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13451B1 - 벽돌 - Google Patents

벽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13451B1
KR100313451B1 KR1019990012223A KR19990012223A KR100313451B1 KR 100313451 B1 KR100313451 B1 KR 100313451B1 KR 1019990012223 A KR1019990012223 A KR 1019990012223A KR 19990012223 A KR19990012223 A KR 19990012223A KR 100313451 B1 KR100313451 B1 KR 1003134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ick
female
male
mortar
connection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122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46630A (ko
Inventor
이승상
Original Assignee
이승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승상 filed Critical 이승상
Priority to KR10199900122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13451B1/ko
Publication of KR199900466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466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34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3451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04B2/04Walls having neither cavities between, nor in, the solid elements
    • E04B2/06Walls having neither cavities between, nor in, the solid elements using elements having specially-designed means for stabilising the position
    • E04B2/08Walls having neither cavities between, nor in, the solid elements using elements having specially-designed means for stabilising the position by interlocking of projections or inserts with indentations, e.g. of tongues, grooves, dovet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04B2/04Walls having neither cavities between, nor in, the solid elements
    • E04B2/06Walls having neither cavities between, nor in, the solid elements using elements having specially-designed means for stabilising the position
    • E04B2/10Walls having neither cavities between, nor in, the solid elements using elements having specially-designed means for stabilising the position by filling material with or without reinforcements in small channels in, or in grooves between, the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04B2002/0202Details of connections
    • E04B2002/0204Non-undercut connections, e.g.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 E04B2002/0208Non-undercut connections, e.g.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of trapezoidal shap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04B2002/0202Details of connections
    • E04B2002/0204Non-undercut connections, e.g.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 E04B2002/0228Non-undercut connections, e.g.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with tongues next to each other on one end surface and grooves next to each other on opposite end sur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taining Walls (AREA)
  • Conveying And Assembling Of Building Elements In Situ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횡방향으로 조적할 때 인접한 벽돌의 접합면에 바른 접합용 몰탈이 겉으로 드러나지 않아서 아주 양호한 조적상태로 보이고, 접합강도가 우수한 벽돌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면과 하면의 앞 뒤에 두께가 일정한 돌출턱(4)이 형성된 벽돌(1)에 있어서, 상기 벽돌(1)의 일측 단부는 돌출턱(4)의 두께만큼 들어와서부터 벽돌(1)의 폭 중심을 향하여 양쪽 내측면(5)은 폭중심을 향해 점차 좁아지는 빗면이고 내측면(5)이 끝나는 지점부터는 골(6)을 이루는 암접속부(2)로 하고, 타단부는 돌출턱(4)의 바로 안쪽에 틈돌기(7)를 형성하고 이 틈돌기(7)에 이어서 빗면으로 된 외측면(8)과 앞 뒷면과는 직각을 이루는 선단면(9)으로 된 숫접속부(3)로 형성한 것이다.

