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18729B1 - 전자사진현상기기의현상기복합감별장치 - Google Patents
전자사진현상기기의현상기복합감별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318729B1 KR100318729B1 KR1019980049558A KR19980049558A KR100318729B1 KR 100318729 B1 KR100318729 B1 KR 100318729B1 KR 1019980049558 A KR1019980049558 A KR 1019980049558A KR 19980049558 A KR19980049558 A KR 19980049558A KR 100318729 B1 KR100318729 B1 KR 10031872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eveloper
- unit
- remaining amount
- output
- developing apparatus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48—Arrangements for testing or measuring developer properties or quality, e.g. charge, size, flowability
- G03G15/0856—Detection or control means for the developer level
- G03G15/086—Detection or control means for the developer level the level being measured by electro-magnetic mean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42—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the different parts of the apparatus
- G03G21/1652—Electrical connection mean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50—Machine control of 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e.g. regulating differents parts of the machine, multimode copiers, microprocessor control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8—Details of powder developing device not concerning the development directly
- G03G2215/0888—Arrangements for detecting toner level or concentration in the developing devic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상 데이터의 정전 잠상(electro-static latent image)에 현상제를 입혀 가시상을 형성하는 현상기를 본체에 착탈 가능하도록 구비하여 프린팅을 수행하는 전자 사진 현상 기기에 있어서, 상기 현상기가 상기 본체에 장착됨에 따라 상기 전원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전원 접점 단자로부터 전류를 인가받아 동작하는 현상기 유무 감지부, 현상기 종류 식별부 및 현상제 잔량 감지부를 현상기 세트 내부에 하나의 장치로 일체화하여 장착한 후, 상기 현상기 유무 감지부로부터 출력되는 출력 전류의 유무에 따라 현상기 유무를 감지하고, 상기 현상기 종류 식별부의 저항 소자군을 경유하여 출력되는 각각의 출력 전류량의 조합을 통해 현상기 종류를 식별하며, 상기 현상제 잔량 감지부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잔량 감지 펄스를 입력받아 상기 현상제의 잔량을 감지하는 전자 사진 현상 기기의 현상기 복합 감별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각각 별도의 장치로 구현되어 있던 다수의 기능들을 하나의 장치로 일체화함으로써 장치의 단순화와 생산 원가의 절감을 기하고 현상기의 종류에 따라 모델의 제작을 달리하는 불편함에 해결하여 생산자와 사용자 양자에게 공히 제품에 대한 만족도와 신뢰도를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전자 사진 현상 기기의 현상기 복합 감별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화상 데이터의 정전 잠상(electro-static latent image)에 현상제를 입혀 가시상을 형성하여 프린팅을 수행하는 전자 사진 현상 기기에 있어서, 각각 별도의 장치로 구현되어 있던 현상기의 유무 감지 기능과 현상기 종류 식별 기능 및 현상제 잔량 감지 기능을 하나의 장치로 일체화한 전자 사진 현상 기기의 현상기 복합 감별 장치(Apparatus for multi-discriminating the developer in the electrophotography system)에 관한 것이다.
통상, 복사기, 레이져 프린터, 팩시밀리 등에 이용되고 있는 전자 사진 현상 기기는 원고 또는 소정의 소스로부터 취득한 화상 데이터를 감광체에 노광하여 정전 잠상(electro-static latent image)을 형성하고, 정전 잠상이 형성된 부위에 현상제를 입혀 가시상을 형성하며 이 가시상을 인쇄 용지에 전사한 후, 정착시킴으로써 원하는 화상을 인쇄하게 되어 있다.
오늘날 전자 사진 현상 기기는 고해상도의 화상을 인쇄하기 위한 가장 일반적인 대안이 되고 있으며, 고가임에도 불구하고 고속이고 인쇄 상태가 미려하며 보존성이 뛰어난 등의 월등한 인쇄 성능에 힘입어 날로 보급이 확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전자 사진 현상 기기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예시한 예시도이며, 도 2는 일반적인 전자 사진 현상 기기의 화상 형성 방법의 순서도를 도시한 것이다.
