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16243B1 - 종합 정보 통신망 기본 속도 인터페이스 사용자단말기에서 콜 범핑 기능 제공을 위한 채널 상태 관리 및채널 할당 방법 - Google Patents

종합 정보 통신망 기본 속도 인터페이스 사용자단말기에서 콜 범핑 기능 제공을 위한 채널 상태 관리 및채널 할당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16243B1
KR100316243B1 KR1019990062383A KR19990062383A KR100316243B1 KR 100316243 B1 KR100316243 B1 KR 100316243B1 KR 1019990062383 A KR1019990062383 A KR 1019990062383A KR 19990062383 A KR19990062383 A KR 19990062383A KR 100316243 B1 KR100316243 B1 KR 1003162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nnel
call
data
state
l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623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64233A (ko
Inventor
신영미
조세형
Original Assignee
오길록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길록,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오길록
Priority to KR10199900623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16243B1/ko
Publication of KR200100642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642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62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624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1/00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 H04Q11/04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for time-division multiplexing
    • H04Q11/0428Inte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 i.e. systems for transmission of different types of digitised signals, e.g. speech, data, telecentral, television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 H04Q2213/13209ISD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 H04Q2213/391Channel allocation to conn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munication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종합 정보 통신망(Integrated Service Digital Network : 이하, ISDN 이라 함) 기본 속도 인터페이스(Basic Rate Interface : 이하, BRI 라 함) 환경에 적용되는 ISDN BRI 사용자 단말기에서 채널의 상태를 효율적으로 관리하여 콜 범핑(Call Bumping) 기능 제공 시점 판단을 보다 용이하게 하고, 콜 범핑 기능을 보다 신속하게 제공하기 위한 채널 상태 관리 방법 및 채널 할당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채널의 상태를 음성 호에 관련된 상태와 데이터 호에 관련된 상태로 나누고, 또한 데이터 호에 관련된 상태인 경우 물리적 링크만 설정된 상태, 물리적 및 논리적 링크 모두가 설정된 상태, 논리적 링크만 설정된 상태로 구분하여 관리함으로써, 채널 상태만 보고서도 콜 범핑 제공 시점 및 콜 범핑 기능 제공을 위한 선행 처리 절차를 판단할 수 있어 결과적으로 콜 범핑 기능 제공이 쉽고 신속하게 이루어 지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종합 정보 통신망 기본 속도 인터페이스 사용자 단말기에서 콜 범핑 기능 제공을 위한 채널 상태 관리 및 채널 할당 방법{CHANNEL MANAGEMENT AND CHANNEL ALLOCATION METHOD FOR PROVIDING CALL BUMPING IN ISDN BRI USER TERMINAL}
본 발명은 종합 정보 통신망(Integrated Service Digital Network : 이하, ISDN 이라 함) 기본 속도 인터페이스(Basic Rate Interface : 이하, BRI 라 함) 사용자 단말기에서 채널의 상태를 보다 세분화하여 관리함으로써 채널 상태만 보고서도 콜 범핑 제공 시점과 콜 범핑 제공을 위한 선행 처리 절차 및 콜 범핑에 의해 할당될 채널 번호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하는 콜 범핑 기능 제공을 위한 채널 상태 관리 및 채널 할당 방법에 관한 것이다.
ISDN BRI는 하나의 D-채널과 두 개의 B-채널로 구성되며, B-채널은 음성 호와 데이터 호로 사용 가능하다. 또한, 두 개의 B-채널을 모두 데이터 호로 할당하여 사용자에게 128Kbps(64Kbps*2)의 속도로 데이터 통신을 할 수 있게도 한다.
이러한 ISDN BRI 환경에서 콜 범핑(Call Bumping)기능이란, 두 개의 B-채널을 모두 데이터 호로 사용하고 있는 때 음성 발신호(Outgoing Call)나 음성 착신호(Incoming Call)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기존의 데이터 호로 사용 중이던 두 개의 B-채널 중 하나를 선택하여 해당 채널의 데이터 호를 해제하고 음성 호로 사용한 후 음성 통화가 끝나면 다시 해당 채널을 데이터 호로 다시 사용하는 것을 말한다.
이 때 데이터 호를 사용하고 있는 사용자에게 콜 범핑에 의해 데이터 통신이 끊어지는 일이 일어나서는 안된다.
이와 같은 콜 범핑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일반적인 절차는, 음성 호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일단 가용한 B-채널이 있는 가를 보고 가용한 채널이 있는 경우 가용한 채널로 음성 호를 수용하고, 가용한 채널이 없는 경우 콜 범핑 조건을 만족하는 지를 판단해야 한다.
콜 범핑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이미 데이터 호로 사용 중인 두 개의 B-채널 중 하나를 선택하여 데이터 호로 사용 중인 연결을 해제한 후 해당 채널로 음성 호를 수용한다.
가용한 채널도 없고 콜 범핑 조건도 만족하지 않는 경우 음성 호를 수용할 수 없게된다.
여기서, 콜 범핑 조건은 두 개의 B-채널이 모두 데이터 호로 사용 중이면서 음성 호 이벤트가 들어온 경우에만 만족하며, 콜 범핑 조건을 만족하여 이미 데이터 호로 사용 중인 두 개의 B-채널 중 하나를 해제하는 경우, 해당 채널의 해제 절차는 해당 채널의 상태에 따라 달라진다.
즉, 물리적 링크와 논리적 링크가 모두 살아 있는 경우는 논리적 링크를 먼저 해제하고 물리적 링크를 해제해야 한다. 그러나 물리적 링크만 살아 있는 경우는 물리적 링크만 해제해야 한다.
그리고, 논리적 링크만 살아 있는 경우는 이미 물리적 링크가 해제되어 상대측(peer)과 논리적 링크를 해제하는 협상(negotiation)을 할 수 없는 상태이기 때문에 이 경우에는 상대측과 협상없이 논리적 링크를 자체적으로 해제해야 한다.
이와 같이 콜 범핑 기능 제공을 위해서는 먼저 콜 범핑 조건을 만족하는 지를 판단해야 하고, 콜 범핑 조건을 만족한 후에는 콜 범핑 기능 제공을 위한 선행 처리 절차로서 이미 데이터 호로 사용중인 두 개의 B-채널 중 하나를 선택하여 해당 채널의 데이터 호 연결을 해제하여야 할 필요가 있게된다.
