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4996B1 - 스마트 폰을 이용한 조명 스탠드 - Google Patents

스마트 폰을 이용한 조명 스탠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4996B1
KR101814996B1 KR1020150079741A KR20150079741A KR101814996B1 KR 101814996 B1 KR101814996 B1 KR 101814996B1 KR 1020150079741 A KR1020150079741 A KR 1020150079741A KR 20150079741 A KR20150079741 A KR 20150079741A KR 101814996 B1 KR101814996 B1 KR 1018149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artphone
sleeping
touch screen
sound
ti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97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43267A (ko
Inventor
김대수
Original Assignee
아이알링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이알링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아이알링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797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4996B1/ko
Publication of KR201601432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32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49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49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5B37/0281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00Shades for light sources, i.e. lampshades for table, floor, wall or ceiling lamps
    • F21V1/14Covers for frames; Frameless shades
    • F21V1/143The cover being attached to a supporting lampshade fram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06Bases for movable standing lamps; Fixing standards to the ba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04Personal or domestic articles
    • F21V33/0052Audio or video equipment, e.g. televisions, telephones, cameras or computers;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F21V33/0056Audio equipment, e.g. music instruments, radios or speak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42Determining effectiveness of advertisements
    • G06Q30/0244Optimiz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72Period of advertisement exposure
    • H05B37/0218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3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F21W2121/00
    • F21W2131/30Lighting for domestic or personal use
    • F21W2131/302Lighting for domestic or personal use for mirr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40Control techniques providing energy savings, e.g. smart controller or presence de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ultimedia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스마트 폰의 알람 조명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조명 스탠드가 개시된다. 취침 시간을 입력받는 인터페이스 모듈;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을 통해 입력받는 취침 시간에 터치스크린을 통해 조명광의 조도를 서서히 낮춰 방사하도록 제어하고, 소정 시간 후에 상기 터치스크린의 조명광을 턴오프하도록 제어하는 취침 조명 모듈;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을 통해 입력받는 취침 시간에 스마트 폰의 스피커를 통해 소정 시간동안 취침 음향을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취침 음향 모듈을 구성한다. 상술한 스마트 폰의 알람 조명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조명 스탠드에 의하면, 스마트 폰의 터치스크린 조명광을 이용하여 조명 스탠드를 구성하고, 취침 시간에는 조명을 서서히 낮추어 끄고 기상 시간에는 조명을 서서히 높여 켜도록 구성됨으로써, 시끄러운 알람 소리없이 보다 부드럽고 자연스러운 취침과 기상을 유도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취침 시간에는 귀뚜라미 소리와 같은 취침 음향을 출력하여 감정적으로 안정감을 주고 편안한 취침에 들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수면중 스마트 폰의 충전도 같이 할 수 있게 되어 매우 유용하다.

Description

스마트 폰을 이용한 조명 스탠드{LIGHT STAND USING SMART PHONE}
본 발명은 스마트 폰에 구현되는 알람 조명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스마트 폰의 알람 조명 장치와 이를 이용한 조명 스탠드(light stand)에 관한 것이다.
자명종은 배터리가 소진되면 동작이 알람 소리가 나오지 않아 기상을 못하게 되는 수가 있다.
요즘에는 자명종 보다는 스마트 폰의 알람 어플리케이션을 주로 사용한다.
알람 어플리케이션은 스마트 폰의 충전중에는 배터리 소진의 염려가 없고 시간이 정확하다는 점에서 매우 장점이 많다.
또한, 다양한 음원중에서 알람 음원을 선택하여 이용할 수 있다는 점과 볼륨 제어도 가능하다는 점이 큰 이점 중의 하나이다.
그러나, 대부분의 사용자들은 작은 소리에는 잘 깨지 않고 기본적으로 큰 음량에 의해 깨는 경우가 많다. 그리고 이러한 알람음은 깊은 잠에 빠진 사용자에게 갑작스러운 큰 알람음을 들려 깨우기 때문에 사용자는 매우 불편하고 불안정한 상태에서 기상을 하게 되는 점에서는 별반 다를바 없다.
때때로 아침 기상 시간의 알람음이 매우 짜증스럽기까지 하다.
한편, 취침 시간이 되면 사용자는 방의 조명등을 끄고 누워 잠에 든다. 갑자기 조명등을 꺼 어두워진 상태에서 오랫동안 잠을 뒤척이기도 한다.
사용자에 따라서는 잠에 들기 어려워 일부러 TV를 켜놓고 취침 설정을 해놓은 상태로 취침에 들기도 한다.
