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21307B1 - 주차장 안내장치 및 안내방법 - Google Patents

주차장 안내장치 및 안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21307B1
KR100321307B1 KR1019990009638A KR19990009638A KR100321307B1 KR 100321307 B1 KR100321307 B1 KR 100321307B1 KR 1019990009638 A KR1019990009638 A KR 1019990009638A KR 19990009638 A KR19990009638 A KR 19990009638A KR 100321307 B1 KR100321307 B1 KR 1003213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king lot
parking
information
information board
lo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096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60943A (ko
Inventor
금기정
김주현
Original Assignee
금기정
김주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기정, 김주현 filed Critical 금기정
Priority to KR10199900096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21307B1/ko
Publication of KR200000609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609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13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1307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4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 G08G1/141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with means giving the indication of available parking spaces
    • G08G1/142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with means giving the indication of available parking spaces external to the vehicl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차장 안내장치 및 안내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단위지역내의 개별주차장에 설치되며 해당 주차장의 입고 및 출고차량대수에 관한 데이터를 공중전화망(PSTN) 또는 전용회선을 통해 중앙통제소로 전송하는 주차장 이용정보 전송장치(20,30)와; 단위지역내의 도로변에 설치되며 현재위치와 해당 지역내에 설치된 주차장의 위치 및 이용상황을 디스플레이하여 주차장 이용차량을 유도하는 주차정보판(60)과; 상기 중앙통제소에 설치되며 주차장 이용정보 전송장치(20,30)로 부터 인가된 해당 주차장의 입고 및 출고차량대수에 관한 데이터와 해당 주차장의 특성에 관한 데이터에 따라 해당 주차장의 이용가능성을 판단하고, 그 결과를 상기 주차정보판(60)으로 출력하여 디스플레이하는 주차장 운용시스템(50)을 구비한다. 따라서, 단위지역내에 설치된 주차장의 위치와 이용가능여부를 주차정보판(60)을 통해 주차장 이용자에게 실시간(Real-Time)으로 제공하므로, 주차장 이용자의 편의를 증진할 수 있으며 아울러 도심지역, 상업지역, 업무지역, 관광지역의 특성에 알맞게 주차장 이용차량을 분산시켜 우회차량으로 인한 교통혼잡을 해소할 수 있다..

Description

주차장 안내장치 및 안내방법{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guiding a vehicle to a parking lot}
본 발명은 주차장 안내장치 및 안내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단위지역내에설치된 주차장의 위치 및 이용가능성을 사전에 운전자에게 알려줌에 따라 주차를 위해 주변을 배회하는 우회차량으로 인한 교통혼잡 뿐만 아니라 불필요한 연료의 소비를 방지하는 주차장 안내장치 및 안내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대부분의 고밀도지역과 상업지역 등에서는 용량을 초과하는 주차수요가 발생하고 있는데, 일부지역에서는 주차수요의 집중으로 인해 이용상의 불균형과 아울러 극심한 교통소통문제 등을 유발시키고 있다.
또한, 차량을 주차시키기 위해 종래에는 운전자가 직접 차량을 운전하여 해당 지역내에 설치된 개별주차장까지 찾아가 현장에서 주차장의 이용가능성을 확인한 후, 차량을 주차시켜야 하였다. 따라서, 주차장의 이용이 불가능한 경우에는 다른 주차장을 찾기 위해 주변을 배회함에 따라 우회 교통량이 증가하게 된다.
