 25; 스텝(S1901)). 다음에 프레임데이터 수신부(1601)는 프레임데이터의 헤더정보 내, 스트림ID, PTS, DTS, 픽쳐코딩타입 및 템퍼럴 레퍼런스를 필요한 헤더정보로서 추출하여, 헤더정보 저장부(1608)로 출력한다(스텝(S1902)). 여기에서 헤더정보는 도 23에 도시한 PES헤더, 시퀀스헤더 및 픽쳐헤더와, 그 외에 상기 규격에 기초한 헤더에 포함되는 정보를 의미한다.
헤더정보 저장부(1608)는 도 26에 도시한 바와 같은 제 1 리스트를 유지하고 있다. 도 26에 있어서 제 1 리스트는 스트림ID, PTS, DTS, 픽쳐코딩타입, 템퍼럴 레퍼런스 및 저장영역과의 필드를 갖는다. 헤더정보 저장부(1608)는 프레임데이터 수신부(1601)에서 입력되는 헤더정보를 대응하는 필드에 각각 저장한다. 또한, 헤더정보 저장부(1608)는 표시데이터 관리부(1604)에서 입력되는 저장영역을 나타내는 정도(IP[0], IP[1], B[0] 또는 B[1])를 저장영역 필드에 저장한다. 현시점에서는 제 1 리스트에는 도 2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트림ID, PTS, DTS, 픽쳐코딩타입, 템퍼럴 레퍼런스 및 저장영역의 필드에는 이미 도착하고 있는 프레임데이터 I0에 관하여, 「0XE0」, 「0X15000」, 「0X6000」, 「I」, 「0」 및 「IP[1]」가 설정되고, 동일하게 새롭게 도착한 프레임데이터 P3에 관하여, 「0XE0」, 「0X24000」, 「0X9000」, 「P」 및 「3」이 설정된다. 또한 프레임데이터P3의 저장영역 필드가 공백인 것은 표시데이터 관리부(1604)에서 저장영역을 나타내는 정보가 헤더정보 저장부(1608)에 입력되어 있지 않기 때문이다.
헤더정보 저장부(1608)는 상술한 바와 같이 하여 제 1 리스트를 갱신하면, 그 취지를 코드처리부(1603) 및 표시제어부(1606)에 통지한다(도 25;스텝(S1903)). 또한 이 통지를 이하 「제 1 리스트 갱신통지」라 한다.
다음에 프레임데이터 수신부(1601)는 수신한 프레임데이터(현시점에서는 P3)를 프레임데이터 저장부(1602)로 출력한다(스텝(S1904)).
프레임데어터 저장부(1602)는 수신한 프레임데이터를 내부의 저장영역에 저장한다.
프레임데이터의 수신부분은 프레임데이터가 입력할 때마다, 상술한 스텝(S1901∼S1904)을 실행한다.
여기에서, 도 27에 도시한 플로우챠트를 참조하여 타이밍제어부(1609)의 처리순서에 대해서 설명하지만, 우선 최초로 시각정보 저장부(1611)가 유지하는 제 2 리스트에 대해서 도 2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8에 있어서, 제 2 리스트는 시각정보와 그 통지원의 식별정보와의 필드를 갖는다. 이 시각정보 및 식별정보는 타이밍제어부(1609)에 의해 저장되지만, 이 처리에 대해서는 후술하기 때문에 여기에서는 설명하지 않는다. 도 28에 도시한 예에서는 시각정보 및 그 통지원의 식별정보의 필드에는 「0X15000」 및 「표시제어부」, 「0X9000」 및 「디코드처리부」, 및 「0X24000」 및 「표시제어부」가 저장된다.
우선, 타이밍제어부(1609)는 상술한 제 2 리스트에 시각정보가 저장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여(도 27;스텝(S2101, S2102)), 시각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경우, 스텝(S2103)으로 진행한다. 타이밍제어부(1609)는 시각정보가 저장되어 있지 않은 경우, 제 2 리스트에 시각정보가 저장되기까지, 스텝(S2101, S2102)을 반복하여 실행한다. 지금 현재 시각은 「0X9000」의 직전이라고 가정한다. 이 시각에 있어서 제 2 리스트에는 도 2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적어도 3개의 시각정보가 존재하기 때문에 타이밍제어부(1609)는 스텝(S2103)으로 진행한다.
다음에, 타이밍제어부(1609)는 제 2 리스트중의 모든 시각정보와 타이머부(1610)에 의해 측정된 현재 시각을 비교하여(스텝(S2103)), 양자의 관계를 판단한다(스텝(S2104)). 타이밍제어부(1609)는 현재 시각이 제 2 리스트 중 어떤 시각정보에 도달하고 있다고 판단한 경우 또는 현재 시각이 제 2 리스트 중 어떤 시각정보를 경과하고 있다고 판단한 경우에, 하나 이상의 시각정보 통지원에 현재 시각이 정보에 도달했다고 통지한다(스텝(S2105)). 또한 이 통지를 이하 「시각통지」라 한다. 타이밍제어부(1609)는 그 이외의 경우, 현재 시각이 시각통지를 출력해야 하는 시각에 도달하기까지, 스텝(S2101∼S2104)을 반복하여 실행한다. 이제, 현재 시각이 시각「0X9000」에 도달하였다 가정한다. 이 경우, 도 28에서 알 수 있듯이, 타이밍제어부(1609)는 디코드처리부(1603)에 시각통지를 출력한다.
다음에, 타이밍제어부(1609)는 제 2 리스트에서 시각통지를 출력하기 위해서 참조한 시각정보 및 통지원의 식별정보를 삭제한다(스텝(S2106)). 현시점에서는 시각정보 「0X9000」 및 식별정보 「디코드처리부」가 삭제된다.
타이밍제어부(1609)는 상술한 스텝(S2101∼S2106)을 반복하여 실행한다.
다음에, 도 29에 도시한 플로우챠트를 참조하여 디코드처리부(1603)의 처리순서를 설명한다. 디코드처리부(1608)는 상술한 도 25의 스텝(S1903)에서 출력되는 헤더정보 저장부(1608)에서의 제 1 리스트 갱신통지를 대기하고(도 29;스텝(S2301)), 상기 통지를 수신하면(스텝(S2302)), 헤더정보 저장부(1608)(도 26 참조)에 액세스하여, 새롭게 도착한 프레임데이터의 DTS 및 상기 프레임데이터를 특정하기 위한 프레임 특정정보(본 발명에서는 픽쳐코딩타입 및 템퍼럴 레퍼런스)를 제 1 리스트에서 판독하고 유지한다. 현시점에서는 프레임데이터 P3에 관하여, DTS「0X9000」와 픽쳐코딩타입「P」과 템퍼럴 레퍼런스「3」이 판독된다.
다음에 디코드처리부(1603)는 유지중인 DTS와 자신을 특정하기 위해서 미리 부여되여 있는 식별정보「디코드처리부」를 타이밍제어부(1609)에 통지한다(스텝(S2303)). 또, 타이밍제어부(1609)는 이 통지에 기초하여, 상술한 제 2 리스트에 신규정보를 추가한다(또한 이 처리는 도 27에 나타나 있지 않다). 현시점에서는 도 28의 중단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각정보「0X9000」 및 통지원의 식별정보「디코드처리부」가 제 2 리스트에 추가된다.
다음에 디코드처리부(1603)는 타이밍제어부(1609)가 도 27의 스텝(S2105))에서 출력하는 시각통지를 대기하고(스텝(S2304)), 상기 통지를 수신하면(스텝(S2305)), 프레임데이터 저장부(1602)에 액세스하여, 유지중인 프레임 특정정보에 의해 특정되는 프레임데이터를 판독하여 디코드한다(스텝(S2306)). 다음에 디코드처리부(1603)는 디코드한 프레임데이터 및 유지중인 프레임 특정정보를 표시데이터 관리부(1604)로 출력한다(스텝(S2307)). 현시점에서는 현재 시각이 DTS「0X9000」가 되면, 픽쳐코딩타입「P」와 템퍼럴 레퍼런스「3」에 의해 특정되는 프레임데이터P3이 판독되어 디코드된 후, 이것이 표시데이터 관리부(1604)로 출력된다.
디코드처리부(1603)는 상술한 스텝(S2301∼S2307)을 반복하여 실행한다.
다음에 도 30에 나타내는 플로우챠트를 참조하여, 표시데이터의 저장처리부인 표시데이터 관리부(1604) 및 표시데이터 저장부(1605)의 처리순서를 설명하지만, 우선 최초로 표시데이터 저장부(1605)의 보다 상세한 구성을 도 3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1에 있어서, 표시데이터 저장부(1605)의 저장영역은 플래그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플래그정보 저장영역과, 상기 표시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표시데이터 저장영역을 각각 갖는 4개의 저장영역 IP[0], IP[1], B[1] 및 B[1]로 분배된다. 이 플래그정보는 두종류이고, 대응하는 표시데이터 저장영역에 표시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본 발명에서는 플래그정보「사용가능」은 대응하는 표시데이터 저장영역에 새로운 표시데이터를 입력하여도 좋다는 것을 나타낸다. 한편, 플래그정보「입력완료」는 대응하는 표시데이터 저장영역에 현재 저장되어 있는 표시데이터가 아직 필요하고, 상기 표시데이터 저장영역에 새로운 표시데이터를 입력하는 것은 안된다는 것을 나타낸다.
저장영역 IP[0] 및 IP[1]의 표시데이터 저장영역은 프레임내 예측에 의해 압축·부호화된 프레임(I픽쳐;픽쳐코딩타입이 「I」인 프레임데이터), 또는 과거 프레임과의 사이에서 프레임간 예측에 의해 압축·부호화된 프레임(P픽쳐;픽쳐코딩타입이 「P」인 프레임데이터)을 저장한다. 또, 저장영역B[0] 및 B[1]의 표시데이터 저장영역은 과거와 미래의 프레임을 이용한 프레임간 예측에 의해 압축·부호화된 프레임(B픽쳐;픽쳐코딩타입이 「B」인 프레임데이터)을 저장한다.
다음에, 표시데이터의 저장처리부분의 처리순서를 설명한다. 우선, 초기 설정시 등에, 표시데이터 저장부(1605)의 저장영역은 저장영역 IP[0], IP[1], B[0] 및 B[1]로 분배된다(도 30;스텝(S2401)). 초기 설정시점에서는 4개의 플래그정보는 「사용가능」이라 설정된다. 그러나, 현시점, 즉 상술의 프레이데이터P3가 입력되는 시점에서는 도 3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임데이터 I0가 저장영역 IP[1]의 표시데이터 저장영역에 이미 저장되어 있고, 그 플래그정보는 「입력완료」라 설정되어 있다.
표시데이터 관리부(1604)는 디코드처리부(1603)에 의해 출력되는 디코드후의 프레임데이터 및 프레임 특정정보가 표시데이터 및 표시데이터 특정정보로서 입력되면(스텝(S2402)), 상기 표시데이터 및 표시데이터 특정정보를 유지한다. 현시점에서는 표시데이터P3이 입력되고, 또한 픽쳐코딩타입「P」 및 템퍼럴 레퍼런스「3」이 표시데이터 특정정보로서 입력된다.
다음에, 표시데이터 관리부(1604)는 표시데이터 저장부(1605)에 액세스하고, 각 저장영역에서 현재 설정되어 있는 플래그정보를 판독하고, 유지한다(스텝(S2403)). 현시점에서는 도 31에서 알 수 있듯이, 저장영역 IP[0], B[0] 및 B[1]의 플래그정보는 「사용가능」이며, 저장영역 IP[1]는 「입력완료」이다.
다음에 표시데이터 관리부(1604)는 유지중인 표시데이터의 픽쳐타입이 「B」인지 여부를 유지중인 표시데이터 특정정보(픽쳐코딩타입)를 참조하여 판단한다(스텝(S2404)). 현시점에서 표시데이터 관리부(1604)는 픽쳐코딩타입「P」를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스텝(S2405)으로 진행한다.
다음에 표시데이터 관리부(1604)는 모든 저장영역 IP의 내, 플래그정보「사용가능」이 설정되어 있는 것을 1개 선택하고, 선택한 저장영역 IP의 표시데이터 저장영역에 유지중인 표시데이터를 입력한다(스텝(S2405)). 현시점에서는 도 31에서 알 수 있듯이 저장영역 IP[0]에 표시데이터P3가 입력된다.
다음에 표시데이터 관리부(1604)는 이번 표시데이터를 입력한 저장영역 IP(현시점에서는 [0])의 플래그정보를 「입력완료」로 변경하는 한편, 이번 입력 이전에 「입력완료」로 설정되어 있던 저장영역 IP(현시점에서는 [1])의 플래그정보를 「사용가능」으로 변경한다(스텝(S2406)).
다음에, 표시데이터 관리부(1604)는 표시데이터 특정정보 및 표시데이터가 이번 입력된 저장영역을 나타내는 정보를 출력하고, 도 26에 나타나는 제 1 리스트에 있어서 해당하는 저장영역 필드에 상기 저장영역을 나타내는 정보를 추가하도록 헤더정보 저장부(1608)에 요구한다(스텝(S2407)). 헤더정보 저장부(1608)는 이 요구에 응답하여, 입력되는 표시데이터 특정정보에 기초하고, 동시에 입력되는 저장영역을 나타내는 정보를 해당하는 저장영역 필드에 추가한다. 현시점에서는 상술에서 알 수 있듯이, 도 26에 나타나는 제 1 리스트에 있어서 공백의 저장영역 필드에 IP[0]이 추가된다.
또한, 표시데이터 관리부(1604)는 픽쳐코딩타입「I」를 유지중인 경우, 상기 스텝(S2405, S2406 및 S2407)을 동시에 실행하지만, 픽쳐코딩타입「B」을 유지하고 있는 경우, 스텝(S2408, S2409 및 S2407)을 실행한다. 스텝(S2408, S2409)은 도 30에서 알 수 있듯이, 스텝(S2405, 2406)과 비교하면, 단순히 저장영역이 B타입인 점만 상위하기 때문에, 그 설명을 생략한다.
표시데이터의 저장·처리부분은 상술한 픽쳐타입에 따른 2종류의 처리순서(스텝S2401∼S2407, 또는 스텝S2401∼S2404→S2408→S2409→S2407)를 반복한다.
다음에 도 32에 나타나는 플로우챠트를 참조하여, 영상의 표시부분인 표시제어부(1606) 및 표시부(1607)의 처리순서를 설명한다. 우선, 표시제어부(1606)는 상술한 헤더정보 저장부(1608)에서 제 1 리스트 갱신통지를 대기하고(도 32;스텝(S2601)), 상기 통지를 수신하면(스텝(S2602)), 헤더정보 저장부(1608)(도 26 참조)에 액세스하고, 새롭게 도착한 프레임데이터의 PTS를 제 1 리스트에서 판독하고 유지한다. 현시점에서는 프레임데이터P3의 PTS「0X24000」가 판독된다. 다음에 표시제어부(1606)는 유지중인 PTS와 자신을 특정하기 위해서 미리 부여되어 있는 식별정보「표시제어부」를 타이밍제어부(1609)에 통지한다(스텝(S2603)). 또 타이밍제어부(1609)는 상기한 바와 같이 이 통지에 기초하여 제 2 리스트에 신규 정보를 추가한다. 현시점에서는 도 28의 하단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시각정보「0X24000」 및 통지원의 식별정보「표시제어부」가 신규에 추가된다.
다음에 표시제어부(1606)는 상술한 타이밍 제어부(1609)에서의 시각통지를 대기하고(스텝(S2604)), 상기 통지를 수신하면(스텝(S2605)), 이번 표시해야 하는 표시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표시데이터 저장부(1605)의 저장영역을 파악하기 위해서, 헤더정보 저장부(1608)로 액세스하고, 유지중인 PTS를 참조하여 검색한다(스텝(S2606)). 다음에 표시제어부(1606)는 스텝(S2606)에서 파악한 저장영역으로 액세스하고 상기 저장영역에서 표시데이터를 판독하여 표시부(1607)로 출력하며(스텝(S2607), 상기 표시부(1607)는 입력되는 표시데이터를 표시한다(스텝(S2608)).
현시점에서는 도 26에 도시한 제 1 리스트에 있어서 PTS「0X24000」에 대응하는 저장영역 필드에는 IP[0]이 설정되어 있다(상술 참조). 표시데이터 P3는 내부의 PTS「0X24000」에 기초하여 저장영역 IP[0]에서 판독되어 표시된다.