그리고, 음성 통화가 끝난 후 해당 채널을 데이터 호를 위하여 다시 연결 설정을 하는 절차가 필요하다.
즉, 기존의 ISDN 사용자 단말기에서는 채널의 상태를 단순히 널(NULL) 상태와 비지(BUSY) 상태로만 구분하여 관리함으로써, 콜 범핑 제공을 위해서는 채널 상태 외의 정보를 필요로 한다.
이는 콜 범핑 제공을 위해서 채널 상태 외에 다른 정보를 관리해야 하는 부담을 낳으며, 콜 범핑 제공 시점과 콜 범핑 제공을 위한 선행 처리 절차를 판단함에 있어 복잡한 로직과 더 많은 시간을 필요로 하는 단점이 있게된다.
이로부터 본 발명은, 채널의 상태를 데이터 호에 관련된 상태와 음성 호에 관련된 상태로 세분화하여 관리함으로써, 채널 상태만 보고서도 콜 범핑 제공 시점과 콜 범핑 제공을 위한 선행 처리 절차 및 콜 범핑에 의해 할당될 채널 번호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하는 종합 정보 통신망 기본 속도 인터페이스 사용자 단말기에서 콜 범핑 기능 제공을 위한 채널 상태 관리 및 채널 할당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ISDN BRI 사용자 단말기에서 콜 범핑 기능 제공을 위한 채널 상태 관리 및 채널 할당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2a 내지 도 2j 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ISDN BRI 사용자 단말기에서 콜 범핑 기능 제공을 위한 채널 상태 관리 및 채널 할당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음성호 처리 기능 12 : 채널 관리 기능
13 : 데이터 호 처리 기능 14 : 물리적 링크 설정/해제 기능
15 : 데이터 호 논리적 링크 설정/해제 기능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ISDN BRI 사용자 단말기에 적용되는 콜 범핑 기능 제공을 위한 채널 상태 관리 및 채널 할당 방법에 있어서, 하나의 ISDN D-채널과 두 개의 B-채널에 대한 상태 관리 및 채널 할당을 하는 채널 관리 기능(12)과, 상기 채널 관리 기능(12)에 음성 호를 위한 채널 할당을 요구하고, 음성 호 설정 또는 해제 결과를 통보하여 해당 채널의 상태를 변경하도록 하는 음성 호 처리 기능(11)과, 상기 채널 관리 기능(12)에 데이터 호를 위한 채널 할당을 요구하고, 데이터 호를 위한 물리적 링크 또는 논리적 링크의 설정 또는 해제 결과를 통보하여 해당 채널의 상태를 변경하도록 하는 데이터 호 처리 기능(13)과, 상기 채널 관리 기능(12) 또는 음성 호 처리 기능(11) 또는 데이터 호 처리 기능(13)으로부터 음성 호나 데이터 호를 위한 물리적 링크의 설정 또는 해제 요구를 받는 경우 이를 실행하는 물리적 링크 설정/해제 기능(14) 및 상기 채널 관리 기능(12) 또는 데이터 호 처리 기능(13)으로부터 데이터 호를 위한 논리적 링크의 설정 또는 해제 요구를 받는 경우 이를 실행하는 데이터 호 논리적 링크 설정/해제 기능(15)으로 구분하고, 채널 상태를 음성 호 또는 데이터 호로 사용될 수 있는 채널이 가용함을 나타내는 IDLE 상태와, 채널 상태로부터 콜 범핑 조건을 판단하기 위해 데이터 호에 관련된 상태와 음성 호에 관련된 상태로 나누어, 수신된 음성 호 또는 데이터 호에 관한 메시지의 유형에 따라 해당 채널의 할당이나 상태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음성 호에 관련된 채널 상태는, 해당 채널이 음성 호로 사용되기 위하여 연결 설정 중임을 나타내는 VOICE_RESERVED와, 연결 설정이 완료된 상태를 나타내는 VOCIE_ACTIVE로 이루어지고, 상기 데이터 호에 관련된 채널 상태는, 해당 채널이 데이터 호로 사용되기 위하여 물리적 링크 설정을 하고 있는중임을 나타내는 DATA_RESERVED와, 물리적 링크 설정이 완료된 상태를 나타내는 DATA_PHYSICAL_LINK_ACTIVE와, 데이터 호를 위한 논리적 링크 설정이 완료된 상태를 나타내는 DATA_LOGICAL_LINK_ACTIVE와,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지는 상태를 나타내는 DATA_ACTIVE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데이터 호에 관련된 채널 상태가 DATA_ACTIVE가 된 후에 네트워크 상의 장애가 발생하거나 상대측에 의하여 물리적 링크 또는 논리적 링크가 해제되는 경우, 채널의 상태가 DATA_ACTIVE에서 DATA_PHYSICAL_LINK_ACTIVE 또는 DATA_LOGICAL_LINK_ACTIVE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수신한 메시지가 음성 호 또는 데이터 호를 위한 채널 할당 요구 메시지인 경우, 음성 호 또는 데이터 호를 위한 채널 할당을 하고, 수신한 메시지가 음성 호를 위한 설정 또는 해제 결과를 통보하는 메시지인 경우, 해당 채널의 상태를 변경하고, 수신한 메시지가 데이터 호를 위한 물리적 링크나 논리적 링크의 설정 또는 해제 결과를 통보하는 메시지인 경우, 해당 채널의 상태를 변경하고, 수신한 메시지가 상기에 해당되는 메시지가 아닌 경우, 수신한 메시지를 버리고 초기 수신 상태로 전이하는 것을 특징으로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콜 범핑 기능 제공을 위한 채널 상태 관리 및 채널 할당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시킬 수 있도록 프로그램의 형태로 기록매체에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첨부하는 도면을 참고하면서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ISDN BRI 사용자 단말기에서 콜 범핑 기능 제공을 위한 채널 상태 관리 및 채널 할당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먼저, 음성 호 처리 기능(11)은 음성 착신호와 음성 발신호 이벤트를 받는 경우 채널 관리 기능(12)에게 음성 호를 위한 채널 할당을 요구(Request)한다.
또한, 음성 호 설정 결과나 음성 호 해제 결과를 채널 관리 기능(12)에게 통보(Report)하여 채널 관리 기능(12)으로 하여금 해당 채널의 상태를 변경하도록 한다.
