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23563B1 - 로킹 기구 및 금속 스프링을 갖는 전기 커넥터 - Google Patents

로킹 기구 및 금속 스프링을 갖는 전기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23563B1
KR100323563B1 KR1020000003561A KR20000003561A KR100323563B1 KR 100323563 B1 KR100323563 B1 KR 100323563B1 KR 1020000003561 A KR1020000003561 A KR 1020000003561A KR 20000003561 A KR20000003561 A KR 20000003561A KR 100323563 B1 KR100323563 B1 KR 1003235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tch
connector
shell
spring
shielded electr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035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71291A (ko
Inventor
데라다다까시
니이쯔도시히로
Original Assignee
루이스 에이. 헥트
몰렉스 인코포레이티드
이데이 노부유끼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5248499A external-priority patent/JP4191321B2/ja
Application filed by 루이스 에이. 헥트, 몰렉스 인코포레이티드, 이데이 노부유끼,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루이스 에이. 헥트
Publication of KR200000712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712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35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356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정합하는 소켓 커넥터를 고정시키고 접지를 향상시키기 위한 기구를 갖는 플러그 커넥터가 제공된다. 플러그 커넥터는 후퇴 가능한 클로를 갖는 가동 래치를 포함한다. 클로는 우발적인 제거를 방지하기 위해 삽입 상태에서 소켓 커넥터 내의 해당 리세스 내에 수납된다. 래치는 플러그 커넥터의 강성 전도성 셸 내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래치는 셸 내의 제1 구멍을 통해 접근 가능한 누름부를 가지며, 클로는 제2 구멍을 통해 돌출한다. 래치 스프링은 래치를 외측으로 편의시키도록 셸 내에 배치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스프링에는 통상 상태에서는 서로로부터 약간 편위된 2개의 자유 단부가 일체로 형성된다. 래치 스프링이 편향된 때 자유 단부들은 약간 '딸깍 소리'를 내며 간섭하면서 서로를 가로지른다. 플러그 커넥터의 대향 측면에서, 접지 스프링은 또한 정합하는 소켓 커넥터 내의 리세스와 접촉하기 위해 셸 내의 리세스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한다.

Description

로킹 기구 및 금속 스프링을 갖는 전기 커넥터{ELECTRICAL CONNECTOR WITH LOCKING MECHANISM AND METAL SPRING}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전기 커넥터의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로킹 기구를 갖고 정합하는 플러그 및 리셉터클(mated plug and receptacle)에 관한 것이다.
일본 실용신안등록 출원 (평)7-16312호에 기재된 바와 같이, 단자의 외주 둘레에 소정 간극을 제공하도록 차폐체(shield)가 제공되고, 차폐체가 정합 소켓 커넥터와의 접촉부를 형성하는 플러그 커넥터가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공지의 커넥터에서, 차폐체는 얇은 금속판을 편원 직사각형(oblate rectangular shape)의 단면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구성된다. 생성된 차폐체는 차폐체 프레임의 금속의 스프링 탄성에 의해 커넥터와 소켓 사이에서 물리적 접촉 강도를 유지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공지의 커넥터들은 일반적으로 로킹 기구를 포함하지 않는다. 따라서, 플러그 커넥터는 플러그 커넥터의 커넥터 본체를 소켓 커넥터로부터 멀리 제거 방향으로 간단히 잡아당김으로써 리셉터클로부터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다.
이러한 비로킹식(non-locking) 커넥터 구성은 가정용 퍼스널 컴퓨터와 디지털 비디오 사이의 케이블 연결 등과 같이 플러그의 삽입 및 제거가 빈번하게 반복되는 많은 개인 사용자의 용도에 대해서는 충분할 수 있다. 그러나, 비로킹식 구성은 높은 신뢰성을 요구하는 다른 환경에서 그리고 특히 플러그의 제거가 빈번하지 않은 경우에 만족스러운 결합을 유지하기에는 불충분할 수 있다. 예컨대, 은행 또는 점포에서의 보안 카메라에서와 같이 상업용 또는 사업용에서 더욱 더 신뢰성 있는 연결이 바람직하다.
