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21792B1 - 공간모델의이력지원확장방법 - Google Patents

공간모델의이력지원확장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21792B1
KR100321792B1 KR1019980026034A KR19980026034A KR100321792B1 KR 100321792 B1 KR100321792 B1 KR 100321792B1 KR 1019980026034 A KR1019980026034 A KR 1019980026034A KR 19980026034 A KR19980026034 A KR 19980026034A KR 100321792 B1 KR100321792 B1 KR 1003217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tial
history
attribute
support
data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260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04590A (ko
Inventor
김성룡
류근호
안병익
이종연
Original Assignee
이계철
한국전기통신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계철, 한국전기통신공사 filed Critical 이계철
Priority to KR10199800260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21792B1/ko
Publication of KR200000045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45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17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1792B1/ko

Lin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emote Sensing (AREA)
  • Software Systems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본 발명은 공간모델의 이력지원 확장 방법에 관한 것임.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공간모델의 공간 데이터베이스의 시간차원 확장을 통해 시공간 데이터베이스 모델과 이력 관리 체계를 구성하여 지형객체의 모든 이력정보를 유지 관리하기 위한 이력지원 확장 방법을 제공하고자 함.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일반적인 컴퓨팅 시스템에 적용되는 공간모델의 이력지원 확장 방법에 있어서, 상기 컴퓨팅 시스템의 중앙처리장치의 제어에 따라, 상기 공간모델을 구동시키는 제 1 단계; 상기 공간모델을 바탕으로, 공간 데이터베이스에서 공간이력을 지원하기 위한 모든 지형객체에 대해 공간이력 테이블 및 속성이력 테이블을 확장하고, 확장된 상기 속성이력 테이블에 이력속성을 추가하여, 공간 데이터에 대한 이력지원을 가능하게 하고 상기 공간 데이터베이스 안에 있는 공간 데이터를 변경하는 제 2 단계; 및 상기 공간 데이터 변경시에, 시공간 데이터베이스에서 각 릴레이션을 변경하여 상기 지형객체의 이력지원을 확장하는 제 3 단계를 포함함.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본 발명은 공간모델의 이력정보 유지 관리 등에 이용됨.

Description

공간모델의 이력지원 확장 방법{Method of historical extension for spatial data model}
본 발명은 공간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의 시간차원 확장 방안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컴퓨팅 시스템에서 공간모델 공간 데이터베이스의 시간차원 확장을 통해 시간과 공간을 동시에 지원하는 시공간 데이터베이스 모델과 이력 관리 체계를 구성하여, 지리정보시스템(GIS : 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 공간 데이터베이스의 시간차원 확장으로 지형객체의 모든 이력정보를 유지 관리할 수 있는 이력지원 확장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공간상의 지형객체는 토지의 소유주 변경, 소유주의 신상 변경, 토지의 합병과 분할, 도로의 신설 및 변경에 따라 지형 변경 등과 같은 공간 또는 속성 변화에 따라 공간이력 데이터가 발생되었다.
그러나, 종래의 지리정보시스템(GIS)은 측정시점에서 지형객체의 스냅샷 정보만을 관리하므로 시간 흐름에 따른 공간이력을 유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공간모델의 공간 데이터베이스의 시간차원 확장을 통해 시공간 데이터베이스 모델과 이력 관리 체계를 구성하여 지형객체의 모든 이력정보를 유지 관리하기 위한 이력지원 확장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일반적인 컴퓨팅 시스템의 하드웨어 구성 예시도.
도 2a 및 2b 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SDE 공간데이터 모델 및 SDE 지형객체를 나타낸 설명도.
도 2c 는 본 발명에서 정의한 시공간 지형객체를 나타낸 설명도.
도 3 은 본 발명에 이용되는 SDE 시간차원을 확장한 데이터 모델의 이력체계를 나타낸 설명도.
도 4a 는 본 발명에 이용되는 지형객체의 공간연산결과 및 초기의 공간 릴레이션 예시도.
