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14680B1 - 통신 시스템의 유효전파 영역법을 이용한 전파송출 방법 - Google Patents

통신 시스템의 유효전파 영역법을 이용한 전파송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14680B1
KR100314680B1 KR1019990064176A KR19990064176A KR100314680B1 KR 100314680 B1 KR100314680 B1 KR 100314680B1 KR 1019990064176 A KR1019990064176 A KR 1019990064176A KR 19990064176 A KR19990064176 A KR 19990064176A KR 100314680 B1 KR100314680 B1 KR 1003146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lection
radio wave
propagation
area
communication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641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61678A (ko
Inventor
장광록
Original Assignee
서평원
엘지정보통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평원, 엘지정보통신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평원
Priority to KR10199900641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14680B1/ko
Publication of KR200100616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616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46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468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30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 H04B17/309Measuring or estimating channel quality parameters
    • H04B17/318Received signal streng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10Scheduling measurement reports ; Arrangements for measurement repo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Monitoring And Testing Of Transmission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신 시스템의 유효전파 영역법을 이용한 전파송출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본 발명은 시험전파를 송출하여 송출된 시험전파가 수신 영역에 도달하지 않으면, 반사가 어떤 경우인지 판별하는 제1 단계와; 상기 반사가 어떤 경우인지를 판별하여 전파특성에 영향력이 높은 건물들을 통해 입사하는 파들의 표준편차인 시간지연분산값을 구하여 반사점을 찾는 제2 단계를 수행함으로써, 전파특성을 분석하도록 함으로써 종래의 전파특성 분석 방법에 비해 월등한 계산속도와 정확성을 갖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Description

통신 시스템의 유효전파 영역법을 이용한 전파송출 방법{Method for propagation transmitting by using effective propagation in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통신 시스템의 유효전파 영역법을 이용한 전파송출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도심지 환경은 기지국과 이동국 주위에 분포하는 건물들이 실제의 전파특성에 대부분의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이용하여 전파특성 분석계산에 포함되는 건물들을 기지국과 이동국 주위의 건물들로 제한시키고, 제한조건은 시간지연값과 시간지연 분산값을 이용하여 실효전파영역을 설정하고 이 영역에 포함된 건물들만을 고려하여 이동통신 전파특성을 분석하도록 함으로써 종래의 전파특성 분석 방법에 비해 월등한 계산속도와 정확성을 갖는 통신 시스템의 유효전파 영역법을 이용한 전파송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통신 시스템은 원거리에 있는 단말기와 통신 회선으로 결합하여 정보 처리를 수행하는 시스템으로, 유선과 무선 통신 시스템 등이 있다.
그리고 무선 통신 시스템은 사람, 자동차, 선박, 열차, 항공기 등 이동체를 대상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으로, 이에는 이동전화(휴대전화, 차량전화), 항만전화, 항공기전화, 이동공중전화(열차, 유람선, 고속버스 등에 설치), 무선호출, 무선전화, 위성통신, 아마추어무선, 어업무선 등이 포함된다. 이러한 통신에는 아날로그 방식을 사용하는 AMPS(Advanced Mobile Phone Service) 시스템, 디지털 방식을 사용하는 CDMA 및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시분할 다원 접속) 시스템,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주파수 분할 다원접속) 시스템, WLL(Wireless Local Loop, 무선 가입자 망) 시스템 등이 있다.
그래서 일반적인 통신 시스템은, 단말기의 호처리 요구를 공중망 또는 전용망을 통해 공중전화교환망과 같은 다른 통신망에 전송하여 통신 서비스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교환기와; 상기 교환기와 연결되어 기지국을 제어하는 기지국 제어기와; 상기 기지국 제어기의 제어를 받아 상기 교환기의 호전송 요구를 단말기에 송신하고, 상기 단말기의 호처리 요구를 수신하는 기지국과; 상기 기지국의 포괄영역 내에서 가입자가 통신 서비스를 받도록 하는 이동국인 단말기로 구성된다.
이에 따라 일반적인 통신 시스템은, 가입자가 자신의 단말기를 가지고 기지국의 포괄영역 이내에 있으면서 통신 서비스를 사용하고자 하면, 기지국을 통해 파악한 가입자의 단말기 정보를 교환기를 통해 홈위치 등록기로 전송한다. 그리고 통신 시스템에서는 단말기의 요구에 따라 음성정보 서비스를 수행하거나 다른 통신망과 연결시켜 통신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도록 동작하였다.
