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16188B1 - 자동차의스테이빌라이저바아바디마운팅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의스테이빌라이저바아바디마운팅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16188B1
KR100316188B1 KR1019960071834A KR19960071834A KR100316188B1 KR 100316188 B1 KR100316188 B1 KR 100316188B1 KR 1019960071834 A KR1019960071834 A KR 1019960071834A KR 19960071834 A KR19960071834 A KR 19960071834A KR 100316188 B1 KR100316188 B1 KR 1003161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bilizer bar
body mounting
stabilizer
vehicle
mount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718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52809A (ko
Inventor
이승훈
Original Assignee
이계안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계안,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계안
Priority to KR10199600718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16188B1/ko
Publication of KR199800528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28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61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6188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1/00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 B60G21/02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 B60G21/04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mechanically
    • B60G21/05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mechanically between wheels on the same axle but on different sides of the vehicle, i.e. the left and right wheel suspensions being interconnected
    • B60G21/055Stabiliser ba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 Sp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스테이빌라이저 바아의 바디 마운팅부의 형상을 변경하여 스테이빌라이저 바아의 효율을 향상시키도록 한 자동차의 스테이빌라이저 바아 바디마운팅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구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바디 마운팅부(11)는 단면을 타원형으로 형성하고 이 바디 마운팅부(11)를 감싸주는 마운팅부쉬(20)는 회전중심부를 중심으로 나누어 한 측에는 소프트한 고무재(20a)로 형성하고 타측에는 하드한 고무재(20b)를 형성하여 브라켓(30)으로 바디(40)에 장착하여 스테이빌라이저 바아 링크와의 각도 변화를 줄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스테이빌라이저 바아 바디마운팅구조
본 발명은 자동차의 스테이빌라이저 바아 바디마운팅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스테이빌라이저 바아의 바디 마운팅부의 형상을 변경하여 스테이빌라이저 바아의 효율을 향상시키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독립현가식의 코일 스프링이나, 토오션 바아 스프링등을 설치한자동차는 차축현가방식의 리이프 스프링을 설치한 자동차에 비하여 새시 스프링의 탄성력을 상당히 유연하게 해주는 반면 커어브를 선회할 때 혹은 울퉁불퉁한 노면을 주행할 때에는 옆으로 흔들림이 생기기 쉽다.
그러므로 독립 현가식의 스프링 혹은 토오션 바 스프링의 자동차는 양끝을 좌,우의 아래 서스펜션 아암에 설치하고, 중앙부분을 후레임에 혹은 서스펜션 아암에 양끝을 고정하되 중앙부분이 차축을 지나가게 하는 구조의 스테이빌라이저가 알려져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한 종래의 스테이빌라이저는 첨부도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단 연장부(101)를 집어넣어 지지하기 위한 홈을 갖는 서스펜션 아암(200)과 이 서스펜션 아암(200)을 힌지(401)로 축지하기 위한 축지구조(201)(202)가 이 서스펜션 아암(200)의 양단에 형성되어 한쪽은 차축의 힌지(401)에, 다른 쪽은 차체의 저면 바디(도면상 미도시됨)에 각각 설치되며 서스펜션 아암(200)에 끼워지는 스테이빌라이저(100)의 연장부(101)는 U형 볼트(300)와 그 너트(301)에 의하여 지지되는 구조로 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 있어서의 문제점은 서스펜션 아암의 한쪽이 차축에 지지되면서 진도발생시에 축지점이되고 서스펜션 아암의 다른쪽은 차체의 저면 바디 후레임에 지지되어 상기 축지점을 기준으로 다른 쪽이 상향으로 각도 이동되면서 일정 각도 탄력을 갖게하는 구조이다.
이와 같은 종래의 스테이빌라이저에 있어서는 스테이빌라이저의 양끝의 비틀림에 의한 탄성을 이용함으로 곡선도로를 주행하거나 바퀴의 한쪽에 가해지는 돌출부분에 대하여 상당한 탄력을 얻을 수 있으나, 이 때의 탄력은 결국 서스펜션 아암에 고정된 스테이빌라이저의 일부에만 미치게 되어 스테이빌라이저가 갖는 충분한 길이에 의한 탄성을 얻을 수 없었으며, 스테이빌라이저 바아의 바디 마운팅부가 단면상으로 원형을 이루고 있어 이는 스테이빌라이저 바아가 링크와의 각도를 크게 하여 스테이빌라이저 바아의 효율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스테이빌라이저 바아의 바디 마운팅부의 형상을 변경하여 스테이빌라이저 바아의 효율을 향상시키도록 한 자동차의 스테이빌라이저 바아 바디마운팅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구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스테이빌라이저 바아의 바디 마운팅부를 단면상으로 타원형으로 형성하고 바디 마운팅부를 감싸주는 마운팅부쉬는 회전중심부를 중심으로 나누어 한측에는 소프트한 고무재로 형성하고 타측에는 하드한 고무재를 형성하여 브라켓으로 바디에 장착하여 스테이빌라이저 바아 링크의 각도변화를 줄이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 은 스테이빌라이저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인 평면도
도 2 는 본 발명의 요부를 보인 단면도
도 3은 일반적인 스테이빌라이저 바아의 구조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스테이빌라이저 바아
11:바디 마운팅부
20:부쉬
30:브라켓
40:바디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 1 및 도 2 의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에서와 같이 양측이 절곡되어 끝단부에 스테이빌라이저 아이부(12)를 형성하고 양측으로 바디마운팅부(11)를 형성한 스테이빌라이저 바아(10)가 구성된다.