데이터 호 처리 기능(13)은 채널 관리 기능(12)에게 데이터 호를 위한 채널 할당을 요구한다. 그리고 데이터 호를 위한 물리적 링크 또는 논리적 링크의 설정 또는 해제 결과를 통보하여 채널 관리 기능으로 하여금 해당 채널의 상태를 변경하도록 한다.
채널 관리 기능(12)은 하나의 D-채널과 두 개의 B-채널에 대한 상태 관리를 한다. 음성 호 처리 기능과 데이터 호 처리 기능으로부터 채널 할당 요구를 받으면, 채널 상태에 근거하여 가용한 채널을 선택하여 음성호 처리 기능 또는 데이터 호 처리 기능에게 가용한 채널 번호를 통보한다.
음성 호 처리 기능(11)과 데이터 호 처리 기능(13)으로부터 호 설정 또는 호 해제 결과를 통보받으면, 해당 채널의 상태를 변경한다.
물리적 링크 설정/해제 기능(14)은 채널 관리 기능(12) 또는 음성 호 처리 기능(11) 또는 데이터 호 처리 기능(13)으로부터 음성 호나 데이터 호를 위한 물리적 링크의 설정 또는 해제 요구를 받는 경우 이를 실행한다.
데이터 호 논리적 링크 설정/해제 기능(15)은 채널 관리 기능(12) 또는 데이터 호 처리 기능(13)으로부터 데이터 호를 위한 논리적 링크의 설정 또는 해제 요구를 받는 경우 이를 실행한다.
도 2a 내지 도 2j 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ISDN BRI 사용자 단말기에서 콜 범핑 기능 제공을 위한 채널 상태 관리 및 채널 할당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본 발명에서는 콜 범핑 제공 시점과 콜 범핑 제공을 위한 선행 처리 절차 및 콜 범핑에 의해 할당될 채널 번호를 판단의 모든 절차를 보다 쉽고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채널의 상태를 여섯 가지로 구분하여 세분화한다.
채널의 상태에는 IDLE과 데이터 호에 관련된 상태와 음성 호에 관련된 상태가 있다.
IDLE은 채널이 가용함을 나타내는 상태로서, 음성 호 또는 데이터 호로 사용될 수 있음을 나타낸다.
데이터 호에 관련된 상태와 음성 호에 관련된 상태로 나누는 이유는 콜 범핑 조건 판단을 채널 상태만 보고서 쉽게 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음성 호에 관련된 상태에는 VOICE_RESERVED, VOICE_ACTIVE가 있다. VOICE_RESERVED는 해당 채널이 음성 호로 사용되기 위하여 연결(Connection) 설정(Setup)을 하고 있는 중임을 나타낸다.
연결 설정이 완료되면 해당 채널의 상태는 VOCIE_ACTIVE가 된다. 음성호가 끝나 해당 채널의 연결이 해제(Release)되면 채널의 상태는 IDLE로 변경된다.
데이터 호에 관련된 상태에는 DATA_RESERVED, DATA_PHYSICAL_LINK_ACTIVE, DATA_ACTIVE, DATA_LOGICAL_LINK_ACTIVE가 있다. DATA_RESERVED는 해당 채널이 데이터 호로 사용되기 위하여 물리적 링크 설정을 하고 있는 중임을 나타낸다.
물리적 링크 설정이 완료되면 해당 채널의 상태는 DATA_PHYSICAL_LINK_ACTIVE가 되고, 데이터 호를 위한 논리적 링크 설정에 들어가게 된다. 논리적 링크 설정이 완료되면 해당 채널의 상태는 DATA_ACTIVE가 된다. 일단 채널 상태가 DATA_ACTIVE가 되면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지게 된다.
DATA_RESERVED와 DATA_PHYSICAL_LINK_ACTIVE는 DATA_ACTIVE 상태로 가기 위한 중간 상태라 할 수 있다. 채널 상태가 DATA_ACTIVE가 된 후에 네트워크 상의 장애가 발생하거나 상대측에 의하여 물리적 링크 또는 논리적 링크가 해제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채널의 상태는 DATA_ACTIVE에서 DATA_PHYSICAL_LINK_ACTIVE 또는 DATA_LOGICAL_LINK_ACTIVE가 된다.
데이터 호에 관련된 상태를 이렇게 나누는 이유는 콜 범핑을 위하여 하나의 채널를 해제하는 경우 행해져야 할 해제 절차 판단을 쉽게 하고, 또한 해제 절차가 가장 짧은 채널을 콜 범핑을 위한 채널로 선택하기 위해서이다.
채널 상태가 DATA-ACTIVE인 경우 해제 절차는 논리적 링크와 물리적 링크를 차례대로 해제해야 하며, DATA_PHYSICAL_LINK_ACTIVE인 경우 해제 절차는 물리적 링크만 해제해야 하며, DATA_LOGICAL_LINK_ACTIVE인 경우 해제 절차는 물리적 링크가 없기 때문에 상대측(peer)과 논리적 링크 해제를 위한 협상(negotiation) 없이 사용자 단말기 측의 논리적 링크만 해제해야 한다.
도 2a 는 메시지가 수신되기를 기다리다가 메시지를 수신하면 메시지 유형을 분석하는 과정을 도시하고 있다.
수신한 메시지의 유형을 분석하여 음성 호를 위한 채널 할당 요구 메시지인 경우(21), 도 2b 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IDLE 상태의 채널이 존재하는 가를 판단한다.
IDLE 상태의 채널이 존재하는 경우, 해당 채널의 상태를 VOICE_RESERVED 상태로 변경하고 음성 호 처리 기능(11)에게 해당 채널 번호를 통보하고 초기 수신 상태로 전이한다.
그러나, IDLE 상태의 채널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콜 범핑 조건을 판단한다.
B1-채널의 상태가 DATA_ACTIVE 이면서 B2-채널이 DATA_ACTIVE인 경우에는, 도 2c 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B2-채널의 데이터 호 연결을 해제하도록 데이터 호 처리 기능(13)에게 요구하고 call_bumping_flag 값을 TRUE로 변경하고 초기 수신 상태로 전이한다.
