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16747B1 - 다수의구멍을뚫는펀치 - Google Patents

다수의구멍을뚫는펀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16747B1
KR100316747B1 KR1019940026380A KR19940026380A KR100316747B1 KR 100316747 B1 KR100316747 B1 KR 100316747B1 KR 1019940026380 A KR1019940026380 A KR 1019940026380A KR 19940026380 A KR19940026380 A KR 19940026380A KR 100316747 B1 KR100316747 B1 KR 1003167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er
slide rail
cutting tool
actuator
pi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263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13537A (ko
Inventor
모리쥬우조오
Original Assignee
모리쥬우조오
카아루지무기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모리쥬우조오, 카아루지무기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모리쥬우조오
Priority to KR10199400263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16747B1/ko
Publication of KR9600135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35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67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6747B1/ko

Links

Landscapes

  • Perforating, Stamping-Out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AREA)

Abstract

겹쳐진 여러 장의 종이를 관통하여 일렬로 다수의 구멍을 균등하게 뚫는 펀치가, 수평으로 배치된 레일에 의해 일렬로 지지된 수직으로 배치되고 또한 수직 이동 가능한 다수의 절단공구를 포함한다. 각각의 공구에는, 그에 대해 직각으로 부착된, 수평으로 배치된 액추에이터 핀이 구비되어 있다. 이들 핀으로 하여금 상기 공구를 하나씩 차례대로 수직 이동시키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레일을 따라 슬라이더가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슬라이더는, 각 핀의 양끝부와 맞물릴 수 있는 한쌍의 만곡된 안내홈, 또는 역시 각 핀의 양끝부와 맞물릴 수 있는 한쌍의 환형 표면을 갖는 로울러를 지님으로써, 상기 핀 및 공구들이 수직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다수의 구멍을 뚫는 펀치
본 발명은 종이에 다수의 구멍을 뚫기 위한 펀치에 관한 것이다.
화일(file)할 경우, A4로 알려진 표준 사이즈(size)로 된 종이 한 장에는 일련의 30개 구멍이 뚫려지며, B5로 알려진 종이 한 장에는 일련의 26개 구멍이 뚫려진다. 도 29는 표준 사이즈로 된 한 장의 종이에 다수의 구멍을 뚫는 공지된 펀치를 도시한 것이다. 펀치는 베이스(1) 및 그에 회전 가능 상태로 부착된 종이 홀더(2)를 지님으로써, 이들 베이스(1) 및 종이 홀더(2) 사이에서 한 장의 종이가 수용될 수 있다. 자판(ruler)(4)은 상기 종이홀더(2)와 일체부를 형성하며, 등간격으로 떨어진 5개의 노치(notch)를 지닌다. 펀치 프로퍼(proper)(6)는 이들 노치와 차례로 맞물리는 돌출부(7)를 지니는 한편, 상기 자판(4)을 따라 슬라이딩 하여 종이(3)에 구멍을 뚫는다. 상기 펀치 프로퍼(6)는 한번에 6개의 구멍을 뚫을 수 있는 절단공구를 지니고 있다. 펀치 프로퍼(6)는 스프링을 포함하고 있는데, 이 펀치 프로퍼를 잡고서, 스프링력을 극복하여 눌러주어 구멍을 뚫는다.
도 29에 나타낸 펀치는 당업계에서 구할 수 있는 가장 작은 사이즈로 되어 있어, 사용 및 보관이 편리한 매우 간편한 사무 기기이다. 그러나, 상기 스프링력을 극복함으로써 펀치 프로퍼(6)를 작동시켜 6개의 구멍을 한번에 뚫기 위해서는 상당히 큰 파지력(grasping power)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상기 펀치는 많아야 한번에 5장의 종이를 관통하여 구멍을 뚫을 수 있을 뿐, 그 이상의 종이를 한번에 뚫기는 어렵다.
도 28은 한번에 26개 내지 30개의 구멍을 뚫도록 설계된 다른 형태의 공지된펀치를 도시하고 있다. 이 펀치는 양자간에 종이가 끼워지게 되는 테이블(1) 및 본체(2)와, 종이 사이즈에 따라 뚫을 구멍의 수를 선택하기 위한 레버(9)와, 내리 눌러서 종이에 26개 내지 30개의 구멍을 뚫을 수 있는 핸들(8)을 포함하고 있다.
