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8117B1 - 만보기를 내장한 휴대용 단말기의 운동량 측정방법 - Google Patents

만보기를 내장한 휴대용 단말기의 운동량 측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8117B1
KR100678117B1 KR1020040050222A KR20040050222A KR100678117B1 KR 100678117 B1 KR100678117 B1 KR 100678117B1 KR 1020040050222 A KR1020040050222 A KR 1020040050222A KR 20040050222 A KR20040050222 A KR 20040050222A KR 100678117 B1 KR100678117 B1 KR 1006781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mount
exercise
sampling rate
measuring
pedome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502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01171A (ko
Inventor
노태문
류영무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502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78117B1/ko
Publication of KR200600011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011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81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81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1Combinations with auxiliary equipment, e.g. with clocks or memoranda pa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2/00Measuring distance traversed on the ground by vehicles, persons, animals or other moving solid bodies, e.g. using odometers, using pedometers
    • G01C22/006Pedomet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Dentis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hys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Measurement Of Distances Traversed On The Ground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만보기를 내장한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감지되는 운동량에 따라 만보기의 샘플링 레이트(rate)를 변환하여 운동량을 측정할 수 있도록 한 만보기를 내장한 휴대용 단말기의 운동량 측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만보기를 내장한 휴대용 단말기의 운동량 측정방법에 있어서, 만보기 모드시, 일정 샘플링 레이트로 운동량을 측정하여 그에 따른 운동량을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일정 샘플링 레이트로 운동량 측정중, 운동량 감지여부에 따라 일정 샘플링 레이트의 샘플링 레이트를 변화시키며 운동량을 측정하여 운동량을 표시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휴대용 단말기, 만보기, 운동량, 걸음수, 이동거리, 칼로리 소비량

Description

만보기를 내장한 휴대용 단말기의 운동량 측정방법{METHOD FOR MEASURING MOMENTUM EMBEDED PEDOMETER IN THE MOBILE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만보기를 내장한 휴대용 단말기의 운동량 측정방법을 보인 흐름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제어부 21: RF부
23: 모뎀 25: 오디오 처리부
27: 키패드 29: 메모리
30: 만보기 31: 진동감지 센서
33: A/D 변환부 35: 표시부
ANT: 안테나 MIC: 마이크
SPK: 스피커
본 발명은 만보기를 내장한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감지되는 운동량에 따라 만보기의 샘플링 레이트(rate)를 변환하여 운동량을 측정할 수 있도록 한 만보기를 내장한 휴대용 단말기의 운동량 측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사람은 누구나 건강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평소에 일정량의 운동을 필요로 한다. 그러나 바쁜 일상을 핑계로 현대인들은 항상 시간에 쫓겨 자신의 정상적인 생활을 유지하는데 필요한 최소한의 운동도 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현대병으로 일컬어지는 현상 가운데 하나로 적당한 양의 운동을 하지 않으면 결국 자신의 건강마저도 해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만보기는 이러한 현대인의 운동 결핍 현상에 착안해 만들어진 운동기구의 하나로서, 일정한 샘플링 레이트(rate)로 운동량을 체크하는 디지털 방식을 채택하여 화면에 보수가 표시되도록 한다.
최근 휴대용 단말기는 통화기능외에 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카메라 기능을 기본적으로 내장하고, 라디오, MP3 기능 등의 내장시켜 다기능 휴대용 단말기로 발전시키고 있는 추세이다.
이에, 종래 휴대용 단말기에 건강을 관리 할 수 있도록 전술한 만보기를 단말에 내장하여 항상 휴대하고 다니는 휴대용 단말기를 통해 건강을 체크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만보기 기능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지원되는 다른 기능들과 마찬가지로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만보기 기능을 실행한다.
