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16434B1 - 인터넷 기반 동영상 음성통화 서비스방법 및 그 시스템 - Google Patents

인터넷 기반 동영상 음성통화 서비스방법 및 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16434B1
KR100316434B1 KR1020000011557A KR20000011557A KR100316434B1 KR 100316434 B1 KR100316434 B1 KR 100316434B1 KR 1020000011557 A KR1020000011557 A KR 1020000011557A KR 20000011557 A KR20000011557 A KR 20000011557A KR 100316434 B1 KR100316434 B1 KR 1003164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om
information
internet
client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115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87676A (ko
Inventor
최형순
Original Assignee
최형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형순 filed Critical 최형순
Priority to KR10200000115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16434B1/ko
Publication of KR200100876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876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64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643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41Systems for two-way working between two video terminals, e.g. videophone
    • H04N7/148Interfacing a video terminal to a particular transmission medium, e.g. ISD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8Interfacing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e.g. adapting the transmission rate of a video stream to network bandwidth; Processing of multiplex streams
    • H04N21/2381Adapting the multiplex stream to a specific network, e.g. an Internet Protocol [IP]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5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 H04N21/4856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for language selection, e.g. for the menu or subtit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5Conference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인터넷상에서 별도의 웹 브라우저 없이 독자적인 독립창을 통하여 양질의 동영상 및 음질로 양방향 통신을 원활하게 실현시킬 수 있는 인터넷 기반 동영상 음성 통화 서비스 방법 및 그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고화질의 동영상 음성 통화를 위해 독자적인 독립창 구동 프로그램과 IP정보와 회원정보를 가지고 인터넷을 통해 메인 서버에 접속하여 대기하는 다수의 클라이언트 단말기(15-1∼15-i)와,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들중 1 또는 2이상의 단말기에서 방개설 요구가 있으면 각 고유IP의 단말기 마다 방개설을 허용한 후 대기시키고, 다른 클라이언트 단말기로부터 개설방과의 접속을 위해 방정보 리스트의 요구가 있으면 방개설 정보를 제공하여 하나의 개설방을 선택하게 하고, 개설방과의 접속을 희망하는 클라이언트 단말기의 IP 정보를 방개설 클라이언트 단말기에 전송하여 방개설 클라이언트 단말기측으로부터 접속 수락이 있으면 그 수락여부와 대기상태 종료를 통보한 후 쌍방간 고화질 음성 통화를 위해 쌍방의 IP를 제공함으로써 두 클라이언트 단말기들이 자신들의 IP를 가지고 상호 직결되는 것을 허용하는 메인서버(10)와, 상기 회원들의 정보를 저장하는 회원DB(1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인터넷 기반 동영상 음성통화 서비스방법 및 그 시스템{A method of service for motion pictures and voice communication based on internet and a system thereof}
본 발명은 인터넷상에서 별도의 웹 브라우저 없이 독자적인 독립창을 통하여양질의 동영상 및 음질로 양방향 통신을 원활하게 실현시킬 수 있는 인터넷 기반 동영상 음성 통화 서비스 방법 및 그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일반적으로 통신이나 인터넷을 이용한 채팅은 통신 에물레이터나 웹브라우저상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채팅은 초기에는 대화방이라는 가상의 공간에 여러명이 참여해서 대화를 주고 받는 방식이 주종을 이루었으나, 최근 들어서는 클라이언트 pc상에 올려지는 팝 메일 형식을 통해 쌍방간 또는 다자간 채팅이 가능하게 하는 전자메일 겸 채팅창 방식이 많이 이용되고 있다.
나아가 정지화상 내지는 동영상을 이용한 화상채팅 기술이 발표된 바 있다. 이러한 화상기반 채팅기술은 그 이용자 들에게는 그다지 유용한 채팅수단으로 인정되지 못하고 있다. 그 이유는 채팅을 통한 대화는 키보드를 이용하면서 화면상의 동영상을 본다는 것은 잘 어울리지 못할 뿐이다. 즉, 화상은 진행되고 있는데 대화는 키보드를 통하여 문자 방식으로만 진행되어야 하므로 사용자의 정서와는 전혀 무관하게 채팅이 이루어질 수 밖에 없다.