다음에 표시제어부(1606)는 유지중인 PTS를 출력함으로써, 이번 표시된 표시데이터에 대응하는 헤더정보를 제 1 리스트에서 삭제하도록 헤더정보 저장부(1608)에 요구한다(스텝(S2609)). 헤더정보 저장부(1608)는 이 요구와 동시에 입력되는 PTS에 기초하여 해당하는 표시데이터의 헤더정보를 삭제한다. 또한 이 헤더정보 저장부(1608)의 처리는 도 25의 플로우챠트에는 나타나 있지 않다. 현시점에서는 표시데이터P3에 관하여, 「0XE0」, 「0X24000」, 「0X9000」, 「P」, 「3」 및 IP「0」이 삭제된다.
영상의 표시부분은 상술한 스텝(S2601∼S2609)을 반복하여 실행한다.
이상과 같이 하여, 본 영상 플레이어는 입력된 영상의 프레임데이터를 연속적으로 플레이한다. 또한 타이머부(1610)에 의한 현재 시각과 프레임데이터의 도착시각과의 사이의 조정에 대해서는 본원 발명의 논점이 아니므로, 상술에서는 설명하고 있지 않다. 또, 영상 플레이어에 있어서 영상의 표시부분의 처리순서인 도 32의 스텝(S2609)이 실행되지 않고, 헤더정보 저장부(1608)가 모든 프레임데이터에 관한 정보를 유지하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그런데, 디지탈방송 서비스에서는 영상 및 정지화상이 제공된다. 도 22에 도시한 종래의 영상 플레이어는 주로 영상을 끊어지지 않게 연속적으로 플레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결국, 표시데이터 관리부(1604)와 표시제어부(1606)는 헤더정보 저장부(1608)를 통해서 제휴하고, 표시데이터 저장부(1605)에 대해서 토글처리를 실행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표시데이터 관리부(1604)는 디코드된 프레임데이터를 사용 가능하고 동시에 그 픽쳐타입에 합치하는 저장영역에 입력한다. 이 입력이 진행되는 동안에 표시제어부(1606)는 PTS에 따라서 입력이 완료하고 있는 저장영역에서 표시데이터를 판독하고 있다.
다음에 종래의 영상 플레이어의 문제점에 대해서 설명한다. 영상과 정지화상을 비교하면, 현저하게 다른 점이 있다. 즉, 영상의 각 프레임데이터는 미리 정해진 순서에 따라서 연속적으로 플레이될 필요가 있다. 한편, 정지화상은 시청자측의 취향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표시될 필요가 있다. 바꿔 말하면, 정지화상은 미리 정해진 순서에 따라서 프레임데이터가 표시된다고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 점에서 영상과 정지화상은 현저하게 다르다.
그러나, 종래 영상 플레이어는 상술한 토글처리를 실행하기 위해, 일정시간 간격으로 표시데이터 저장부(1605)의 저장영역의 어딘가에 표시데이터가 덧쓰여져 간다. 그 때문에, 종래 영상 플레이어가 정지화상을 플레이하는 경우, 시청자측에 의해 필요한 표시데이터가 후속의 표시데이터로서 불필요한 표시데이터에 의해 덧쓰여져 버려 시청자측이 필요로 하는 표시데이터를 계속해서 표시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예를 들어, 10개의 정지화상이 연속적으로 입력된다고 가정하자. 제 1∼제 10 정지화상은 제 1∼제 10 프레임데이터로 구성된다. 종래의 영상 플레이어는 제 1 프레임데이터를 플레이한 후에 제 10 프레임데이터를 플레이하도록 하면, 그 사이에 입력된 프레임데이터를 블랙 아웃시키지 않으면 안된다. 이 블랙 아웃은 정보 품질의 관점에서 바람직하지 않기 때문에, 시청자측에서 필요로 하는 표시데이터(예컨데 시청자측의 취향에 따라 선택된 정지화상 등)를 계속해서 표시하는 것은 중요하다.
그런 까닭에, 본 발명에 목적은 영상 플레이어의 기능을 확장하고 또한 동시에 입력된 정자화 정보 중, 필요한 정지화상(예컨데, 시청자측의 취향에 따라서 선택된 정지화상 등)을 블랙 아웃하지 않고 표시하는 정지화상 플레이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정지화상 플레이어에 입력하는 정지화상을 구성하는 프레임데이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정지화상 플레이어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3은 도 2에 도시한 표시프레임 조건설정부(111)에 의해 설정되는 조건정보로서 PTS를 이용한 경우의 표시프레임 조건저장부(112)의 저장영역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한 정지화상 플레이어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5는 도 2에 도시한 헤더정보 저장부(1608)가 유지하는 제 1 리스트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도 4에 도시한 디코드 처리부(1603)가 실행하는 처리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우챠트,
도 7은 도 4에 도시한 표시제어부(1606) 및 표시부(1607)로 이루어지는 정지화상의 표시부분의 처리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우챠트,
도 8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관한 정지화상 플레이어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9는 도 8에 도시한 표시데이터 관리부(1604) 및 표시데이터 저장부(1605)로 이루어지는 디코드데이터의 저장처리부분의 처리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우챠트,
도 10은 도 8에 도시한 표시제어부(1606) 및 표시부(1607)로 이루어지는 정지화상의 표시부분의 처리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우챠트,
도 11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에 관한 정지화상 플레이어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12는 도 11에 도시한 표시데이터 처리부(1604) 및 표시데이터 저장부(1605)로 이루어지는 표시데이터의 저장처리부분의 처리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우챠트,
도 13은 도 8에 도시한 표시제어부(1606) 및 표시부(1607)로 이루어지는 정지화상의 표시부분의 처리순서를 플로우챠트,
도 14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형태에 관한 정지화상 플레이어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15는 도 14에 도시한 표시제어부(1606), 표시메모리부(1401) 및 표시부(1607)로 이루어지는 정지화상의 표시부분의 처리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우챠트,
도 16은 본 발명의 제 6에서 제 8의 실시형태에 관한 정지화상 플레이어에 입력하는 정지화상에 관한 프레임데이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17은 제 6 실시형태에 관한 정지화상 플레이어가 구비하는 표시데이터 관리부(1604) 및 표시데이터 저장부(1605)로 이루어지는 표시데이터의 저장 처리부분의 처리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우챠트,
도 18은 제 6 내지 제 8 실시형태에 관한 정지화상 플레이어가 구비하는 표시데이터 저장부(1605)의 보다 상세한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19는 제 6 실시형태에 관한 정지화상 플레이어가 구비하는 표시제어부(1606) 및 표시부(1607)로 이루어지는 정지화상의 표시부분의 처리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우챠트,
도 20은 제 7 실시형태에 관한 정지화상 플레이어가 구비하는 표시데이터 관리부(1604) 및 표시데이터 저장부(1605)로 이루어지는 표시데이터의 저장처리부분의 처리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우챠트,
도 21은 제 7 실시형태에 관한 정지화상 플레이어가 구비하는 표시제어부(1606) 및 표시부(1607)로 이루어지는 정지화상의 표시부분의 처리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우챠트,
도 22는 종래의 영상 플레이어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23은 도 22에 도시한 영상 플레이어에 입력하는 영상을 구성하는 프레임데이터의 포맷을 나타내는 도면,
도 24는 도 22에 도시한 영상 플레이어에 순차적으로 입력하는 영상을 구성하는 프레임데이터 I0, P3, …를 나타내는 도면,
도 25는 도 22에 도시한 프레임데이터 수신부(1601), 프레임데이터 저장부(1602) 및 헤더정보 저장부(1608)로 이루어지는 프레임데이터의 수신부분의 처리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우챠트,
도 26은 도 22에 도시한 헤더정보 저장부(1608)가 내부에 유지하는 제 1 리스트를 나타내는 도면,
도 27은 도 22에 도시한 타이밍 제어부(1609)의 처리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우챠트,
도 28은 도 22에 도시한 시각정보 저장부(1611)가 내부에 유지하는 제 2 리스트를 나타내는 도면,
도 29는 도 22에 도시한 디코드처리부(1603)의 처리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우챠트,
도 30은 도 22에 도시한 표시데이터 관리부(1604) 및 표시데이터 저장부(1605)로 이루지는 표시데이터의 저장처리부분의 처리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우챠트,
도 31은 도 22에 도시한 표시데이터 저장부(1605)의 보다 상세한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및
도 32는 도 22에 도시한 표시제어부(1606) 및 표시부(1607)로 이루어지는 영상의 표시부분의 처리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우챠트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1: 조건설정부 112: 조건저장부
1401: 표시메모리부 1601: 프레임데이터 수신부
1602: 프레임데이터 저장부 1603: 디코드처리부
1604: 표시데이터 관리부 1605: 표시데이터 저장부
1606: 표시제어부 1607: 표시부
1608: 헤더정보 저장부 1609: 타이밍 제어부
1610: 타이머부 1611: 시각정보 저장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이하 제 1∼제 27 국면에 기재된 특징을 갖고 있다.
제 1 국면은, 영상 플레이어의 영상 플레이기능을 확장하여 상기 영상 플레이어에 정지화상 플레이기능을 갖게 하기 위한 정지화상 플레이어에 있어서,
플레이해야 하는 프레임의 정지화상을 특정하기 위한 조건을 저장하는 조건저장부,
입력된 정지화상이 상기 조건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조건에 합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조건에 합치하는 정지화상만을 선택하는 프레임선택부,
프레임선택부가 선택한 정지화상을 디코드하는 디코드처리부,
디코드처리부에 의해 디코드된 정지화상인 표시데이터를 복수장분량 저장하기 위해서 복수의 영역을 갖는 표시데이터 저장부,
토글처리를 실행함으로써, 상기 복수의 영역 내, 사용 가능한 영역에 상기 표시데이터를 입력하고, 상기 사용 가능한 영역 이외의 다른 영역에서 플레이해야 하는 표시데이터를 계속해서 판독하는 토글처리부 및
토글처리부에 의해 판독된 표시데이터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구비한다.
상술의 제 1 국면에서는 토글처리부는 복수의 영역 내, 사용가능한 영역에 표시데이터를 입력하고, 상기 사용가능한 영역 이외의 다른 영역에서 표시데이터를 판독한다. 그러나, 표시데이터 저장부의 각 영역에는 플레이해야 하는 표시데이터만이 저장되고, 토글처리부는 다음에 플레이해야 하는 표시데이터의 입력이 종료하기 까지는 이미 데이터가 입력되어 있는 저장영역에 계속해서 액세스하게 된다. 그 때문에, 상술의 토글처리를 실행하여도 정지화상의 표시전환은 블랙 아웃하지 않고 원활하게 실시된다. 따라서 정지화상 플레이어는 입력된 정지화상 중 조건에 합치하는 필요한 정지화상을 블랙 아웃하지 않고 계속해서 표시할 수 있다.
제 2 국면은 제 1 국면에 종속하고 있고, 정지화상은 소정의 인코드방식에 따른 헤더정보를 포함하고 있고,
정지화상을 특정하기 위한 조건은 상기 헤더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3 국면은 제 1 국면에 종속되어 있고, 정지화상은 각층에 특유의 헤더정보를 갖는 계층적인 구조를 포함하고 있고,
정지화상을 특정하기 위한 조건은 상기 헤더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2 또는 제 3 국면에서는 정지화상의 포맷을 이용하여 조건정보가 작성되기 때문에, 상기 조건정보를 정지화상에 별도 추가할 필요가 없어진다.
제 4국면은 영상 플레이어의 영상 플레이기능을 확장하여, 상기 영상 플레이어에 정지화상 플레이기능을 갖게 하기 위한 정지화상 플레이어에 있어서,
플레이해야 하는 프레임의 정지화상을 특정하기 위한 조건을 저장하는 조건저장부,
입력된 정지화상이 조건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조건에 합치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조건에 합치하는 정지화상만을 디코드하는 디코드처리부,
디코드처리부에 의해 디코드된 정지화상인 표시데이터를 복수장분량 저장하기 위해서 복수의 영역을 갖는 표시데이터 저장부,
토글처리를 실행함으로써, 상기 복수의 영역 내, 사용가능한 영역에 상기 표시데이터를 입력하고, 상기 사용가능한 영역 이외의 다른 영역에서 플레이해야 하는 표시데이터를 계속해서 판독하는 토글처리부 및
상기 토글처리부에 의해 판독된 표시데이터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구비한다.
상술의 제 4 국면은 또 제 1 국면과 동일하게 표시데이터 저장부의 각 영역에는 플레이해야 하는 표시데이터만이 저장되고, 토글처리부는 다음에 플레이해야 하는 표시데이터의 입력이 종료하기 까지는 이미 표시데이터가 입력되어 있는 저장영역에 계속해서 액세스하게 된다. 그 때문에, 상술의 토글처리를 실행하여도 정지화상의 표시전환은 블랙 아웃하지 않고 원활하게 실시된다. 이에 의해 입력된 정지화상 중, 조건에 합치하는 것을 필요한 정지화상로서 블랙 아웃하지 않고 계속해서 표시할 수 있다.
제 5 국면은 제 4 국면에 종속되어 있고, 정지화상은 소정의 인코드방식에 따른 헤더정보를 포함하고 있으며,
정지화상을 특정하기 위한 조건은 상기 헤더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6 국면은 제 4 국면에 종속되어 있고, 정지화상은 각층에 특유의 헤더정보를 갖는 계충적인 구조를 포함하고 있으며,
정지화상을 특정하기 위한 조건은 상기 헤더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5 또는 제 6 국면에서는 정지화상의 포맷을 이용하여 조건정보가 작성되기 때문에 상기 조건정보를 정지화상에 별도 추가할 필요가 없어진다.
제 7 국면은 영상 플레이어의 영상 플레이기능을 확장하여 상기 영상 플레이어에 정지화상 플레이기능을 갖게 하기 위한 정지화상 플레이어에 있어서,
플레이해야 하는 프레임의 정지화상을 특정하기 위한 조건을 저장하는 조건저장부,
입력된 정지화상을 디코드하는 디코드처리부,
디코드처리부에 의해 디코드된 정지화상인 표시데이터를 2장분 저장하기 위해 2개의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데이터 저장부,
2개의 영역의 어느 한쪽을 상기 표시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제 1 영역으로서 분배하고, 다른쪽을 이미 입력되어 있는 표시데이터를 판독하기 위한 제 2 영역으로서 분배하여, 상기 제 1 영역으로 입력된 표시데이터가 상기 조건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조건에 합치하는 경우는 2개의 영역에 대한 제 1 및 제 2 영역의 분배를 변경하고, 합치하지 않는 경우는 제 2 영역에서의 판독을 계속 실행하는 토글처리부 및
토글처리부에 의해 판독된 표시데이터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구비한다.
상술의 제 7 국면에서, 토글처리부는 제 1 영역으로 입력된 표시데이터가 조건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조건에 합치하는 경우는 2개의 영역에 대한 제 1 및 제 2 영역의 분배를 변경하고, 합치하지 않는 경우는 제 2 영역에서의 판독을 계속 실행한다. 따라서, 토글처리부는 다음에 플레이해야 하는 표시데이터의 입력이 종료하기 까지 이미 표시데이터가 입력되어 있는 영역을 제 2 영역으로서 계속해서 분배하기 때문에, 상기 제 2 영역에서 표시해야 하는 표시데이터를 계속해서 판독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상술의 토글처리가 실행되어도 정지화상의 표시전환은 블랙 아웃하지 않고 원활하게 실행된다. 이에 의해 입력된 정지화상 중, 조건에 합치하는 것을 필요한 정지화상으로서 블랙 아웃하지 않고 계속해서 표시할 수 있다.
제 8 국면은 제 7 국면에 종속되어 있고, 2개의 영역은 제 1 또는 제 2 영역으로서 분배된 것을 나타내는 제 1 또는 제 2 플래그정보를 저장하는 플래그정보 저장영역을 또한 갖고,
토글처리부는 제 1 및 제 2 플래그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영역의 분배와 상기 제 1 및 제 2 영역의 분배 변경을 실행한다.
제 9 국면은 제 7 국면에 종속되어 있고, 토글처리부는 2개의 영역이 제 1 또는 제 2 영역으로서 분배된 것을 나타내는 제 1 또는 제 2 영역관리정보를 관리하는 영역관리정보 저장부를 또한 포함하고,
토글처리부는 상기 영역관리정보 저장부를 참조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영역의 분배와 제 1 및 제 2 영역의 분배 변경을 실행한다.
제 8 또는 제 9 국면에 의하면, 토글처리부는 자신이 분배된 제 1 및 제 2 영역을 나타내기 위한 정보를 관리할 수 있기 때문에, 표시데이터의 입력이나 판독을 정확하게 실시할 수 있다.