핸들(8)에 의해 가해지는 힘은 상당히 크므로, 도 28에 도시된 펀치라면, 여러 장의 종이에 효과적으로 구멍들을 뚫을 수 있다. 그러나, 이 펀치는 너무 커서 사무실 내에서 사용되는 책상 위 공간을 많이 차지한다. 더욱이, 취급 및 보관이 불편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문자 'A' 또는 'B'로 표시되는 표준 사이즈로 된 한 장의 종이에 다수의 구멍을 뚫을 수 있으며, 사이즈가 작으면서도 작은 힘으로 여러 장의 종이를 관통하여 구멍들을 뚫을 수 있는 펀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목적은, 수평으로 배치된 슬라이드 레일(slide rail)에 의해 일렬로 지지된, 수직으로 배치되고 또한 수직 이동 가능한 다수의 절단공구와, 각각 하나의 절단공구에 대해 직각으로 부착된, 수평으로 배치된 다수의 액추에이터 핀(actuator pin)과, 이들 액추에이터 핀들로 하여금 상기 절단공구들을 수직 이동시키도록 하기 위한, 상기 슬라이드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할 수 있도록 마련된 슬라이더(slider)로 구성된 펀치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슬라이더는, 액추에이터 핀들을 내리 누름으로써 그에 따라 상기 절단공구들을 하나씩 차례로 내리 누르게 되어 차례대로 다수의 구멍을 일렬로 뚫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일련의 구멍들을 하나씩 차례로 뚫는 데는 작은 힘만으로도 충분하다. 상기 핀들은 절단공구들로 하여금 작은 힘으로도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상기 슬라이더는, 펀치로 하여금 소형이면서도 한번에 여러 장의 종이에 구멍들을 뚫을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효과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 및 도면을 통해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펀치를 나타낸 부분 정면도.
도 2는 상기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3은 도 5의 B-B선 단면도.
도 4는 상기 도 1의 슬라이더의 반쪽 정면도.
도 5는 상기 도 1에 나타낸 슬라이더의 측면도.
도 6은 프레스 로울러를 포함하는 수정형 슬라이더의 반쪽 정면도.
도 7은 프레스 로울러를 포함하는 다른 수정형 슬라이더의 반쪽 정면도.
도 8은 또 다른 형태의 슬라이더의 정면도.
도 9는 상기 도 8의 C-C선 단면도.
도 10은 상기 도 1에 나타낸 슬라이드 레일의 평면도.
도 11은 상기 도 10에 나타낸 레일의 정면도.
도 12는 상기 도 11의 D-D선 단면도.
도 13은 상기 도 11에 나타낸 두개 슬롯의 확대도.
도 14는 상기 도 7의 슬라이더를 포함하는 펀치의 부분 정면도.
도 15는 상기 도 14의 E-E선 단면도.
도 16은 슬라이더의 정면도.
도 17은 본 발명 실시예의 수정형 펀치의 부분 정면도.
도 18은 상기 도 17의 G-G선 단면도.
도 19는 상기 도 16의 F-F선 단면도.
도 20은 상기 도 18에 나타낸 절단공구 지지부재의 상세도.
도 21은 다른 형태의 슬라이더의 측면도.
도 22는 프레스 로울러의 정면도.
도 23은 상기 도 22의 H-H선 단면도.
도 24는 상기 도 21에 나타낸 커버의 정면도.
도 25는 상기 도 24에 나타낸 커버의 측면도.
도 26은 상기 도 1에 나타낸 펀치에 있어 상기 커버를 떼어낸 상태의 사시도.
도 27은 상기 도 1 및 도 26에 나타낸 펀치의 사시도.
도 28은 공지된 펀치의 사시도.
