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15895B1 - 요소호흡 검사용의 저농축 13c 표지된 요소 조성물 - Google Patents

요소호흡 검사용의 저농축 13c 표지된 요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15895B1
KR100315895B1 KR1020000029478A KR20000029478A KR100315895B1 KR 100315895 B1 KR100315895 B1 KR 100315895B1 KR 1020000029478 A KR1020000029478 A KR 1020000029478A KR 20000029478 A KR20000029478 A KR 20000029478A KR 100315895 B1 KR100315895 B1 KR 1003158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sitivity
urea
helicobacter pylori
positivity positivity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294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64675A (ko
Inventor
이민화
강성훈
유정희
이택기
Original Assignee
강성훈
주식회사 메디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성훈, 주식회사 메디켐스 filed Critical 강성훈
Priority to KR10200000294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15895B1/ko
Priority to AU2001260776A priority patent/AU2001260776A1/en
Priority to PCT/KR2001/000919 priority patent/WO2001092889A1/en
Publication of KR200100646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646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58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5895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62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urea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58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urea or ureas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G01N33/569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for microorganisms, e.g. protozoa, bacteria, viruses
    • G01N33/56911Bacteria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8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labelled substan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333/00Assays involving biological materials from specific organisms or of a specific nature
    • G01N2333/195Assays involving biological materials from specific organisms or of a specific nature from bacteria
    • G01N2333/205Assays involving biological materials from specific organisms or of a specific nature from bacteria from Campylobacter (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Zo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Virology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 Medicines Containing Antibodies Or Antigens For Use As Internal Diagnostic Ag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라 90 % 이하의 저농축13C-표지된 요소를 포함하는헬리코박터 파이로리의 감염 진단용 조성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사용함으로써헬리코박터 파이로리의 감염 여부의 민감도와 특이도가 높고 경제성이 뛰어난 진단 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요소호흡 검사용의 저농축 13C 표지된 요소 조성물 {Low-enriched 13C-Labelled Urea Composition for Urea Breath Test}
본 발명은 요소호흡 검사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인체내헬리코박터 파이로리(Helicobacter pylori) 균의 존재를 확인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저농축13C으로 표지된 요소를 포함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헬리코박터 파이로리는 1983년 와렌과 마셀 (Dr. Warren and Dr. Marshell)에 의해 처음으로 분리 동정된 나선형 몸통과 편모를 가지고 있는 그람 음성세균으로서, 위에 감염되어 다양한 위장관 질환을 일으키는 원인균으로 알려져 있다 (Lancet, 1273-1275, 1983).헬리코박터 파이로리는 지역과 사회, 경제적 여건에 따라 유병률의 많은 차이를 보이나, 선진국에서는 전 국민의 30 내지 50%, 저개발국가에서는 대다수 국민에서 검출될 정도로 세계적으로 널리 분포되어 있는 세균이다 (Scand J Gastroenterol 1988; 23: 9-13).헬리코박터 파이로리는 대부분 소아기에 감염되고, 한번 감염되면 성인까지 그대로 지속되며, 자연 치유되는 경우는 거의 없다. 특히 어린 나이에헬리코박터 파이로리의 감염에 노출되면 위암으로진전될 수 있는 위험률이 증가하게 된다 (GI Management 1995; 4(1): 1,8).