도 4b 는 본 발명에 이용되는 시공간 데이터베이스에서의 이력지원 예시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공간모델의 이력지원 확장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중앙처리 장치 2 : 주기억 장치
3 : 입출력 제어기 4 : 보조기억 장치
5 : 입출력 장치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일반적인 컴퓨팅 시스템에 적용되는 공간모델의 이력지원 확장 방법에 있어서, 상기 컴퓨팅 시스템의 중앙처리장치의 제어에 따라, 상기 공간모델을 구동시키는 제 1 단계; 상기 공간모델을 바탕으로, 공간 데이터베이스에서 공간이력을 지원하기 위한 모든 지형객체에 대해 공간이력 테이블 및 속성이력 테이블을 확장하고, 확장된 상기 속성이력 테이블에 이력속성을 추가하여, 공간 데이터에 대한 이력지원을 가능하게 하고 상기 공간 데이터베이스 안에 있는 공간 데이터를 변경하는 제 2 단계; 및 상기 공간 데이터 변경시에, 시공간 데이터베이스에서 각 릴레이션을 변경하여 상기 지형객체의 이력지원을 확장하는 제 3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SDE 공간 데이터베이스의 시간차원 확장을 통하여 시간과 공간을 동시에 지원하는 시공간 데이터베이스 모델과 이력 관리 체계를 구성하는 방법으로, GIS 공간 데이터베이스의 시간차원 확장으로 지형객체의 모든 이력정보를 유지 관리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SDE 공간 데이터베이스 모델과 이력 관리 체계를 구성하는 방법으로 구현된 시공간 데이터 모델에서는 단순히 소유주의 변경과 같은 속성 연산과 분리, 합병, 재구성과 같은 공간 연산에 의해 발생되는 모든 이력 데이터를 유지, 관리할 수 있으며, 이력질의 연산자 지원에 의해 지정된 객체의 모든 이력 질의도 가능하다. 또한, 구현된 시공간 데이터베이스에서는 과거의 이력 데이터는 물론 현재의 모든 유효 정보를 유지 관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력 정보의 검색과 질의가 가능하다.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일반적인 컴퓨팅 시스템의 하드웨어 구성 예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일반적인 컴퓨팅 시스템은 컴퓨터의 전체 동작을 제어하고 관리하는 중앙처리장치(1)와, 내부연결버스에 접속되어 중앙처리장치(1)에서 수행할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작업 수행중 이용되는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는 주기억장치(2)와, 내부연결버스에 접속되어 보조기억장치(4)와 입출력장치(5)에 대한 입출력을 입출력버스를 통해 제어하는 입출력 제어기(3)로 구성된다.
보조기억장치(4)는 지리정보 데이터베이스 등 대량의 데이터를 저장하고, 입출력장치(5)는 일반적인 키보드, 디스플레이 장치, 및 프린터 등을 포함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일반적인 컴퓨팅 시스템의 주기억장치(2)는공간 데이터베이스 엔진(SDE : Spacial Database Engine) 공간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및 SDE 공간모델의 이력지원 기능이 확장된 프로그램을 실장하며, 중앙처리장치(1)의 제어에 의해 제어된다.
도 2a 및 2b 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SDE 공간데이터 모델 및 SDE 지형객체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SDE 공간데이터 모델은 비위상(Non-topological) 구조의 객체기반 데이터 모델이며, 지도(M), 데이터 세트(D), 계층(L), 지형객체(S)로 나타낼 수 있다.
상기에서, 공간 지도(M)는 주요 영역에 따라 데이터 세트(D)의 논리적인 단위로 분류되며, 데이터 세트(D)는 유사한 객체 그룹을 형성하는 계층(L) 단위로 관리된다. 또한, 계층(L)은 유사한 지형객체(S)의 그룹으로 한 개 또는 그 이상의 유사한 지형객체(S)를 저장한다.
도 2b를 참조하면, 지형객체(S)는 공간벡터(F), 속성벡터(A), 및 공간객체의 그래픽 구성요소(FC)로 나타낼 수 있다.
상기에서, 지형객체(S= F, [A])는 공간적 특성을 나타내는 공간벡터(F), 선택적인 속성벡터(A), 및 지형객체의 그래픽 구성요소(FC)로 표현된다. 여기서, 그래픽 구성요소(FC)는 점, 선, 영역을 구성하는 점들의 집합을 가리키는 속성값을 나타낸다.