제 10∼제 12 국면은 제 7∼제 9 국면에 종속되어 있고, 정지화상은 소정의 인코드방식에 따른 헤더정보를 포함하고 있으며,
정지화상을 특정하기 위한 조건은 헤더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13∼제 15 국면은 제 7∼제 9 국면에 종속되어 있고, 정지화상은 각층에 특유의 헤더정보를 갖는 계충적인 구조를 포함하고 있으며,
정지화상을 특정하기 위한 조건은 헤더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10∼제 12 국면 또는 제 13∼제 15 국면에서는 정지화상의 포맷을 이용하여 조건정보가 작성되기 때문에, 상기 조건정보를 정지화상에 별도 추가할 필요가 없어진다.
제 16 국면은 영상 플레이어의 영상 플레이기능을 확장하고, 상기 영상 플레이어에 정지화상 플레이기능을 갖게 하기 위한 정지화상 플레이어에 있어서,
플레이해야 하는 프레임의 정지화상을 특정하기 위한 조건을 저장하는 조건저장부,
입력된 정지화상을 디코드하는 디코드처리부,
디코드처리부에 의해 디코드된 정지화상인 표시데이터를 2장분량 저장하기 위해서 2개의 영역을 갖는 표시데이터 저장부,
2개의 영역의 어느 한쪽을 표시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제 1 영역으로서 분배하고,
다른쪽을 이미 입력되어 있는 표시데이터를 판독하기 위한 제 2 영역으로서 분배하며, 상기 제 1 영역으로 입력된 표시데이터가 조건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조건에 합치하는 경우, 상기 제 1 영역에서의 판독 후에 2개의 영역에 대한 제 1 및 제 2 영역의 분배를 변경하고, 합치하지 않는 경우는 제 1 영역에 새로운 표시데이터가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글처리부,
토글처리부에 의해 판독된 표시데이터를 저장하는 표시메모리부 및
표시메모리부에서 표시데이터를 판독하고 표시하는 표시부를 구비한다.
상술의 제 16 국면에서는 토글처리부는 복수의 영역 내, 사용가능한 영역에 표시데이터를 입력, 상기 사용가능한 영역 이외의 다른 영역에서 플레이해야 하는 표시데이터만을 조건저장부의 조건에 기초하여 선택하여 판독한다. 이 판독된 표시데이터는 표시메모리부에 저장되고, 표시부는 여기에서 표시데이터를 판독하여 표시한다. 그 때문에, 토글처리부의 처리에 관계없이, 플레이된 표시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상기 토글처리를 실행하여도 정지화상의 표시 전환은 블랙 아웃하지 않고, 원활하게 실시된다. 이에 의해 입력된 정지화상 중, 조건에 합치하는 것을 필요한 정지화상으로서 블랙 아웃하지 않고 계속해서 표시할 수 있다.
제 17 국면은 제 16 국면에 종속되어 있고, 정지화상은 소정의 인코드방식에 따른 헤더정보를 포함하고 있으며,
정지화상을 특정하기 위한 조건은 상기 헤더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18 국면은, 제 16 국면에 종속되어 있고, 정지화상은 각층에 특유의 헤더정보를 갖는 계층적인 구조를 포함하고 있으며,
정지화상을 특정하기 위한 조건은 상기 헤더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17 또는 제 18 국면에서는 정지화상의 포맷을 이용하여 조건정보가 작성되기 때문에, 상기 조건정보를 정지화상에 별도 추가할 필요가 없어진다.
제 19 국면은 영상 플레이어의 영상 플레이기능을 확장하고, 상기 영상 플레이어에 정지화상 플레이기능을 갖게 하기 위한 정지화상 플레이어에 있어서,
플레이해야 하는 프레임의 정지화상을 특정하기 위한 조건을 저장하는 조건저장부,
입력된 정지화상을 디코드하는 디코드처리부,
정지화상의 장수만큼 저장할 수 있는 갯수의 영역을 포함하고 있으며, 디코드처리부에 의해 디코드된 정지화상인 표시데이터를 상기 영역에 저장하는 표시데이터 저장부,
갯수의 영역 내, 어느 것을 상기 표시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제 1 영역으로서 분배하고, 상기 제 1 영역이외의 어느 것을 이미 입력되어 있는 표시데이터를 판독하기 위한 제 2 영역으로서 분배하여, 상기 제 1 영역으로 입력된 표시데이터가 조건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조건에 합치하는 경우는 제 1 및 제 2 영역에 대한 분배를 변경하고, 합치하지 않는 경우는 제 2 영역에서의 판독을 계속하는 토글처리부 및
토글처리부에 의해 판독된 표시데이터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구비한다.
상술의 제 19 국면에서, 토글처리부는 제 1 영역으로 입력된 표시데이터가 조건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조건에 합치하는 경우에 표시데이터 저장부가 포함하는 영역에 대한 제 1 및 제 2 영역의 분배를 변경하고, 합치하지 않는 경우에 제 2 영역에서의 판독을 계속한다. 따라서, 토글처리부는 다음에 플레이해야 하는 표시데이터의 입력이 종료하기 까지, 이미 표시데이터가 입력되어 있는 영역을 제 2 영역으로 계속해서 분배하기 때문에, 상기 제 2 영역에서 표시해야 하는 표시데이터를 계속해서 판독하게 된다. 그 때문에 상기 토글처리가 실행되어도 정지화상의 표시 전환은 블랙 아웃하지 않고 원활하게 실시된다. 이에 의해 입력된 정지화상 중, 조건에 합치하는 것을 필요한 정지화상로서 블랙 아웃하지 않고 계속해서 표시할 수 있다.
제 20 국면은 제 19 국면에 종속되어 있고, 갯수의 영역은 제 1 또는 제 2 영역으로서 분배된 것을 나타내는 제 1 또는 제 2 플러그정보를 저장하는 플래그정보 저장영역을 또한 갖고,
토글처리부는 상기 제 1 및 제 2 플러그정보를 이용하여 제 1 및 제 2 영역의 분배와, 제 1 및 제 2 영역의 분배의 변경을 실행한다.
제 21 국면은 제 19 국면에 종속되어 있고, 토글처리부는 갯수의 영역이 상기 제 1 또는 제 2 영역으로서 분배된 것을 나타내는 제 1 또는 제 2 영역관리정보를 관리하는 영역관리정보 저장부를 또한 포함하고,
토글처리부는 영역관리정보 저장부를 참조하여 제 1 및 제 2 영역의 분배와 상기 제 1 및 제 2 영역의 분배의 변경을 실행한다.
제 20 또는 제 21 국면에 의하면 토글처리부는 자신이 분배된 제 1 및 제 2 영역을 나타내기 위한 정보를 관리할 수 있기 때문에 표시데이터의 입력이나 판독을 정확하게 실시할 수 있다.
제 22∼제 24 국면은 제 19∼제 21 국면에 종속되어 있고, 정지화상은 소정의 인코드방식에 따른 헤더정보를 포함하고 있고,
정지화상을 특정하기 위한 조건은 헤더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25∼제 27 국면은 제 19∼제 21 국면에 종속되어 있고, 정지화상은 각층에 특유 헤더정보는 갖는 계층적인 구조를 포함하고 있고,
정지화상을 특정하기 위한 조건은 헤더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22∼제 24 국면 또는 제 25∼제 27 국면에서는 정지화상의 포맷을 이용하여 조건정보가 작성되기 때문에, 상기 조건정보를 정지화상에 별도 추가할 필요가 없어진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 및 다른 목적, 기능, 국면 및 이점들은 첨부한 도면과 관련될 때, 다음의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보다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정지화상 플레이어에 대해서 설명하지만, 그에 앞서, 도 1을 참조하여 프레임데이터 I0, I1, I2, I3, …으로 구성되는 정지화상을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각 프레임데이터의 포맷은 도 23과 동일하게 ISO/IEC13818-1 및 2의 규격, 즉 MPEG2의 Part1 및 Part2의 규격에 기초한다고 가정한다. 그 포맷의 상세한 것에 대해서는 종래기술 란에서 이미 설명하였으므로, 여기에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 24와 동일하게 도시한 각 프레임데이터 내의 좌측에 나타내고 있는 알파벳은 픽쳐코딩타입을 나타내고, 그 우측에 나타내고 있는 숫자는 템퍼럴 레퍼런스를 나타낸다. 또, 도시한 각 프레임데이터의 바로 아래 숫자는 각각, 그 DTS 및 PTS를 나타낸다. 따라서, 예를 들면 프레임데이터 I0는 템퍼럴 레퍼런스「0」과 픽쳐코딩타입「I」와 DTS「0X10000」과 PTS「0X18000」을 포함하게 된다.
또, 전형적인 정지화상은 그것을 구성하는 프레임데이터 I0가 메뉴로 되어 있고, 시청자측이 상기 메뉴상에서 다음에 표시시키고 싶은 정지화상(예를 들면, 프레임데이터 I2)을 선택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시청자는 취향에 따른 정지화상을 필요한 정지화상으로서 선택적으로 시청할 수 있다. 또한, 정지화상은 시청자가 각 프레임데이터를 한 번 잡았다가 잃어버려도 다시 잡을 수 있도록, 주기적으로 반송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전형적인 정지화상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본 정지화상 플레이어는 이하에 설명하는 동작을 실시함으로써, 정지화상이 어떠한 형식에서 입력되었다 하여도, 필요한 정지화상만을 블랙 아웃하지 않고 플레이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각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정지화상 플레이어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의 정지화상 플레이어는 도 22의 영상 플레이어와 비교하여, 표시프레임 조건설정부(111), 표시프레임 조건저장부(112) 및 표시프레임 선택부(113)을 또한 구비하는 점과, 표시데이터 관리부(1604) 및 표시제어부(1606)가 토글처리부(114)(한점 쇄선내 참조)를 구성하는 점에서 다르다. 이 이외에 다른 점은 없기 때문에, 도 2에 있어서 도 22에 상당하는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간소화한다. 이하, 도 2에 도시한 정지화상 플레이어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정지화상 플레이어에는 도 1을 참조하여 상술한 프레임데이터 I0, I1, …이 입력된다. 여기에서 이하의 설명의 명료화를 위해서, 본 정지화상 플레이어는 메뉴로서의 프레임데이터 I0를 표시하고 있다고 가정하고, 이 메뉴상에서 시청자는 다음에 표시시키는 정지화상(예를 들면 프레임데이터 I2)을 선택하여 지정한다고 가정한다. 이러한 경우, 본 정지화상 플레이어는 프레임데이터 I0를 플레이한 후, 프레임데이터 I1를 스킵하고 프레임데이터 I2를 블랙 아웃하지 않고 플레이한다.
우선, 표시프레임 조건설정부(111)는 본 정지화상 플레이어가 플레이해야 하는 프레임데이터를 특정하기 위해서 조건을 설정하지만,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술의 시청자의 지정에 따라서, 플레이해야 하는 프레임데이터(예를 들면, I2)를 특정하기 위한 조건에 관한 데이터(이하, 「조건정보」라 함)를 생성하고 후단의 표시프레임 조건저장부(112)로 출력한다. 표시프레임 조건저장부(112)는 내부의 저장영역에 입력된 조건정보를 저장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조건정보로서 PTS를 이용한 경우를 설명한다. 이러한 경우, 표시프레임 조건저장부(112)의 저장영역에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임데이터 I2의 PTS「0X24000」(및 프레임데이터 I3의 PTS「0X27000」)이 저장된다.
이 후, 표시프레임 선택부(113)는 정지화상의 프레임데이터가 입력되면, 입력프레임데이터 내의 PTS만을 추출하여 유지한 후, 표시프레임 조건저장부(112)에 액세스하고, 그 저장영역에서 조건정보로서의 PTS를 모두 판독하고, 유지한다. 그 후, 표시프레임 선택부(113)는 조건정보로서의 PTS 속에 입력프레임데이터인 PTS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조건에 합치한다고 판단된 입력프레임데이터는 플레이해야하는 것으로서, 후단의 프레임데이터 수신부(1601)로 출력되고, 종래기술 란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처리되고, 최종적으로 표시부(1607)에 의해 표시된다. 한편, 조건에 합치하지 않는다고 판단된 프레임데이터는 후단의 프레임데이터 수신부(1601)로 출력되지 않고 그대로 폐기된다.
이제, 표시프레임 조건저장부(112)가 도 3에 도시한 PTS를 유지하고 있고, 표시프레임 선택부(113)에는 도 1에 도시한 프레임데이터 I1, I2, …이 차례로 입력된다고 가정한다. 이 경우, 프레임데이터 I1의 PTS는 「0X21000」이고, 표시프레임 조건저장부(112)에는 PTS「0X21000」가 저장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표시프레임 선택부(113)는 프레임데이터 I2가 입력된 경우에는 그 PTS가 「0X24000」이기 때문에, 상기 프레임데이터 I2를 프레임데이터 수신부(1601)로 출력한다. 이에 의해 프레임데이터 I2는 최종적으로 표시부(1607)에 의해 표시된다.
이 때, 토글처리부(114)를 구성하는 표시데이터 관리부(1604)와 표시제어부(1606)와는 헤더정보 저장부(1608)를 통해서 제휴하고, 표시데이터 저장부(1605)에 대하여 토글처리를 실행하고, 표시데이터 관리부(1604)는 디코드된 프레임데이터를 사용가능한 저장영역 IP(예를 들면, IP[0])에 입력되어 간다. 이 입력 한창중에 표시제어부(1606)는 PTS에 따라서 입력이 종료하고 있는 저장영역 IP(예를 들면, IP[1])에서 표시데이터를 판독해 간다. 이 점은 종래 영상 플레이어와 동일하다. 그러나, 프레임데이터 수신부(1601)는 플레이해야 하는 프레임데이터만을 프레임데이터 저장부(1602)에 입력하고, 표시데이터 관리부(1604)는 플레이해야 하는 표시데이터만을 표시데이터 저장부(1605)의 어느 저장영역에 입력하기 때문에, 표시제어부(1606)는 다음에 플레이해야 하는 표시데이터의 PTS에 현재의 시각이 도달하기 까지는 그 외의 영역영역으로서 이미 표시데이터가 입력되어 있는 저장영역에 일정 시간간격에서 계속해서 액세스하고, 이 액세스에 의해 판독되는 표시데이터를 표시부(1607)는 표시한다. 상술의 구체예에 따르면, 프레임데이터 I0는 저장영역 IP[0]에 입력되는 프레임데이터 I2의 PTS에 현재의 시각이 도달하기 까지는 저장영역 IP[1]에서 계속해서 판독된다. 그 때문에, 상술의 토글처리를 실행하여도 정지화상의 표시 전환은 블랙 아웃하지 않고 원활하게 실시된다. 이에 의해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정지화상 플레이어는 입력된 정지화상 중, 설정된 조건에 맞는 정지화상, 즉 필요한 정지화상(예를 들면 시청자가 지정한 정지화상)만을 블랙 아웃하지 않고서 계속해서 표시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한 정지화상 플레이어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4의 정지화상 플레이어는 도 22의 영상 플레이어와 비교하여 표시프레임 조건설정부(111) 및 표시프레임 조건저장부(112)를 또한 구비하는 점과, 표시데이터 관리부(1604) 및 표시제어부(1606)가 토글처리부(114)(한점 쇄선내 참조)를 구성하는 점에서 다르다. 이 이외는 다른 점은 없기 때문에, 도 4에 있어서, 도 22에 도시한 것에 상당하는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참조부호를 붙인다. 단, 도 4에 도시한 디코드처리부(1603)와 표시제어부(1606)가 실행하는 처리는, 도 22에 있어서 상당하는 구성과 상위하다. 그 때문에, 이하에는 도 22에 도시한 영상 플레이어와의 상이점을 중심으로, 도 4에 도시한 정지화상 플레이어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정지화상 플레이어에도 도 1에 도시한 프레임데이터 I0, I1, …가 차례로 입력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도 설명의 명료화를 위해 현재 본 정지화상 플레이어는 프레임데이터 I0에 기초한 메뉴를 표시하고 있다고 가정한다.
표시프레임 조건설정부(111) 및 표시프레임 조건저장부(112)는 도 2에 있어서 상당하는 구성과 동일한 처리순서를 실행하기 때문에, 그 설명을 간소화한다. 즉 표시프레임 조건설정부(111)는 시청자측의 지정에 응답하고 조건정보로서의 PTS를 표시프레임 조건저장부(112)로 출력하고, 표시프레임 조건저장부(112)의 저장영역에는 입력된 조건정보로서의 PTS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저장된다.