일반적인 전자 사진 현상 기기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감광 드럼(OPC;Organic PhotoConductive Drum, 9)과 노광 장치(LSU; Laser Scanning Unit, 11)와 더불어 픽업 로울러(pickup roller, 1), 용지 공급 로울러(feed roller, 4), 아이들 로울러(idle roller, 5), 현상 로울러(developing roller, 7), 전사 로울러(transfer roller, 8), 대전 로울러(10), 히팅 로울러(heating roller, 12), 정착 로울러(13)와 같은 각종 로울러들이 상호 작용하여 도 2에 도시한 대전(S10), 노광(S20), 현상(S30), 전사(S50), 정착(S60), 제전(S70)과 같은 화상 형성 과정을 순차적으로 수행하여 인쇄 용지(2) 위에 목적하는 화상을 형성시킨다.
우선, 인쇄 명령이 인가됨에 따라 픽업 로울러(1)는 급지 카세트(3)의 최상층 인쇄 용지(2)에 접촉하여 한 장을 픽업한 후에 이를 공급 로울러(4)쪽으로 이송시킨다. 이와 더불어 감광 드럼(9)에는 대전 로울러(10)와 노광 장치(11)에 의해 인쇄할 화상에 대응하는 전하층(즉, 정전 잠상)이 형성되고, 이 전하층이 형성된 부위에 현상기(6)에 수납된 현상제(즉, 토너)가 현상 로울러(7)의 작용에 의해 입혀지면서 가시상을 형성한다.
이후, 픽업된 인쇄 용지(2)가 공급 로울러(4)를 경유하여 전사 로울러(8)와 감광 드럼(9)사이를 지나갈 때, 전사 로울러(8)에 고압의 전사 전압을 인가하여 감광 드럼(9)에 형성된 가시상을 인쇄 용지(2)에 전사한 후, 히팅 로울러(12)와 정착 로울러(13)를 통해 물리적인 압력과 열로 인쇄 용지(2)에 전사된 가시상을 정착시킴으로써 원하는 화상을 인쇄한다.
이러한 전자 사진 현상 기기에 있어서, 정전 잠상이 형성된 부위에 흡착하여 가시상을 형성하는 현상제는 소모품임에 따라 이를 보충하기 위해 이 현상제를 수납하는 현상기(6)는 착탈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리고, 노광 장치(11)에 의해 자체의 표면에 정전 잠상을 형성하는 감광 드럼(9)도 일정 인쇄 매수를 인쇄하면 주기적으로 교체를 해주어야하는 소모품임이며, 현상기의 현상 로울러와 접촉되어 메카니즘적으로 작동하는 것에 착안하여 현상기(6)와 감광 드럼(9)을 일체화하여 현상기 세트를 구성하는 것이 최근의 일반적인 경향이 되고 있다.
사용자의 부주위에 의해 현상기 세트가 전자 사진 현상 기기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인쇄 명령을 인가하는 경우가 종종 있을 수 있음에 따라 이를 방지하기 위해 통상, 전자 사진 현상 기기는 내부적으로 현상기(6)의 장착 유무를 감지하기 위한 수단을 구비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리고, 감광 드럼(9)은 전자 사진 현상 기기의 동작 특성상 그 자체를 접지시켜야 할 필요성이 있음에 따라 통상, 현상기 세트 측에서는 감광 드럼 주축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감광 드럼 접지 단자를 구비하여 접지 경로를 제공하고 있다.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현상기와 감광 드럼을 일체화한 현상기 세트의 일례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종래 기술에 따른 현상기 세트(2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현상기(6)와 감광 드럼(9)으로 구성되어 착탈 가능하도록 설계되는 데, 현상기 세트(20)의 유무를 감지하기 위해 현상기 세트(20)의 하단의 소정 부위에 돌출되도록 형성된 현상기 감지용 돌기(21)를 구비하고 있으며, 감광 드럼 주축(22)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감광 드럼 접지용 단자(23)를 구비한다.