신뢰성이 향상된 플러그 및 소켓 커넥터에 대한 필요성이 존재한다. 특히, 우발적인 플러그 결합 해제를 방지하도록 해제 가능하게 로킹 가능한 커넥터가 요구된다. 부가적으로, 강하고 안정한 접속을 제공하는 커넥터가 요구된다.
로킹 기구를 갖는 차폐체를 구비한 플러그 커넥터가 제안된다. 로킹 기구는 차폐체의 일 측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하는 클로(claw)를 구비하는 가동 래치(latch)를 포함한다. 또한, 플러그 커넥터를 수용하기 위하여 정합하는 소켓 리셉터클이 제공된다. 플러그 커넥터를 정합 소켓 리셉터클 내로 삽입할 때, 돌출한 클로는 소켓 리셉터클 내에 형성된 대응하는 결합 리세스 내로 수용된다.
불행하게도, 몇몇 커넥터 기하학적 형상에서, 플러그 커넥터는 단일 로킹 기구의 반대쪽에서 소켓 리셉터클에 대하여 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이동에 의해,클로가 리세스로부터 자유롭게 작용할 수 있어 커넥터를 로킹 해제할 가능성이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대향 측면들에서 한 쌍의 로킹 기구를 갖는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 고려되어 왔다. 그러나, 커넥터 상에 다중 로크를 제공하는 것은 구조를 복잡하게 하고 제조 비용을 상승시킨다. 부가적으로, 이중 로크 커넥터 구조는 로크 기구의 미세한 위치 변위로 인한 요동 또는 흔들림을 초래할 수 있다. 이러한 요동이 발생되면, 차폐체와 리셉터클 사이의 전기 접속은 불안정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특징은 단일 로킹 기구를 갖는 커넥터 구조가 플러그와 소켓 리셉터클 사이의 안정한 접속과 단단한 로킹 결합 끼워맞춤을 제공할 수 있게 한다. 부가적으로, 본 발명은 소켓에 대한 접속시 노이즈 성분들을 유리하게 감소시킨다.
본 발명의 부가적인 특징은 래치가 사용자에 의해 눌러질 때 '딸깍 소리' 또는 마찰 느낌을 발생시키는 것이다. 커넥터의 구조는 딸깍 소리가 소켓 리셉터클의 리세스에 대하여 클로가 눌러져 로킹 해제되는 조건에 대응하도록 마련된다. 이러한 감각적인 피드백은 플러그가 제거될 수 있음을 나타내므로 플러그를 조작하는 사용자에게 도움을 준다. 일 실시예에서, 딸깍 소리 효과는 래치 스프링에 의해 수행된다. 특히, 래치 스프링은 포개진 판 스프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스프링의 2개의 자유 단부는 통상 상태에서 작은 간극에 의해 분리되어 있지만, 래치가 눌러짐에 따라 스프링이 변형되므로 스프링의 2개의 자유 단부는 서로 물리적으로 접촉하여서 약간의 간섭을 가지고 서로 가로지른다. 유리하게는, 본 발명의 본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은 로킹 해제 '딸깍 소리' 표시 기능 및 래치를 편의시키는 본래의 스프링 기능을 모두 수행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복수개의 단자 공동을 갖는 절연 하우징과, 각각의 단자 공동 내로 삽입된 복수개의 단자와, 하우징의 일부분을 둘러싸는 전도성 셸을 구비하는 차폐 전기 커넥터가 제공된다. 전도성 셸은 정합하는 커넥터가 접근하기 위한 전방 개구를 갖는다. 부가적으로, 전도성 셸의 제1 측면에는 제1 구멍 및 제2 구멍이 구비된다. 셸 상에 배치된 래치는 후방 단부가 셸에 피벗 가능하게 장착된다. 래치는 셸의 제2 구멍을 통해 접근 가능한 가압부와, 셸의 제1 구멍을 통해 외측으로 돌출한 클로를 추가로 포함한다. 래치 및 클로를 외측으로 편의시키기 위해 차폐체와 래치 사이에 스프링이 배치된다.
일 실시예에서, 커넥터는 하우징을 전도성 셸 내에서 둘러싸는 내부 차폐체를 추가로 포함한다.
