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15548B1 - 휴대용 복합통신단말기에서의 전력절감방법 - Google Patents

휴대용 복합통신단말기에서의 전력절감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15548B1
KR100315548B1 KR1019990053960A KR19990053960A KR100315548B1 KR 100315548 B1 KR100315548 B1 KR 100315548B1 KR 1019990053960 A KR1019990053960 A KR 1019990053960A KR 19990053960 A KR19990053960 A KR 19990053960A KR 100315548 B1 KR100315548 B1 KR 1003155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image
screen
function
tempor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539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49042A (ko
Inventor
김정대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900539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15548B1/ko
Publication of KR200100490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490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55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554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6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 H04W52/0267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by controlling user interface compon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41Systems for two-way working between two video terminals, e.g. videophone
    • H04N7/147Communication arrangements, e.g. identifying the communication as a video-communication, intermediate storage of the signa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2Details of power systems and of start or stop of display operation
    • G09G2330/021Power management, e.g. power sa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50Telephonic communication in combination with video commun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ultimedia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성 및 데이터 통신기능과 화상처리기능을 가지며, 상기 음성 및 데이터 통신 기능에 따른 제1화상 데이터 디스플레이 및 상기 화상처리 기능에 따른 제2화상 데이터 디스플레이 제어를 수행하는 디스플레이장치를 구비하며, 상기 디스플레이장치가 상기 제2화상 데이터를 온스크린 디스플레이 하는 온스크린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제1화상 및 제2화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하는 화상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고 있는 휴대용 복합 통신단말기에서의 전력절감방법에 있어서, 상기 기능 수행중 중단이 되면 상기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부의 임시 화상 메모리로의 배터리 전원 공급을 유지시키고 상기 임시 화상 메모리를 제외한 디스플레이장치의 각부에 공급되는 상기 배터리 전원을 차단하는 과정과, 사용자가 상기 기능을 수행 시도를 하면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상기 배터리 전원을 다시 공급하며, 상기 임시 화상 메모리에 저장된 화면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상 디스플레이부로 디스플레이 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휴대용 복합통신단말기에서의 전력절감방법{POWER SAVING METHOD OF PORTABLE COMPOSITE COMMUNICATION TERMINAL}
본 발명은 휴대용 복합통신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용 복합통신단말기에서 전력절감을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휴대 통신 단말기의 성능 향상으로 단지 음성만을 전달한다는 기존 개념에서 탈피하여 데이터 통신, 화상 통신 등의 서비스에 많은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 맞추어 휴대통신단말기에 텔레비젼 기능을 내장시킨 휴대용 복합통신단말기 및 휴대통신단말기에 카메라 기능을 내장시킨 휴대용 복합통신단말기 등이 개발되고 있다. 휴대통신단말기에 텔레비젼 기능이 내장된 휴대용 복합통신단말기의 일 예는 발명자 강양묵에 의해서 발명되고 본원 출원인에게 양도되어 1998년 12월 19일자로 특허 출원된 제56487호(발명의 명칭: 텔레비전과 휴대폰이 일체화된 텔레비전 휴대폰 및 그 제어방법)에 상세히 개시되어 있으며, 휴대통신단말기에 카메라 기능이 내장된 휴대용 복합통신단말기의 일 예는 발명자 김재민에 의해서 발명되고 본원 출원인에게 양도되어 1999년 3월 31일자로 특허 출원된 제11179호(발명의 명칭: 음성 및 화상 송수신을 위한 휴대용 복합통신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과 통신시스템)에 상세히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화상 통신의 서비스를 위해서는 LCD도 기존의 문자형 흑백 LCD를 탈피하여 칼라 그래픽 LCD를 사용을 고려하게 되었다. 이러한 칼라 그래픽 LCD를 사용한 일 예도 상기 특허 출원 제1998-56487호 및 제1999-11179호에 개시되어 있는데, 특히 제1999-11179호에는 보다 상세히 개시되어 있다.