한편, 전자 사진 현상 기기의 본체에는 현상기 세트(20)가 전자 사진 현상 기기의 내부에 삽입됨에 따라 현상기 감지용 돌기(21)와의 상호 작용에 의해 현상기 세트(20)의 유무를 감지하여 마이크로 프로세서(미도시)에 통지하는 현상기 감지용 센서(23)가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현상기 세트(20)가 전자 사진 현상 기기의 내부에 삽입됨에 따라 감광 드럼 접지용 단자(23)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감광 드럼(9)에 접지 경로를 제공하는 세트 접지 단자(25)를 형성하고 있다.
종래 기술에 따르면, 전술한 바와 같이, 현상기 세트(20)의 유무를 감지하기 위한 현상기 감지 수단(21, 24)과 감광 드럼(5)에 접지 경로를 제공하기 위한 감광 드럼 접지 수단(23, 25)을 각각 별도로 구비함에 따라 구조가 복잡할 뿐만 아니라 현상기 감지 수단(21, 24) 및 감광 드럼 접지 수단(23, 25)이 훼손될 위험성이 높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구조는 현상기 세트(20)가 전자 사진 현상 기기 자체에 용이하게 결합되는 것을 방해할 뿐만 아니라 현상기 세트(20)를 취급하는 데 불편함을 야기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이와 같이 현상기 감지 수단(21, 24) 및 감광 드럼 접지 수단(23, 25)을 별도로 구비하는 구조의 현상기 세트를 제조할 시에는 구조의 복잡성에 기인하여 제조 원가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다.
일반적인 전자 사진 현상 기기는 전술한 바와 같은 현상기의 유무 감지 기능 외에도 탑재된 현상제 잔량 감지 장치를 통해 현상기(6)에 수납된 현상제의 잔량을 감지하여 현상제가 기준치 이하로 고갈될 시에 현상제 결핍 상태를 통지하는 현상제 잔량 감지 기능과, 기설정된 적정 규격에서 벗어난 현상기가 삽입될 경우에 오류 통보(error message)를 발생시키는 현상기 종류 식별 기능이 부가되어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대부분의 전자 사진 현상 기기에 있어서, 유무 감지 기능과 현상기 종류 식별 기능 및 현상제 잔량 감지 기능은 각각 별도의 장치로 구현되어 있음에 따라 제품의 용적을 불필요하게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기기의 구조를 복잡하게 만들어 결과적으로 유지 보수를 난해하게 하고 생산 시, 제조 원가를 상승시키는 등의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화상 데이터의 정전 잠상(electro-static latent image)에 현상제를 입혀 가시상을 형성하여 프린팅을 수행하는 전자 사진 현상 기기에 있어서, 각각 별도의 장치로 구현되어 있던 현상기의 유무 감지 기능과 현상기 종류 식별 기능 및 현상제 잔량 감지 기능을 하나의 장치로 일체화함으로써 장치의 단순화와 생산 원가의 절감을 기하고 현상기의 종류에 따라 모델의 제작을 달리하는 불편함에 해결하여 생산자와 사용자 양자에게 공히 제품에 대한 만족도와 신뢰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한 전자 사진 현상 기기의 현상기 복합 감별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전자 사진 현상 기기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예시한 예시도,
도 2는 일반적인 전자 사진 현상 기기의 화상 형성 방법의 순서도,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현상기와 감광 드럼을 일체화한 현상기 세트의 일례를 도시한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사진 현상 기기의 현상기 복합 감별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회로도,
도 5는 일반적인 전자 사진 현상 기기의 현상제 잔량 감지 장치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현상제 잔량 감지부 200 : 전원부
300 : 현상기 유무 감지부 400 : 현상기 종류 식별부