셸에 대하여 피벗 가능하게 장착하기 위하여, 본 실시예에서 래치는 셸의 피벗 구멍들 내에 피벗 가능하게 있는 한 쌍의 대향하여 마주보는 지주(post)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커넥터는 전도성 셸 둘레에서 절연성 재킷(jacket)을 추가로 포함한다. 재킷은 양호하게는 고무 또는 플라스틱 재료 등의 가요성 재료로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절연성 재킷은 래치의 가압부(push portion)에 맞닿는 가요성 누름부(press portion)를 포함한다. 유리하게는, 절연성 재킷은 커넥터의 다른 요소들을 보호하며, 래치의 조작을 허용하면서 커넥터가 용이하게 파지될 수 있게 한다.
일 실시예에서, 래치는 전도성 셸과 셸 둘레의 절연성 재킷 사이에 배치된다.
일 실시예에서, 커넥터는 셸의 제2 측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하는 편의 스프링을 포함한다. 이러한 편의 스프링은 정합 소켓 리셉터클 내에서의 커넥터의 확실한 끼워맞춤과 안정한 접지 접속을 유리하게 보장한다.
일 실시예에서, 리셉터클 커넥터는 삽입시 플러그 커넥터의 정면에 대항하여 편의되어 플러그 커넥터에 대항한 제거 방향으로의 힘을 인가하는 가압 스프링을 포함한다. 이러한 가압 스프링은 유리하게는 전개된 클로의 일 측면이 소켓 리셉터클의 리세스에 대항하여 단단히 보유되게 한다. 부가적으로, 래치가 눌러져 플러그 커넥터를 해제하여 클로를 리세스로부터 후퇴시킬 때, 가압 스프링은 유리하게는 플러그 커넥터를 리셉터클 커넥터로부터 제거 방향으로 밀게 된다.
본 발명의 부가적인 특징 및 이점이 본 명세서에 기재되어 있으며, 상세한 설명, 특허청구범위 및 도면으로부터 명백하게 될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킹 기구를 갖는 전기 플러그 커넥터의 사시도.
도2는 다른 각도로 위에서 본 도1의 전기 커넥터의 사시도.
도3은 도1 및 도2의 커넥터의 단면도.
도4는 커넥터의 스프링의 평면도.
도5는 스프링의 측면도.
도6은 스프링의 저부도.
도7은 도5의 원 A로 표시된 스프링 영역의 부분 확대도.
도8은 상호 보완적인 소켓 커넥터의 사시도.
도9는 도8의 선 Ⅸ-Ⅸ를 따른 소켓 커넥터의 단면도.
도10은 소켓 커넥터와 정합하는 플러그 커넥터를 포함하는 접지된 커넥터 조립체를 도시하는 부분 단면 평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차폐 전기 커넥터
102 : 절연 하우징
106 : 단자
112 : 전도성 셸
116 : 절연성 재킷
120 : 래치
122 : 클로
130 : 래치 스프링
200 : 소켓 커넥터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시하는 도면을 참조하기로 하며, 도1 내지 도3은 본 발명의 개시 내용에 따른 특징을 구현한 플러그 커넥터(100)를 도시하고 있다. 도시된 커넥터(100)는 1394-형 커넥터이지만, 본 발명은 다른 유형의 커넥터에도 사용될 수 있다. 도8 및 도9는 플러그 커넥터(100)를 정합식으로 수용하는 대응 소켓 커넥터(200)를 도시한다. 플러그 커넥터(100)와 소켓 커넥터 또는 리셉터클(200)은 도10에 정합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도1과 도2를 참조하면, 플러그 커넥터(100)는 절연 하우징(102)을 포함한다. 전자기 차폐를 제공하기 위해, 전도성 내부 차폐체(104)는 하우징(102) 둘레의 주변을 따라 배치된다. 하우징(102)은 복수개의 전도성 단자(106)를 각각 보유하는 복수개의 단자 공동을 포함한다. 단자 개구(108)는 단자(106)로의 접근을 제공하도록 하우징(102) 내에 형성된다. 중간 하우징(109, 도3 참조)은 내부 차폐체의 외측에 배치된다. 케이블(110), 예컨대 동축 케이블은 신호 또는 전력을 커넥터(100)에 대해 분배하거나 그로부터 분배받도록 하우징(102)의 후방에 장착된다. 케이블(110)은 각각의 단자(106)와 접속되는 전도성 리드를 포함한다.