그러나, 종래 휴대용 단말기에 만보기를 내장하게 되면, 그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만보기 기능을 구현해야 하므로 배터리 소모량이 증가하여 단말기 사용시간이 단축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감지되는 운동량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계속해서 일정한 샘플링 레이트로 만보기의 진동감지 센서가 운동량을 감지함으로 인해 단말의 배터리 소모량이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감지되는 운동량에 따라 만보기의 샘플링 레이트(rate)를 변환하여 운동량을 측정할 수 있도록 한 만보기를 내장한 휴대용 단말기의 운동량 측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만보기를 내장한 휴대용 단말기의 운동량 측정방법에 있어서, 만보기 모드시, 일정 샘플링 레이트로 운동량을 측정하여 그에 따른 운동량을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일정 샘플링 레이트로 운동량 측정중, 운동량 감지여부에 따라 일정 샘플링 레이트의 샘플링 레이트를 변화시키며 운동량을 측정하여 운동량을 표시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만보기를 내장한 휴대용 단말기의 운동량 측정방법에 있어서, 만보기 모드시, 운동량 감지여부에 따라 현재 운동량과 이전 운동량을 비교하여 현재 운동량이 이전 운동량보다 증가하면 샘플링 레이트를 증가시켜 운동량을 측정하여 운동량을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현 재 운동량이 이전 운동량보다 감소하면 샘플링 레이트를 감소시켜 운동량을 측정항쳐 운동량을 표시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동작 및 작용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하기의 설명에서 본 발명 휴대용 단말기에서 전화번호 저장시의 특정 상세들이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나타나 있다. 이들 특정 상세들 없이 또한 이들의 변형에 의해서도 본 발명이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하기의 설명에서 운동량이라 함은 움직임중 상하운동에 따른 운동량을 나타낸다. 또한 하기의 설명에서 제1 샘플링 레이트는 만보기 모드 시작시, 또는 일정시간동안 운동량이 감지되지 않다가 이후 운동량이 감지되었을때 감지되는 운동량을 측정하기 위한 샘플링 레이트를 나타낸다. 또한 하기의 설명에서 제2 샘플링 레이트는 이전의 운동량을 측정하는 샘플링 레이트보다 증가된 샘플링 레이트를 나타낸다. 또한, 하기의 설명에서 제3 샘플링 레이트는 운동량을 측정하는 샘플링 레이트중 가장 샘플링 레이트가 높은 샘플링 레이트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휴대용 전화기가 될 수 있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RF부21은 휴대용 단말기의 통신을 수행한다. 상기 RF부21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 및 증폭하는 RF송신기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변환하는 RF수신기등을 포함한다.
모뎀23은 상기 송신되는 신호를 부호화 및 변조하는 송신기 및 상기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 및 복호화하는 수신기등을 구비한다. 즉, 상기 모뎀23은 패킷데이터 등을 처리하거나 음성 등의 오디오신호를 처리한다.
오디오 처리부25는 상기 모뎀23에서 출력되는 수신 오디오신호를 제어부10으로부터 수신하여 스피커SPK를 통해 가청음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며, 마이크MIC로부터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데이터화하여 상기 제어부10으로 전송한다.
키패드27은 숫자 및 문자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키들 및 각종 기능들을 설정하기 위한 기능키들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키패드2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만보기 기능을 단축키 하나로 실행시킬 수 있는 만보기 모드키와 그 만보기 기능을 통해 지원되는 하위 기능을 실행시키는 메뉴키, 확인키 등을 구비할 수 있다.
메모리29는 프로그램 메모리 및 데이터 메모리들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에는 휴대용 단말기의 일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들이 저장된다. 또한, 만보기 모드시, 만보기 모드를 통해 제공되는 운동량 측정등에 관한 프로그램들이 저장된다. 여기서, 상기 운동량 측정을 통해 제공되는 정보로는 걸음수, 이동거리 및 칼로리 소비량 등이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만 보기 모드시, 진동감지 센서를 통해 감지되는 운동량에 따라 만보기의 샘플링 레이트(rate)를 변환하여 운동량을 측정할 수 있도록 하는 프로그램들이 저장된다. 또한 상기 데이터 메모리에는 상기 프로그램들을 수행하는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들을 일시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상기 메모리29의 프로그램 메모리에 구체적인 내부구성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진동감지 센서31은 만보기 모드시, 제어부10의 제어하에 인에이블 신호를 입력받아 인에이블 되어 상하움직임에 따른 운동량을 감지한다.
