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24738B1 - 리모콘에의한메뉴선택방법및동작실행방법 - Google Patents

리모콘에의한메뉴선택방법및동작실행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24738B1
KR100324738B1 KR1019980031241A KR19980031241A KR100324738B1 KR 100324738 B1 KR100324738 B1 KR 100324738B1 KR 1019980031241 A KR1019980031241 A KR 1019980031241A KR 19980031241 A KR19980031241 A KR 19980031241A KR 100324738 B1 KR100324738 B1 KR 1003247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remote control
code
remote controller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312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10359A (ko
Inventor
주광철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800312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24738B1/ko
Publication of KR200000103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03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47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4738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04Q9/02Automatically-operated arrangemen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201/00Transmission systems of control signals via wireless link
    • G08C2201/30User interface
    • G08C2201/32Remote control based on movements, attitude of remote control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리모콘에 대한 메뉴 선택 방법 및 동작실행 방법에 관한 것으로, 종래에는 디지탈 티브이와 같이 많은 기능을 제공하는 제품에서 하나의 명령을 실행시키려고 하면 티브이 본체 또는 리모콘에 구비되어 있는 키를 여러번 조작해야 하는 사용상의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리모콘으로부터 코드가 수신되는지를 체크하는 제1단계와, 상기 제1단계에서 코드가 수신되면 사용자가 선택한 키와 리모콘의 좌우방향 정보를 읽어들이는 제2단계와, 상기 제2단계에서 읽어들인 키와 리모콘의 좌우방향 정보를 이용하여 명령코드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제3단계와, 상기 제3단계에서 생성한 명령코드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메뉴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한 제4단계로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적은 수의 키를 갖는 리모콘을 이용하여 쉽게 조작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리모콘에 의한 메뉴 선택 방법 및 동작실행 방법
본 발명은 간단한 키 조작으로 사용자에게 사용의 편리성을 제공하도록 하는 리모콘에 의한 메뉴 선택 방법 및 동작실행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하좌우 정보를 전달할 수 있는 리모콘으로 메뉴바에 나열된 아이콘을 선택하면 기능이 수행되게 하여 사용이 더욱더 편리해지도록 한 리모콘에 의한 메뉴 선택 방법 및 동작실행 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지탈 티브이(TV)는 그 동안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왔고, 최근 들어 시험 방송 내지 본 방송을 할 수 있는 단계에 이르렀다.
디지탈 티브이는 부가적으로 제공되는 기능도 많아지고, 사용의 편리성 등이 요구되고 있다.
디지탈 티브이 방송이 본격화되면서 사용자와 티브이간의 인터페이스(MMI: Man Machine Interface)가 새롭게 부각되고 있다.
사용 편의성을 제공하기 위하여 트랙 볼 기능을 갖춘 리모콘, 상하좌우 방향정보를 전달할 수 있는 리모콘 등이 개발되고 있다.
그런데 현재 개발된 제품들을 보면 사용 편리성 측면에서 아직도 개선되어야 할 점이 많다.
사용해야 하는 키가 여러개 있고, 메뉴 사용에 불편한 점들이 있다.
이러한 불편들을 개선하고자 본 발명이 창안되었다.