강력한 강성 및 전자기 차폐를 제공하기 위해, 플러그 커넥터(100)는 하우징(102)의 일부를 둘러싸는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전도성 셸(112)을 포함한다. 셸(112)의 전방 삽입 부분(114)은 소켓 커넥터(200, 도8 내지 도10 참조)에 대한 접근을 제공하는 전방 개구를 갖는다. 플러그 커넥터(100)의 전방 부분에서, 전도성 셸(112)과 하우징(102)은 간극(113)에 의해 분리된다. 전도성 셸(112)은 강성이고, 다이-캐스팅 또는 기계 가공에 의해 알루미늄 등의 금속으로부터 형성될 수도 있다. 셸(112)은 양호하게는 저부 요소와 병렬로 배치된 상부 요소를 포함한다.
역시 도1 내지 도3을 참조하면, 보호 및 파지를 위해, 커넥터(100)는 전도성 셸(112)의 외부 둘레에 배치된 절연성 재킷(116)을 추가로 포함한다. 재킷(116)은 성형 합성 수지와 같은 가요성 재료로 형성된다. 셸(112)의 삽입부(114)는 소켓 리셉터클(200)에 적절히 정합식으로 삽입되기 위해 재킷(116)의 전방으로 연장된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100)를 해제 가능하게 고정시키기 위해, 플러그 커넥터(100)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은 가동 래치(120)를 포함한다. 래치(120)는 하우징(102)과 셸(112) 사이에 배치된다. 래치(120)의 전방부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셸(112) 내의 제1 구멍을 통해 외측으로 돌출한 클로(122)를 형성한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래치(120)의 후방 단부는 피벗(124)에서 셸(112)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특히, 피벗(124)은 래치(120)의 대향한 측면들로부터 연장되며 셸(112) 내의 해당 피벗 구멍 내에 피벗 가능하게 위치되는 한 쌍의 대향하여 마주보는 지주를 포함한다. 피벗(124)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는 래치(120)는 셸(112) 내의 제2 구멍을 통해 접근 가능한 가압부(126)를 갖는다. 래치(120)는 금속 또는 단단한 플라스틱과 같은 강성 재료로 형성된다.
래치(120)는 셸(112)에 대하여 상기 피벗 상에서 이동 가능하여 클로(112)가 도1 및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신장 위치와, 클로(122)가 셸(112) 내의 해당 구멍을 통해 후퇴하는 후퇴 위치 사이에서 선택적으로 이동한다.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클로(112)는 일방향 로킹 삽입을 위해 램프형이다. 래치 스프링(130)은 통상 상태에서 래치(120)를 외측으로 편의시키기 위해 차폐체(104)의 외벽과 래치(120) 사이에서 셸(112) 상에 배치된다. 래치 스프링(130)은 도4 내지 도7을 참조하여 이하에 더욱 상세하게 설명되어 있다.
클로(122)를 신장 또는 로킹 위치로부터 해제하기 위해, 사용자는 래치(120)의 가압부(126) 상에 압력을 가함으로써, 래치(120)를 래치 스프링(130)의 편의력에 대항하여 이동시켜서 클로(122)를 후퇴시킨다. 도1과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킷(116)은 양호하게는 래치의 가압부 상에 놓이는 누름부(132)를 포함한다. 재킷의 누름부(132)는 추가의 가요성을 위해 슬롯(134)에 의해 형성된다.
단단한 정합식 삽입 및 양호한 접지를 위해, 도시된 실시예의 플러그 커넥터(100)는 통상 상태에서 셸(112)의 대향 측면 상의 리세스(139)로부터 돌출되는 돌출부(138)를 갖는 접지 스프링(136)을 포함한다. 접지 스프링(136)의 돌출부(138)는 정합시에 소켓 커넥터(200)에 의해 가해지는 삽입 방향으로의 활주력과 만났을 때 리세스(139) 내로 후퇴하지만, 외측 편의는 유지한다.