과거에는 소화성 궤양의 발생기전은 음식물이나 스트레스, 또는 위점막에서 공격인자와 방어인자의 불균형으로 인해 생기는 것으로 생각하여 1954년 팔머 (Palmer)가 주장한 '위산이 없으면 궤양도 없다 (No acid, No ulcer)'는 개념이 한동안 정설로 받아 들여져 왔었다. 그러나, 그 후헬리코박터 파이로리가 발견됨에 따라 그 동안 정확한 원인을 모르던 소화기 질환들이 규명될 수 있는 길이 열렸다. 많은 연구가 현재에도 진행 중이지만, 현재까지 알려진 바로는헬리코박터 파이로리가 위염, 위궤양, 십이지궤양을 비롯하여 위암의 원인균으로 인정되었으며 만성위염과 소화성 궤양의 발병과 재발에도 관여한다고 알려져 있다 (Lancet 1984; 1: 1311-14, Gastroenterology Vol.92, No5, Part2: 1518, J Clin Pathol 1986; 39: 353-65, Gastroenterology 1987; 93: 371-83). 또한, 블라서 (Blaser)의 문헌 (Reviews of Infectious Diseases 1991; 13(Suppl 8): S704-8)에 의하면헬리코박터 파이로리감염은 십이지장 궤양, 위궤양과 밀접한 관계가 있음이 개시되어 있고, 슈베르트 (Schubertt)는헬리코박터 파이로리감염률이 십이지장 궤양에서 85%, 위궤양 53%, 십이지장염 50%, 역류성 식도염 28%, 위염 29%, 비궤양성 소화불량증에서 43%로 나타났다고 보고하였다 (Am. J. Gastroenterol. 1989; 84: 637-642).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헬리코박터 파이로리가 위장관 질환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밝혀지면서,헬리코박터 파이로리 감염진단에 대한 중요성이 증가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질병을 진단하기 위한 검사는 임상에서 충분히 활용되어야 하므로, 민감도와 특이도가 높고, 경제적이며, 환자를 고통스럽지 않게하는 쉽고 간편한 방법이어야 한다. 이러한 방법으로서,헬리코박터 파이로리의 감염진단에는 크게 침습적인 방법 (invasive test)과 비침습적 방법(non-invasive test)이 사용되고 있다.
침습적인 방법에는 크게 균배양검사, 조직검사, 신속 우레아제 검사법 (RUT test; Rapid Urease Test) 등의 검사가 있으며, 비침습적인 방법에는 혈청학적 검사, 요소호흡 검사 (13C-urea breath test) 등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침습적인 방법을 시행하기 위해서는 모든 환자에게 내시경 검사를 시행하여야 한다는 어려움이 있고, 검사과정이 복잡하고, 비용 또한 많이 소요된다는 단점이 있다. 특히, 균배양검사는 생검한 조직을 까다로운 조건 속에서 배양시켜야 하는 어려움이 있고, 조직검사는 경험이 풍부하고, 능숙한 실험자가 반드시 필요하다는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내시경 실에서 손쉽게 할 수 있는 방법으로 신속 우레아제 검사법이 제안되었다.
이 방법은헬리코박터 파이로리가 생산하는 우레아제 효소가 다른 미생물의 경우에 비해 월등히 활성도가 높음을 이용하는 것으로써, 즉 진단키트에 요소를 첨가하고,헬리코박터 파이로리에 감염된 환자의 경우, 첨가된 요소가 우레아제에 의해 분해됨에 따라 생기는 암모니아에 의해 pH가 상승하게되면 이를 pH 지시약의 발색으로 측정하여 우레아제 활성도를 측정하는 원리를 이용한다. 이런 원리를 이용해 상업화된 키트로는 CLO test (미국특허 제4,748,113호), Hpfast (미국특허 제5,439,801호), Pyloritek (미국특허 제5,420,016호) 등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 방법들은 민감도와 특이도가 다소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다.
한편, 비침습적인 방법의 혈청학적 검사법은 침습적인 방법에 비해 환자의 응낙도가 좋기는 하나,헬리코박터 파이로리감염 초기에는 항체 형성이 되지 않아서 위 음성으로 나올 수 있고, 제균 요법 이후에는 혈청의 항체 역가의 불안정으로 인해 위 양성이 나올 수도 있다. 또한, 치료 후 항체 역가가 떨어지기까지 6개월 이상이 걸려헬리코박터 파이로리제균치료 후 성공여부 확인을 위한 임상적용에는 다소 어려움이 있다.
이에 따라, 검사대상에게 불쾌감을 유발하지 않으면서도 민감도와 특이도가 우수하며, 신뢰성이 있는 진단방법으로 요소호흡 검사법에 대한 연구가 최근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예를 들어, 미국특허 제4,830,010호 (1989.5.16)에 기재된 방법은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헬리코박터 파이로리가 포유동물에는 없는 우레아제를 분비하여 주위의 요소를 가수 분해하여 이산화탄소와 암모니아를 생성함으로써 강산성 분위기에서 생존하는 특성을 이용하고 있다. 즉, 검사 대상에게 요소를 투여한 후 상기 요소의 가수분해 생성물인 암모니아 및 이산화탄소의 존재를 분석하는 방법이 제안되었다. 또한, 상기문헌에는 요소의 가수분해 생성물을 분석하기 위한 방법으로13C,14C,15N으로 표지된 요소를 사용하거나, 암모니아의 생성에 기인하는 pH 변화를 측정함으로써 검출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문헌에 기재된 방법은 표지된 요소를 투여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용액이 위장관의 조건을 변화시켜, 신뢰성 있는 결과를 얻기 어려우며, 또한 투여되는 표지된 요소의 양이 투여 대상 체중에 따라 달라져서 불편할 뿐만 아니라, 그 양 또한 과다하여, 투여 대상에게 독성이나 불리한 영향을 미칠 염려가 있었다.
