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12794B1 - 실내기상용가변조명및음향장치 - Google Patents

실내기상용가변조명및음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12794B1
KR100312794B1 KR1019980063770A KR19980063770A KR100312794B1 KR 100312794 B1 KR100312794 B1 KR 100312794B1 KR 1019980063770 A KR1019980063770 A KR 1019980063770A KR 19980063770 A KR19980063770 A KR 19980063770A KR 100312794 B1 KR100312794 B1 KR 1003127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me
unit
sound
output
ligh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637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47022A (ko
Inventor
방동욱
Original Assignee
방동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방동욱 filed Critical 방동욱
Priority to KR10199800637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12794B1/ko
Publication of KR200000470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470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27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279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6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tim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61M2021/0005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 A61M2021/0027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by the hearing sen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61M2021/0005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 A61M2021/0044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by the sight sen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61M2021/0005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 A61M2021/0083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especially for waking up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syc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lectric Clocks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내 기상 가변 조명 및 음향 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예약한 기상 시간에 조명과 음향을 동시에 점진적으로 증가시켜 마치 태양이 떠오르는 것 같은 실내 환경을 만들어 인체 공학적으로 인체에 충격을 주지 않고 시각과 청각을 자극하여 수면자가 자연 친화적으로 깨어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실내 기상용 가변 조명 및 음향 장치
본 발명은 가옥 내의 실내 조명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조명과 음향을 동시에 점차적으로 증가시켜 수면자가 마치 태양이 떠오르는 아침을 맞이할 때의 기상 환경과 유사한 실제적인 분위기를 맞게해 줌으로써 준비된 마음과 상쾌한 기분으로 잠이 깰 수 있도록 하는 실내 기상 가변 조명 및 음향 장치에 관한 것이다.
하루의 일과를 시간에 맞게 시작하는 것이 중요한 사람들에게는 하루의 시작 시간과 업무의 시작 시간을 알려주는 것이 매우 절실히 요구되는데, 이를 위하여 종래의 자명종에는 현재 시각을 나타내는 단순한 시계의 기능, 곧 시간 제공의 기능 외에 더 부가하여 지정된 시간이 되었음을 알려주는 알림 기능, 곧 알람 기능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기능은 시간 관리를 더 철저히 하고 아침을 더 일찍 깨우기 위한 입시생, 연구원, 교수, 중역, 및 종교인 등 하루의 시작을 중요시하는 직무를 가진 사람들에게는 더없이 필요한 수단이 된다.
일반적으로 기상 기능이 수면자에게 효과적으로 제공되기 위해서는 인체에 대한 수면학적인 특성 내지 생체학적인 특성이 잘 파악되어 적용되어야 할 것이다. 수면자가 아침을 깨울 때 나타나는 중요한 생체학적인 특성은 눈을 제대로 뜨지 못하고 쉽게 찡그리게 된다는 것이다. 이로 볼 때 인체의 눈은 빛을 수용하는 광 수용 기관이기는 하나 갑작스러운 외부 자극인 빛의 쪼임에 대하여 재빨리 정상적으로 반응하지 못한다는 것이다. 뿐만아니라 수면자가 아침을 깨울 때 나타나는 중요한 생체학적인 특성은 소리에 매우 민감히 반응하여 쉽게 짜증을 잘 낼 수 있다는 것이다. 이로 볼 때 인체의 귀는 음파를 수용하는 음파 수용 기관이기는 하나 수면 상태에서 거의 정지 상태에 있었던 뇌와 신경 시스템에 주어지는 외부 자극의 소리에 대하여는 자극을 넘어 충격이 되기 쉽다는 것이다.
수면자가 효과적으로 기상하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하기 위하여 종래의 장치들은 전술한 생체공학적인 특성 중에서 청각적인 기능 곧 자명종을 대부분 사용하여 왔다. 종래의 자명종은 미리 예약된 기상하고자 하는 시간에 자명종을 울리게 하여서 수면자를 시간에 맞게 깨워 주는 기능을 하였으나, 수면 상태는 인체 공학적으로 볼 때 뇌의 활동이나 신경 활동 또는 안구의 상태나 내장과 근육의 움직임이 실질적으로 '정지' 상태에 놓여 있는 상황이기 때문에 자명종의 울림은 수면자의 뇌와 신경 시스템에 '충격'을 줄 수 있어 하루의 시작인 아침을 불쾌하게 만드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갑작스러운 자명종의 울림으로 정신이 덜 깬 비몽사몽 간의 상태에서 자명종을 꺼 버리고 잠간 잠이 들어 버리면 더이상 시간 알람 기능을 제대로 발휘할 수 없는 것이 단점이었다. 또한 수면자가 더욱이 어린 아기나 신경이 약한 사람이라면 더욱 큰 불쾌감과 신경 불안 또는 신경 쇄약도 일으킬 수 있다.