B1-채널의 상태가 DATA_ACTIVE 이면서 B2-채널의 상태가 DATA_PHYSICAL_LINK_ACTIVE 또는 DATA_RESERVED인 경우에는, 도 2c 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B2-채널의 물리적 링크를 해제하도록 물리적 링크 설정/해제 기능(14)에게 요구하고 call_bumping_flag 값을 TRUE로 변경하고 초기 수신 상태로 전이한다.
B1-채널의 상태가 DATA_ACTIVE 이면서 B2-채널의 상태가 DATA_LOGICAL_LINK_ACTIVE인 경우에는, 도 2c 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상대측과 협상없이 B2-채널의 논리적 링크를 해제하도록 데이터 호 논리적 링크 설정/해제 기능(15)에게 요구하고 call_bumping_flag 값을 TRUE로 변경하고 초기 수신 상태로 전이한다.
B1-채널의 상태가 DATA_PHYSICAL_LINK_ACTIVE 또는 DATA_RESERVED이면서 B2-채널이 DATA_ACTIVE인 경우에는, B1-채널의 물리적 링크를 해제하도록 물리적 링크 설정/해제 기능(14)에게 요구하고 call_bumping_flag 값을 TRUE로 변경하고 초기 수신 상태로 전이한다.
B1-채널의 상태가 DATA_LOGICAL_LINK_ACTIVE이면서 B2-채널이 DATA_ACTIVE인 경우에는 상대측과 협상없이 B1-채널의 논리적 링크를 해제하도록 데이터 호 논리적 링크 설정/해제 기능(15)에게 요구하고 call_bumping_flag 값을 TRUE로 변경하고 초기 수신 상태로 전이한다.
B1-채널의 상태가 DATA_PHYSICAL_LINK_ACTIVE 또는 DATA_LOGICAL_LINK_ACTIVE 또는 DATA_RESERVED이면서 B2-채널의 상태가 DATA_PHYSICAL_LINK_ACTIVE 또는 DATA_RESERVED인 경우에는, 도 2d 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B2-채널의 물리적 링크를 해제하도록 물리적 링크 설정/해제 기능(14)에게 요구하고 call_bumping_flag 값을 TRUE로 변경하고 초기 수신 상태로 전이한다.
B1-채널의 상태가 DATA_PHYSICAL_LINK_ACTIVE 또는 DATA_LOGICAL_LINK_ACTIVE 또는 DATA_RESERVED이면서 B2-채널의 상태가 DATA_LOGICAL_LINK_ACTIVE인 경우에는, 도 2d 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상대측과 협상없이 B2-채널의 논리적 링크를 해제하도록 데이터 호 논리적 링크 설정/해제 기능(15)에게 요구하고 call_bumping_flag 값을 TRUE로 변경하고 초기 수신 상태로 전이한다.
이 외의 경우에 대해서는 콜 범핑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여 음성 호 처리 기능(11)에게 가용한 채널이 없음을 통보하고 초기 수신 상태로 전이한다.
다음으로, 수신한 메시지가 음성 호 설정 결과를 통보하는 메시지인 경우(22), 음성 호 설정 결과를 분석한다.
음성 호 설정 결과가 성공인 경우에는, 도 2e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채널의 상태를 VOICE_ACTIVE로 변경하고 초기 수신 상태로 전이하고, 음성호 설정 결과가 실패인 경우에는 해당 채널의 상태는 IDLE로 변경한다.
그리고, call_bumping_flag 값을 분석하여 call_bumping_flag 값이 TRUE 인 경우에는 call_bumping_flag 값을 FALSE로 변경하고 해당 채널의 상태를 DATA_RESERVED로 변경하고 데이터 호 처리 기능(13)에게 해당 채널 번호로 데이터 호를 설정할 것을 요청하고 초기 수신 상태로 전이한다. 이는 음성 호가 끝난 후 해당 채널을 데이터 호로 재사용하기 위해서이다.
call_bumping_flag 값이 TRUE가 아닌 경우에는 초기 수신 상태로 전이한다.
다음으로 수신한 메시지가 음성 호 해제 결과를 통보하는 메시지인 경우(23), 해당 채널의 상태는 IDLE로 변경한다.
그리고, call_bumping_flag 값을 분석하여, call_bumping_flag 값이 TRUE인 경우에는 call_bumping_flag 값을 FALSE로 변경하고 해당 채널의 상태를 DATA_RESERVED로 변경하고 데이터 호 처리 기능(13)에게 해당 채널 번호로 데이터 호를 설정할 것을 요청하고 초기 수신 상태로 전이한다. 이는 음성 호가 끝난 후 해당 채널을 데이터 호로 재사용하기 위해서이다.
call_bumping_flag 값이 TRUE가 아닌 경우에는 초기 수신 상태로 전이한다.
만약 수신한 메시지가 데이터 호를 위한 채널 할당 요구 메시지인 경우(24), IDLE 상태의 채널이 존재하는 가를 판단한다.
IDLE 상태의 채널이 존재하는 경우, 도 2f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채널의 상태를 DATA_RESERVED로 변경하고 해당 채널 번호를 데이터 호 처리 기능(13)에게 통보하고 초기 수신 상태로 전이한다.
IDLE 상태의 채널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가용한 채널이 없음을 데이터 호 처리 기능(13)에게 통보하고 초기 수신 상태로 전이한다.
다음으로, 수신한 메시지가 데이터 호를 위한 물리적 링크 설정 결과를 통보하는 메시지인 경우(25), 데이터 호를 위한 물리적 링크 설정 결과를 분석한다.
설정 결과가 성공이면서 해당 채널의 상태가 DATA_RESERVED인 경우, 도 2g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채널의 상태를 DATA_PHYSICAL_LINK_ACTIVE로 변경하고 초기 수신 상태로 전이한다.
그 외의 경우에는 수신한 메시지가 의미없는 메시지로 간주하여 버리고 초기 수신 상태로 전이한다.
만약 수신한 메시지가 데이터 호를 위한 논리적 링크 설정 결과를 통보하는 메시지인 경우(26), 데이터 호를 위한 논리적 링크 설정 결과를 분석한다.
설정 결과가 성공이면서 해당 채널의 상태가 DATA_PHYSICAL_LINK_ACTIVE인 경우, 도 2h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채널의 상태를 DATA_ACTIVE로 변경하고 초기 수신 상태로 전이한다.
그 외의 경우에는 수신한 메시지가 의미없는 메시지로 간주하여 버리고 초기수신 상태로 전이한다.