칼라 그래픽 LCD를 사용한 휴대용 복합통신단말기를 이용해서 텔레비젼을 시청하거나 카메라 촬영을 하게되면 칼라그래픽 LCD 사용에 따른 전력소모가 상대적으로 많으므로 휴대용 배터리를 주 전원으로 사용하는 휴대용 복합통신단말기에는 전력소모를 줄이기 위한 방법이 요망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용 복합통신단말기에서 전력절감을 위한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휴대용 복합통신 단말기에서 디스플레이장치 및 OSD관련 회로 부분까지도 전원공급을 차단하여 배터리 전력을 효과적으로 절감하면서도 사용자가 원할 때 LCD상에 사용자가 원하는 화면을 바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에 따라, 본 발명은, 음성 및 데이터 통신기능과 화상처리기능을 가지며, 상기 음성 및 데이터 통신 기능에 따른 제1화상 데이터 디스플레이 및 상기 화상처리 기능에 따른 제2화상 데이터 디스플레이 제어를 수행하는 디스플레이장치를 구비하며, 상기 디스플레이장치가 상기 제2화상 데이터를 온스크린 디스플레이 하는 온스크린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제1화상 및 제2화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하는 화상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고 있는 휴대용 복합 통신단말기에서의 전력절감방법에 있어서, 상기 기능 수행중 중단이 되면 상기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부의 임시 화상 메모리로의 배터리 전원 공급을 유지시키고 상기 임시 화상 메모리를 제외한 디스플레이장치의 각부에 공급되는 상기 배터리 전원을 차단하는 과정과, 사용자가 상기 기능을 수행 시도를 하면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상기 배터리 전원을 다시 공급하며, 상기 임시 화상 메모리에 저장된 화면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상 디스플레이부로 디스플레이 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칼라그래픽 표시장치를 구비하고 있는 휴대용 복합통신단말기의 개략 블록 구성도,
도 2는 도 1의 OSD 및 칼라그래픽 표시장치에 관련된 구체 블록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복합통신단말기에서의 전력절감 제어 흐름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복합통신단말기의 개략 블록 구성을 보여주고 있다. 도 1a는 텔레비젼 기능이 내장된 휴대용 복합통신단말기이고, 도 1b는 카메라기능이 내장된 휴대용 복합통신단말기이다.
도 1a에 도시된 텔레비젼 기능 내장 휴대용 복합통신단말기는 TV수신부(2), 휴대폰부(4), OSD(6), 멀티플랙서(8) 및 칼라 그래픽 액정표시장치(10)를 포함하고 있다. TV수신부(2)는 텔레비젼 기능을 수행하고, 휴대폰부(4)는 음성 통화 및 데이터 통신 기능을 수행하며, OSD(On Screen Display)장치(6)는 LCD(Liquid Crystal Display)상에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를 시켜주는 제어를 수행한다. 멀티플랙서(8)는 TV수신부(2)의 출력선(12) 및 OSD장치(6)의 출력선(14)에 입력단 A,B가 연결되며, TV수신부(2) 및 OSD장치(6)로부터 수신되는 화상(화상 및/또는 문자) 데이터들을 휴대폰부(4)의 제어장치의 제어에 의거하여 선택적으로 출력한다. 칼라 그래픽 액정표시장치(color graphic Liquid Crystal Display)(10)는 멀티플랙서(8)에서 출력되는 화상데이터를 칼라 LCD상에 디스플레이 하도록 제어한다.
도 1b에 도시된 카메라기능 내장 휴대용 복합통신단말기는 카메라부(16), 휴대폰부(4), OSD(6), 멀티플랙서(8) 및 칼라 그래픽 액정표시장치(10)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카메라부(16)는 피사체의 이미지를 캡쳐(capture)하는 카메라의 기능을 수행한다. 도 1b의 나머지 구성요소의 기능은 도 1a에 대응된 구성요소와 동일 내지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므로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도 1a에서의 TV수신부(2) 및 휴대폰부(4)에 대한 구체 구성 및 동작은 특허 출원 제1998-56487호에 상세히 개시되어 있으며, 상기 도 1b에서의 카메라부(16) 및 휴대폰부(4)에 대한 구체 구성 및 동작은 특허 출원 제1999-11179호에 상세히 개시되어 있다.