이러한 문제에 대한 해결책으로서 자명종의 울림을 시끄러운 벨소리가 아닌 듣기에 친숙한 음악이나 알고 있는 노래 소리로 대체하도록 된 고안이 있다. 이러한 고안은 알람 수단이 시끄러운 벨소리가 아닌 수면자가 알고 있는 음악이나 노래 소리이기 때문에 수면자에게 부담이 덜 되고 뇌와 신경 시스템에 충격을 유발하지 않는 이점이 있는 반면, 수면자의 광 수용 상태는 여전히 적응되지 못한 상태로 남는 문제점이 있으며, 그리하여 깊이 잠든 상태이거나 수면 중 비몽사몽인 상태에서는 시간 인식 알림 기능 곧 알람 기능을 제대로 전달 발휘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수면자가 효과적으로 기상하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하기 위하여 또다른 종래의 장치들은 전술한 생체공학적인 특성 중에서 청각적인 기능 외에 시각적인 기능을 첨가한 고안도 있는데, 대한민국 실용신안 출원번호 88-1080호, 87-17851호에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다른 고안이 개시되어 있다. 종래의 고안에 따르면 수면자가 효과적으로 기상하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하도록 하기 위하여 조명과 음향을 동시에 일률적으로 작동케 하는 조명등과 자명종이 갖추어져 있다.
그러나 상기 고안은 그 목적에 맞게 조명과 음향을 동시에 조절하기는 하나, 그 기능 면에서 일시에 일률적으로 작동함으로 인하여 수면자가 그 충격으로 보다 빨리 깨어나는 기상하는 목적은 달성할 수 있으나 기상 초기 인체 공학적인 시각적인 충격 적응으로 눈을 찡그리는 문제점이 항존할 뿐아니라 기존의 청각적인 충격 적응의 전술한 단점인 뇌와 신경 시스템에 충격을 일으킬 수 있는 문제점을 여전히 안고 있다.
본 고안에 의한 조명과 음향을 변화시키는 실내 기상 가변 조명 및 음향 장치의 목적은 수면 과학을 바탕으로 조명과 음향을 점진적으로 증가시켜 뇌와 신경 시스템에 충격을 일으키지 않고 서서히 기상을 인식하게끔 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수면자가 효과적으로 기상하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하기 위하여 생체학적으로 기상 적응 특성을 잘 수용하도록 적합하게 적용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뿐만아니라 종래의 장치로 인하여 수면자가 소리에 자극에 대하여 쉽게 짜증을 내는 것과 갑작스러운 외부의 광 자극에 대하여 눈을 찡그리게 되는 부적응 상태를 극복하기 위하여 예약된 시간에 점진적으로 조명과 음향을 증가시켜 뇌와 신경 시스템을 적응시키고 안구의 광 수용 상태를 활성케 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장치는 현재 시각을 나타내는 타이머부와, 기상 시각을 지정하는 기상 시각 입력부와, 상기 타이머부 및 상기 기상 시각 입력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타이머부 및 상기 기상 시각 입력부으로부터 입력된 두 시각을 비교하여 그 시각이 일치하는 경우에 전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의 크기를 제어하여 제 1 지정 시간 동안에는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출력을 생성하고 제 1지정 시간이 만료되는 시점으로부터 제 2 지정 시간 동안에는 일정값을 갖는 출력을 생성하는 방식으로 가변적으로 출력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에서 발생되는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 출력부는 외부 음향기 및/또는 외부 조명등에 연결될 수 있다.