500 : 마이크로 프로세서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사진 현상 기기의 현상기 복합 감별 장치는, 화상 데이터의 정전 잠상(electro-static latent image)에현상제를 입혀 가시상을 형성하는 현상기를 본체에 착탈 가능하도록 구비하여 프린팅을 수행하는 전자 사진 현상 기기에 있어서, 상기 현상기가 상기 본체에 장착됨에 따라 상기 전원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전원 접점 단자로부터 전류를 인가받아 현상기의 유무 감지 기능과 현상기 종류 식별 기능 및 현상제 잔량 감지 기능을 수행하는 현상기 유무 감지부, 현상기 종류 식별부 및 현상제 잔량 감지부를 현상기 세트 내부에 하나의 장치로 일체화하여 장착한 후, 상기 현상기 유무 감지부로부터 출력되는 출력 전류의 유무에 따라 현상기 유무를 감지하고, 상기 현상기 종류 식별부의 저항 소자군을 경유하여 출력되는 각각의 출력 전류량의 조합을 통해 현상기 종류를 식별하며, 상기 현상제 잔량 감지부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잔량 감지 펄스를 입력받아 상기 현상제의 잔량을 감지함으로써 장치의 단순화와 생산 원가의 절감을 도모한 것이 특징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사진 현상 기기의 현상기 복합 감별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사진 현상 기기의 현상기 복합 감별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회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사진 현상 기기의 현상기 복합 감별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상 데이터의 정전 잠상(electro-static latent image)에 현상제를 입혀 가시상을 형성하는 현상기(6)를 본체에 착탈 가능하도록 구비하여 프린팅을 수행하는 전자 사진 현상 기기에 있어서,
상기 전자 사진 현상 기기에 전원을 제공하는 전원부(200)와;
상기 현상기(6)가 상기 본체에 장착됨에 따라 상기 전원부(200)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전원 접점 단자(201)에 접속된 발광부(101)와 수광부(102)의 상호 작용을 통해 상기 현상제의 잔량을 반영하는 잔량 감지 펄스를 출력하는 현상제 잔량 감지부(100)와;
상기 현상기(6)가 상기 본체에 장착됨에 따라 상기 전원 접점 단자(201)로부터 전류를 인가받아 출력하는 현상기 유무 감지부(300)와;
상기 현상기(6)가 상기 본체에 장착됨에 따라 상기 전원 접점 단자(201)에 병렬로 접속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저항 소자로 이루어진 저항 소자군(R1,R2,R3)을 통해 전류를 출력하는 현상기 종류 식별부(400)와;
상기 현상기 유무 감지부(300)로부터 출력되는 출력 전류의 유무에 따라 현상기 유무를 감지하고, 상기 현상기 종류 식별부(400)의 저항 소자군(R1,R2,R3)을 경유하여 출력되는 각각의 출력 전류량의 조합을 통해 현상기 종류를 식별하며, 상기 현상제 잔량 감지부(100)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잔량 감지 펄스를 입력받아 상기 현상제의 잔량을 감지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500)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사진 현상 기기의 현상기 복합 감별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작용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전원부(200)는 상기 전자 사진 현상 기기가 프린팅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전원을 제공한다.
착탈 가능하도록 고안된 현상기(6)가 상기 본체에 장착됨에 따라 본 발명의현상제 잔량 감지부(100), 현상기 유무 감지부(300) 및 현상기 종류 식별부(400)는 상기 전원부(200)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전원 접점 단자(201)에 공동으로 접속되어 전원을 공급받고, 이 전원을 동작 전원으로 삼아 각각의 기능을 수행하여 감지 및 식별 결과를 각각의 출력 단자를 통해 마이크로 프로세서(500)에 인가한다.
