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24415B1 - 셀렉터/보코더보드의퍼포먼스인덱스산출방법 - Google Patents

셀렉터/보코더보드의퍼포먼스인덱스산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24415B1
KR100324415B1 KR1019960016799A KR19960016799A KR100324415B1 KR 100324415 B1 KR100324415 B1 KR 100324415B1 KR 1019960016799 A KR1019960016799 A KR 1019960016799A KR 19960016799 A KR19960016799 A KR 19960016799A KR 100324415 B1 KR100324415 B1 KR 1003244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rformance index
selector
board
vocoder
maxim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167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78083A (ko
Inventor
전한구
심성구
Original Assignee
박종섭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종섭,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filed Critical 박종섭
Priority to KR10199600167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24415B1/ko
Publication of KR9700780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780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44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4415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25/00Speech or voice analysis techniques not restricted to a single one of groups G10L15/00 - G10L21/00
    • G10L25/48Speech or voice analysis techniques not restricted to a single one of groups G10L15/00 - G10L21/00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셀렉터/보코더 보드의 퍼포먼스 인덱스 산출 방법에 관한 것으로, CDMA 방식 이동통신 시스템의 제어국 장치 중 음성신호 처리 블럭인 셀렉터/보코더 보드의 성능 시험시, 전체 시스템을 통합하여 최대 용량의 호를 발생시키지 않고도 퍼포먼스를 산출할 수 있어 비용과 시간의 절감을 기대할 수 있고, 최대 용량 이상의 퍼포먼스의 여유분까지 측정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셀렉터/보코더 보드의 퍼포먼스 인덱스 산출 방법
본 발명은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코드 분할 다중 접속 방식, 이하 "CDMA" 라 칭함.) 방식 이동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음성처리 블럭인 셀렉터/보코더 보드의 퍼포먼스 인덱스를 산출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체 시스템을 통합하지 않고, 셀렉터/ 보코더 보드를 단독으로 테스트하여 필요한 정도의 퍼포먼스가 나오는지 시험할 수 있는 셀렉터/ 보코더 보드의 퍼포먼스 산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CDMA 방식 이동통신 시스템의 제어국 장치 중 음성신호 처리 블럭인 셀렉터/보코더 보드의 경우 그 퍼포먼스가 시스템 전체의 성능을 크게 좌우하며, 이 보드가 설계시 예측한 퍼포먼스가 정말로 얻어지는지 측정할 필요가 생기게 되는데, 전체 시스템의 규모가 너무 방대하여 최대 용량의 호를 발생시켜 실험하고, 측정하기는 매우 어렵다.
즉, CDMA 방식 이동통신 시스템의 제어국 장치 중 음성신호 처리 블럭인 셀렉터/보코더 보드의 성능이 설계 용량에 도달하는지 실제로 측정하려면 전체시스템을 통합하여 처리 가능한 최대 용량의 호를 유지시키고, 각각의 호가 실시간으로 처리되는지 확인해야 되는데, 이러한 방식으로 셀렉터/보코더 보드의 성능을 측정하면, 측정과정도 극히 어렵고, 또 최대 용량이 되었을 때 그 이상의 처리능력이 있는지 여부도 판단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통신 시스템의 제어국 장치 중 음성신호처리 블록인 셀렉터/보코더 보드의 퍼포먼스를 전체 시스템을 통합하여 최대 용량의 호를 발생시키지 않고도 간단하게 측정할 수 있는 셀렉터/보코더 보드의 퍼포먼스 인덱스 산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1 도는 본 발명의 방법이 적용되는 셀렉터/보코더 보드의 블럭도로서, 인공위성 자동 위치 측정 시스템인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이하 "GPS"라 칭함.) (10)와; 상기 GPS(10)로부터 50Hz 클럭(1회당 20msec)을 받아 송신, 수신태스크(Task; 계산기 시스템에서 본 일의 단위를 말함.) (30, 40)에 초당 50회씩 인터럽트를 걸어 동작 개시 시점을 알려주는 SLC (Slewable Counter)(20)와; 상기 SLC(20)에서 인터럽트를 받으면 보코더(60)로부터 20msec 동안의 음성 펄스 부호 변조방식 신호에 대한 압축 데이타를 읽어 휴대폰(MS)쪽으로 송신하는 송신 태스크(30)와; 상기 SLC(20)에서 인터럽트를 받으면, 휴대폰(MS)에서 받은 압축 데이타를 보코더(60)로 보내주는 수신 태스크(40)와; 무한 루프를 돌리면서 카운터를 증가시키는 아이들 태스크(50) 및 음성 신호에 대한 압축/복원 알고리즘을 수행하는 디지탈 신호 처리 프로세서인 보코더(60)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셀렉터/보코더의 동작을 설명하면, 먼저 SLC(10)는 GPS (20)로부터 50Hz 클럭 (2msec당 1회)을 받아 송신 태스크(30) 및 수신 태스크(40)로 초당 50회씩 인터럽트를 걸어 동작 개시 시점을 알려준다. 이렇게 상기 GPS(10)로부터 초당 50회씩 인터럽트를 걸어 동작 개시 시점을 받으면, SLC(20)는 송,수신 태스크(30),(40)쪽으로 인터럽트를 보내주고, 이때 인터럽트를 받은 송신 태스크(30)는 보코더(60)로부터 20msec 동안의 음성 펄스 부호 변조방식 신호에 대한 압축 데이타를 읽어 휴대폰(MS)쪽으로 송신하면, 수신태스크(40)는 휴대폰(MS)에서 받은 압축 데이타를 보코더(60)로 보내주고, 이 때의 아이들 태스크(50)는 무한 루프를 돌리면서 카운터를 증가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셀렉터/보코더 보드의 퍼포먼스 인덱스를 산출하는 방법은 최대값 퍼포먼스 인덱스(PImax)를 구하기 위해 송,수신 태스크(30),(40)들을 정지시키고, 아이들 태스크(50)만을 수행시킬 때 단위 시간 동안 아이들 카운터 값(idle counter)을 구한다. 또한, 송,수신 태스크(30),(40)들을 하나씩 가동시켜 음성처리 기능을 동작시키면서 아이들 카운터의 최대값(즉, 최대 용량의 퍼포먼스 인덱스(PI최대용량))을 구하면 최대 몇 개의 보코더(60)들을 구동시킬 수 있는지 알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셀렉터/보코더 보드의 퍼포먼스 인덱스 산출 방법을 도 3의 순서도를 참고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방법에서는 퍼포먼스 인덱스를 산출하기 위해 아이들 프로세서(idle processor)를 만들어 이용한다.
본 발명에 의하여 퍼포먼스 인덱스를 산출하는 경우에는 먼저 퍼포먼스 인덱스 보드의 스위치를 초기화시킨다(S1). 이어서 상기 제 1단계(S1)에서 보드 스위치가 초기화되고나면, 정해진 시간(예컨대, 5분)의 경과 여부를 판단하여 정해진 시간이 경과하지 않은 경우에는 퍼포먼스 인덱스(PI: Performance Index)를 1씩 증가시킨다(S2). 상기 제 2단계(S2)에서 정해진 시간 동안 아이들 프로세서만 수행되었을 때 증가된 중앙처리 장치(CPU)의 최대값 퍼포먼스 인덱스(PImax)를 보관시킨다(S3). 그 다음으로 다시 퍼포먼스 인덱스를 초기화시켜 셀렉터/보코더 보드의 음성처리 기능들을 동작시킨다(S4). 상기 제 4단계(S4)에 이어 정해진 시간이 경과했는지를 판단하여 시간이 경과되지 않은 경우 퍼포먼스 인덱스를 증가시키고(S5), 상기 5단계(S5)의 판단 결과 시간이 경과했을 경우 음성처리기능들을 한 채널씩 동작시키면서 최대 용량의 퍼포먼스 인덱스(PI최대용량)를 측정한다(S6). 상기 제 6단계(S6)에서 동일한 방법으로 최대 용량의 음성처리기능을 동작시키면서 측정하면, 셀렉터/보코더 보드의 퍼포먼스 인덱스(PI)를 구할 수 있다(S7). 본 발명에서 셀렉터/보코더 보드의 퍼포먼스 인덱스(PI)는 상기 최대 용량의 퍼포먼스 인덱스(PI최대용량)를 퍼포먼스 인덱스 최대값(PImax)으로 나누어 구할 수 있다(도 2 참조).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퍼포먼스 인덱스(PI)를 산출하기 위해서 아이를 프로세서(idle processor)를 만들어 이용하는데, 이 때는 보드의 프로세서가 전적으로 아이들 프로세서로 할당되며, 아이들 프로세서는 무한 루프를 돌리면서 퍼포먼스 인덱스를 1씩 증가시키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셀렉터/보코더 보드의 퍼포먼스 인덱스를 산출하기 위해 전체 시스템을 통합하여 최대 용량의 호를 발생시키지 않고도 아이들 프로세스를 이용하여 보코더/셀렉터 보드의 퍼포먼스 인덱스를 산출할 수 있어서 비용과 시간의 절감을 가져올 뿐만 아니라, 최대 용량이 되었을 때 그 이상의 여분의 처리 능력이 있는지 여부도 판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제 1 도는 본 발명의 셀렉터/보코더 보드의 블럭도,
제 2 도는 본 발명의 셀렉터/보코더 보드의 퍼포먼스 인덱스 산출 방법의 순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GPS 20 : SLC
30 : 송신 태스크 40 : 수신 태스크
50 : 아이들 태스크 60 : 보코더