또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장치는 현재 시각을 나타내는 타이머부와, 기상 시각을 입력하는 기상 시각 입력부와, 상기 타이머부 및 상기 기상 시각 입력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타이머부 및 상기 기상 시각 입력부로부터 입력되는 두 시각을 비교하여 그 시각이 일치하는 경우에 전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의 크기를 제어하여 가변적인 출력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출력 신호에 따라 작동되며 가변 광량으로 조명할 수 있는 조명부와, 상기 제어부의 출력 신호에 따라 작동되며 가변 청취음을 발생시킬 수 있는 음향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위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상 시각 입력부에서 지정된 기상 시각에서 첫 출력 신호를 생성하기 시작하여 사용자가 지정하는 제 1 지정 시간까지는 시간에 비례하여 생성 출력을 증가시키고 상기 제 1지정 시간이 만료되는 시점으로부터 사용자가 지정하는 제 2 지정 시간까지는 일정 출력을 생성하게 함으로써 상기 출력에 연결되는 상기 음향부와 상기 조명부의 작동 세기를 변동시킨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2 지정 시간이 지난 후에 사용자가 지정하는 제 3 지정 시간까지는 다른 일정 출력을 더 생성하게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장치는 전원 인가와 조명 및 음향 기능 선택을 할 수 있는 스위치부와, 현재 시각을 나타내는 타이머부와, 기상 시각의 입력 및 작동 시간의 범위를 지정할 수 있는 시간 입력부와, 상기 스위치부, 타이머부 및 상기 시간 입력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타이머부 및 상기 시간 입력부로부터 입력되는 시각을 비교한 후 그 시각이 일치되었을 경우 전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의 크기를 제어하여 가변적인 출력 신호를 발생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출력 신호에 따라 작동되며 가변 광량으로 조명할 수 있는 조명부와, 상기 제어부의 출력 신호에 따라 작동되며 가변 청취음을 발생시킬 수 있는 음향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위에서 상기 시간 입력부는 기상 시각을 지정하는 기상 시각 입력키와, 상기 제어부의 가변 출력 시간을 지정하는 제 1지정 시간 입력키, 상기 가변 출력 시간이 만료된 후 일정 출력을 생성시키는 지속 시간을 지정하는 제 2지정 시간 입력키, 상기 일정 출력 지속 시간이 만료된 후 최대 출력을 생성시키는 지속 시간을 지정하는 제 3지정 시간 입력키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과 음향을 시간에 따라 변화시킨다.
또한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시스템을 온/오프 시키는 온/오프 스위치와, 음향과 조명을 각각 선택하거나 또는 동시에 작동할 수 있도록 선택할 수 있는 음향/조명 선택 스위치와, 음향만을 다시 작동할 수 있는 음향 반복 스위치를 더 포함한다.
한편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시각 입력부에서 지정된 기상 시각에서 첫 출력 신호를 생성하기 시작한 때로부터 제 1지정 시간 입력키에 의하여 지정된 제 1지정 시간까지 시간에 비례하여 생성 출력을 증가시키고, 상기 제 1 지정 시간이 만료되는 시점으로부터 제 2지정 시간 입력키에 의하여 지정된 제 2지정 시간까지 일정 출력을 생성하게 함으로써 상기 출력에 연결되는 상기 음향부와 상기 조명부의 작동 세기를 가변적으로 변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2 지정 시간이 만료되는 시점으로부터 제 3지정 시간 입력키에 의하여 제 3지정 시간까지 또다른 일정 출력을 더 생성할 수 있다.
또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제어부에 입력되는 상기 시간 입력부와 상기 스위치부는 리모트 컨트롤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으로 자명종을 갖춘 조명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내부 회로를 도시하는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제어부의 출력 신호의 크기 변화를 도시하는 그래프.
도 4a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제어 방법을 도시하는 순서도.
도 4b는 도 4a에 이어지는 본 장치의 제어 방법을 도시하는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음향부와 조명부를 장착한 장치의 사시도.