물론, 현상제 잔량 감지부(100), 현상기 유무 감지부(300) 및 현상기 종류 식별부(400)는 현상기(6) 내부에 위치하게 되며, 현상기(6)가 상기 본체에 장착됨에 따라 전원을 공급받는 전원 접점 단자(201)가 전원부(200)에 접속될 뿐만 아니라 본체에 장착과 동시에 각각의 감지 및 식별 결과를 마이크로 프로세서(500)에 인가할 수 있도록 마이크로 프로세서(500)와 전기적인 접점을 형성하도록 고안됨은 자명하다.
현상제 잔량 감지부(100)는 접속된 발광부(101)와 수광부(102)의 상호 작용에 의해 동작하는 포토 인터럽터(photo-interrupter; 120)와 포토 인터럽트(120)의 출력을 마이크로 프로세서(500)에 전달하는 펄스 전달부(103)로 구성된다. 여기서, 펄스 전달부(103)는 상기 현상제의 잔량을 반영하는 잔량 감지 펄스를 정적 전압으로 조정하여 마이크로 프로세서(500)에 전달한다.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일반적인 현상제 잔량 감지 장치의 일례를 도 5를 통해 간략하게 살펴보면, 통상, 현상기(6)는 현상제(토너)가 들어있는 호퍼(41)와, 상기 호퍼(41)내의 현상제를 교반하여 고루 분산시키기 위한 교반기(42)와, 상기 교반기(42)에 의해 교반된 현상제를 감광체(20)에 공급하여 정전 잠상을 가시상으로 현상하기 위한 현상제 공급 로울러(43) 및 현상 로울러(7)로구성된다.
교반기(42)는 일정속도로 회전하여 호퍼(41)내에 채워진 현상제(44)를 교반하여 현상제 공급 로울러(43)에 공급하고, 현상제 공급 로울러(43)도 회전하여 현상제를 현상 로울러(44)로 이송시킨다.
이때, 현상제 잔량 감지부(100)는 마그네트 센서(110), 상기 마그네트 센서(110)와 지지대로 연결되어 회동축(130)을 중심으로 마그네트 센서(110)의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동하게 되는 차폐판(140)과, 발광부(101)와 수광부(102) 사이에 통과하는 빛에 의해 잔량 감지 펄스의 수와 폭을 발생하는 포토 인터럽터(120)의 발광부(101)와 수광부(102) 사이를 상기 차폐판(140)이 빛을 차단함으로써 현상제 잔량을 반영하는 잔량 감지 펄스의 폭과 주기를 결정한다.
이때, 마그네트 센서(110)는 인접 위치에 많은 현상제(46)가 있는 경우에 (가)의 방향으로 이동을 하게되고, 현상제(46)가 작은 경우에는 (나)의 방향으로 이동을 하게 됨에 따라 발생하는 펄스를 통해 현상제의 잔량을 감지한다.
통상, 포토 인터럽터(120)의 발광부(101)가 전원을 공급받아 전광 변환을 통해 기설정된 파장의 광을 발광시키면, 수광부(201는 상기 발광부(101)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수광하여 광량에 비례하는 광전 변환을 수행함에 따라 현상제의 잔량에 비례하여 발광부(101)와 수광부(102) 간을 광학적으로 차폐하는 량이 증가한다. 따라서, 포토 인터럽터(120)에서 출력되는 잔량 감지 펄스는 현상제의 잔량을 반영할 수 있다.
이때, 발광부(101)를 이루는 발광 다이오드의 애노드 측에 접곡된 애노드 저항(RD)은 발광 다이오드의 동작 조건을 정하기 위한 저항이고, 수광부(102)를 이루는 포토 트랜지스터의 에미터에 접속된 저항 RTR의 저항치는 포토 트랜지스터의 수광 감도를 결정하기 위한 것이다. 발광부(101)의 빛이 수광부(102)에 수광되지 않으면 에미터 출력 전압을 하이 상태로 유지하다가 발광부(101)의 빛이 수광부(102)에 수신되면 에미터 출력 전압을 하이 상태에서 로우 상태로 변화함으로써 잔량 감지 펄스를 발생하게 된다.