만약 수신한 메시지가 데이터 호를 위한 논리적 링크 해제 결과를 통보하는 메시지인 경우(27), 해당 채널의 상태를 판단한다.
채널의 상태가 DATA_ACTIVE인 경우에는, 도 2i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채널의 상태를 DATA_PHYSICAL_LINK_ACTIVE로 변경하고 초기 수신 상태로 전이한다.
해당 채널의 상태가 DATA_PHYSICAL_LINK_ACTIVE인 경우에는 수신한 메시지가 의미가 없는 것으로 간주하여 버리고 초기 수신 상태로 전이한다.
해당 채널의 상태가 DATA_LOGICAL_LINK_ACTIVE인 경우에는 call_bumping_flag 값을 판단한다.
call_bumping_flag 값이 TRUE인 경우에는 해당 채널의 상태를 VOCIE_RESERVED로 변경하고 해당 채널 번호를 음성 호 처리 기능(11)에게 통보하고 초기 수신 상태로 전이한다. 이는 콜 범핑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선행 절차가 완료되어 음성 호 처리 기능(11)에게 해당 채널로 음성 호를 수용할 것을 알리는 것을 의미한다.
call_bumping_flag 값이 TRUE가 아닌 경우에는 해당 채널의 상태를 IDLE로 변경하고 초기 수신 상태로 전이한다.
이외의 경우에는 수신한 메시지가 의미가 없는 것으로 간주하여 버리고 초기 수신 상태로 전이한다.
만약 수신한 메시지가 데이터 호를 위한 물리적 링크 해제 결과를 통보하는 메시지인 경우(28), 해당 채널의 상태를 판단한다.
채널의 상태가 DATA_ACTIVE 인 경우에는, 도 2j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채널의 상태를 DATA_LOGICAL_LINK_ACTIVE로 변경하고 데이터 호 논리적 링크 설정/해제 기능(15)에게 상대측과 협상없이 논리적 링크를 해제할 것을 요청하고 초기 수신 상태로 전이한다.
채널의 상태가 DATA_PHYSICAL_LINK_ACTIVE 또는 DATA_RESERVED인 경우에는 call_bumping_flag 값을 판단한다.
call_bumping_flag 값이 TRUE인 경우에는, 해당 채널의 상태를 VOCIE_RESERVED로 변경하고 해당 채널 번호를 음성호 처리 기능에게 통보하고 초기 수신 상태로 전이한다. 이는 콜 범핑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선행 절차가 완료되어 음성호 처리 기능(11)에게 해당 채널로 음성 호를 수용할 것을 알리는 것을 의미한다.
call_bumping_flag 값이 TRUE가 아닌 경우에는, 해당 채널의 상태를 IDLE로 변경하고 초기 수신 상태로 전이한다.
이외의 경우에는 수신한 메시지가 의미가 없는 것으로 간주하여 버리고 초기 수신 상태로 전이한다.
만약 수신한 메시지가 위에서 기술한 메시지가 아닌 경우, 의미가 없는 메시지로 간주하여 수신한 메시지를 버리고 초기 수신 상태로 전이한다.
상기에서는 실시예에 근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고 있지만, 이러한 실시예는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이 아니고 예시하는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기술자에게는 본 발명이 의도하고 있는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할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채널의 상태를 음성 호에 관련된 상태와 데이터 호에 관련된 상태로 나누고, 또한 데이터 호에 관련된 상태를 물리적 링크만 설정된 상태, 물리적 및 논리적 링크 모두가 설정된 상태, 논리적 링크만 설정된 상태로 구분하여 관리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채널 상태만 보고서도 콜 범핑 제공 시점 및 콜 범핑 기능 제공을 위한 선행 처리 절차를 판단할 수 있어 보다 용이하고 신속하게 콜 범핑 기능 제공이 이루어 지게된다,

Claims (14)

  1. ISDN BRI 사용자 단말기에 적용되는 콜 범핑 기능 제공을 위한 채널 상태 관리 및 채널 할당 방법에 있어서,
    하나의 ISDN D-채널과 두 개의 B-채널에 대한 상태 관리 및 채널 할당을 하는 채널 관리 기능(12)과, 상기 채널 관리 기능(12)에 음성 호를 위한 채널 할당을 요구하고, 음성 호 설정 또는 해제 결과를 통보하여 해당 채널의 상태를 변경하도록 하는 음성 호 처리 기능(11)과, 상기 채널 관리 기능(12)에 데이터 호를 위한 채널 할당을 요구하고, 데이터 호를 위한 물리적 링크 또는 논리적 링크의 설정 또는 해제 결과를 통보하여 해당 채널의 상태를 변경하도록 하는 데이터 호 처리 기능(13)과, 상기 채널 관리 기능(12) 또는 음성 호 처리 기능(11) 또는 데이터 호 처리 기능(13)으로부터 음성 호나 데이터 호를 위한 물리적 링크의 설정 또는 해제 요구를 받는 경우 이를 실행하는 물리적 링크 설정/해제 기능(14) 및 상기 채널 관리 기능(12) 또는 데이터 호 처리 기능(13)으로부터 데이터 호를 위한 논리적 링크의 설정 또는 해제 요구를 받는 경우 이를 실행하는 데이터 호 논리적 링크 설정/해제 기능(15)으로 구분하고,
    채널 상태를 음성 호 또는 데이터 호로 사용될 수 있는 채널이 가용함을 나타내는 IDLE 상태와, 채널 상태로부터 콜 범핑 조건을 판단하기 위해 데이터 호에 관련된 상태와 음성 호에 관련된 상태로 나누어, 수신된 음성 호 또는 데이터 호에 관한 메시지의 유형에 따라 해당 채널의 할당이나 상태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콜 범핑 기능 제공을 위한 채널 상태 관리 및 채널 할당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호에 관련된 채널 상태는, 해당 채널이 음성 호로 사용되기 위하여 연결 설정 중임을 나타내는 VOICE_RESERVED와, 연결 설정이 완료된 상태를 나타내는 VOCIE_ACTIVE로 이루어지고,