도1은 종래 통신 시스템의 전파송출 방법을 보인 흐름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험전파를 송출하여, 송출된 시험전파가 수신 영역에 도달하는 지 판별하는 제1 단계(ST1)(ST2)와; 상기 송출된 시험전파가 수신영역에 도달하면, 마지막 반사점과 수신기 사이에 다른 반사가 발생하는지 판별하는 제2 단계(ST3)와; 상기 마지막 반사점과 수신기 사이에 다른 반사가 발생하면, 빌딩사이의 교차점을 찾는 제3 단계(ST4)와; 상기 마지막 반사점과 수신기 사이에 다른 반사가 발생하지 않으면, 수신전력을 계산하는 제4 단계(ST5)와; 상기 송출된 시험전파가 수신영역에 도달하지 않으면, 맵상의 모든 건물을 고려하여 반사점을 찾는 제5 단계(ST6)와; 상기 교차점 또는 반사점을 찾으면, 최대반사회수를 초과하는 지 판별하여 상기 제1 단계를 재수행하는 제6 단계(ST7)를 수행한다.
그래서 종래의 전파송출 방법에서는 기지국에서 송출되는 전파를 0도에서 360도까지간격으로 각도를 증가시켜 가면서 전파를 송출한 다음 각종 반사파와 회절파의 벡터합으로 이동국에서의 수신전력값을 계산한다. 기지국으로부터 임의의 각도로 송출된 전파가 도3에서와 같이 건물과 만나게 되면 반사파의 벡터식은 다음의 수학식1과 같이 성립된다.
반사파의 방향벡터는 수학식3과 같다.
여기서는 기지국으로부터 송출된 파의 방향벡터이고, n은 건물벽,는 수직벡터이다.
만일 기지국과 이동국의 안테나 높이를 고려하게 되면, 건물벽의 입사각도 및 반사각도는 수학식4와 같이 계산된다.
는 지면과 벽면과의 각도이며, 이는 전파진행분석을 3차원으로 적용하고 있음을 보여준다.의 방향은 반사파의 방향이며, 위에서 설명한 일련의 계산 과정은 사용자가 설정하는 최대 반사회수를 초과할 때까지 반복되거나 이미 설정된 임계전력값을 밑돌기 시작할 때까지 계속된다. 기지국에서 송출된 전파가 이동국에 도달하는지를 판단하기 위해서는 이동국에 reception circle을 만들어서 이 원안에 전파가 들어오는 지를 판단하여 결정한다. 기지국과 이동국의 안테나를 omni 안테나라고 가정하면 반사파의 수신전력값은 다음의 수학식5와 같이 주어진다.
여기서는 송출전력,은 최대 반사 회수,은 n번 반사한 반사파의 총 진행거리,은 매번 반사할 때마다 생기는 반사계수를 모두 곱한 값이다.은 지면반사까지 고려한 반사파의 총 도달거리이다.은 지연반사계수까지 곱한 반사계수이다. 여기서 회절파를 고려하면 회절파에 대한 수신전력값은 다음의 수학식6과 같이 주어진다.
여기서은 m번 반사했을 때의 모든 반사계수의 곱이다. D는 회절계수이며,는 분산계수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전파송출 방법은 기지국과 이동국 주변의 모든 건물과 영역을 고려하기 때문에 불필요한 계산까지 하게 되어 전파 특성을 분석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 실제로 적용하기에는 많은 어려움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도심지 환경은 기지국과 이동국 주위에 분포하는 건물들이 실제의 전파특성에 대부분의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이용하여 전파특성 분석계산에 포함되는 건물들을 기지국과 이동국 주위의 건물들로 제한시키고, 제한조건은 시간지연값과 시간지연 분산값을 이용하여 실효전파영역을 설정하고 이 영역에 포함된 건물들만을 고려하여 이동통신 전파특성을 분석하도록 함으로써 종래의 전파특성 분석 방법에 비해 월등한 계산속도와 정확성을 갖을 수 있는 통신 시스템의 유효전파 영역법을 이용한 전파송출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통신 시스템의 유효전파 영역법을 이용한 전파송출 방법은,
시험전파를 송출하여 송출된 시험전파가 수신 영역에 도달하지 않으면, 반사가 어떤 경우인지 판별하는 제1 단계와; 상기 반사가 어떤 경우인지를 판별하여 전파특성에 영향력이 높은 건물들을 통해 입사하는 파들의 표준편차인 시간지연분산값을 구하여 반사점을 찾는 제2 단계를 수행함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도1은 종래 통신 시스템의 전파송출 방법을 보인 흐름도이고,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통신 시스템의 유효전파 영역법을 이용한 전파송출 방법을 보인 흐름도이며,
