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20865B1 - 넥타이 걸이대 - Google Patents

넥타이 걸이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20865B1
KR100320865B1 KR1019990023790A KR19990023790A KR100320865B1 KR 100320865 B1 KR100320865 B1 KR 100320865B1 KR 1019990023790 A KR1019990023790 A KR 1019990023790A KR 19990023790 A KR19990023790 A KR 19990023790A KR 100320865 B1 KR100320865 B1 KR 1003208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e
hanger
fixing means
support fixing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237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03492A (ko
Inventor
이창우
Original Assignee
이창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창우 filed Critical 이창우
Priority to KR10199900237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20865B1/ko
Publication of KR200100034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34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08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086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5/00Show stands, hangers, or shelve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ructional features
    • A47F5/08Show stands, hangers, or shelve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ructional features secured to the wall, ceiling, or the like; Wall-bracket display devices
    • A47F5/0807Display panels, grids or rods used for suspending merchandise or cards supporting articles; Movable bracket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5/00Show stands, hangers, or shelve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ructional features
    • A47F5/10Adjustable or foldable or dismountable display stands

Landscapes

  • Holders For Apparel And Elements Relating To Appare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넥타이 걸이대에 관한 것으로, 선반(1)과, 이 선반(1)의 좌우측에 설치된 지지고정수단(2) 및, 이 지지고정수단(2)에 각각 연결된 넥타이걸이수단(3)을 갖추되, 상기 지지고정수단(2)을 매개로 넥타이걸이수단(3)을 사용위치(수평상태) 또는 보관위치(수직상태)로 축선회시키도록 되어 있다.