도 29는 다른 공지된 펀치의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슬라이드 레일 13 : 액추에이터 핀
14 : 슬라이더 15, 16 : 슬롯
18 : 프레스 로울러 27 : 로울러 지지부재
본 발명 실시예의 펀치를 도 26에 나타낸다. 이 펀치는, 베이스(10)에 고정되고, 이하 상세하게 설명하게 될 절단공구를 각각 내장하는 일련의 구멍(12)들을 갖는 슬라이더 레일(11)을 포함한다. 이들 구멍의 수는, 선택 여하에 따라, 예컨대, 펀치가 30개의 절단공구를 가져서 A4 표준 사이즈로 된 종이 한 장에 30개의 구멍을 뚫을 수 있도록 할 수도 있으며, 또한 B5 표준 사이즈로된 종이 한 장에 26개의 구멍을 뚫을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명백한 여러 이유로 인해 상기 슬라이드 레일(11)에는 상기 슬라이드 레일(11)을 따라 교대로 형성된 다수 쌍의 제1슬롯(15) 및 다수 쌍의 제2 슬롯(16)이 양 측면에 마련되어 있다. 각 쌍의 제1슬롯(15)은 하나의 절단공구를 작동시키기 위한 액추에이터 핀(13)을 지지할 목적으로 마련되어 있다. 상기 슬라이드 레일(11)에는 슬라이더(14)가 끼워지며, 이 슬라이더는,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할 수 있어 상기 액추에이터 핀(13)과 맞닿음으로써, 상기 절단공구들을 하나씩 차례로 눌러 내려 종이 위에 일련의 구멍을 뚫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27로부터 명확히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더(14)는, 슬라이더 레일(11) 상에 슬라이딩 가능 상태로 끼워지도록 아치 모양의 단면을 지니며, 상기 절단공구들을 수직 이동시키기 위하여 액추에이터 핀(13)들이 그 속에 맞물릴 수 있는 한쌍의 안내홈(141)과, 슬라이더(14)가 상기 슬라이드 레일(11) 상에 슬라이딩 가능 상태로 지지되는 한쌍의 안내홈(142)을 갖는 내측 표면을 구비하고 있다. 도 26을 보면 명확히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슬라이드 레일(11)은 각각 상기 슬라이더(14)의 안내홈(142)내에 슬라이딩 할 수 있도록 끼워지는, 길이 방향으로 뻗은 한쌍의 릿지(ridge)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슬라이더(14)를 더욱 상세히 나타내는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기로 한다. 이는 상호 결합된 두개의 반쪽으로 형성된 스플릿형(split type)이다. 슬라이더(14)는 각각의 반쪽에,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양자간에 하나의 안내홈(141)을 형성하게 되는 상부 안내면(143) 및 하부 안내면(144)을 구비하고 있다. 이들 안내홈(143, 144)은 모두 파형(wavy form)으로 만곡되어 있다. 상기 하부 안내면(144)은 상부 안내면(143)의 양끝부로부터 각각 돌출된 한쌍의 하향 경사 끝부(I)를 구비하고 있다. 각각의 안내홈(141)은 한쌍의 상향 만곡 끝부(II)와 한쌍의 하향 만곡 끝부(III)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각각의 안내홈(141)은, 그 길이의 대부분을 따라 상기 핀(13)의 직경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나, 각 끝부의 바깥 끝부(II)쪽으로 갈수록 약간 더 큰 폭을 갖는다. 슬라이더(14)는 또한, 그립(grip)(145)과, 슬라이더(14)의 두개 반쪽을 상호 결합하기 위해 나사(148)가 수용되는 나사 구멍(147)을 갖는 넥(neck)(146)을 구비하고 있다. 선택 여하에 따라 상기 슬라이더를 단일체로 형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6은 다른 형태의 슬라이더(14)를 도시하고 있다. 이는, 도 4에 도시한 상부 안내면(143) 대용의 프레스 로울러(18)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도 4의 슬라이더(14)와는 기본적으로 구별된다. 슬라이더(14)는 상기 프레스 로울러(18)를 수용하는 부분(19)을 구비하고 있으며, 20 위치에서 이를 회전 가능 상태로 지지한다. 슬라이더(14)는, 상기 로울러(18)로부터 점차 멀어지는 한쌍의 하향 경사 끝부(I)를 각각 갖는 한쌍의 하부 안내면(144)을 구비하고 있다. 각각의 하부 안내면(144)과 그 인접한 로울러(18)의 주변면은 그들 사이에, 한쌍의 상향 만곡 끝부(I)와 하나의 하향 만곡 중앙부(III)를 포함하고, 또한 하향 만곡 중앙부(III)에 있어서는 상기 액추에이터 핀(13)의 직경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폭을 갖는 하나의 만곡 안내홈을 형성한다.
도 7은 프레스 로울러(18)를 포함하는 수정형 슬라이더(14)를 도시하고 있다. 이는, 한쌍의 따로 떨어진 부분에 의해 각각의 하부 안내면(144)이 형성되고, 로울러(18) 아래에 형성된 각각의 안내홈이 서로 일정간격 떨어진 두 부분으로 구성된 하향 만곡 중앙부(III)를 갖는 점에서, 상기 도 6에 나타낸 슬라이더(14)와는 구별된다.