A/D 변환부33은 상기 진동감지 센서31로부터 입력받는 상하 움직임에 따른 운동량의 아날로그 신호를 제어부10의 샘플링 레이트 제어신호에 따라 샘플링하여 디지털 신호로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진동감지 센서31과 A/D 변환부33은 만보기30이다.
제어부10은 휴대용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0은 모뎀23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0은 만보기기능을 실행하여 진동 감지 센서33을 통해 운동량을 감지하고, A/D 변환부33을 통해 감지된 운동량을 일정시간동안 카운팅된 운동량에 따라 일정 샘플링 레이트로 샘플링하여 운동량을 계산한후 그에 따른 데이터들을 표시하는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상기 만보기 모드시, 진동감지 센서31로 인에이블 신호를 출력하여 인에이블 시키고, 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운동량에 따라 A/D 변환부33의 샘플링 레이트를 가변시키는 제어신호를 인가하여 상기 샘플링 레이트를 변화시키며 운동량을 측정할 수 있도록 하는 전반적인 동작을 제 어한다. 즉, 상기 진동감지 센서31을 통해 일정시간 측정되는 운동량에 따라 샘플링 레이트를 변화시키며 운동량을 측정하도록 제어한다. 이에, 상기 제어부10은 상기 일정 시간을 카운팅하는 카운터(미도시)를 포함하여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운동량에 따라 샘플링 레이트를 변화시키는 조건은 일정시간간격으로 운동량이 계속해서 감지되면 샘플링 레이트를 점차적으로 증가시킨다. 이에 의해, 운동량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게된다. 또는, 일정시간 측정된 이전 운동량과 현재 운동량의 대소를 비교함으로써 가능하다. 즉, 상기 일정시간 측정된 현재 운동량이 이전 운동량보다 많으면 샘플링 레이트를 증가시켜 일정시간동안 운동량을 측정하도록 제어한다. 그러나, 상기 측정된 현재 운동량이 이전 운동량보다 작으면 샘플링 레이트를 감소시키거나 현재의 샘플링 레이트를 그대로 유지하여 운동량을 측정하도록 제어한다.
표시부35은 상기 제어부10의 제어하에 프로그램 수행중에 발생되는 메시지들을 표시하며 상기 제어부10에서 출력되는 사용자 데이터를 표시한다. 또한, 상기 표시부35는 만보기 모드시, 측정되는 운동량을 표시한다. 또한, 운동량을 측정하는 샘플링 레이트 정보를 표시한다. 여기서, 상기 운동량은 걸음수, 이동거리 및 칼로리 소비량 등이 될 수 있으며, 상기한 운동량외에 측정한 운동량에 의해 제공될 수 있는 다른 정보까지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표시부35는 기본적으로 상기 운동량뿐만 아니라 그 운동량을 측정하는 샘플링 레이트 정보를 표시한다. 이때, 상기 샘플링 레이트 정보는 만보기 모드시 부가적으로 제공되는 정보로서, 사용자의 표시 선택여부에 따라 표시되어진다. 여기서 상기 표시부35는 LCD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 런 경우 상기 표시부35는 LCD제어부(LCD controller), 영상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 및 LCD표시소자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LCD를 터치스크린(touch screen) 방식으로 구현하는 경우, 상기 키패드27과 상기 LCD는 입력부가 될 수 있다.
상기 도 1을 참조하여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을 살펴보면, 발신시 사용자가 키패드27을 통해 다이알링 동작을 수행한 후 발신모드를 설정하면, 상기 제어부10은 이를 감지하고 모뎀23을 통해 수신되는 다이알정보를 처리한 후 RF부21을 통해 RF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이후 상대 가입자가 응답신호를 발생하면, 상기 RF부21 및 데이터 처리부23을 통해 이를 감지한다. 이후 사용자는 오디오처리부25를 통해 음성 통화로가 형성되어 통신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착신모드시 상기 제어부10은 모뎀23을 통해 착신모드임을 감지하고, 오디오처리부25를 통해 링신호를 발생한다. 이후 사용자가 응답하면 상기 제어부10은 이를 감지하고, 역시 오디오처리부25를 통해 음성 통화로가 형성되어 통신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발신 및 착신모드에서는 음성통신을 예로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상기 음성 통신 이외에 패킷 데이터 및 영상데이터를 통신하는 데이터 통신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대기모드 또는 문자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10은 데이터 처리부23을 통해 처리되는 문자데이터를 표시부35 상에 표시한다.
