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12823B1 - Lpa 혼용 전력 합성장치 - Google Patents

Lpa 혼용 전력 합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12823B1
KR100312823B1 KR1019990044672A KR19990044672A KR100312823B1 KR 100312823 B1 KR100312823 B1 KR 100312823B1 KR 1019990044672 A KR1019990044672 A KR 1019990044672A KR 19990044672 A KR19990044672 A KR 19990044672A KR 100312823 B1 KR100312823 B1 KR 1003128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pa
power
output
unit
synthesiz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446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37261A (ko
Inventor
이정환
Original Assignee
이종화
윤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화, 윤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종화
Priority to KR10199900446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12823B1/ko
Publication of KR200100372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372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28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282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1/00Details of 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nly semiconductor devices or only unspecified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1/26Modifications of amplifiers to reduce influence of noise generated by amplifying element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20Power amplifiers, e.g. Class B amplifiers, Class C amplifie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 H03F2200/451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the amplifier being a radio frequency amplifi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mitters (AREA)
  • Amplifiers (AREA)
  • Radio Relay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기지국 및 중계기에 설치되는 LPA 혼용 전력 합성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RF 신호가 입력되면 소정 주파수 대역으로 필터링하는 밴드패스 필터부와, 프리 앰프부와, 상기 프리 앰프부를 제어하여 LPA 출력 게인을 자동 조절하는 AGC 회로부와, 상기 프리 앰프부를 통과한 RF 신호를 소정 개수로 분리시키는 분리기와, 상기 분리기를 통과한 RF 신호가 상기 LPA 모듈부에서 증폭된 후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는 다수의 아이솔레이터와, 상기 분리기를 거쳐 분리된 RF 신호를 증폭시키는 다수의 LPA로 구성된 LPA 모듈부와, 각 LPA가 동기되도록 소정 시간을 지연시키는 지연라인부와, 각 LPA의 위상을 동일한 위상으로 보상해주는 페이저 쉬프터와, 상기 LPA 모듈부로부터 출력된 출력전력을 합성시키는 합성기와, 상기 LPA 모듈부의 소정 LPA에 과전류가 흐를 때 LPA의 출력을 차단시키는 차단 스위치부와,상기 LPA의 출력 정보를 인가받아 설정 전력과 동일한지 여부를 확인한 후 설정전력과 틀리다고 확인되면 LPA의 출력전력을 설정전력에 맞게 보상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함으로써 LPA 합성전력의 출력을 가변시킬 필요가 있을 때 각각 다른 출력의 LPA(25W,50W,60W)를 조합하여 원하는 출력으로 전력합성을 할 수 있다.

Description

LPA 혼용 전력 합성장치{LPA mixable power combiner}
본 발명은 이동통신 기지국 및 중계기에 설치되는 LPA 혼용 전력 합성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이동통신 가입자 수의 변화에 따라 LPA 합성전력의 출력을 가변시킬 필요가 있을 때 각각 다른 출력의 LPA(25W,50W,60W)를 조합하여 원하는 출력으로 전력합성을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초고주파 시스템에는 고주파 전력을 여러 개의 출력포트로 분배하는 전력 분배기(Power splitter)와, 여러 포트로 입력되는 고주파 전력을 합성하여 하나의 포트로 출력하는 전력 합성기(Power combiner)가 이용되고 있다.
예컨데 전력분배기는 한개의 신호원으로부터 출력되는 초고주파신호(Micro wave)를 여러개의 필요부분으로 일정한 비율로 분배하는데 유용하게 이용된다. 그리고 전력 합성기는 여러개의 신호원 또는 증폭기로부터 출력되는 초고주파 신호를 결합하여 한 개의 안테나 혹은 출력의 세기를 높이는데 유용하게 이용된다.
이러한, 합성기와 분배기는 통상 하나의 회로로서 구현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상기와 같은 전력 분배기/ 합성기의 일 예로는 윌킨스(Wilkinson)에 의해 제안된 양 방향성 하이브리드형 분배기/합성기인 N-웨이 윌킨스 전력 분배기/합성기를 들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N-웨이 전력 분배기 및 합성기의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서, 이는 윌킨슨에 의해 제안되어 N웨이 균등 윌킨슨 전력 분배기 및 합성기로 명명된 것이다.