이 후, 프레임데이터 수신부(1601)가 프레임데이터를 수신하면, 상기 프레임데이터 수신부(1601), 프레임데이터 저장부(1602) 및 헤더정보 저장부(1608)로 이루어지는 프레임데이터의 수신부분은 도 25의 플로우챠트에 도시한 처리순서를 실행한다. 그 때문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여기에서, 헤더정보 저장부(1608)의 제 1 리스트는 도 26에 도시한 것과 동일한 필드를 갖지만, 본 정지화상 플레이어에는 I픽쳐만이 입력되기 때문에,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된다.
또, 타이밍 제어부(1609)는 도 27의 플로우챠트에 도시한 처리순서를 실행하기 때문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지만, 도착한 프레임데이터가 내부에 포함하는 DTS 또는 PTS에 현재 시각이 도달하면, 스텝(S2105)에서 디코드처리부(1603) 또는 표시제어부(1606)에 시각통지를 출력한다.
다음에 도 6에 도시한 플로우챠트를 참조하여 디코드처리부(1603)의 처리순서를 설명한다. 도 6에 도시한 플로우챠트는 도 29에 도시한 것과 비교하여 스텝(S601∼S604)을 또한 구비하는 점에서 다르다. 그 이외에 다른 점은 없기 때문에, 상당하는 스텝에 대해서는 동일한 스텝번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간소화한다.
디코드처리부(1603)는 도 6의 스텝(S2301, S2302)에서 나타난 처리순서(상기 참조)를 실행하고, 새로운 프레임데이터가 도착한 것이 통지되면, 헤더정보 저장부(1608)(도 5 참조)에 액세스하고, 그 PTS를 제 1 리스트에서 판독하고, 유지한다(도 6;스텝(S601)). 다음에 디코드처리부(1603)는 표시프레임 조건저장부(112)에 액세스하고, 플레이해야 하는 프레임데이터의 조건정보로서의 PTS를 상기 표시프레임 저장부(112)의 저장영역에서 모두 판독하고, 유지한다(스텝(S602)). 이후, 디코드처리부(1603)는 이 조건정보로서의 PTS 속에 도착한 프레임데이터인 PTS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S603)). 디코드처리부(1603)는 조건에 합치한다고 판단한 경우, 스텝S2303→S2304→S2305→S2306→S2307로 나타내는 처리순서(상기 참조)를 실행한다. 그 결과, 그 DTS에 따른 디코드된 프레임데이터와 프레임특정정보가 표시데이터 관리부(1604)로 출력된다.
여기에서 프레임데이터 I2가 새롭게 도착하였다고 가정하면, 디코드처리부(1603)는 PTS「0X24000」를 제 1 리스트에서 판독한다. 이 PTS「0X24000」는 도 3에 도시한 조건정보로서의 PTS에 합치하기 때문에, 프레임데이터 I2는 디코드된 후에 그 프레임 특정정보와 함께 표시데이터 관리부(1604)로 출력된다.
그런데, 디코드처리부(1603)는 스텝(S603)에서 조건정보에 합치하지 않는다고 판단하는 경우, 유지중인 PTS를 출력하고, 플레이할 수 없는 프레임데이터를 삭제하도록 프레임데이터 저장부(1602)에 요구한다(스텝(S604)). 프레임데이터 저장부(1602)는 이 요구에 응답하고, 동시에 입력되는 PTS에 기초하여 내부에 저장되어 있는 프레임데이터를 삭제한다.
디코드처리부(1603)는 예를 들면 프레임데이터 I1가 본 정지화상 플레이어에 입력된 경우도 상술의 스텝S2301→S2302→S601→S602→S603의 처리순서를 실행하지만, 그 PTS가 조건정보에 합치하지 않기 때문에, 상기 프레임데이터 I1이 플레이되어서는 안된다고 판단하고, 스텝(S604)의 처리를 실행한다. 그 결과, 프레임데이터 저장부(1602)의 저장영역에서 프레임데이터 I1는 삭제된다.
다음에 표시데이터 저장처리부분인 표시데이터 관리부(1604) 및 표시데이터 저장부(1605)는 도 30의 플로우챠트에 나타난 처리순서를 실행하기 때문에, 그 설명을 생략한다. 단, 도 1에서 알 수 있듯이, 프레임데이터는 I픽쳐만이기 때문에, 저장영역B[0] 및 B[1]는 사용될 필요는 없고, 도 30의 스텝(S2404, S2408 및 S2409)은 실행될 필요는 없다.
다음에 도 7에 도시한 플로우챠트를 참조하여 정지화상의 표시부분인 표시제어부(1606) 및 표시부(1607)의 처리순서를 설명한다. 도 7에 도시한 플로우챠트는 도 32에 도시한 것과 비교하여 스텝(S701∼S703)을 또한 구비하는 점에서 다르다. 그 이외에 다른 점은 없기 때문에, 상당하는 스텝에 대해서는 동일 스텝번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간소화한다.
표시제어부(1606)는 도 7의 스텝(S2601, S2602)으로 나타내는 처리순서(상기 참조)를 실행하고, 새로운 프레임데이터가 도착한 것이 통지되면, 헤더정보 저장부(1608)(도 5 참조)에 액세스하고, 그 PTS를 제 1 리스트에서 판독하고, 유지한다(도 7;스텝(S701)). 다음에 표시제어부(1606)는 표시프레임 조건저장부(112)에 액세스하고, 그 저장영역에서 조건정보로서의 플레이해야 하는 프레임데이터의 PTS를 모두 판독하고, 유지한다(스텝(S702)). 이후, 표시제어부(1606)는 이 조건정보로서의 PTS중에 도착한 프레임데이터인 PTS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S7030)). 표시제어부(1606)가 조건에 합치한다고 판단한 경우, 상기 표시제어부(1606) 또는 표시부(1607)는 스텝S2603→S2604→S2605→S2606→S2607→S2608로 나타내는 처리순서(상기 참조)를 실행한다. 그 결과, 표시제어부(1606)는 그 PTS에 따라서 이번회에 표시하는 표시데이터를 해당하는 저장영역에서 일정시간 간격으로 계속 액세스하고, 이 액세스에 의해 판독되는 표시데이터를 표시부(1607)는 표시한다.
현시점에서 프레임데이터 I2가 새롭게 도착하였다고 가정하면, 그 PTS「0X24000」는 도 3에 도시한 조건정보로서의 PTS에 합치하기 때문에, 프레임데이터 I2는 예를 들면 저장영역 IP[0]에 입력되고, 현재 시각이 그 PTS「0X24000」에 도달하면, 표시제어부(1606)에 의해 판독되고 표시부(1607)에 의해 표시된다.
표시제어부(1606)가 표시데이터를 판독한 후, 헤더정보 저장부(1608)는 제 1 리스트에서 이번회에 표시된 표시데이터에 관하여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헤더정보 및 저장영역을 나타내는 정보)를 삭제한다(스텝(S2609)). 상기의 가정에 따르면, 표시된 표시데이터 I2에 관하여, 「0XE0」, 「0X24000」, 「0X16000」, 「I」, 「2」 및 IP[0](도 5 참조)가 삭제된다.
그런데, 표시제어부(1606)는 스텝(S703)에서 조건정보에 합치하지 않다고 판단하는 경우에 유지중인 PTS를 출력하고, 헤더정보 저장부(608)는 제 1 리스트에서 프레임데이터 저장부(1602)에 의해 폐기된 프레임데이터(플레이되지 않는 프레임데이터)에 관하여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삭제한다(스텝(S2609)).
표시제어부(1606)는 예를 들면 프레임데이터 I1가 본 정지화상 플레이어에 입력된 경우도, 상술의 스텝S2601→S2602→S701→S703의 처리순서를 실행하지만, 그 PTS가 조건정보에 합치하지 않기 때문에, 상기 프레임데이터 I1가 이미 폐기되어 있다고 판단하고, 직접 스텝(S2609)으로 진행하여, 상술의 처리를 실행한다. 그 결과 헤더정보 저장부(1608)는 내부에 유지하는 제 1 리스트에서 프레임데이터 I1에 관하여, 「0XE0」, 「0X21000」, 「0X13000」, 「I」 및 「1」을 삭제한다. 도 5는 또한 이러한 삭제후 제 1 리스트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표시데이터 관리부(1604)와 표시제어부(1606)는 토글처리부(114)를 구성한다. 이 토글처리부(114)는 표시데이터 관리부(1604)와 표시제어부(1606)가 상술한 바와 같은 처리순서를 실행함으로써, 헤더정보 저장부(1608)를 참조하여 표시데이터 저장부(1605)에 대하여 토글처리를 실행하게 된다. 즉, 표시데이터 관리부(1604)는 디코드된 프레임데이터를 사용가능한 저장영역 IP(예를 들면, IP[0])에 입력해 간다. 이 입력이 진행되는 동안에, 표시제어부(1606)는 PTS에 따라서, 입력이 완료된 저장 영역 IP(예를 들면, IP[1])에서 표시데이터를 판독해 간다. 이 점은 종래의 영상 플레이어와 동일하다. 그러나, 디코드처리부(1603)는 플레이해야 하는 프레임데이터만을 디코드하여 출력하고, 표시데이터 관리부(1604)는 플레이해야 하는 표시데이터만을 표시데이터 저장부(1605)의 어느 저장영역에 입력하기 때문에, 표시제어부(1606)는 현재 시각이 다음에 플레이해야 하는 표시데이터인 PTS에 도달하기 까지는, 다른 저장영역으로서 이미 표시데이터가 입력되어 있는 저장영역에 일정시간마다 계속해서 액세스한다. 이 액세스에 의해 판독되는 표시데이터를 표시부(1607)는 표시한다. 상술의 구체예에 따르면, 프레임데이터 I0는 저장영역 IP[0]에 입력되어 가는 프레임데이터 I2의 PTS에 도달하기 까지는 저장영역 IP[1]에서 계속해서 판독된다. 그 때문에, 상술의 토글처리를 실행하여도 정지화상의 표시 전환은 블랙 아웃하지 않고 원활하게 실시된다. 이에 의해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정지화상 플레이어는 입력된 정지화상 중, 설정된 조건에 맞는 정지화상, 즉 필요한 정지화상(예를 들면 시청자가 지정한 정지화상)만을 블랙 아웃하지 않고 계속해서 표시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관한 정지화상 플레이어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8의 정지화상 플레이어는 도 22의 영상 플레이어와 비교하여, 표시프레임 조건설정부(111) 및 표시프레임 조건저장부(112)를 또한 구비하는 점과, 표시데이터 관리부(1604) 및 표시제어부(1606)가 토글처리부(114)(한점쇄선 내 참조)를 구성하는 점에서 다르다. 이 이외에 다른 점은 없기 때문에 도 8에 있어서 도 22에 도시한 것에 상당하는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범호를 붙인다. 단, 도 8에 도시한 표시데이터의 저장처리부분(표시데이터 관리부(1604) 및 표시데이터 저장부(1605))과 정지화상의 표시부분(표시제어부(1606)와 표시부(1607))이 실행하는 처리는 도 22에 있어서 상당하는 구성의 처리와 상위하다. 그 때문에, 이하에는 도 22에 도시한 정지화상 플레이어와의 상이점을 중심으로 도 8에 도시한 정지화상 플레이어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정지화상 플레이어에도 도 1에 도시한 프레임데이터 I0, I1, …가 차례로 입력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도 설명의 명확화를 위해, 현재 본 정지화상 플레이어는 프레임데이터 I0에 기초한 메뉴를 표시하고 있다고 가정한다.
표시프레임 조건설정부(111) 및 표시프레임 조건저장부(112)는 도 2에 있어서 상당하는 구성과 동일한 처리순서를 실행하기 때문에, 그 설명을 간소화한다. 즉 표시프레임 조건설정부(111)는 시청자측의 지정에 응답하고 조건정보로서의 PTS를 표시프레임 조건저장부(112)로 출력하고 표시프레임 조건저장부(112)의 저장영역에는 입력된 조건정보로서의 PTS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저장된다.
이 후, 프레임데이터 수신부(1601)이 프레임데이터를 수신하면, 상기 프레임데이터 수신부(1601), 프레임데이터 저장부(1602) 및 헤더정보 저장부(1608)로 이루어지는 프레임데이터의 수신부분은 도 25의 플로우챠트에 도시한 처리순서를 실행한다. 그 때문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헤더정보 저장부(1608)의 제 1 리스트에는 I픽쳐만의 헤더정보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저장된다.
또, 타이밍제어부(1609)는 도 27의 플로우챠트에 도시한 처리순서를 실행하기 때문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디코드처리부(1603)는 도 29의 플로우챠트에 도시한 처리순서를 실행하기 때문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다음에 도 9에 도시한 플로우챠트를 참조하여 표시데이터의 저장처리부분(표시데이터 관리부(1604) 및 표시데이터 저장부(1605))의 처리순서를 설명한다. 도 9에 도시한 플로우챠트는 도 30에 도시한 것과 비교하여 스텝S2401, S2402, S2403, S2405 및 S2407만을 구비하는 점에서 다르다. 그 이외에 다른 점은 없기 때문에 상당하는 스텝에 대해서는 동일한 스텝번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간소화한다. 이하, 표시데이터의 저장처리부분의 처리순서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초기 설정시 등에 표시데이터 저장부(1605)의 저장영역은 도 3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저장영역 IP[0], IP[1], B[0] 및 B[1]로 분배된다(도 9;스텝(S2401)). 초기설정시점에서는 4개의 플래그정보는 「사용가능」으로 설정된다. 다음에 표시데이터 관리부(1604)는 디코드처리부(1603)에서 표시데이터 및 표시데이터 특정정보가 입력되면(스텝(S2402)), 상기 표시데이터 및 표시데이터 특정정보를 유지한다. 다음에 표시데이터 관리부(1604)는 표시데이터 저장부(1605)의 각 저장영역에서 현재 설정되어 있는 플래그정보를 판독하고, 유지한다(스텝(S2403)). 다음에 표시데이터 관리부(1604)는 모든 저장영역 IP의 내, 사용가능한 1개의 저장영역 IP의 표시데이터 저장영역에 유지중인 표시데이터를 입력한다(스텝(S2405)). 다음에 표시데이터 관리부(1604)는 헤더정보 저장부(1608)에 요구하고, 도 5에 도시한 제 1 리스트에 있어서 해당하는 저장영역 필드에 이번회 표시데이터를 입력한 저장영역을 나타내는 정보를 추가시킨다(스텝(S2407)).
다음에 도 10에 도시한 플로우챠트를 참조하여 정지화상의 표시부분(표시제어부(1606) 및 표시부(1607))의 처리순서를 설명한다. 도 10에 도시한 플로우챠트는 도 7에 도시한 것과 비교하여 스텝(S1001)을 또한 구비하는 점에서 다르다. 그 이외에 다른점은 없기 때문에, 상당하는 스텝에 대해서는 동일한 스텝번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간소화한다.
표시제어부(1606)는 도 10의 스텝S2601→S2602→S701로 나타내지는 처리순서(상기 참조)를 실행하고, 새로운 프레임데이터가 도착한 것이 통지되면, 그 PTS를 헤더정보 저장부(1608)의 제 1 리스트(도 5 참조)에서 판독하고, 유지한다(도 10;스탭(S701)). 다음에 표시제어부(1606)는 표시프레임 조건저장부(112)의 저장영역에서 조건정보(플레이해야 하는 프레임데이터인 PTS)를 모두 판독하고, 유지한다(스텝(S702)). 이후, 표시제어부(1606)는 이 조건정보로서의 PTS속에 도착한 프레임데이터인 PTS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S703)). 표시제어부(1606)가 조건에 합치한다고 판단한 경우, 상기 표시제어부(1606) 또는 표시부(1607)는 스텝S2603→S2604→S2605→S2606→S2607로 나타내는 처리순서(상기 참조)를 실행한다. 그 결과, 표시제어부(1606)는 그 PTS에 따라서 이번회 표시하는 표시데이터를 해당하는 저장영역에서 판독하고, 표시부(1607)로 출력한다.
여기에서 도착한 프레임데이터가 I2인 경우, 표시제어부(1606)는 PTS「0X24000」을 제 1 리스트에서 판독한다. 이 PTS「0X24000」은 도 3에 도시한 조건정보로서의 PTS에 합치하기 때문에, 프레임데이터 I2는 입력되어 있던 저장영역 IP[0]에서 판독되고 출력된다.