펄스 전달부(103)는 잔량 감지 펄스를 마이크로 프로세서(500)에 전달하는 트랜지스터(TR1)로 이루어지는 데, 이 트랜지스터(TR1)는 포토 인터럽터(120)의 출력을 제 1 베이스 저항(RB1)과 제 2 베이스 저항(RB2)을 통해 전압을 분배하여 입력받고 콜레터 저항(RC)을 통해 전원 접점 단자(201)에 접속되며 상기 현상기(6)가 상기 본체에 장착됨에 따라 에미터 단자가 접지 단자(GND)에 접지된다. 에미터에 접속된 출력 저항(ROUT)을 경유하여 트랜지스터(TR1)의 콜렉터 출력을 잔량 감지 출력 단자(SIGNAL-TONER)를 통해 마이크로 프로세서(500)에 인가한다. 마이크로 프로세서(500)는 펄스 전달부(103)의 출력 상태를 확인하여 현상제 잔량을 감지할 수 있다. 이때, 베이스 저항(RB)과 콜렉터 저항(RC)은 트랜지스터(TR1)의 동작 조건을 결정하기 위한 것이다.
본원에서는 마크네틱 센서(110)와 포토 인터럽트(120)를 이용한 현상제 잔량 감지 장치를 예로 소개하고 있으나, 압전 센서와 포토 인터럽트를 이용하는 것이공지되어 있으며, 마크네틱 센서나 입전 센서를 이용하지 않고 단지 포토 인터럽트만을 이용하는 저가의 현상제 잔량 감지 장치도 공지되어 있다. 직관적으로 인지할 수 있듯이, 본 발명은 발광부와 수광부를 구비하는 포토 인터럽터를 이용하는 여하의 현상제 잔량 감지 장치를 채택하여 사용할 수 있음은 명백하다.
한편, 현상기 유무 감지부(300)는 상기 현상기(6)가 상기 본체에 장착됨에 따라 상기 전원 접점 단자(201)로부터 전류를 인가받아 현상기 유무 출력 단자(SIGNAL4)를 통해 출력한다. 본 발명에서는 전원 접점 단자(201)에 접속된 연장 접점 단자로 용이하게 현상기 유무 감지부(300)를 구성하고 있다.
이때, 마이크로 프로세서(500)는 현상기 유무 감지부(300)의 출력 전압이 로우 상태인지 혹은 하이 상태인지를 확인하여 현상기 유무를 감지할 수 있다. 즉, 현상기 유무 감지부(300)의 출력 전압이 로우 상태이면, 현상기(3)가 삽입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이 출력 전압이 하이 상태이면, 현상기(3)가 분리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그리고, 현상기 종류 식별부(400)는 상기 현상기(6)가 상기 본체에 장착됨에 따라 상기 전원 접점 단자(201)에 병렬로 접속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저항 소자로 이루어진 저항 소자군(R1,R2,R3)을 통해 전류를 출력한다. 상기 현상기(6)가 상기 본체에 장착됨에 따라 R1,R2,R3에 대응하는 출력 단자 SIGNAL1, SIGNAL2, SIGNAL3가 현상기 종류 식별부(400)와 마이크로 프로세서(500) 간에 상호 접속되는 데, 출력 단자 SIGNAL1, SIGNAL2, SIGNAL3에 각각 병렬로 접속되어 접지된 저항 R4,R5,R6은 각각 R1,R2,R3을 통해 출력되는 전류를 전압으로 전환하기 위한 것임은 주지의사실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R1,R2,R3의 3개의 저항 소자를 통해 현상기의 종류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나, 저항 소자군의 저항수를 늘리고 각각의 저항치를 단계적으로 조정할 경우, 수많은 모델을 식별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즉, 저항 소자군을 이루는 저항수의 증가는 조합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경우의 수를 기하급수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을 것이며, 각각의 저항치를 가변적으로 설정하면, 전류의 변화량이 다르게 출력될 것임에 따라 수많은 경우의 수를 발생시킬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현상제 잔량 감지부(100), 현상기 유무 감지부(300) 및 현상기 종류 식별부(400)가 동작하는 상태에서 마이크로 프로세서(500)는 상기 현상기 유무 감지부(300)로부터 출력되는 출력 전류의 유무에 따라 현상기 유무를 감지하고, 상기 현상기 종류 식별부(400)의 저항 소자군(R1,R2,R3)을 경유하여 출력되는 각각의 출력 전류량의 조합을 통해 현상기 종류를 식별하며, 상기 현상제 잔량 감지부(100)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잔량 감지 펄스를 입력받아 상기 현상제의 잔량을 감지하는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장치의 단순화와 생산 원가의 절감을 기하고 현상기의 종류에 따라 모델의 제작을 달리하는 불편함에 해결할 수 있다.