Description

벽돌{AAAAA}
본 발명은 횡방향으로 조적할 때 인접한 벽돌의 접합면에 바른 접합용 몰탈이 겉으로 드러나지 않아서 아주 양호한 조적상태로 보이고, 접합강도가 우수한 벽돌에 관한 것이다.
통상의 벽돌중에는 접합단의 앞 뒤에 높이와 동일하거나 대등하나 폭이 좁은 돌출턱이 형성된 것이 있다. 이러한 구조의 벽돌을 조적할 때에는 돌출턱의 단면에접합용 몰탈을 발라서 횡방향으로 인접한 다른 벽돌의 접돌출턱에 맞붙인다.
그런데, 서로 맞닿은 벽돌의 돌출턱간에서 이뤄지는 면접합은 돌출턱의 면적이 작으므로 접합력이 강하지 못하다. 이 때문에 벽돌의 두께방향으로 작용하는 외력에 대한 내력, 즉 접합강도가 작다.
또, 돌출턱에 바른 접합용 몰탈의 일부가 벽돌의 앞,뒷면으로 삐져나와서 볼품 사나워지므로 조적하면서 그때그때 삐져 나온 몰탈을 걷어내는 수고를 더하든가 혹은 메지를 넣어서 다듬어야 하는 노력을 더해야 하는 불합리한 점도 있었다.
본 발명은 접합단의 접합력을 강화할 수 있는 벽돌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면과 하면의 앞 뒤에 길이방향으로 평행한 돌출턱이 형성된 벽돌에 있어서 일측 단부는 암접속부로 하고 타단부는 숫접속부로 하여 암수맞춤식으로 조적하게 하므로서 면방향으로 작용하는 외력에도 충분히 견딜 수 있는 튼튼한 벽으로 구축할 수 있게 하고, 상기 암접속부에 숫접속부를 맞춰 끼웠을 때 숫접속부의 양 측면과 암접속부의 양쪽 내면 사이, 숫접속부의 선단면과 암접속부의 골 사이에 접합용 몰탈이 들어찰 몰탈 공간이 남는 구조로 된 벽돌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벽돌의 사시도
도 2는 조적한 상태의 평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벽돌 2 : 암접속부
3 : 숫접속부 4 : 돌출턱
5 : 내측면 6 : 골
7 : 틈돌기 8 : 외측면
9 : 선단면
도 1에서, 본 발명에 의한 벽돌(1)은 길이방향의 양 단부중 일측 단부는 암접속부(2)이고 타단부는 숫접속부(3)이다. 이 벽돌(1)은 한마디로 암수맞춤식 조적 벽돌이라고 말할 수 있다.
그리고 벽돌(1)의 상면과 하면 앞 뒤 가장자리에는 길이방향으로 평행한 돌출턱(4)이 주어졌다. 이들 돌출턱(4)은 아래 위에 조적되는 다른 벽돌과의 사이에 메지대용의 공간 또는 메지를 넣을 수 있는 바로고 일정한 폭의 공간을 확보함과 동시에 둘출턱 사이에 접합용 몰탈을 채워서 아래 위 벽돌을 접합 조적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돌출턱(4)이 존재함에 따라 벽돌을 조적한 후 위 아래 벽돌간의 이음새를 한결 깔끔하게 처리할 수 있다.
상기 암접속부(2)는 돌출턱(4)의 두께만큼 들어와서부터 벽돌(1)의 폭 중심을 향하여 양쪽 내측면(5)은 폭중심을 향해 점차 좁아지는 빗면으로 하고 내측면 (5)이 끝나는 지점부터는 골(6)을 이룬다. 도면에서는 골(6)이 호상면으로 되어 있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내측면(5)의 구배보다도 기울기가 큰 빗면일 수도 있다.
돌출턱(4)의 바로 안쪽에 둔 4반원형 틈돌기(7)에 이어 형성된 숫접속부(3)는 상기 암접속부(2)의 내측면(5)과 구배도가 비슷한 빗면으로 된 외측면(8)과 앞 뒷면과는 직각을 이루는 선단면(9)으로 한다. 숫접속부(3)는 암접속부(2)의 깊이보다도 약간 짧게 해서 조적할 때 골(6)과 선단면(9)사이에 접합용 몰탈을 채워넣을 수 있는 몰탈공간이 남도록 한다.
여기서, 틈돌기(7)는 그 폭만큼 암접속부(2)의 내측면(5)과 숫접속부(3)의 외측면(8) 사이에 접합용 몰탈을 채울 몰탈공간을 확보하고 또한 암, 수접속부 (2,3)를 맞춰 끼웠을 때 면방향으로 벽돌(1)이 유동하지 못하게 해서 정교하게 이맞춤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도 2에서, 벽돌(1)의 암접속부(2)에 후속 벽돌(1')의 숫접속부(3)를 틈돌기(7)가 암접속부(2)측 접합단면(10)에 가닿을 때까지 들이민다. 이렇게 하면 선단면 (9)의 모서리도 골(6)에 가서 닿든가 근접한다.
이때, 암접속부(2)의 내측면(5)과 숫접속부(3)의 외측면(8) 사이에는 틈돌기 (7)에 의한 옆공간(a)이 남고 골(6)과 선단면(9) 사이에는 앞공간(b)이 생긴다.
옆공간(a)과 앞공간(b)이 바로 접합용 몰탈(11)을 채워서 접합하게 되는데, 몰탈은 후속 벽돌(1')을 조적할 때 외측면(8)과 선단면(9)에 미리 발라 조적해도 되고, 또는 후속 벽돌(1')을 상기와 같은 요령으로 선조적한 후 나중에 채워 넣어 접합해도 된다.
이런 방법으로 벽돌(1)을 조적하면 암접속부(2)에 숫접속부(3)가 끼어들어간 상태에서 3면이 몰탈(11)로 접합되므로 면방향에서 도래하는 외력에 대한 내력, 즉 접합강도가 종전의 벽돌에 비해 훨씬 강하다. 그래서 벽을 한층 튼튼하게 구축할 수가 있다.
또, 횡렬의 벽돌간에는 틈돌기(7)에 의해 종선의 메지를 넣을 공간이 남고 종렬 벽돌간에는 상면과 하면의 돌출턱(4)에 의해 횡선의 메지넣을 자리가 확보된다.
틈돌기(7)의 돌출폭과 둘출턱(4)의 높이가 규격화되어 있으므로 규격화된 메지공구로 용이하게 메지를 넣을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상면과 하면의 앞 뒤에 길이방향으로 평행한 돌출턱이 형성된 벽돌의 일측 단부는 암접속부로 하고 타단부는 숫접속부로 하여 암수맞춤식으로 조적할 수 있으므로 단순한 면접합에 비해 강력한 접합강도의 벽을 구축할 수가 있다.
또, 암접속부에 숫접속부를 맞춰 끼웠을 때 숫접속부의 양 측면과 암접속부의 양쪽 내면 사이, 숫접속부의 선단면과 암접속부의 골 사이에는 접합용 몰탈이 들어찰 몰탈공간이 남아서 여기에 몰탈을 채우거나 발라서 메꿔 붙임으로써 접합용 몰탈이 횡방향으로 조적되는 벽돌 사이로 삐져나오지 않아 조적모양새가 깔끔하다. 그래서 삐져나온 몰탈을 걷어내는 뒷손질이 생략되느니만치 조적시간도 단축되고 나중에 메지하기도 용이하다.
또한 기존의 횡형 돌출턱에 종형 틈돌기가 더해짐에 따라 조적한 후에 횡선 및 종선 메지넣기가 한결 수월하고 메지한 모양새도 더욱 품위가 잇어 보이게 된다.