도 15를 참조하면, 절단공구(17)를 지지하기 위한 공구 지지부재(21)가 상기 슬라이더 레일(11)에 견고하게 끼워져 있다. 상기 공구 지지부재(21)는,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에 연결된 상부(212) 및 하부(211)로 구성된다. 공구 지지부재(21)는 그 하부(211)의 양 측면에 형성된 수평 배열의 다수 쌍의 슬롯(15)과, 그 하부 및 상부(211, 212)에 형성된 수직 배열의 다수 쌍의 구멍(213)을 구비하고 있다.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각의 액추에이터 핀(13)은 상기 한쌍의 슬롯(15)으로부터 각각 돌출되는 한쌍의 끝부를 가지며, 각각의 절단공구(17)는 한쌍의 구멍(213)내에 각각 지지되는 한쌍의 끝부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프레스 로울러(18)는, 도 2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측면에서 볼 때 'H'자 모양으로 되어 있다.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레스 로울러는, 상기 공구 지지부재(21)가 그 속으로 연장되는 오목부(182)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로울러(18)는, 공구 지지부재(21)의 양 측면으로부터 돌출된 상기 액추에이터 핀(13)의 양끝부에 작용하도록 된 한쌍의 주변 안내면(181)을 갖는다. 프레스 로울러(18)는,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 축용의 한쌍의 구멍(271)을 갖는 로울러 지지부재(27)에 의해 회전 가능 상태로 지지된다.
상기 로울러 지지부재(27)는 그 바닥 부분에 한쌍의 안내 릿지(273)를 지니며, 상기 슬라이드 레일(11)은, 안내 릿지(273)가 슬라이딩 가능 상태로 끼워져 상기 슬라이더(14)로 하여금 슬라이드 레일(11)을 따라 슬라이딩 할 수 있도록 하는 한쌍의 안내홈(113)을 구비하고 있다. 로울러 지지부재(27)는,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액추에이터 핀(13)들을 하강 및 상승시키기 위한 하부 안내면(144)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공구 지지부재(21)의 각 슬롯(15)은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은 잘룩한 부위(151)를 구비하고 있다. 공구 지지부재(21)는 또한, 휠 수 있는 다수의 다른 유연성 슬롯(16)을 구비하고 있다.
또 다른 형태의 슬라이더(14)를 도 8 및 도 9에 나타낸다. 이는 상기 슬라이더(14)의 높이를 단축시키는데 기여하게 되는 공구 수용구멍(149)을 구비하고 있다. 도 26에 있어서는 그것이 없는 상태로 도시된 상기 펀치를 둘러싸기 위해 케이성(21)이 구비되어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절단공구용 구멍(12)들은, 상기 슬라이드 레일(11)의 길이 방향 중심선(C) 상에 배열되며, 예컨대 A4 표준 용지 한 장에 뚫리게 될 30개의 구멍 피치와 동일한 피치(P)를 지니고 있다. 슬라이드 레일(11) 양 측면상의 액추에이터 핀용 슬롯(15)들은, 도 11 및 도 12를 통해 명확히 알 수 있듯이, 상기 구멍(12)들을 가로질러 배열되어 있다. 슬라이드 레일(11)의 양 측면에는 또한 휠 수 있는 다수의 다른 유연성 슬롯(16)이 마련되어 있다.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들 슬롯(15, 16)은 교대로 형성되며, 각각의 슬롯(15) 및 그에 인접한 슬롯(16) 사이는,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P/2' 로 나타낼 수 있는 피치를 갖는다.