도3은 본 발명이 이용하는 전파의 반사를 보인 도면이고,
도4는 본 발명이 이용하는 회절 전파의 전파 경로를 계산한 유효전파 영역법의 구축예이며,
도5는 본 발명이 이용하는 오타와 시의 거리 구성도이고,
도6은 본 발명이 이용하는 고정 사이트의 동일선상 안테나의 사양을 보인 표이며,
도7은 도5에서 슬라터 거리의 경로손실 예측을 보인 그래프이고,
도8은 도5에서 라우라 거리의 경로손실 예측을 보인 그래프이며,
도9는 도5에서 0도의 하향기울기일 때 송출패턴을 보인 그래프이고,
도10은 도5에서 3도의 하향기울기일 때 송출패턴을 보인 그래프이며,
도11은 도5에서 7도의 하향기울기일 때 송출패턴을 보인 그래프이고,
도12는 도5에서 10도의 하향기울기일 때 송출패턴을 보인 그래프이며,
도13은 도5에서 하향기울기 각이 변할 때 슬라터 거리의 경로손실 상태를 보인 그래프이고,
도14는 도5에서 하향기울기 각이 변할 때 라우라 거리의 경로손실 상태를 보인 그래프이며,
도15는 도5에서 고정안테나의 높이가 변할 때 슬라터 거리의 경로손실 상태를 보인 그래프이고,
도16은 도5에서 고정안테나의 높이가 변할 때 라우라 거리의 경로손실 상태를 보인 그래프이다.
이하, 상기와 같은 본 발명 통신 시스템의 유효전파 영역법을 이용한 전파송출 방법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일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통신 시스템의 유효전파 영역법을 이용한 전파송출 방법을 보인 흐름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험전파를 송출하여 송출된 시험전파가 수신 영역에 도달하지 않으면, 반사가 어떤 경우인지 판별하는 제1 단계와; 상기 반사가 어떤 경우인지를 판별하여 전파특성에 영향력이 높은 건물들을 통해 입사하는 파들의표준편차인 시간지연분산값을 구하여 반사점을 찾는 제2 단계(ST11 ~ ST32)를 수행한다.
상기에서 반사가 회절점 계산이면, Tx, Rx를 중심으로 실효전파영역(EPA)을 계산하고, Tx와 회절점을 이용하여 EPA를 계산하여 반사점을 찾고, 회절점과 Rx를 이용하여 EPA를 계산하여 반사점을 찾는다.
상기에서 반사가 반사점 계산이면, Tx, Rx를 중심으로 EPA를 계산하여 반사점을 찾는다.
상기에서 반사가 무회절, 무반사이면, 통과시킨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통신 시스템의 유효전파 영역법을 이용한 전파송출 방법의 동작을 첨부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실효전파영역법은 기지국과 이동국 사이에 존재하는 건물들 중에서 전파 특성에 큰 영향을 미치는 건물들만을 분석시에 고려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고려해야 하는 건물인지를 판별할 수 있는 판별영역이 필요한데 이 영역이 바로 실효전파영역이 되는 것이다.
실효전파영역법은 평균시간 지연값과 시간지연 분산값을 이용해서 결정한다. 시간지연값이란 기지국으로부터 전파된 전파가 이동국까지 도달하는 과정에서 여러 가지 전파 메카니즘을 겪게 되는데, 반사, 회절 등등이 그것이다. 즉, 여러 가지 경로(다중 경로)를 거쳐서 전파들이 도달하게 되는데, 이 전파들의 평균도달시간이 바로 평균시간 지연값이다.
또한 이들 각 전파들의 도달시간들에 대한 표준편차를 구하면 시간지연 분산값이 된다. 이 두 가지 값은 전파특성을 분석하는데 있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지금까지 이 두 값에 대한 깊이 있는 연구가 된 바는 거의 없다. 이는 이 두 값이 가지는 물리적 의미를 파악하기가 어려워서 인데, 이 두 가지 값을 이동국에서의 수신전력 값에 연관지어 생각해보면, 수신전력 특성에 대부분의 영향력을 행사는 전파들은 평균지연시간을 중심으로 약에서까지의 시간지연을 가지는 전파들이 전체 전파들의 90% 이상을 차지한다.
따라서 이 시간대를 공간상에 도시하게 되면, 기지국과 이동국을 타원의 초점으로 하는 하나의 타원이 된다. 이때 타원의 장축은 다음의 수학식7과 같이 계산된다.