도 6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리모콘으로서 외부 조명등과 외부 음향기를 무선으로 제어하는 회로를 도시하는 블럭도.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가 : 조명등 나 : 자명종
10 : 실내 기상 가변 조명 및 음향 장치 20 : 타이머
22 : 기상 시각 입력부 24 : 제어부
40 : 음향부 42 : 조명부
이제 일반적으로 자명종이 갖추어진 조명 장치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서 자명종이 갖추어진 조명 장치는 실내를 조명하는 조명등(가)과 기상 시각이나 예약된 시각이 되었음을 알려주는 자명종(나)과 이러한 기구들을 지지해주고 제어 회로를 보호하는 지지대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 조명등만을 단독으로 사용할 수 있는 조명 스위치(s1)와 자명종의 타종을 정지시키는 자명종 스위치(s2)가 설비되어 있다. 이 장치는 조명등과 자명종이 일체형으로 구성된 것으로서 자명종의 예약 시간이 도래하면 자명종의 타종이 시작되고 동시에 조명등의 내부스위치가 자동 연결되어 조명등이 동작된다. 그후 수면자가 잠이 깨어 자명종 스위치(s2)를 누르면 자명종의 타종은 멈추고 조명등만 작동하게 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자명종이 갖추어진 종래의 조명 장치(도 1)는 자명종의 타종과 조명등의 점등이 동시에 일률적으로 일어나기 때문에 수면자의 고요한 수면 상태를 일시에 자극하는 강한 빛과 센 소리로 더빨리 잠을 깨우고 기상하게 하는 장점이 있는 반면, 생체학적으로 볼 때 수면자의 고요한 수면 상태를 갑자기 뒤흔들게 됨으로써 뇌와 신경 시스템 및 안구의 운동 상태를 무리하게 자극하는 부작용 및 심미적 불쾌감을 여전히 유발할 수 있다.
이제 본 고안에 따른 장치가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장치(10)의 입력부는 전원(44)과 연결되어 있고, 출력부는 외부에 연결된 조명등(42)과 음향기(40)와 연결되게 된다. 본 장치(10)는 현재 시간을 나타내는 타이머(20)와 이 타이머로부터 나타난 시간과 사용자가 예약시킨 기상 시각을 비교하여 그 비교 결과에 따라 출력 신호를 송출하는 제어부(24)로 구성되어 있다. 이 제어부(24)는 전원(44)으로부터 입력된 전압을 변화시켜 변화된 출력을 음향기(40)나 조명등(42)으로 공급한다. 본 장치(10)는 전원으로부터 입력되는 전원의 전압을 제어부(24)에서 출력 전압을 변화시켜 조명등과 음향기의 작동 정도를 증가시키게 된다.
본 장치에는 제어부를 작동시키는 온(on) 상태와 제어부를 작동시키지 않는 오프(off) 상태 중 어느 하나를 지시하는 전원 스위치(26)가 장착되어 있다. 전원 스위치가 오프 상태를 지시하고 있다면 사용자가 본 장치(10)의 실내 기상 장치를 사용하지 않는다는 뜻이므로 제어부는 더 이상 작동되지 않으며, 반면에 만약 전원 스위치가 온 상태를 지시하고 있다면 사용자가 본 장치를 사용하기를 원한다는 것을 뜻함으로 제어부는 그 기능을 나타내기 위해서 작동하는데, 먼저 사용자가 예약한 기상 시각 입력부(22)로부터 기상 시각을 입력한 뒤 타이머(20)가 나타내는 시각을 기상 시각과 비교하여 그 비교 결과에 따라 출력 신호를 출력 변환부로 전송하게 된다.
본 장치에는 또한 음향기와 조명등을 필요에 따라 여러 기능으로 선택적으로 사용하게 하는 스위치가 장착되어 있는데, 예를 들면 방금 들은 음을 다시 들을 수 있도록 해주는 음향 반복 기능, 음향기만 작동되게 해주는 음향 전용 기능, 조명등만 작동되게 해주는 조명 전용 기능 등이 있다.
제어부와 연결된 음향기(40)나 조명등(42)은 본 장치(10)의 외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므로 기존의 스피커나 탁상용 스탠드일 수 있다. 여기에서 사용되는 탁상용 스탠드는 백열 전구를 사용하는 스탠드가 바람직하다. 본 장치(10)는 그 크기가 소형으로 제작이 가능하므로 음향기(40) 또는 조명등(42) 내에 설비될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제어부의 출력 신호의 크기를 시간에 따라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제어부는 타이머의 현재 시각이 사용자가 예약한 기상 시각과 일치하는 시각(t1)에서 비로소 출력 신호를 전송하게 된다. 제어부의 출력 신호가 전송되기 시작하면서 시간이 지남에 따라서 점진적으로 그 출력의 크기가 시간에 비례하여 증가하기 시작하는데, 이는 일반 가정의 상시전원 220V의 전원을 인버터 회로를 이용하여 1시간을 60등분 내지 100등분으로 분할하여 그 분할된 간격으로 전원을 상승시키게 한다. 이렇게 미세하게 분할하여 그 크기를 동작시키므로 갑작스러운 증가가 없어 인체의 뇌 및 신경 시스템 또는 안구의 작용에 생체학적인 충격 자극이 일어나지 않게 된다. 또한 인버터 회로의 전압 변동 간격을 다르게 시행함으로써 또다른 출력 곡선이 그려질 수 있는데, 그 예로 도 3에 있는 그래프의 점진적인 증가 곡선이 꺾은 선 즉 계단 형으로 나타날 수도 있다.