상기 각각의 슬롯(15)은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은 잘룩한 부위(151)를 지니는데, 이 잘룩한 부위(151)가 액추에이터 핀(13)의 직경 보다 다소 작은 폭(W)을 지님으로써, 상기 액추에이터 핀(13)은, 그 상승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잘룩한 부위(151) 상방의 슬롯(15) 상부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드 레일(11)의 측벽(111)이 휠 수 있도록 슬롯(16)이 마련되어 있어, 상기 액추에이터 핀(13)은 상기 잘룩한 부위(151)를 벌림으로써 이를 통과해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슬라이드 레일(11)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한쌍의 안내 돌출부(112)를 갖고 있다. 돌출부(112)는 슬라이더(14) 상의 안내홈(142)과 맞물려 슬라이드 레일(11)을 따라 그 슬라이딩 이동을 안내한다. 슬라이드레일(11)은 그 바닥부에 숄더(113)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베이스(10)과 슬라이드 레일(11)은 그들 사이에, 종이가 삽입될 수 있는 틈새를 형성하고 있다. 슬라이드 레일(11)은 또한, 종이 삽입을 용이하게 하는 틈새를 얻기 위한 광폭의 입구부를 형성하는 경사진 바닥면부(114)를 구비하고 있다.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슬라이드 레일(11)은 도 14 및 도 15, 또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은 슬라이더(14)와 함께 사용된다. 로울러 지지부재(21)는,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은 프레스 로울러(18)를 포함하는 슬라이드(14)와 함께, 슬라이드 레일(11)용으로 사용된다.
각각의 액추에이터 핀(13)은, 도 14 및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나의 절단공구(17)를 직각으로 관통하며 그로부터 양 측방으로 연장되는 한쌍의 끝부를 지니고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각각의 절단공구(17)는, 그 액추에이터 핀(13)이 상기 슬라이드 레일(11)내 한쌍의 슬롯(15)을 지나 연장된 상태로 슬라이드 레일(11) 상의 구멍(12)내에 배치되어 있으며, 슬라이더(14) 상의 안내홈(142) (도 27)이 상기 슬라이드 레일(11)의 안내 돌출부(112)와 맞물리는 반면, 상기 액추에이터 핀(13)의 돌출 끝부는 슬라이더(14) 상의 안내홈(141)(도 27)내에 끼워진다.
각각의 절단공구(17)는,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하단에 절단날(171)을 구비하고 있다. 도 2를 통해 명확히 알 수 있듯이, 베이스(10)에는, 절단공구(17)가 하강하여 상기 베이스(10) 위의 종이에 구멍을 뚫게 될 때, 상기 절단공구(17)의 절단날(171)을 각각 수용하는 다수의 절단 구멍(101)이 구비되어 있다. 베이스(10)는, 펀칭(punching)으로 인해 낙하하는 종이 조각을 수용하기 위하여, 구멍(101) 아래에 속이 빈 내부(102)를 구비하고 있다. 슬라이드 레일(11)은 어떠한 절단공구도 마련되지 않은 한쌍의 끝부(E)를 구비하고 있다.
작동시에 있어서는, 슬라이드 레일(11)을 따라 일어나는 상기 슬라이더(14)의 슬라이딩 이동에 의해 그 안내홈(141)의 하향 만곡 중앙부(III)의 이동이 초래되어 액추에이터 핀(13) 및 상기 절단공구(17)를 하강시킴으로써, 제 위치에 놓여 있는 종이 위에 일련의 구멍을 뚫게 된다. 상기 안내홈(141)이 만곡되어 있음으로써 절단공구(17)들은 하나씩 차례로 연속 하강하는데, 종이를 관통하여 구멍을 뚫게 되는 절단공구(17)는 실질적으로는 한번에 오직 하나씩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펀치를 사용하는 데는 작은 힘만 가해도 된다.
하강하여 하나의 구멍을 뚫고 난 각각의 절단공구(17)는 그 후, 상기 안내홈(141)의 상향 만곡부(II)쪽으로 상승한다. 상승한 절단공구(17)에 대해 상기 액추에이터 핀(13)이 상기 슬롯(15) 상의 잘룩한 부위(151)에 의해 붙잡힘에 따라, 상기 절단공구(17)는 그 절단날(171)이 구멍(12)내로 들어간 상태로 유지된다. 상기 슬라이더(14)가 슬라이드 레일(11)의 양끝부(E) 중 어느 한쪽으로 이동하면, 모든 절단공구(17)들이 그 절단날(171)을 상기 구멍(16)내로 들어가게 함에 따라, 구멍 뚫린 종이는 빼내고 또한 구멍 뚫을 종이를 삽입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슬롯(16)들은 슬라이드 레일(11)의 측벽(111)으로 하여금, 액추에이터 핀(13)이 상기 슬롯(15) 상의 잘룩한 부위(151)를 통과해 이동할 때, 슬롯(15, 16)들 사이에서 휘어질 수 있도록 해준다. 이에 의해 상기 핀(13)이 잘룩한 부위(151)를 통과해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게 됨으로써, 상기 슬라이더(14)를 움직이는데 필요한 힘을 감소시킬 수 있다.