스트레스가 많고 정서적인 안정을 취하기 어려운 현대인들에게는 기상과 취침의 반복이 매우 버겁고 성가신 반복 일상이 될 수 있다.
이에, 보다 편안하고 정서적으로도 안정감을 주면서 취침과 기상을 도와줄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고 본다.
본 발명의 목적은 스마트 폰의 알람 조명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스마트 폰의 알람 조명 장치를 이용한 조명 스탠드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에 따른 스마트 폰의 알람 조명 장치는, 취침 시간을 입력받는 인터페이스 모듈;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을 통해 입력받는 취침 시간에 터치스크린을 통해 조명광의 조도를 서서히 낮춰 방사하도록 제어하고, 소정 시간 후에 상기 터치스크린의 조명광을 턴오프하도록 제어하는 취침 조명 모듈을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을 통해 입력받는 취침 시간에 스마트 폰의 스피커를 통해 소정 시간동안 취침 음향을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취침 음향 모듈을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취침 음향은, 귀뚜라미 소리가 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에 따른 스마트 폰의 알람 조명 장치는, 기상 시간을 입력받는 인터페이스 모듈;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을 통해 입력받는 기상 시간에 스마트 폰의 터치스크린을 통해 조명광의 조도를 서서히 높여 방사하도록 제어하고, 소정 시간 후에 알람 소리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기상 조명 모듈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스마트 폰의 터치스크린을 통해 조명광이 방사되는 동안 상기 터치스크린의 일부 영역에 미리 다운로드받아 저장된 배너 광고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배너 광고 모듈을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에 따른 스마트 폰의 알람 조명 장치를 이용한 조명 스탠드는, 전원 플러그가 연장 형성되는 받침대; 상기 받침대상에 구비되며, 상기 연장 형성되는 전원 플러그를 통해 공급받는 상용 전원에 의해 스마트 폰을 충전하며 상기 스마트 폰을 거치하는 스마트 폰 거치대; 상기 스마트 폰 거치대와 상기 스마트 폰 거치대에 거치되어 터치스크린(touchscreen)을 통해 조명광을 방사하는 스마트 폰을 이격하여 감싸도록 구성되는 전등갓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등갓은, 상기 스마트 폰의 터치스크린에 표시되는 배너 광고를 볼 수 있도록 일부 영역이 투명한 재질로 구성되거나 상기 배너 광고를 확대 표시할 수 있도록 확대 렌즈로 구성되는 투명 윈도우(transparent window)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에 따른 스마트 폰의 알람 조명 장치를 이용한 조명 스탠드는, 전원 플러그가 연장 형성되는 받침대; 상기 받침대상에 구비되며, 상기 연장 형성되는 전원 플러그를 통해 공급받는 상용 전원에 의해 스마트 폰을 충전하며 상기 스마트 폰을 거치하는 스마트 폰 거치대; 상기 스마트 폰 거치대와 상기 스마트 폰 거치대에 거치되어 터치스크린(touchscreen)을 통해 미리 설정된 기상 시간에 서서히 밝아지는 조명광을 방사하거나 미리 설정된 취침 시간에 서서히 어두워지는 스마트 폰을 이격하여 감싸도록 구성되는 전등갓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등갓은, 상기 스마트 폰의 터치스크린에 표시되는 배너 광고를 볼 수 있도록 일부 영역이 투명한 재질로 구성되거나 상기 배너 광고를 확대 표시할 수 있도록 확대 렌즈로 구성되는 투명 윈도우(transparent window)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에 따른 스마트 폰의 알람 조명 장치를 이용한 조명 스탠드는, 전원 플러그가 연장 형성되는 받침대; 상기 받침대상에 구비되며, 상기 연장 형성되는 전원 플러그를 통해 공급받는 상용 전원에 의해 스마트 폰을 충전하며 상기 스마트 폰을 거치하는 스마트 폰 거치대; 상기 스마트 폰 거치대와 상기 스마트 폰 거치대에 거치되어 터치스크린(touchscreen)을 통해 미리 설정된 취침 시간에 취침 음향을 소정 시간 동안 출력하는 스마트 폰을 이격하여 감싸도록 구성되는 전등갓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등갓은, 상기 스마트 폰의 터치스크린에 표시되는 배너 광고를 볼 수 있도록 일부 영역이 투명한 재질로 구성되거나 상기 배너 광고를 확대 표시할 수 있도록 확대 렌즈로 구성되는 투명 윈도우(transparent window)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스마트 폰의 알람 조명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조명 스탠드에 의하면, 스마트 폰의 터치스크린 조명광을 이용하여 조명 스탠드를 구성하고, 취침 시간에는 조명을 서서히 낮추어 끄고 기상 시간에는 조명을 서서히 높여 켜도록 구성됨으로써, 시끄러운 알람 소리없이 보다 부드럽고 자연스러운 취침과 기상을 유도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취침 시간에는 귀뚜라미 소리와 같은 취침 음향을 출력하여 감정적으로 안정감을 주고 편안한 취침에 들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수면중 스마트 폰의 충전도 같이 할 수 있게 되어 매우 유용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폰의 알람 조명 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폰의 알람 조명 장치를 이용한 조명 스탠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폰의 알람 조명 장치를 이용한 조명 스탠드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폰의 알람 조명 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폰의 알람 조명 장치(이하, '알람 조명 장치'라 함)(100)는 인터페이스(interface) 모듈(110), 취침 조명 모듈(120), 취침 음향 모듈(130), 기상 조명 모듈(140), 배너(banner) 광고 모듈(150)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알람 조명 장치(100)는 스마트 폰(10)에 어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되는 조명을 이용하여 취침과 기상을 돕는 장치이다.