이제 예약 시각(t1)에서 시작된 빛과 음악은 그 시각에 전송된 제어부의 출력 신호로 조명부와 음향부에서 일어나게 되는데, 시간이 흐름에 따라 점진적으로 그 세기가 증가하게 된다. 이렇게 증가된 제어부의 출력은 약 30분 까지 계속 증가하다가 최대 크기에 도달(t2)하게 되는데, 이때(t2)부터는 최대 크기의 출력으로 전력을 전송하게 된다. 시각(t1)과 시각(t3) 사이에서 사용되는 음악은 사용자가 그 기호에 따라 카세트 테이프나 CD등으로 지정하여 선택할 수 있다. 다만 시각(t1)과 시각(t2) 사이의 시간, 즉 제 1지정 시간에서는 그 음향의 크기가 점차 증가하면서 변동하는 반면, 시각(t2)과 시각(t3) 사이의 시간, 즉 제 2지정 시간에서는 그 음향의 크기가 일정한 크기로 유지된다는 점이 서로 다르다. 물론 상기 시간에 대한 빛의 밝기도 도 3에 나타나 있는 그래프의 모양에 따라 변동하게 됨은 당연하다. 사용자에 따라 지정되는 제 2지정 시간(t2~ t3)은 약 30-90분으로 이 기간 동안 제어부는 일정 크기의 출력으로 전력을 계속 전송한다.
이 시간 동안 마인드 컨트롤을 하는 음악을 사용함으로써 무의식적인 상태에 있는 뇌와 신경 시스템을 활성화하고 그 의식을 깨우게 된다. 또한 이 시간에 기상시 음향에 담겨진 메시지를 듣게 됨으로써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암기가 되고 연상이 되어 암기력 훈련에 도움이 될 뿐만아니라 자신감과 인내력을 배양하게 된다.
그리고 제 2지속 시간이 끝나는 시점(t3)에서 마지막 기상 요청 기능을 수행하는 충격 출력 신호를 전송하게 된다. 시각(t3)에서부터 시각(t4) 사이의 시간, 즉 제 3지정 시간 동안에 이 일이 일어나게 된다. 이 신호는 사용자에 따라 지정되며 약 1분에 걸친 시간 동안 지속된다. 마지막 1분이 지나고 나면 제어부는 자동으로 시스템의 전원을 오프하고 정지한다. 제어부가 시스템을 오프하기 전에 사용자는 여러 기능을 선택하여 제어부에 입력하여 그 기능을 재 수행하게 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음향 반복 기능을 선택하면 다시 들을 수 있다.
이제 또다른 도 4를 보면서 제어부의 작동에 대한 순서를 살펴보기로 한다. 전원 스위치가 온 상태가 되면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그 작동을 시작하게 된다. 먼저 제어부는 전원을 입력받아 기상 시각 입력부로부터 기상 시각이 지정이 되어 있는 지를 판단하고(102), 기상 시각 입력부로부터 기상 시각이 입력되어 있지 않으면 기상 시각이 지정되기까지 대기 상태로 있고, 기상 시각이 입력되어 있으면, 60분의 카운트 시간을 설정 및 60분의 카운트 시간을 개시한다(103). 카운트가 시작되면 제어부는 기상시각이 현재 시각과 일치하는지를 판단하여, 일치하면 카운트를 시작한다(105). 카운트가 개시된 이후, 카운트 진행 시간이 0분을 지났는지를 판단하여(106), 아직 카운트가 시작되지 않았다면 상기 105단계로 진입하여 카운트를 재시작하고, 카운트가 시작되어 0 분을 지나게 되었다면 본 장치 내에 일체형으로 장착되어 있는 음향부의 음향 볼륨을 제 1레벨(#1)로 온(on)하고 동시에 조명부로 입력되는 전압을 제 1레벨(#1)로 온(on)하게 된다(108). 이 제 1레벨의 크기는 음향부와 조명부를 가동하는 가장 낮은 크기의 레벨로서 여기서부터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차 그 크기가 커지게 된다. 이 레벨의 크기로 음향부와 조명부는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하게 된다.