한편,14C으로 표지된 요소의 경우, 베타 방사선 검출기 등의 기기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검출할 수 있는 반면, 그 방사능의 안전성 논란으로, 그 양이 비록 소량이라 하나 어린이나 임산부에게는 사용이 제한적이며 동일한 환자에게 반복 투여하는 것을 금하고 있다.
상기 문헌들에 기재된 방법의 문제점들에 대한 개선 방법으로서 유럽특허공개 제0881491 A1호에서는 위장관에 존재하는헬리코박터 파이로리의 생존조건과 유사한 조건, 즉 위장관내의 pH를 유지시키기 위하여,13C로 표지된 요소와 함께 구연산을 투여한 후, 이로부터 요소 유래의13CO2를 측정함으로써헬리코박터 파이로리의 존재 여부를 확인하는 방법이 제안되었다. 이 방법에서는 투여 대상의 체중에 상관없이 일정한 양, 즉 50내지 100mg의13C-표지된 요소를 투여하는 것으로 기재되어있다.
그러나, 상기 문헌들 및 선행기술에서 사용되고 있는 요소는 모두 99%이상의 고농축 요소를 사용하고 있어, 진단 키트에 이용될 시에는 그 제조 비용이 많이 들어, 진단비용이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고가의 진단비용으로 인해 요소호흡 진단방법의 정확성과 편리성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 제한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선행 기술들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헬리코박터 파이로리감염여부를 진단하기 위하여, 90% 이하의 저농축13C 표지된 요소 조성물을 사용하여헬리코박터 파이로리감염 여부를 진단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90%이하의 저농축13C으로 표지된 요소를 포함하는헬리코박터 파이로리감염 진단용 요소호흡 검사용 조성물이 제공된다.
일반적으로,13C-표지된 요소를헬리코박터 파이로리감염이 의심되는 대상에게 경구 투여하게 되면,헬리코박터 파이로리감염자의 경우헬리코박터 파이로리가 분비하는 우레아제에 의해 투여된 요소가 가수분해되어13CO2가 생성되고, 생성된13CO2는 호기를 통해 배출되게 된다. 이에 따라 호기 중의13CO2/12CO2비는 증가된다. 한편, 비감염자의 경우는 우레아제가 분비되지 않기 때문에, 경구 투여된 요소는 그대로 배설된다. 따라서, 요소호흡 검사법은 비침습적인 방법으로서 상기와 같이 호흡에 의하여 배출되는 CO213CO2/12CO2비를 측정함으로써헬리코박터 파이로리의 감염 여부를 판단한다.
일반적으로, 동위원소비는 동위원소비 질량분석기를 사용하여 측정할 수 있으며, 하기 수학식 1에 따라 계산하여 δ13CO2값으로서 퍼밀(%o) 단위를 사용하여 나타낸다.
δ13CO2= [(R시료-R대조)/R대조] ×1000
식 중, R시료는 시료의 이산화탄소 동위원소비이고, R대조는 기준 이산화탄소의 동위원소비를 나타낸다.
또한,헬리코박터 파이로리의 감염여부의 판단은 하기 수학식 2에 따라 계산한 값을 사용하여 판단한다.
초과 δ13CO2= δ13CO2 (요소투여후)- δ13CO2 (요소투여전)
일반적으로, δ13CO2 (요소투여후)는 요소투여 후 30분에서 측정한 값을 의미하며, δ13CO2 (요소투여전)은 투여 전의 값으로 0분으로 표시한다. 또한 판정기준치 (초과 δ13CO2치)는 초과 δ13CO2A (식중, A는헬리코박터 파이로리음성 대상자의 평균초과 δ13CO2치 + 3 ×표준편차)일 경우,헬리코박터 파이로리양성으로 판단한다 (European Journal of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1991, 3 : 915-921).