기존에는 시끄러운 기상 알람을 이용하여 사용자를 깨우기 때문에 자다가도 감정적으로 좋지 않은 느낌으로 기상을 하게 되는데, 알람 조명 장치(100)는 소리가 아닌 조명을 이용하여 사용자를 깨우기 때문에 정서적으로도 안정감을 가진 상태에서 자연스럽게 기상을 하게 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잘 때에도 스마트 폰(10)의 조명을 서서히 낮추어 잠이 들도록 유도하며, 특히 안정감을 느끼며 취침에 들 수 있도록 하는 음향을 출력하여 잠에 들게 한다.
이하, 세부적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취침 프로세스에 대해 설명한다.
인터페이스 모듈(110)은 취침 시간을 입력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 모듈(110)은 스마트 폰(10)의 터치스크린(10a)에서 취침 시간을 입력받을 수 있는 메뉴를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취침 조명 모듈(120)은 인터페이스 모듈(110)을 통해 입력받는 취침 시간에 터치스크린(10a)을 통해 조명광의 조도를 서서히 낮춰 방사하도록 제어하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취침 조명 모듈(120)은 소정 시간 후에 터치스크린(10a)의 조명광을 턴오프하도록 제어하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취침 시간이 밤 11시로 설정된 경우, 11시부터 10분간 조명광의 조도를 서서히 낮춰 방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조명광이 점차 어두워지다가 꺼지게 되면 사용자의 자연스러운 수면이 유도되게 된다.
취침 음향 모듈(130)은 인터페이스 모듈(110)을 통해 입력받는 취침 시간에 스마트 폰(10)의 스피커(10b)를 통해 소정 시간동안 취침 음향을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취침 시간이 밤 11시로 설정된 경우, 11시부터 10분간 취침 음향이 출력되며, 그 이후에는 취침 음향을 종료하게 된다.
이러한 취침 음향은 사용자가 편히 잠에 들 수 있게 하는 안정감을 주고 수면을 유도하는 음향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태아가 엄마 뱃속에 있을 때에는 귀뚜라미 소리와 유사한 소리를 듣게 되는데, 이러한 귀뚜라미 소리는 사람에게 안정감을 주고 잠을 유도하는 데 도움이 된다.
이러한 취침 조명 모듈(120)과 취침 음향 모듈(130)은 둘 중 하나만 구동되거나 둘 모두 동시에 구동될 수 있다.
취침 시간 이후에는 터치스크린(10a)의 조명광은 기상 시간까지 꺼지게 되며 취침 음향도 종료된 상태로 유지된다.
다음으로 기상 프로세스에 대해 설명한다.
인터페이스 모듈(110)은 기상 시간을 입력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 모듈(110)은 스마트 폰(10)의 터치스크린(10a)에서 기상 시간을 입력받을 수 있는 메뉴를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기상 조명 모듈(140)은 인터페이스 모듈(10a)을 통해 입력받는 기상 시간에 스마트 폰(10)의 터치스크린(10a)을 통해 조명광의 조도를 서서히 높여 방사하도록 제어하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조명광이 점차 밝아지게 되면, 사용자는 아침 해가 밝아오면서 깨게 되는 것과 같은 효과를 얻게 된다. 시끄러운 알람 소리보다는 매우 편안하고 안정된 상태에서 기상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기상 조명 모듈(140)은 기상 시간 이후 소정 시간 후에 알람 소리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상 시간이 아침 6시인 경우, 6시부터 10분간 조명광이 밝아지고 10분이 경과하면 알람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가 조명광에 깨지 않은 경우에는 알람 소리를 이용하여서라도 깨울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만약, 사용자가 조명광에 의해 기상을 하고 스마트 폰(10)의 조명광을 턴오프(turn off)시키는 경우, 알람 소리는 10분 경과 후에도 출력되지 않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상 후에는 알람 소리가 불필요하기 때문이다.