    상기 데이터 호에 관련된 채널 상태는, 해당 채널이 데이터 호로 사용되기 위하여 물리적 링크 설정을 하고 있는 중임을 나타내는 DATA_RESERVED와, 물리적 링크 설정이 완료된 상태를 나타내는 DATA_PHYSICAL_LINK_ACTIVE와, 데이터 호를 위한 논리적 링크 설정이 완료된 상태를 나타내는 DATA_LOGICAL_LINK_ACTIVE와, 물리적 및 논리적 링크 설정이 모두 완료되어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지는 상태를 나타내는 DATA_ACTIVE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데이터 호에 관련된 채널 상태가 DATA_ACTIVE가 된 후에 네트워크 상의 장애가 발생하거나 상대측에 의하여 물리적 링크 또는 논리적 링크가 해제되는 경우, 채널의 상태가 DATA_ACTIVE에서 DATA_PHYSICAL_LINK_ACTIVE 또는 DATA_LOGICAL_LINK_ACTIVE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콜 범핑 기능 제공을 위한 채널 상태 관리 및 채널 할당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수신한 메시지가 음성 호 또는 데이터 호를 위한 채널 할당 요구 메시지인 경우, 음성 호 또는 데이터 호를 위한 채널 할당을 하고,
    수신한 메시지가 음성 호를 위한 설정 또는 해제 결과를 통보하는 메시지인 경우, 해당 채널의 상태를 변경하고,
    수신한 메시지가 데이터 호를 위한 물리적 링크나 논리적 링크의 설정 또는 해제 결과를 통보하는 메시지인 경우, 해당 채널의 상태를 변경하고,
    수신한 메시지가 상기에 해당되는 메시지가 아닌 경우, 수신한 메시지를 버리고 초기 수신 상태로 전이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콜 범핑 기능 제공을 위한 채널 상태 관리 및 채널 할당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수신한 메시지가 음성 호를 위한 채널 할당 요구 메시지인 경우, 음성 호를 위한 채널 할당은,
    IDLE 상태의 채널이 존재하는 가를 판단하여, IDLE 상태의 채널이 존재하는 경우 해당 채널의 상태를 VOICE_RESERVED 상태로 변경하고 음성 호 처리 기능(11)에게 해당 채널 번호를 통보하고 초기 수신 상태로 전이하고,
    IDLE 상태의 채널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콜 범핑 조건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콜 범핑 기능 제공을 위한 채널 상태 관리 및 채널 할당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콜 범핑 조건의 판단은,
    ISDN B1-채널의 상태가 DATA_ACTIVE 이면서 ISDN B2-채널이 DATA_ACTIVE인경우에는, B2-채널의 데이터 호 연결을 해제하도록 데이터 호 처리 기능(13)에게 요구하고 call_bumping_flag 값을 TRUE로 변경하여 초기 수신 상태로 전이하고,
    B1-채널의 상태가 DATA_ACTIVE 이면서 B2-채널의 상태가 DATA_PHYSICAL_LINK_ACTIVE 또는 DATA_RESERVED인 경우에는, B2-채널의 물리적 링크를 해제하도록 물리적 링크 설정/해제 기능(14)에게 요구하고 call_bumping_flag 값을 TRUE로 변경하고 초기 수신 상태로 전이하고,
    B1-채널의 상태가 DATA_ACTIVE 이면서 B2-채널의 상태가 DATA_LOGICAL_LINK_ACTIVE인 경우에는, 상대측과 협상없이 B2-채널의 논리적 링크를 해제하도록 데이터 호 논리적 링크 설정/해제 기능(15)에게 요구하고 하고 call_bumping_flag 값을 TRUE로 변경하고 초기 수신 상태로 전이하고,
    B1-채널의 상태가 DATA_PHYSICAL_LINK_ACTIVE 또는 DATA_RESERVED이면서 B2-채널이 DATA_ACTIVE인 경우에는, B1-채널의 물리적 링크를 해제하도록 물리적 링크 설정/해제 기능(14)에게 요구하고 하고 call_bumping_flag 값을 TRUE로 변경하고 초기 수신 상태로 전이하고,
    B1-채널의 상태가 DATA_LOGICAL_LINK_ACTIVE이면서 B2-채널이 DATA_ACTIVE인 경우에는, 상대측과 협상없이 B1-채널의 논리적 링크를 해제하도록 데이터 호 논리적 링크 설정/해제 기능(15)에게 요구하고 call_bumping_flag 값을 TRUE로 변경하고 초기 수신 상태로 전이하고,
    B1-채널의 상태가 DATA_PHYSICAL_LINK_ACTIVE 또는 DATA_LOGICAL_LINK_ACTIVE 또는 DATA_RESERVED이면서 B2-채널의 상태가DATA_PHYSICAL_LINK_ACTIVE 또는 DATA_RESERVED인 경우에는, B2-채널의 물리적 링크를 해제하도록 물리적 링크 설정/해제 기능(14)에게 요구하고 call_bumping_flag 값을 TRUE로 변경하고 초기 수신 상태로 전이하고,
    B1-채널의 상태가 DATA_PHYSICAL_LINK_ACTIVE 또는 DATA_LOGICAL_LINK_ACTIVE 또는 DATA_RESERVED이면서 B2-채널의 상태가 DATA_LOGICAL_LINK_ACTIVE인 경우에는, 상대측과 협상없이 B2-채널의 논리적 링크를 해제하도록 데이터 호 논리적 링크 설정/해제 기능(15)에게 요구하고 call_bumping_flag 값을 TRUE로 변경하고 초기 수신 상태로 전이하고,
    상기의 경우 이외에 대해서는 콜 범핑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여 음성 호 처리 기능(11)에게 가용한 채널이 없음을 통보하고 초기 수신 상태로 전이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콜 범핑 기능 제공을 위한 채널 상태 관리 및 채널 할당 방법.
  6. 제 3 항에 있어서, 수신한 메시지가 음성 호를 위한 설정 결과를 통보하는 메시지인 경우, 해당 채널의 상태 변경은,
    수신한 메시지의 음성 호 설정 결과를 분석하여, 음성 호 설정 결과가 성공인 경우에는 해당 채널의 상태를 VOICE_ACTIVE로 변경하고 초기 수신 상태로 전이하고,
    음성호 설정 결과가 실패인 경우에는 해당 채널의 상태를 IDLE로 변경하고call_bumping_flag 값을 분석하여 call_bumping_flag 값이 TRUE 인 경우에는 call_bumping_flag 값을 FALSE로 변경하고 해당 채널의 상태를 DATA_RESERVED로 변경하고 데이터 호 처리 기능(13)에게 해당 채널 번호로 데이터 호를 설정할 것을 요청하고 초기 수신 상태로 전이하고,
    call_bumping_flag 값이 TRUE가 아닌 경우에는 초기 수신 상태로 전이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콜 범핑 기능 제공을 위한 채널 상태 관리 및 채널 할당 방법.