도 1과 같이 구성된 N-웨이 균등 윌킨스 전력 분배기의 구성 및 동작을 간략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포트 10으로 고주파 신호 RF가 입력되면, 상기의 고주파 신호RF는 전송 라인(Tranmission line)20,22,24 및 26의 일측 노드 N1들로 입력된다. 이때 상기 전송라인 20,22,24 및 26의 각각의 길이는 λ/4(여기서 λ는 입력 고주파 신호의 파장을 의미한다.)을 가지며, 각각의 타측 노드 N2들은 공통노드 CN에 일측이 공통 접속된 아이솔레이션(Isolation) 저항 28,30,32 및 34들의 타측에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아이솔레이션 저항 28, 30, 32 및 34의 타측과 상기 전송 라인20, 22, 24 및 26의 타측 노드들 N2에는 분배된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포트들 36, 38, 40 및 42가 구비된다.
상기 포트 10은 공통 입출력 포트로 사용되며 포트들 36, 38,40 및 42는 개별적으로 신호를 입출력하는 포트들로 사용된다. 이들 다수의 포트들 10,36,38,40 및 42 각각에는 고주파 신호를 출력하는 송신기, 수신기 혹은 고주파 신호를 증폭하는 고주파 전력 증폭기의 회로가 접속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포트 10으로 고주파 신호 RF가 입력되면 상기 입력되는 고주파 신호 RF의 전력은 동일한 위상 및 진폭을 갖는 신호로 나뉘어져 N개 포트로 분리 출력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동작되는 N-웨이 윌킨슨 전력 분배기의 입력과 출력을 바꾸면 고주파 신호의 전력을 합성하는 N-웨이 전력 합성기로 동작된다. 예를 들면포트 36, 38, 40 및 42를 고주파 신호를 입력하는 입력포트로 사용하고, 포트 10을 합성된 고주파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포트로 이용하면 N-웨이 전력 합성기로 사용할 수 있으며 그 동작은 다음과 같다.
즉, 포트 36, 38, 40 및 42 각각으로 임의의 고주파 신호 출력장치들 혹은 다수의 증폭기로부터 증폭출력된 고주파 신호 RF2, RF3, RF4 및 RF5는 각각의 전송선로 20, 22, 24 및 26을 통해 포트 10으로 공급됨으로써 상기 포트 10에서 합성되어 출력된다.
한편, 이동통신 기지국에서는 상기와 같은 전력 합성기를 이용하여 소정 개수의 LPA(Linear Frequency Amplifier)의 출력 전력을 합성시키고 있는데 종래에는 한개의 서브 랙에 전용의 LPA, 즉 같은 출력 전력을 가진 LPA를 다수개 실장하여 전력을 합성하였다.
예컨데, 25W, 50W, 60W 중 한 출력의 LPA가 채용되어, 통상 한개의 서브랙에 최대 4개까지 장착되게 된다. 즉, LPA가 25W일 경우에는 한 서브랙에 아래와 같이 LPA의 실장 형태에 따라 최대 100W까지 출력할 수 있다.
25W × LPA 1대 = 25W
25W × LPA 2대 = 50W
25W × LPA 3대 = 75W
25W × LPA 4대 = 100W
그러나,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한가지 용량의 LPA를 사용할 경우에는 다음과같은 문제점들이 발생된다.
즉, 이동통신 기지국에서 보다 많은 가입자 수용을 위해 전력을 증대시킬 필요가 있는 경우, 종래의 방식을 취하게 되면 LPA의 전력이 일률적으로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가입자 수용에 한계점이 있었다.
이러한 이유에서 이동통신 기지국에서 보다 많은 가입자를 수용하기 위해서는 공급 전력을 증대하기 위해 더 높은 출력의 LPA가 필요하고 또 이를 설치할 수 있는 서브랙이 별도로 필요하였기 때문에 경제적으로 큰 부담이 되었다.