배너 광고 모듈(150)은 스마트 폰(10)의 터치스크린(10a)을 통해 조명광이 방사되는 동안 터치스크린(10a)의 일부 영역에 미리 다운로드받아 저장된 배너 광고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배너 광고는 알람 조명 장치(100)의 어플리케이션을 배포하는 사업자의 수익원이 될 수 있다.
알람 조명 장치(100)는 기상 시간이나 취침 시간에 맞추어 자동으로 실행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폰의 알람 조명 장치를 이용한 조명 스탠드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폰의 알람 조명 장치를 이용한 조명 스탠드의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폰의 알람 조명 장치를 이용한 조명 스탠드(이하, '조명 스탠드'라 함)(200)는 받침대(210), 스마트 폰 거치대(220), 전등갓(230)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폰의 알람 조명 장치를 이용한 조명 스탠드(이하, '조명 스탠드'라 함)(200)는 제1 실시예의 전등갓(230)에 투명 윈도우(transparent window)(231)가 구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조명 스탠드(200)는 도 1의 실시예에 따른 알람 조명 장치(100)가 구현된 스마트 폰(10)이 거치되는 구성이며 스마트 폰(10)의 충전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하, 세부적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받침대(210)는 스마트 폰 거치대(220)를 하방에서 지지하는 구성이다.
받침대(210)에는 전원 플러그가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스마트 폰 거치대(220)는 받침대(210)상에 구비될 수 있다.
스마트 폰 거치대(220)는 스마트 폰(10)을 거치하도록 구성되며, 거치한 상태에서 전원 플러그를 통해 공급받는 상용 전원에 의해 스마트 폰(10)을 충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전등갓(230)은 스마트 폰 거치대(220)와 스마트 폰(10)을 이격하여 감싸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스마트 폰(10)은 스마트 폰 거치대(220)에 거치되어 터치스크린(touchscreen)을 통해 조명광을 방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스마트 폰(10)에는 도 1의 알람 조명 장치(100)가 구현되어 취침과 기상을 유도하는 조명 장치로서의 기능을 수행한다.
스마트 폰(10)은 스마트 폰 거치대(220)에 거치된 상태에서 미리 설정된 기상 시간에 서서히 밝아지는 조명광을 방사하거나 미리 설정된 취침 시간에 서서히 어두워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스마트 폰(10)은 스마트 폰 거치대(220)에 거치된 상태에서 미리 설정된 취침 시간에 취침 음향을 소정 시간 동안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스마트 폰(10)은 터치스크린(10a)을 통해 조명광을 방사하는 동안에는 배너 광고를 터치스크린(10a)의 일부 영역에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전등갓(230)은 일부 영역에 투명 윈도우(transparent window)(231)이 구비될 수 있다.
투명 윈도우(231)는 투명 재질이거나 확대 표시를 할 수 있는 확대 렌즈로 구성될 수 있다.
투명 윈도우(231)는 스마트 폰(10)의 터치스크린(10a)에 표시되는 배너 광고를 사용자가 쉽게 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상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10: 인터페이스 모듈
120: 취침 조명 모듈
130: 취침 음향 모듈
140: 기상 조명 모듈
150: 배너 광고 모듈
210: 받침대
220: 스마트 폰 거치대
230: 전등갓
231: 투명 윈도우

Claims (9)

  1. 취침 시간 및 기상 시간을 입력받는 인터페이스 모듈과,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을 통해 입력받는 취침 시간에 터치스크린을 통해 조명광의 조도를 서서히 낮춰 방사하도록 제어하고, 소정 시간 후에 상기 터치스크린의 조명광을 턴오프하도록 제어하는 취침 조명 모듈과,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을 통해 입력받는 취침 시간에 스마트 폰의 스피커를 통해 소정 시간동안 취침 음향을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취침 음향 모듈과,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을 통해 입력받는 기상 시간에 스마트 폰의 터치스크린을 통해 조명광의 조도를 서서히 높여 방사하도록 제어하고, 소정 시간 후에 알람 소리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기상 조명 모듈과,
    상기 스마트 폰의 터치스크린을 통해 조명광이 방사되는 동안 상기 터치스크린의 일부 영역에 미리 다운로드받아 저장된 배너 광고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배너 광고 모듈을 포함하는 스마트 폰;
    상기 스마트 폰을 하방에서 수직 방향으로 거치하며 상용 전원을 이용하여 충전하는 스마트 폰 거치대;
    원반형 밑판의 중심에 수직 기둥이 구비되고 수직 기둥의 중간 부위에 상기 스마트 폰을 하방에서 지지하여 거치하는 상기 스마트 폰 거치대가 부착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스마트 폰 거치대를 하방에서 수직방향으로 지지하는 받침대;