도 2는 도 1의 OSD장치(6) 및 칼라그래픽 액정표시장치(10)에 관련된 구체 블록 구성도로서, OSD장치(6)는 MPU(Main Processing Unit)(20), OSD신호처리부(24), 롬(22), 및 비디오 램(video memory)(26)을 포함하고 있으며, 칼라 그래픽 액정표시장치(10)는 칼라그래픽 LCD(30)와 상기 칼라 그래픽 LCD(30)을 구동하기 위한 칼라그래픽 LCD구동부(28)를 포함하고 있다.
OSD장치(6)에서, MPU(2O)는 OSD장치(6)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OSD신호처리부(24)는 도 1a의 TV수신부(2) 또는 도 1b의 카메라부(16)에서 제공되는 외부 색동기신호에 동기 되어서 칼라 그래픽 LCD(30)상에 현재 디스플레이 되는 화상(동화상 또는 정지화상)의 특정 영역에 원하는 글자를 디스플레이 시켜 주거나, 내부에서 생성한 내부 색동기신호에 동기되어서 상기 칼라 그래픽 LCD(48)상에 문자만을 디스플레이 시켜 주거나 PC(Personal Computer)로부터 다운 로드 받은 배경화면을 디스플레이 시켜준다. 롬(22)은 플래쉬 메모리로 구현될 수 있으며, MPU(20)의 동작 프로그램, 폰트(font)들 및 아이콘들이 맵핑되어 있다. 비디오 램(26)은 임시 화상 메모리로의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비디오 램(26)은 스테틱 램(static RAM)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휴대폰부 제어장치의 제어에 따라 디스플레이할 문자정보 및 카메라부(16) 또는 TV수신부(2)에서 캡쳐된 한 화면분량의 정지화상데이터를 복수개 저장할 수 있다. 또한 PC로부터 다운로드 받은 배경화면 화상데이터도 복수개 저장할 수 있다.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휴대용 복합통신단말기에서 전력 소모를 줄이기 위한 일 예는 하기와 같다. 폴더형이고 텔레비젼 기능이 내장되어 있는 도 1a의 휴대용 복합통신단말기의 사용자가 텔레비젼 시청을 하지 않거나 음성통화 기능을 수행하지 않을 때 경우에는 폴더 하우징을 접게 된다. 이럴 경우 통상의 전력 절감 제어는 칼라그래픽 LCD(30) 및 칼라그래픽 LCD 구동부(28)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시키는 기술이 있다. 하지만 이러한 기술에서도 휴대용 복합통신단말기에 내장된 OSD(On Screen Display)장치(6)에 관련된 회로 예컨대, 도 2의 OSD신호처리부(24), MPU(20), 롬(ROM)(22), 비디오 램(video RAM)(26) 등은 그대로 배터리 전원(power)이 계속 공급되어야 한다. 그 이유는 하기와 같다. 사용자가 폴더 하우징을 접을 때 OSD장치(6)에 관련된 회로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게 되면 그 이후 사용자가 폴더 하우징을 펼 때 OSD장치(6)를 초기화하고 LCD(30)상에 디스플레이할 초기화면을 구성하는데 시간이 많이 소모된다는 것이다. 따라서 기존 폴더형 휴대 단말기에서는 통상 휴대 단말기의 폴더 하우징을 접을 경우에는 LCD(30) 및 LCD구동부(28)에 공급되는 전원만 차단시킨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일 예의 경우 및 그 이외에도 OSD관련 회로 부분까지도 전원공급을 차단하면서도 사용자가 원할 때 LCD상에 사용자가 원하는 화면을 바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복합통신단말기에서의 전력절감 제어 동작은 도 3과 같이 이루어진다.