이와같이 우회 교통량이 증가하면 교통혼잡과 교통사고를 유발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불필요한 연료소비가 발생하여 경제적인 손실이 발생되며, 또한 주차장의 혼잡에 따른 대기시간의 증가로 인해 시간적 손실이 발생하고 아울러 배기가스의 증가로 인해 환경오염이 발생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해당 지역을 처음 방문하는 운전자의 경우에는 주차장의 위치와 이용가능성을 사전에 확인할 수 없음에 따라 주차장을 찾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특정 주차장에 이용자가 집중됨으로 인해 해당지역 및 주변지역의 교통혼잡과 정체를 유발시킨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단위지역내에 설치된 주차장의 위치 및 이용가능성을 사전에 운전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알려줌에 따라 차량을 주차시키기 위해 주변을 배회하는 우회 교통량을 저감시킬 수 있으며 불필요한 연료의 소비를 방지할 수 있는 주차장 안내장치 및 안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단위지역내의 개별주차장에 설치되며 해당 주차장의 입고 및 출고차량대수에 관한 데이터를 공중전화망 (PSTN) 또는 전용회선을 통해 중앙통제소로 전송하는 주차장 이용정보 전송장치와; 단위지역내의 도로변에 설치되며 현재위치와 해당 지역내에 설치된 주차장의 위치 및 이용상황을 디스플레이하여 주차장 이용차량을 유도하는 주차정보판과; 상기 중앙통제소에 설치되며 주차장 이용정보 전송장치로 부터 인가된 해당 주차장의 입고 및 출고차량대수에 관한 데이터와 해당 주차장의 특성에 관한 데이터에 따라 해당 주차장의 이용가능성을 판단하고, 그 결과를 상기 주차정보판으로 출력하여 디스플레이하는 주차장 운용시스템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단위지역내에 설치된 개별주차장으로 부터 전송되는 데이터에 따라 해당 주차장의 이용가능성을 판단하고 이를 도로변에 설치된 주차정보판에 디스플레이하여 주차장 이용차량을 유도하는 주차장 안내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특정 주차장으로 부터 차량의 입출고 현황에 관련된 주차장 이용정보 데이터가 입력되면 해당 주차장의 수용가능대수와 해당 주차장의 이용특성에 따른 평균대기시간 등과 같은 관련데이터를 메모리로 부터 로딩하는 제 1 단계와; 상기 제 1 단계에서 로딩된 관련데이터와 주차장 이용정보 데이터를 이용하여 해당 주차장의 주차대수를 산출하고, 해당 주차장이 위치한 지역과 주변의 교통량 및 주차특성에 따라 설정된 주차가능계수를 이용하여 산출된 주차가능대수와 현재의 주차대수를 비교하는 제 2 단계와; 상기 제 2 단계에서 주차대수가 주차가능대수 보다 작거나 같은면 주차정보판을 통해 해당 주차장이 이용가능함을 나타내고, 주차대수가 주차가능대수 보다 크면 주차한계계수를 이용하여 산출된 주차한계대수와 현재의 주차대수를 비교하는 제 3 단계와; 상기 제 3 단계에서 주차대수가 주차한계대수 보다 크거나 같은면 주차정보판을 통해 해당 주차장이 이용불가능함을 나타내고, 주차대수가 주차한계대수 보다 작으면 주차정보판을 통해 해당 주차장이 혼잡한 상태임을 나타내는 동시에 메모리로 부터 로딩된 해당 주차장의 이용특성에 따른 평균대기시간을 주차정보판에 디스플레이하여 주차장 이용자를 다른 주차장으로 유도하거나 또는 대기하도록 유도하는 제 4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주차장 안내장치를 나타낸 블럭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종합정보판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지구정보판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유도정보판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도 1에 도시된 개별정보판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주차장 안내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주차장 이용정보 수동전송장치 30 : 주차장 이용정보 자동전송장치
50 : 주차장 운용시스템 60 : 주차정보판
61 : 종합정보판 62 : 지구정보판
63 : 유도정보판 64 : 개별정보판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주차장 안내장치를 나타낸 블럭도로, 단위지역내에 설치된 개별주차장은 공중전화망(PSTN) 또는 전용회선을 통해 중앙통제소의 주차장 운용시스템(50)과 연결되어 있는데, 개별주차장에는 주차장의 입고차량과 출고차량대수에 관한 데이터를 중앙통제소의 운용시스템(50)으로 전송하는 주차장 이용정보 수동전송장치(20) 또는 자동전송장치(30)가 설치되어 있다.
주차장 이용정보 수동전송장치(20)는 중앙통제소의 운용시스템(50)과 공중전화망(PSTN)을 통해 연결된 전화기(21) 또는 컴퓨터(22)로, 주차장 관리자가 전화기(21)나 컴퓨터(22)를 통해 해당 주차장의 입고차량과 출고차량대수에 관한 데이터를 입력하면 이 데이터는 공중전화망(PSTN)을 통해 중앙통제소의 운용시스템 (50)으로 전송된다.