또, 이렇게 새로운 고전력의 LPA로 교체시에는 기존에 사용하던 LPA가 무용지물이 되어 경제적 손실이 야기되므로 여러가지 전력용량을 가진 LPA를 혼용하여 전력합성을 하는 방법이 절실히 요구되어왔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동통신 가입자 수의 변화에 따라 LPA 합성전력의 출력을 가변시킬 필요가 있을 때 각각 다른 출력의 LPA(25W,50W,60W)를 조합하여 원하는 출력으로 전력합성을 할 수 있도록 한 LPA 혼용 전력 합성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사상은 기지국 또는 중계기에 설치되어 입력된 RF 신호를 분리하고 다수의 전용 LPA로 전력 증폭을 한 후 다시 각 출력전력을 합성해주는 LPA 분리/합성장치에 있어서,
RF 신호가 입력되면 소정 주파수 대역으로 필터링하는 밴드패스 필터부와,
상기 밴드패스 필터부를 통과한 RF 신호를 증폭시켜 LPA의 게인(Gain)을 보상해주는 프리 앰프부와, 상기 프리 앰프부를 제어하여 소정 LPA의 출력 게인을 자동 조절하는 AGC 회로부와, 상기 프리 앰프부를 통과한 RF 신호를 소정 개수로 분리시키는 분리기와, 상기 분리기를 통과한 RF 신호가 상기 LPA 모듈부에서 증폭된 후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는 다수의 아이솔레이터와, 상기 분리기를 거쳐 분리된 RF 신호를 증폭시키는 다수의 LPA로 이루어진 LPA 모듈부와, 상기 LPA 모듈부의 각 LPA의 동기화를 위해 소정 시간을 지연시키는 지연라인부와, 상기 LPA 모듈부의 각 LPA 위상을 동일한 위상으로 보상해주는 페이저 쉬프터와, 상기 LPA 모듈부로부터 출력된 출력전력을 합성시키는 합성기와, 상기 LPA 모듈부의 소정 LPA에 문제가 발생되어 과전류가 흐를 때 LPA의 출력전력을 차단하는 차단 스위치부와, 상기 LPA의 출력정보를 인가받아 설정 전력과 동일한지 여부를 확인한 후 설정전력과 틀리다고 확인되면 LPA의 출력전력을 설정전력에 맞게 보상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상기 제어부는 다수의 LPA로부터 각 출력전력 정보를 인가받아 어느 LPA의 게인이 부족한지를 판단한 후 상기 AGC 회로부를 제어하여 부족한 출력 전력을 보상시켜주는 발명이 제시된다.
도 1은 종래의 N-웨이 전력 분배기/합성기의 구성을 나타낸 개략 회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LPA 혼용 전력 합성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개략 회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N-웨이 합성기의 출력측 임피던스 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관한 부호설명>
50 : 밴드패스 필터부 51 : 프리 앰프부
52 : AGC 회로부 53 : 분리기
54 : 아이솔레이터 55 : LPA
56 : LPA 모듈부 57 : 지연라인부
58 : 페이저 쉬프터 59 : 합성기
60 : 차단 스위치부 61 : 합성전력 감지부
62 : 손실전력 감지부 63 : 제어부
64 : 모니터부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구성 및 작용에 대해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발명은 기지국 또는 중계기에 설치되어 입력된 RF 신호를 분리하고 다수의 전용 LPA로 전력 증폭을 한 후 다시 각 출력전력을 합성해주는 LPA 분리/합성장치에 있어서,
RF 신호가 입력되면 소정 주파수 대역으로 필터링하는 밴드패스 필터부(50)와, 상기 밴드패스 필터부(50)를 통과한 RF 신호를 증폭시켜 LPA의 게인(Gain)을 보상해주는 프리 앰프부(51)와, 상기 프리 앰프부(51)를 제어하여 LPA의 출력 게인을 자동 조절하는 AGC 회로부(52)와, 상기 프리 앰프부(51)를 통과한 RF 신호를 소정 개수로 분리시키는 분리기(53)와, 상기 분리기(53)를 통과한 RF 신호가 상기 LPA 모듈부(56)에서 증폭된 후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는 다수의 아이솔레이터(54)와, 상기 분리기(53)를 거쳐 분리된 RF 신호를 증폭시키는 다수의 LPA(55)로 이루어진 LPA 모듈부(56)와, 상기 LPA 모듈부(56)의 각 LPA의 동기화를 위해 소정 시간을 지연시키는 지연라인부(57)와, 상기 LPA 모듈부(56)의 각 LPA 위상을 동일한 위상으로 보상해주는 페이저 쉬프터(58)와, 상기 LPA 모듈부(56)로부터 출력된 출력전력을 합성시키는 합성기(59)와, 상기 LPA 모듈부(56)의 소정 LPA에 과전류가 흐를 때 LPA의 출력을 차단하는 차단 스위치부(60)와, 상기 LPA의 출력 정보를 인가받아 설정 전력과 동일한지 여부를 확인한 후 설정전력과 틀리다고 확인되면 LPA의 출력전력이 설정전력에 맞게 보상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63)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63)는 다수의 LPA로부터 각 출력 정보를 인가받아 어느 LPA의 게인이 부족한지를 판단한 후 상기 AGC 회로부(52)를 제어하여 부족한 출력 전력을 보상시켜준다.