이러한 요소호흡 검사법에 있어서,헬리코박터 파이로리감염여부의 기준치는 대상환자의 연령과 상태, 시험시에 위장관 운동을 지연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실험 섭식의 종류와 양 등의 시험적 조건에 의한 요인과 측정장치 등 여러가지 요인에 의해 다소 변화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초과 δ13CO2치가 대략 2 내지 7 정도에서 선택되고 있다 (Eur J Gastroenterol Hepatol. 1991; 3: 915-21, Eur J Gastroenterol Hepatol 1998; 10: 7: 569-72, Eur J Gastroenterol Hepatol 1999; 11: 10: 1135-8, J pediatr Gastroenterol Nutr 1999; 29: 3 :297-301)
그러나, 상기 요소호흡 검사법에 있어서 문제점 중의 하나로 지적되고 있는 것은13CO2가 이미 자연계에 존재하고 있으며, 그 농도가 일정치 않다는 것이다.13CO2의 농도는 대략 자연계와 호기 중에 1.1%정도를 차지하고 있다. 하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이 양의 작은 변화에 따라 결과치에 큰 변화를 줄 수도 있다 (Gut. 1994; 35 : 723-725). 따라서, 종래에 사용되었던 요소호흡 진단용 조성물은 이러한 작은 변화를 줄이기 위하여, 고농축, 즉 99%이상의13C 으로 표지된 요소를 사용하여 왔다. 그러나, 고농축의13C으로 표지된 요소을 사용함에 따라 그 제조 비용 및 진단 비용이 상승하게 되어 그 사용이 제한되어 왔다.
그러나, 본 발명자들의 연구결과에 따르면, 고농축의13C 표지된 요소의 사용 여부가 유의성 있는 결과를 얻는데 있어서 결정적 요인이 아니었다. 즉, 99% 이상의 고농축 표지 요소대신에 저농축 표지 요소를 사용하여도 감염 여부를 판정하는 데는 아무런 문제가 없을 뿐만 아니라, 신뢰성 있는 민감도 및 특이도를 얻을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즉, 인체의 일반대사에 의해 얻어진12CO213CO2는 자연계와 거의 비슷하며 이를 각각 A 및 B로 하고, 99% 이상의 고농축된13C으로 표지된 요소의 가수분해에 의하여 생성되는13CO2를 D라고 하면, 표지된 요소의 투여 전 R(요소투여전)및 투여 후 R(요소투여후)의 호흡 내 CO2의 동위원소비는 각각 하기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R(요소투여전)= B/A
R(요소투여후)=(B+D)/A
이에 반하여, 가령 예를 들어 50%의 동위원소 순도를 갖는13C 으로 표지된 요소를 사용하고,13C의 절대량을 동일하게 사용한다면, R(요소투여전)및 R(요소투여후)는 각각 하기와 같이 표시 될 수 있다.
R(요소투여전)= B/A
R(요소투여후)= (B+D)/(A+D)
따라서, 100% 고농축된13C-요소를 사용하는 것과 저농축의13C-요소를 사용할 때 요소호흡 검사결과에 미치는 영향은 간단히 A:(A+D)로 요약 될 수 있으며, 자연계에 존재하는 CO2의 동위원소 조성은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12CO2:13CO2= 98.9 : 1.1로 알려져 있으므로, B≒0.011A의 관계를 갖는다.
한편,헬리코박터 파이로리감염 양성 반응을 보이는 환자의 경우 표지된 요소 복용 전후의 동위원소비의 차이(초과 δ13CO2)는 대개 수십 퍼밀에 불과하므로 D<0.1B라 가정할 수 있어 D<0.0011A의 관계가 성립한다. 이때헬리코박터 파이로리양성 환자의 경우 초과 δ13CO2치가 최대 100 퍼밀로 나타나더라도, D<0.0011A 이므로, A:(A+D)의 차이는 1퍼밀 내외라 할 수 있다. 한편,헬리코박터 파이로리음성 환자의 경우, 초과 δ13CO2치가 수 퍼밀 이내 이므로 A:(A+D)의 차이는 더욱더 줄어 들어 최종결과에는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시험조건에 따라 최적의 판정 기준치만 조정한다면,헬리코박터 파이로리양성과 음성을 판단하는 데는 아무런 지장을 받지 않게 된다.