다음은 도4 내지 도7을 참조하면, 스프링(130)이 보다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래치 스프링(130)은 U자형 만곡부(144, 도5)에 의해 연결된 일 측면 상의 제1 판(leaf, 140)과, 제2 측면 상의 제2 판(142)을 가지며, 한 쌍의 개별 자유 단부(146, 148)를 갖는 포개진 형상(folded-over shape)으로 일체로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스프링(130)은 래치(120, 도3)가 사용자에 의해 눌렸을 때 로킹 클로(122)의 후퇴 위치에 대응하는 편리한 '딸깍 소리'를 내거나 마찰 느낌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딸깍 소리' 피드백은 사용자에게 래치가 해제되었으므로 플러그(100)가 제거될 수 있음을 알려준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래치(120)에 대항하여 외측으로 편의시키는 플러그 커넥터(100) 내 정상 위치에 위치된 때, 래치 스프링(130)의 자유 단부(146, 148)는 대체로 서로를 향해 있지만, 약간씩 서로에 대하여 편위(offset)되어 있다.
도7은 자유 단부(146, 148)의 정상 편위 위치를 상세하게 도시하는 도5의 부분(A)의 확대도로서, 자유 단부(146, 148)는 팽창/수축 방향으로 소정의 간극(α)에 의해 약간 분리되어 있다. 양호한 실시예에 있어서, 각각의 자유 단부(146, 148)는 테이퍼형이거나 정점을 이루는 형상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자유 단부(146)는 테이퍼형 표면(150, 152)을 포함하고, 자유 단부(148)는 테이퍼형 표면(154, 156)을 포함한다. 자유 단부(146, 148)는 중첩 치수(β)로 서로 중첩되어 있어서, 래치(120, 도3)가 가압되면, 스프링(130)을 편향시키고, 자유 단부(146, 148)들은 서로를 향해 이동하여 서로 접촉한다. 중첩 치수(β)는 래치 스프링(130)의 계속적인 편향(deflection)이 자유 단부(146, 148)들을 소정의 약간의 마찰 간섭 또는 '딸깍 소리'를 생성하면서 서로를 가로지르게 하도록 선택된다. 테이퍼형 표면(150, 152, 154, 156)은 자유 단부(146, 148)들이 서로 타고 올라가는 것을 돕는다.
예를 들어, 적절한 래치 스프링(130)은 약 0.2 ㎜의 판 두께(θx2)를 가지며. 중첩 치수(β)는 약 0.05 ㎜이고 간극(α)은 약 0.07 ㎜로 설정된다. 래치 스프링(130)은 탄성 스프링 금속으로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래치 스프링(130)의 편의력은 스프링(130)으로부터 재료를 절단함으로써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원형 슬롯(160)은 스프링 판(142)의 폭 방향으로 중간부 내에 형성된다. 또한, 예를 들면 절결 슬롯(162)은, 소정의 저항성을 제공하기 위해 필요로 하는 만큼 전체 스프링력을 조절하도록 다른 하나의 스프링 판(140)의 폭 방향으로 양 측면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이제 도8을 참조하여 소켓 커넥터(200)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소켓 커넥터(200)는 플러그 커넥터(100)의 삽입부(114)를 수용하도록 전방에 형성된 삽입 포트(204)를 한정하는 절연 소켓 본체(202)를 포함한다(도1 내지 도3). 소켓 본체(202)는 삽입 포트(204) 내에서 전방으로 돌출하는 안내 슬리브(206)를 형성하고, 상기 안내 슬리브(206)는 플러그 커넥터(100, 도1 내지 도3)의 간극(113) 내에 끼워지고 플러그 커넥터(100)의 하우징(102)의 전방부를 수용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켓 본체(202)는 복수개의 전도성 단자(208)들을 보유하는 복수개의 단자 공동을 형성한다. 소켓 본체는 안내 슬리브(206) 내에서 전방으로 돌출하고 상부에 단자(208)의 접촉부가 배치된 단자 플랫폼(210)을 포함한다. 단자 플랫폼(210)은 플러그 커넥터(100, 도1 및 도2)의 단자 개구(108) 내에 수용되어 소켓 커넥터(200)의 단자(208)들이 플러그 단자(106)들과 접촉되도록 형성된다. 전도성 단자(208)의 미부(212)는 회로 기판의 대응하는 전도성 패드에 연결되도록 소켓 본체(202)의 후방으로부터 돌출한다. 소켓 커넥터(200)는 합성 수지로 성형될 수 있다.