도 2c 는 본 발명에서 정의한 시공간 지형객체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일반적으로, 공간정보는 기본적인 공간속성 및 그 구성요소의 표현으로 고정되지만, 속성정보는 응용 분야에 따라 생략되거나 기술될 수 있다.
따라서, 지형계층에는 실질적으로 폴리곤(Polygon), 도넛 폴리곤(Donut-polygon)과 같은 유사한 객체 그룹을 함께 저장할 수 있으며, 지형객체는 반드시 그 객체의 공간정보와 선택적인 속성정보에 의해 표현된다.
SDE 시간확장 모델에서 시공간 데이터베이스를 구성하는 시공간 객체는 점, 선, 영역의 기본 객체 클래스와 복합 객체 클래스로 분류되며, 공간정보와 속성정보를 분리 저장하는 이원적 구조를 갖는다.
도 2c를 참조하면, 시공간 지형객체(ST)는 공간벡터 유효시간 벡터(VT = VTs, VTe), 및 이력 지시자(prev)의 사차원 벡터(F, A, VT, prev)로 표현된다.
기본적으로, 설계된 시공간 데이터 모델은 SDE 공간 데이터 모델의 데이터 세트, 계층 구조를 유지하고 공간정보와 속성정보를 분리 저장하는 이원적 데이터베이스 저장 구조를 갖는다. 또한, 현재의 공간정보와 속성정보는 공간 릴레이션 (F', FC')과 시간차원 및 이력 지시자가 확장된 속성 릴레이션(A', VT', prev')으로 표현되고, 공간 및 속성 이력정보는 공간 이력 릴레이션(F", FC")과 시간차원 및 이력 지시자가 확장된 속성 이력 릴레이션(A", VT", prev")에 의해 표현된다. 단, 상기 정의에서 { }는 반복을 의미하고, [ ]는 선택 사항을 나타낸다.
여기서, 시공간 객체의 공간정보는 SDE 공간 데이터 모델과 같이 객체 식별자를 비롯한 면적, 엔티티 유형, 무게 중심 등의 1개 이상으로 표현되지만, 시공간 속성벡터는 이력 데이터 표현을 위하여 기본적으로 객체 식별자, 유효시간의 시작시간(VTs)과 종료시간(VTe), 이력 지시자(prev) 등 4개 이상의 속성들로 구성된다. 또한, 속성벡터는 종래의 SDE 공간 데이터 모델에서 선택적으로 표현되었으나, 설계된 시공간 데이터 모델는에서 그 이력 데이터를 위해 반드시 존재해야 한다.
도 3 은 본 발명에 이용되는 SDE 시간차원을 확장한 데이터 모델의 이력체계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SDE 시간차원을 확장한 데이터 모델은 공간에서 발생하는 지형객체의 이력 지원을 목표로 시간차원 저장을 위한 유효시간과 이력정보를 위한 이력 지시자(Historical Pointer)의 확장, 효율적인 이력 데이터의 관리를 위한 이력 테이블(History Table)을 추가적으로 지원하고 있다. 또한, 속성 테이블은 종래의 SDE 공간 데이터 모델에서 선택적으로 지원되었으나, 시공간 데이터 모델에서는 객체의 유효시간과 그 이력 지시자의 유지를 위하여 반드시 존재해야 한다. 여기서, 유효시간은 단지 속성 테이블(A')에 유효시간의 시작시간과 종료시간의 시간속성 확장으로 설계되며, 이력 지시자는 지형객체의 이력정보로서 객체 식별자의 자료형 확장으로 설계된다.
따라서, 공간 및 속성 테이블(F', A')에는 현재 공간에서 관리되고 있는 지형객체의 공간정보와 속성정보가 저장되며, 공간 및 속성 이력 테이블(F", A")에는 지형객체의 이력 데이터 저장으로 공간 연산에 의해 변경된 모든 이력정보가 기록된다.
도 4a 는 본 발명에 이용되는 지형객체의 공간연산결과 및 초기의 공간 릴레이션 예시도로서, 공간 데이터의 변경전(4a-1)과 공간 데이터의 변경후(4a-2)를 나타내는 지형객체의 공간연산 결과 및 지형객체의 공간 변경전의 공간 릴레이션(4a-3)의 예를 나타낸다.