Claims (2)

  1. 상면과 하면의 앞 뒤에 두께가 일정한 돌출턱(4)이 형성된 벽돌(1)에 있어서, 상기 벽돌(1)의 일측 단부는 돌출턱(4)의 두께만큼 들어와서부터 벽돌(1)의 폭 중심을 향하여 양쪽 내측면(5)은 폭중심을 향해 점차 좁아지는 빗면이고 내측면(5)이 끝나는 지점부터는 골(6)을 이루는 암접속부(2)로 하고, 타단부는 돌출턱(4)의 바로 안쪽에 틈돌기(7)를 형성하고 이 틈돌기(7)에 이어서 빗면으로 된 외측면(8)과 앞 뒷면과는 직각을 이루는 선단면(9)으로 된 숫접속부(3)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면(5)과 외측면(8)은 동일한 구배의 빗면으로 하는 벽돌.
KR1019990012223A 1999-04-07 1999-04-07 벽돌 KR1003134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2223A KR100313451B1 (ko) 1999-04-07 1999-04-07 벽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2223A KR100313451B1 (ko) 1999-04-07 1999-04-07 벽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6630A KR19990046630A (ko) 1999-07-05
KR100313451B1 true KR100313451B1 (ko) 2001-11-15

Family

ID=375313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12223A KR100313451B1 (ko) 1999-04-07 1999-04-07 벽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13451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6630A (ko) 1999-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46691B2 (en) Method of laying panels
JP2003519735A (ja) パネルエレメント
KR100313451B1 (ko) 벽돌
KR101263628B1 (ko) 우주형 전통 목조 건축 부재 접합 구조
KR200166762Y1 (ko) 벽돌
JP2681355B2 (ja) 建築用パネルの目地ジヨイナーの連結方法
CN212534217U (zh) 一种接头结构
JP4451423B2 (ja) 螺旋状ケーブルハンガの連結具
JP3918353B2 (ja) 出隅柱
JPH0319595Y2 (ko)
JP3046836U (ja) 板の交差接合構造
JPS6165135U (ko)
CA1060389A (en) Connectors for shelf members and the like
JPS6015864Y2 (ja) 並設用板状体用連結具
JPS6129843Y2 (ko)
JP3101882U (ja) 板材の連結構造
KR900005299Y1 (ko) 도로용 경계블록의 결합구조
JPH0240178Y2 (ko)
JP4072237B2 (ja) 結合押出形材、結合用押出形材および結合押出形材の製造方法
JPH0596256U (ja) 樋継手
JP2905779B1 (ja) 電線共同溝の連結部材
JPS6117083Y2 (ko)
JPS6340284Y2 (ko)
JP2582354Y2 (ja) 合成樹脂製ブリック
JPH0633049Y2 (ja) 木造建築における梁材接合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01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