시간이 흐르면 다음 단계에서 일정 시간 간격, 예를 들면 50ms 간격으로 카운트 시간이 1분이 지났는지를 묻게 된다(110). 만약 아직 카운트 시간이 0분은 지났으나 1분은 아직 경과 되지는 않았다면 상기 108 단계의 레벨(#1)의 전력을 계속 공급하고, 만약 카운트 시간이 1분을 넘어 서게 되면 음향부의 볼륨 레벨을 제 2단계로 온 하며 조명부의 전압 레벨을 또한 제 2단계(#2)로 온 하게 된다(112).
이제 음향부와 조명부는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점차 그 전력의 크기를 증가시키면서 작동하게 되는데 이것을 통하여 수면자의 수면을 급격하게 방해하지 않고 조금씩 조금씩 수면자의 뇌와 신경 시스템을 자극하기 시작하게 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1시간을 60등분 간격으로 점차 음향부와 조명부의 작동 전력을 증가시키면서 점차 강도 높게 작동되게 되는 것이다. 이곳은 가변 출력 단계로서 도 3에서 도시된 시각(t1)에서 시각(t2) 사이의 시간, 즉 제 1 지정 시간 동안 계속해서 반복하게 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60단계를 최종적으로 지나(114, 116), 카운트 시간이 60분이 넘어서면, 비로소 타이머를 정지시키고(118) 또다른 지연시간으로 1시간을 설정하여 타이머를 재설정하게 된다. 이곳은 일정 출력 단계로서 도 3에서 도시된 시각(t2)에서 시각(t3) 사이의 시간, 즉 제 2 지정 시간 동안 계속되는 전원 공급 시간에 해당하는 곳이다. 타이머가 재설정되고 재시작되면 일정 시간 간격, 예를 들면 50ms 간격으로 카운트 시간이 1시간이 지났는지를 판단한다(120). 아직 지연 시간 1시간을 넘지 않았으면 계속해서 그 지연시간이 될 때까지 음향부와 조명부를 마지막 60 단계의 전력의 크기 레벨로 온(on) 한 상태에서 가동시키고, 만약 지연 시간 1시간에 도달하게 되면 음향부와 조명부의 전원 연결 스위치를 오프(off)시키게 된다(122).
이렇게 제어되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도 2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에 의한 장치(10)에 음향부가 더 장착되어 제조될 수도 있다. 또한 도 2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장치(10)에서 조명부가 더 장착되어 일체형으로 제조될 수도 있다. 한편 도 2에서 도시되어 있는 음향부는 실내 기상 장치(10)의 외부에 연결되어 있으며 기존의 스피커 또는 외부 기기 즉 카세트, 오디오, TV 등과 연결될 수 있다. 반면 도 2에 도시된 장치를 변형한 장치는 음향부가 내장될 수 있는 기기 즉 카세트, CD, 오디오 등과 함께 일체형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렇게 변형된 실내 기상 장치는 종래에 사용되는 외부 조명등과 상호 연결하여 사용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 2의 실시예로 본 발명의 장치는 도 2의 음향부와 조명부를 모두 내장시켜 놓을 수 있다. 일체형으로 제조되는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신제품의 상품화를 도모하는 것으로서 그 외형의 일례로 도 5에 있는 것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완성된 제품은 조명부와 음향부가 모두 내장될 수 있는 것으로서 조명등은 탁상용 스탠드에서부터 장식용 스탠드까지 여러 모양으로 가능하다.
도 2는 본 실내 기상 장치가 음향부 또는 조명부와 전원 사이에 장착되어 제어하는 것을 도시하는데, 이 양식으로 제조된 장치는 일반 주택의 거실, 룸 또는 각종 조명기구의 온/오프 스위치에 대체하여 부착시켜 그 기능을 수행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도 5의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테이블용 스탠드형, 침실용 스탠드용, 침실용 천장 거치용, 침실용 벽면 내장용 등 거주 공간의 모든 곳에 특별 제작되어 적용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 2의 실시예로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조명부와 음향부가 제어부와 일체형으로 되어 있을 수 있는 반면, 도 6는 조명부와 음향부가 제어부와 분리형으로 되어 있는 제 3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TV, 오디오, 라디오, CD 등의 전기 기기에 대부분 활용하고 있는 리모콘 장치를 사용함으로써 조명부와 음향부가 제어부와 분리되어 있더라도 손쉽게 제어할 수 있고 또 그 거리에 관계없이 재빨리 작동시킬 수 있는 장점이 부각된다. 여기에서는 다만 제어부 외에 리모콘의 적외선 전송을 위하여 송신부(60)가 별도로 설치된다. 또한 조명부(42)와 음향부(40)에 별도의 수신부가 장착된다. 물론 이 경우에 리모콘 장치의 에너지원을 공급하기 위하여 건전지나 일반적으로 상용되고 있는 다른 배터리가 그 장치 안에 내장된다.