전자기 차폐를 제공하기 위해,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차폐체(214)는 안내 슬리브(206) 내에 배치된다. 플러그 커넥터(100)의 삽입부(114)가 삽입된 때, 내부 차폐체(214)는 플러그 커넥터(도1 및 도2 참조)의 내부 차폐체(104)와 다중 표면(multi-surface) 접촉 상태로 된다. 또한, 리세스(216)는 도8과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 커넥터(100, 도1 내지 도3)의 로킹 클로(locking claw, 122)를 잠김 가능하게 수용하도록 소켓 본체(202)의 소정 위치에 마련된다.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리세스(218)는 접지 스프링(136)을 수용하도록 삽입 포트(204)의 대향 측면에서 소켓 본체(202) 내에 마련된다. 전도성 차폐체의 일부분은 리세스(216 및/또는 218) 내에 배치될 수 있다. 클로(122)와 접지 스프링(136)은 각각 플러그 커넥터(100)와 소켓 커넥터(200) 사이에 접지 접촉을 제공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220)는 양호하게는 소켓 커넥터(200)와 정합하는 플러그(100)에 대항하여 외력이 제공되는 경우 피벗 지점으로서 역할하는 지점에서, 전술된 내부 차폐체(214)의 내부 표면 상에 형성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내부 차폐체(214)와 플러그 커넥터(100)의 내부 차폐체(104) 사이의 접촉 안정성을 유지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소켓 본체(202)는 대향 측면들에서 장착 블록(222, 224)들을 형성한다. 한 쌍의 나사 구멍(226)은 소켓 커넥터(200)를 확고히 장착시키기 위해 삽입 방향으로 소켓 본체(202) 내에 구비된다. 또한, 한 쌍의 나사 구멍(228)이 수직 방향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따라서, 소켓 커넥터(200)는 패널 또는 회로 기판 상에 장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켓 본체(202)는 나사 구멍(228)을 통해 연장하는 한 쌍의 나사(230)를 사용하여 (도시 안된) 회로 기판 상에 장착된다.
클로(122, 도1 내지 도3 및 도10)의 로킹 작용을 강화하고 소켓 커넥터(200)로부터 플러그 커넥터(100)의 제거를 돕기 위해,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켓 커넥터(200)는 사행형(serpentine) 가압 스프링(232)들을 포함한다. 각각의 가압 스프링(232)은 대체로 삽입 포트(204)의 가장 깊은 부분 내에 장착된다. 이들 스프링(232)들은 양호하게는 전도성 금속 판을 Z자형 또는 사행형으로 절곡함으로써 형성된다. 플러그 커넥터(100)의 전방면은, 가압 스프링(232)이 제거 방향으로 플러그 커넥터(100)에 대항하여 편의되도록 가압 스프링(232)과의 접촉 상태로 이동된다. 도8 내지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각각의 가압 스프링의 개별 접촉 단부(234)는 L자형으로 절곡되며 전술한 소켓 본체(202)의 저부면으로부터 돌출한다. 스프링 단부(234)는 납땜 등에 의해 회로 기판의 (도시 안된) 접지 접촉부에 연결될 수 있다. 이는 소켓 커넥터(200)의 접지된 부분과 접지 접촉하는 접지 스프링(136)과 클로(122)에 의해 접지 접촉이 강화됨으로써 플러그 커넥터(100)와 소켓 커넥터(200) 모두에 대해 안정적인 접지를 이루는 장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서 특정하여 설명한 예시적인 실시예로 제한되지 않는다. 반대로, 당해 기술 분야의 숙련자들은 본 명세서에서 특정하게 설명된 실시예들에 대해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로부터 벗어남 없이 만들어질 수 있는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청구범위는 이러한 변경과 수정을 포함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우발적인 플러그 결합 해제를 방지하도록 해제 가능하게 로킹 가능하며, 강하고 안정한 접속을 제공하는 신뢰성이 향상된 플러그 및 소켓 커넥터가 제공된다.