도 4b 는 본 발명에 이용되는 시공간 데이터베이스에서의 이력지원 예시도로서, 공간 릴레이션(F'), 속성 릴레이션(A'), 공간이력 릴레이션(F"), 속성이력 릴레이션(A")을 통해 시공간 데이터베이스에서의 이력지원 예를 나타낸다.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지형객체 (가), (나), (라)는 택지를 나타내며, (다)는 도로망을 나타낸다. 여기서, 지형객체 (가)와 (나)는 시간 흐름에 따라 지형객체의 공간 변경후(4a-2)의 지형객체 (마)와 같이 택지 합병 연산의 발생을 의미하며, 시공간 데이터베이스에서 그 이력 데이터를 생성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력정보의 발생은, 기존의 GIS 경우에 과거의 이력 데이터가 삭제되고 현재의 변경된 스냅샷 정보만이 데이터베이스에 기록되지만, 시공간 데이터베이스의 경우에 이전 데이터가 과거의 이력정보로서 공간이력 테이블과 속성이력 테이블에 저장되고 현재의 공간 데이터가 공간 테이블과 속성 테이블에 신규 등록된다. 또한, 현재의 공간 데이터는 그 이력정보의 위치정보를 동시에 저장하여 차후 지형객체의 이력 질의에 의해 처리된다.
지형객체 (가)와 (나)는 1996년 6월 1일자로 합병 연산에 의해 지형객체의 공간 변경후(4a-2)의 지형객체 (마)와 같이 하나로 통합되었다. 이는 시공간 데이터베이스에 지형객체 (가)와 (나)의 공간 데이터가 이력 데이터로서 그 유효기간으로 초기부터 합병 연산이 발생하기 전까지(즉, 1996-01-01 ~ 1996-05-31)의 이력을 가지고 이력 테이블에 저장되며, 그 이력 지시자는 지형객체의 초기 모습이므로 널(NULL)값을 갖는다.
따라서, 지형객체 (가)와 (나)는 공간 및 속성 이력정보로서, "610, 가, 100-1, 북서, 1000m2, FC610'" & "610, 1996-01-01, 1996-05-31, NULL)와, "620, 나, 100-2, 북동, 1000m2, FC620'" & "620, 1996-01-01, 1996-05-31, NULL"로 과거의 공간 및 속성 이력 테이블에 저장된다.
반면에, 지형객체 (마)는 신규 생성된 지형객체로서 현재의 공간 테이블과 속성 테이블에 등록되며, 그 이력 지시자로서 (가)와 (나)를 갖는다.
따라서, 지형객체 (마)는 공간벡터 "50, 마, 100, 북향, 2000m2, FC50'"와 속성벡터 "50, 1996-06-01, now, MERGE"로 새로 저장된다. 이때, 그 이력 지시자로서 "MERGE"를 표시하고, 실제 이력 지시자는 별도의 속성 테이블에 객체 식별자와 그 이력 지시자에 의해 표현한다.
일 예로, "(50, 610) & (50, 620)"의 형태로 저장된다. 이는 합병 연산이 다른 연산과 달리 여러 개의 지형객체가 하나로 통합되므로 여러개의 이력 지시자의 효율적인 저장을 위하여 별도의 속성 테이블로 분리 관리하도록 구현하기 위함이다.
한편, 지형객체 (라)는 1996년 6월 15일자로 분리 연산에 의해 지형객체의 공간 변경후(4a-2)의 지형객체 (사)와 (아)로 분리되었다.
따라서, 지형객체 (라)는 시공간 데이터베이스에서 공간 및 속성 이력정보로서, "640, 라, 300, 남향, 2000m2, FC630'" & "640, 1996-01-01, 1996-05-31, NULL"로 과거의 공간이력 테이블 및 속성이력 테이블에 저장된다.
반면에, 분리 생성된 지형객체 (사)와 (아)는 그 이력 지시자로서 지형객체 (라)를 가리키며, 공간 테이블 및 속성 테이블에 신규로 등록된다.