본 발명은 사용되는 음악과 빛의 색깔을 달리 함으로써 기상하는 수면자의 분위기를 다르게 연출할 수 있다. 자연의 소리를 사용하거나 좋아하는 경음악을 사용하여 무의식 상태인 뇌와 신경 시스템을 활성화할 수 있으며 핑크색 필터나 하늘 색 필터 등을 사용함으로써 다양한 실내 분위기를 연출할 수도 있다. 특히 신경계가 민감한 사람이나 어린 아기에게 사용함으로써 수면자의 정서를 함양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고, 스트레스에 시달리는 사람들의 피로 회복에 심미적인 효과를 일으킬 수 있다.
본 발명은 기존의 스탠드에 장착되어 그 기능을 발휘할 수 있고, 각종 조명 기구의 온-오프 스위치에 대체하여 부착될 수 있다. 인버터를 사용하여 전력을 변화시킴으로 백열 전구와 같은 조명등과 AM, FM, 테이프, CD, TV 의 음향기에 적용될 수 있다. 예약 시간이 되면 작동되어 지정된 시간이 지나면 자동 오프되므로 소비전력 또한 적은 이점이 있다. 더욱이, 아침에 일정한 음악을 들으면서 잠이 깨게 되므로 무의식적으로 뇌의 암기력을 높이고 기억시키는 교육적 효과도 기대해 볼 수 있다.

Claims (4)

  1. 현재 시각을 나타내는 타이머부와,
    기상 시각을 지정하는 기상 시각 입력부와,
    상기 타이머부 및 상기 기상 시각 입력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타이머부 및 상기 기상 시각 입력부으로부터 입력된 두 시각을 비교하여 그 시각이 일치하는 경우에 전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의 크기를 제어하여 가변적으로 출력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출력 신호에 따라 작동되며 가변 광량으로 조명할 수 있는 조명부와,
    상기 제어부의 출력 신호에 따라 작동되며 가변 청취음을 발생시킬 수 있는 음향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기상 시각 입력부에서 지정된 기상 시각에서 첫 출력 신호를 생성하기 시작하여 사용자가 지정하는 제 1 지정 시간까지는 시간에 비례하여 생성 출력을 증가시키고 상기 제 1지정 시간이 만료되는 시점으로부터 사용자가 지정하는 제 2 지정 시간까지는 일정 출력을 생성하게 하며, 상기 제 2 지정 시간이 지난 후에 사용자가 지정하는 제 3 지정 시간까지는 다른 일정 출력을 더 생성함으로써 상기 출력에 연결되는 상기 음향부와 상기 조명부의 작동 세기를 변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기상용 가변 조명 및 음향 장치.