Claims (1)

  1. 셀렉터/보코더 보드의 퍼포먼스 인덱스를 산출하는 방법에 있어서,
    퍼포먼스 인덱스 보드의 스위치를 초기화시키는 제 1단계(S1);
    상기 제 1단계(S1)에서 보드 스위치가 초기화되고나면, 정해진 시간이 경과했는지 판단하여 정해진 시간이 경과하지 않았을 경우 퍼포먼스 인덱스를 1씩 증가시키는 제 2단계(S2);
    상기 제 2단계(S2)에서 정해진 시간 동안 아이들 프로세서만 수행되었을 때 증가된 중앙처리 장치(CPU)의 최대값 퍼포먼스 인덱스(PImax)를 보관시키는 제 3단계(S3);
    상기 제 3 단계(S3)를 수행후 다시 퍼포먼스 인덱스를 초기화시켜 셀렉터/보코더 보드의 음성처리 기능들을 동작시키는 제 4단계(S4);
    상기 제 4단계(S4)에 이어 정해진 시간이 경과했는지 판단하여 시간이 경과하지 않은 경우 퍼포먼스 인덱스(PI)를 증가시키는 제 5단계(S5);
    상기 5단계(S5)의 판단 결과 시간이 경과한 경우 음성 처리 기능들을 한 채널씩 동작시키면서 최대 용량의 퍼포먼스 인덱스(PI최대용량)를 측정하는 제 6단계(S6);
    동일한 방법으로 최대 용량의 음성 처리 기능을 동작시키면서 측정하여, 상기 최대 용량의 퍼포먼스 인덱스(PI최대용량)를 제 3 단계에서 구한 퍼포먼스 인덱스최대값(PImax)으로 나누어 셀렉터/보코더 보드의 퍼포먼스 인덱스(PI)를 구하는 제 7단계(S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렉터/보코더 보드의 퍼포먼스 인덱스 산출 방법.
KR1019960016799A 1996-05-18 1996-05-18 셀렉터/보코더보드의퍼포먼스인덱스산출방법 KR1003244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16799A KR100324415B1 (ko) 1996-05-18 1996-05-18 셀렉터/보코더보드의퍼포먼스인덱스산출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16799A KR100324415B1 (ko) 1996-05-18 1996-05-18 셀렉터/보코더보드의퍼포먼스인덱스산출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78083A KR970078083A (ko) 1997-12-12
KR100324415B1 true KR100324415B1 (ko) 2002-07-02

Family

ID=374608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16799A KR100324415B1 (ko) 1996-05-18 1996-05-18 셀렉터/보코더보드의퍼포먼스인덱스산출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24415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78083A (ko) 1997-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902116B (zh) 一种音频数据与参考信号的时间对齐方法及装置
JP4361700B2 (ja) ポータブルマルチバンド通信装置及び該装置の消費電流判定方法
GB2357585A (en) Battery life indication
KR100324415B1 (ko) 셀렉터/보코더보드의퍼포먼스인덱스산출방법
JP3229050B2 (ja) ディジタル無線通信装置
KR960003268A (ko) 휴대폰 사용전원의 절전 장치
CN108112061A (zh) 定位控制方法、装置、存储介质及终端设备
KR100754047B1 (ko) 휴대용 통신 장치 및 그것의 전력 소비를 결정하는 방법
KR100640481B1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전원차단 레벨을 측정하는 시스템 및방법
KR20080034708A (ko) 타임존 변화 시 통신 단말기의 시간 변경 방법 및 장치
KR100270373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동작 상태에 따른 전류 소모량 표시방법
KR100273642B1 (ko) 안내 음성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는 전화 단말 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20020129147A1 (en)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automatically switching between communication modes
JPH1155372A (ja) 携帯電話機
KR20000065595A (ko) 디지털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 잔량 및 사용 예상 시간 표시 방법
KR20000008115A (ko) 무선 단말기의 종료/전원키 운용 방법
KR100790153B1 (ko) 이동 단말기의 배터리 잔량 표시 방법
KR20010011525A (ko) 무선 단말기에서 배터리의 소모를 줄이기 위한 방법
KR100677444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하이브리드 동작 제어방법
KR100233670B1 (ko) 스마트폰에서 자동 시간 설정방법
KR100450946B1 (ko) 휴대형무선통신단말기에서지역번호단축방법
KR100764654B1 (ko)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이동 거리를 측정하기 위한 장치 및방법
KR100315546B1 (ko) 이동무선전화기의 배터리 잔류용량 표시방법
KR940003770B1 (ko) 휴대용 전화기 및 자동차 전화기의 시간표시장치 및 방법
KR20050031332A (ko) 휴대단말기의 배터리 잔량 표시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12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