이에 기존의 공지된 요소호흡 검사법의 원리에 따라헬리코박터 파이로리감염여부를 검정하는 진단방법에 있어서, 저농축의13CO2표지된 요소를 사용함으로써기존의 고농축 표지된 요소를 사용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민감도와 특이도가 동등하게 뛰어날 뿐만아니라, 고비용으로 인한 사용 제한이 없는 새로운 요소호흡 검사용 조성물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사용되는 저농축 표지 요소의 농도는 일반적으로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검사 대상의 연령과 상태, 실험 섭식의 종류와 양 및 측정 장치의 민감도와 함께 경제성을 고려하여 90% 이하의 범위에서 적절히 선택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90% , 더욱 바람직 하게는 25%에서 75%에서 선택된다.
본 발명에 따른헬리코박터 파이로리의 감염 진단용 조성물은 일반적인 경구용 제제로 제형화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활성성분으로서 저농축13CO2표지된 요소를 만니톨, 솔비톨, 유당 등과 같은 부형제; 구연산, 구연산나트륨 등과 같은 pH 조정제; 나트륨 사이클라메이트, 아스파탐, 스테비오사이드 등과 같은 감미료; 및 향료 등과 혼합하여 산제 형태로 제형화하거나, 미결정 셀룰로오스, 유당 등과 같은 부형제,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포비돈 등의 결합제 및 스테아린산 마그네슘과 같은 활택제와 혼합하여 정제형태로 성형할 수 있다. 또한, 저농축13CO2표지된 요소를 제약상 허용되는 부형제 및 결합제와 함께 혼합한 후 이를 당분야에 공지된 캡슐에 충진한 캡술제 형태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저농축13C-표지된 요소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사용하는 경우 판정 기준치는 대상 환자의 연령과 상태, 감염 정도, 실험 섭식의 종류와 양 및 측정 장치의 민감도에 따라 달라 질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진단 방법의 특이도 및 민감도 모두를 고려할 때 2.0 내지 6.5에서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의 실시예를 통하여 더욱 자세하게 설명하나, 본 발명은 여기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먼저, 하기 설명되는 생검에 바탕을 둔 침습적인 2가지 방법(조직학적 검사와 RUT)을 수행하여 이를헬리코박터 파이로리의 감염에 대한 기준으로 삼았다.
조직학적 검사
내시경을 통하여 위 유문 부분에서 2군데, 몸체 부분에서 2군데 총 4군데의 위 점막의 일부를 생검 시료로 채취한다. 생검체를 포르말린 처리한 후, 시드니 시스템 (Sydney system; Miniewicz et al. 1990., Stote et al. 1991)에 따라헬리코박터 파이로리에 의한 콜로니 형성을 조사하였다. 유문부와 몸체부에서 적어도 1곳에서헬리코박터 파이로리가 검출된 경우,헬리코박터 파이로리양성으로 판단한다.
신속 우레아제 검사법 (Rapid Urease Test)
별도의 생검 시료로 우레아제에 대한 실험을 수행한다. 이 실험 방법은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으며, 규격화되어 있고,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하다. RUT의 결과에서 배지의 색깔이 적색으로 변하는 경우, RUT 양성이라 한다.헬리코박터 파이로리에 감염된 75%정도의 환자에서는 20분 안에 양성반응이 나타난다. 만일 음성 결과가 나오면 재관찰을 2시간에서 24시간까지 수행한다. 이는 적은 수의 균은 종종 반응을 지연시키기 때문이며, 24시간 후의 결과는 때때로 위 양성결과를 초래함으로 배제한다.
<실시예>
대상
최근헬리코박터 파이로리감염에 대한 치료를 받지않은 자로서 18세 내지 75세 연령의 남녀 55명을 대상으로 삼았다. 실험에 참가한 환자는 그들의 상부 소화기 질환, 특히 위장관 질환 예를 들어 궤양, 오심, 구토, 역류성 식도염 등에 대한 병력에 대해 설문을 작성하도록 하였다.