또한, 상기 LPA 모듈부(56)는 전용 출력(25W, 60W)의 LPA 또는 각각 다른 출력(25W, 50W, 60W)의 LPA를 조합하여 구성한다. 즉, 상기 LPA 모듈부(56)는 전용으로 25W LPA 4개 또는 60W LPA 4개로 구성할 수도 있고, 또는 조합적으로 25W LPA 3개, 60W(50W) LPA 1개로 구성할 수도 있으며, 25W LPA 2개, 60W(50W) LPA 2개로 구성할 수도 있고, 25W LPA 1개, 60W LPA 3개로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는 상기 LPA 모듈부(56)를 이루는 각 LPA의 게인 및 출력 상태를 화면상에 디스플레이시켜주고, 고장 발생시 소정 알람을 울려주는 스피커(도시되지 않음)를 갖는 모니터부(64)가 더 구비된다.
또한, 본 발명에는 상기 합성기(59)로부터 출력된 합성 전력을 감지하는 합성전력 감지부(61)와, 상기 합성기(59)로부터 출력된 합성 전력중 역류되는 손실전력을 감지하는 손실전력 감지부(62)가 더 구비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동통신 기지국 또는 중계기에서는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송출된 RF 신호를 안테나로 수신받아 다시 상대방 단말기로 송출하기 전에 LPA로 전력 증폭을 시키게 되는데, 이때 이용되는 것이 LPA이다.
LPA 모듈은 소정 개수의 LPA로 구성되는데 기존의 LPA 전용 합성장치의 경우에는 동일 출력(25W, 50W, 60W)을 갖는 소정 개수의 LPA의 출력을 하나로 합성하므로 예컨데, 4개의 LPA 중 어느 하나에 고장이 발생되면 원하는 출력을 얻기가 힘들어진다.
이에 반하여 본 발명에 의한 LPA 혼용 합성장치의 경우에는 상기와 같은 출력 저하시 나머지 3개의 LPA의 해당 페이저 쉬프트의 위상을 변화시키고 LPA의 게인을 조절하여 각 LPA의 출력을 높임으로써 원하는 출력에 도달할 수 있게 된다.
지금부터 4개의 LPA로 구성된 LPA 모듈부를 갖는 LPA 혼용 합성장치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RF 신호가 LPA 혼용 합성장치의 입력단에 입력되면 일차적으로 밴드 패스 필터부(50)를 거쳐 소정 주파수 대역으로 필터링된 후 프리 앰프부(51)를 거쳐 소정 신호로 증폭된다.
소정 신호로 증폭된 RF 신호는 다시 4 웨이 분리기(53)에 인가되어 4개의 신호로 분리된 후 그 후단에 연결된 페이저 쉬프터(58)로 각각 보내어진다.
이때, 상기 각 페이저 쉬프터(58)의 전단에는 소정 개수의 아이솔레이터(54)가 구비되어 LPA(55)에서 증폭된 전력이 다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또, 상기 아이솔레이터(54)의 후단에는 지연라인부(57)가 구비되어 상기 LPA 모듈부(56)의 각 LPA 처리속도가 틀릴 경우에 이를 동기화시켜준다.
상기 페이저 쉬프터(58)는 동일한 출력을 갖는 LPA 모듈에서는 불필요하나 본 발명과 같이, 각 LPA의 출력이 다른 혼용 LPA 모듈에서는 각 LPA 모듈 종류에 따라 위상 및 지연(Delay)이 틀려 각 LPA의 위상을 하나의 위상으로 맞추어줄 필요가 있기 때문에 반드시 필요하다. 이는 각 LPA의 위상이 서로 틀릴 경우에는 합성기에서 각 LPA의 출력을 합성해도 원하는 합성 출력값이 제대로 나오지 않기 때문이다.