이러한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서 만보기 모드시의 동작을 살펴보면, 제어부10은 만보기 모드시, 진동감지 센서31에 인에이블 신호와 함께 A/D 변환부33에 샘플링 레이트를 조절하는 제어신호를 인가한다. 그러면, 상기 진동감지 센서33은 상하 움직임을 감지하고, 그 감지된 아날로그신호의 움직임을 A/D 변환부33은 일정 샘플링 레이트로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10은 일정시간동안 계속해서 운동량이 측정되면 상기 샘플링 레이트를 점차 증가시키며 사용자의 상하운동의 움직임을 측정한다. 또는 일정시간동안 감지된 운동량에 따라 상기 샘플링 레이트를 가변시키며 사용자의 상하운동의 움직임을 측정한다. 상기 진동감지 센서33의 측정 결과값은 디지털신호로서 제어부10으로 입력된다. 상기 제어부10은 측정 결과값에 따라 걸음수, 이동거리 및 칼로리 소비량 등을 계산한후 이를 표시부35에 표시한다. 여기서, 상기 샘플링 레이트는 일예로 다음과 같이 가변될 수 있다.
첫째, 만보기 모드가 최초실행되거나, 운동량이 감지되었다가 일정시간이후 감지되지 않을 경우로서,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의 전원을 공급받아 0.5[mA]를 소모하며 감지되는 아날로그 운동량을 초당 15회의 샘플링 레이트로 디지털 운동량을 측정한다. 이는 하기의 설명에서 제1 샘플링 레이트가 될 수 있다.
둘째, 상기 첫째 과정 샘플링 레이트로 운동량을 측정하는중, 일정시간 이후에도 계속해서 운동량이 감지되는 경우로서,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의 전원을 공급받아 0.9[mA]을 소모하며 감지되는 아날로그 운동량을 초당 30회의 샘플링 레이트로 측정하여 디지털 운동량을 측정한다. 이는 하기의 설명에서 제2 샘플링 레이트가 될 수 있다.
셋째, 상기 둘째 과정 샘플링 레이트로 운동량을 측정하는중, 일정시간 이◎에도 계속해서 운동량이 감지되는 경우로서,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의 전원을 공급받아 1.3[mA]을 소모하며 감지되는 아날로그 운동량을 초당 50회의 샘플링 레이 트로 측정하여 디지털 운동량을 측정한다. 이는 하기의 설명에서 제3 샘플링 레이트가 될 수 있다.
전술한 동작을 수행하는 본 발명의 만보기를 내장한 휴대용 단말기의 운동량 측정하는 과정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만보기를 내장한 휴대용 단말기의 운동량 측정방법을 보인 흐름도이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우선 211단계에서 제어부10은 만보기 모드인가를 판단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10은 키패드27에 구비된 만보기 모드를 단축키로 실행시킬 수 있는 만보기 모드키가 입력되거나, 메뉴키 입력후 만보기 모드를 확인키로 선택하였는지를 판단하게 된다.
상기 판단결과, 만보기 모드이면, 213단계에서 일정 샘플링 레이트로 운동량을 측정한 시점의 시간을 카운팅하기 시작한다. 그리고, 215단계에서 제어부10은 제1 샘플링 레이트로 운동량을 측정하여 그 측정한 운동량을 표시부35에 표시한다. 여기서, 상기 제1 샘플링 레이트는 만보기 모드 시작시, 또는 일정시간동안 운동량이 감지되지 않다가 이후 운동량이 감지되었을때 감지되는 운동량을 측정하기 위한 샘플링 레이트이다. 다시 말해,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의 전압 소모량을 최대한 줄이면서도 실제 측정되는 운동량의 오차범위를 줄이며 운동량을 측정할 수 있는 샘플링 레이트이다. 여기서, 상기 일정시간은 상하 움직임의 운동량이 발생하는지를 판단하기 위한 시간으로서, 일예로 1~3분 일 수 있다.