  7. 제 3 항에 있어서, 수신한 메시지가 음성 호 해제 결과를 통보하는 메시지인 경우, 해당 채널의 상태 변경은,
    해당 채널의 상태를 IDLE로 변경하고 call_bumping_flag 값을 분석하여, call_bumping_flag 값이 TRUE인 경우에는 call_bumping_flag 값을 FALSE로 변경하고 해당 채널의 상태를 DATA_RESERVED로 변경하고 데이터 호 처리 기능(13)에게 해당 채널 번호로 데이터 호를 설정하도록 요구하고 초기 수신 상태로 전이하고,
    call_bumping_flag 값이 TRUE가 아닌 경우에는 초기 수신 상태로 전이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콜 범핑 기능 제공을 위한 채널 상태 관리 및 채널 할당 방법.
  8. 제 3 항에 있어서, 수신한 메시지가 데이터 호를 위한 채널 할당 요구 메시지인 경우, 데이터 호를 위한 채널의 할당은,
    IDLE 상태의 채널이 존재하는 가를 판단하여, IDLE 상태의 채널이 존재하는 경우 해당 채널의 상태를 DATA_RESERVED로 변경하고 해당 채널 번호를 데이터 호 처리 기능(13)에게 통보하고 초기 수신 상태로 전이하고,
    IDLE 상태의 채널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가용한 채널이 없음을 데이터 호 처리 기능(13)에게 통보하고 초기 수신 상태로 전이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콜 범핑 기능 제공을 위한 채널 상태 관리 및 채널 할당 방법.
  9. 제 3 항에 있어서, 수신한 메시지가 데이터 호를 위한 물리적 링크 설정 결과를 통보하는 메시지인 경우, 해당 채널의 상태 변경은,
    수신한 메시지의 파라미터인 물리적 링크 설정 결과를 분석하여, 설정 결과가 성공이면서 해당 채널의 상태가 DATA_RESERVED인 경우, 해당 채널의 상태를 DATA_PHYSICAL_LINK_ACTIVE로 변경하고 초기 수신 상태로 전이하고,
    그 외의 경우에는 수신한 메시지가 의미없는 메시지로 간주하여 버리고 초기 수신 상태로 전이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콜 범핑 기능 제공을 위한 채널 상태 관리 및 채널 할당 방법.
  10. 제 3 항에 있어서, 수신한 메시지가 데이터 호를 위한 논리적 링크 설정 결과를 통보하는 메시지인 경우, 해당 채널의 상태 변경은,
    수신한 메시지의 파라미터인 논리적 링크 설정 결과를 분석하여, 설정 결과가 성공이면서 해당 채널의 상태가 DATA_PHYSICAL_LINK_ACTIVE인 경우, 해당 채널의 상태를 DATA_ACTIVE로 변경하고 초기 수신 상태로 전이하고,
    그 외의 경우에는 수신한 메시지가 의미없는 메시지로 간주하여 버리고 초기 수신 상태로 전이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콜 범핑 기능 제공을 위한 채널 상태 관리 및 채널 할당 방법.
  11. 제 3 항에 있어서, 수신한 메시지가 데이터 호를 위한 논리적 링크 해제 결과를 통보하는 메시지인 경우, 해당 채널의 상태 변경은,
    해당 채널의 상태를 판단하여, 채널의 상태가 DATA_ACTIVE인 경우에는 해당 채널의 상태를 DATA_PHYSICAL_LINK_ACTIVE로 변경하고 초기 수신 상태로 전이하고,
    해당 채널의 상태가 DATA_PHYSICAL_LINK_ACTIVE인 경우에는 수신한 메시지가 의미가 없는 것으로 간주하여 버리고 초기 수신 상태로 전이하고,
    해당 채널의 상태가 DATA_LOGICAL_LINK_ACTIVE인 경우에는 call_bumping_flag 값을 판단하여, call_bumping_flag 값이 TRUE인 경우에는 해당 채널의 상태를 VOCIE_RESERVED로 변경하고 해당 채널 번호를 음성 호 처리 기능(11)에게 통보하고 초기 수신 상태로 전이하고,
    call_bumping_flag 값이 TRUE가 아닌 경우에는 해당 채널의 상태를 IDLE로 변경하고 초기 수신 상태로 전이하고,
    이외의 경우에는 수신한 메시지가 의미가 없는 것으로 간주하여 버리고 초기 수신 상태로 전이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콜 범핑 기능 제공을 위한 채널 상태 관리 및 채널 할당 방법.
  12. 제 3 항에 있어서, 수신한 메시지가 데이터 호를 위한 물리적 링크 해제 결과를 통보하는 메시지인 경우, 해당 채널의 상태 변경은,
    해당 채널의 상태를 판단하여, 채널의 상태가 DATA_ACTIVE 인 경우에는 해당 채널의 상태를 DATA_LOGICAL_LINK_ACTIVE로 변경하고 데이터 호 논리적 링크 설정/해제 기능(15)에게 상대측과 협상없이 논리적 링크를 해제할 것을 요청하고 초기 수신 상태로 전이하고,
    해당 채널의 상태가 DATA_PHYSICAL_LINK_ACTIVE 또는 DATA_RESERVED인 경우에는 call_bumping_flag 값을 판단하여, call_bumping_flag 값이 TRUE인 경우에는 해당 채널의 상태를 VOCIE_RESERVED로 변경하고 해당 채널 번호를 음성 호 처리 기능(11)에게 통보하고 초기 수신 상태로 전이하고,
    call_bumping_flag 값이 TRUE가 아닌 경우에는 해당 채널의 상태를 IDLE로 변경하고 초기 수신 상태로 전이하고,
    이외의 경우에는 수신한 메시지가 의미가 없는 것으로 간주하여 버리고 초기 수신 상태로 전이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콜 범핑 기능 제공을 위한 채널 상태 관리 및 채널 할당 방법.