이와 같은 동영상 채팅기술은 영상과 음성을 동시에 전송하는 화상통화기술쪽으로 진화함으로써 이론상 앞의 해결할 수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제안된 화상통신기술에서는 만족할 만한 통신환경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그 이유는 다수의 가입자들에게 화상통화 채팅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그 화상통화 채팅을 지원하기 위한 서버를 매우 빠르고 대용량의 것으로 설계되어야 하며, 많은 비용을 들여서 고속의 대용량 화상채팅 운영을 위한 서버를 구축하였다고 하더라도 가입자가 증가하거나 동시 이용자가 늘어나게 되면 현실적으로양질의 동화상 서비스를 제공할 수 없게 된다.
특히, 지금까지 서비스되고 있는 화상통화 채팅시스템은 화상채팅 서버가 감당하는 최대의 초당 화상전송 프레임 수가 3내지 5컷 정도에 불과하기 때문에 부드러운 화상을 표현하지 못하고 있다. 더군다나 음성신호와 화상신호의 전송시의 간섭에 의해 통화음질이 현저하게 손상되게 되며, 단말기측으로 출력되는 비디오와 오디오가 동기되지 못하고 분리 동작하게 되어 매우 부자연스럽게 나타나게 된다.
그 이유는 화상통화를 담당하는 서버가 접속을 인증한 모든 클라이언트 단말기들을 전부 감당해야하므로 접속 폭주시에는 상당한 부하가 걸리게 되어 처리속도에 현저한 저하를 초래하여 그나마 원활하지 못했던 저 프레임의 화상정보 전송 조차도 정상적으로 동작할 수 없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인터넷상에서 별도의 웹 브라우저 없이 독자적인 독립창을 통하여 양질의 동영상 및 음질로 양방향 통신을 원활하게 실현시킬 수 있는 인터넷 기반 동영상 음성 통화 서비스 방법 및 그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화상통화를 위한 서버의 제어 및 관리부담을 획기적으로 줄여 시스템 구축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인터넷 기반 동영상 음성 통화 서비스 방법 및 그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궁국적으로 음성과 영상이 정확히 일치되어 원활한 1:1 화상통신, 다자간 화상통신, 화상회의를 가능하게 하며, 모바일과 PC 그리고 PC와 화상전화 단말기를 접속시킬 수 있는 차세대를 리드하게 될 인터넷 기반 동영상 음성 통화 서비스 방법 및 그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 시스템의 블록구성도이다.
도 2a 내지 도 2f는 본 발명의 실행과정을 도식적으로 표현한 설명도이다.
도 3은 본 발명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동작과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메인서버 11 : 게이트키퍼
12 : 화상통화단말기 13 : 실시간 언어변환서버
14 : 인터넷 15-1∼15-i : 클라이언트 단말기
16 : 회원DB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고화질의 동영상 음성 통화를 위해 독자적인 독립창 구동 프로그램과 IP정보와 회원정보를 가지고 인터넷을 통해 메인 서버에 접속하여 대기하는 다수의 클라이언트 단말기와,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들중 1 또는 2이상의 단말기에서 방개설 요구가 있으면 각 고유IP의 단말기 마다 방개설을 허용한 후 대기시키고, 다른 클라이언트 단말기로부터 개설방과의 접속을 위해 방정보 리스트의 요구가 있으면 방개설 정보를 제공하여 하나의 개설방을 선택하게 하고, 개설방과의 접속을 희망하는 클라이언트 단말기의 IP 정보를 방개설 클라이언트 단말기에 전송하여 방개설 클라이언트 단말기측으로부터 접속 수락이 있으면 그 수락여부와 대기상태 종료를 통보한 후 쌍방간 고화질 음성 통화를 위해 쌍방의 IP를 제공함으로써 두 클라이언트 단말기들이 자신들의 IP를 가지고 상호 직결되는 것을 허용하는 메인서버와, 상기 회원들의 정보를 저장하는 회원D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 시스템의 블록구성도이다. 여기에서 참고되는 바와 같이, 다수의 회원자격을 갖는 클라이언트 단말기A,B,n(15-1,15-2,15-i)들은 아래에서 설명하게 될 IP방식의 화상통화 채팅을 위해 인터넷(14)을 통해 메인서버(10)에 접속되는 구성을 갖는다. 상기 메인서버(10)에는 회원들의 신상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회원DB(16)가 접속된다.