따라서, 지형객체 (사)와 (아)는 공간벡터 "70, 사, 300-1, 남서, 800m2, FC60'" & 속성벡터 "70, 1996-06-01, now, 640"과 공간벡터 "80, 아, 300-2, 남동, 800m2, FC70'" & 속성벡터 "80, 1996-06-01, now, 640"로 공간 테이블 및 이력 테이블에 신규 등록된다.
한편, 지형객체 (다)는 1996년 6월 15일자로 공간크기 변경에 의해 지형객체의 공간 변경후(4a-2)와 같이 변화되었다.
따라서, 지형객체 (다)는 시공간 데이터베이스에서 공간 및 속성 이력정보로서, "630, 다, 200, 중심가, 2000m2, FC640'" & "630, 1996-01-01, 1996-05-31, NULL"로 과거의 공간이력 테이블 및 속성 이력 테이블에 저장된다.
반면에, 변경된 지형객체 (바)는 그 이력 지시자로서 지형객체 (다)를 가리키며, 공간 테이블과 속성 테이블에 신규로 등록된다.
따라서, 지형객체 (바)는 공간벡터 "60, 바, 200, 중심가, 2400m2, FC70'" & 속성벡터 "60, 1996-06-01, now, 630"로 공간 테이블 및 이력 테이블에 신규 등록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지형객체의 공간 변경전(4a-1)의 초기 지형에서 지형객체의 공간 변경후(4a-2)의 공간 변화에 따른 시공간 데이터베이스의 이력 체계는 공간 릴레이션(F')과 속성 릴레이션(A'), 공간 이력 릴레이션(F")과 속성 이력 릴레이션(A")의 이력 데이터의 변경을 나타낸다.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공간모델의 이력지원 확장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이다.
먼저, 컴퓨팅 시스템의 주기억장치(2)에 SDE 공간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및 SDE의 이력지원 기능이 확장된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으므로, 중앙처리장치(1)의 제어에 따라 SDE 공간모델을 구동시킨다(501).
이후, SDE 공간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에서 이력지원 기능을 확장하기 위하여 공간이력을 지원하기 위한 모든 객체에 대해 공간이력 테이블을 확장하고(502), 공간내에 있는 속성이력 테이블을 확장한 후에(503) 확장된 속성이력 테이블에 이력속성을 추가한다(504).
상기 공간이력 테이블을 확장하기 위한 명령어는 {admlayer -o create -d Kentucky -k COUNTY -l 405 -n `History of County' -e PD -s 1 -m local -g120000, 0, 0 }이다.
공간이력 테이블을 확장하기 위한 명령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admlayer"는 어떤 계층의 처리 명령을 나타낸다.
선택사항 "-o create"는 새로운 계층의 생성을 나타낸다.
"-d Kentucky"는 처리될 데이터 세트의 지정을 나타낸다.
"-k COUNTY"는 기존의 SDE에서 "County" 계층의 데이터베이스 튜닝 정보의 지정을 나타낸다.
"-l 405"는 계층 405의 지정을 나타낸다.
"-n `History of County'"는 계층의 이름을 나타낸다.
"-e PD"는 계층에 포함될 객체 유형의 지정을 나타낸다. 즉, 여기서는 폴리곤(Polygon)과 도넛 폴리곤(Donut Polygon) 유형을 가질 수 있음을 의미한다.
"-s 1"은 암호화 레벨을 나타낸다.
한편, 상기 속성이력 테이블을 확장하기 위한 명령어는 {admattr -o create -d Kentucky -l 405 -s `-name varchar(20), tot_pop NUMBER(30)'}이다.
SDE 공간 데이터베이스는 기본적으로 공간 테이블과 속성 테이블에 의해 관리되며, 속성 테이블은 기존의 SDE 공간 데이터베이스에서 필요에 따라 계층별로 생성 또는 삭제될 수 있다.
그러나, SDE 시간확장 모델에서 속성 릴레이션은 지속적으로 지형객체의 이력정보를 유지해야 하므로 반드시 계층마다 생성되어 관리되어야 한다.
따라서, 이력속성을 추가하기 위한 명령어는 {admattr -o alter -d Kentucky -l 405 -s `add VTs DATE, VTe DATE, prev NUMBER(38)'}이다.