다음에, 표시제어부(1606)는 이번회 표시된 표시데이터를 판독한 저장영역 IP의 플래그정보 저장영역의 플래그정보를 「입력완료」로 변경하고, 이번회의 판독 이전에 「입력완료」로 설정되어 있던 저장영역 IP의 플래그정보를 「사용가능」으로 변경한다(스텝(S1001)).
또, 표시부(1607)는 상술과 동일하게 표시제어부(1606)에 의해 판독된 표시데이터를 표시한다(스텝(S2608)).
표시제어부(1606)가 표시데이터를 판독한 후, 헤더정보 저장부(1608)는 제 1 리스트에서 이번회 표시된 표시데이터에 관하여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헤더정보 및 저장영역을 나타내는 정보)를 삭제한다(스텝(S2609)). 상술의 경우, 표시데이터 I2가 표시되고 그리고 상기 표시데이터 I2에 관하여, 「0XE0」, 「0X24000」, 「0X16000」, 「I」, 「2」 및 IP[0](도 5 참조)가 제 1 리스트에서 삭제된다.
그런데, 표시제어부(1606)는 제 2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스텝(S703)에서 조건정보에 합치하지 않다고 판단하는 경우, 유지중인 PTS를 출력하고, 헤더정보 저장부(1608)는 제 1 리스트에서 표시하지 말아야 하는 프레임데이터에 관하여 저장되어 있는 정보를 삭제한다(스텝(S2609)).
이렇게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디코드처리부(1603)는 도착한 모든 프레임데이터를 디코드한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표시데이터 관리부(1604)와 표시제어부(1606)는 토글처리부(114)를 구성하고, 상기 토글처리부(114)는 헤더정보 저장부(1608)를 참조하여 표시데이터 저장부(1605)에 대하여 토글처리를 실행한다. 이 토글처리부(114)의 일부를 구성하는 표시데이터 관리부(1604)는 디코드된 프레임데이터를 사용 가능한 제 2 영역으로서 분배되어 있는 저장영역(예를 들면 IP[0])으로 입력한다. 이 입력이 진행되는 동안에 토글처리부(114)의 다른 일부를 구성하는 표시제어부(1606)는 PTS에 따라서 이미 입력되어 있는 표시데이터를 판독하기 위해서, 제 1 영역으로서 분배되어 있는 저장영역(예를 들면, IP[1])에서 표시데이터를 판독해간다. 이 점은 종래의 영상 플레이어와 동일하다. 그러나 상위한 것은 표시제어부(1606)이 표시데이터가 조건정보에 합치하는 경우에는 플래그정보를 「입력완료」로 설정함으로써 상기 표시해야 하는 표시데이터의 저장영역 IP[1]을 제 1 영역으로 분배하는 점이다. 이에 의해 표시제어부(1606)는 제 2 영역으로서의 저장영역 IP[0]에 입력된 표시데이터가 조건정보에 합치하지 않는 경우, 현재 제 1 영역으로서 분배되어 있는 저장영역 IP[1]에 일정시간마다 계속 액세스하고, 이 액세스에 의해 판독되는 표시데이터를 표시부(1607)는 표시한다. 이에 의해 표시제어부(1606)는 다음에 플레이해야 하는 표시데이터인 PTS에 현재 시각이 도달하기 까지는 그 외의 저장영역으로서 조건에 합치하는 표시데이터가 이미 입력되어 있는 저장영역에 일정시간간격으로 계속 액세스하고, 표시부(1607)는 이 액세스에 의해 판독되는 표시데이터(예를 들면 I2)를 표시한다. 그 때문에, 상술의 토글처리를 실행하여도 정지화상의 표시전환은 블랙 아웃하지 않고 원활하게 실시된다. 이에 의해 제 3 실시형태에 관한 정지화상 플레이어는 입력된 정지화상 중, 설정된 조건에 맞는 정지화상 즉, 필요한 정지화상(예를 들면 시청자가 지정한 정지화상)만을 블랙 아웃하지 않고 계속해서 표시할 수 있다.
그런데, 스텝(S703)에서 프레임데이터의 PTS가 조건정보에 합치하지 않는 경우, 스텝(S1001)의 플래그정보의 변경은 실행되지 않기 때문에, 해당하는 저장영역 IP은 연속하여 사용가능한 것으로서 분배되게 된다. 그 때문에, 표시데이터 관리부(1604)는 연속하여 동일한 저장영역 IP에 프레임데이터를 입력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조건정보에 합치하는 표시데이터(예를 들면 I0)가 저장영역 IP[1]에 입력되어 있는 경우에 있어서, 조건정보에 합치하지 않는 표시데이터 I1는 저장영역 IP[0]에 입력된다. 그러나, 최초로 이 저장영역 IP[0]에 입력되는 프레임데이터(예를 들면 I1)는 표시제어부(1606)에 의해 표시부(1607)에서 표시되지 않는다고 판단되고, 표시데이터 I2가 저장영역 IP[0]에 저장되어 있는 표시데이터 I1 위에 덧쓰여지게 되기 때문에, 토글처리나 정지화상의 표시처리에 문제는 생기지 않는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에 관한 정지화상 플레이어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11의 정지화상 플레이어는 도 8의 것과 비교하여 영역관리정보 저장부(1111)를 또한 구비하는 점에서 다르다. 그 이외는 다른 점은 없기 때문에 도 11에 있어서 도 8에 도시한 것에 상당하는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인다. 단, 도 11에 도시한 표시데이터의 저장처리부분(표시데이터 관리부(1604) 및 표시부(1605))과 정지화상의 표시부분(표시제어부(1606) 및 표시부(1607))이 실행하는 처리는 도 8에 있어서 상당하는 구성과 상위하다. 그 때문에, 이하에는 제 4 실시형태에 관한 정지화상 플레이어에 대해서는 도 8에 도시한 정지화상 플레이어와의 상위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본 정지화상 플레이어에서도 도 1에 도시한 프레임데이터 I0, I1, …이 차례로 입력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도 설명의 명확화를 위해서, 현재 본 정지화상 플레이어는 프레임데이터 I0에 기초한 메뉴를 표시하고 있다고 가정한다.
표시프레임 조건설정부(111) 및 표시프레임 조건저장부(112)는 도 2에 있어서, 상당하는 구성과 동일한 처리순서를 실행하기 때문에, 그 설명을 간소화한다. 즉 표시프레임 조건설정부(111)는 시청자측의 지정에 응답하여 조건정보로서의 PTS를 표시프레임 조건저장부(112)로 출력하고, 표시프레임 조건저장부(112)의 저장영역에는 입력된 조건정보로서의 PTS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저장된다.
이 후, 프레임데이터 수신부(1601)가 프레임데이터를 수신하면, 상기 프레임데이터 수신부(1601), 프레임데이터 저장부(1602) 및 헤더정보 저장부(1608)로 이루어지는 프레임데이터의 수신부분은 도 25의 플로우챠트에 나타낸 처리순서(상기 참조)를 실행하기 때문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헤더정보 저장부(1608)의 제 1 리스트에는 I픽쳐만의 헤더정보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저장된다. 또 타이밍제어부(1609)는 도 27의 플로우챠트에 도시한 처리순서(상기 참조)를 실행하기 때문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디코드처리부(1603)는 도 29의 플로우챠트에 도시한 처리순서(상기 참조)를 실행하기 때문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다음에 도 12에 도시한 플로우챠트를 참조하여 표시데이터의 저장처리부분(표시데이터 관리부(1604) 및 표시데이터 저장부(1605))의 처리순서를 설명한다. 도 12에 도시한 플로우챠트는 도 9에 도시한 것과 비교하여 스텝(S2403)에 대신하여 스텝(S1201, S1202)을 구비하는 점에서 다르다. 그 이외에 다른 점은 없기 때문에 상당하는 스텝에 대해서는 동일한 스텝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을 간소화한다.
우선, 초기 설정시 등에 표시데이터 저장부(1605)의 저장영역은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분배되고(도 12;스텝(S2401)), 각 플래그정보는 「사용가능」으로 설정된다.
표시데이터 관리부(1604)는 디코드처리부(1603)에서 표시데이터 및 표시데이터 특정정보가 입력되면(스텝(S2402)), 상기 표시데이터 및 표시데이터 특정정보를 유지한다. 그 후, 표시데이터 관리부(1604)는 영역관리 정보저장부(1111)로부터의 영역관리 정보의 갱신통지가 이미 정해진 타이밍에서 입력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스텝(S1201)), 상기 갱신통지가 입력된 경우 스텝(S1202)으로 진행하지만, 상기 통지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 스텝(S2405)으로 직접 진행한다.
여기에서, 영역관리정보 저장부(1111)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표시데이터 저장부(1605)의 각 저장영역에는 플래그 정보가 설정된다. 영역관리정보 저장부(1111)는 표시제어부(1606)에 의해 설정되는 저장영역을 나타내는 정보 및 플래그정보가 설정되는 필드를 갖는 제 3 리스트를 유지하고, 이에 의해 각 저장영역의 영역관리정보를 저장한다. 그리고, 영역관리정보 저장부(1111)는 제 3 리스트가 갱신될 때마다, 영역관리정보의 갱신통지를 표시데이터 관리부(1604)로 출력한다.
표시데이터 관리부(1604)는 스텝(S1202)으로 진행하는 경우, 영역관리정보 저장부(1111)로 액세스하고, 표시데이터 저장부(1605)의 저장영역 IP[0], IP[1]의 영역관리정보를 판독하여 유지한다(스텝(S1202)). 다음에 표시데이터 관리부(1604)는 유지중인 영역관리정보에 기초하여, 사용가능한 저장영역 IP를 선택하고, 선택한 저장영역 IP의 표시데이터 저장영역에 유지중인 표시데이터를 입력한다(스텝(S2405)).
다음에 표시데이터 관리부(1604)는 헤더정보 저장부(1608)에 이번회 입력된 표시데이터에 대응하는 저장영역의 필드에 상기 표시데이터를 입력한 저장영역을 나타내는 정보를 추가시킨다(스텝(S2307)).
다음에 도 13에 도시한 플로우챠트를 참조하여 정지화상의 표시부분(표시제어부(1606) 및 표시부(1607))의 처리순서를 설명한다. 도 13에 도시한 플로우챠트는 도 10에 도시한 것과 비교하여, 스텝(S1001)에 대신하여 스텝(S1301, S1302)을 또한 구비하는 점에서 다르다. 그 이외에 다른 점은 없기 때문에, 상당하는 스텝에 대해서는 동일한 스텝번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간소화한다.
표시제어부(1606)는 도 13의 스텝S2601→S2602→S701→S702로 나타내는 처리순서(상기 참조)를 실행함으로써, 새롭게 도착한 프레임데이터인 PTS 및 조건정보로서의 PTS(도 3 참조)를 판독하고 유지한다. 다음에 표시제어부(1606)는 도착한 프레임데이터인 PTS가 상기 조건정보에 합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스텝(S703)), 조건정보에 합치하는 경우 스텝(S2603)으로 진행하지만, 조건정보에 합치하지 않는 경우, 스텝(S2609)으로 진행한다.
표시제어부(1606)는 스텝(S2603)으로 진행하는 경우, 상기 스텝(S2603∼S2607)을 실행함으로써, 이번회 표시해야 하는 표시데이터를 판독하고 표시부(1607)로 출력한다.
다음에 표시제어부(1606)는 저장영역 IP[0] 및 IP[1]의 플래그정보의 설정을 실행하고, 상기 플래그정보의 현상을 영역관리정보로서 상술한 제 3 리스트로 설정한다(스텝(S1301)). 현시점에서 저장영역 IP[0]에서 표시데이터를 판독하였다고 가정한다. 이 경우, 저장영역 IP[0]의 플래그정보를 「입력완료」로 설정하고, 저장영역 IP[1]를 「사용가능」으로 설정한 후, 저장영역 IP[0] 및 「입력완료」와 저장영역 IP[1] 및 「사용가능」을 영역관리정보로서 제 3 리스트에 입력된다. 이에 의해 현시점에서 표시데이터 관리부(1604)는 저장영역 IP[0]에 표시데이터를 입력할 수 없게 된다.
영역관리정보 저장부(1111)는 제 3 리스트가 표시제어부(1606)에 의해 갱신되면, 상술한 영역관리정보의 갱신통지를 표시데이터 관리부(1604)로 출력한다(스텝(S1302). 표시데이터 관리부(1604)는 이 갱신통지에 응답하고 상술한 스텝(S1202)을 실행한다.
표시부(1607)는 표시제어부(1606)에서 입력되는 표시데이터를 표시한다(스텝(2608)). 또, 표시제어부(1606)는 제 1 리스트에서 이번회 표시된 표시데이터에 관하여 제 1 리스트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헤더정보 및 저장영역을 나타내는 정보)를 헤더정보 저장부(1608)에서 삭제시킨다(스텝(S2609)).
그런데, 표시제어부(1606)가 스텝(S703)에서의 판단에 의해 스텝(S2609)에 직접 진행하는 경우, 도 7을 참조하여 제 3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게 단순히 헤더정보의 삭제가 요구될 뿐이다.
이렇게 본 실시형태에 관한 정지화상 플레이어는 제 3 실시형태에 관한 정지화상 플레이어와 동일하게 모든 프레임데이터(I픽쳐)가 디코드된 후에 표시데이터 저장부(1605)의 사용가능한 저장영역 IP에 저장된다. 이 때, 토글처리부(114)의 일부를 구성하는 표시제어부(1606)는 표시하는 조건에 합치하는 표시데이터만을 명확하게 선택하고, 일정시간 간격으로 계속해서 판독하고, 표시부(1607)는 이 판독된 표시데이터를 표시한다. 이에 의해 표시제어부(1606)는 다음에 플레이해야 하는 표시데이터(예를 들면 I2)의 PTS에 현재 시각이 도달하기 까지는, 그 외의 저장영역으로서 조건에 합치하는 표시데이터가 이미 입력되어 있는 저장영역에 일정시간 간격으로 계속해서 액세스하고, 표시부(1607)는 이 액세스에 의해 판독되는 표시데이터(예를 들면 I0)를 표시한다. 이에 의해 제 4 실시형태에 관한 정지화상 플레이어는 입력된 정지화상의 중, 설정된 조건에 맞는 정지화상, 즉 필요한 정지화상(예를 들면, 시청자가 지정한 정지화상)만을 블랙 아웃하지 않고 계속해서 표시할 수 있다.
그런데, 스텝(S703)에서 프레임데이터인 PTS가 조건정보에 합치하지 않는 경우, 스텝(S1301, S1302)의 영역관리정보의 갱신 및 그 통지는 실행되지 않기 때문에, 제 3 실시형태에 관한 정지화상 플레이어와 동일하게 해당하는 저장영역 IP는 연속해서 사용가능한 것으로서 분배되게 된다. 이 때, 표시데이터 관리부(1604)는 2회 연속하여 동일한 저장영역 IP에 프레임데이터를 입력한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최초에 이 저장영역 IP에 입력되는 프레임데이터는 표시제어부(1606)에 의해 표시부(1607)에서 표시하지 않는다고 판단되기 때문에, 토글처리나 정지화상의 표시처리에 문제는 생기지 않는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형태에 관한 정지화상 플레이어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14의 정지화상 플레이어는 도 8의 것과 비교하여 표시메모리부(1401)를 또한 구비하는 점에서 다르다. 그 이외에 다른 점은 없기 때문에, 도 14에 있어서 도 8에 도시한 것에 상당하는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인다. 단, 도 14에 도시한 표시데이터의 저장처리부분(표시데이터 관리부(1604) 및 표시데이터 저장부(1605))과 정지화상의 표시부분(표시제어부(1606), 표시메모리부(1401) 및 표시부(1607))이 실행하는 처리는 도 8에 있어서 상당하는 구성의 처리와 상위하다. 그 때문에 이하에는 제 5 실시형태에 관한 정지화상 플레이어에 대해서 도 8의 것과 상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본 정지화상 플레이어에도 도 1에 도시한 프레이데이터 I0, I1, …가 차례로 입력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도 설명의 명확화를 위해, 현재 본 정지화상 플레이어는 프레임데이터 I0에 기초한 메뉴를 표시하고 있다고 가정한다.
표시프레임 조건설정부(111) 및 표시프레임 조건저장부(112)는 도 2에 있어서 상당하는 구성을 동일한 처리순서로 실행한다. 즉 표시프레임 조건설정부(111)는 시청자측의 지정에 응답하고 조건정보로서의 PTS를 후단의 표시프레임 조건저장부(112)로 출력하여, 표시프레임 조건저장부(112)는 내부의 저장영역에 입력된 조건정보로서의 PTS를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저장한다.