한편,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terminology)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 내려진 용어들로써 이는 당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원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원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설명했으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인 난이도 측면을 고려할 때, 당분야에 통상적인 기술을 가진 사람이면 용이하게 본 발명에 대한 또 다른 실시예와 다른 변형을 가할 수 있으므로, 상술한 설명에서 사상을 인용한 실시예와 변형은 모두 본 발명의 청구 범위에 귀속됨은 명백하다.
이상에서 상세하게 설명한 바와 같이, 화상 데이터의 정전 잠상(electro-static latent image)에 현상제를 입혀 가시상을 형성하는 현상기를 본체에 착탈 가능하도록 구비하여 프린팅을 수행하는 전자 사진 현상 기기에 있어서, 상기 현상기가 상기 본체에 장착됨에 따라 상기 전원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전원 접점 단자로부터 전류를 인가받아 동작하는 현상기 유무 감지부, 현상기 종류 식별부 및 현상제 잔량 감지부를 현상기 세트 내부에 하나의 장치로 일체화하여 장착한 후, 상기 현상기 유무 감지부로부터 출력되는 출력 전류의 유무에 따라 현상기 유무를 감지하고, 상기 현상기 종류 식별부의 저항 소자군을 경유하여 출력되는 각각의 출력 전류량의 조합을 통해 현상기 종류를 식별하며, 상기 현상제 잔량 감지부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잔량 감지 펄스를 입력받아 상기 현상제의 잔량을 감지하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사진 현상 기기의 현상기 복합 감별 장치에 따르면, 각각 별도의 장치로 구현되어 있던 다수의 기능들을 하나의 장치로 일체화함으로써 장치의 단순화와 생산 원가의 절감을 기하고 현상기의 종류에 따라 모델의 제작을 달리하는 불편함에 해결하여 생산자와 사용자 양자에게 공히 제품에 대한 만족도와 신뢰도를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5)
- 화상 데이터의 정전 잠상(electro-static latent image)에 현상제를 입혀 가시상을 형성하는 현상기를 전자사진 현상기기의 본체에 착탈 가능하도록 구비하여 프린팅을 수행하는 전자사진 현상기기에 있어서:상기 전자 사진 현상기기에 전원을 제공하는 전원부와;상기 현상기가 상기 본체에 장착됨에 따라 상기 전원부의 전원 접점 단자와 접속되는 발광부와 수광부 및 상기 현상제의 잔량에 비례하여 상기 발광부와 상기 수광부간을 광학적으로 차폐하는 량이 증가하도록 구성된 포토 인터럽터(photo-interrupter)와, 상기 포토 인터럽트의 출력을 마이크로 프로세서에 전달하는 펄스 전달부로 구성되어 상기 형상제의 잔량을 반영하는 잔량 감지 펄스를 출력하는 현상제 잔량 감지부; 및상기 현상기가 상기 본체에 장착됨에 따라 상기 전원 접점 단자에 병렬로 접속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저항 소자로 이루어진 저항 소자군을 통해 전류를 출력하는 현상기 종류 식별부와;상기 현상제 잔량 감지부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잔량 감지 펄스를 입력 받아 상기 현상제의 잔량을 감지하고, 상기 현상기 종류 식별부의 저항 소자군을 경유하여 출력되는 각각의 출력 전류량의 조합을 통해 현상기 종류를 식벽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사진 현상 기기의 현상기 복합 감별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기가 상기 본체에 장착됨에 따라 상기 전원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전원 접점 단자로부터 전류를 인가받아 출력하는 현상기 유무 감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사진 현상 기기의 현상기 복합 감별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펄스 전달부는,상기 현상제의 잔량을 반영하는 잔량 감지 펄스를 정적 전압으로 조정하여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에 전달하는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사진 현상 기기의 현상기 복합 감별 장치.