아울러, 주차장 이용정보 자동전송장치(30)는 전용회선을 통해 중앙통제소의 운용시스템(50)과 연결되어 있으며, 주차장의 출입구에 설치된 센서를 통해 차량의 입출입 상황을 자동으로 검출하고, 검출된 데이터를 전용회선을 통해 중앙통제소의 운용시스템(50)으로 전송한다.
한편, 각각의 개별주차장과 전용회선 또는 공중전화망을 통해 연결된 중앙통제소의 운용시스템(50)은 주차장 이용정보 수동전송장치(20) 또는 자동전송장치 (30)를 통해 전송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개별주차장의 이용상황을 분석하고, 그에따라 도로변에 설치된 종합정보판(61), 지구정보판(62), 유도정보판(63) 및 개별정보판(64)과 같은 주차정보판(60)에 주차장의 위치 및 이용가능성을 운전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한다.
도 2는 종합정보판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으로, 해당 단위지역의 진입부에 위치한 주요간선도로변에 설치되며 운전자에게 이용할 주차장에 관한 최초의 판단자료를 제공는 정보판이다. 이 정보판은 주요간선도로와 현재위치 그리고 주차장의 위치 및 이용가능상황을 개략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데, 도면에 도시된 ①∼⑪은 주요간선도로의 방향을 나타내고 P는 주차장의 위치를 나타낸다. 주차장의 위치를 나타내는 P는 적색, 황색, 녹색으로 점등되어 해당 주차장의 이용가능상황, 즉 사용불가, 혼잡, 사용가능상황을 운전자에게 알려준다.
도 3은 지구정보판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으로, 종합정보판 보다 상세한 지구(블럭) 차원의 주차정보를 제공하는 정보판이다. 이 정보판은 현재위치와 지구내에 설치된 주차장의 위치 및 주차장의 위치를 파악하기 용이하도록 주요건물과 같은 기타 필요정보를 제공하는데, 도면에 도시된 ③,④,⑥,⑦,⑪은 주요간선도로의 방향을 나타내고 ㄱ∼ㅅ은 이용가능한 주차장의 위치 및 주차장명을 나타낸다.
주차장의 위치 및 주차장명을 나타내는 ㄱ∼ㅅ은 적색, 황색, 녹색으로 점등되어 해당 주차장의 이용가능상황, 즉 사용불가, 혼잡, 사용가능상황을 운전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알려준다. 이 정보판은 종합정보판 보다 인지성을 높이기 위하여 전방에 위치하는 2개의 교차로까지를 정보제공영역으로 한다.
도 4는 하나의 도로축을 정보제공영역으로 하는 유도정보판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으로, 종합정보판과 지구정보판에 의해 유도된 차량에게 개별주차장의 이용정보를 제공하는 정보판이다, 즉, 개별주차장의 사용가능, 혼잡, 사용불가의 이용상황을 구체적으로 제공하고, 또한 혼잡이나 사용불가의 경우에는 해당 주차장의 특성에 따라 산출된 요일별, 시간대별 평균대기시간을 분단위로 제공한다.
아울러, 해당 주차장의 위치를 나타내는 화살표와 함께 바(bar) 형태의 표시를 부가하여 해당 주차장이 옥내주차장인지 옥외주차장인지의 여부를 이용자에게 제공함에 따라 이용자의 편의를 증진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대기에 따른 불편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또한, 주차장의 위치를 나타내는 화살표를 적색, 황색, 녹색으로 점등하여 주차장의 이용가능상황, 즉 사용불가, 혼잡, 사용가능상황을 운전자가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도 5는 개별정보판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으로, 각 개별주차장의 진입로에 설치되며 유도된 차량에게 최종적인 주차정보를 제공하는 정보판이다. 이 정보판에는 현재시각의 주차장 이용가능 여부와 주차장의 이용에 필요한 대기시간을 제공함으로서 이용자의 편의와 이용상의 신뢰성을 증진시킨다.
한편, 중앙통제소에 설치된 운용시스템(50)은 공중전화망(PSTN)을 통해 이용자의 전화기(41)나 컴퓨터(42) 등에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주차장을 이용하려는 운전자는 출발전에 자동응답 시스템(ARS)이나 PC 통신 또는 인터넷을 통해 중앙통제소의 운영시스템(50)과 접속하여 주차장의 이용상황을 확인할 수 있으며, 아울러 팩스(43)를 통해 주차장의 위치를 확인할 수도 있다.