또한 상기 메인서버(10)에는 자연어 처리를 통한 국제간 텍스트 기반 회의를 가능하게 하는 실시간 언어변환 서버(13)가 장착될 수 있으며, 차세대 화상통신 단말기로 대표될 수 있는 IMT2000나 화상전화기 같은 화상통화단말기(12)와의 접속을 위해 게이트 키퍼(11)가 추가로 접속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시스템에서의 화상통화 서비스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메인서버(10)는 다수의 클라이언트 단말기(15-1∼15-i)들중 1 또는 2이상의 단말기에서 방개설 요구가 있으면 각 고유IP의 단말기 마다 방개설을 허용한 후 대기시키고, 다른 클라이언트 단말기로부터 개설방과의 접속을 위해 방정보 리스트의 요구가 있으면 방개설 정보를 제공하여 하나의 개설방을 선택하게 하고, 개설방과의 접속을 희망하는 클라이언트 단말기의 IP 정보를 방개설 클라이언트 단말기에 전송하여 방개설 클라이언트 단말기측으로부터 접속 수락이 있으면 그 수락여부와 대기상태 종료를 통보한 후 쌍방간 고화질 음성 통화를 위해 쌍방의 IP를 제공함으로써 두 클라이언트 단말기들이 자신들의 IP를 가지고 상호 직결되는 것을 허용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메인서버(10)에 클라이언트 단말기가 접속되어 화상통화가 가능하게 되는 과정은, 처음에는 도2a에서 참고되는 바와 같이, 클라이언트 서버A(15-1)와 클라이언트 서버B(15-1)가 각각 자신의 IP정보와 회원정보를 가지고 메인서버(10)측에 접속을 시도하면 화원DB(16)정보 조회를 통하여 접속을 인증한다. 이후 두 클라이언트 단말기는 접속 대기상태를 유지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도2b와 같이 클라이언트 단말기A(15-1)가 메인서버(10)측에 방개설을 요청하면 메인서버는 방개설을 승인하고 방정보 데이터 베이스에 룸 리스트를 추가하고 대기신호를 송출한다. 이에따라 방개설후 클라이언트 단말기A는 대기상태를 유지한다.
도 2c는 클라이언트 단말기B(15-2)가 방정보 요구 및 그 방에 접속하는 과정을 나타내고 있다. 즉, 클라이언트 단말기B는 메인서버(10)측에 방정보 리스트를 요구하면 서버는 자신의 방정보 데이터 베이스에 수록된 룸 리스트를 상기 단말기B에 제공한다.
이러한 방정보를 토대로 클라이언트 단말기B(15-2)가 클라이언트 단말기A(15-1)를 선택하고 또 단말기A(15-1)가 이를 승인한다면, 메인서버(10)는 도 2d에 나타내고 있는 것처럼 클라이언트 단말기A,B(15-1,15-2)에게 각각의 IP 정보를 전달한다. 이에 따라 단말기A는 단말기B의 대화요청 수락메시지와 함께 대화 진행과정을 전달하고, 단말기B는 대기상태 종료를 알리고 대화 준비과정 메시지를 정달한다.
도 2e는 두 클라이언트 단말기A,B간의 대화정보 전송체계를 나타내고 있다.
여기에서 참고되는 바와 같이, 서버(10)는 실질적인 데이터의 전송에는 관여하지 않고 단지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단일정보만을 전달하는 역할만을 수행하게 되므로 부하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즉, 실질적인 화상, 음성,문자 데이터는 두 클라이언트 단말기A,B간에서 이루어지게 되고 메인서버(10)는 이들 두 단말기의 이동IP 또는 고정IP를 주기적으로 모니터하여 정정 내지는 리플레시 시켜주는 것으로 쌍방간의 1 :1 통신환경을 제공하게 된다.