도 2 도에서와 같이 상기의 바디 마운팅부(11)는 단면을 타원형으로 형성하고 이 바디 마운팅부(11)를 감싸주는 마운팅부쉬(20)는 회전중심부를 중심으로 나누어 한측에는 소프트한 고무재(20a)로 형성하고 타측에는 하드한 고무재(20b)를 형성하여 브라켓(30)으로 바디(40)에 장착한다.
이와 같이 구성한 본 발명은 타이어가 범프, 리바운드할 때 스테이빌라이저 바아(10)는 바디 마운팅부(11)의 스테이빌라이저 바아(10) 중심을 축으로 하여 회전운동을 하게 되는데, 이때 일반적인 스테이빌라이저 바아는 첨부도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선궤적을 그리게 되며, 이는 스테이빌라이저 바아 링크와의 각도를 크게하여 스테이빌라이저 바아의 효율을 저하시킨다.(참고 : 스테이빌라이저 바아와 스테이빌라이저 바아 링크와의 각도는 90°일 때 효율이 가장높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바디 마운팅부(11)가 타원형으로 되어 회전시 부쉬(20)의 소프트한 고무재(20a)를 가압하면서 회전되므로 중심점에 대한 변위가 일어나 궤적을 실선에서 점선으로만큼 변화시켜 스테이빌라이저 바아와 스테이빌라이저 바아 링크와의 각도 변화를 줄일 수 있다.
즉, 스테이빌라이저 바아(10)가 회전운동을할 때 스테이빌라이저 바아(10)의 바디 마운팅부(11)가 소프트한 고무재(20a)를 가압하면서 회전되면서 단면 중심에서 비틀림현상이 일어난다.
일반적인 스테이빌라이저 바아의 비틀림 중심은 0지점에서 일어나지만 본 발명의 비틀림 현상은 위치이동(변위)된 상태의 0'점에서 일어나므로 비틀림각이 줄어들므로 스테이빌라이저 바아(10)와 스테이빌라이저 바아 링크와의 각도 변화를 줄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스테이빌라이저 바아 링크와의 각도변화를 줄여 스테이빌라이저 바아의 효율증대와 스테이빌라이저 바아 링크의 요동각이 감소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양측이 절곡되어 끝단부에 스테이빌라이저 아이부(12)를 형성하고 양측으로 바디마운팅부(11)를 형성한 스테이빌라이저 바아(10)에 있어서,
    상기의 바디 마운팅부(11)는 단면을 타원형으로 형성하고 이 바디 마운팅부(11)를 감싸주는 마운팅부쉬(20)는 회전중심부를 중심으로 나누어 한측에는 소프트한 고무재(20a)로 형성하고 타측에는 하드한 고무재(20b)를 형성하여 브라켓(30)으로 바디(40)에 장착하여 스테이빌라이저 바아 링크와의 각도 변화를 줄일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스테이빌라이저 바아 바디 마운팅구조.
KR1019960071834A 1996-12-24 1996-12-24 자동차의스테이빌라이저바아바디마운팅구조 KR1003161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71834A KR100316188B1 (ko) 1996-12-24 1996-12-24 자동차의스테이빌라이저바아바디마운팅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71834A KR100316188B1 (ko) 1996-12-24 1996-12-24 자동차의스테이빌라이저바아바디마운팅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2809A KR19980052809A (ko) 1998-09-25
KR100316188B1 true KR100316188B1 (ko) 2002-02-19

Family

ID=375316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71834A KR100316188B1 (ko) 1996-12-24 1996-12-24 자동차의스테이빌라이저바아바디마운팅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1618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9183B1 (ko) * 2006-07-28 2013-02-0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립스프링 서스펜션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9183B1 (ko) * 2006-07-28 2013-02-0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립스프링 서스펜션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2809A (ko) 1998-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74075A (en) Vehicle suspension mounting for controlling change in camber and tread
KR100316188B1 (ko) 자동차의스테이빌라이저바아바디마운팅구조
JP3468014B2 (ja) 車両用サスペンションのトレーリングアーム支持構造
JP2010513115A (ja) ホイールサスペンション
JPS62120207A (ja) 自動車のサスペンシヨン装置
WO1995026887A1 (en) Vehicle suspension system
JPS6331812A (ja) 自動車のサスペンシヨン装置
KR910007989Y1 (ko) 자동차용 스트러트 맥퍼슨 타입 현가장치의 로워 콘트롤 아암 고정구조
KR0176315B1 (ko) 리프 스프링식 현가 장치의 스프링 지지구조
JPH055682B2 (ko)
KR100503342B1 (ko) 차량용 캠버 컨트롤 서스펜션
KR20040033581A (ko) 자동차의 멀티 링크형 현가 장치
JPH0524421A (ja) 車両用懸架装置
KR100946508B1 (ko) 롤 댐핑 조절 기능을 갖는 차량용 현가장치
JPH05229326A (ja) 車両のサスペンション装置
KR100237799B1 (ko) 차량용 프론트 컨트롤암의 구조
JP2778289B2 (ja) リヤサスペンション装置
KR100309151B1 (ko) 자동차의 후륜 현가장치
KR100316890B1 (ko) 차량용 세미 트레일링 아암형 현가장치
KR200167543Y1 (ko) 자동차 현가장치의 스태빌라이져
KR100326377B1 (ko) 자동차용 세미 트레일링 아암형 현가 장치
KR980007136U (ko) 자동차의 벤딩형 로어아암
KR100469100B1 (ko) 차량 현가장치용 스태빌라이저바 마운팅 구조
KR100962190B1 (ko) 스테빌라이저 바용 클램핑 장치
KR19980054875U (ko) 자동차의 트레일링 링크 부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03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