즉, 실효전파영역법은 시간지연분산값을 이용해서 결정하게 되고, 시간지연값은 전파특성에 영향력이 높은 건물들을 통해 입사하는 파들의 표준편차이기 때문에 이 값을 유지하는 영역을 도시하면 타원형이 된다. 그래서 실효전파영역은 타원형인데, 타원형은 장축은 수학식7과 같이 계산한다.
보통의 도심지의 경우 수학식7과 같이 계산되는 장축의 길이는 기지국과 이동국 거리의 1.3~1.5배이다. 따라서 이 영역에 포함되는 건물들만을 고려하면 충분히 정확한 전파특성을 예측할 수 있다.
도4는 본 발명이 이용하는 회절 전파의 전파 경로를 계산한 유효전파 영역법의 구축예이다.
그래서 실효전파영역법을 한 단계 진보시켜 건물 모서리에서 회절을 통해 이동국에 들어오는 전파의 경우 이들 회절파들의 계산시간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가 있다. 즉, 도4에서 c1에서 회절이 일어나는 전파를 고려할 때, 도4에서 나타난 모든 건물을 고려하는 것이 종래의 방법이었으나, 실효전파영역법에서는 c1을 새로운 수신점으로 가정하여 Tx와 c1을 타원의 초점으로 하는 새로운 타원 즉 실효전파영역 EPA(Effective Propagation Area)2를 형성하여 이 영역에 포함되는 건물들만을 고려하여 전파특성을 계산할 수가 있다. 마찬가지로 c1을 수신점으로 하여 Rx와 함께 타원을 형성하면 회절이 일어난 직후 이동국까지 전파하는 경로의 전파특성을 수월하게 계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실제적인 측정 예를 도5 내지 도16에 도시하였다.
도5는 본 발명이 이용하는 오타와 시의 거리 구성도이고, 도6은 고정 사이트의 동일선상 안테나의 사양을 보인 표이며, 도7은 도5에서 슬라터 거리의 경로손실 예측을 보인 그래프이고, 도8은 도5에서 라우라 거리의 경로손실 예측을 보인 그래프이며, 도9는 도5에서 0도의 하향기울기일 때 송출패턴을 보인 그래프이고, 도10은 도5에서 3도의 하향기울기일 때 송출패턴을 보인 그래프이며, 도11은 도5에서 7도의 하향기울기일 때 송출패턴을 보인 그래프이고, 도12는 도5에서 10도의 하향기울기일 때 송출패턴을 보인 그래프이며, 도13은 도5에서 하향기울기 각이 변할 때 슬라터 거리의 경로손실 상태를 보인 그래프이고, 도14는 도5에서 하향기울기 각이 변할 때 라우라 거리의 경로손실 상태를 보인 그래프이며, 도15는 도5에서 고정안테나의 높이가 변할 때 슬라터 거리의 경로손실 상태를 보인 그래프이고, 도16은 도5에서 고정안테나의 높이가 변할 때 라우라 거리의 경로손실 상태를 보인 그래프이다.
이처럼 본 발명은 도심지 환경은 기지국과 이동국 주위에 분포하는 건물들이 실제의 전파특성에 대부분의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이용하여 전파특성 분석계산에 포함되는 건물들을 기지국과 이동국 주위의 건물들로 제한시키고, 제한조건은 시간지연값과 시간지연 분산값을 이용하여 실효전파영역을 설정하고 이 영역에 포함된 건물들만을 고려하여 이동통신 전파특성을 분석하도록 함으로써 종래의 전파특성 분석 방법에 비해 월등한 계산속도와 정확성을 갖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통신 시스템의 유효전파 영역법을 이용한 전파송출 방법은 복잡한 도심지 전파환경, 특히 IMT-2000을 위한 마이크로셀 설계에 있어 빠른 셀 설계가 가능한 효과가 있게 된다.

Claims (4)

  1. 시험전파를 송출하여 송출된 시험전파가 수신 영역에 도달하지 않으면, 반사가 어떤 경우인지 판별하는 제1 단계와;
    상기 반사가 어떤 경우인지를 판별하여 전파특성에 영향력이 높은 건물들을 통해 입사하는 파들의 표준편차인 시간지연분산값을 구하여 반사점을 찾는 제2 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의 유효전파 영역법을 이용한 전파송출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가 회절점 계산이면, Tx, Rx를 중심으로 실효전파영역을 계산하고, Tx와 회절점을 이용하여 실효전파영역을 계산하여 반사점을 찾고, 회절점과 Rx를 이용하여 실효전파영역을 계산하여 반사점을 찾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의 유효전파 영역법을 이용한 전파송출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가 반사점 계산이면, Tx, Rx를 중심으로 실효전파영역을 계산하여 반사점을 찾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의 유효전파 영역법을 이용한 전파송출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가 무회절, 무반사이면, 통과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의 유효전파 영역법을 이용한 전파송출 방법.