이 후, 프레임데이터 수신부(1601)에 프레임데이터가 입력되면, 상기 프레임데이터 수신부(1601), 프레임데이터 저장부(1602) 및 헤더정보 저장부(1608)로 이루어지는 프레임데이터의 수신부분은 도 25의 플로우챠트에 도시한 처리순서(상기 참조)를 실행하기 때문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여기에서 헤더정보 저장부(1608)의 제 1 리스트에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I픽쳐에 관한 프레임데이터의 헤더정보만이 설정된다.
또, 타이밍제어부(1609)는 도 27의 플로우챠트에 도시한 처리순서(상기 참조)를 실행하기 때문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지만, 도착한 프레임데이터가 내부에 포함하는 DTS 또는 PTS에 현재 시각이 도달하면, 스텝(S2105)에서 디코드처리부(1603) 또는 표시제어부(1606)에 시각통지를 출력한다. 또, 디코드처리부(1603)는 도 29의 플로우챠트에 도시한 처리순서(상기 참조)를 실행하기 때문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표시데이터의 저장처리부분(표시데이터 관리부(1604) 및 표시데이터 저장부(1605))은 도 30에 도시한 처리순서 내, 스텝S2401∼S2403→S2405→S2406→S2407(상기 참조)를 실행하기 때문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다음에 도 15에 도시한 플로우챠트를 참조하여 정지화상의 표시부분(표시제어부(1606), 표시메모리부(1401) 및 표시부(1607))의 처리순서를 설명한다. 도 15에 도시한 플로우챠트는 도 32에 도시한 것과 비교하여 스텝(S701∼S703)을 또한 구비하는 점과, 스텝(S2607, S2608)에 대신하여 스텝(S1501, S1502)을 구비하는 점에서 다르다. 그 이외에 다른 점은 없기 때문에, 상당하는 스텝에 대해서는 동일한 스텝번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간소화한다. 또한 스텝(S701∼S703)은 도 10에 있어서 상당하는 스텝번호가 붙여져 있는 처리와 동일하기 때문에, 그것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간소화한다.
표시제어부(1606)는 상술한 스텝S2601→S2602→S701을 실행하고, 새로운 프레임데이터가 도착한 것이 통지되면, 그 PTS를 헤더정보 저장부(1608)의 제 1 리스트(도 5 참조)에서 판독하고 유지한다(스텝(S701)). 다음에 표시제어부(1606)는 표시프레임 조건저장부(112)의 저장영역에서 조건정보(플레이해야하는 프레임데이터인 PTS)를 모두 판독하고 유지한다(스텝(S702)). 이 후, 표시제어부(1606)는 이 조건으로서 PTS중에 입력 프레임데이터인 PTS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S703)). 표시제어부(1606)는 이 조건에 합치한다고 판단한 경우, 스텝S2603→S2604→S2605→S2606으로 나타내는 처리순서(상기 참조)를 실행한다. 그 결과, 표시제어부(1606)는 그 PTS에 따라서 이번회 표시하는 표시데이터의 저장영역을 파악한다.
다음에 표시제어부(1606)는 상기의 처리에 의해 파악된 저장영역에서 이번회 표시하는 표시데이터를 판독하고 표시메모리부(1401)로 출력한다(스텝(S1051)). 표시부(1607)는 표시메모리부(1401)에 저장되어 있는 표시데이터를 일정 시간간격으로 계속해서 판독하고 표시한다(스텝(S1502)). 표시제어부(1606)는 표시데이터를 그 저장영역에서 판독한 후, 제 1 리스트에서 이번회 표시되는 표시데이터에 관하여 저장되어 있는 정보(헤더정보 및 저장영역을 나타내는 정보)를 헤더정보 저장부(1608)에서 삭제시킨다(스텝(S2609)).
그런데 표시제어부(1606)는 제 2 실시형태 등과 동일하게 스텝(S703)에서 조건정보에 합치하지 않는다고 판단하는 경우, 유지중인 PTS를 출력하고 제 1 리스트에서 표시하지 말아야 하는 프레임데이터에 관하여 저장되어 있는 정보를 삭제, 헤더정보 저장부(1608)에서 삭제시킨다(스텝(S2609)).
이렇게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디코드처리부(1603)는 도착한 모든 프레임데이터를 디코드한다. 그리고 표시데이터 관리부(1604)와 표시제어부(1606)는 토글처리부(114)를 구성하고, 상기 토글처리부(114)는 헤더정보 저장부(1608)를 참조하여 표시데이터 저장부(1605)에 대해서 토글처리를 실행한다. 이 토글처리부(114)의 일부를 구성하는 표시데이터 관리부(1604)는 디코드된 프레임데이터를 사용 가능한 저장영역 IP에 입력하는 점에서는 종래기술과 동일하다. 그러나 상위한 점은 이 입력이 진행되는 동안에 토글처리부(114)의 다른 일부를 구성하는 표시제어부(1606)는 PTS에 따라 표시프레임 조건저장부(112) 및 헤더정보 저장부(1608)를 참조하여, 입력이 종료된 저장영역 IP에서 표시해야 하는 표시데이터만을 선택하여 판독한다. 이 판독된 표시데이터는 표시메모리부(1401)에 저장되고, 표시부(1607)는 상기 표시메모리부(1401)에서 표시데이터를 일정시간 간격으로 계속 판독하기 때문에, 정지화상의 표시 전환은 블랙 아웃되지 않고,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이에 의해 제 5 실시형태에 관한 정지화상 플레이어는 입력된 정지화상 중, 설정된 조건에 맞는 정지화상, 즉 필요한 정지화상(예를 들면 시청자가 지정한 정지화상)만을 블랙 아웃하지 않고 계속해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표시제어부(1606)는 도 10의 스텝(S1001) 또는 도 13의 스텝(S1301)에 나타난 표시데이터 저장부(1605)의 사용상황을 관리하기 위한 처리순서가 필요없어지고, 이에 의해 처리의 부담이 가벼워지는 효과도 나타난다.
또는 본 실시형태의 표시제어부(1606)는 도 10의 스텝(S1001) 또는 도 13의 스텝(S1301)에 도시한 표시데이터 저장부(1605)의 사용상황을 관리하기 위한 처리순서가 필요없어지고, 이에 의해 처리의 부담이 가벼워지는 효과도 나타난다.
또한, 상술의 제 3 또는 제 4 실시형태에 관한 정지화상 플레이어는 수신하는 정지화상이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고 있지 않으면 안되고, 예를 들면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 프레임데이터 I0, I1, I2, I3, …In으로 구성되는 정지화상들을 정확하게 플레이할 수 없다. 또한 도 16의 참조의 방법은 도 1에 도시한 정지화상과 동일하기 때문에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술의 정지화상 플레이어는 표시데이터 저장부(1605)에 저장영역 IP[0] 및 IP[1]를 포함하고 있고, 이 2개의 저장영역에 I픽쳐를 저장하고 있었다. 그러나, 상술의 정지화상 플레이어는 도 16에 도시한 정지화상이 입력되면, 프레임데이터 I0, I1, I2, …는 그 DTS에 따라서 저장영역 IP[0] 또는 IP[1]에 차례로 저장되어 간다. 이제, 프레임데이터 I0는 플레이해야 하는 프레임데이터라고 가정한다. 또, 이 프레임데이터 I0는 도 16에서도 알 수 있듯이, 가장 빨리 디코드되어 예를 들면 저장영역 IP[0]에 저장된다. 그리고 정지화상 플레이어는 PTS「0X11000」에 따라서 프레임데이터 I0를 표시하고자 한다. 그런데, 제 3 또는 제 4 실시형태에 관한 정지화상 플레이어에 있어서 표시제어부(1606)는 표시데이터의 판독 후에 비로소, 프레임데이터 I0의 저장처인 저장영역 IP[0]의 플래그정보를 「입력완료」로 변경하고, 상기 플래그정보는 이 변경까지 「사용가능」하게 설정된 그대로이다. 그 때문에, 표시데이터 관리부(1604)는 프레임데이터 I0의 PTS「0X11000」보다도 빠른 DTS「0X6000」 또는 「0X9000」에 기초하여 디코드된 프레임데이터 I1 또는 I2를 프레임데이터 I0의 저장처인 저장영역 IP[0]에 입력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PTS「0X11000」의 시점에서 표시제어부(1606)는 저장영역 IP[0]에서 프레임데이터 I0를 판독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이렇게 제 3 또는 제 4 실시형태에 관한 정지화상 플레이어는 플레이해야 하는 표시데이터가 후속의 표시데이터에 의해 덧쓰여질 우려가 있는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그래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는 제 6 및 제 7 실시형태에 관한 정지화상 플레이어에 의해 상기 문제점의 해결을 도모한다.
우선, 본 발명의 제 6 실시형태에 관한 정지화상 플레이어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정지화상 플레이어는 도 8에 도시한 것과 비교하여 표시데이터 저장부(1605)가 내부에 포함하는 저장영역의 구성, 표시데이터의 저장처리부분(표시데이터 관리부(1604) 및 표시데이터 저장부(1605)) 및 정지화상의 표시부분(표시제어부부(1606)와 표시부(1607))이 다르다. 그 이외에 다른 점은 없기 때문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도 8에 도시한 것에 상당하는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이도록 하고, 이하에는 도 8에 도시한 정지화상 플레이어와의 상이점을 중심으로 본 실시형태에 관한 정지화상 플레이어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정지화상 플레이어에는 도 16에 도시한 프레임데이터 I0, I1, …가 차례로 입력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설명의 명확화를 위해 프레임데이터 I0는 플레이해야 하는 표시데이터라고 가정한다.
표시프레임 조건설정부(111) 및 표시프레임 조건저장부(112)는 도 2에 있어서 상당하는 구성과 동일한 처리순서(상기 참조)를 실행하기 때문에, 그 설명을 간소화한다. 즉, 표시프레임 조건설정부(111)는 시청자측의 지정에 응답하고, 조건정보로서의 PTS를 표시프레임 조건저장부(112)로 출력하고, 표시프레임 조건저장부(112)의 저장영역에는 입력된 조건정보로서의 PTS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저장된다. 단, 현시점에서는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은 프레임데이터가 도착하고 적어도 프레임데이터 I0가 플레이되기 까지, 표시프레임 조건저장부(112)의 저장영역에는 PTS「0X11000」이 저장된다.
이 후, 프레임데이터 수신부(1601)가 프레임데이터를 수신하면, 상기 프레임데이터 수신부(1601), 프레임데이터 저장부(1602) 및 헤더정보 저장부(1608)로 이루어지는 프레임데이터의 수신부분은 도 25의 플로우챠트에 도시한 처리순서(상기 참조)를 실행하기 때문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헤더정보 저장부(1608)의 제 1 리스트에는 I픽쳐만의 헤더정보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저장된다. 단, 현시점에서는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은 프레임데이터가 수신되기 까지, 제 1 리스트의 각 필드에는 상기 프레임데이터에 따른 헤더정보가 저장된다. 또, 타이밍제어부(1609)는 도 27의 플로우챠트에 나타난 처리순서(상기 참조)를 실행하기 때문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디코드처리부(1603)는 도 29의 플로우챠트에 도시한 처리순서(상기 참조)를 실행하기 때문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다음에 도 17에 도시한 플로우챠트를 참조하여 표시데이터의 저장처리부분(표시데이터 관리부(1604) 및 표시데이터 저장부(1605))의 처리순서를 설명한다. 도 17에 도시한 플로우챠트는 도 9에 도시한 것과 비교하여 스텝(S17001)을 또한 구비하는 점에서 다르다. 그 이외에 다른 점은 없기 때문에, 상당하는 스텝에 대해서는 동일한 스텝번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간소화한다. 이하, 표시데이터의 저장처리부분의 처리순서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초기설정시 등에 표시데이터 저장부(1605)의 저장영역은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많아도 프레임데이터 I0∼In(도 16 참조)을 저장할 수 있는 n개의 저장영역 IP[0], IP[1], …IP[n]으로 분배된다(도 17;스텝(S2401)). 또한 도 18에는 도시의 간소화의 관점에서 B픽쳐를 저장하기 위한 B[0] 및 B[1]를 나타내고 있지 않다. 초기설정 시점에서는 모든 플래그정보는 「사용가능」으로 설정된다. 다음에 표시데이터 관리부(1604)는 디코드처리부(1603)에서 표시데이터 및 표시데이터 특정정보가 입력되면(스텝(S2402)), 상기 표시데이터 및 표시데이터 특정정보를 유지한다. 다음에 표시데이터 관리부(1604)는 표시데이터 저장부(1605)의 각 저장영역에서 현재 설정되어 있는 플래그정보를 판독하고, 유지한다(스텝(S2403)). 다음에 표시데이터 관리부(1604)는 모든 저장영역 IP 내, 사용가능한 1개의 저장영역 IP의 표시데이터 저장영역에 유지중인 표시데이터를 입력한다(스텝(S2405)).
다음에 표시데이터 관리부(1604)는 이번회 표시데이터를 입력한 저장영역 IP의 플래그정보를 「입력완료」로 변경한다(스텝(S17001)). 다음에 표시데이터 관리부(1604)는 헤더정보 저장부(1608)에 요구하고, 도 5에 도시한 제 1 리스트에 있어서 해당하는 저장영역 필드에 이번회 표시데이터를 입력한 저장영역을 나타내는 정보를 추가시킨다(스텝(S2407)).
다음에 도 19에 도시한 플로우챠트를 참조하여 정지화상의 표시부분(표시제어부(1606) 및 표시부(1607))의 처리순서를 설명한다. 도 19에 도시한 플로우챠트는 도 10에 도시한 것과 비교하여 스텝(S1001)에 대신하여 스텝(S19001)을 구비하는 점에서 다르다. 그 이외에 다른 점은 없기 때문에 상당하는 스텝에 대해서는 동일한 스텝번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간소화한다.
표시제어부(1606)는 상술한 스텝S2601→S2602→S701을 실행하고, 새로운 프레임데이터가 도착한 것이 통지되면, 그 PTS를 헤더정보 저장부(1608)의 제 1 리스트(도 5 참조)에서 판독하고 유지한다(도 19;스텝(S701)). 다음에 표시제어부(1606)는 표시프레임 조건저장부(112)의 저장영역에서 조건정보(플레이해야 하는 프레임데이터인 PTS)를 판독하고 유지한다(스텝(S702)). 이 후, 표시제어부(1606)는 이 조건정보로서의 PTS중에 도착프레임데이터인 PTS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S703)). 표시제어부(1606)는 이 조건에 합치한다고 판단한 경우, 스텝S2603→S2604→S2605→S2606→S2607로 나타내는 처리순서(상기 참조)를 실행한다. 그 결과, 표시제어부(1606)는 그 PTS에 따라서 표시해야 하는 표시데이터를 파악하고, 상기 PTS에서 나타내는 시각에 도달하면, 대응하는 표시데이터를 저장영역에서 판독하고 표시부(1607)로 출력한다.
다음에 표시제어부(1606)는 상술의 처리에 의해 표시하지 말아야 하는 표시데이터를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표시하지 않는 표시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영역 IP의 플래그정보를 「사용가능」으로 변경한다(스텝(S19001)). 또 표시부(1607)는 상술과 동일하게 표시제어부(1606)에 의해 판독된 표시데이터를 표시한다(스텝(S2608)).
표시제어부(1606)는 표시데이터를 판독한 후, 제 1 리스트에서 이번회 표시된 표시데이터에 관하여 저장되어 있는 정보(헤더정보 및 저장정보를 나타내는 정보)를 헤더정보 저장부(1608)에서 삭제시킨다(스텝(S2609)).
그런데 표시제어부(1606)는 제 3 실시형태 등과 동일하게 스텝(S703)에서 상기 조건에 합치하지 않는다고 판단하는 경우, 유지중인 PTS를 출력하고, 제 1 리스트에서 표시하지 말아야 하는 표시데이터에 관하여 저장되어 있는 정보를 헤더정보 저장부(1608)에서 삭제시킨다(스텝(S2609)).