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기 유무 감지부는,상기 전원 접점 단자에 접속된 연장 접점 단자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사진 현상 기기의 현상기 복합 감별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기 종류 식별부는,상기 전원 접점 단자에 병렬로 접속된 3개의 저항 소자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사진 현상 기기의 현상기 복합 감별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80049558A KR100318729B1 (ko) | 1998-11-18 | 1998-11-18 | 전자사진현상기기의현상기복합감별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80049558A KR100318729B1 (ko) | 1998-11-18 | 1998-11-18 | 전자사진현상기기의현상기복합감별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00032921A KR20000032921A (ko) | 2000-06-15 |
KR100318729B1 true KR100318729B1 (ko) | 2002-05-13 |
Family
ID=195588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80049558A KR100318729B1 (ko) | 1998-11-18 | 1998-11-18 | 전자사진현상기기의현상기복합감별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318729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594980B1 (ko) | 2005-01-26 | 2006-06-30 | 삼성전자주식회사 | 추가인쇄요청에 따라 인쇄매수를 조정하는 네트워크프린터, 이를 이용한 네트워크 프린팅 시스템, 및 그 방법 |
-
1998
- 1998-11-18 KR KR1019980049558A patent/KR100318729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00032921A (ko) | 2000-06-1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13574467B (zh) | 成像设备 | |
JP2001166648A (ja) | 取替え可能カートリッジのような消耗品の状態を検出するための装置および方法 | |
JP4630166B2 (ja) | 現像剤収容装置、現像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 |
US20230078527A1 (en) |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oner replenishment | |
CN113574466B (zh) | 成像设备 | |
CN118068665A (zh) | 成像设备 | |
US6100993A (en) | Apparatus for detecting amount of paper remaining in paper cassette of printer | |
US6782214B2 (en) | Fuser sensor system and method with media detection | |
JP2008026704A (ja) | 画像形成装置 | |
KR100318729B1 (ko) | 전자사진현상기기의현상기복합감별장치 | |
US20230161282A1 (en) | Image form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system | |
JP2010026414A (ja) | 画像形成装置 | |
JPH04299375A (ja) | 電子写真装置 | |
CN113574464A (zh) | 成像设备和成像系统 | |
JPH09304979A (ja) | 画像形成装置 | |
JP2977462B2 (ja) | 画像形成装置 | |
US11994818B2 (en) | Image-forming apparatus | |
JP2003091108A (ja) | 反射型フォトセンサの取付け構造 | |
KR100366029B1 (ko) | 토너잔량표시방법 | |
KR200204184Y1 (ko) | 현상기 세트 감지 기능을 겸한 감광 드럼 접지 장치 | |
KR100309985B1 (ko) |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제 잔량 감지장치 | |
JP3139036B2 (ja) | カウンタを持つ画像形成装置 | |
JP2000221779A (ja) | 電子写真装置 | |
JP3464850B2 (ja) | 画像形成装置 | |
JP2000347494A (ja) | 電子写真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61129 Year of fee payment: 6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