아무튼 상기 페이저 쉬프터(58)에 RF 신호가 입력되면, 예컨데 60W LPA의 위상을 0°으로 했을 때 25W LPA의 위상을 90°로 맞춰주어야 동일한 위상으로 보상되므로 25W LPA의 전단에 있는 페이저 쉬프터(58)는 해당 RF 신호의 위상을 90° 민큼 쉬프트시킨 후 LPA 모듈부(56)로 보내주게 된다.
상기 LPA 모듈부(56)의 각 LPA(55)로 RF 신호가 입력되면 LPA 게인(Gain)에따라 전력 증폭되어 출력되는데, 이때 상기 LPA모듈부(56)의 각 LPA 출력 정보가 제어부(63)에 인가되고 이를 확인한 상기 제어부(63)의 제어하에 모니터부(64)의 화면상에 각 LPA의 각종 출력정보가 디스플레이되게 된다.
즉, 모니텁부(64)의 화면상으로 상기 LPA 모듈부(56)를 이루는 각 LPA의 출력 정보(Power output information), 게인 정보(Gain information) 및 알람 정보(alarm information) 등이 출력되며 또, 만약 소정 LPA에 과전류가 흐르거나 고장이 발생했을 경우에는 상기 모니터부(64)의 스피커로 알람을 울릴 수도 있고 또 화면상으로 경고표시를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예컨데, 4개의 LPA 중 어느 한 LPA의 출력이 저하되면 이러한 출력정보가 상기 제어부(63)에 인가되고 제어부(63)는 문제가 발생된 해당 LPA를 확인한 후 나머지 3개의 LPA를 가지고 원하는 출력을 얻을 수 있도록 제어한다. 즉, 나머지 3개 LPA의 게인을 높일 수 있도록 AGC 회로부(52)에 소정 제어신호를 보내게 된다.
상기 제어부(63)로부터 제어신호를 인가받은 AGC 회로부(52)는 계산치에 따라 해당 LPA의 게인을 조절할 수 있도록 다시 프리 앰프부(51)를 제어하여 입력된 RF 신호를 증폭시키게 된다.
따라서, 증폭된 RF 신호가 다시 상기 아이솔레이터(54) 및 지연라인부(57)를 거쳐 상기 LPA 모듈부(56)에 인가되면 3개 LPA의 각 게인이 보상되어 원하는 출력전력을 얻을 수 있게 된다.
상기 LPA 모듈부(56)에서 각 LPA를 거쳐 소정 전력이 출력되면 합성기(59)에서 이를 합성한 후 합성된 RF 신호를 다시 안테나(도시되지 않음)를 통해 상대방단말기가 있는 지역으로 송출하게 된다.
이때. 상기 합성기(59)의 후단에는 합성전력 감지부(61)가 구비되어 합성기(59)로부터 출력된 합성전력을 감지한 후 감지 데이터를 제어부(63)로 보내주고, 또 그 후단에는 손실전력 감지부(62)가 구비되어 RF 신호가 출력될 때 소비되는 손실전력을 감지한 후 감지 데이터를 상기 제어부(63)로 보내주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63)는 상기 감지 데이터들을 인가받아 설정 출력전력과 비교한 후 결과치를 모니터부(64)를 제어하여 화면상으로 디스플레이해준다.
한편, 상기 합성기(59)의 전단에는 각 LPA에 대응되는 차단 스위치부(60)가 구비되는 바. 상기 LPA 모듈부(56)의 소정 LPA에 과전류가 흐를 경우, 이를 상기 제어부(63)가 출력 정보를 통해 확인한 후 과전류가 흐르는 해당 차단 스위치부(60)를 제어하여 출력을 차단시킴으로써 후단에 있는 합성기(59)를 보호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하면 N-웨이 합성기(N은 0을 제외한 정수)를 채용하여도 2-웨이 합성기에 비해 출력전력의 손실없이 최대의 출력전력을 얻어낼 수 있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합성기(59)측 합성선로(A∼B) 및 합성 접합부(B)와 출력단(C) 사이의 전송선로 길이를 λ/4로 정한 상태에서 합성선로 임피던스 값과, 합성 접합부(B)와 출력단(C) 사이의 전송선로 임피던스 값을 아래 식에 의해 각각 산출하여 각 선로의 임피던스 값을 결정함으로서 출력전력의 손실을 최소화하고 역전력의 발생을 어느 정도 막을 수 있다.