KR1019990064176A 1999-12-28 1999-12-28 통신 시스템의 유효전파 영역법을 이용한 전파송출 방법 KR1003146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4176A KR100314680B1 (ko) 1999-12-28 1999-12-28 통신 시스템의 유효전파 영역법을 이용한 전파송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4176A KR100314680B1 (ko) 1999-12-28 1999-12-28 통신 시스템의 유효전파 영역법을 이용한 전파송출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1678A KR20010061678A (ko) 2001-07-07
KR100314680B1 true KR100314680B1 (ko) 2001-11-17

Family

ID=196314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64176A KR100314680B1 (ko) 1999-12-28 1999-12-28 통신 시스템의 유효전파 영역법을 이용한 전파송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1468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8846A (ja) * 1994-06-21 1996-01-12 Hitachi Ltd 電波受信強度シミュレーション方法
JPH09153867A (ja) * 1995-11-30 1997-06-10 Fujitsu Ltd 電波伝搬シミュレータ
KR19990080905A (ko) * 1998-04-23 1999-11-15 윤종용 도심지 협곡 모델에서 편파 효과를 고려한 전파의 전파특성예측 방법
KR100285308B1 (ko) * 1997-12-30 2001-04-02 윤종용 이동통신시스템에서순방향서비스영역을 예측하는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8846A (ja) * 1994-06-21 1996-01-12 Hitachi Ltd 電波受信強度シミュレーション方法
JPH09153867A (ja) * 1995-11-30 1997-06-10 Fujitsu Ltd 電波伝搬シミュレータ
KR100285308B1 (ko) * 1997-12-30 2001-04-02 윤종용 이동통신시스템에서순방향서비스영역을 예측하는 방법
KR19990080905A (ko) * 1998-04-23 1999-11-15 윤종용 도심지 협곡 모델에서 편파 효과를 고려한 전파의 전파특성예측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1678A (ko) 2001-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eiler et al. Quasi-deterministic millimeter-wave channel models in MiWEBA
CA2047253C (en) Method of locating a mobile station
US8565106B2 (en) Iterative localization techniques
US5508707A (en) Method for determining position by obtaining directional information from spatial division multiple access (SDMA)-equipped and non-SDMA-equipped base stations
US6414634B1 (en) Detecting the geographical location of wireless units
US777399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utilizing RF signals to create a site specific representation of an environment
US7013150B2 (en) Positioning system, positioning server, base station and terminal location estimation method
US20050014511A1 (en) Location estimation of wireless terminals through pattern matching of deduced signal strengths
US6026305A (en) Geographical location system and method for locating radiotelephone engaged in a call
JP2001519636A (ja) 端末の位置決定法とセルラー無線システム
CN109633523B (zh) 用于室内定位的采用方向图叠加天线估计来波角度的方法
Miura et al. Outdoor-to-indoor propagation modelling with the identification of path passing through wall openings
CN111107495B (zh) 基于5g的用户终端、导航定位系统及导航定位方法
US8265635B2 (en) Method for determining positioning accuracy based on origination and receiving terminals and positioning device and program therefor
JP2007089018A (ja) 無線通信端末の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およびそのナビゲーション方法
WO2018121439A1 (zh) 一种直射径判断方法及装置
Akande et al. Performance analysis and optimization of cost 231-hata model for mobile communication in Nigeria
JP2000512831A (ja) 無線波複数経路フェージングの効果を決定する方法
KR100314680B1 (ko) 통신 시스템의 유효전파 영역법을 이용한 전파송출 방법
KR100775284B1 (ko) 무선 측위 시스템을 위한 비가시경로 오차 보정 방법
Adeyemo et al. Investigation of some existing prediction models and development of a modified model for UMTS signal in Owerri, Nigeria
Nossire et al. A new selected points to enhance radio wave propagation strength outside the coverage area of the mobile towers in the dead spots of cellular mobile WiFi downloads
Yan et al. A study of received signal-level distribution in wideband transmissions in mobile communications
Sasaki et al. Path loss frequency dependence at 2–26 GHz in an urban macro cell environment
KR100404397B1 (ko) Cdma 시스템에서 네트웍 기반 단말기 위치추정 시스템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03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