도 1은 종래 디지탈 티브의의 신호 처리장치에 대한 회로 구성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테나(ANT)를 통해 입력되는 방송신호로부터 사용자가 선택한 신호를 선택하는 튜너(111)와, 상기 튜너(111)를 통해 선택한 아날로그의 신호를 디지탈 데이터로 변환시켜 출력하는 아날로그/디지탈 변환기(112)와, 상기 아날로그/디지탈 변환기(112)에서 변환된 디지탈 데이터를 입력받아 복조 및 오류정정을 수행하여 얻어지는 엠펙 음성/영상 스트림을 출력하는 링크부(113)와, 사용자의 명령을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리모콘 인터페이스부(121)와, 상기 링크부(113)의 엠펙 음성/영상 스트림을 출력함과 아울러 상기 리모콘 인터페이스부(121)로부터 제공되는 출력에 따른 그래픽 데이터를 출력하는 마이크로 컴퓨터(122)와, 상기 마이크로 컴퓨터(122)의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는 플래쉬 메모리(123)와, 상기 마이크로 컴퓨터(122)의 프로그램 수행시 변수 등을 저장하는 디램(124)과, 상기 마이크로 컴퓨터(122)에서 엠펙 압축 음성/영상 스트림을 받아 복원하는 엠펙 음성/영상 디코더(132)와, 상기 디코더(132)의 복원 과정에서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해두는 에스디램(131)과, 상기 디코더(132)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바꿈과 동시에 엔티에스씨 신호(Y,C,CVBS)로 만들어 출력하는 엔티에스씨 엔코더(133)와, 상기 디코더(132)에서 출력되는 음성신호를 아날로그의 신호(R,L)로 변환시켜 출력하는 디지탈/아날로그 변환기(134)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리모콘 인터페이스부(12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모콘으로부터 전송되는 적외선 신호를 수신하는 적외선 수광 엘이디(403~405)와, 상기 적외선 수광 엘이디(403~405)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각기 다른 레벨로 증폭하는 증폭부(503~505)와, 상기 증폭부(503~505)에서 증폭된 신호에서 서로 다른 주파수의 신호를 검출하는 대역통과필터(605~607)와, 상기 대역통과필터(605~607)의 출력을 비교하여 방향정보를 얻어내어 마이크로 컴퓨터(122)로 출력하는 비교부(702)와, 상기 대역통과필터(605~607)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합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키 신호를 출력하는 덧셈부(703)와, 상기 덧셈부(703)를 통해 얻은 키 신호를 복조하여 얻은 키 코드를 상기 마이크로 컴퓨터(122)로 출력하는 복조부(705)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기술에 대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튜너(111)에서 안테나(ANT)를 통해 수신되는 방송신호중 사용자가 원하는 신호를 선택하여 아날로그/디지탈 변환기(112)로 제공하면, 상기 아날로그/디지탈 변환기(112)는 튜너(111)를 통해 선택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시켜 링크부(113)로 전달한다.
그러면 상기 링크부(113)는 상기 아날로그/디지탈 변환기(112)에서 전송받은 디지털 데이터에 대하여 복조를 행하고, 오류정정을 행하여 엠팩의 트랜스포트 스트림 즉, 엠펙 압축 음성/영상 스트림을 만들어 마이크로 컴퓨터(122)로 전송한다.
이때 리모콘 인터페이스부(121)는 리모콘으로부터 전송되는 리모콘의 키 코드 및 좌우지향정보를 나타내는 방향코드를 상기 마이크로 컴퓨터(122)로 제공한다.
그러면 상기 마이크로 컴퓨터(122)는 상기 리모콘 인터페이스부(121)로부터 제공되는 키 코드를 이용하여 명령코드를 생성하고, 이 명령코드에 대한 동작을 실행시키기 위한 그래픽 데이터를 전송함과 아울러 그의 내부에 있는 디멀티플렉서 또는 별 도의 디멀티플렉서를 이용하여 엠펙 압축 음성/영상 스트림을 받아 원래의 신호로 복원하고, 복원 과정시 필요한 데이터는 데이터/어드레스 제어 버스를 이용하여 디램(124)에 저장하여 둔다.
엠펙 음성/영상 디코더(132)는 데이터/어드레스 제어 버스를 통해 마이크로 컴퓨터(122)로부터 전송되는 복원된 영상신호와 그래픽 영상신호를 합성한 후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시켜 엔티에스씨 엔코더(133)로 출력하고, 아울러 복원된 음성신호는 바로 디지탈/아날로그 변환기(134)로 출력한다.