도 1a 및 도 1b와 같은 휴대용 복합통신단말기의 전력 절감에 대한 주 제어는 휴대폰부(4)의 제어장치에서 수행된다. 휴대용 복합통신단말기는 휴대폰부(4)의 기능 즉, 음성 및 데이터 통신기능과, TV수신부(2) 또는 카메라부(16)의 기능 즉, 화상처리기능을 가지고 있다. 사용자는 TV수신부(2) 또는 카메라부(16)의 화상처리기능중 자신이 원하는 화상을 캡쳐하여 도 2의 OSD장치(6)의 비디오 램(26)에 사용자 구성화면 데이터로서 저장해 놓을 수 있다. 사용자 구성화면은 칼라 그래픽화면 으로만 또는 텍스트 화면으로만 구성될 수 있으며, 칼라 그래픽 화면 및 필요한 텍스트(text)가 합성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 구성 화면 데이터의 제어는 휴대폰부 제어장치에 의해서 수행된다. 상기 사용자 구성 화면은 사용자의 음성 및 데이터 기능 수행 시도 및 사용자의 화상처리 기능 수행 시도시에 사용될 수 있다.
지금 도 1a,b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복합통신단말기의 전력 절감 제어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
휴대용 복합통신단말기의 휴대폰부 제어장치는 도 3의 100단계에서 폴더 접힘(폴더형일 경우) 또는 키입력(파워 온 키도 포함)후 일정 기간 경과해도 키가 미입력(플립형일 경우)되었는가를 판단한다. 상기 휴대용 복합 통신단말기가 폴더형일 경우에는 폴더 하우징 접힘을 판단하는 것이고, 상기 휴대용 복합 통신단말기가 플립형일 경우에는 키입력 후 일정 기간 경과해도 더 이상의 키가 입력되지 않았는지를 판단하는 것이다. 상기 일정 기간은 8초 내지 20초 정도가 바람직하다. 하지만 상기 일정 기간은 임의로 정해질 수 있다.
이렇게 플립형과 폴더형을 나누는 이유는 플립형인 경우에는 플립을 닫았을 경우에도 항상 LCD상에 텍스트 정보를 디스플레이해 주어야 하므로 칼라그래픽 LCD(30) 및 칼라그래픽 LCD 구동부(28)에 전원을 공급해 주어야 하지만, 폴더형인 경우에는 폴더 하우징을 접었을 경우에는 LCD상에 텍스트 정보를 디스플레이해 주지 않아도 되므로 칼라그래픽 LCD(30) 및 칼라그래픽 LCD 구동부(28)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사용자가 플립형 휴대용 복합통신단말기에 일정 기간동안 키를 입력하지 않으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슬립모드로 진입을 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플립형 휴대용 복합통신단말기가 슬립모드에 있는 것과 파워 오프상태인 것을 구별해 줄 필요가 있는데 이를 위해서는 슬립모드 기간중에는 슬립모드를 표시해주도록 하는 LED(Light Emission Diode)를 상기 플립형 휴대용 복합통신단말기에 구비시키는 것도 바람직하다. 상기 LED는 기존에 단말기에 구비되어 있는 LED를 사용할 수도 있다.
도 3의 100단계에서 폴더 접힘(폴더형일 경우) 또는 일정 기간 키 미입력(플립형일 경우)이 되면 휴대폰부 제어장치는 102단계의 슬립모드로 진입한다. 그에 따라 104단계에서는 슬립모드 진입을 알리는 플래그를 OSD장치(6)의 OSD신호처리부(24)로 전달하여 세트되게 한다. 상기 플래그를 세트시키는 이유는 이후 OSD장치(24) 동작시 이전 상태가 슬립모드이었음을 인식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후 106단계에서는 OSD장치(6)의 비디오 램(26)에 칩선택신호 /CS를 디스에이블 시킨다. 이는 비디오 램(26)에 임시 저장된 화상정보 또는 문자 정보가 소거 내지 망실되는 것을 방지하여 온전히 보존하기 위함이다. 그후 108단계에서 휴대폰부제어장치는 전원 제어신호 PWR를 인가하여 비디오 램(26)에만 배터리 전원이 계속 공급되게 제어하고, OSD장치(6)의 나머지 회로 즉, MPU(20), 롬(22), OSD신호처리부(24)와 칼라그래픽 액정표시장치(10) 즉, 칼라그래픽 LCD 구동부(28) 및 칼라그래픽 LCD(30)에 인가되는 배터리 전원을 차단시킨다. 이러한 전력제어는 액정표시장치(10) 뿐만 아니라 OSD장치(6)의 거의 모든 회로에 공급되는 전원을 오프해 주므로 배터리 전력 절감의 효과가 매우 크다.