Description

넥타이 걸이대{Tie Hanger}
본 발명은 넥타이 걸이대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설치공간에 제약을 받지 않으면서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사용위치(수평상태) 또는 보관위치(수직상태)로 축선회시키면서 사용할 수 있도록 되어, 걸이대에서 넥타이를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으면서 보관시 넥타이가 흘러내리는 것도 방지할 수 있도록 되어 사용성을 향상시킨 넥타이 걸이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용 붙박이장이나 옷장등에는 의류나 각종 사물을 보관 및 수납하는 것 외에 넥타이를 보관하도록 별도로 넥타이걸이대가 구비되어 있는데, 이 같이 붙박이장이나 옷장의 제조단계에서 부착하게 되는 넥타이걸이대의 사용예로서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은 것이 있다.
즉, 지지바아(100)의 양측에 각각 다수의 넥타이걸이핀(101)을 갖춘 행거 (102)가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행거(102)를 회전시키면서 넥타이걸이핀 (101)에 넥타이를 걸어주거나 고를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이 같은 구조로 된 종래의 넥타이걸이대(103)는 여러개의 넥타이를 동시에 보관할 수 있고 행거(102)가 회전될 수 있도록 되어 넥타이를 고를 때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는 반면, 행거(102)의 회전반경을 확보하기 위해 붙박이장이나 옷장내에서 소정거리만큼 돌출시킨 형태로 설치해야 하므로 설치공간에 제약을 받게 되고, 붙박이장이나 옷장내에 걸어둔 의류와 간섭되어 걸어둔 넥타이가 흘러내릴 수 있다는 결점이 있다.
한편, 필요에 따라서는 넥타이 걸이대를 별도로 구입하여 사용하는 경우도 있는데, 이의 대표적인 예로는 도 9에 도시된 것과 같이 걸이대본체(104)를 기준으로 좌우측에 각각 넥타이걸이핀(105)이 대칭되도록 배열형성되고, 상기 걸이대본체 (104)의 상부에는 후크(106)가 설치된 구조로 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로 된 넥타이 걸이대(107)는 탈착이 용이하기 때문에 사용공간에 제약을 받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는 반면, 후크(106)를 옷걸이봉(도시되지 않음)에 걸어 사용하도록 되어 있어 넥타이를 고를 때 또는 걸어줄 때에는 옷걸이봉에 걸려있는 옷들을 한쪽으로 밀어주어야 하므로 사용에 불편이 따를 뿐 아니라 별도로 구입하는 데에 따른 비용손실이 있다는 결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결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고정식이면서도 설치공간에 제약을 받지 않고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사용위치 또는 보관위치로 축선회시키면서 사용할 수 있도록 되어, 걸이대에서 넥타이를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으면서 보관위치에서는 옷장의 한쪽 벽면에 수직으로 매달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되어 넥타이가 흘러내리는 것도 방지함으로써 사용성을 향상시킨 넥타이 걸이대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넥타이 걸이대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넥타이 걸이대가 사용위치로 들어올려진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넥타이 걸이대가 보관위치로 내려진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지지고정수단의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지지고정수단의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넥타이걸이수단의 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넥타이걸이수단의 정면도,
도 8은 종래 기술에 따른 넥타이 걸이대의 평면도,
도 9는 종래 기술에 따른 다른 넥타이 걸이대의 정면도이다.
1 --- 선반, 2 --- 지지고정수단,
3 --- 넥타이걸이수단, 4 --- 고정구멍,
5,13 --- 본체, 6 --- 체결구멍,
7 --- 레그, 8 --- 안내레일,
9 --- 수용부, 10 --- 걸림턱,
11 --- 수용안내부, 12 --- 선회안내부,
14 --- 넥타이걸이핀, 15 --- 지지돌기,
16 --- 걸림돌기, 17 --- 넥타이걸이대,
18 --- 체결부재,
100 --- 지지바아, 101,105 --- 넥타이걸이핀,
102 --- 행거, 103,107 --- 넥타이걸이대,
104 --- 걸이대본체, 106 --- 후크.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선반과, 이 선반의 좌우측에 설치된 지지고정수단 및, 이 지지고정수단에 각각 연결된 넥타이걸이수단을 갖추되, 상기 지지고정수단을 매개로 넥타이걸이수단을 사용위치 또는 보관위치로 축선회시키면서 사용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고정수단은 본체의 좌우측에 서로 마주보도록 돌출형성된 1쌍의 레그을 구비하되, 이들 레그의 내측상부에는 한쪽에 걸림턱을 갖추고서 레그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안내레일과, 앞쪽 끝부분에 수용안내부와 선회안내부를 갖추고서 안내레일과 수평을 이루도록 형성된 수용부를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넥타이걸이수단은 본체의 좌우측에 동일한 간격으로 배열형성된 다수의 넥타이걸이핀과, 상기 본체의 상부선단에 좌우측으로 돌출형성된 지지돌기 및, 이 지지돌기로부터 아래로 이격되어 좌우측으로 돌출형성된 걸림돌기를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넥타이 걸이대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넥타이 걸이대가 사용위치로 들어올려진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넥타이 걸이대가 보관위치로 내려진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로서, 본 발명은 이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선반(1)과, 이 선반(1)의 좌우측에 설치된 지지고정수단(2) 및, 이 지지고정수단(2)에 각각 연결된 넥타이걸이수단(3)을 갖추고서, 상기 지지고정수단(2)을 매개로 붙박이장이나 옷장(도시되지 않음)에 고정되어 있는데, 넥타이를 고르거나 걸어주고자 할 때에는 상기 지지고정수단(2)에 넥타이걸이수단(3)을 수평으로 위치시키는 반면, 넥타이를 보관할 때에는 상기 넥타이걸이수단(3)을 수직으로 내려 넥타이를 늘어뜨린 상태로 간단하게 전환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지지고정수단(2)은 도 4와 도 5에 각각 도시된 것과 같이 상부와 하부에 각각 고정구멍(4)이 형성된 본체(5)가 구비되고, 이 본체(5)의 좌우측에는 각각 상부면에 체결구멍(6)을 갖추고서 서로 마주보며 같은 높이로 돌출형성된 레그(7)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레그(7)의 내측에는 안내레일(8)과 수용부(9)가 형성되어 있는 바, 상기 안내레일(8)은 한쪽에 걸림턱(10)을 갖추고서 레그(7)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한편, 상기 수용부(9)는 안내레일(8)의 아랫쪽에서 이 안내레일(8)과 이격되어 수평을 이루도록 형성되되, 그 앞쪽 끝부분에는 윗쪽방향으로 경사져 있는 수용안내부(11) 및 선회안내부(12)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넥타이걸이수단(3)은 도 6과 도 7에 각각 도시된 것과 같이, 본체(13)의 좌우측에 각각 다수의 넥타이걸이핀(14)이 동일한 간격으로 배열형성되고, 상기 본체(13)의 상부선단에는 좌우측으로 지지돌기(15)가 돌출형성되는 한편, 이 지지돌기(15)로부터 아래로 이격되어 걸림돌기(16)가 좌우측으로 돌출형성되어 있는데, 이 걸림돌기(16)는 장방형을 하고서 상기 수용부(9)에 끼워넣어질 수 있는 높이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넥타이 걸이대(17)는 레그(7)위에 선반(1)을 올려놓고서 체결구멍(6)을 매개로 보울트와 같은 체결부재(18)에 의해 조립한 다음, 지지고정수단(2)의 본체(5)에 형성된 고정구멍(4)을 매개로 붙박이장이나 옷장의 내면에 고정시키면 부착이 완료되게 되고, 이와 같이 부착시킨 상태에서 상기 선반(1)을 다양한 용도로 활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다음에는 이상과 같이 구성된 넥타이 걸이대의 작동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넥타이 걸이대(17)에 넥타이를 걸어주고자 할 때에는 넥타이걸이수단(3)을 선반(1)에 접촉할 때까지 선회시켜 들어올린 다음, 수용부(9)를 향해 밀어넣어 넥타이걸이수단(3)이 수용부(9)에 끼워지도록 하면 된다.
즉, 넥타이걸이수단(3)을 들어올리면 걸림돌기(16)가 선회안내부(12)를 타고 넘어 반시계방향(도 4 참조)으로 선회되고, 본체(13)가 선반(1)에 접촉될 때 수용부(9)내로 밀어넣으면 지지돌기(15)는 안내레일(8)을 따라, 동시에 걸림돌기(16)는 수용부(9)내로 수평이동되다가 지지고정수단(2)을 구성하는 본체(5)에 이르면 이동이 멈춰지게 되며, 이와 같이 넥타이걸이수단(3)이 지지고정수단(2)에 수평하게 지지됨에 따라 넥타이걸이수단(3)은 들어올려진 상태(사용위치)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이와 같은 사용위치에서 다시 보관위치로 전환할 때에는 지지돌기(15)가 걸림턱(10)에 걸려질 때까지 넥타이걸이수단(3)을 잡아당긴 후에 아래쪽으로 놓아주면, 넥타이걸이수단(3)의 걸림돌기(16)가 선회안내부(12)를 타고 내려가면서 상기 지지돌기(15)를 축으로 하여 시계방향(다시 도 4 참조)으로 선회되어 상기 지지돌기(15)를 매개로 넥타이걸이수단(3)이 안내레일(8)에 매달리는 상태(보관위치)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넥타이 걸이대는 넥타이를 걸어주는 데에만 사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여러가지 용도로 폭 넓게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선반(1)위에 장식판이 덮어지지 않은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마감처리를 깔끔하게 하기 위해 각종 데코레이션판을 씌워주거나 덮어줄 수 있으며, 선반고유의 기능을 유지할 수 있는 구조라면 어떠한 형태로 변형실시해도 무방하다.
이상 설명한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넥타이 걸이대에 의하면, 고정식이면서도 설치공간에 제약을 받지 않고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사용위치 또는 보관위치로 축선회시키면서 사용할 수 있도록 되어, 걸이대에서 넥타이를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으면서 보관위치에서는 옷장의 한쪽 벽면에 수직으로 매달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되어 넥타이가 흘러내리는 것도 방지함으로써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잇점이 있다.