상기 엔티에스씨 엔코더(133)는 상기 엠펙 음성/영상 디코더(132)로 부터 제공되는 합성된 영상신호로부터 휘도신호(Y), 색신호(C) 및 복합영상신호(CVBS)로 만들어 씨피티로 출력하고, 상기 디지탈/아날로그 변환기(134)는 디지탈의 음성 데이터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시키고, 그 아날로그 신호를 다시 우측 음성신호(R)와좌측 음성신호(L)로 분리하여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리모콘 인터페이스부(121)의 동작에 대하여 도 2에 의거하여 살펴보면, 서로 다른 세 곳에 설치한 적외선 수광 엘이디(403~405)에서 각각 수광하는데, 사용자가 중앙을 지향하고 있을 때는 제2적외선 수광 엘이디(404)가 신호를 가장 잘 받아들일 수 있기 때문에 3개의 대역통과필터(503~505)중에서 제2대역통과필터(606)의 출력이 가장 크게 나타나고, 사용자가 좌측을 지향하고 있을때는 제1적외선 수광 엘이디(403)가 신호를 가장 잘 받아들일 수 있기 때문에 제1대역통과필터(605)의 출력이 가장 크게 나타나고, 사용자가 우측을 지향하고 있을 때 는 제3 적외선 수광 엘이디(405)가 신호를 가장 잘 받아들일 수 있기 때문에 제3대역통과필터 (607)의 출력이 가장 크게 나타난다.
따라서 적외선 수광 엘이디(403~405)에서 수신한 신호를 증폭부(503~505)에서 증폭한 후 대역통과필터(605~607)를 통과한 신호를 비교부(702)에서 세 개의 신호를 비교하고, 사용자가 지향하고 있는 리모콘의 방향정보를 마이크로 컴퓨터(122)로 출력하고, 뎃셈부(703)는 상기 대역통과필터(605~607)를 통과한 신호를 더하여 사용자가 누른 키 신호를 알아내고, 복조부(705)를 통해 복조한 키 코드를 상기 마이크로 컴퓨터(122)로 출력한다.
그러면 상기 마이크로 컴퓨터(122)는 키 코드에 의해 사용자가 선택한 키를 알아내고, 리모콘이 지향하고 있는 방향정보로부터 채널 또는 음량의 증감 및 현상 유지에 대한 정보를 알아낸다.
이와 같은 기술에 대하여는 1997.12.12자 출원된 1997년 특허출원제68135호(제목: 좌우정보 전송이 가능한 리모콘 송수신장치 및 방법)에 상세히 서술되어 있다.
그리고, 또 다른 방법으로 채널 또는 음량 키를 선택한 후 리모콘을 상하로 이동시키면 증가, 감소가 되는 기술이 있으며, 이는 1997.12.20자 출원된 1997년 특허출원 제71266호(제목: 기울임 감지기 및 기울임 감지가 가능한 리모콘)에 상세히 서술되어 있다.
그러면 리모콘을 이용하여 디지탈 티브이의 그래픽 정보를 표시해주는 과정에 대하여 한가지 예를 들어보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도 3에서와 같이 키를 구비한 리모콘에서 주메뉴 키를 누르면, 이 명령은 도 1에서와 같은 회로를 통해 도 5에서와 같은 메뉴 화면을 보여준다.
이 화면에서 커서는 "주제별 안내"에 위치하고 있다.
주메뉴 키를 누른 것에 이어서 사용자가 도 3에 나타나 있는 커서 키를 누르고 리모콘 방향을 좌측으로 바꾸면 "주제별 안내" 위치에 있던 커서가 좌측으로 이동하여 "방송안내" 위치로 이동한다.
커서가 "방송안내"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도 3의 선택 키를 누르면, 티브이는 도 8에서와 같은 방송안내 화면을 보여준다.
이 예에서 방송안내 화면까지 들어가기 위해서 세 가지 키를 누른다.
이와 같이 키를 여러 번 조작해야 하는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자주 사용하는 몇가지 기능에 대해서 직접 키의 사용을 지원한다.
메뉴키 누르기, 커서이동 그리고 선택키를 누르는 과정 없이 단 한 번의 키조작으로 명령을 실행시킬 수 있다.
이 경우는 방송안내, 도움말, 현재방송, 음성다중, 예약확인 키는 직접 키로서 누르면 해당하는 기능이 곧바로 수행된다.
그러나 이러한 직접키의 수는 매우 제한적이다.