  2. 전원 인가와 조명 및 음향 기능 선택을 할 수 있는 수위치부와,
    현재 시각을 나타내는 타이머부와,
    기상 시각의 입력 및 작동 시간의 범위를 지정할 수 있는 시간 입력부와,
    상기 스위치부, 타이머부 및 상기 시간 입력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타이머부 및 상기 시간 입력부로부터 입력되는 시간을 비교한 후 그 시각이 일치되었을 경우 전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의 크기를 제어하여 가변적인 출력 신호를 발생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출력 신호에 따라 작동되며 가변 광량으로 조명할 수 있는 조명부와,
    상기 제어부의 출력 신호에 따라 작동되며 가변 청취음을 발생시킬 수 있는 음향부를 포함하며,
    상기 시간 입력부는 기상 시각을 지정하는 기상 시각 입력키와, 상기 제어부의 가변 출력 시간을 지정하는 제 1지정 시간 입력키, 상기 가변 출력 시간이 만료된 후 일정 출력을 생성시키는 지속 시간을 지정하는 제 2지정 시간 입력키, 상기 일정 출력 지속 시간이 만료된 후 최대 출력을 생성시키는 지속 시간을 지정하는 제 3지정 시간 입력키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과 음향을 시간에 따라 변화시키는 실내 기상용 가변 조명 및 음향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시스템을 온/오프 시키는 온/오프 스위치와, 음향과 조명을 각각 선택하거나 또는 동시에 작동할 수 있도록 선택할 수 있는 음향/조명 선택 스위치와, 음향만을 다시 작동할 수 있는 음향 반복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과 음향을 시간에 따라 변화시키는 실내 기상용 가변 조명 및 음향 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시각 입력부에서 지정된 기상 시각에서 첫 출력 신호를 생성하기 시작한 때로부터 상기 제 1지정 시간 입력키에 의하여 지정된 제 1지정 시간까지 시간에 비례하여 생성 출력을 증가시키고, 상기 제 1 지정 시간이 만료되는 시점으로부터 상기 제 2지정 시간 입력키에 의하여 지정된 제 2지정 시간까지 일정 출력을 생성하며, 상기 제 2 지정 시간이 만료되는 시점으로부터 상기 제 3지정 시간 입력키에 의하여 지정된 제 3지정 시간까지 또다른 일정 출력을 더 생성함으로써 상기 출력에 연결되는 상기 음향부와 상기 조명부의 작동세기를 가변적으로 변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과 음향을 시간에 따라 변화시키는 실내 기상용 가변 조명 및 음향 장치.
KR1019980063770A 1998-12-31 1998-12-31 실내기상용가변조명및음향장치 KR1003127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63770A KR100312794B1 (ko) 1998-12-31 1998-12-31 실내기상용가변조명및음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63770A KR100312794B1 (ko) 1998-12-31 1998-12-31 실내기상용가변조명및음향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7022A KR20000047022A (ko) 2000-07-25
KR100312794B1 true KR100312794B1 (ko) 2001-12-28

Family

ID=195703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63770A KR100312794B1 (ko) 1998-12-31 1998-12-31 실내기상용가변조명및음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1279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8428B1 (ko) 2004-04-28 2006-09-26 삼성물산 주식회사 생체리듬에 맞춘 조명을 제어하는 조명 제어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4111A (ko) * 2002-03-12 2002-05-08 김양인 자연스런 기상/수면 유도를 위한 일출/일몰 모사장치
KR20120040968A (ko) * 2010-10-20 2012-04-30 주식회사 지오나스 수면과 기상을 유도하고 음원 재생 기능을 갖는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8428B1 (ko) 2004-04-28 2006-09-26 삼성물산 주식회사 생체리듬에 맞춘 조명을 제어하는 조명 제어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7022A (ko) 2000-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36622B1 (en) Lamp and alarm clock with gradually increasing light or sounds
US20070217290A1 (en) Lights out alarm clock assembly
CN102346436B (zh) 一种自然唤醒装置和方法
US20050152223A1 (en) Timekeeping apparatus
JP2007044201A (ja) 睡眠環境調整システム及び睡眠環境調整方法
US7106662B1 (en) Thermal alarm clock
WO2007000958A1 (ja) 覚醒装置
CN105068581B (zh) 一种室内光线调节系统及调节方法
WO2017020188A1 (zh) 一种室内光线调节系统及调节方法
US20100232261A1 (en) Sunrise alarm clock
WO2010035200A1 (en) Apparatus and techniques for simulating natural light cycles
KR100500711B1 (ko) 자연스런 기상과 수면을 유도하기 위한 일출/일몰의모사장치 및 그 방법
KR100312794B1 (ko) 실내기상용가변조명및음향장치
CN101773697A (zh) 诱导入睡装置
JP2008157774A (ja) 目覚まし照明装置
JPH04264289A (ja) 光式目覚し方法および装置並びに時計
KR101814996B1 (ko) 스마트 폰을 이용한 조명 스탠드
CN113639379A (zh) 一种空调器的睡眠控制方法、装置、空调器及存储介质
JP3509234B2 (ja) 目覚まし装置
CN210518960U (zh) 一种智能夜灯
JP2007328954A (ja) 照明器具
EP0469227A1 (en) Electronic device controlling light sound and magnetic field levels to induce sleep or to condition circadian rhythms
CN112365678B (zh) 一种婴幼儿哭声提醒方法、装置及存储介质
KR101610763B1 (ko) 자연 수면 클리닉 프로그램 조명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20040968A (ko) 수면과 기상을 유도하고 음원 재생 기능을 갖는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01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