각각의 절단공구(17)는 그 양끝이 구멍(12)내에 지지되며, 절단공구를 실질적 직각으로 가로지르는 상기 액추에이터 핀(13)은, 슬롯(15)을 따라 상기 핀(13)이 이동할 때, 상기 절단공구에 대해 수직력을 전달하게 된다. 따라서, 절단공구(17)는 적은 양의 힘으로써도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다. 액추에이터 핀(13)이 상기 슬롯(15) 상의 잘룩한 부위(151)를 지나 하강한 후, 위로 밀어 올리는 어떤 힘도 상기 절단공구(17)에 작용하지 않으나, 절단공구(17)의 절단날(171)로 하여금 종이에 구멍을 뚫게 할 정도의 힘만을 가해도 충분하다.
상기 절단공구(17)를 이동시키는 데 적은 양의 힘만 있어도 되는 한, 슬라이더(14)의 이용은 효율적이며, 따라서, 본 발명의 펀치는 소형화 된다.
이상의 설명은, 도 6 또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더(14)가 프레스 로울러(18)를 포함하는 펀치의 작동에도 적용할 수 있다. 프레스 로울러(18)를 포함하는 슬라이더(14)는, 그러나, 도 4에 도시한 슬라이더(14)에 비해서는 장점을 갖고 있다. 상기 안내면과 핀(13) 사이에 바람직하지 못한 큰 마찰력이 발생하여 슬라이더(14)의 원활한 이동을 방해하기 때문에, 도 4에 도시한 슬라이더(14)의 안내홈(141)의 하향 만곡부(III)는 너무 작은 곡률 반경을 지닐 수는 없다. 한편, 로울러(18)는 회전을 통해 상기 핀(13)을 이동시키므로, 핀(13)과 로울러(18) 사이에 큰 마찰력은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로울러(18)의 직경이 다양하게 될 수 있으며, 로울러(18)의 직경이 더 작아진다면 슬라이더(14)가 더욱 소형화될 수 있으므로 전체적으로 펀치가 작아지며, 슬라이드 레일(11)의양끝부(E)의 길이 역시 짧아질 수 있게 된다.
각각의 절단공구를 그 상승 위치에서 유지하게 하기 위한 스프링을 포함하는, 본 발명 실시예의 다른 형태의 펀치를 도시하는 도 18 내지 도 20을 참조하기로 한다. 펀치는, 절단공구(17)를 지지하기 위한, 슬라이드 레일(11)에 견고하게 끼워진 공구 지지부재(21)를 포함한다. 도 20을 참조로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공구 지지부재(21)는, 선택 여하에 따라서는 박스 형상의 단일체로 형성할 수도 있기는 하나, 상부(212) 및 하부(211)를 갖고 있다. 하부(211)는 상기 액추에이터 핀(13)을 지지하기 위한, 수평으로 배열된 다수 쌍의 슬롯(15)을 지니며, 상기 공구 지지부재(21)는, 그 상부 및 하부(212, 211) 위치에서 상기 절단공구(17)를 지지하기 위한, 수직으로 배열된 다수 쌍의 구멍(213)을 갖고 있다. 공구 지지부재(21) 상의 슬롯(15)은, 도 13에서 (151)로 나타낸 잘룩한 부위도 없고, (16)으로 나타낸 어떠한 슬롯도 갖지 않는다.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각의 액추에이터 핀(13)과 공구 지지부재(21) 하부(211)의 바닥 사이에 코일 스프링(22)이 구비되어 절단공구(17)를 둘러싸고 있다. 스프링(22)은, 상기 슬라이드 레일(11)상의 구멍(12)내로 절단날이 들어간 상태인 절단공구 상승 위치에서 당해 절단공구(17)를 잡아주기 위하여, 절단공구(17) 및 핀(13)의 중량을 지지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히 강한 탄성력을 갖고 있다.