한편 사용자가 휴대용 복합통신단말기의 폴더 하우징을 열거나(폴더형일 경우) 또는 단말기에 구비된 임의의 키를 입력하게 되면(플립형일 경우) 110단계에서 이를 판단하고, 112단계로 진행하다. 112단계에서 휴대폰부 제어장치는 배터리 전원 공급이 차단된 OSD장치(6)의 각부 즉, MPU(20), 롬(22), OSD신호처리부(24)와 칼라그래픽 액정표시장치(10) 즉, 칼라그래픽 LCD 구동부(28) 및 칼라그래픽 LCD(30)에 다시 배터리 전원이 공급되게 제어한다. 그후 114단계에서는 디스에이블 되었던 비디오 램(26)의 칩선택신호 /CS를 인에이블 시킨다.
OSD장치(6)는 배터리 전원이 다시 공급되면 도 3의 116단계에서 OSD신호처리부(24)에 플래그가 세트되어 있는가를 판단한다. 만약 플래그가 세트되어 있으면 이전모드가 슬립모드임을 인식하고 118단계로 진행하여 비디오 램(26)에서 이전화면 또는 사용자 구성화면 데이터를 바로 읽어 칼라그래픽 액정표시장치(10)내 칼라그래픽 LCD(30)상에 디스플레이 한다. 휴대용 복합통신단말기가 음성통화 및 데이터 통신을 수행중이었다가 슬립모드로 진입하였다면 상기 이전화면이 디스플레이되며, 휴대용 복합통신단말기가 화상처리 기능 수행 중이었다가 슬립모드로 진입하였다면 미리 저장되어 있었던 상기 사용자 구성화면이 디스플레이 된다.
도 3의 116단계에서 OSD신호처리부(24)에 플래그가 세트되어 있지 않으면 OSD장치(6)는 기존의 방법과 같이 120단계에서 OSD를 초기화하고 122단계에서는 최기화 화면을 구성하여 칼라그래픽 LCD(30)상에 디스플레이한다. 초기화면을 구성하는 것은 OSD신호 처리부(24)가 롬(22)상에 있는 폰트 등의 정보를 읽어 비디오 램(26)상에서 초기화면을 구성한 다음 칼라 그래픽 LCD(30)상에 디스플레이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칼라그래픽 액정표시장치를 사용하는 휴대용 복합통신단말기를 일 예로 들어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으나, 어떠한 디스플레이장치를 사용하는 휴대용 복합통신단말기에도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수정 및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특허청구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 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장치 및 OSD관련 회로 부분까지도 전원공급을 차단하여 배터리 전력을 효과적으로 절감하면서도 사용자가 원할 때 LCD상에 사용자가 원하는 화면을 바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게 된다.

Claims (13)

  1. 음성 및 데이터 통신기능과 화상처리기능을 가지며, 상기 음성 및 데이터 통신 기능에 따른 제1화상 데이터 디스플레이 및 상기 화상처리 기능에 따른 제2화상 데이터 디스플레이 제어를 수행하는 디스플레이장치를 구비하며, 상기 디스플레이장치가 상기 제2화상 데이터를 온스크린 디스플레이 하는 온스크린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제1화상 및 제2화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하는 화상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고 있는 휴대용 복합 통신단말기에서의 전력절감방법에 있어서,
    상기 기능 수행중 중단이 되면 상기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부의 임시 화상 메모리로의 배터리 전원 공급을 유지시키고 상기 임시 화상 메모리를 제외한 디스플레이장치의 각부에 공급되는 상기 배터리 전원을 차단하는 과정과,
    사용자가 상기 기능을 수행 시도를 하면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상기 배터리 전원을 다시 공급하며, 상기 임시 화상 메모리에 저장된 화면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상 디스플레이부로 디스플레이 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임시 화상 메모리에 저장된 화면정보는 상기 기능 수행 중단 직전의 화면정보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임시 화상 메모리에 저장된 화면정보는 상기 기능 수행중에 사용자에 의해 구성되어 저장된 사용자 구성화면 정보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임시 화상 저장메모리는 비디오 램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임시 화상 메모리를 제외한 디스플레이장치의 각부에 공급되는 상기 배터리 전원을 차단하기 전에 상기 임시 화상 메모리에 인가되는 칩인에이블신호를 디스에이블시키는 과정을 더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임시 화상 메모리를 제외한 디스플레이장치의 각부에 공급되는 상기 배터리 전원을 차단하기 전에, 슬립모드 진입을 알리는 플래그를 상기 온스크린 디스플레이부에 설정하고 상기 임시 화상 메모리에 인가되는 칩인에이블신호를 디스에이블시키는 과정을 더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상기 배터리 전원을 다시 공급한 후에 상기 임시 화상 메모리에 인가되는 