그러나, 상기에서와 같은 종래기술에서 디지탈 티브이와 같이 많은 기능을 제공하는 제품에서 하나의 명령을 실행시키려고 하면 키를 여러번 조작해야 하는 사용상의 어려움과, 올바른 사용을 위해서 많은 내용을 숙지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에서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키의 수를 대폭 줄여 키가 줄어든 만큼 조작이 간편하도록 한 리모콘에 의한 메뉴 선택 방법 및 동작실행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복잡한 기능의 제품을 쉬운 리모콘의 조작으로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리모콘에 의한 메뉴 선택 방법 및 동작실행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리모콘을 상하좌우 방향으로 지향하는 것만으로도 메뉴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한 리모콘에 의한 메뉴 선택 방법 및 동작실행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 디지탈 티브이의 신호 처리장치에 대한 회로 구성도.
도 2는 도 1에서, 리모콘 인터페이스부의 회로 구성도.
도 3은 종래 디지탈 티브이의 리모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 디지탈 티브이의 리모콘 구성도.
도 5는 종래 리모콘에 구비되어 있는 주메뉴 키를 누를 경우에 나타나는 주메뉴 화면도.
도 6은 도 4의 커서 키를 누르고 리모콘을 우측으로 향하고 있을 때 메뉴바에 나타나는 주메뉴 화면도.
도 7은 도 4의 커서 키를 누르고 리모콘을 아랫방향으로 향하고 있을 때 메뉴바에 나타나는 음성다중 화면도.
도 8은 도 5에서, 방송안내 키를 누를 경우에 나타나는 방송안내 화면도.
도 9는 도 6에서, 채널 전환 후 나타나는 방송안내 화면도.
도 10은 본 발명 리모콘의 키 코드 전송방법에 대한 동작 과정도.
도 11은 본 발명 리모콘에 의한 메뉴 선택방법에 대한 동작 과정도.
도 12는 발명 리모콘에 의한 동작실행 방법에 대한 동작 과정도.
도 13은 도 11에서, 리모콘 키 조작과 리모콘 지향방향의 조합에 의해서 송출되는 리모콘 코드표.
도 14는 도 11에서 생성한 명령코드 조합표.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2 : 아날로그/디지탈 변환기 121 : 리모콘 인터페이스부
122 : 마이크로 컴퓨터 132 : 엠펙 음성/영상 디코더
133 : 엔티에스씨 엔코더 403-405 : 적외선 수광 엘이디
605-607 : 대역통과필터 702 : 비교부
703 : 덧셈부 705 : 복조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키와 방향정보를 읽어들이는 제1단계와, 상기 키와 방향정보에 의해 미리 설정된 키별 방향별 동작명령을 실행하는 제2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리모콘으로부터 코드가 수신되는지를 체크하는 제1단계와, 상기 제1단계에서 코드가 수신되면 사용자가 선택한 키와 좌우방향 정보를 읽어들이는 제2단계와, 상기 제2단계에서 읽어들인 키와 좌우방향 정보를 이용하여 명령코드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제3단계와, 상기 제3단계에서 생성한 명령코드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메뉴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한 제4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1은 본 발명 키 코드에 의한 메뉴 선택방법에 대한 동작 과정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모콘으로부터 코드가 수신되는지를 체크하는 제단계와, 상기 제1단계에서 코드가 수신되면 사용자가 선택한 키와 좌우방향 정보를 읽어들이는 제2단계와, 상기 제2단계에서 읽어들인 키와 좌우방향 정보를 이용하여 명령코드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제3단계와, 상기 제3단계에서 생성한 명령코드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메뉴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한 제4단계로 이루어진다.
도 12는 본 발명의 리모콘에 의한 동작실행 방법에 대한 동작 흐름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키와 방향정보를 읽어들이는 단계와, 상기에서 읽어들인 키와 방향정보에 의해 미리 설정된 동작 명령을 실행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각 단계로 이루어진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본 발명의 동작 및 작용 효과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서 디지탈 티브이의 리모콘은 도 4에서와 같이 '채널', '음량', 그리고 '커서' 키만을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은 키를 구비한 리모콘에서는 도 13에서와 같이 '채널+', '채널0', '채널-', '음량조절', '커서+', '커서0', '커서-', '채널종료', '음량종료', '커서종료' 코드를 송출한다.
이들 코드중에서 어떤 코드가 송출될 것인가는 사용자가 누른 키와 리모콘의 위 또는 아래로 기울어진 방향에 따라서 결정된다.