Claims (4)

  1. 선반(1)과, 이 선반(1)의 좌우측에 설치된 지지고정수단(2) 및, 이 지지고정수단(2)에 각각 연결된 넥타이걸이수단(3)을 갖춘 넥타이 걸이대에 있어서,
    상기 지지고정수단(2)을 매개로 넥타이걸이수단(3)을 사용위치(수평상태)에서 보관위치(수직상태)로 또는 보관위치에서 사용위치로 축선회시키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넥타이 걸이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고정수단(2)은 본체(5)의 좌우측에 서로 마주보도록 돌출형성된 1쌍의 레그(7)를 구비하되, 이들 레그(7)의 내측상부에는 한쪽에 걸림턱(10)을 갖추고서 레그(7)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안내레일(8)과, 앞쪽 끝부분에 수용안내부(11)와 선회안내부(12)를 갖추고서 상기 안내레일(8)과 수평을 이루도록 형성된 수용부(9)를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넥타이 걸이대.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넥타이걸이수단(3)은 본체(13)의 좌우측에 동일한 간격으로 배열형성된 다수의 넥타이걸이핀(14)과, 상기 본체(13)의 상부선단에 좌우측으로 돌출형성된 지지돌기(15) 및, 이 지지돌기(15)로부터 아래로 이격되어 좌우측으로 돌출형성된 걸림돌기(16)를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넥타이 걸이대.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돌기(16)가 장방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넥타이걸이대.
KR1019990023790A 1999-06-23 1999-06-23 넥타이 걸이대 KR1003208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3790A KR100320865B1 (ko) 1999-06-23 1999-06-23 넥타이 걸이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3790A KR100320865B1 (ko) 1999-06-23 1999-06-23 넥타이 걸이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3492A KR20010003492A (ko) 2001-01-15
KR100320865B1 true KR100320865B1 (ko) 2002-01-17

Family

ID=195946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23790A KR100320865B1 (ko) 1999-06-23 1999-06-23 넥타이 걸이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20865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28626U (ko) * 1975-08-20 1977-02-28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28626U (ko) * 1975-08-20 1977-02-28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3492A (ko) 2001-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20016A (en) Closet storage system
US3289993A (en) Support element or the like for perforated panels
US4564963A (en) Drying device for shower space
KR100320865B1 (ko) 넥타이 걸이대
KR200168653Y1 (ko) 넥타이 걸이대
US3872973A (en) Rack system for neckties or the like
US2103642A (en) Multiple master hanger
JPH01160504A (ja) 衣服用ハンガー
KR200236611Y1 (ko) 옷걸이대
JPH0752714Y2 (ja) 物品支持装置
KR20210054973A (ko) 식기선반
JPH0120918B2 (ko)
KR960004803Y1 (ko) 벽부착형 빨래걸이
JPH026950Y2 (ko)
KR102439385B1 (ko) 선반용 옷걸이대
JP3290032B2 (ja) 回転収納体
JP3500978B2 (ja) 吊り棚の取付構造
KR200406550Y1 (ko) 인출식 넥타이 걸이장치
JP3067108B1 (ja) 物干しユニット
US2471944A (en) Garment hanger
KR950007369Y1 (ko) 넥타이 걸이대
JP2568227Y2 (ja) 衣料掛け等の掛止部材
KR200142268Y1 (ko) 조립식 다용도 선반지지대
JPH08299693A (ja) 物干し用具
KR200188505Y1 (ko) 다기능 포스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10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