실험 방법
먼저, 상기 설명한 일반적인 생검법에 의한 조직학적 검사 및 신속 우레아제 검사법 (Rapid Urease Test)를 수행하여,헬리코박터 파이로리감염의 양성 및 음성 대상자를 확인하였다.
상기 생검에 의해 평가된헬리코박터 파이로리양성과헬리코박터 파이로리음성 두 환자 군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요소호흡시험법의 민감도 및 특이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아래와 같은 4가지 유형의13C-표지된 요소를 사용하여 요소호흡 검사법을 실시하였다. 이 실험은 모든 실험이 끝나기 전에 환자가 알 수 없도록 맹검법에 의해 실시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99%13C-요소는 미국의 마스 트레이사로부터 구입하였으며, 저농축13C-요소는 러시아의 인스터튜트 오브 몰레큘라 피직스 (Institute of Molecular Physics)로 부터 공급받았다.
'A' : 75 mg13C-요소 (99%)
'B' : 100 mg13C-요소 (75%)
'C' : 150 mg13C-요소 (50%)
'D' : 300 mg13C-요소 (25%)
상기 유형 'A', 'B', 'C' 및 'D'의13C-표지된 요소에 의한 요소호흡 검사는 일정한 순서없이 각각 다른 날에 실시하였고, 실험 섭식으로는 구연산을 사용하였으며, 적당량의 물에 용해시켜, 액제 형태로 경구 투여하였다. 구체적인 실험 절차는 다음과 같다.
1) 환자는 반드시 시험 전 6시간 이상을 금식 하도록 하였다.
2) 4 g의 구연산을 200 ml의 물에 용해시켜 복용토록 하였다.
3) 먼저 환자는 구연산 용액 150 ml을 위 내 배출 시간을 지연시키기 위하여 복용토록 하였다.
4) 5분 후에 투약 전 호기 샘플을 2회에 걸쳐 포집하였고, 이를 0분의 샘플로 하였다.
5) 남은 50 ml의 구연산에 적당량의13C으로 표지된 요소를 용해시켜 복용토록 하였다.
6) 요소를 복용 후 30분 후에 호기 샘플을 2회에 걸쳐 포집하였고, 이를 30분의 샘플로 하였다.
7) 상기 샘플을12/13CO2분석기인 'HeliView' (등록상표, 대한민국 메디켐스)로 분석하였다.
8) 초과 δ13CO2가 3.5 이상일 때를헬리코박터 파이로리감염 양성으로 판정하였다 (Leodolter A. et al. 1999 in Aliment Pharmacol Ther 1999; 13: 1057-1062).
결과
상기 생검법, 및 본 발명에 의해 조성된 시약을 사용한 요소호흡 검사법을 사용하여 얻은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저농축 요소를 사용한 요소호흡 검사 결과
번호 25% 저농축 UBT (D) 50% 저농축 UBT (C) 75% 저농축 UBT (B) 99% 고농축 UBT (A) RUT-검사 조직검사
1 양성 양성 양성 양성 + +
2 양성 양성 양성 양성 + ++
3 양성 양성 양성 양성 + ++
4 양성 양성 양성 양성 + ++
5 양성 양성 양성 양성 + +
6 양성 양성 양성 양성 + +
7 양성 양성 양성 양성 + +
8 양성 양성 양성 양성 + ++
9 양성 양성 양성 양성 + +
10 양성 양성 양성 양성 + 0
11 양성 양성 양성 양성 + +
12 양성 양성 양성 양성 + +
13 양성 양성 양성 양성 + ++
14 양성 양성 양성 양성 + 0
15 양성 양성 양성 양성 + +
16 양성 양성 양성 양성 + +
17 양성 양성 양성 양성 + ++
18 양성 양성 양성 양성 + +
19 양성 양성 양성 양성 + ++
20 양성 양성 양성 양성 + +
21 양성 양성 양성 양성 + +
22 양성 양성 양성 양성 + ++
23 양성 양성 양성 양성 + +
24 양성 양성 양성 양성 + +
25 양성 양성 양성 양성 + ++
26 양성 양성 양성 양성 + 0
27 양성 양성 양성 양성 + +++
28 양성 양성 양성 양성 + 0
29 양성 양성 양성 양성 + ++
30 양성 양성 양성 양성 + ++