이와 같이 리모콘의 위 또는 아래로 기울어진 정보를 포함시켜서 송출하기 위하여 이미 출원한 "기울임 감지기 및 기울임 감지가 가능한 리모콘(1997.12.20자 출원된 97특허-71266)"의 기술을 사용한다.
이 리모콘의 특징은 키가 눌러져 있는 동안은 리모콘 코드가 반복해서 송출되도록 하고, 키가 다시 놓아질 때는 눌러진 키에 해당하는 종료코드가 송출되도록 한다.
리모콘 키 조작과 리모콘 지향방향의 조합에 의해서 송출되는 리모콘 코드가 도 13에 도시되어 있다.
채널키와 커서 키에 대해서는 리모콘의 기울어진 방향에 따라 각각 세 종류의 코드가 송출한다.
예를 들어, 리모콘이 위로 향한 상태에서 채널키를 누르고 천천히 아래로 향한 다음 키를 놓으면 "채널+', '채널+', 채널0', '채널0', '채널-', '채널-', '채널종료' 코드가 차례로 송출된다.
이 예의 채널 키 대신 상하지향 방향에 관계없이 음량 키를 누르고 똑같은 조작을 하면 '음량조절', '음량조절', '음량조절', '음량조절', '음량조절', '음량조절', '음량종료', 코드가 차례로 송출된다.
또 다른 예로, 리모콘이 아래로 향한 상태에서 커서 키를 누르고 좀 빠르게 위로 향하게 한 다음 키를 놓으면 '커서-', '커서0', '커서+','커서종료' 코드가 차례로 송출된다.
예를 들어, 도 4에서 리모콘의 커서 키를 누르고, 리모콘을 우측으로 향하고 있으면 도 6에서와 같이 메뉴바에 주메뉴 화면이 나타난다.
이 주메뉴에서 현재 커서의 위치는 아이콘을 검게 칠해진 '선호채널'이고, 이와 같이 '선호채널'에 커서가 위치한 상태에서 리모콘을 위로 향하게 되면 커서는 '주제별안내'로 이동하고, 리모콘 방향을 계속적으로 유지하고 있으면 다음 메뉴 아이콘인 '방송안내'로 이동한다.
이때 커서 키를 놓으면 방송안내 메뉴가 실행되어 도 8에서와 같은 화면이 표시된다.
그리고, 도 4에서 리모콘의 커서 키를 누르고, 리모콘을 아래로 향하고 있으면 도 7에서와 같이 음성다중 화면이 메뉴바에 표시된다.
이 메뉴에서 현재 커서의 위치는 아이콘이 검게 칠해진 '영어 스테레오'이고, 여기서 리모콘을 좌로 향하게 하면 커서는 '한국어 스테레오'로 이동한다.
이때 커서 키를 놓으면 방송 음성다중 모드가 한국어 스테레오로 바뀐다.
그리고, 도 4에서 리모콘의 채널 키를 누르고, 리모콘을 조작하면 도 9에서와 같은 화면이 나타난다. 이 화면에 나타난 아이콘 들은 현재 방송되고 있는 방송국 명과 프로그램 명으로 채널을 표시해준다.
커서를 원하는 채널 위치에 놓고 채널 키를 놓으면 커서 위치에 있던 채널로 전환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도 5에 나타나 있는 각각의 메뉴에서 메뉴 선택을 편리하게 해주는데 국한한 것이다.
그러면 본 발명 리모콘의 키 코드 전송방법에 대하여 도 10에 의거하여 살펴보면, 도 1의 리모콘 인터페이스부(121)는 리모콘으로부터 키 입력이 있는가를 체크한다.(S1)
체크한 결과, 키 입력이 있으면 채널 키인지, 음량 키인지 아니면 커서 키인지를 판단한다.