이후, 217단계에서 제어부10은 카운팅한 시간이 일정시간 경과하였는지를 판 단하여 상기 일정시간 경과하면 219단계로 진행한다. 그러나, 상기 일정시간이 경과하지 않았으면, 상기 215단계로 복귀하여 일정시간이 경과할때까지 일정 샘플링 레이트로 운동량을 계속해서 측정하게 된다.
상기 219단계에서 제어부10은 운동량이 감지되는지를 판단하여 상기 운동량이 감지되면, 221단계로 진행하여 카운팅한 시간을 초기화시켜 운동량 측정시점의 시간을 카운팅한다. 그러나, 상기 판단결과, 상기 운동량이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213단계로 복귀하여 그 213단계 이후의 전술한 과정을 수행한다.
상기 221단계이후, 223단계에서 제어부10은 앞서 운동량을 측정한 상기 제1 샘플링 레이트보다 샘플링 레이트가 증가된 제2 샘플링 레이트로 운동량을 측정하여 그 측정한 운동량을 표시부35에 표시한다.
이후, 상기 225단계에서 제어부10은 카운팅한 시간이 일정시간이 경과하였는지를 판단하여 상기 일정시간이 경과하면 227단계로 진행한다. 그러나, 상기 일정시간이 경과하지 않았으면, 상기 223단계로 복귀하여 일정시간이 경과할때까지 제2 샘플링 레이트로 운동량을 계속해서 측정하게 된다.
상기 227단계에서 제어부10은 운동량이 감지되는지를 판단하여 상기 운동량이 감지되면, 229단계로 진행하여 카운팅한 시간을 초기화시킨다. 그러나, 상기 판단결과, 상기 운동량이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213단계로 복귀하여 그 213단계 이후의 전술한 과정을 수행한다.
그리고, 231단계에서 제어부10은 앞서 운동량을 측정한 상기 제2 샘플링 레이트보다 샘플링 레이트가 증가된 제3 샘플링 레이트로 운동량을 측정하여 그 측정 한 운동량을 표시부35에 표시한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실시예와는 다음과 같은 차이점을 가지면서 운동량을 측정할 수 도 있다.
일정시간동안 감지되는 현재 운동량과 이전 운동량을 대소를 비교하여 현재 운동량이 이전 운동량보다 크면 샘플링 레이트를 증가시키고, 감지되는 현재 운동량이 이전 운동량보다 작으면 샘플링 레이트를 감소시켜 운동량을 측정한다.
즉, 감지되는 현재 운동량과 이전 운동량에 따라 샘플링 레이트를 가변시켜 운동량을 측정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감지되는 운동량에 따라 만보기의 샘플링 레이트(rate)를 변환하여 운동량을 측정함으로써, 운동량이 감지되지 않는대도 불구하고 기존의 일정한 샘플링 레이트에 의해 소모되던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의 전원 소모량을 줄일수 있어,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1)

  1. 만보기를 내장한 휴대용 단말기의 운동량 측정방법에 있어서,
    만보기 모드시, 일정 샘플링 레이트로 운동량을 측정하여 그에 따른 운동량을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일정 샘플링 레이트로 운동량 측정중, 운동량 감지여부에 따라 일정 샘플링 레이트의 샘플링 레이트를 변화시키며 운동량을 측정하여 운동량을 표시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운동량을 표시하는 과정은
    일정 샘플링 레이트의 제1 샘플링 레이트로 운동량을 측정하여 측정된 운동량을 표시하는 단계와;
    제1 샘플링 레이트로 운동량 측정중, 운동량이 계속해서 감지되면 상기 제1 샘플링 레이트에 비해 샘플링 레이트를 증가시킨 제2 샘플링 레이트로 운동량을 측정하여 측정된 운동량을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제2 샘플링 레이트로 운동량 측정중, 운동량이 계속해서 감지되면 상기 제2 샘플링 레이트에 비해 샘플링 레이트를 증가시킨 제3 샘플링 레이트로 운동량을 측정하여 측정된 운동량을 표시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샘플링 레이트로 운동량 측정중, 운동량이 감지되지 않으면 샘플링 레이트가 감소된 제1 샘플링 레이트로 운동량을 측정하여 측정된 운동량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샘플링 레이트로 운동량 측정중, 운동량이 감지되지 않으면 샘플링 레이트가 감소된 제1 샘플링 레이트로 운동량을 측정하여 측정된 운동량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일정 샘플링 레이트는 만보기 모드 시작시, 또는 일정시간동안 운동량이 감지되지 않다가 이후 운동량이 감지되었을때 감지되는 운동량을 측정하기 위한 제1 샘플링 레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운동량 감지여부는 일정시간을 주기로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운동량 감지여부는 일정 샘플링 레이트 또는 샘플링 레이트 변화시 카운팅되는 시간이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카운팅되는 시간은 샘플링 레이트 변화시 초기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운동량 감지여부에 따라 운동량이 감지되지 않으면 가변된 샘플링 레이트에서 감소된 일정 샘플링 레이트로 운동량을 측정하고, 운동량이 계속해서 감지되면 상기 가변된 샘플링 레이트에 비해 샘플링 레이트가 증가된 샘플링 레이트로 운동량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10. 만보기를 내장한 휴대용 단말기의 운동량 측정방법에 있어서,