이때, 클라이언트 단말기는 각각의 성능에 따라 작동하게 되므로, 두 단말기간의 데이터 전송이 서버를 통해 이루어지게 되는 기존방식에 의존할 경우 양자간의 통신속도는 처리속도가 낮은 단말기에 맞추어져 결정되는 불합리를 해소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실제로 두 단말기간에는 자기 고유의 IP정보 갱신값만을 서버에 호출할뿐 어떠한 데이터나 세그먼트를 서버측으로 전송하지 않고 자신에게 접속된 IP를 통해서만 직접 전달되는 구조를 가지게 된다.
따라서, 서버가 처리하는 실질적인 데이터의 분산이 이루어져 기존의 집중처리방식의 서버에 비해 그 효율성이 우수하게 되며, 만일 서버에 대해 단순 정보의 데이터 처리량이 많아진다고 하여도 서버의 병렬접속 확장이 가능하게 되어, 서비스의 중단없이 업그레이드 시킬수 있게 된다.
도 2f는 국제간 자연어를 이용한 실시간 텍스트 대화모드 시스템의 구축예이다. 여기에서 두 단말기간의 IP접속시 메인서버(10)에 결합된 언어변환서버(13)가 양 단말기 사이에 배치되는 구조를 취하게 되어 메인서버의 역할분담에 따른 데이터 처리부하의 분산이 이루어지게 되며, 실시간 언어변환을통해 또 하나의 작은 클라이언트-서버 시스템이 구축되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를 보이고 있다. 여기게서는 차세대 모바일인 IMT2000, PDA 등 무선화상 단말기(15-3)를 공중망-케이블 변환시스템인 게이트키퍼(11)를 통해 메인서버(10)에 접속시킴으로써 PC 대 모바일 또는 PC 대 화상전화기를 이용한 1:1 대화시스템의 구축하게 된다.
본 발명 시스템은 상기 메인서버(10)는 IP 제어 관리를 통해 다수의 클라이언트 단말기들을 하나의 대화방에 접속하는 것을 허용하고 이들 클라이언트 단말기들의 고유 IP정보를 갱신 및 리플레시 시켜주고 또한 상호 IP를 교환시켜 상호간의 IP 교환접속으로 다자간 회의를 위한 화상 음성 통신 환경을 구축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화상통화 시스템의 서비스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여기에서 참고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흐름은 크게 5단계로 아루어지고 있다.
제1단계는 인터넷상에서 웹브라우저와는 별도로 독자적으로 구동하는 독립창 구동 프로그램과 IP정보와 회원정보를 가지는 다수의 클라이언트 단말기들을 메인서버로 묶어 고화질의 동영상 음성 통화가 가능한 1:1 대화방을 구축하기 위해 클라이언트 단말기들중 1 또는 2이상의 단말기에서 방개설 요구가 있으면 각 고유IP의 단말기 마다 방개설을 허용한 후 대기시킨다.
제2단계는 다른 클라이언트 단말기로부터 개설방과의 접속을 위해 방정보 리스트의 요구가 있으면 방개설 정보를 제공하여 하나의 개설방을 선택하게 한다.
제3단계는 개설방과의 접속을 희망하는 클라이언트 단말기의 IP 정보를 방개설 클라이언트 단말기에 전송하여 방개설 클라이언트 단말기측으로부터 접속 수락이 있는가 여부를 판단한다.
제4단계는 상기 제3단계에서 접속 수락이 있으면 그 수락여부와 대기상태 종료를 통보한 후 쌍방간 고화질 음성 통화를 위한 직결을 위해 쌍방의 IP를 제공한다.