    사다리꼴 형태의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사다리꼴 형태의 원통형상의 하단 및 상단이 개방되어 상기 스마트 폰의 열과 빛이 새어나가도록 구성되며, 상기 사다리꼴 형태의 원통형상의 상단에는 십자형의 지지대가 구비되어 상기 받침대의 수직 기둥의 상단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스마트 폰을 이격하여 감싸도록 구성되는 전등갓을 포함하고,
    상기 전등갓은,
    상기 스마트 폰의 터치스크린에 표시되는 배너 광고를 볼 수 있도록 상기 터치스크린에서 배너 광고가 표시되는 영역에 대응하여 이격되며 상기 터치스크린에서 배너 광고가 표시되는 영역의 크기에 상응하는 전등갓 영역이 투명한 재질로 구성되는 투명 윈도우(transparent window)를 포함하고,
    상기 취침 음향은,
    귀뚜라미 소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폰을 이용한 조명 스탠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150079741A 2015-06-05 2015-06-05 스마트 폰을 이용한 조명 스탠드 KR1018149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9741A KR101814996B1 (ko) 2015-06-05 2015-06-05 스마트 폰을 이용한 조명 스탠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9741A KR101814996B1 (ko) 2015-06-05 2015-06-05 스마트 폰을 이용한 조명 스탠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3267A KR20160143267A (ko) 2016-12-14
KR101814996B1 true KR101814996B1 (ko) 2018-01-04

Family

ID=575754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9741A KR101814996B1 (ko) 2015-06-05 2015-06-05 스마트 폰을 이용한 조명 스탠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499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2932A (ko) * 2017-08-15 2018-06-11 박근수 휴대용 장치 및 휴대용 장치의 알람 설정 방법
KR102276966B1 (ko) * 2020-08-11 2021-07-13 주식회사 정아랩 IoT 무드등
KR102646457B1 (ko) * 2020-12-31 2024-03-11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날씨정보를 포함한 정보를 전달하는 스마트 조명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맞춤형 분위기 연출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08461A (ja) * 2005-04-28 2006-11-09 Tokujoya:Kk 目覚まし、および目覚ましに付随する広告方法
KR101484018B1 (ko) * 2013-10-15 2015-01-19 한국광기술원 스마트 조명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08461A (ja) * 2005-04-28 2006-11-09 Tokujoya:Kk 目覚まし、および目覚ましに付随する広告方法
KR101484018B1 (ko) * 2013-10-15 2015-01-19 한국광기술원 스마트 조명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3267A (ko) 2016-1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36622B1 (en) Lamp and alarm clock with gradually increasing light or sounds
US20050152223A1 (en) Timekeeping apparatus
KR101814996B1 (ko) 스마트 폰을 이용한 조명 스탠드
US20150212575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erforming output control according to environment in electronic device
US8867318B2 (en) Sunrise alarm clock
US20150177704A1 (en) Alarm Clock Projector
KR200465111Y1 (ko) 스마트폰 연동 조명스탠드
CN104065841A (zh) 基于手机无线控制灯具的事件提醒系统
CN203504809U (zh) 催眠与醒睡灯
CN206057833U (zh) 一种具有调光功能的闹钟
CN201636658U (zh) 一种具有闹铃功能的台灯
CN103475921A (zh) 一种具有智能睡眠模式的电视机的实现方法
ES2829611T3 (es) Método y aparato para monitoreo del uso de un sistema de iluminación
CN205620681U (zh) 光感睡眠计时器
WO2021032122A1 (zh) 一种唤醒灯
CN205899252U (zh) 振动防赖床闹钟
CN202695195U (zh) 一种带闹钟的开关
KR20200095794A (ko) 흔들어서 깨워주는 스마트 알람 침대
CN210488248U (zh) 一种蓝牙唤醒夜光闹钟
KR20180004073A (ko)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사용자별로 조도를 제어할 수 있는 전기스탠드
KR100312794B1 (ko) 실내기상용가변조명및음향장치
CN212986948U (zh) 一种多功能床头柜面板灯
KR20120040968A (ko) 수면과 기상을 유도하고 음원 재생 기능을 갖는 장치
CN216047551U (zh) 一种多功能唤醒灯
JP2019036523A (ja) 照明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