31 양성 양성 양성 양성 + ++
32 양성 양성 양성 양성 + ++
33 양성 양성 양성 양성 + +++
34 양성 양성 양성 양성 + +
35 양성 양성 양성 양성 + +
36 양성 양성 양성 양성 + +
37 양성 양성 양성 양성 + ++
38 양성 양성 양성 양성 + +
번호 25% 저농축 UBT 50% 저농축 UBT 75% 저농축 UBT 99% 고농축 UBT RUT-검사 조직검사
39 양성 양성 양성 양성 + ++
40 양성 양성 양성 양성 + +
41 양성 양성 양성 양성 + ++
42 양성 양성 양성 양성 + +++
43 양성 양성 양성 양성 + +
44 양성 양성 양성 양성 + ++
45 양성 양성 양성 양성 + ++
46 양성 양성 양성 양성 + +
47 양성 양성 양성 양성 + +
48 음성 음성 음성 음성 0 0
49 음성 음성 음성 음성 0 0
50 음성 음성 음성 음성 0 0
51 음성 음성 음성 음성 0 0
52 음성 음성 음성 음성 0 0
53 음성 음성 음성 음성 - 0
54 음성 음성 음성 음성 - 0
55 음성 음성 음성 음성 - 0
RUT-검사: 신속 우레아제 검사-: 판정 불가0: 검출되지 않음
상기 표 1에서 알 수 있는 것처럼, 일반적인 생검법 (RUT 검사 및 조직검사)에 의하면, 대상자 중에서헬리코박터 파이로리에 감염된 사람은 총 대상자 55명 중 47명 (85.5%) 이었다. 이들을 대상으로 요소호흡 검사를 수행한 결과헬리코박터 파이로리양성인 대상자는 각각의 4가지의 요소호흡 검사에 있어서 모두 양성을 나타내었다 (각각의 민감도 100%). 또한, 모든 경우의 저농축의 요소호흡 검사 결과를 종전의 고농축 요소호흡 검사법 (99%13C-표지된 요소 사용) 결과와 비교하였을 때 개별 대상자의 초과 δ13CO2의 수치가 약간 다를 뿐헬리코박터 파이로리양성과 음성 결과는 완전히 일치하였다. 한편,헬리코박터 파이로리음성인 대상자 8명을 대상으로 요소호흡 검사를 실시하였을 때도 모든 경우의 요소호흡 검사법의 결과에서 음성으로 판명되었으며 (특이도 100%), 따라서 저농축의 요소호흡 검사결과는 고농축13C-표지된 요소를 사용한 경우와 완전히 일치하였다.
한편,헬리코박터 파이로리양성 기준 초과 δ13CO2를 3.5에서 2.5내지 4.0으로 조정하였을 때도 민감도와 특이도는 각각 100%로 나타났다.
본 발명에 따라 저농축의13C로 표지된 요소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사용하여헬리코박터 파이로리의 감염여부를 진단할 수 있어, 민감도와 특이도가 높고 경제성이 뛰어난 요소호흡 검사법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그 편리성과 뛰어난 신뢰성에도 불구하고 고비용이라는 경제적인 요인에 따라 그 사용이 제한적이었던 종래의 요소호흡 검사법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Claims (7)

  1. 유효성분으로 90 % 이하의 저농축13C-표지된 요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헬리코박터 파이로리의 감염 진단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10 내지 90%의13C-표지된 요소를 포함하는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25 내지 75%의13C-표지된 요소를 포함하는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감염 진단 기준치가 2.0 내지 6.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경구 투여용인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정제, 산제 또는 캡슐제 형태의 조성물.
  7. 제1항의 조성물 및 호기 포집용 수용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헬리코박터 파이로리감염 진단용 키트.