    만보기 모드시, 운동량 감지여부에 따라 현재 운동량과 이전 운동량을 비교하여 현재 운동량이 이전 운동량보다 증가하면 샘플링 레이트를 증가시켜 운동량을 측정하여 운동량을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현재 운동량이 이전 운동량보다 감소하면 샘플링 레이트를 감소시켜 운 동량을 측정항쳐 운동량을 표시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운동량 감지여부는 일정시간을 주기로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KR1020040050222A 2004-06-30 2004-06-30 만보기를 내장한 휴대용 단말기의 운동량 측정방법 KR1006781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0222A KR100678117B1 (ko) 2004-06-30 2004-06-30 만보기를 내장한 휴대용 단말기의 운동량 측정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0222A KR100678117B1 (ko) 2004-06-30 2004-06-30 만보기를 내장한 휴대용 단말기의 운동량 측정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1171A KR20060001171A (ko) 2006-01-06
KR100678117B1 true KR100678117B1 (ko) 2007-02-02

Family

ID=371043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0222A KR100678117B1 (ko) 2004-06-30 2004-06-30 만보기를 내장한 휴대용 단말기의 운동량 측정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78117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1171A (ko) 2006-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92909B2 (ja) 携帯端末
EP2642356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n Alarm Service in Mobile Terminal
US8346236B2 (en) Method for switching call mode of a mobile device and related mobile device capable of switching call mode automatically
JP2011171894A (ja) 携帯端末装置および省電力制御方法
US7248835B2 (en) Method for automatically switching a profile of a mobile phone
KR20090121914A (ko) 모바일 단말기의 전화 수신 모드 결정 방법 및 장치
EP2119203B1 (en) Battery saving selective screen control
JP4361700B2 (ja) ポータブルマルチバンド通信装置及び該装置の消費電流判定方法
KR101475354B1 (ko) 압력 센서가 내장된 휴대 단말기 및 그의 압력 측정 방법
KR100678117B1 (ko) 만보기를 내장한 휴대용 단말기의 운동량 측정방법
KR20110133143A (ko) 통신 단말기의 동작 방법 및 장치
KR20090079636A (ko) 움직임을 이용한 통화 수행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이동통신 단말기
KR20010101724A (ko) 휴대용 통신 장치 및 그것의 전력 소비를 결정하는 방법
KR100605820B1 (ko) 피디에이 기능과 폰 기능을 구비한 피디에이폰에서사용자데이터 보호방법
KR101196379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알람 방법
KR101089194B1 (ko) 알람시간전 배터리 잔량표시 이동통신단말기
KR100678109B1 (ko) 휴대용 단말기의 기상정보 서비스 방법
KR100526559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영상 데이터 표시장치 및 방법
KR100584330B1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만보기 기능을 실행하는 방법
KR100630096B1 (ko) 휴대용 단말기의 메뉴 표시방법
JP2008154028A (ja) 携帯端末装置
KR100761895B1 (ko) 사용자 상태정보 관리기능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제어방법
KR100678111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모닝콜 서비스 방법
KR20060066767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디지털 수평계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장치 및 방법
KR100849335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전자수첩 서비스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7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