판단한 키가 채널 키이면, 그 채널에 해당하는 채널 코드를 송출하고(S2), 음량 키이면 음량코드를 송출하고, 커서 키이면 다시 커서방향을 체크한다.(S4)
상기 S4단계에서 체크한 커서방향이 우측으로 향해 있으면 주메뉴를 표시하기 위한 것으로 판단하여 주메뉴 코드를 송출하고(S6), 상기 커서방향이 아래쪽으로 향해 있으면 음성다중모드에 대한 메뉴를 표시하기 위한 것으로 판단하여 음성다중코드를 송출한다.(S5)
이상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리모콘을 통해 선택한 키에 해당하는 코드를 송출한 뒤 리모콘이 지향하는 방향을 체크한다.(S7)
상기 S7단계에서 리모콘이 지향하는 방향을 체크한 뒤 얻어지는 방향코드를 송출한다.(S8)
그러면 도 1의 마이크로 컴퓨터(122)는 도 11에서와 같은 동작과정을 거쳐 메뉴를 선택한다.
먼저, 수신되는 코드가 있는지 체크하여(S11) 코드가 수신되었으면, 방향코드로부터 좌우방향정보를 읽어들인다.(S12)
그런 다음 송출되어온 키 코드와 방향정보를 이용하여 도 14에서와 같은 명령코드를 생성한다.(S13)
명령코드 생성 예에 대해 예를 들면, 수신한 리모콘의 키 코드가 음량조절코드이고, 방향코드가 우측방향이면 도 14에서와 같이 V+를 생성하고, 키 코드가 "커서0'이고 방향코드가 중앙방향이면 MC명령코드를 생성한다.
이렇게 명령코드가 생성되면 해당 명령코드 루틴으로 분기(JUMP)되고, 도 12에 나타나 있는 루틴들이 수행된다.(S14)
B20-B22는 채널 키를 누르고 리모콘 방향을 조작하면 도 9에서와 같은 화면을 표시하고, 커서를 이동시키는 루틴이다.
B23은 채널전환 조작이 끝나는 명령으로 커서 위치의 채널로 전환하고 도 9의 메뉴를 제거하는 루틴이다.
B24는 음량 키를 누르고 리모콘 방향이 왼쪽일 때 수행되는 루틴으로 음량을 감소시키고, 음량표시를 그래픽으로 나타낸다.
B25는 중앙 방향일 때 수행되는 것으로서, 현재의 음량과 화면을 유지시킨다.
B26은 오른쪽 방향일 때 수행되는 것으로서 음량을 증가시키고 B25와 같은 이치로 그래픽 표시를 한다.
B27은 음량 조절이 종료되는 것이므로 음량조절 그래픽을 제거한다.
B26-B36은 리모콘이 지향하는 방향으로 정해진 스텝만큼 커서의 좌표(X,Y)를 이동시키고 B38 이후의 루틴을 수행한다.
상하로 변하는 스텝은 Ystep이고, 좌우로 변하는 스텝은 Xstep이고, 커서 좌표이동은 각 루틴에 수식으로 표시되어 있다.
커서 조작명령이 처음 들어왔을 때 커서 좌표의 초기값은 도 6과 도 7에 나타나 있는 (x0,y0)이다.
B38은 현 커서 좌표에 커서를 표시하고, B39는 커서의 X좌표가 xm을 넘었는지 판단하고, 상기 X좌표가 xm을 넘었다는 것은 도 6의 메뉴를 사용하겠다는 의미이므로 B42에서 도 6의 화면을 표시해주고 메뉴 선택이 가능하게 해준다.
B40에서 Y가 ym을 넘었다는 것은 도 7의 메뉴를 사용하겠다는 의미이므로 B41에서 도 7의 화면을 표시해주고 메뉴 선택이 가능하게 해준다.
B37은 커서로 메뉴 선택이 끝났을 때 수행되는 것으로 커서 위치의 명령을 수행시켜 주고 도 6과 도 7의 그래픽을 제거해준다.
따라서 본 발명은 리모콘의 기본적인 키와 리모콘 지향방향에 따라 채널선국, 음량조절, 음성다중모드 및 주메뉴에 대한 선택 뿐만아니라 사용자가 원하는메뉴 선택을 아주 간단하게 조작하여 행할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다.

Claims (3)

  1. 리모콘으로부터 코드가 수신되는지를 체크하는 제1단계와, 상기 제1단계에서 코드가 수신되면 사용자가 선택한 키와 리모콘의 좌우방향 정보를 읽어들이는 제2단계와, 상기 제2단계에서 읽어들인 키와 리모콘의 좌우방향 정보를 이용하여 명령코드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제3단계와, 상기 제3단계에서 생성한 명령코드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메뉴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제4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콘에 의한 메뉴 선택 방법.