또한, 중앙통제소의 운용시스템(50)은 주차장 안내장치를 직접 관리하는 운용기관 이외의 관련기관, 예를들어 정부기관과 자료를 공유할 수 있도록 관련기관에 설치된 컴퓨터(10)와 접속되어 있다. 이는 향후의 주차장 설치계획 뿐만 아니라 교통량과 주차수요의 예측 및 분산 등과 같은 교통정책의 설립을 위해 운용시스템 (50)에 축적된 주차특성 전반에 걸친 자료를 활용하기 위함이다.
상기와 같은 동작들을 수행하기 위하여 중앙통제소의 운용시스템(50)은 데이터 송수신장치(53)를 구비하는데, 이 송수신장치(53)는 통신제어장치(52)에 의해 제어되며 공중전화망이나 전용회선을 통해 개별주차장의 주차장 이용정보 수동전송장치(20) 또는 자동전송장치(30)와 접속되어 있고, 또한 전용회선을 통해 도로변에 설치된 주차정보판(60)과 접속되어 있다.
아울러, 주차장 이용자가 출발전에 자동응답 시스템(ARS)이나 PC 통신 또는 인터넷을 통해 주차장의 위치와 이용상황을 확인할 수 있도록 데이터 송수신장치 (53)는 공중전화망을 통해 이용자의 전화기(41), 컴퓨터(42) 또는 팩스(43)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중앙통제소의 운용시스템(50)에는 정전시나 낙뢰시 축적된 자료와 시스템 전체를 보호할 수 있도록 정전방지장치 및 낙뢰방지장치가 별도로 구성되어 있으며, 운용시스템(50)을 관리하기 위한 별도의 콘솔장치(54)를 구비한다.
한편, 데이터 송수신장치(53)를 통해 인가된 개별주차장의 이용상황에 관한 데이터는 운용시스템(50)의 중앙처리장치(51)로 인가되는데, 중앙처리장치(51)는 이 데이터에 따라 해당 주차장의 이용가능성을 최종적으로 판단하고, 그 결과를 도로변에 설치된 주차정보판(60)에 전달하여 디스플레이한다.
즉,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주차장 운용시스템(50)의 중앙처리장치(51)는 공중전화망과 전용회선을 통해 개별주차장으로 부터 전송된 입출고 현황을 실시간으로 제공받아 주차장의 이용가능성을 최종적으로 판단하고, 이를 도로변에 설치된 종합정보판(61), 지구정보판(62), 유도정보판(63) 및 개별정보판(64)으로 출력하여 디스플레이한다.
다시말해, 중앙처리장치(51)는 특정 주차장으로 부터 차량의 입출고 현황에 관한 주차장 이용정보 데이터가 입력되면 해당 주차장의 수용가능대수(N)와 해당 주차장의 이용특성에 따른 평균대기시간 등과 같은 관련데이터를 메모리로 부터 로딩하고, 입력된 주차장 이용정보 데이터를 이용하여 현재의 주차대수(P)를 산출한다.
현재의 입고차량대수를 I라하고, 출고차량대수를 O라고 하면 주차대수 P는 다음의 (식 1)과 같이 산출할 수 있다.
P = M + I - O (식 1)
상기와 같이 해당 주차장의 주차대수(P)가 산출되면 중앙처리장치(51)는 해당 주차장이 위치한 지역, 주변의 교통량 및 주차특성에 따라 설정된 주차가능계수를 이용하여 해당 주차장의 이용가능여부를 판단한다. 주차가능계수는 해당 주차장의 이용특성에 따라 가변될 수 있으나 0.90∼0.95를 기본값으로 하며, 본 실시예에서는 0.95를 기본값으로 사용하였다.
즉, 중앙처리장치(51)는 수용가능대수(N)에 주차가능계수인 0.95를 곱하여 산출된 주차가능대수와 (식 1)을 통해 산출된 현재의 주차대수(P)를 비교하는데, 주차대수(P)가 주차가능대수 보다 작거나 같은면 주차정보판(60)의 해당 주차장의 위치를 녹색으로 점등하여 주차장의 이용이 가능함을 나타낸다.