이렇게 본 실시형태에 관한 정지화상 플레이어도 제 3 실시형태의 정지화상 플레이어와 동일하게 표시데이터 관리부(1604)와 표시제어부(1606)로 토글처리부(114)가 구성된다. 이 일부분을 구성하는 표시제어부(1606)는 다음에 플레이해야 하는 표시데이터인 PTS에 현재 시각이 도달하기 까지는 그 외의 저장영역으로서 이미 표시데이터가 입력되어 있는 저장영역에 일정시간간격으로 계속해서 액세스하고, 이 액세스에 의해 판독되는 표시데이터를 표시부(1607)는 표시한다. 그 때문에 상술의 토글처리를 실행하여도 정지화상의 표시전환은 블랙 아웃하지 않고 원활하게 실시된다. 이에 의해 제 6 실시형태에 관한 정지화상 플레이어는 입력된 정지화상 중, 설정된 조건에 맞는 정지화상, 즉 필요한 정지화상(예를 들면 시청자가 지정한 정지화상)만을 블랙 아웃하지 않고 계속 표시할 수 있다.
그런데, 본 실시형태에 관한 정지화상 플레이어가 제 3 실시형태에 관한 정지화상 플레이어와 상위한 것은 표시데이터 저장부(1605)는 많아도 n개의 저장영역 IP를 포함하고 있고, 표시데이터 관리부(1604)는 표시데이터를 어떠한 저장영역 IP에 입력하면 그 플래그정보를 「입력완료」로 설정하는 점이다. 즉, 표시데이터 관리부(1604)는 표시데이터가 입력할 때마다 플래그정보 「입력완료」가 설정되어 있지 않은 저장영역에 대하여 입력을 실행한다. 한편, 표시제어부(1606)는 표시하지 않는 표시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저장영역의 플래그정보를 「사용가능」으로 변경한다. 구체적으로는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은 프레임데이터 I0, I1, …은 본 정지화상 플레이어에 차례로 도달하고, 디코드된 후에 표시데이터 관리부(1604)에 입력된다. 표시데이터 관리부(1604)는 표시데이터 I0를 예컨데 저장영역 IP[0]에 저장하면, 그 직후에 상기 저장영역 IP[0]의 플래그정보를 「입력완료」로 변경한다. 또, 표시데이터 관리부(1604)는 후속의 표시데이터 I1, …를 「사용가능」으로 설정되어 있는 저장영역에 입력해간다. 저장영역 IP[0]에 저장된 표시데이터 I0이 그 PTS에 기초하여 표시제어부(1606)에 의해 판독되기 까지에 후속의 표시데이터 I1, …에 의해 덧쓰여질 우려가 없어진다. 이에 의해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 즉 필요한 표시데이터가 후속의 다른 프레임데이터에 의해 덧쓰여지는 일이 없어진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 7 실시형태에 관한 정지화상 플레이어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정지화상 플레이어는 도 11에 도시한 정지화상 플레이어와 비교하여 표시데이터 저장부(1605)가 내부에 포함하는 저장영역의 구성, 표시데이터의 저장처리부분(표시데이터 관리부(1604) 및 표시데이터 저장부(1605)) 및 정지화상의 표시부분(표시제어부(1606)와 표시부(1607))이 다르다. 그 이외에 다른 점은 없기 때문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도 11에 도시한 것에 상당하는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참조부호를 붙이고, 이하에는 도 11에 나타나는 정지화상 플레이어와의 상이점을 중심으로 본 실시형태에 관한 정지화상 플레이어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정지화상 플레이어에는 도 16에 도시한 프레임데이터 I0, I1, …이 차례로 입력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설명의 명확화를 위해, 프레임데이터 I0는 플레이해야 하는 표시데이터라고 가정한다.
표시프레임 조건설정부(111) 및 표시프레임 조건저장부(112)는 도 2에 있어서 상당하는 구성과 동일한 처리순서를 실행하기 때문에, 그 설명을 간소화한다. 즉 표시프레임 조건설정부(111)는 시청자측의 지정에 응답하고 조건정보로서의 PTS를 표시프레임 조건저장부(112)로 출력하고, 표시프레임 조건저장부(112)의 저장영역에는 입력된 조건정보로서의 PTS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저장된다. 단, 현시점에서는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은 프레임데이터가 도착하고, 적어도 프레임데이터 I0가 플레이되기 때문에, 표시프레임 조건저장부(112)의 저장영역에는 PTS「0X11000」가 저장된다.
이 후, 프레임데이터 수신부(1601)가 프레임데이터를 수신하면, 상기 프레임데이터 수신부(1601), 프레임데이터 저장부(1602) 및 헤더정보 저장부(1608)로 이루어지는 프레임데이터의 수신부분은 도 25의 플로우챠트에 도시한 처리순서를 실행한다. 그 때문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헤더정보 저장부(1608)의 제 1 리스트에는 I픽쳐만의 헤더정보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저장된다. 단, 현시점에서는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은 프레임데이터가 수신되기 때문에, 제 1 리스트의 각 필드에는 상기 프레임데이터에 다른 헤더정보가 저장된다.
또, 타이밍제어부(1609)는 도 27의 플로우챠트에 도시한 처리순서를 실행하기 때문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디코드처리부(1603)는 도 29의 플로로우챠트에 도시한 처리순서를 실행하기 때문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다음에, 도 20에 도시한 플로우챠트를 참조하여 표시데이터의 저장처리부분(표시데이터 관리부(1604) 및 표시데이터 저장부(1605))의 처리순서를 설명한다. 도 20에 도시한 플로우챠트는 도 12에 도시한 것과 비교하여 스텝(S20001)을 또한 구비하는 점에서 다르다. 그 이외에 다른 점은 없기 때문에, 상당하는 스텝에 대해서는 동일 스텝번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간소화한다. 이하, 표시데이터의 저장처리부분의 처리순서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초기 설정시 등에 표시데이터 저장부(1605)의 저장영역은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많아도 프레임데이터 I0∼In(도 16 참조)를 저장할 수 있는 저장영역 IP[0], IP[1], …IP[n]으로 분배된다(도 20;스텝(S2401)). 초기 설정시점에서는 모든 플래그정보는 「사용가능」으로 설정된다. 다음에 표시데이터 관리부(1604)는 디코드처리부(1603)에서 표시데이터 및 표시데이터 특정정보가 입력되면(스텝(S2402)), 상기 표시데이터 및 표시데이터 특정정보를 유지한다.
그 후, 표시데이터 관리부(1604)는 영역관리정보 저장부(1111)에서의 영역관리정보의 갱신통지가 미리 정해진 타이밍에서 입력할지 여부를 판단하고(스텝(S1201)), 상기 갱신통지가 입력된 경우 스텝(S1202)으로 진행하지만, 상기 통지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 스텝(S2405)으로 직접 진행한다.
여기에서 영역관리정보 저장부(1111)는 표시데이터 관리부(1604) 및 표시제어부(1606)에 의해 설정되는 저장영역을 나타내는 정보 및 플래그정보가 설정되는 필드를 갖는 제 3 리스트를 유지하고, 이에 의해 각 저장영역의 영역관리정보를 관리한다. 그리고, 영역관리정보 저장부(1111)는 표시제어부(1606)에 의해 제 3 리스트가 갱신될 때마다 영역관리정보의 갱신통지를 표시데이터 관리부(1604)로 출력한다(후술하는 도 21의 스텝(S21001) 참조).
표시데이터 관리부(1604)는 스텝(S1202)으로 진행하는 경우, 영역관리정보 저장부(1111)로 액세스하고, 표시데이터 저장부(1605)의 저장영역 IP[0]∼[n]의 영역관리정보를 판독하고 유지한다(스텝(S1202)). 다음에 표시데이터 관리부(1604)는 유지중의 영역관리정보에 기초하여 사용가능한 저장영역 IP를 선택하고, 선택한 저장영역 IP의 표시데이터 저장영역에 유지중의 표시데이터를 입력한다(스텝(S2405)). 다음에 표시데이터 관리부(1604)는 이번회 표시데이터를 입력한 저장영역 IP의 플래그정보를 「입력완료」로 변경한 후, 영역관리정보 저장부(1111)로 액세스하고, 플래그정보를 변경한 저장영역에 관한 영역관리정보를 「입력완료」로 변경한다(스텝(S20001)). 다음에 표시데이터 관리부(1604)는 헤더정보 저장부(1608)에 요구하고, 도 5에 도시한 제 1 리스트에 있어서 상당하는 저장영역 필드에 이번회 표시데이터를 입력한 저장영역을 나타내는 정보를 추가시킨다(스텝(S2407)).
다음에 도 21에 도시한 플로우챠트를 참조하여 정지화상의 표시부분(표시제어부(1606) 및 표시부(1607))의 처리순서를 설명한다. 도 21에 도시한 플로우챠트는 도 13에 도시한 것과 비교하여 스텝(S1301)에 대신하여 스텝(S21001)을 구비하는 점에서 다르다. 그 이외에 다른 점은 없기 때문에, 상당하는 스텝에 대해서는 동일한 스텝번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간소화한다.
표시제어부(1606)는 도 21의 스텝S2601→S2602→S701로 나타내는 처리순서(상술 참조)를 실행하고, 새로운 프레임데이터가 도착한 것이 통지되면, 그 PTS를 헤더정보 저장부(1608)의 제 1 리스트(도 5 참조)에서 판독하고, 유지한다(도 21;스텝(S701)). 다음에 표시제어부(1606)는 표시프레임 조건저장부(112)의 저장영역에서 조건정보(플레이해야 하는 프레임데이터인 PTS)를 모두 판독하고 유지한다(스텝(S702)). 이후, 표시제어부(1606)는 이 조건정보으로서의 PTS중에 도착 프레임데이터인 PTS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S703)). 표시제어부(1606)는 이 조건에 합치한다고 판단한 경우, 상기 표시제어부(1606)는 스텝S2603→S2604→S2605→S2606→S2607로 나타내는 처리순서(상기 참조)를 실행한다. 그 결과, 표시제어부(1606)는 그 PTS에 따라서 표시해야 하는 표시데이터를 파악하고, 상기 PTS로 나타내는 시각에 도달하면 대응하는 표시데이터를 저장영역에서 판독하고, 표시부(1607)로 출력한다.
다음에 표시제어부(1606)는 상술의 처리에 의해 표시하지 말아야 하는 표시데이터를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표시하지 않는 표시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영역 IP의 플래그정보만을 「사용가능」으로 변경한 후, 영역관리정보 저장부(1111)에 액세스하고, 이번회 플래그정보를 변경한 저장영역에 관한 영역관리정보를 「사용가능」으로 변경한다(스텝(S21001)). 여기에서 주의를 요하는 것은 표시제어부(1606)는 영역관리정보「사용가능」만을 설정하고, 영역관리정보「입력완료」에 대해서는 표시데이터 관리부(1604)가 설정되는 점이다.
그 후, 영역관리정보 저장부(1111)는 제 3 리스트가 표시제어부(1606)에 의해 갱신되면, 상술한 영역관리정보의 갱신통지를 표시데이터 관리부(1604)로 출력한다(스텝(S1302)). 또 표시부(1607)는 상술과 동일하게 표시제어부(1606)에 의해 판독된 표시데이터를 표시한다(스텝(S2608)).
표시제어부(1606)는 표시데이터를 판독한 후, 제 1 리스트에서 이번회 표시된 표시데이터에 관하여 저장되어 있는 정보(헤더정보 및 저장영역을 나타내는 정보)를 헤더정보 저장부(1608)에서 삭제시킨다(스텝(S2609)).
그런데, 표시제어부(1606)는 제 3 실시형태 등과 동일하게 스텝(S703)에서 상기 조건에 합치하지 않는다고 판단하는 경우, 유지중인 PTS를 출력하고 제 1 리스트에서 표시하지 말아야 하는 표시데이터에 관하여 저장되어 있는 정보를 헤더정보 저장부(1608)에서 삭제시킨다(스텝(S2609)).
이렇게 본 실시형태에 관한 정지화상 플레이어도 제 4 실시형태의 정지화상 플레이어와 동일하게 표시데이터 관리부(1604)와 표시제어부(1606)로 토글처리부(144)가 구성되고, 영역관리정보 저장부(1111)는 상기 토글처리의 타이밍을 표시데이터 관리부(1604)로 통지한다. 이 일부를 구성하는 표시제어부(1606)는 다음에 플레이해야 하는 표시데이터인 PTS에 도달하기 까지는 그 외의 저장영역으로서 이미 표시데이터가 입력되어 있는 저장영역에 일정시간 간격에서 계속해서 액세스하고, 이 액세스에 의해 판독되는 표시데이터를 표시부(1607)는 표시한다. 그 때문에 상술의 토글처리를 실행하여도 정지화상의 표시전환은 블랙 아웃하지 않고 원활하게 실시된다. 이에 의해 제 7 실시형태에 관한 정지화상 플레이어는 입력된 정지화상 중, 설정된 조건에 맞는 정지화상, 즉 필요한 정지화상(예를 들면 시청자가 지정한 정지화상)만을 블랙 아웃하지 않고 계속해서 표시할 수 있다.
그런데, 본 실시형태에 관한 정지화상 플레이어가 제 4 실시형태에 관한 정지화상 플레이어와 상위하는 것은 표시데이터 저장부(1605)는 많아도 n개의 저장영역 IP를 포함하고 있고, 표시데이터 관리부(1604)는 표시데이터를 어떠한 저장영역 IP에 입력하면, 그 영역관리정보「입력완료」를 영역관리정보 저장부(1111)의 제 3 리스트에 설정하는 점이다. 이에 의해 표시데이터 관리부(1604)는 표시데이터가 입력할 때마다 제 3 리스트에 있어서 영역관리정보「입력완료」가 설정되어 있지 않은 저장영역에 대해서 입력을 실행한다. 한편, 표시제어부(1606)는 표시하지 않은 표시데이터를 저장되어 있는 저장영역의 영역관리정보를 「사용가능」으로 변경한다. 구체적으로는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은 프레임데이터 I0, I1, I2, …는 본 정지화상 플레이어에 순차적으로 도착하고, 디코드된 후에, 표시데이터 관리부(1604)에 입력된다. 표시데이터 관리부(1604)는 표시데이터 I0를 사용가능한 저장영역(예를 들면IP[0])에 저장하면, 그 직후에 상기 저장영역 IP[0]의 영역관리정보를 「입력완료」로 변경한다. 또, 표시데이터 관리부(1604)는 영역관리정보의 변경통지에 기초하여 후속의 표시데이터 I1,…를 「사용가능」이라 설정되어 있는 저장영역에 입력되어 간다. 이렇게 저장영역 IP[0]에 저장된 표시데이터 I0는 그 PTS이 기초하여 표시제어부(1606)에 의해 판독되기 까지는 후속의 표시데이터 I1, …에 의해 덧쓰여질 우려는 없다. 이에 의해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 즉 필요한 표시데이터가 후속의 다른 표시데이터에 의해 덧쓰여지는 일이 없어진다.
상술의 각 실시형태에서는 정지화상이 ISO/IEC13818-1 및 2의 규격에 기초한 포맷을 갖고 있는 것을 전제로 하고, 그 경우에 정지화상 플레이어는 필요한 정지화상의 조건으로서 PTS를 이용하고 있었다. 그러나, 이 필요한 정지화상의 조건에는 스트림ID나 DTS 그외의 PES헤더의 각 필드가 이용되어도 좋다. 또한 PES헤더 정보의 필드나 상술한 엘러멘터리 스트림내의 헤더정보도 또 필요한 정지화상의 조건으로서 이용되어도 좋다.
또 상술의 각 실시형태에서는 입력되는 정지화상의 프레임데이터가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은 ISO/IEC13818-1 및 2의 규격에 기초한 포맷을 갖고 있다고 가정하였다. 그러나, 정지화상은 상기 ISO/IEC13818-1 및 2의 규격에 한정되지 않으며, 각 프레임데이터를 특정할 수 있는 정보를 내부에 갖고 있다면 어떠한 포맷을 갖아도 좋다.
또, 각 실시형태에 관한 정지화상 플레이어는 영상 플레이어의 영상 재상기능을 확장하기 위해서 이용된다. 즉 본 정지화상 플레이어가 부가되는 영상 플레이어는 영상 플레이기능뿐만 아니라, 정지화상 플레이기능을 갖게 할 수 있다. 여기에서 영상 또는 정지화상의 플레이기능의 전환은 예를 들면 시청자측에서 설정하는 채널에 기초하여(즉, 설정된 채널이 영상을 제공하고 있는지, 정지화상을 제공하고 있는지에 기초하여) 용이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영상 플레이기능에 대해서 별도로 설명하지 않고, 정지화상의 플레이기능에 대해서만 설명하고 있다.