도 18은 또한, 두개의 로울러 지지부재(23, 24)에 의해 회전 가능 상태로 지지되는 프레스 로울러(18)를 도시하고 있다. 로울러(18)는, 도 16 및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로울러 지지부재(23)의 일부를 형성하는 커버(231)로 둘러싸여 있으며, 로울러 지지부재(24)는 상기 커버(231)가 부착되는 플랜지(243)를 구비함으로써, 이들 로울러 지지부재(23, 24)는 서로 연결된다. 로울러 지지부재(23, 24)는, 로울러(18)를 회전 가능 상태로 지지하기 위한 축 용의 구멍(232, 241)을 각각 지니며, 또한 상기 슬라이드 레일(11)의 한쌍의 안내홈(113)내에 각각 슬라이딩 가능 상태로 끼워진 안내 돌출부(233, 242)를 각각 구비하고 있다. 상기 로울러 지지부재(23, 24) 중 어느 것도 도 4에서 (144)로 나타낸 하부 안내면을 갖지는 않는다.
또 다른 형태의 로울러 지지부재를 도 21에서 (25)로 도시하였는데, 이 경우는 도 6 또는 도 7의 슬라이더(14) 상에서 (144)로 나타낸 한쌍의 하부 안내면을 구비하고 있다. 로울러 지지부재(25)에는 커버(26)가 장착되어 프레스 로울러(18)를 둘러싸고 있다. 커버(26)는, 도 24 및 도 2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랜지(261)를 지니며, 상기 로울러 지지부재(25)는, 도 2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속에 상기 플랜지(261)가 끼워지는 한쌍의 홈(252)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로울러(18)는 도 22 및 도 23을 참조로 이미 설명한 바와 같다. 로울러는 그 측면이 'H' 자 모양으로 되어 있으며, 그 속으로 공구 지지부재(21)가 연장되는 환형 오목부(182)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로울러(18)는, 공구 지지부재(21)로부터 측방으로 돌출되는 각 액추에이터 핀(13)의 양끝부에 작용하도록 된 한쌍의 주변 안내면(181)을 구비하고 있다.
각각의 절단공구(17)용의 압축 스프링(22)은 통상 상승 위치에서 유지되지만, 상기 슬라이더(14)가 슬라이드 레일(11)을 따라 이동하면, 액추에이터 핀(13)은 스프링(22)의 힘을 극복하는 프레스 로울러(18)에 의해 연속적으로 하강함으로써,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절단공구(17)를 하나씩 차례대로 그 절단 위치로 내려주게 된다. 한번에 종이를 관통하여 구멍을 뚫는 것은 실질적으로 단 하나의 공구이며, 따라서, 상기 슬라이더(14)에 작은 힘만을 가하더라도 종이에 일련의 구멍을 뚫기에는 충분하다.
각 절단공구(17)의 양끝부가 상기 공구 지지부재(21)에 의해 지지되기 때문에, 상기 로울러(18)에 의해 작동되는 액추에이터 핀(13)은 절단공구(17)에 대하여 그 길이 방향축을 따라 수직력을 전달함으로써 공구의 원활한 수직 이동을 가능케 한다.
상기 절단공구(17)를 하강시키기 위해서는 반드시 스프링(22)의 힘을 극복하는 것이 필요하나, 상기 스프링(22)의 힘은 절단공구(17) 및 액추에이터 핀(13)의 중량을 지지하는 데 필요한 힘 보다 실질적으로 크지 않고, 또한 한번에 구멍을 뚫는 데 있어 단 하나의 공구(17)만이 사용되므로, 작은 힘만을 가해도 충분하다. 하부 안내면(144)을 지닌 상기 슬라이더(14)는, 도 2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부 안내면(144)이 각각의 절단공구(17)로 하여금 종이로부터 떨어지게 하여 스프링(22)의 힘을 비교적 약화시키기 때문에, 더욱 적은 양의 힘을 가해도 충분하도록 해준다.
스프링(22)의 사용은, 상기 슬롯(15) 상의 잘룩한 부위(151), 또는 그 어떠한 슬롯(16)도 형성할 필요가 없도록 하기 때문에, 슬라이드 레일(11)의 제작을 용이하게 한다. 상기 슬라이더(14) 및 프레스 로울러(18)가 지닌 효과에 대하여는 앞서 설명한 바 있다.
본 발명의 펀치는, 적은 양의 힘만 가해도 되고, 한번에 하나씩의 구멍만 뚫기 때문에, 겹쳐진 여러 장의 종이를 관통하여 일련의 구멍을 효율적으로 뚫을 수 있다. 하나씩 차례로 작용하는 상기 절단공구들에 의해 종이가 연속적으로 고정되므로, 이들 종이가 서로 어긋나는 일은 발생하지 않는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한 장의 종이에 다수의 구멍을 뚫을 수 있으며, 사이즈가 작으면서도 작은 힘으로 여러 장의 종이를 관통하여 구멍들을 뚫을 수 있는 펀치를 얻을 수 있다.