여기서, ZO: 특성 임피던스, ZIN: 입력측 임피던스, ZL: 부하 임피던스 이다. 물론 이때, ZIN값은 합성하는 웨이의 개수에 따라 다르게 주어진다.
또한, 합성선로 임피던스값과 합성 접합부(B)와 출력단(C) 사이의 전송선로 임피던스값은 웨이의 개수에 따라 상대적 비율이 결정된다.
이상의 설명에서 알 수 있는 바와같이, 본 발명은 기지국 또는 중계기에 설치되어 입력된 RF 신호를 분리하고 다수의 전용 LPA로 전력 증폭한 후 다시 각 출력전력을 합성해주는 LPA 분리/합성장치에 있어서,
RF 신호가 입력되면 소정 주파수 대역으로 필터링하는 밴드패스 필터부(50)와, 상기 밴드패스 필터부(50)를 통과한 RF 신호를 증폭시켜 LPA의 게인(Gain)을 보상해주는 프리 앰프부(51)와, 상기 프리 앰프부(51)를 제어하여 LPA의 출력 게인을 자동 조절하는 AGC 회로부(52)와, 상기 프리 앰프부(51)를 통과한 RF 신호를 소정 개수로 분리시키는 분리기(53)와, 상기 분리기(53)를 통과한 RF 신호가 상기 LPA 모듈부(56)에서 증폭된 후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는 다수의 아이솔레이터(54)와, 상기 분리기(53)를 거쳐 분리된 RF 신호를 증폭시키는 다수의 LPA(55)로 이루어진 LPA 모듈부(56)와, 상기 LPA 모듈부(56)의 각 LPA의 동기화를 위해 소정 시간을 지연시키는 지연라인부(57)와, 상기 LPA 모듈부(56)의 각 LPA 위상을 동일한 위상으로 보상해주는 페이저 쉬프터(58)와, 상기 LPA 모듈부(56)로부터 출력된 출력전력을 합성시키는 합성기(59)와, 상기 LPA 모듈부(56)의 소정 LPA에 과전류가 흐를 때 LPA의 출력전력을 차단하는 차단 스위치부(60)와, 상기 LPA의 출력 정보를 인가받아 설정 전력과 동일한지 여부를 확인한 후 설정전력과 틀리다고 확인되면 LPA의 출력전력이 설정전력에 맞게 보상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63)를 구비하여,
이동통신 가입자 수의 변화에 따라 LPA 합성 전력의 출력을 가변시킬 필요가 있을 때 각각 다른 출력의 LPA(25W,50W,60W)를 조합하여 원하는 출력으로 전력합성을 할 수 있다.
또한, LPA 모듈부(56)의 소정 LPA의 출력이 저하되었을 경우에도 상기 제어부(63)가 AGC 회로부(52)를 제어하여 해당 LPA 게인을 자동으로 조절함으로써 차질없이 원하는 출력 전력을 얻을 수 있다.

Claims (6)

  1. 기지국 또는 중계기에 설치되어 입력된 RF 신호를 분리하고 다수의 전용 LPA로 전력 증폭을 한 후 다시 각 출력전력을 합성해주는 LPA 분리/합성장치에 있어서,
    RF 신호가 입력되면 소정 주파수 대역으로 필터링하는 밴드패스 필터부와,
    상기 밴드패스 필터부를 통과한 RF 신호를 증폭시켜 LPA의 게인(Gain)을 보상해주는 프리 앰프부와,
    상기 프리 앰프부를 제어하여 소정 LPA의 출력 게인을 자동 조절하는 AGC 회로부와,
    상기 프리 앰프부를 통과한 RF 신호를 소정 개수로 분리시키는 분리기와,
    상기 분리기를 통과한 RF 신호가 상기 LPA 모듈부에서 증폭된 후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는 다수의 아이솔레이터와,
    상기 분리기를 거쳐 분리된 RF 신호를 증폭시키는 다수의 LPA로 이루어진 LPA 모듈부와,
    상기 LPA 모듈부의 각 LPA의 동기화를 위해 소정 시간을 지연시키는 지연라인부와,
    상기 LPA 모듈부의 각 LPA 위상을 동일한 위상으로 보상해주는 페이저 쉬프터와,
    상기 LPA 모듈부로부터 출력된 출력전력을 합성시키는 합성기와,
    상기 LPA 모듈부의 소정 LPA에 과전류가 흐를 때 해당 LPA의 출력을 차단시키는 차단 스위치부와,
    상기 LPA의 출력전력 정보를 인가받아 설정 전력과 동일한지 여부를 확인한 후 설정전력과 틀리다고 확인되면 LPA의 출력전력을 설정전력에 맞게 보상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여,
    상기 제어부는 다수의 LPA로부터 각 출력전력 정보를 인가받아 어느 LPA의 게인이 부족한지를 판단한 후 상기 AGC 회로부를 제어하여 부족한 출력 전력을 보상시켜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PA 혼용 전력 합성장치.