한편, 현재의 주차대수(P)가 주차가능대수 보다 크면 중앙처리장치(51)는 수용가능대수(N)에 주차한계계수인 0.98을 곱하여 산출된 주차한계대수와 현재의 주차대수(P)를 비교하는데, 주차대수(P)가 주차한계대수 보다 크거나 같은면 주차정보판(60)의 해당 주차장의 위치를 적색으로 점등하여 주차장의 이용이 불가능함을 나타낸다.
또한, 주차대수(P)가 주차한계대수 보다 작으면 해당 주차장이 혼잡한 상태이므로 주차정보판(60)의 해당 주차장의 위치를 황색으로 점등하고 메모리로 부터로딩된 해당 주차장의 이용특성에 따른 평균대기시간을 유도정보판(63)과 개별정보판(64)에 디스플레이하여 주차장 이용차량을 다른 주차장으로 유도하거나 또는 대기하도록 유도한다.
상기된 것처럼 본 발명은, 단위지역내에 설치된 주차장의 위치와 이용가능여부를 도로상에 설치된 주차정보판이나 기타 유선을 통해 주차장 이용자에게 실시간(Real-Time)으로 제공함에 따라 주차장 이용자의 편의를 증진할 수 있다.
또한, 일정한 지역내에 존재하는 다수의 개별주차장을 중앙통제소에서 동시에 관리함에 따라 도심지역, 상업지역, 업무지역, 관광지역의 특성에 알맞게 주차장 이용차량을 분산시킬 수 있으므로, 주차장의 이용편중에 따른 대기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다.
아울러, 주차장을 찾기 위한 우회 교통량의 증가로 인해 발생되는 교통사고와 불법노상주차 등을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우회차량 및 불법주차차량으로 인한 도로혼잡 및 도로기능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으며, 교통체증의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다수의 개별주차장을 통합관리함에 따라 주차장 이용자의 특성과 이용행태, 지역용도에 따른 주차수요량, 주차장위치에 따른 이용특성 등 주차특성 전반에 걸친 자료를 전산화시킬 수 있으므로, 향후의 주차장 설치계획 뿐만 아니라 교통량과 주차수요의 예측 및 분산을 위한 교통정책의 입안에 사용되는 기초적이고 유익한 교통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예를 참고로 설명 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지닌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5)

  1. 단위지역내의 개별주차장에 설치되며 해당 주차장의 입고 및 출고차량대수에 관한 데이터를 통신망을 통해 중앙통제소로 전송하는 주차장 이용정보 전송장치(20,30)와, 단위지역내에 설치되며 해당 지역내에 설치된 주차장의 위치 및 이용상황을 디스플레이하고 주차장 이용차량을 유도하는 주차정보판(60)과, 상기 중앙통제소에 설치되며 주차장 이용정보 전송장치(20,30)로부터 인가된 해당 주차장의 입고 및 출고차량대수에 관한 데이터와 해당 주차장의 특성에 관한 데이터에 따라 해당 주차장의 이용가능성을 판단하고, 그 결과를 상기 주차정보판(60)으로 출력하여 디스플레이하는 주차장 운용시스템(50)을 구비하는 주차장 안내장치에 있어서,
    상기 주차장 이용정보 전송장치가:
    주차장 관리자가 수동으로 입력한 입고 및 출고차량대수에 관한 데이터를 통신망을 통해 중앙통제소의 운용시스템(50)으로 전송하는 전화기(21) 혹은 컴퓨터(22)로 이루어진 주차장 이용정보 수동전송장치(200)와;
    주차장의 출입구에 설치된 센서를 통해 차량의 입출입 상황을 자동검출하고, 이를 전용회선을 통해 중앙통제소의 운용시스템(50)으로 전송하는 주차장 이용정보 자동전송장치(30)를 포함하고,
    상기 운용시스템(50)이:
    주차장 이용자가 출발전에 주차장 이용정보를 자동응답(ARS), PC 통신이나 인터넷을 통해 확인할 수 있도록 각 이용자의 전화(41) 또는 컴퓨터(42)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장 안내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정보판(60)은:
    해당 단위지역의 진입부에 설치되며 주요 간선도로와 현재위치, 주차장의 위치 및 이용가능상황을 개략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종합정보판(61)과;
    현재위치, 단위지역내에 설치된 주차장의 위치, 현재 시각에서의 이용가능성 및 주요건물을 포함한 기타 필요정보를 제공하는 지구정보판(62)과;
    인근주차장에 대해 개별주차장 별로 사용가능, 혼잡, 사용불가를 포함한 이용상황을 구체적으로 제공하고, 혼잡이나 사용불가일 경우에는 해당 주차장의 특성에 따라 산출된 요일별, 시간대별 평균대기시간을 분단위로 제공하는 유도정보판(63)과;
    각 개별주차장의 진입로에 설치되며 유도된 차량에게 현재시각에서의 주차가능여부 및 주차장 이용에 필요한 평균대기시간을 제공하는 개별정보판(6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장 안내장치.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19990009638A 1999-03-22 1999-03-22 주차장 안내장치 및 안내방법 KR1003213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9638A KR100321307B1 (ko) 1999-03-22 1999-03-22 주차장 안내장치 및 안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9638A KR100321307B1 (ko) 1999-03-22 1999-03-22 주차장 안내장치 및 안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0943A KR20000060943A (ko) 2000-10-16