칩인에이블신호를 인에이블시키는 과정을 더 가지는 과정을 더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온스크린 디스플레이부는 온스크린 디스플레이 제어부와 롬과 온스크린 디스플레이 신호처리부와 비디오 램을 포함하며, 상기 화상 디스플레이부는 액정표시부와 액정표시부 구동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 표시부는 칼라그래픽 액정표시부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 수행중 중단은 사용자에 의해서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 수행중 중단은 키입력 없이 일정 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음성 및 데이터 통신기능과 화상처리기능을 가지며, 상기 음성 및 데이터 통신 기능에 따른 제1화상 데이터 디스플레이 및 상기 화상처리 기능에 따른 제2화상 데이터 디스플레이 제어를 수행하는 디스플레이장치를 구비하며, 상기 디스플레이장치가 상기 제2화상 데이터를 온스크린 디스플레이 하는 온스크린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제1화상 및 제2화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화상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고 있는 폴더형 휴대용 복합 통신단말기에서의 전력절감방법에 있어서,
    상기 기능 수행중 사용자가 폴더 하우징을 접으면 상기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부의 임시 화상 메모리로의 배터리 전원 공급을 유지시키고 상기 임시 화상 메모리를 제외한 디스플레이장치의 각부에 공급되는 상기 배터리 전원을 차단하는 과정과,
    사용자가 상기 폴더 하우징을 열면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상기 배터리 전원을 다시 공급하며, 상기 임시 화상 메모리에 저장된 화면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상 디스플레이부로 디스플레이 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음성 및 데이터 통신기능과 화상처리기능을 가지며, 상기 음성 및 데이터 통신 기능에 따른 제1화상 데이터 디스플레이 및 상기 화상처리 기능에 따른 제2화상 데이터 디스플레이 제어를 수행하는 디스플레이장치를 구비하며, 상기 디스플레이장치가 상기 제2화상 데이터를 온스크린 디스플레이 하는 온스크린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제1화상 및 제2화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화상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고 있는 플립형 휴대용 복합 통신단말기에서의 전력절감방법에 있어서,
    일정 기간동안 상기 플립형 휴대용 복합 통신단말기에 구비된 키가 입력되지 않으면 상기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부의 임시 화상 메모리로의 배터리 전원 공급을 유지시키고 상기 임시 화상 메모리를 제외한 디스플레이장치의 각부에 공급되는 상기 배터리 전원을 차단하는 과정과,
    사용자가 상기 플립형 휴대용 복합 통신단말기에 구비된 임의의 키를 누르면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상기 배터리 전원을 다시 공급하며, 상기 임시 화상 메모리에 저장된 화면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상 디스플레이부로 디스플레이 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19990053960A 1999-11-30 1999-11-30 휴대용 복합통신단말기에서의 전력절감방법 KR1003155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3960A KR100315548B1 (ko) 1999-11-30 1999-11-30 휴대용 복합통신단말기에서의 전력절감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3960A KR100315548B1 (ko) 1999-11-30 1999-11-30 휴대용 복합통신단말기에서의 전력절감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9042A KR20010049042A (ko) 2001-06-15
KR100315548B1 true KR100315548B1 (ko) 2001-11-29

Family

ID=196227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3960A KR100315548B1 (ko) 1999-11-30 1999-11-30 휴대용 복합통신단말기에서의 전력절감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1554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5161B1 (ko) * 2002-09-30 2004-11-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듀얼 프로세서를 이용하는 단말기의 저전력 엘씨디 표시방법