  2.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키와 리모콘의 방향정보를 읽어들이는 제1단계와, 미리 설정된 복수개의 화면위치에 대응하는 메뉴 디스플레이 정보중에서 상기 키와 리모콘의 방향정보에 의해 해당방향의 화면상에 기 설정된 메뉴를 디스플레이하는 제2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콘에 의한 메뉴 선택 방법.
  3.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키와 리모콘의 방향정보를 읽어들이는 제1단계와, 상기 키와 리모콘의 방향정보에 의해 미리 설정된 키별 방향별 동작명령을 실행하는 제2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콘에 의한 동작 실행 방법.
KR1019980031241A 1998-07-31 1998-07-31 리모콘에의한메뉴선택방법및동작실행방법 KR1003247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1241A KR100324738B1 (ko) 1998-07-31 1998-07-31 리모콘에의한메뉴선택방법및동작실행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1241A KR100324738B1 (ko) 1998-07-31 1998-07-31 리모콘에의한메뉴선택방법및동작실행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0359A KR20000010359A (ko) 2000-02-15
KR100324738B1 true KR100324738B1 (ko) 2002-07-02

Family

ID=195460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31241A KR100324738B1 (ko) 1998-07-31 1998-07-31 리모콘에의한메뉴선택방법및동작실행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2473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11631A (ko) * 1991-11-08 1993-06-24 이헌조 동작명령 입력장치 및 입력방법
KR950009441A (ko) * 1993-09-06 1995-04-24 김광호 메뉴선택장치
KR960030732A (ko) * 1995-01-10 1996-08-17 구자홍 각속도 센서를 이용한 위치감지 리모콘 및 이의 위치감지방법
KR970068715A (ko) * 1996-03-14 1997-10-13 김주용 리모콘 송신기를 이용한 커서 이동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11631A (ko) * 1991-11-08 1993-06-24 이헌조 동작명령 입력장치 및 입력방법
KR950009441A (ko) * 1993-09-06 1995-04-24 김광호 메뉴선택장치
KR960030732A (ko) * 1995-01-10 1996-08-17 구자홍 각속도 센서를 이용한 위치감지 리모콘 및 이의 위치감지방법
KR970068715A (ko) * 1996-03-14 1997-10-13 김주용 리모콘 송신기를 이용한 커서 이동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0359A (ko) 2000-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78260B2 (en)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5484730B2 (ja) グラフィック機能の連続スクロールによりリストを通して閲覧する方法及び関連する端末
US6456276B1 (en) Apparatus for recognizing pointing position in video display system with remote controller, and a method therefor
EP0821523B2 (en) Digital television signal receiver
JP2004040656A (ja) 映像表示システム、映像表示方法及び表示装置
JP3877486B2 (ja) 放送受信システム
JPH09259515A (ja) Avコントローラ
KR100324738B1 (ko) 리모콘에의한메뉴선택방법및동작실행방법
JP4788402B2 (ja) デジタル放送受信機
EP2235937B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searching channel
JP2000184228A (ja) 多チャネル放送受信装置
JP4229061B2 (ja) 画像表示制御装置および方法
KR100998154B1 (ko)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의 메뉴 리스트 표시방법
KR19990033865A (ko) 프로그램 가이드의 채널선택방법
JP2006197128A (ja) 多チャンネル入力方式の映像装置、及びそのチャンネル切り替え方法
KR100466796B1 (ko) 디지털 tv에서의 객체 이동 방법 및 시스템
KR100238681B1 (ko) 디지털 다채널 텔레비젼 방송 수상기의 채널선택방법
JP4115341B2 (ja) チャネル選択装置
KR100733079B1 (ko) 디지털 tv 및 그 제어방법
KR980009969U (ko) 입력 자동절환 회로
KR100252719B1 (ko) 텔레비전의 전문정보채널 출력장치
KR200314452Y1 (ko) 영상기기의 외부 채널 절환 장치
JP4688169B2 (ja) 受信装置および受信方法
JP2000244763A (ja) Catvホームターミナル
JPH11261916A (ja) 情報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4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8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2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