KR1020000029478A 2000-05-31 2000-05-31 요소호흡 검사용의 저농축 13c 표지된 요소 조성물 KR1003158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9478A KR100315895B1 (ko) 2000-05-31 2000-05-31 요소호흡 검사용의 저농축 13c 표지된 요소 조성물
AU2001260776A AU2001260776A1 (en) 2000-05-31 2001-05-31 Low-enriched 13c-labelled urea composition for urea breath test
PCT/KR2001/000919 WO2001092889A1 (en) 2000-05-31 2001-05-31 Low-enriched 13c-labelled urea composition for urea breath tes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9478A KR100315895B1 (ko) 2000-05-31 2000-05-31 요소호흡 검사용의 저농축 13c 표지된 요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4675A KR20010064675A (ko) 2001-07-11
KR100315895B1 true KR100315895B1 (ko) 2001-12-12

Family

ID=196708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9478A KR100315895B1 (ko) 2000-05-31 2000-05-31 요소호흡 검사용의 저농축 13c 표지된 요소 조성물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0315895B1 (ko)
AU (1) AU2001260776A1 (ko)
WO (1) WO200109288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458725B (zh) * 2014-12-08 2017-05-10 本溪泰斯特捷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幽门螺旋杆菌尿素酶检测试剂盒及其制备方法
CN114807298B (zh) * 2022-05-31 2022-10-25 浙江省立同德医院(浙江省精神卫生研究院) 一种幽门螺杆菌检测试剂盒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33997A (en) * 1991-04-04 1993-08-10 Baylor College Of Medicine Non-invasive measure of intestinal transit time and uses thereof
ES2120903B1 (es) * 1996-11-12 1999-05-16 Isomed S L Metodo y kit para la deteccion de helicobacter pylori.
US6067989A (en) * 1997-02-26 2000-05-30 Oridion Medical, Ltd. Breath test for the diagnosis of Helicobacter pylori infection in the gastrointestinal trac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01260776A1 (en) 2001-12-11
WO2001092889A1 (en) 2001-12-06
KR20010064675A (ko) 2001-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zesnikiewicz-Guzik et al. Helicobacter pylori in the oral cavity and its implications for gastric infection, periodontal health, immunology and dyspepsia
Rowland et al. Carbon 13–labeled urea breath test for the diagnosis of Helicobacter pylori infection in children
Logan Urea breath tests in the management of Helicobacter pylori infection
Gorbach et al. Tropical sprue and malnutrition in West Bengal: I. Intestinal microflora and absorption
Marshall et al. Carbon-14 urea breath test for the diagnosis of Campylobacter pylori associated gastritis
Graham et al. Citric acid as the test meal for the 13C-urea breath test
Muscroft et al. The microflora of the postoperative stomach
den Hoed et al. Helicobacter pylori infection
Yilmaz et al. Paediatric halitosis and Helicobacter pylori infection
Graham et al. Simplified 13C-Urea Breath Test for Detection ofHelicobacter PyloriInfection
Bazzoli et al. Urea breath tests for the detection of Helicobacter pylori infection
Ohara et al. Comparison between a new 13 C-urea breath test, using a film-coated tablet, and the conventional 13 C-urea breath test for the detection of Helicobacter pylori infection
US20080146956A1 (en) Method based on a breath test for the detection of pathogen microorganisms
Yang et al. Diagnostic accuracy of the 13C‐urea breath test in children: Adjustment of the cut‐off value according to age
Shimoyama et al. Applicability of a monoclonal antibody-based stool antigen test to evaluate the results of Helicobacter pylori eradication therapy
KR100315895B1 (ko) 요소호흡 검사용의 저농축 13c 표지된 요소 조성물
Gross et al. Drug resistance in Shigella dysenteriae, S flexneri and S boydii in England and Wales: increasing incidence of resistance to trimethoprim.
BG63036B1 (bg) Фармацевтичен препарат за диагностициране на уреазна активност в стомашния тракт
KR100774014B1 (ko) 헬리코박터 파이로리 감염의 진단용 제제
EP1019726B1 (en) Prevention of sudden infant death
VOORT et al. Detection of Helicobacter pylori in mechanically ventilated patients: the LARA-13C-Urea breath test and serology
YAMASHIRO et al. Helicobacter pylori colonization in children with peptic ulcer disease iii. Diagnostic value of the 13C‐urea breath test to detect gastric h. Pylori colonization
JP2768559B2 (ja) ヘリコバクテル・ピロリ(Helicobacter Pylori)の検出のための診断用調剤
D'Elios et al. Usefulness of 13C-urea breath test in the diagnosis of gastric Helicobacter pylori infection
Urita et al. Endoscopic 13C‐urea breath tes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514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