  2.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상기 LPA 모듈부는 각각 다른 출력(25W, 59W, 60W)의 LPA를 조합하여 구성함으로써 원하는 출력으로 전력 합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PA 혼용 전력 합성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LPA 혼용 전력 합성장치는 상기 LPA 모듈부를 이루는 각 LPA의 게인 및 출력 상태를 화면상에 디스플레이시켜주고, 고장 발생시 알람을 울려주는 스피커가 구비된 모니터부를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PA 혼용 전력 합성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LPA 혼용 전력 합성장치는 상기 합성기로부터 출력된 합성 전력을 감지하는 합성전력 감지부와, 상기 합성기로부터 출력된 합성 전력중 역류되는 손실전력을 감지하는 손실전력 감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PA 혼용 전력 합성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합성기측 합성선로(A∼B) 및 합성 접합부와 출력단 사이(B∼C)의 길이는 각각 λ/4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PA 혼용 전력 합성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합성기측 합성선로(A∼B)의 임피던스값과, 합성 접합부(B)와 출력단(C) 사이의 전송선로의 임피던스값을 임피던스 특성식
    에 의해 각각 산출하여 각 선로의 임피던스값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PA 혼용 전력 합성장치.
KR1019990044672A 1999-10-15 1999-10-15 Lpa 혼용 전력 합성장치 KR1003128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4672A KR100312823B1 (ko) 1999-10-15 1999-10-15 Lpa 혼용 전력 합성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4672A KR100312823B1 (ko) 1999-10-15 1999-10-15 Lpa 혼용 전력 합성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7261A KR20010037261A (ko) 2001-05-07
KR100312823B1 true KR100312823B1 (ko) 2001-11-03

Family

ID=196154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4672A KR100312823B1 (ko) 1999-10-15 1999-10-15 Lpa 혼용 전력 합성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12823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7261A (ko) 2001-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91939A (en) Mobile radio transmitter with normal and talk-around frequency bands
US5691668A (en) Feedforward amplifier
US6326845B1 (en) Feedforward amplifier
US8078227B2 (en) Radio base station system, a node in a cellular mobile communications network, and a splitter device
US20060165022A1 (en) Circuit arrangement for operating transceivers on an antenna
WO2002071632A2 (en) Improved channel booster amplifier
KR100279490B1 (ko) N-웨이 전력 분배기/합성기
KR20010037266A (ko) N-웨이 하이 아이솔레이션 전력 분배기/합성기
GB2266028A (en) Active two-way radio repeater
US6388515B1 (en) Feedforward amplifier
KR100312823B1 (ko) Lpa 혼용 전력 합성장치
KR200396901Y1 (ko) 이동통신 시스템의 다중 채널 결합/분배기
KR100960237B1 (ko) 무선통신용 분산 중계 시스템
JPH03101316A (ja) 無線周波増幅器における増幅度線形化方法およびそれに用いる結合装置
KR100346746B1 (ko) 스위칭 가능한 2-웨이 전력 분배기/합성기
KR100264789B1 (ko)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송신기 입력 및 출력 레벨 측정장치
JP2002152079A (ja) 無線装置
KR100363612B1 (ko) Lpa용 전력합성장치
JP2000353927A (ja) 増幅装置
JP2001237651A (ja) 電力増幅装置
KR100352576B1 (ko) 가변 정합부를 이용한 임피던스 정합형 스위처블 콤바이너
JP3051297B2 (ja) フィードフォワード増幅器の緊急停止回路
JP2000068902A (ja) 電力増幅器
JP2524294B2 (ja) プリント基板パワ―コンバイナ―
JPH06112742A (ja) 並列合成増幅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