Claims (20)

  1. 차폐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복수개의 단자 공동을 포함하는 절연 하우징과,
    각각의 단자 공동 내로 삽입된 복수개의 단자와,
    상기 하우징의 일부분을 둘러싸며, 정합하는 소켓 커넥터가 접근하기 위한 전방 개구와, 제1 측면 내의 제1 구멍 및 제2 구멍을 구비하는 전도성 셸과,
    상기 셸 상에 배치되며, 상기 셸 상에 피벗 가능하게 장착된 후방 단부와, 상기 셸 내의 상기 제2 구멍을 통해 접근할 수 있는 가압부와, 상기 셸 내의 상기 제1 구멍을 통해 외측으로 돌출하는 클로를 구비하는 래치와,
    상기 래치를 외측으로 편의시키도록 래치에 대항하여 배치된 래치 스프링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폐 전기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셸 내에서 상기 하우징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내부 차폐체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폐 전기 커넥터.
  3. 청구항 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는 커넥터 둘레의 절연성 재킷과 전도성 셸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폐 전기 커넥터.
  4. 청구항 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은 전도성 셸과 래치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폐 전기 커넥터.
  5. 청구항 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는 셸 내의 피벗 구멍 내에 피벗 가능하게 장착된 지주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폐 전기 커넥터.
  6. 청구항 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셸 둘레에 절연성 재킷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폐 전기 커넥터.
  7. 청구항 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성 재킷은 래치의 가압부에 대하여 맞닿는 가요성 누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폐 전기 커넥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셸의 제2 측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한 접지 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폐 전기 커넥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 스프링은 상기 래치가 래치 스프링의 편의에 대항하여 가압되면 딸깍 소리를 내면서 자유 단부들이 서로를 가로지르도록 통상 상태에서는 서로 근접 배치되는 2개의 자유 단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폐 전기 커넥터.
  10. 플러그 커넥터에 있어서,
    복수개의 단자 공동을 포함하는 절연 하우징과,
    각각의 단자 공동 내로 삽입된 복수개의 단자와,
    하우징의 일부분을 둘러싸며, 정합하는 소켓 커넥터가 접근하기 위한 전방 개구를 갖는 전도성 셸과,
    상기 전도성 셸 내의 리세스와,
    정합하는 소켓 커넥터와 접촉하도록 상기 리세스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한 부분을 갖는 접지 스프링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커넥터.
  11. 청구항 11(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셸 내에서 상기 하우징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내부 차폐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커넥터.
  12. 청구항 1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셸 주위에 절연성 재킷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커넥터.
  13. 차폐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복수개의 단자 공동을 포함하는 절연 하우징과,
    각각의 단자 공동 내로 삽입된 복수개의 단자와,
    하우징의 부분을 둘러싸며, 정합하는 소켓 커넥터를 수용하는 전방 개구와, 제1 측면 내의 제1 구멍 및 제2 구멍과, 제2 측면 내의 리세스를 갖는 전도성 셸과,
    상기 셸 내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셸 내의 제2 구멍을 통해 접근 가능한 가압부와 상기 셸 내의 제1 구멍을 통해 외측으로 돌출한 클로를 갖는 래치와,
    상기 래치를 외측으로 편의시키도록 래치에 대항하여 배치된 래치 스프링과,
    정합하는 소켓 커넥터와 접촉하도록 상기 리세스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한 부분을 갖는 접지 스프링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폐 전기 커넥터.
  14. 청구항 1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셸 내에서 하우징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내부 차폐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접지 스프링이 내부 차폐체와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폐 전기 커넥터.
  15. 청구항 1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는 전도성 셸과 상기 커넥터 주위의 절연성 재킷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폐 전기 커넥터.
  16. 청구항 16(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5항에 있어서, 래치 스프링은 전도성 셸과 래치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폐 전기 커넥터.
  17. 청구항 1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는 상기 셸 내의 피벗 구멍 내에 피벗 가능하게 장착되는 지주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폐 전기 커넥터.
  18. 청구항 1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셸 둘레에 절연성 재킷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폐 전기 커넥터.