제5단계는 상호 고유 IP로 접속된 쌍방간 클라이언트 단말기들의 IP 어드레스의 변동을 감시하여 상호간의 접속상태를 유지시켜주기 위해 일정 주기로 두 클라이언트 단말기의 고유 IP정보를 갱신시켜준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인터넷상에서 별도의 웹 브라우저 없이 독자적인 독립창을 통하여 양질의 동영상 및 음질로 양방향 통신을 원활하게 실현시킬 수 있는 특유의 효과가 나타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화상통화를 위한 서버의 제어 및 관리부담을 획기적으로 줄여 시스템 구축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궁국적으로 음성과 영상이 정확히 일치되어 원활한 1:1 화상통신, 다자간 화상통신, 화상회의를 가능하게 하며, 모바일과 PC 그리고 PC와 화상전화 단말기를 접속시킬 수 있는 특유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7)

  1. 고화질의 동영상 음성 통화를 위해 독자적인 독립창 구동 프로그램과 IP정보와 회원정보를 가지고 인터넷을 통해 메인 서버에 접속하여 대기하는 다수의 클라이언트 단말기(15-1∼15-i)와, 상기 클라이언트 단말기들중 1 또는 2이상의 단말기에서 방개설 요구가 있으면 각 고유IP의 단말기 마다 방개설을 허용한 후 대기시키고, 다른 클라이언트 단말기로부터 개설방과의 접속을 위해 방정보 리스트의 요구가 있으면 방개설 정보를 제공하여 하나의 개설방을 선택하게 하고, 개설방과의 접속을 희망하는 클라이언트 단말기의 IP 정보를 방개설 클라이언트 단말기에 전송하여 방개설 클라이언트 단말기측으로부터 접속 수락이 있으면 그 수락여부와 대기상태 종료를 통보한 후 쌍방간 고화질 음성 통화를 위해 쌍방의 IP를 제공함으로써 두 클라이언트 단말기들이 자신들의 IP를 가지고 상호 직결되는 것을 허용하는 메인서버(10)와, 상기 회원들의 정보를 저장하는 회원DB(1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기반 동영상 음성통화 서비스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서버(10)는 상호 고유 IP로 접속된 쌍방간 클라이언트 단말기들의 IP 어드레스의 변동을 감시하여 상호간의 접속상태를 유지시켜주기 위해 일정 주기로 두 클라이언트 단말기의 고유 IP정보를 갱신시켜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기반 동영상 음성통화 서비스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서버(10)에는 실시간 언어변환서버(13)를 더 접속하여 국제간 두 클라이언트 단말기들에 의한 쌍방 통신시 각국의 고유언어정보가 상대국 언어의 텍스트 데이터로 실시간 자동변환되어 문자 통신이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기반 동영상 음성통화 서비스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서버(10)에는 공중망에서 케이블망으로 전환을 위한 게이트 키퍼(11)를 통해 화상통화 단말기(12)를 접속시켜 PC 대 화상전화기 사이에서 고화질의 영상과 고품질의 음성 통신 환경을 구축할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기반 동영상 음성통화 서비스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통화 단말기(12)는 IMT2000 또는 화상전화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기반 동영상 음성통화 서비스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서버(10)는 다수의 클라이언트 단말기들이 하나의 대화방에 접속하는 것을 허용하고 이들 클라이언트 단말기들의 고유 IP정보를 상호 교환시켜 상호간의 IP 교환접속으로 다자간 회의를 위한 화상 음성 통신 환경을 구축하고, 이들 단말기들의 IP 어드레스의 변동을 일정 주기로 감시하여 반복적으로 고유 IP정보를 갱신시켜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기반 동영상 음성통화 서비스 시스템.
  7. 인터넷상에서 웹브라우저와는 별도로 독자적으로 구동하는 독립창 구동 프로그램과 IP정보와 회원정보를 가지는 다수의 클라이언트 단말기들을 메인서버로 묶어 고화질의 동영상 음성 통화가 가능한 1:1 대화방을 구축하기 위한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클라이언트 단말기들중 1 또는 2이상의 단말기에서 방개설 요구가 있으면 각 고유IP의 단말기 마다 방개설을 허용한 후 대기시키는 제1단계와, 다른 클라이언트 단말기로부터 개설방과의 접속을 위해 방정보 리스트의 요구가 있으면 방개설 정보를 제공하여 하나의 개설방을 선택하게 하는 제2단계와, 개설방과의 접속을 희망하는 클라이언트 단말기의 IP 정보를 방개설 클라이언트 단말기에 전송하여 방개설 클라이언트 단말기측으로부터 접속 수락이 있는가 여부를 판단하는 제3단계와, 상기 제3단계에서 접속 수락이 있으면 그 수락여부와 대기상태 종료를 통보한 후 쌍방간 고화질 음성 통화를 위한 직결을 위해 쌍방의 IP를 제공하는 제4단계와, 상호 고유 IP로 접속된 쌍방간 클라이언트 단말기들의 IP 어드레스의 변동을 감시하여 상호간의 접속상태를 유지시켜주기 위해 일정 주기로 두 클라이언트 단말기의 고유 IP정보를 갱신시켜주는 제5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 기반 동영상 음성통화 서비스 방법.