Claims (5)

  1. 측면에 다수의 액추에이터 핀과, 상부에 잘룩한 부위를 가지며, 상기 액추에이터 핀을 수용하고, 상기 핀이 내부에서 상하 이동되는 다수의 액추에이터 핀 수용 슬롯을 구비한 슬라이드 레일과,
    상기 슬라이드 레일 상에서 상하 이동 가능한 상태로 설치되며, 상기 액추에이터 핀이 직교하도록 돌출하는 절단공구와,
    상기 슬라이드 레일에 이동 가능 상태로 설치되어 상기 액추에이터 핀과 맞물리는, 중앙부를 낮게 한 파형 안내홈의 맞물림부를 지녀 상기 절단공구를 상하 이동시키는 슬라이더 및,
    나란히 배열된 상기 액추에이터 핀 수용 슬롯 사이에 설치된 유연성 슬롯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의 구멍을 뚫는 펀치.
  2. 제1항에 있어서,
    파형 안내홈은 아래로 돌출한 볼록면과 이 볼록면으로부터 등간격으로 떨어진 오목면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의 구멍을 뚫는 펀치.
  3.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면은 슬라이더 상에 회전할 수 있게 마련된 로울러의 주변면에 의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의 구멍을 뚫는 펀치.
  4. 측면에 다수의 액추에이터 핀과, 액추에이터 핀을 수용하고, 상기 핀이 내부에서 상하 이동되는 다수의 액추에이터 핀 수용 슬롯을 구비한 슬라이드 레일과,
    상기 슬라이드 레일 상에서 상하 이동 가능한 상태로 설치되며 또한 상기 액추에이터 핀이 직교하도록 돌출하는 절단공구와,
    탄성에 의해 각각의 절단공구를 위쪽으로 밀치는 코일 스프링과, 상기 슬라이드 레일에 이동 가능 상태로 설치되어 상기 액추에이터 핀과 접촉하는, 중앙부를 낮게 한 볼록면을 지녀 상기 절단공구를 상하 이동시키는 슬라이더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의 구멍을 뚫는 펀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면은 슬라이더 상에 회전가능 상태로 구비된 로울러의 주변면에 의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의 구멍을 뚫는 펀치.
KR1019940026380A 1994-10-14 1994-10-14 다수의구멍을뚫는펀치 KR1003167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26380A KR100316747B1 (ko) 1994-10-14 1994-10-14 다수의구멍을뚫는펀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26380A KR100316747B1 (ko) 1994-10-14 1994-10-14 다수의구멍을뚫는펀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3537A KR960013537A (ko) 1996-05-22
KR100316747B1 true KR100316747B1 (ko) 2002-02-19

Family

ID=667673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26380A KR100316747B1 (ko) 1994-10-14 1994-10-14 다수의구멍을뚫는펀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16747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3537A (ko) 1996-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63922A (en) Punch for making a multiplicity of holes
US4449436A (en) Sheet punch device
US5287783A (en) Paper cutter
US4713995A (en) Hole punch assembly
JP4646598B2 (ja) 紙裁断機
US5740712A (en) Punching devices
KR100316747B1 (ko) 다수의구멍을뚫는펀치
US5365820A (en) Device for moving a horizontal long article vertically
US4613266A (en) Guide apparatus for use with punching and binding machines
US6752057B2 (en) Device for blanking out patterns
US5503052A (en) Hole punch
CA2618274C (en) Invertible punch tool
KR200257901Y1 (ko) 사무용 펀치
JP3205965U (ja) パンチ
JPS6055280B2 (ja) 事務用穿孔機
GB2252525A (en) Perforating and securing together sheets
JP3141227B2 (ja) 多機能孔明け機の紙位置決装置
JPH0624899U (ja) 穿孔機
JPS63114899A (ja) 多穴パンチ
JPH0561080B2 (ko)
DE4447256A1 (de) Locher zur Ausbildung einer Mehrzahl von Löchern
KR850001573Y1 (ko) 펀치 겸용 스테풀러(stapler)
JPS6138741Y2 (ko)
KR200150211Y1 (ko) 종이 절단구
SU848363A1 (ru) Дырокол канцел рски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11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