KR100321307B1 true KR100321307B1 (ko) 2002-03-18

Family

ID=195772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09638A KR100321307B1 (ko) 1999-03-22 1999-03-22 주차장 안내장치 및 안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2130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9649A (ko) * 2002-08-12 2003-10-10 미래산전 주식회사 주차 안내판
KR101966042B1 (ko) 2018-02-12 2019-08-27 김동섭 기계식 주차설비용 차량 추락 방지장치
KR20210058292A (ko) 2019-11-14 2021-05-24 주식회사 케이티 엣지 클라우드 서버, 센터 클라우드 서버 및 이를 이용한 주차 예약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35499A (ja) * 1995-02-22 1996-09-13 Nippon Signal Co Ltd:The 駐車場案内誘導装置
JPH10154299A (ja) * 1996-09-30 1998-06-09 Hitachi Ltd 駐車待ち時間案内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35499A (ja) * 1995-02-22 1996-09-13 Nippon Signal Co Ltd:The 駐車場案内誘導装置
JPH10154299A (ja) * 1996-09-30 1998-06-09 Hitachi Ltd 駐車待ち時間案内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0943A (ko) 2000-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54580B1 (en) System for guiding vehicles
US20180144632A1 (en) Regional and individual parking system and method
Polycarpou et al. Smart parking solutions for urban areas
US20160371607A1 (en) Citywide parking system and method
US20160180712A1 (en) Citywide parking reservation system and method
US20040236615A1 (en) Method and device for booking a parking space
EP2257939B1 (en) Interactive control system for controlling an urban and extra-urban road network subjected to safety and feature-related standards and restrictions
KR20100064009A (ko) 유선/무선 단말기와 통합주차장관리서버 연동에 의한 주차장안내 방법과 주차장 안내를 위한 유선/무선 단말기
CN110415558B (zh) 一种停车场管理与服务系统
CN112461254A (zh) 导航信息智能显示控制方法及相关装置
WO2017033066A1 (en) A citywide parking system and method
CN115641747A (zh) 停车导航方法、系统和电子设备
US20130013198A1 (en) Navigation System Creating A Route Based On Certain Criteria Along The Route
KR100321307B1 (ko) 주차장 안내장치 및 안내방법
JPH11175893A (ja) 駐車場情報提供装置
CN109618298B (zh) 流量控制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16416792A (zh) 一种城市停车管理系统
KR20200139429A (ko) 주차장여유 공간 여부 어플리케이션
Mohamed et al. Enhancement of parking management system in cairo using smartphones
KR20020018781A (ko) 이동 통신망을 이용한 주차 정보 표시 장치 및 방법
Nagy et al. Intelligent truck parking on the Hungarian motorway network
CN108777073A (zh) 一种城市停车诱导系统、服务器及诱导方法
KR20030072874A (ko) 실시간 주차 관제 및 정보 제공 시스템
JPH1021493A (ja) Icネイル情報制御システム
JP2003085608A (ja) 有料道路における通行料金自動精算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6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9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6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0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8

Year of fee payment: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7

Year of fee payment: 1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