  19. 청구항 19(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성 재킷은 상기 래치의 가압부에 대하여 맞닿는 가요성 누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폐 전기 커넥터.
  20. 청구항 20(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 스프링은 상기 래치가 래치 스프링의 편의에 대항하여 가압되면 딸깍 소리를 내면서 자유 단부들이 서로를 가로지르도록 통상 상태에서는 서로 근접 배치되는 2개의 자유 단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폐 전기 커넥터.
KR1020000003561A 1999-01-26 2000-01-26 로킹 기구 및 금속 스프링을 갖는 전기 커넥터 KR10032356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01683799A JP4074022B2 (ja) 1999-01-26 1999-01-26 シールドコネクタ
JP99-16837 1999-01-26
JP99-152484 1999-05-31
JP15248499A JP4191321B2 (ja) 1999-05-31 1999-05-31 ロック機構付き電気コネクタ及び金属製スプリン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71291A KR20000071291A (ko) 2000-11-25
KR100323563B1 true KR100323563B1 (ko) 2002-02-19

Family

ID=119273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03561A KR100323563B1 (ko) 1999-01-26 2000-01-26 로킹 기구 및 금속 스프링을 갖는 전기 커넥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4074022B2 (ko)
KR (1) KR10032356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8813B1 (ko) 2008-04-01 2010-12-06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차폐형 커넥터 하우징 어셈블리 및 이를 위한 도전성탄성부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3065515A1 (en) * 2002-02-01 2003-08-07 Seung-Kee Mo Ground connector
JP2004014384A (ja) * 2002-06-10 2004-01-15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ロック付きコネクタ
JP3969400B2 (ja) * 2004-04-09 2007-09-05 松下電工株式会社 コネクタ
WO2009145457A1 (en) * 2008-04-01 2009-12-03 Ls Cable Ltd. Elastic member and shielded connector assembly having the same
JP2018037285A (ja) * 2016-08-31 2018-03-08 オムロン株式会社 コネクタユニット
CN108281865B (zh) * 2018-01-24 2024-02-20 东莞市小迈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锁死功能的转换插座
JP7334583B2 (ja) * 2019-11-11 2023-08-29 オムロン株式会社 端子台
CN117691398B (zh) * 2024-02-02 2024-04-09 山东宇田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回馈单元线束连接组件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8813B1 (ko) 2008-04-01 2010-12-06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차폐형 커넥터 하우징 어셈블리 및 이를 위한 도전성탄성부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71291A (ko) 2000-11-25
JP2000215948A (ja) 2000-08-04
JP4074022B2 (ja) 2008-04-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80227B1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locking mechanism and metal spring
JP2887579B2 (ja) ロック式電気コネクタとその製造方法
EP0188876B1 (en) Shielde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JP2891440B2 (ja) 同軸型電気コネクタ
EP0630080B1 (en) Circuit board mountable modular phone jack
US7367833B2 (en) Connector with anti-rotation and anti-return mechanisms
US6007382A (en) Electrical connector
WO1986000473A1 (en) Printed circuit board header having coaxial sockets therein and matable coaxial plug housing
WO2003098752A1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utilizing multiple ground planes
US20040018766A1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retention system for mounting onto a printed circuit board
KR100532003B1 (ko) 로크 부분을 구비한 차폐 외피를 가지는 커넥터
JPH0511667Y2 (ko)
US6168467B1 (en) Receptacle connector
KR100323563B1 (ko) 로킹 기구 및 금속 스프링을 갖는 전기 커넥터
US7044790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electrically connecting inner and outer shells
US6988908B2 (en) Cable end connector assembly with a pressing device
JP3423786B2 (ja) 2重シールドコネクタ
KR100396978B1 (ko) 래칭 포스트, 래칭 장치 및 전기 커넥터
US6319060B1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shield interferentially engaged thereto
US6994591B2 (en) Electrical connector for use with flexible printed circuit
US20050026500A1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with improved latch means
US5320546A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interlocked components
US6830485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a terminal pin stabilizing plate
US6290542B1 (en) Cable end connector
KR20010062541A (ko) 전기 커넥터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8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8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4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1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