또, 상술한 각 실시형태에 관한 정지화상 플레이어는 상술한 종래의 영상 플레이어와 비교하면, 도시 및 설명을 참조하면 알 수 있듯이, 구성 및 처리순서가 공통하는 부분이 상당히 존재한다. 따라서, 본 정지화상 플레이어는 종래의 영상 플레이어와 공용할 수 있는 부분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영상 플레이어에 부가되어도 비용이나 크기의 증대를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영상 플레이어의 기능을 확장하고, 또한 동시에 입력된 정지화상 중 필요한 정지화상을 블랙 아웃하지 않고, 표시하는 정지화상 플레이어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27)

  1. 영상 플레이어의 영상 플레이기능을 확장하여, 상기 영상 플레이어에 정지화상 플레이기능을 갖게 하기 위한 정지화상 플레이어에 있어서,
    플레이해야 하는 프레임의 정지화상을 특정하기 위한 조건을 저장하는 조건저장부,
    입력된 정지화상이 상기 조건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조건에 합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조건에 합치하는 정지화상만을 선택하는 프레임선택부,
    상기 프레임선택부가 선택한 정지화상을 디코드하는 디코드처리부,
    상기 디코드처리부에 의해 디코드된 정지화상인 표시데이터를 복수장분량 저장하기 위해서 복수의 영역을 갖는 표시데이터 저장부,
    토글처리를 실행함으로써, 상기 복수의 영역 내, 사용 가능한 영역에 상기 표시데이터를 입력하고, 상기 사용 가능한 영역 이외의 다른 영역에서 플레이해야 하는 표시데이터를 계속해서 판독하는 토글처리부 및
    상기 토글처리부에 의해 판독된 표시데이터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지화상 플레이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지화상은 소정의 인코드방식에 따른 헤더정보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정지화상을 특정하기 위한 조건은 상기 헤더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지화상 플레이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지화상은 각층에 특유의 헤더정보를 갖는 계층적인 구조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정지화상을 특정하기 위한 조건은 상기 헤더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지화상 플레이어.
  4. 영상 플레이어의 영상 플레이기능을 확장하여, 상기 영상 플레이어에 정지화상 플레이기능을 갖게 하기 위한 정지화상 플레이어에 있어서,
    플레이해야 하는 프레임의 정지화상을 특정하기 위한 조건을 저장하는 조건저장부,
    입력된 정지화상이 조건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조건에 합지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조건에 합치하는 정지화상만을 디코드하는 디코드처리부,
    상기 디코드처리부에 의해 디코드된 정지화상인 표시데이터를 복수장분량 저장하기 위해서 복수의 영역을 갖는 표시데이터 저장부,
    토글처리를 실행함으로써, 상기 복수의 영역 내, 사용가능한 영역에 상기 표시데이터를 입력하고, 상기 사용가능한 영역 이외의 다른 영역에서 플레이해야 하는 표시데이터를 계속해서 판독하는 토글처리부 및
    상기 토글처리부에 의해 판독된 표시데이터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지화상 플레이어.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정지화상은 소정의 인코드방식에 따른 헤더정보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정지화상을 특정하기 위한 조건은 상기 헤더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지화상 플레이어.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정지화상은 각층에 특유의 헤더정보를 갖는 계층적인 구조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정지화상을 특정하기 위한 조건은 상기 헤더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지화상 플레이어.
  7. 영상 플레이어의 영상 플레이기능을 확장하여 상기 영상 플레이어에 정지화상 플레이기능을 갖게 하기 위한 정지화상 플레이어에 있어서,
    플레이해야 하는 프레임의 정지화상을 특정하기 위한 조건을 저장하는 조건저장부,
    입력된 정지화상을 디코드하는 디코드처리부,
    상기 디코드처리부에 의해 디코드된 정지화상인 표시데이터를 2장분량 저장하기 위해서 2개의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데이터 저장부,
    상기 2개의 영역의 어느 한쪽을 상기 표시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제 1 영역으로서 분배하고, 다른쪽을 이미 입력되어 있는 표세데이터를 판독하기 위한 제 2 영역으로서 분배하여, 상기 제 1 영역으로 입력된 표시데이터가 상기 조건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조건에 합치하는 경우는 상기 2개의 영역에 대한 제 1 및 제 2 영역의 분배를 변경하고, 합치하지 않는 경우는 제 2 영역에서의 판독을 계속하는 토글처리부 및
    상기 토글처리부에 의해 판독된 표시데이터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지화상 플레이어.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영역은 제 1 또는 제 2 영역으로서 분배된 것을 나타내는 제 1 또는 제 2 플래그정보를 저장하는 플래그정보 저장영역을 또한 갖고,
    상기 토글처리부는 상기 제 1 및 제 2 플래그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영역의 분배와 상기 제 1 및 제 2 영역의 분배의 변경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지화상 플레이어.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토글처리부는 상기 2개의 영역이 상기 제 1 또는 제 2 영역으로서 분배된 것을 나타내는 제 1 또는 제 2 영역관리정보를 관리하는 영역관리 정보 저장부를 또한 구비하고,
    상기 토글처리부는 상기 영역관리정보 저장부를 참조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영역의 분배와 상기 제 1 및 제 2 영역의 분배의 변경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지화상 플레이어.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정지화상은 소정의 인코드방식에 따른 헤더정보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정지화상을 특정하기 위한 조건은 상기 헤더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지화상 플레이어.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정지화상은 소정의 인코드방식에 따른 헤더정보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정지화상을 특정하기 위한 조건은 상기 헤더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지화상 플레이어.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정지화상은 소정의 인코드방식에 따른 헤더정보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정지화상을 특정하기 위한 조건은 상기 헤더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지화상 플레이어.
  13.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정지화상은 각층에 특유의 헤더정보를 갖는 계충적인 구조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정지화상을 특정하기 위한 조건은 상기 헤더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지화상 플레이어.
  14.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정지화상은 각층에 고유의 헤더정보를 갖는 계층적인 구조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정지화상을 특정하기 위한 조건은 상기 헤더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지화상 플레이어.
  15.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정지화상은 각층에 특유의 헤더정보를 갖는 계층적인 구조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정지화상을 특정하기 위한 조건은 상기 헤더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지화상 플레이어.
  16. 영상 플레이어의 영상 플레이기능을 확장하여, 상기 영상 플레이어에 정지화상 플레이기능을 갖게 하기 위한 정지화상 플레이어에 있어서,
    플레이해야 하는 프레임의 정지화상을 특정하기 위한 조건을 저장하는 조건저장부,
    입력된 정지화상을 디코드하는 디코드처리부,
    상기 디코드처리부에 의해 디코드된 정지화상인 표시데이터를 2장분량 저장하기 위해서 2개의 영역을 갖는 표시데이터 저장부,
    상기 2개의 영역의 어느 한쪽을 상기 표시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제 1 영역으로서 분배하고, 다른쪽을 이미 입력되어 있는 표시데이터를 판독하기 위한 제 2 영역으로서 분배하고, 상기 제 1 영역으로 입력된 표시데이터가 조건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조건에 합치하는 경우는 상기 제 1 영역에서의 판독 후에 2개의 영역에 대한 제 1 및 제 2 영역의 분배를 변경하고, 합치하지 않는 경우는 제 1 영역에 새로운 표시데이터가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글처리부,
    상기 토글처리부에 의해 판독된 표시데이터를 저장하는 표시메모리부 및
    상기 표시메모리부에서 표시데이터를 판독하고 표시하는 표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지화상 플레이어.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정지화상은 소정의 인코드방식에 따른 헤더정보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정지화상을 특정하기 위한 조건은 상기 헤더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지화상 플레이어.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정지화상은 각층에 특유의 헤더정보를 갖는 계층적인 구조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정지화상을 특정하기 위한 조건은 상기 헤더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지화상 플레이어.
  19. 영상 플레이어의 영상 플레이기능을 확장하여, 상기 영상 플레이어에 정지화상 플레이기능을 갖게 하기 위한 정지화상 플레이어에 있어서,
    플레이해야 하는 프레임의 정지화상을 특정하기 위한 조건을 저장하는 조건저장부,
    입력된 정지화상을 디코드하는 디코드처리부,
    상기 정지화상의 장수만큼 저장할 수 있는 갯수의 영역을 많아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디코드처리부에 의해 디코드된 정지화상인 표시데이터를 상기 영역에 저장하는 표시데이터 저장부,
    상기 갯수의 영역 내, 임의의 것을 상기 표시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제 1 영역으로서 분배하고, 상기 제 1 영역 이외의 임의의 것을 이미 입력되어 있는 표시데이터를 판독하기 위한 제 2 영역으로서 분배하여, 상기 제 1 영역으로 입력된 표시데이터가 상기 조건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조건에 합치하는 경우는 제 1 및 제 2 영역에 대한 분배를 변경하고, 합치하지 않는 경우는 제 2 영역에서의 판독을 계속하는 토글처리부 및
    상기 토글처리부에 의해 판독된 표시데이터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지화상 플레이어.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갯수의 영역은 제 1 또는 제 2 영역으로서 분배된 것을 나타내는 제 1 또는 제 2 플러그정보를 저장하는 플래그정보 저장영역을 또한 갖고,
    상기 토글처리부는 상기 제 1 및 제 2 플러그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영역의 분배와, 상기 제 1 및 제 2 영역의 분배의 변경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지화상 플레이어.
  21.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토글처리부는 상기 갯수의 영역이 상기 제 1 또는 제 2 영역으로서 분배된 것을 나타내는 제 1 또는 제 2 영역관리정보를 관리하는 영역관리정보 저장부를 또한 구비하고,
    상기 토글처리부는 상기 영역관리정보 저장부를 참조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영역의 분배와 상기 제 1 및 제 2 영역의 분배의 변경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지화상 플레이어.
  22.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정지화상은 소정의 인코드방식에 따른 헤더정보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정지화상을 특정하기 위한 조건은 상기 헤더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지화상 플레이어.
  23.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정지화상은 소정의 인코드방식에 따른 헤더정보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정지화상을 특정하기 위한 조건은 상기 헤더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지화상 플레이어.
  24.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정지화상은 소정의 인코드방식에 따른 헤더정보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정지화상을 특정하기 위한 조건은 상기 헤더정보에 기초하여 생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지화상 플레이어.
  25.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정지화상은 각층에 특유의 헤더정보는 갖는 계층적인 구조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정지화상을 특정하기 위한 조건은 상기 헤더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지화상 플레이어.
  26.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정지화상은 각층에 특유의 헤더정보를 갖는 계층적인 구조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정지화상을 특정하기 위한 조건은 상기 헤더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지화상 플레이어.
  27.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정지화상은 각층에 특유의 헤더정보를 갖는 계층적인 구조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정지화상을 특정하기 위한 조건은 상기 헤더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지화상 플레이어.
KR1019980035792A 1997-08-29 1998-08-29 정지화상 플레이어 KR10032687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3508797 1997-08-29
JP9-235087 1997-08-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4044A KR19990024044A (ko) 1999-03-25
KR100326875B1 true KR100326875B1 (ko) 2002-05-09

Family

ID=169808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35792A KR100326875B1 (ko) 1997-08-29 1998-08-29 정지화상 플레이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546184B2 (ko)
EP (1) EP0899967B1 (ko)
KR (1) KR100326875B1 (ko)
CN (1) CN1241409C (ko)
DE (1) DE69839001T2 (ko)
TW (1) TW40623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1003431A1 (fr) 1999-07-05 2001-01-11 Hitachi, Ltd. Procede et dispositif d'enregistrement video, procede et dispositif de reproduction video, et support d'enregistrement
US7038690B2 (en) * 2001-03-23 2006-05-02 Microsoft Corporation Methods and systems for displaying animated graphics on a computing device
US6919900B2 (en) * 2001-03-23 2005-07-19 Microsoft Corporation Methods and systems for preparing graphics for display on a computing device
US7239324B2 (en) 2001-03-23 2007-07-03 Microsoft Corporation Methods and systems for merging graphics for display on a computing device
JP4247961B2 (ja) * 2003-02-25 2009-04-02 船井電機株式会社 Dvdプレイヤ、および光ディスク再生装置
TWI349259B (en) * 2006-05-23 2011-09-21 Au Optronics Corp A panel module and power saving method thereof
TWI381737B (zh) * 2009-01-20 2013-01-01 Quanta Comp Inc 數位影音擷取裝置與其方法
MX2019002447A (es) 2016-08-31 2019-06-24 Vishay Dale Electronics Llc Inductor que tiene una bobina de alta corriente con una resistencia de corriente directa baja.
US11948724B2 (en) 2021-06-18 2024-04-02 Vishay Dale Electronics, Llc Method for making a multi-thickness electro-magnetic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78663A (en) * 1991-06-28 1994-01-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compensating the vibration of an image and device therefor in a video camera
JP2911300B2 (ja) * 1992-05-28 1999-06-23 三洋電機株式会社 静止画再生方法
JP3598524B2 (ja) * 1993-08-16 2004-12-08 ソニー株式会社 画像記録装置及び方法
EP0651391A3 (en) * 1993-10-29 1997-02-05 Tokyo Shibaura Electric Co Threaded fastener.
KR100283710B1 (ko) * 1993-11-30 2001-03-02 제이 엘. 차스킨 전송 데이타 패킷 어셈블링 시스템내의 데이타 워드 인디케이터
JP3443938B2 (ja) * 1994-03-31 2003-09-08 ソニー株式会社 ディジタル信号処理装置
US6005679A (en) * 1994-08-22 1999-12-21 Fuji Photo Film Co., Ltd. Image data filing system for quickly retrieving an area of interest of an image from a reduced amount of image data
JPH08106735A (ja) * 1994-10-04 1996-04-23 Sony Corp 再生装置
JP3824699B2 (ja) * 1996-03-15 2006-09-20 パイオニア株式会社 情報記録媒体、その記録装置及び方法、その再生装置及び方法並びに情報処理装置及び方法
US6149520A (en) * 1996-08-21 2000-11-21 Konami Co., Ltd. Video game method and apparatus for effecting character movement and ball control determin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899967A2 (en) 1999-03-03
TW406237B (en) 2000-09-21
US20020126987A1 (en) 2002-09-12
EP0899967A3 (en) 2000-10-18
CN1241409C (zh) 2006-02-08
DE69839001T2 (de) 2009-01-15
KR19990024044A (ko) 1999-03-25
DE69839001D1 (de) 2008-03-06
CN1213251A (zh) 1999-04-07
EP0899967B1 (en) 2008-01-16
US6546184B2 (en) 2003-04-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36533B1 (en) Method for distributing digital TV signal and selection of content
US7716700B2 (en) Technique for delivering entertainment programming content including commercial content therein over a communications network
US6584153B1 (en) Data structure and methods for providing an interactive program guide
US7197759B2 (en) Electronic program guide displayed simultaneously with television programming
KR100604729B1 (ko) 대화형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생성, 분배 및 수신하기 위한시스템 및 방법
KR100446876B1 (ko) 프로그램 일람표 표시 장치 및 녹화재생 장치
US20110043614A1 (en) Content transmission method and display device
US5838876A (en) Frame-accurate edit and playback in digital stream recording
KR100326875B1 (ko) 정지화상 플레이어
US20050155079A1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program assets
KR100693701B1 (ko) 타임시프트를 위한 데이터 방송 어플리케이션 분류 방법과이를 이용한 어플리케이션 동기화 제어 방법
JPH10294767A (ja) 最適化された区間到達時間を有するデータセグメントの送り出し及び取り込み
US20070283409A1 (en) Technique for effectively providing and presenting data concerning entertainment program viewing patterns of users through a communications network
KR20000035582A (ko) 점진적으로 리프레시된 비디오 스트림의 비디오 데이터의스플라이싱
TW201134220A (en) Systems and methods for accessing electronic program guide information over a backchannel communication path
KR100574755B1 (ko) 그래픽 신의 수정을 위한 데이터 신호와 이를 이용한 장치 및 방법
CN102187666B (zh) 数字广播方法、数据接收装置
JP2004023118A (ja) 個別番組表生成装置、個別番組表生成方法、個別番組表生成プログラム
CN101977326A (zh) 一种基于mpeg-2传输流的特技流生成方法
JP2002077818A (ja) 蓄積再生システム、トランスポートストリームの蓄積方法及びトランスポートストリームの再生方法
CN101228783B (zh) 用于处理要由电子装置在与时间基准相关联的页面内显示的电子节目指南数据的设备
JP4210366B2 (ja) 静止画再生装置
US10334315B2 (en) System and method for video mosaic
CN109218828B (zh) 一种进行流媒体播放的方法和终端、存储介质
JP2003309809A (ja) Cmデータを記憶及び再生可能なデジタルテレビ受像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20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