이력속성을 추가하기 위한 명령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admattr"은 속성 테이블의 제어 명령을 나타낸다.
"-o alter"는 속성 테이블의 변경을 나타낸다.
"-d Kentucky"는 "Kentucky" 데이터 세트의 지정을 나타낸다.
"-l 405"는 계층 405의 지정을 나타낸다.
나머지 추가되는 속성은 유효시간의 시작시간(VTs)과 종료시간(VTe), 현재 튜플의 이력정보를 가리키는 지시자로 이력 테이블의 객체 식별자(fid)를 갖는다.
상기한 바와 같이 SDE 모델에 이력지원 확장을 위한 공간이력 테이블 확장, 속성이력 테이블 확장, 유효시간의 시작과 종료에 대한 속성이 추가되면, 공간 데이터에 대한 이력지원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SDE 데이터베이스안에 있는 공간 데이터가 변화되면(505), 순차적으로 공간릴레이션, 속성 릴레이션, 공간이력 릴레이션, 속성이력 릴레이션을 변경한다(506 내지 509).
마지막으로, 모든 공간 데이터의 변화가 완료되면, SDE를 종료한다(510).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시공간 데이터 모델에서 단순히 소유주의 변경과 같은 속성 연산과 분리, 합병, 재구성 등과 같은 공간 연산에 의해 발생되는 모든 이력 데이터를 유지 관리할 수 있고 이력질의 연산자 지원에 의해 지정된 객체의 모든 이력 질의가 가능하며, 시공간 데이터베이스에서 과거의 이력 데이터는 물론 현재의 모든 유효 정보를 유지 관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력정보의 검색과 질의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Claims (9)

  1. 일반적인 컴퓨팅 시스템에 적용되는 공간모델의 이력지원 확장 방법에 있어서,
    상기 컴퓨팅 시스템의 중앙처리장치의 제어에 따라, 상기 공간모델을 구동시키는 제 1 단계;
    상기 공간모델을 바탕으로, 공간 데이터베이스에서 공간이력을 지원하기 위한 모든 지형객체에 대해 공간이력 테이블 및 속성이력 테이블을 확장하고, 확장된 상기 속성이력 테이블에 이력속성을 추가하여, 공간 데이터에 대한 이력지원을 가능하게 하고 상기 공간 데이터베이스 안에 있는 공간 데이터를 변경하는 제 2 단계; 및
    상기 공간 데이터 변경시에, 시공간 데이터베이스에서 각 릴레이션을 변경하여 상기 지형객체의 이력지원을 확장하는 제 3 단계
    를 포함하는 공간모델의 이력지원 확장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계는,
    상기 공간 데이터베이스에서 이력지원 기능을 확장하기 위하여 공간이력을 지원하기 위한 모든 객체에 대해 상기 공간이력 테이블을 확장하는 제 4 단계;
    공간내에 있는 상기 속성이력 테이블을 확장하는 제 5 단계; 및
    상기 속성이력 테이블에 유효시간의 시작과 종료에 대한 이력속성을 추가하여, 상기 공간 데이터에 대한 이력지원이 가능하도록 하고 상기 공간 데이터베이스 안에 있는 공간 데이터를 변경하는 제 6 단계
    를 포함하는 공간모델의 이력지원 확장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단계의 상기 각 릴레이션을 변경하는 과정은,
    순차적으로 공간 릴레이션, 속성 릴레이션, 공간이력 릴레이션, 및 속성이력 릴레이션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모델의 이력지원 확장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단계의 시공간 데이터베이스는,
    이전 공간 데이터를 과거의 이력정보로서 상기 공간 이력 테이블과 속성 이력 테이블에 저장하고, 현재 공간 데이터를 상기 공간 테이블과 상기 속성 테이블에 신규 등록하며,
    상기 현재 공간 데이터는,
    이력정보의 위치정보를 동시에 저장하여 상기 지형객체의 이력 질의에 의해처리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모델의 이력지원 확장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 테이블 및 상기 속성 테이블은,
    현재 공간에서 관리되고 있는 상기 지형객체의 공간정보와 속성정보가 저장되며,
    상기 공간이력 테이블 및 상기 속성이력 테이블은,
    상기 지형객체의 상기 이력 데이터의 저장으로 공간 연산에 의해 변경된 모든 이력정보를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모델의 이력지원 확장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각 공간모델은,
    공간 데이터베이스 엔진(SDE : Spacial Database Engine) 공간모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모델의 이력지원 확장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계의 상기 공간이력 테이블을 확장하기 위한 명령어는,
    {admlayer -o create -d Kentucky -k COUNTY -l 405 -n "History of County" -e PD -s 1 -m local -g 120000, 0, 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모델의 이력지원 확장 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계의 상기 속성이력 테이블을 확장하기 위한 명령어는,
    {admattr -o create -d Kentucky -l 405 -s "-name varchar(20), tot_pop NUMBER(3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모델의 이력지원 확장 방법.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계의 상기 이력속성을 추가하기 위한 명령어는,
    {admattr -o alter -d Kentucky -l 405 -s "add VTs DATE, VTe DATE, prev NUMBER(38)"}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모델의 이력지원 확장 방법.