KR100967316B1 (ko) 2008-04-03 2010-07-07 주식회사 켐트로닉스 터치감지장치 및 그 터치감지장치와 연결된 전자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5638B1 (ko) * 2002-08-28 2005-08-03 삼성전자주식회사 워킹 콘텍스트 저장 및 복구 장치 및 방법
KR101370111B1 (ko) * 2007-08-06 2014-03-04 엘지전자 주식회사 화상 통화가 가능한 이동 통신 단말기 및 통화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61978A (ja) * 1990-02-28 1998-09-29 Toshiba Corp 無線機とバッテリセービング装置
KR19990042861A (ko) * 1997-11-28 1999-06-15 윤종용 코드 분할 다중 접속 개인 휴대 통신의 전력소모 감소방법
KR19990043025A (ko) * 1997-11-28 1999-06-15 유기범 배터리 절약 기능을 갖춘 이동단말기
KR20000024980A (ko) * 1998-10-07 2000-05-06 윤종용 휴대통신단말기의 액정표시장치 자동 온/오프장치 및 방법
KR20000041312A (ko) * 1998-12-22 2000-07-15 윤종용 휴대 통신 단말기의 전력 소모 절약 장치 및그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61978A (ja) * 1990-02-28 1998-09-29 Toshiba Corp 無線機とバッテリセービング装置
KR19990042861A (ko) * 1997-11-28 1999-06-15 윤종용 코드 분할 다중 접속 개인 휴대 통신의 전력소모 감소방법
KR19990043025A (ko) * 1997-11-28 1999-06-15 유기범 배터리 절약 기능을 갖춘 이동단말기
KR20000024980A (ko) * 1998-10-07 2000-05-06 윤종용 휴대통신단말기의 액정표시장치 자동 온/오프장치 및 방법
KR20000041312A (ko) * 1998-12-22 2000-07-15 윤종용 휴대 통신 단말기의 전력 소모 절약 장치 및그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5161B1 (ko) * 2002-09-30 2004-11-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듀얼 프로세서를 이용하는 단말기의 저전력 엘씨디 표시방법
KR100967316B1 (ko) 2008-04-03 2010-07-07 주식회사 켐트로닉스 터치감지장치 및 그 터치감지장치와 연결된 전자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9042A (ko) 2001-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18816B1 (ko) 서브 메모리를 구비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장치
EP2200306A2 (en) Mobile phone terminal with camera function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090153589A1 (en) Mobile radio terminal apparatus
EP4007287A1 (en) Video processing method, device, terminal, and storage medium
JP4255567B2 (ja) 移動電話装置
JP2006134187A (ja) 携帯型電子機器
EP1821556B1 (en) Power control method of wireless terminal
CN109636715B (zh) 图像数据的传输方法、装置及存储介质
KR100315548B1 (ko) 휴대용 복합통신단말기에서의 전력절감방법
JP2005167909A (ja) 携帯型電話装置
EP2111031A1 (en) Image capturing apparatus
KR100291035B1 (ko) 휴대용 무선 단말기를 위한 컬러 액정표시기 인터페이스 회로
US20090295735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Converting Text into a Speech Signal
JP2006253878A (ja) 移動体通信端末
KR101777010B1 (ko) 디스플레이 장치가 구비된 셀룰러폰 케이스
KR20040098133A (ko) 무선통신단말기에서의 배경화면 설정 방법
KR100513053B1 (ko) 영상데이터 프리뷰 자동 제어 방법
KR20050063977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카메라 영상 메모 편집 방법
KR100295766B1 (ko) 휴대통신 단말기에서의 칼라 그래픽 액정표시부 인터페이스장치
KR100887576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력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0706396B1 (ko) 화면 밝기 조절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JP4349740B2 (ja) 電子機器
KR20050058786A (ko) 무선통신 단말기에서의 이미지 디스플레이 방법
KR20010058556A (ko) 이동통신단말기의 화상통신시 절전방법
JP5597744B2 (ja) 携帯型電子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02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