KR1020000011557A 2000-03-08 2000-03-08 인터넷 기반 동영상 음성통화 서비스방법 및 그 시스템 KR1003164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1557A KR100316434B1 (ko) 2000-03-08 2000-03-08 인터넷 기반 동영상 음성통화 서비스방법 및 그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1557A KR100316434B1 (ko) 2000-03-08 2000-03-08 인터넷 기반 동영상 음성통화 서비스방법 및 그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7676A KR20010087676A (ko) 2001-09-21
KR100316434B1 true KR100316434B1 (ko) 2001-12-12

Family

ID=196532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11557A KR100316434B1 (ko) 2000-03-08 2000-03-08 인터넷 기반 동영상 음성통화 서비스방법 및 그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1643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5318B1 (ko) * 2001-12-11 2004-08-21 주식회사 텔레프리 회의통화 연결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8145B1 (ko) * 2000-11-13 2003-06-25 김형진 화상통신 및 데이터 중계 방법
KR100441500B1 (ko) * 2001-02-05 2004-07-23 주식회사 제 3 정보기술 영상회의 시스템에서의 다자간 영상회의 방법
KR100680314B1 (ko) * 2004-10-22 2007-02-08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다대다 통신기반의 응급의료 시스템의 최적화된 데이터제어 서버
KR101334478B1 (ko) * 2006-07-31 2013-11-29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시스템에서 멀티미디어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5318B1 (ko) * 2001-12-11 2004-08-21 주식회사 텔레프리 회의통화 연결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7676A (ko) 2001-09-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37667B2 (en) Duplicating digital streams for digital conferencing using switching technologies
US7058689B2 (en) Sharing of still images within a video telephony call
US6681252B1 (en) System and method for interconnecting portable information devices through a network based telecommunication system
CN1328683C (zh) 从单播到组播的视频会议对话转换的方法和系统
US9154395B2 (en) Method and system for optimizing a jitter buffer
US7453488B2 (en) Sharing of prerecorded motion video over an Internet work
US6831675B2 (en) System and method for videoconference initiation
RU2396730C2 (ru) Управление компоновкой конференции и протокол управления
US8643695B2 (en) Videoconferencing endpoint extension
US20080031161A1 (en) Method and system for establishing a conference call between a remote and a local endpoint
KR20040104526A (ko) 화상회의 시스템 아키텍처
US10701116B2 (en) Method, computer-readable storage device and apparatus for establishing persistent messaging sessions
CN105122791A (zh) 用于优化大规模视频会议的方法和设备
KR100316434B1 (ko) 인터넷 기반 동영상 음성통화 서비스방법 및 그 시스템
US20060002373A1 (en) Terminals,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providing video communications over a broadband connection based on a call via a PSTN
US8392502B2 (en) System and method for effecting conference calling
Ongtang et al. Client-based Multipoint Media Mixer to Support People with Hearing Impairment in Communication
KR20020015908A (ko) 화상과 음성을 이용한 실시간 인터넷 콜시스템
GB2400527A (en) Communication node and method
US775610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using an external transcoder in a communication session
EP4287612A1 (en) Audio/video conference implementation method, audio/video conference system and related apparatus
GB2603457A (en) A method for providing telecommunications
KR20090102356A (ko) 고음질 향상을 위한 화상회의 시스템 및 그의 접근방법
KR20020064447A (ko) 서버간 소켓릴레이 기술을 이용한 인터넷 방송 채팅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30225

Effective date: 20041025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3100000358;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30225

Effective date: 2004102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INVALIDAT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4200007852; INVALIDATION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J122 Written withdrawal of action (patent cour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