KR1019980026034A 1998-06-30 1998-06-30 공간모델의이력지원확장방법 KR1003217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26034A KR100321792B1 (ko) 1998-06-30 1998-06-30 공간모델의이력지원확장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26034A KR100321792B1 (ko) 1998-06-30 1998-06-30 공간모델의이력지원확장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4590A KR20000004590A (ko) 2000-01-25
KR100321792B1 true KR100321792B1 (ko) 2002-03-08

Family

ID=195424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26034A KR100321792B1 (ko) 1998-06-30 1998-06-30 공간모델의이력지원확장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2179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3846A (ko) * 2000-04-26 2000-09-05 류재익 토지정보 시스템 지원을 위한 시공간 객체지향 모델링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04115A (ko) * 1997-12-11 1998-03-30 양승택 R*-tree 공간색인을 이용한 백터데이터 위상 관계 형성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04115A (ko) * 1997-12-11 1998-03-30 양승택 R*-tree 공간색인을 이용한 백터데이터 위상 관계 형성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4590A (ko) 2000-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18413B2 (en) Method and system for cross-referencing and deduplicating objects in multiple map building blocks
JP2002529819A (ja) 散在行列エントリを対応データで占める方法及び装置
WO1993017381A1 (en) System for dynamic segmentation using mixed data model
JPH0520365A (ja) 地理情報管理システムにおける複数の図面の管理方式
US6748383B1 (en) Geographic information indicator, method for displaying geographic information and storage medium for storing program for executing the same
KR20060049696A (ko) 모델링된 대상물의 데이터베이스를 네비게이션하기 위한그래픽적 방법
US20020188669A1 (en) Integrated method for disseminating large spatial data sets in a distributed form via the internet
CN110399441A (zh) 一种海量点数据聚合渲染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US20060268406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spatial data
US6081802A (en) System and method for accessing compactly stored map element information from memory
KR100321792B1 (ko) 공간모델의이력지원확장방법
US5956727A (en) Heterogeneous database system with data source extensibility and alteration of database functions
KR20000040270A (ko) 전자지도상에서의 사용자 레이어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JPS6398780A (ja) 図面表示方式
Hardy Multi-scale database generalisation for topographic mapping, hydrography and web-mapping, using active object techniques
Hardy Map production from an active object database, using dynamic representation and automated generalisation
Lee Integrating spatial and temporal relationship operators into SQL3 for historical data management
JPS62147570A (ja) 地図情報検索システム
WO2014073081A1 (ja) 時空間データ管理システム、時空間データ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010078857A (ko) 지리정보시스템 기반의 부동산 매물 관리방법 및 이를적용한 부동산중개관리시스템
KR100663606B1 (ko) 지도정보 좌표값을 이용한 다조건 최적경로 산출방법
Shenoy et al. Data definition and manipulation languages for a CAD database
KR100501905B1 (ko) 가상 시설레코드를 이용한 중첩시설물 정보 처리 장치 및그 방법
JP2958385B2 (ja) データベース参照装置
JP2675410B2 (ja) 図形処理方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105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