  13. 컴퓨터에,
    ISDN BRI 사용자 단말기에 적용되는 콜 범핑 기능 제공을 위한 채널 상태 관리 및 채널 할당 방법에 있어서, 하나의 ISDN D-채널과 두 개의 B-채널에 대한 상태 관리 및 채널 할당을 하는 채널 관리 기능(12)과, 상기 채널 관리 기능(12)에 음성 호를 위한 채널 할당을 요구하고, 음성 호 설정 또는 해제 결과를 통보하여 해당 채널의 상태를 변경하도록 하는 음성 호 처리 기능(11)과, 상기 채널 관리 기능(12)에 데이터 호를 위한 채널 할당을 요구하고, 데이터 호를 위한 물리적 링크 또는 논리적 링크의 설정 또는 해제 결과를 통보하여 해당 채널의 상태를 변경하도록 하는 데이터 호 처리 기능(13)과, 상기 채널 관리 기능(12) 또는 음성 호 처리 기능(11) 또는 데이터 호 처리 기능(13)으로부터 음성 호나 데이터 호를 위한 물리적 링크의 설정 또는 해제 요구를 받는 경우 이를 실행하는 물리적 링크 설정/해제 기능(14) 및 상기 채널 관리 기능(12) 또는 데이터 호 처리 기능(13)으로부터 데이터 호를 위한 논리적 링크의 설정 또는 해제 요구를 받는 경우 이를 실행하는 데이터 호 논리적 링크 설정/해제 기능(15)으로 구분하고,
    채널 상태를 음성 호 또는 데이터 호로 사용될 수 있는 채널이 가용함을 나타내는 IDLE 상태와, 채널 상태로부터 콜 범핑 조건을 판단하기 위해 데이터 호에 관련된 상태와 음성 호에 관련된 상태로 나누어, 수신된 음성 호 또는 데이터 호에 관한 메시지의 유형에 따라 해당 채널의 할당이나 상태를 변경하는 것을 포함하여 실행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호에 관련된 채널 상태는, 해당 채널이 음성 호로 사용되기 위하여 연결 설정 중임을 나타내는 VOICE_RESERVED와, 연결 설정이 완료된 상태를 나타내는 VOCIE_ACTIVE로 이루어지고,
    상기 데이터 호에 관련된 채널 상태는, 해당 채널이 데이터 호로 사용되기 위하여 물리적 링크 설정을 하고 있는 중임을 나타내는 DATA_RESERVED와, 물리적 링크 설정이 완료된 상태를 나타내는 DATA_PHYSICAL_LINK_ACTIVE와, 데이터 호를 위한 논리적 링크 설정이 완료된 상태를 나타내는 DATA_LOGICAL_LINK_ACTIVE와, 물리적 및 논리적 링크 설정이 모두 완료되어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지는 상태를 나타내는 DATA_ACTIVE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데이터 호에 관련된 채널 상태가 DATA_ACTIVE가 된 후에 네트워크 상의 장애가 발생하거나 상대측에 의하여 물리적 링크 또는 논리적 링크가 해제되는 경우, 채널의 상태가 DATA_ACTIVE에서 DATA_PHYSICAL_LINK_ACTIVE 또는 DATA_LOGICAL_LINK_ACTIVE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하여 실행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19990062383A 1999-12-27 1999-12-27 종합 정보 통신망 기본 속도 인터페이스 사용자단말기에서 콜 범핑 기능 제공을 위한 채널 상태 관리 및채널 할당 방법 KR1003162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2383A KR100316243B1 (ko) 1999-12-27 1999-12-27 종합 정보 통신망 기본 속도 인터페이스 사용자단말기에서 콜 범핑 기능 제공을 위한 채널 상태 관리 및채널 할당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2383A KR100316243B1 (ko) 1999-12-27 1999-12-27 종합 정보 통신망 기본 속도 인터페이스 사용자단말기에서 콜 범핑 기능 제공을 위한 채널 상태 관리 및채널 할당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4233A KR20010064233A (ko) 2001-07-09
KR100316243B1 true KR100316243B1 (ko) 2001-12-12

Family

ID=196299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62383A KR100316243B1 (ko) 1999-12-27 1999-12-27 종합 정보 통신망 기본 속도 인터페이스 사용자단말기에서 콜 범핑 기능 제공을 위한 채널 상태 관리 및채널 할당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16243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4233A (ko) 2001-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7375C (zh) 改变通信带宽以提供自动回呼和呼叫保持的方法
EP0748094B1 (en) Adjustment of call bandwidth during a communication call
CA2226447C (en) Distributed network control and fabric application interface
CA2220790C (en) Automatic learning of network routing using random routes
JPH02131050A (ja) 通信システム
JPH04154331A (ja) Isdn網発着信時の呼衝突防止方式
US20080198764A1 (en) Communication Path Allocating Entity and Method
EP0371676B1 (en) Communication channel reallocation
EP0888020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chieving fabric independent routing technique
US4958343A (en) Communication channel reservation
KR100316243B1 (ko) 종합 정보 통신망 기본 속도 인터페이스 사용자단말기에서 콜 범핑 기능 제공을 위한 채널 상태 관리 및채널 할당 방법
EP0836355A2 (en) Establishment of a flexible rate interface link to restore channels from a failed communication link
KR100377687B1 (ko) 이종 넘버 세븐 신호망 간의 상호 연동 방법
JP2001513284A (ja) 接続を解放するためのプロシジャー
AU741494B2 (en) Procedure for the switching of data traffic in a data communication system
JPH10107897A (ja) 呼を失うことなくisdn briリンクの回復
JPH01240047A (ja) ターミナルアダプタ
KR100451785B1 (ko) 물리링크(e1) 수 변동에 따른 v5.2리 프로비젼 절차방법
KR100301728B1 (ko) Wll 시스템에서의 베어러 채널접속 참조번호 할당 및 해제방법
KR100805580B1 (ko) 액세스 망 장치와 교환 시스템 간의 메시지 전송 방법
KR20010008693A (ko) 전전자 교환기의 데이터 전송용 채널 패킷 처리 방법
KR980013117A (ko) 기본채널접속(Bearer Channel Connection) 테이블을 이용한 V5.2 인터페이스의 집선정보 처리방법
KR970056232A (ko) 광대역 서비스 교환기(b-ssp)에서의 호 처리 방법
Yokoyama et al. Communication media control schemes in an integrated service circuit switching network environment
JPH05252157A (ja) 呼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101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